KR100817893B1 - 플래시 메모리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7893B1 KR100817893B1 KR1020060053488A KR20060053488A KR100817893B1 KR 100817893 B1 KR100817893 B1 KR 100817893B1 KR 1020060053488 A KR1020060053488 A KR 1020060053488A KR 20060053488 A KR20060053488 A KR 20060053488A KR 100817893 B1 KR100817893 B1 KR 1008178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cap member
- guide
- flash memory
- usb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06K19/041—Constructional detai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03—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selecting, conveying and possibly reading and/or writing oper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1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an audio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한 유격을 가지고 나란히 연장배치된 지지부와, 가이드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일단에 USB 단자가 돌출형성되며, 메모리가 내장된 본체, 및 가이드부의 타 측에 결합되고 본체의 USB 단자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된 캡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래시 메모리의 USB 단자가 캡 부재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USB단자가 캡 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본체의 삽입부가 캡 부재에 수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래시 메모리의 USB 단자가 캡 부재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USB단자가 캡 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본체의 삽입부가 캡 부재에 수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 있어서, 플래시 메모리에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 본체 111..USB 단자
112..삽입부 113..가이드 홈
120..캡 부재 130..가이드부
140..절곡부 214..이어폰 커넥터
221..관통홀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보관하거나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래시 메모리는 데이터를 메모리 소자에 저장한 후에 휴대하고 다니다가 저장된 데이터를 읽기, 삭제, 및 수정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이다. 종래에는 3.5인치 디스켓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데이터의 용량이 고용량화되고 고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기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에 맞춰 플래시 메모리는 휴대용 저장장치의 표준이 되었다.
또한,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는 데이터 전송만을 위해 사용했으나, 최근의 플래시 메모리는 단지 데이터 전송뿐만 아니라, 음악파일(MP3, WMA, OGG)재생, 바이러스 백신기능 탑재, 타인으로부터 데이터를 쉽게 열람할 수 없게 하는 데이터 암호화 기능, 및 인터넷 전화 등 컴퓨터 주변 기기로써 종합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여기서, 컴퓨터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받기 위해 컴퓨터의 USB 포트를 통해 컴퓨터 통신 포트에 접속하게 된다. 이를 위해, 플래시 메모리에는 USB 단자가 배치된다. USB 단자는 전도성이 우수하도록 금속재질로 되 어 있어서, 이물질이 묻거나 녹이 슬어서 USB 포트와 접촉이 불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캡 부재을 씌워 보호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캡 부재를 항상 소지하여야 하는데, 캡 부재는 크기가 작아서 사용자들이 자주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는 본체와,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한 캡으로 구성된 플래시 메모리도 있다.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는 캡을 회전시켜 본체의 USB 단자를 수용하기 때문에, 캡과 USB 단자의 결합력이 약하다. 그리고, 본체의 외면에 캡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이 배치되어 플래시 메모리의 외관을 미려하지 않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플래시 메모리에 헤드셋을 연결하여 컴퓨터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넷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의 인터넷 전화 기능을 내장한 플래시 메모리는 이어폰 커넥터를 접속시키기 위한 이어폰 커넥터를 플래시 메모리의 일 측에 배치하였다.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는 캡 부재를 회전시켜 개폐하기 위한 회전체에 간섭을 받아 이어폰 커넥터와 접속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USB 단자를 개폐하기 위한 캡 부재가 플래시 메모리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어폰 커넥터와 접속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플래시 메모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는, 일정한 유격을 가지고 나란히 연 장배치된 지지부, 가이드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일단에 USB 단자가 돌출형성되며, 메모리가 내장된 본체, 및 상기 가이드부의 타 측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USB 단자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된 캡 부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래시 메모리(100)는 본체(110), 캡 부재(120), 및 지지부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가이드부(130)의 일 측에 결합되고, 일단에 USB 단자(111)가 돌출 형성되며 메모리를 내장한다. USB 단자(111)는 컴퓨터나 멀티미디어 기기의 USB 포트에 접속하여 통신 포트를 통해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체(110)에는 후술할 캡 부재(120)에 삽입되어 본체(110)와 캡 부재(120)를 결합하는 삽입부(1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112)는 캡 부재(120)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그 형상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도시된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하여 USB 단자(111)를 통해 소정의 멀티미디어 기기에 전송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전송과 수신을 위해 본체(110)에는 제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캡 부재(120)는 본체(110)의 타 측에 결합되고, 본체(110)의 USB 단자를 수용하는 수용부(121, 도 4참조)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플래시 메모리(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캡 부재(120)는 USB 단자(111)에 결합되어 USB 단자(111)를 보호 하고, 플래시 메모리(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USB 단자(11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캡 부재(120)의 수용부(121)와 삽입부(112)가 결합하여 위치 고정된다.
지지부는 캡 부재(120) 및 본체(110)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가이드부(13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및 회전시켜, 본체(110)의 USB 단자(111)와 삽입부(112)를 캡 부재(120)의 수용부(121)에 선택적으로 끼우고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는 가이드 홈(113)들과 가이드부(130)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13)들은 본체(110)의 양측면에 함몰되게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함몰되게 형성되며, 양끝은 후술할 결합 돌기(131)가 회전가능하도록 원형으로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30)들은 캡 부재(120)에 고정되고 본체(110)의 양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부(130)들은 가이드 홈(113)들에 각각 삽입되는 결합 돌기(13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131)는 가이드 홈(113)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원형의 지름은 가이드 홈(113)들의 폭보다 약간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부는 가이드부(130)들에 양단이 결합하면서 캡 부재(120)를 둘러싸게 절곡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부(140)와 캡 부재(120)는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플래시 메모리(100)를 목에 걸거나 허리에 찰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플래시 메모리(100)에 있어서, 사용자가 플래시 메모리(100)를 사용하기 위해 USB 단자(111)에 결합된 캡 부재(120)를 이탈하여, 본 체(110)의 삽입부(112)와 캡 부재(120)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USB 단자(111)에 캡 부재(120)가 결합된 상태이다. 사용자가 본체(110)를 캡 부재(12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USB 단자(111)는 캡 부재(120)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결합 돌기(131)들은 가이드 홈(113)들을 따라 이동한다. 결합 돌기(131)가 가이드 홈(113)의 끝 부분까지 이동하게 되면, 본체(110)가 지지부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 멈추게 된다. 그리고 나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을 본체(110)에 대해 반 바퀴 정도 회전한다. 캡 부재(120)를 본체(110)의 삽입부(112)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캡 부재(120)를 본체(110)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캡 부재(120)에 본체(110)의 삽입부(112)가 삽입된다. 이렇게 본체(110)의 USB 단자(111)와 캡 부재(120)를 상호 슬라이딩시키고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만 시키는 종래의 구성보다 플래시 메모리(100)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USB 단자(111)가 캡 부재(120)에 의해 보호됨으로써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절곡부(140)와 캡 부재(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에 핸드 스트랩(Hand Strap)과 같은 고리를 걸어서 사용자의 목이나 허리에 결합하여 휴대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래시 메모리(200)는 본체(210), 캡 부재(220), 및 지지부을 포함한다.
본체(21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이드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일단에 USB 단자(211)가 돌출 형성되며 메모리를 내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본체(210)에는 후술할 캡 부재(220)에 삽입되어 본체(210)와 캡 부재(220)를 결합하는 삽입부(212)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삽입부(212)는 캡 부재(220)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되, 캡 부재(220)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그 형상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부(212)의 외측에는 이어폰 플러그(250)가 연결되는 이어폰 커넥터(214)가 더 마련된다.
캡 부재(220)는 본체(210)의 타 측에 결합되고, 본체(210)의 USB 단자를 수용하는 수용부(222)를 구비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플래시 메모리(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캡 부재(220)는 USB 단자(211)에 결합되어 USB 단자(211)를 보호하고, 플래시 메모리(2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USB 단자(21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캡 부재(220)의 수용부(222)와 삽입부(212)가 결합하여 위치 고정된다.
또한, 캡 부재(220)는 캡 부재(220)와 본체(210)의 하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어폰 플러그(250)가 이어폰 커넥터(214)에 접속할 수 있도록, 본체(210)의 이어폰 커넥터(214)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22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221)은 이어폰 플러그(250)의 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갖는 원이 캡 부재(220)의 일면을 관통한 형태이다.
지지부는 캡 부재(220) 및 본체(210)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가이드부(23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및 회전시켜, 본체(210)의 USB 단자(211)와 삽입부(212)를 캡 부재(220)의 수용부(222)에 선택적으로 끼우고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이드 홈(213)들과 가이드부(230)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홈(213)과 가이드부(23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다만 절곡부(240)의 구조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절곡부(240)는 가이드부(230)들에 양단이 결합하면서 캡 부재(220)를 둘러싸게 형성되되, 절곡부(240)의 면이 이어폰 플러그(250)가 관통홀(221)에 끼워지는 경우 방해되지 않게 형성된다. 이는 캡 부재(220)와 삽입부(212)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플러그(250)가 간섭없이 관통홀(221)을 지나 이어폰 커넥터(214)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플래시 메모리(200)에 있어서, 사용자가 플래시 메모리(200)를 사용하기 위해 USB 단자(211)에 결합된 캡 부재(220)를 이탈하여, 본체(210)의 삽입부(212)와 캡 부재(220)를 결합하고, 이어폰 플러그(250)를 본체(210)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플래시 메모리(200)를 이용하여 인터넷 전화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의 USB 포트에 플래시 메모리(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어폰 플러그(25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SB 메모리는, 본체와 캡 부재중 적어도 하나를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하기 편하고 캡 부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 부재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사용자가 본 발명의 USB 메모리를 이용하여 인터넷 전화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지지부의 절곡부가 이어폰 플러그와 관통홀의 결합이 방해되지 않게 형성되어, 컴퓨터의 USB 포트에 USB 메모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어폰 플러그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 삭제
- 삭제
- 삭제
- 일정한 유격을 가지고 나란히 연장배치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상기 가이드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일단에 USB 단자가 돌출형성되고, 메모리가 내장된 본체; 및상기 가이드부의 타 측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USB 단자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된 캡 부재를 구비하고,상기 지지부는,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각각 그 길이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가이드 홈;상기 지지부의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게 형성된 결합 돌기; 및상기 가이드부들과 양단이 연결되되 상기 캡 부재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을 한정하게 형성된 절곡부를 더 구비하며,상기 본체에는 상기 캡 부재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삽입부를 더 구비하고,상기 본체 및 캡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분리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삽입부에는 이어폰 플러그가 연결되는 이어폰 커넥터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캡 부재에는 상기 본체의 삽입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 커넥터가 노출되게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는,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각각 그 길이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가이드 홈; 및상기 지지부의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게 형성된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는,상기 가이드부들과 양단이 연결되되 상기 캡 부재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을 한정하게 형성된 절곡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절곡부는,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는 경우 방해되지 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3488A KR100817893B1 (ko) | 2006-06-14 | 2006-06-14 | 플래시 메모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3488A KR100817893B1 (ko) | 2006-06-14 | 2006-06-14 | 플래시 메모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9193A KR20070119193A (ko) | 2007-12-20 |
KR100817893B1 true KR100817893B1 (ko) | 2008-03-31 |
Family
ID=3913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3488A KR100817893B1 (ko) | 2006-06-14 | 2006-06-14 | 플래시 메모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789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8819B1 (ko) * | 2008-05-06 | 2010-05-24 |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외장형 전자기기 |
CN106358394A (zh) * | 2015-07-16 | 2017-01-25 | 天津利融科技有限公司 | 新型u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3317Y1 (ko) * | 2005-02-01 | 2005-05-03 | 김상선 | 휴대용 플래시 메모리 저장장치 |
KR100651045B1 (ko) * | 2002-03-18 | 2006-11-29 |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 엘티디 | 플레이백 모드를 지니는 메모리 모듈 |
-
2006
- 2006-06-14 KR KR1020060053488A patent/KR10081789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1045B1 (ko) * | 2002-03-18 | 2006-11-29 |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 엘티디 | 플레이백 모드를 지니는 메모리 모듈 |
KR200383317Y1 (ko) * | 2005-02-01 | 2005-05-03 | 김상선 | 휴대용 플래시 메모리 저장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9193A (ko) | 2007-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61530B2 (ja) | 着脱式アダプタとハンドヘルドデバイス | |
AU2013278222B2 (en) |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terminal | |
KR101386854B1 (ko) | 메모리장치의 수납 기능을 구비한 보호 케이스 | |
US8029302B1 (en) | Strap with charging and data transmitting function | |
US20210135700A1 (en) | Protective case | |
KR100817893B1 (ko) | 플래시 메모리 | |
KR200383317Y1 (ko) | 휴대용 플래시 메모리 저장장치 | |
CN203631936U (zh) | 一种电子设备 | |
KR200467206Y1 (ko) |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 |
KR20070020789A (ko) | 데이터케이블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0459568Y1 (ko) | 카드 타입 usb 메모리 장치 | |
CN204631858U (zh) | 一种移动存储设备 | |
KR100708109B1 (ko) | 전자기기용 배터리 및 그 배터리를 채용한 전자기기 | |
KR101063564B1 (ko) | 유에스비 커넥터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KR200362826Y1 (ko) | 유에스비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 |
CN203589419U (zh) | 一种电子设备 | |
CN221381144U (zh) | 耳机盒 | |
KR100695750B1 (ko) | 이동식 저장장치용 커넥터 | |
TW201228523A (en) | Electronic device with flip-cover apparatus | |
KR200372474Y1 (ko) | Usb잭이 구비된 슬림형 엠피쓰리 플레이어 | |
CN201708319U (zh) | 一种记忆卡连接装置 | |
KR200436058Y1 (ko) | 슬림형 유에스비 디바이스 | |
KR20010026970A (ko) | 컴퓨터의 피시엠시아이에이 카드에 삽입 접속되는 엠피3플레이어 | |
TWM557444U (zh) | 便攜式行動儲存裝置 | |
KR200429687Y1 (ko) | 휴대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32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