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2268A -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2268A
KR20080032268A KR1020060097744A KR20060097744A KR20080032268A KR 20080032268 A KR20080032268 A KR 20080032268A KR 1020060097744 A KR1020060097744 A KR 1020060097744A KR 20060097744 A KR20060097744 A KR 20060097744A KR 20080032268 A KR20080032268 A KR 20080032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ion terminal
sliding member
guid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경훈
윤재삼
이용진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7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2268A/ko
Publication of KR20080032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형 기기의 연결단자를 누름에 따라서 외부로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외장형 기기의 연결단자 인입/인출 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에 구비된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연결 단자를 인입/인출시키며, 인출시 상기 하우징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연결 단자를 인입/인출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를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락킹 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연결 단자 및 구성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하고,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장형 기기에서 기존에 연결 단자를 보호하기 위해 구비되던 착탈식 커버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외장형 기기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ure P1020060097744
외장형 기기, 연결단자, 인터페이스 커넥터, 하우징, 슬라이딩 부재.

Description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CONNECTING TERMINAL RETRACTING/EXTENDING APPARATUS FOR EXTERNAL TYPE APPARATUS }
도 1은 종래의 외장형 기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의 구성 중 연결 단자의 인출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의 구성 중 연결 단자를 인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의 구성 중 락킹 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의 구성 중 버튼부를 누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7의 B부 확대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의 구성 중 락킹 부재의 걸림이 해제되어 연결 단자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C부 확대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의 구성 중 연결 단자의 회전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의 구성 중 연결 단자를 90도 회전 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의 구성 중 연결 단자를 180도 회전 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장형 기기의 연결단자를 누름에 따라서 외부로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과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1)는 본체 하단부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별 도의 단자를 구비하거나 인터페이스 커넥터(2)를 구비하여 데이터의 저장, 전송 및 모뎀의 기능을 위한 외장형 기기(3)가 활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외장형 기기(3)는 데이터 저장, 전송 및 모뎀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유에스비(Universal Serial Bus 이하 :" USB " 라 함) 케이블이 필요하며 이러한 케이블은 개인용 컴퓨터(PC)나 노트북에 구비되어져 있는 USB포트와 연결되는데, 이때 PC나 노트북에는 외장형 기기(3)를 인식할 수 있는 별도의 드라이버가 설치되어어져 한다.
최근 무선 인터넷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더 이상 휴대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기반을 위한 유일한 수단으로서의 모뎀 역할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추세에 있으며 사용자는 그 보다 더 높은 수준의 멀티미디어적인 기능(외장형 스피커 및 DMB 기능)을 요구하는 수준에 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을 증가 시켜야 하고, 이로인해 별도로 상기 외장형 기기(3)가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 외장형 기기는 외장형 스피커 장치, DMB 위성 방송 수신기, 안테나 및 이어폰 잭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1과 같이, 이러한 외장형 기기(3)는 단말기(1)의 인터 페이스 커넥터(2)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3a)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단자(3a)는 항시 노출되어 있거나 착탈식 커버(4)에 의해 노출되거나 결합하여 보호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외장형 기기를 내장할 경우 단말기의 크기가 커지고, 별도로 외장형 기기를 구비할 경우 단말기와 항상 분리되어 있어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외장형 기기는 단말기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가 노출되어 있어 파손이 쉽고, 연결 단자를 보호하는 착탈식 커버는 사용시 항상 커버를 분리해야함으로 쉽게 분실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외장형 기기에 구비된 연결 단자는 외부에 돌출되어 있어 디자인이 미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장형 기기의 연결단자를 누름에 따라서 외부로 인입/인출시킴으로써, 연결 단자 및 구성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하고,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장형 기기의 연결단자를 누름에 따라서 외부로 인입/인출시킴으로써, 외장형 기기에서 기존에 연결 단자를 보호하기 위해 구비되던 착탈식 커버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장형 기기의 연결단자를 누름에 따라서 외부로 인입/인출시킴으로써, 외장형 기기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장형 기기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클릭감을 주는 클릭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연결 단자의 회전시 클릭감 주어 회전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외장형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장형 기기의 연결단자 인입/인출 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에 구비된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연결 단자를 인입/인출시키며, 인출시 상기 하우징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연결 단자를 인입/인출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를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락킹 부재; 및
상기 하우징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10)는 다수개의 개 구(23)(24)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슬라이딩 부재(30)와, 가이드 부재(40)와, 락킹 부재(50)와, 탄성부재(6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와, 상기 가이드 부재(40)와, 상기 락킹 부재(50)및 상기 탄성 부재(6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2 하우징(21)(2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는 상기 연결 단자(3a)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23)(24)에 구비된 버튼부(70)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20)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연결 단자(3a)를 인입/인출시키며, 인출시 상기 하우징(20)의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20)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부재(40)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하우징(20)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락킹 부재(50)는 상기 버튼부(70)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연결 단자(3a)를 인입/인출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의 이동을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0)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60)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0)가 상기 하우징(20)에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하우징(20)내에 구비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1 개구(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20)의 타일단에는 상기 버튼부(70)를 장착하고, 상기 버튼부(70)를 눌려질 수 있도록 제 2 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도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 단자(3a)와 결합되도록 결합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의 타일단에는 상 기 탄성 부재(60)와 결합되도록 탄성 부재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31)의 이웃한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40)와 슬라이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의 이동시 상기 가이드 부재(40)를 따라서 가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33)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가이드 부재(40)는 가이드 봉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가이드 봉(40)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의 가이드 홀(33)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봉(40)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봉(40)을 지지하는 가이드 커버(4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봉(40)의 타일단에는 상기 연결 단자(3a)를 회전시 상기 하우징(20)에 구비된 포고 핀(90)에 의해 클릭감을 주도록 클릭 부재(4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클릭 부재(42)는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형의 둘레에는 상기 연결 단자(3a)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포고 핀(90)과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홈(42a)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락킹 부재(50)는 이동홀(51)과, 락커부(5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이동홀(51)은 상기 버튼부(70)를 누름에 따라서 이동하여 후술하는 상기 락커부(52)와 착탈되도록 상기 버튼부(70)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락커부(52)는 상기 이동홀(51)에 관통 결합되는 락커 핀(52d)을 장착하며, 상기 버튼부(70)를 누르면, 상기 이동홀(51)도 함께 눌린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락커 핀(52d)을 상기 이동홀(51)을 따라서 눌린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눌린방향의 수직으로 가이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에 형성된 락커홈(34)에서 걸림을 해제시키거나 걸리도록 상기 하우징(20)의 상,하부에 구비 되어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이동홀(51)은 상기 락커 핀(52d)을 상기 눌린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눌린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이동할 수 있게 단차진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 도 7, 도 8,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락커부(52)는 한쌍의 결합돌기(52a)와, 핀 홀(52b)과, 락커 돌기(52c)와, 락커 핀(52d)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한쌍의 결합돌기(52a)는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됨과 아울러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20)에는 상기 결합돌기(52a)와 결합되도록 홈(2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 홀(52b)은 상기 락커 핀(52d)과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돌기(52a)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락커 돌기(52c)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에 형성된 락커홈(34)에서 착탈되도록 상기 핀 홀(52b)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7 및 도 9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6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60)의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의 탄성 부재 홈(32)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60)의 타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0)가 상기 하우징(20)의 제 1 개구(23)에서 인출할 수 있게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버튼부(70)에 구비된 탄성 고정부(71)에 결합되어 있다.
도 2, 도 11,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상기 하우징(20)에는 상기 연결 단자(3a)를 90도 회전 후 멈추게 하도록 제 1 스톱퍼부(8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20)에는 상기 연결 단자(3a)를 180도 회전후 멈추게 하도록 제 2 스톱퍼부(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2 스톱퍼부(80)(81)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에 형성된 스톱퍼 돌기(35)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10)는 다수개의 개구(23)(24)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슬라이딩 부재(30)와, 가이드 부재(40)와, 락킹 부재(50)와, 탄성 부재(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0)은 제 1, 2 하우징(21)(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2 하우징(21)(22)내에 탄성 부재(60)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2 하우징(21)(22)의 일단에 형성된 제 1 개구(23)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타일단에 형성된 제 2 개구(24)에는 상기 버튼부(7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제 1 개구(23)의 이웃한 위치에는 포고 핀(90)을 설치하고, 상기 포고 핀(90)에 상기 가이드 부재(40)를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40)는 가이드 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봉(40)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의 가이드홀(33)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봉(40)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봉(40)을 지지하는 가이드 커버(41)가 구비되며, 타일단에는 상기 연결 단자(3a)를 회전시 상기 포고 핀(90)에 의해 클릭감을 주는 클릭 부재(42)가 구비된다. 상기 클릭 부재(42)는 상기 하우징(20) 에 구비된 포고 핀(90)과 대응되게 상기 하우징(20)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에는 상기 연결 단자(3a)와 결합되는 결합홈(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홈(31)에 상기 연결 단자(3a)를 결합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의 가이드홀(33)에 상기 가이드봉(40)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2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도 2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상, 하부에 락킹 부재(50)를 구비한다. 상기 락킹 부재(50)는 이동홀(51)과, 락커부(52)로 이루어지고, 상기 락커부(52)에 형성된 핀 홀(52b)에 락커 핀(52d)을 결합하고, 상기 락커부(52)의 한쌍의 결합돌기(52a)가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된 홈(20a)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락커 핀(52d)을 상기 버튼부의 이동홀(51)에 관통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의 제 2 개구(24)에는 버튼부(7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20)내에 구비된 탄성부재(6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의 탄성 부재홈(32)에 결합되고, 타일단은 버튼부(70)에 구비된 탄성 고정부(71)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외장형 기기(3)에서 연결 단자(3a)를 인출시킬 경우 상기 하우징(20)의 제 2 개구(24)에 구비된 버튼부(70)를 누른다.
도 5 및 도 4와 같이, 상기 버튼부(70)는 상기 하우징(20)내로 눌려지고, 상기 버튼부(70)에 형성된 이동홀(51)도 함께 이동한다.
상기 이동홀(51)은 상기 락커 핀(52d)을 상기 눌린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눌린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이동할 수 있게 단차진 곡선으로 형성된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락커부(52)의 락커 핀(52d)은 상기 이동홀(51)의 단차진 곡선을 따라서 이동하고, 이때 상기 락커 핀(52d)을 가이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20)의 외곽으로 수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락커 핀(52d)이 이동하면, 상기 락커부(52)도 함께 이동하고, 상기 락커부(52)가 이동하면, 상기 락커부(52)에 형성된 락커 돌기(52c)도 함께 이동한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락커 돌기(52c)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에 형성된 락커홈(34)에서 이탈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는 걸림이 해제되어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내에 구비된 코일 스프링(6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한다.상기 슬라이딩 부재(30)는 상기 가이드 부재(40)의 가이드 봉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 봉(40)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의 가이드홀(33)을 따라서 가이드 이동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는 상기 가이드봉(40)의 일단으로 가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는 상기 가이드 봉(40)의 일단에 형성된 가이드 커버(41)로 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와 함께 이동한 연결 단자(3a)는 상기 가이드 커버(41)에 형성된 관통홀(4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장형 기기(3)는 연결 단자(3a)를 단말기(1)의 인터페이스 커넥터(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여기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상기 연결 단자(3a)를 상기 하우징(20)의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상기 연결 단자(3a)를 잡고 90도 시계방 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와 가이드 부재(40)의 가이드 커버(41) 및 클릭 부재(42)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클릭 부재(42)의 외곽 둘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홈(42a)도 함께 회전하고, 상기 포고 핀(90)은 상기 마찰홈(42a)에서 착탈됨과 아울러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연결 단자(3a)에 회전 클릭감을 준다.
도 12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에는 상기 연결 단자(3a)를 90도 회전 후 멈추게 하는 제 1 스톱퍼부(8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를 90도 회전시킨 후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에 형성된 스톱퍼 돌기(35)가 상기 제 1 스톱퍼부(80)에 삽입되어 멈추게 된다.
상기 제 1 스톱퍼부(80)는 상기 스톱퍼 돌기(35)를 착탈시키는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도 13과 같이, 상기 하우징(20)을 18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킬 경우 상기 연결 단자(3a)를 하우징(20)의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와 가이드 부재(40)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40)와 함께 클릭 부재(42)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클릭감을 주고,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된 제 2 스톱퍼부(81)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의 스톱퍼 돌기(35)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 단자(3a)를 180도에서 멈추게 한다.
여기서, 도 3과 같이, 상기 연결단자를 상기 외장형 기기(3)에 인입시킬 경우 상기 연결 단자(3a)를 외장형 기기(3)내로 누르면, 상기 연결 단자(3a)와 함께 상기 슬라이딩 부재(30)가 눌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20)내로 인입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는 상기 가이드 봉(40)을 따라서 다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내에 구비된 락커 돌기(52c)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에 형성된 락커홈(34)에 걸려 상기 연결 단자(3a)를 인입상태에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외장형 기기의 연결단자를 누름에 따라서 외부로 인입/인출시킴으로써, 연결 단자 및 구성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하고,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장형 기기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외장형 기기에서 기존에 연결 단자를 보호하기 위해 구비되던 착탈식 커버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에 의하면,
외장형 기기의 연결단자를 누름에 따라서 외부로 인입/인출시킴으로써, 연결 단자 및 구성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하고,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장형 기기에서 기존에 연결 단자를 보호하기 위해 구비되던 착탈식 커버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외장형 기기의 디자인 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외장형 기기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클릭감을 주는 클릭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연결 단자의 회전시 클릭감 주어 회전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외장형 기기의 연결단자 인입/인출 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에 구비된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연결 단자를 인입/인출시키며, 인출시 상기 하우징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연결 단자를 인입/인출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를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락킹 부재; 및
    상기 하우징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 1,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일단에는 상기 버튼부를 장착하는 제 2 개구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타일단에는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되는 탄성 부재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이웃한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슬라이딩 이동하게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홀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봉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가이드 홀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봉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 봉을 지지하는 가이드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봉의 타일단에는 상기 연결 단자를 회전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포고 핀에 의해 클릭감을 주는 클릭 부재가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기 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 부재는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형의 둘레에는 상기 연결 단자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포고 핀과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찰홈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버튼부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이동홀과.
    상기 하우징의 상,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홀에 관통 결합되는 락커 핀을 장착하며, 상기 버튼부를 누르면, 상기 이동홀도 함께 눌린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락커 핀을 상기 이동홀을 따라서 눌림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눌린방향의 수직으로 가이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에 형성된 락커홈에서 걸림을 해제시키는 락커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홀은 상기 락커 핀을 상기 눌린방향으로 이동함 과 아울러 상기 눌린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이동할 수 있게 단차진 곡선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락커 핀과 결합되는 핀 홀과
    상기 핀 홀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된 락커홈에서 착탈되는 락커 돌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탄성 부재홈에 결합되고,
    타일단은 상기 버튼부에 구비된 탄성 고정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결 단자를 90도 회전 후 멈추게 하는 제 1 스톱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결 단자를 180도 회전 후 멈추게 하는 제 2 스톱퍼부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스톱퍼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된 스톱퍼 돌기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12. 외장형 기기의 연결단자 인입/인출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 단자와 결합되어 누름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연결 단자를 인입/인출시키며, 인출시 상기 하우징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누름에 따라서 상기 연결 단자를 인입/인출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을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락킹 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상기 연결 단자를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힘을 공급하는 힘 공급수단이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힘 공급수단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KR1020060097744A 2006-10-09 2006-10-09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KR20080032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744A KR20080032268A (ko) 2006-10-09 2006-10-09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744A KR20080032268A (ko) 2006-10-09 2006-10-09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268A true KR20080032268A (ko) 2008-04-15

Family

ID=3953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744A KR20080032268A (ko) 2006-10-09 2006-10-09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22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1157A (zh) * 2011-08-24 2013-03-06 现代摩比斯株式会社 车辆的曲率半径估算方法及其装置
KR101436040B1 (ko) * 2013-10-08 2014-08-29 주식회사 베프스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1157A (zh) * 2011-08-24 2013-03-06 现代摩比斯株式会社 车辆的曲率半径估算方法及其装置
CN102951157B (zh) * 2011-08-24 2017-06-16 现代摩比斯株式会社 车辆的曲率半径估算方法及其装置
KR101436040B1 (ko) * 2013-10-08 2014-08-29 주식회사 베프스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4005B1 (en) Mobile device having a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US8553407B2 (en)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KR10198382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320546A1 (en) Single-Pull Multi-Function Device for Conveying Signal and/or Supplying Power
JP6430181B2 (ja) 電子機器および装置
WO2000060755A1 (en) Pc card retractable antenna
US9609098B2 (en) Button-type connect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1610420A2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6532653B1 (en) Foldable connector assembly for miniature circuit card
KR20130011217A (ko) 전자 기기의 삽입형 카드 인입/인출 장치
EP2381653B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connection port
TWI384843B (zh) 可攜式終端
US8500481B2 (en) Connector mechanism for connecting a plug
US8059093B2 (en) Wireless mouse having storing structure for storing wireless signal receiver therein
KR20080032268A (ko)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JP6033764B2 (ja) レセプタクル及び電子機器
US6845158B2 (en) Retractable-removable headphone module for portable computers
KR101107247B1 (ko) 휴대용메모리장치가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젠더장치
CN109557671B (zh) 一种可穿戴设备
JP6245565B1 (ja) 電子機器
WO2022088936A1 (zh) 电源适配器及电子设备组件
CN101409734A (zh) 电子装置
US681315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C-card protection structure
KR200355897Y1 (ko) Usb 단자를 갖는 휴대폰 핸즈프리
KR200362826Y1 (ko) 유에스비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