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977A - 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흡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977A
KR20020062977A KR1020027007828A KR20027007828A KR20020062977A KR 20020062977 A KR20020062977 A KR 20020062977A KR 1020027007828 A KR1020027007828 A KR 1020027007828A KR 20027007828 A KR20027007828 A KR 20027007828A KR 20020062977 A KR20020062977 A KR 20020062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tube
suction
blister pack
outer cas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비드손랄스
웬손얀
맨손패트릭
스트란드베르그스테판
울브란트비외른
Original Assignee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filed Critical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ublication of KR20020062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9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61M15/0036Piercing means hollow 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61M15/0046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 A61M15/004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the dosages being arranged in a plane, e.g. on disk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에 의하여 분말화된 약제를 투약하기 위한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흡입 장치(1)는 약제가 사용자에 의한 흡입에 이끌리는 흡입 튜브(4) 및 블리스터 팩 조립체(5)를 포함한다. 흡입 튜브(4)는 블리스터 팩 조립체(5)와 상호 작용하는 말단부(7) 및 사용자가 흡입하는 근접 단부(8)를 갖는다. 또한, 흡입 장치(1)에는 흡입 튜브(4)를 블리스터 팩 조립체(5)로부터 상승시키는 바이어싱 수단(6)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흡입 장치{AN INHALATION DEVICE}
호흡기 상태의 치료에 있어서, 각각이 분말화된 약제의 1회 복용량을 유지하는 복수의 개별의 블리스터를 포함하는 블리스터 팩과 협동 작용할 수 있도록 배열된 흡입 튜브를 포함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의 사용이 알려져 있다.
이제, 흡입 튜브 및 블리스터 팩 조립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를 개시하는 WO 97/40876호를 참조하여야 한다. 이러한 블리스터 팩 조립체는 블리스터 팩을 유지하는 운반구의 형태이다. 운반구는 상부 표면이 블리스터 팩 내의 블리스터 상부에 위치한 복수의 구멍을 구비함으로써 흡입 튜브의 말단부가 필요시 블리스터를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흡입 장치, 특히 흡입에 의하여 블리스터 팩으로부터 분말화된 약제를 투약하기 위한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이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의 방식에 의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1은 외부 케이스 내에 수납된 흡입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외부 케이스가 개방되었을 때의 도1의 흡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은 흡입 튜브 및 블리스터 팩 조립체가 어떻게 외부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는 지를 도시하는 도2의 흡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4는 외부 케이스로부터 제거된 흡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흡입 장치의 요소의 분해도이다.
도6은 블리스터 팩 조립체의 상부 트레이에 부착된 요소의 분해도이다.
도7은 도5의 블리스터 팩의 평면도이다.
도8은 도7의 블리스터 팩의 X-X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9는 단일 블리스터 및 슬릿의 상세한 평면도이다.
도10은 (변경된 슬릿을 갖는) 도9의 블리스터 및 슬릿을 통한 단면도이다.
도11은 흡입 튜브의 몸체의 일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도11의 X-X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13은 도11의 A 방향으로 흡입 튜브의 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는 도13의 X-X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15는 도11의 흡입 튜브의 몸체의 근접 단부의 상부로부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은 도11의 흡입 튜브의 몸체의 말단부의 하부로부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7은 흡입 튜브 및 탄성 스트립의 외부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7의 외부 슬리브 및 탄성 스트립의 일 측면으로부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9는 도18의 A 방향에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0은 도18의 흡입 튜브의 가이드 아암의 상세도이다.
도21은 도18의 X-X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22는 탄성 스트립의 흡입 튜브의 외부 슬리브로의 결합을 도시하는 상세도이다.
도23은 도21의 X-X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24는 운반구의 상부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25는 도24의 X-X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26은 도24의 A 방향에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7은 운반구의 하부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28은 도27의 X-X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29는 도27의 Y-Y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30은 도27의 Z-Z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31 내지 도37은 흡입 튜브가 블리스터 팩 조립체 내의 블리스터 내부로 삽입될 때 흡입 장치의 다양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8 내지 도39는 탄성 스트립 상의 갈고리의 상세도이다.
도40은 블리스터 팩 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41은 대체 블리스터 팩 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42는 도41의 블리스터 팩의 평면도이다.
도43 내지 도4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5는 본 발명의 양호한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46은 도45의 요소의 일부의 분해도이다.
도47은 닫힌 외부 케이스 및 일부가 절단된 뚜껑을 갖는 도45의 흡입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8a 및 도48b는 도46의 흡입 튜브의 가이드 아암 중 하나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 나은 구조를 갖고 보다 사용자에게 친숙한 개선된 흡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구조는 사용자가 짧은 시간 간격으로 분말화된 약제를 투약해야할 수도 있으므로 충분한 강성 및 강도를 보유하면서 경량이고 소형이어야 한다. 또한, 분말화된 약제의 잘못된 전달은 사용자에게 잠재적으로 해가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흡입 장치를 잘못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구조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에 의하여 분말화된 약제를 투약하기 위한, 약제가 사용자에 의한 흡입에 이끌리는 흡입 튜브, 블리스터 팩 및 블리스터 팩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흡입 장치가 제공되고, 흡입 튜브는 하우징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가 호흡하는 근접 단부 및 블리스터 팩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말단부를 갖고, 흡입 장치는 또한 흡입 튜브를 흡입 장치가 사용을 위하여 준비될 때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이동시키는 바이어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하게는, 바이어싱 수단은 흡입 튜브의 하우징으로의 결합을 형성한다.
양호하게는, 바이어싱 수단은 하우징 표면으로부터 흡입 튜브를 상승시킨다.
양호하게는, 하우징은 블리스터 팩을 위한 운반구이다.
양호하게는, 흡입 튜브의 말단부는 운반구 상에 제거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양호하게는, 바이어싱 수단은 연장 탄성 부재이고, 일 단부는 흡입 투브에, 다른 단부는 운반구에 결합된다.
양호하게는, 탄성 부재는 흡입 튜브가 운반구에 인접하게 놓일 수 있는 제1 위치로부터 힌지 상의 흡입 튜브를 흡입 흡입 튜브가 운반구로부터 상승되는 제2 위치로 이격시킨다.
양호하게는, 탄성 부재는 스트립의 길이를 따라 중심으로 향하는 돌출 스파인(spine)과 함께 형성된 스트립의 형태이다.
양호하게는, 흡입 튜브에 결합된 탄성 스트립의 단부는 두꺼운 부분을 갖는다.
양호하게는, 탄성 부재는 갈고리 구조에 의하여 운반구에 결합된다.
양호하게는, 갈고리 구조는 블리스터 사이의 흡입 튜브의 전달 동안 측방향 및/또는 비틀림 동작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탄성 부재를 운반구에 결합시킨다.
양호하게는 바이어싱 수단은 운반구 상의 힌지의 일부를 형성하는 스프링 요소이다.
양호하게는, 스프링 요소는 힌지 상의 흡입 튜브를 흡입 튜브가 운반구에 인접하게 놓일 수 있는 제1 위치로부터 흡입 튜브가 운반구로부터 상승되는 제2 위치로 이격시킨다.
양호하게는, 힌지는 흡입 튜브의 말단부와 협동 작용하는 유지 요소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흡입 튜브는 가요성 연장 부재에 의하여 유지 요소에 결합된다.
양호하게는, 흡입 장치는 흡입 튜브 및 운반구를 유지하기 위한 외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외부 케이스는 사용자가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 작동에 대응하여 외부 케이스를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사용시 및 외부 케이스가 닫힌 때 흡입 튜브가 운반구에 인접하게 놓일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다.
양호하게는, 하우징은 외부 케이스 및 블리스터 팩을 운반하는 운반구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흡입 튜브의 말단부는 외부 케이스에 제거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양호하게는, 바이어싱 수단은 연장 탄성 부재이고, 일 단부는 흡입 튜브에 결합되고 다른 단부는 운반구에 결합된다.
양호하게는, 탄성 부재는 흡입 튜브가 외부 케이스에 인접하게 놓일 수 있는 제1 위치로부터 흡입 튜브가 외부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제2 위치까지 힌지 상의 흡입 튜브를 이동시킨다.
양호하게는, 탄성 부재는 장력 하에서 펴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전 형성된 웨이브를 갖는 스트립의 형태이다.
양호하게는, 흡입 튜브에 결합된 탄성 스트립의 단부는 두꺼워진 부분을 갖는다.
양호하게는, 탄성 스트립은 갈고리 구조에 의하여 운반구에 결합된다.
양호하게는, 갈고리 구조는 블리스트 사이에서 흡입 튜브의 전달 동안 측방향 및/또는 비틀림 동작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탄성 부재를 운반구에 결합시킨다.
양호하게는, 바이어싱 수단은 흡입 튜브 상에 작용하는 스프링 요소이다.
이제, 외부 케이스(2) 내에 수납될 때 흡입 장치(1)의 양호한 제1 실시예의 다양한 사시도인 도1, 도2 및 도3을 참조한다. 외부 케이스(2)는 전형적인 푸쉬 버튼 잠금 메커니즘(3)을 갖고 힌지 결합된다. 도4는 외부 케이스(2)로부터 제거된 때의 흡입 장치(1)를 도시한다. 외부 케이스(2)는 흡입 장치(1)가 기부(11) 내부로 활주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블리스터 팩 조립체(5)의 측면은 흡입 장치(1)가 외부 케이스(2) 내에서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기부(11)의 측면의 내부 표면과 협동 작용한다. 또한, 기부(11)는 외부 케이스(2) 내부의 흡입 장치(1)를 더욱 보장하는 하부 트레이(16, 도27 참조) 내의 구멍(51)과 협동 작용하는 두 개의 래칭 요소(50)를 갖는다.
흡입 장치(1)는 흡입 튜브(4) 및 블리스터 팩 조립체(5)를 포함한다. 흡입 튜브(4)는 흡입 튜브(4)를 블리스터 팩 조립체(5)로부터 이격시키는 연장 탄성 스트립(6)에 의하여 블리스터 팩 조립체(5)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탄성 스트립(6)은 외부 케이스(2)가 닫힐 때 흡입 튜브(4)가 블리스터 팩 조립체(5)에 대향하여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놓이도록 구성된다. 외부 케이스(2)의 개방시, 탄성 스트립(6)은 흡입 튜브(4)가 사용자에 의하여 쉽게 잡힐 수 있도록 흡입 튜브(4)를 상승시킨다.
흡입 튜브(4)는 블리스터 팩 조립체(5) 상에 힌지 결합된다. 외부 케이스(2)의 뚜껑(9)의 내부 표면에는 외부 케이스(2)가 닫힐 때 흡입 튜브(4)의 근접 단부(8)와 스냅 작동으로 상호 체결하는 아암(10)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2)의 개방 시에, 아암(10)은 흡입 튜브(4)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탄성 스트립(6)과 협동 작용할 것이다. 아암(10)은 뚜껑(9)이 블리스터 팩 조립체(5)로부터 떨어져 회전될 때 흡입 튜브(4)의 근접 단부(8) 상부에서 미끄러지고 점차적으로 근접 단부(8)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데, 이 점에서 탄성 스트립(6)은 상승된 위치에서 흡입 튜브(4)를 계속하여 유지한다.
도3에서, 흡입 장치(1)가 어떻게 외부 케이스(2)의 기부(11) 내부로 활주 가능한지가 분명하다. 흡입 튜브(4) 및 블리스터 팩 조립체(5)는 도5의 분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블리스터 팩(12) 내부의 모든 블리스터(13)를 제거할 때 제거 및 교체될 수 있다.
블리스터 팩 조립체(5)는 운반구(14) 및 블리스터 팩(12)을 포함한다. 운반구(14)는 블리스터 팩(12)을 상호 체결하고 수납하는 상부 트레이(15) 및 하부 트레이(16)를 갖는다.
도6에서, 상부 트레이(15)에 부착된 요소가 분해되었다. 흡입 튜브(4)는 몸체(4a) 및 외부 슬리브(4b)를 포함한다. 그러나, 흡입 튜브(4)는 두 개의 분리 요소보다는 단일부로 성형될 수 있다. 몸체(4a)는 흡입 튜브(4)의마우스피스(mouthpiece)를 형성하는 근접 단부(8)를 포함한다. 외부 슬리브(4b)는 말단부(7)를 포함하고 흡입 튜브(4)를 상부 트레이(15)에 힌지 결합시키고 블리스터 팩 조립체(5) 내부에 흡입 튜브(4)의 위치를 제공하는 가이드 아암(17)을 포함한다.
도7은 블리스터 팩(12)의 단면도이다. 블리스터 팩(12)은 네 개의 평행한 행 내에 배열된 복수의 블리스터(13)를 갖는다. 각각의 블리스터(13)는 분말화된 약제의 1회 복용량(도8 및 도10에 도시됨)을 유지한다. 블리스터 팩(12)은 복수의 공동(19)을 포함하는 하부 기부(18) 및 하부 기부(18)에 봉합된 상부 박막 층(20)을 포함한다. 분말화된 약제를 오염시키거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공동(19) 내부의 습기의 침입이 없거나 매우 적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블리스터(13) 주위의 최적의 최소 봉합 거리가 존재한다. 공동(19)의 연부로부터 인접한 공동(19)의 연부 또는 블리스터 팩(12)의 절단 연부까지의 봉합 거리 "d"는 통상적으로 2 mm 이상이어야 한다. 이러한 최소 봉합 거리를 고려하여, 블리스터(13)의 주어진 수에 대하여 블리스터 팩(12)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블리스터 팩(12)는 또한 블리스터(13)의 각각의 측면 상의 흡입 튜브(4)의 가이드 아암(17)의 관통을 허용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박막 층(20) 및 하부 기부(18)는 블리스터 팩(12)의 제조 과정에서 절단되어야만 한다. 블리스터 팩(12)이 적절한 형태의 슬롯을 블리스터 팩(12)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절단될 수 있지만, 박막 및 기부 재료의 절단부의 제거에는 복잡성이 존재한다. 제거되지 않는 모든 절단부는 공동 내부로 낙하하여 블리스터 상부에 안착하거나 박막의 기부 재료에 대한 봉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슬롯이 박막 및 기부 재료로부터 절단된다면, 블리스터 팩(12)의 전체 크기는 2 mm의 최소 봉합 거리 "d" 및 슬롯의 추가적인 폭을 고려하면 증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블리스터 팩(12)에는 박막 층(20) 및 하부 기부(18)를 스코어링함으로써 단순하게 형성된 슬릿(21)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2 mm의 최소 봉합 거리 "d"가 블리스터 팩(12)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달성될 수 있다.
슬릿의 관통이 사용자에 의한 힘을 거의 요구하지 않도록 가이드 아암(17)이 구성되지만, 삽입은 최소 봉합 거리 "d"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슬릿(21)의 폭을 증가시키기도록 스코어링된 박막 및 기부 재료의 대향 연부를 하방으로 접철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슬릿(21)의 대향 연부의 선택적인 접철은 도10 및 도41에서 파악될 수 있다. 이와달리, 가이드 아암(17)은 그들이 슬릿(21)보다 좁은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11 내지 도23을 참조하여 흡입 튜브(4)의 세부 구성이 기술될 것이다. 도11에서 흡입 튜브의 몸체(4a)가 도시된다. 몸체(4a)는 흡입 튜브의 근접 단부를 형성하는 마우스피스(8)를 포함하고 대향 단부에서 절단 메커니즘(22)을 포함한다. 테이퍼된 채널(23)은 마우스피스(8)로부터 절단 메커니즘(22)까지 연장된다.
절단 메커니즘(22)은 공동(19)의 상부에서 박막 층(20)을 관통하고 사용자가 마우스피스(8)를 통하여 분말화된 약제를 들숨(breathing in)에 의하여 흡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도12는 도11의 X-X 방향의 단면도이고 공동(19) 내부로부터 주 공기 유동으로의 추가적인 공기 유동을 허용할 통과 구멍(24)을 도시한다. 도13 및 도14는 흡입 튜브 몸체(4a)의 추가적인 모습을 도시한다. 절단 메커니즘(22)은 절단 날(25) 및 절단 날(25)의 하나의 측면 상의 플런저(plunger) 날을 포함한다. 절단 날(25)은 박막 층(20)을 실제로 관통할 것이나, 반면 플런저 날(26)은 분말화된 약제를 위한 명확한 통로를 생성하고 모든 분말화된 약제가 공동(19)으로부터 흡입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절단 박막을 밀어버리도록 작동한다.
흡입 튜브(4)의 외부 슬리브(4b) 및 탄성 스트립(6)의 세부 사항은 도17 내지 도23에서 파악될 수 있다.
몸체(4a)는 흡입 튜브(4)를 형성하는 외부 슬리브(4b) 내부에 삽입된다(도5 및 도6 참조). 탄성 스트립(6)은 일 단부에서 흡입 튜브(4)의 말단부(7)로의 고정된 결합부(27)를 갖고 운반구 상의 흡입 튜브(4)의 힌지 지점으로의 대향 단부 위치의 상부 트레이(15)로 갈고리(28)에 의하여 결합 가능하다(도3 및 도24 참조). 탄성 스트립(6)의 길이가 이러하여 흡입 튜브(4)가 힌지 아암(29) 상에 놓이고 갈고리(28)가 상부 트레이(15) 내의 리세서(30) 내에 위치될 때, 탄성 스트립(6)은 원호형으로 상부를 향하여 굴곡된다. 탄성 스트립(6)이 이러한 구조는 흡입 튜브(4)가 힌지 아암(29) 상에서 상승되도록 한다. 그러나, 탄성 스트립(6)은 흡입 튜브(4)가 힌지 상에서 외부 케이스(2)가 닫힐 때 상부 트레이(15)에 대향하여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놓일 위치 내부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다.
도18 및 도19에서 가이드 아암(17)과 탄성 스트립(6)의 추가적인 세부가 관찰 가능하다. 탄성 스트립(6)은 탄성 스트립(6)에 좁은 "T" 형 단면을 제공하는 돌출 스파인(31)을 갖는다. 돌출 스파인(31)은 탄성 스트립(6)의 하부 측면 상에 있고 탄성 스트립(6)이 상부 트레이(15)의 표면으로부터 호형상으로 이격되는 것을 보장하는 기능을 한다. 탄성 스트립(6)의 호형상화는 스트립이 제조되는 플라스틱 재료의 성형 후의 수축 효과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타성 스트립(6)이 사용 중에 상부 트레이(15) 내에서 쉽게 비틀리거나 슬롯 및 구멍을 방해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기능을 하는 고정 결합체(27)에 인접한 두꺼워진 부분(32)도 존재한다.
이제, 흡입 튜브(4)의 외부 슬리브(4b) 상의 가이드 아암(17)의 세부를 도시하는 도20 내지 도23을 참조한다.
도20에서 가이드 아암(17)의 외부 표면이 도시된다. 이 표면은 상부 트레이(15) 상의 힌지 아암(29) 상에서 회동한다. 흡입 장치의 이러한 구성에서, 힌지 아암(29)에는 스터드(33)가 제공되며, 가이드 아암(17) 각각에는 협동 구멍(34)이 제공된다. 힌지 아암(29) 상의 가이드 아암(17)의 위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가이드 아암(17)은 가이드 아암(17)의 외부 연부로부터 구멍(34)으로 연장된 얕은 탬퍼링 채널(35)을 갖는다. 채널(35)은 흡입 장치의 각각의 사용 후에 힌지 아암(29) 상에 흡입 튜브(4)를 재위치시키는데 기여한다. 양호하게는, 스터드(33)는 구멍(34)에 스냅 맞춤된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 아암(17)에는 상부 트레이(15) 및 하부 트레이(!6) 내의 슬롯에 스냅 맞춤되도록 구성된 두 개의 버튼(36)이 제공된다(도31 내지 도37을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됨).
도21은 외부 슬리브(4b)의 도18의 X-X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흡입 튜브 몸체(4a) 내의 통과 구멍(24)과 함께 정렬된 통과 구멍(37)이 관찰될 수 있다.
도23은 도21의 X-X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며 가이드 아암(17)의 내부 표면을 도시한다. 탄성 스트립(6)의 외부 슬리브(4b)로의 고정 결합체(27)는 도22에 도시된다.
도24내지 도26은 운반구(14)의 상부 트레이(15)를 도시한다. 평면도에서, 블리스터 팩(12) 내의 상응하는 블리스터(13) 및 슬릿(21)과 함께 정렬되도록 구성된 구멍(38) 및 슬롯(39)의 행이 관찰 가능하다(도7 참조).
탄성 스트립(6) 상의 갈고리(28)는 흡입 장치가 조립될 때 리세스(30) 내부로 억지끼워맞춤 되도록 의도된다. 화살 형상은 일단 리세스(30) 내부로 끼워지면 갈고리(28)의 제거를 억제하여 흡입 튜브(4)가 블리스터 팩 조립체(5)에의 결합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갈고리(28)의 세부의 기술을 위하여, 도38 및 도39가 이후에 참조될 것이다. 그러나, 리세스(30)는 흡입 튜브(4)가 이동의 제약 없이, 특히 블리스터 팩(12)의 단부에 놓인 블리스터가 갈고리(28)가 유지된 곳에 이를 때 모든 블리스터(13)를 관통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데 필요한 갈고리(28)의 비틀림 및 측방향 동작을 허용할 것이다. 갈고리(28)의 비틀림 동작은 접촉점 주위로 비틀리면서 갈고리(28)가 대향하여 지탱하는 리브(48, 도38 및 도39 참조) 때문에 발생한다. 리세스(30)의 각각의 측면 상에 외부 케이스(2) 상의 푸쉬 버튼 잠금 메커니즘(3)과 협동 작용하는 잠금 슬롯(40)이 있다. 도25는 도24의 X-X 방향에서의 단면도이고, 도26은 도24의 A 방향에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슬롯(39)은 흡입 튜브(4) 상의 가이드 아암(17)이 쉽게 관통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그러나, 가이드 아암(17) 상의 버튼(36)은 일단 블리스터(13)가 절단 블레이드(25) 및 플런저 블레이드(26)에 의하여 관통되면 흡입 튜브(4)가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슬롯(39) 내에 스냅 맞춤된다(도31 내지 도37 참조).
이제, 하부 트레이(16)를 도시하는 도27 내지 도30을 참조한다. 하부 트레이(16)는 블리스터 팩(12)이 삽입된 때 상부 트레이(15)와 함께 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부 트레이(15)의 주변에서 자리잡은 복수의 가이드 핀(41)은 하부 트레이(16) 내의 상응하는 슬리브(42) 내에 스냅 맞춤된다.
하부 트레이(16)에는 상부 트레이(15) 내의 슬롯(39)과 블리스터 팩(12) 내의 슬릿(21)에 상응하는 슬롯(43)이 제공된다. 가이드 아암(17)은 블리스터 팩(12)의 하부 기부(18) 및 박막 층(20)을 관통한 후에 슬롯(43)으로 삽입될 것이다. 도28에서, 슬롯(43)이 하부 트레이(16)의 표면(45)으로부터 연장하는 슬롯 주위의 벽(44)에 의하여 제공되는 깊이를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벽(44)은 가이드 아암(17)이 상부 트레이(15) 내로 정확하게 삽입되고 흡입 튜브(4)가 사용자에 의한 분말화된 약제의 흡입 중에 운반구(14) 내에서 직립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하부 트레이(16) 내의 슬롯(43)의 마련으로, 하부 트레이(16)의 깊이는 만일 하부 트레이가 고체라면 보다 얕아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 깊이는 하부 트레이(16)의기부 재료의 두께에 의하여 증가되어야 할 것이다. 명백히, 흡입 장치의 크기 또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어떠한 구조적인 특징도 장치를 보다 이롭게 그리고 사용자에게 친숙하게 한다.
도27의 Y-Y 방향 단면도인 도29에서, 블리스터 팩(12)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는데 기여하는 직립 리지(46)가 관찰될 수 있다. 그러나, 리지(46)는 또한 흡입 튜브(4)가 블리스터(13)를 관통할 때 블리스터 팩(12)을 위한 지지물을 제공한다. 각각의 블리스터(13)는 두 개의 리지(46)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블리스터 팩(12)이 조립 중에 운반구(14) 내부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보장한다. 상부 트레이(15)의 하부 트레이(16)로의 결합은 상호 잠금 핀(41, 도24 및 도25 참조) 및 슬리브(42, 도27 참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 점에서, 블리스터 팩(12)이 상부 트레이(15)와 하부 트레이(16) 사이에서 조립될 때 상호 잠금 핀(41) 및 슬리브(42) 주위에 위치한 "U" 형 리세스(47)가 제공되는 도5의 블리스터 팩(12)을 참조하여야 한다. 하부 트레이(16)에는 또한 하부 트레이(16) 내부의 블리스터 팩(12)의 정확한 위치를 보장하는 가이드 핀(49)이 제공된다. 조립 중에, 블리스터 팩(12)은 전형적으로 처음에 하부 트레이(16) 내에 위치되므로 블리스터 팩(12)을 정확하게 위치시킴으로써 하부 트레이(16) 상에서 상부 트레이(15)를 조립하는 다음 단계를 상대적으로 문제 없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핀(49)은 정확한 위치를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블리스터 팩(12)을 유지하기 위하여 갈고리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30은 슬롯(43) 및 리지(46)의 세부를 도시하는, 도27의 Z-Z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31 내지 도37은 흡입 튜브(4)가 블리스터(13)를 관통할 때 사용 중인 흡입 장치를 도시한다.
도31은 흡입 튜브(4)가 블리스터 팩(12)의 우측으로부터 제2 행 내의 제1 블리스터(13)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의 흡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제, 탄성 스트립(6)은 흡입 튜브(4)가 블리스터 팩 조립체(5)에의 결합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32는 구멍(38) 및 인접한 슬롯(39) 중 하나에 삽입된 흡입 튜브(4)를 갖는 상부 트레이(15)의 부분적인 평면도이다. 도33의 확대도에서, 흡입 튜브(4)의 마우스피스 및 흡입 튜브(4)를 통하여 절단 블레이드(25)까지 이르는 추가적인 세부가 관찰 가능하다.
도34, 도35 및 도36은 도32 및 도33의 각각 A-A, B-B, C-C 방향에서의 상이한 단면도이다. 단면도는 흡입 튜브(4)가 어떻게 상부 트레이(15), 블리스터 팩(12) 및 하부 트레이(16)를 관통하는 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도37은 사용자가 공동(19)의 내용물을 비우도록 흡입할 시의 흡입 장치로의 공기 유동 및 도36에 상응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34 및 도35에서, 흡입 튜브(4)가 마우스피스를 통한 사용자에 의한 흡입 중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가이드 아암(17) 상의 버튼(36)이 어떻게 상부 트레이(15) 및 하부 트레이(16) 내부로 끼워지는 지가 명백히 드러난다. 흡입 후에, 흡입 튜브(4)는 슬롯(43) 내에 끼워진 버튼(36)의 저항을 약간 극복함으로써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블리스터(13)가 관통될 때 공기 유동(A, 도37 참조)을 허용하는 흡입 튜브(4)와 상부 트레이(15)의 표면 사이에 공기 간격이 존재하도록 흡입 튜브(4)가 구성되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절단 메커니즘(22)을 포함하는 흡입 튜브(4)의 말단부(7)는 블리스터(13)의 관통 중에 절단 메커니즘(22)과 상부 트레이(15) 내의 구멍(38)의 주변 사이에 공기 간격이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블리스터 팩 조립체(5)는 상부 트레이(15)의 하부 표면과 공기 유동(B, 도37 참조)을 허용하는 블리스터 팩(12) 사이에 공기 간격이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공동(19)으로의 공기 유동(A) 및 공기 유동(B)은 사용자에 의한 내용물의 흡입을 용이하게 한다.
도38 및 도39는 블리스터 팩 조립체(5) 내에 위치될 때의 탄성 스트립(6) 상의 화살표 형상 갈고리(28)의 확대된 세부를 도시한다. 도38은 갈고리(28)가 리세스(30) 내에 어떻게 유지되는 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8의 E 방향에서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39에서, 갈고리(28)는 상부 트레이(15) 바로 아래에 유지되는 것으로 관찰된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갈고리(28)는 리세스(30) 내부에서 측면에서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흡입 튜브(4)가 블리스터에서 블리스터로 이동할 때 비틀릴 수 있다. 비틀림 동작은 갈고리(28)가 접촉점 주위로 회동하면서 대향하여 지탱하는 리브(48)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40은 블리스터 팩(12)이 상부 트레이(15)와 하부 트레이(16) 사이에 어떻게 위치되는지를 보여주는 블리스터 팩 조립체(5)를 통한 확대된 단면도이다. 슬릿(21)은 박막 층(20)과 하부 기부(18)를 스코어링함으로써 형성되었다.
도41에서, 대체 블리스터 팩(12)은 슬릿(21)이 접철되거나 하방으로 밀려서 전술된 최소 최적 봉합 거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슬릿을 보다 넓게 하는 곳에서 도시된다. 접철된 슬릿(21)과 함께, 가이드 아암(17)에 의한 블리스터 팩(12)의 관통이 보다 쉬워진다. 도42는 접철된 슬릿(21)을 도시하는 도41의 블리스터 팩(12)의 사시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43 및 도44를 참조한다. 이 점에서, 블리스터 팩 조립체(105)가 제1 실시예의 것과 실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43 및 도44는 사용자가 쉽게 흡입 튜브(104)를 잡을 수 있도록 흡입 튜브(104)를 블리스터 팩 조립체(105)로부터 상승시키기 위한 대체 바이어싱 수단을 도시한다. 흡입 장치(201)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요소, 즉 외부 케이스(102), 상부 트레이(115), 블리스터 팩(112) 및 하부 트레이(11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트레이(115)가 외부 케이스(102)에 고정된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하부 트레이(116) 및 블리스터 팩(112)는 블리스터 팩(112)이 교체될 필요가 있을 때 외부 케이스(102)의 밖으로 활주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지 블리스터 팩 조립체(105) 상의 힌지(129) 상에서 회동 가능한 스프링 유지 요소(106)를 포함하는 흡입 튜브 상승 수단에만 관련된다. 유지 요소(106)는 하부 트레이(116) 상의 유지 요소(106)의 회동점에 결합된 스프링(106a)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격된다. 도44는 흡입 튜브(104), 블리스터 팩(112), 하부 트레이(116)및 스프링 유지 요소(106) 만의 분해도이다. 흡입 장치(101)는 외부 케이스(102)가 개방되자 마자 흡입 튜브(104)가 블리스터 팩 조립체(105)로부터 상승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흡입 튜브(104)는 양호하게는 가요성 코드(106b)에 의하여 유지 요소(106)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 때문에, 사용자는 흡입 튜브(104)를 잃어버리지 못할 것이다. 흡입 튜브(104)는 마우스피스를 형성하는 근접 단부(108) 및 블리스터 팩(112) 내에서 블리스터를 관통하는 절단 요소를 운반하는 말단부(107)를 갖는다.
이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45 내지 도48을 참조한다. 이 점에서, 블리스터 팩 조립체(205)는 제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주요한 차이는 흡입 튜브(204)가 외부 케이스(202) 상에 제거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는 점이다.
흡입 장치(201)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요소, 즉 외부 케이스(202), 블리스터 팩 조립체(205, 도5에 도시된 형태의 블리스터 팩을 갖는 운반구를 포함) 및 흡입 튜브(204)를 포함한다. 주요한 차이가 힌지 메커니즘에 있기 때문에,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다른 특성부에 대한 특정 참조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도45 및 도46을 참조하면, 이제 흡입 튜브(204)의 가이드 아암(217)이 외부 케이스(202)의 뚜껑(209) 내에 성형된 리세스의 각각의 측면 상에 놓인 힌지 아암(229) 상에서 회동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진다. 각각의 힌지 아암(229)에는 흡입 튜브(204)의 가이드 아암(217) 상의 구멍(234)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스터드(233)가 제공된다(도48a 및 도48b 참조). 힌지 아암(229) 상의 흡입 튜브(204)의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가이드 아암은 구멍(234)까지 연장되는 얕은 테이프링 채널(235)를 갖는다. 스터드(233)는 구멍(234) 내에 스냅 맞춤되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 아암(217)에는 버튼(236b)이 위치된 가요성 다리부(236a)가 제공된다. 가요성 다리부(236a) 및 버튼(236b)은 제1 실시예의 두 개의 버튼(36)에 대한 대체적인 배열이다(도20 참조). 특정한 재료의 사용시, 블리스터 팩 조립체(5) 내의 흡입 튜브(4)의 반복되는 삽입 및 후퇴는 버튼(36)을 마모시켜 스냅 맞춤 작동을 감소시키므로, 튜브(4)가 블리스터 팩 조립체(5) 내에 위치할 때 안정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제3 실시예의 가요성 다리부(236a)는 조정될 탄성력을 허용함으로써 이러한 잠재적인 문제점을 극복하도록 시도한다. 또한, 가요성의 이러한 증가는 흡입 튜브(204)가 블리스터 팩 조립체(205) 내에 삽입될 때 스냅 작동을 또한 향상시키는 보다 큰 버튼(236b)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만일 가이드 아암(217)이 만들어지는 재료가 힌지 아암(229)이 만들어지는 재료와 동일하다면, 스터드(233) 및 구멍(234)도 뚜껑(209) 내의 흡입 튜브(204)의 스냅 작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다 커질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추가적인 차이점은 도47에서 관찰 가능하다. 이 도면에서, 외부 케이스(202)는 닫히며 흡입 튜브(204)는 블리스터 팩 조립체(205) 및 뚜껑(209)에 인접하게 놓인다. 탄성 스트립(206)은 스트립이 제조될 때 미리 형성되는 몇몇의 웨이브(200)를 갖는다. 웨이브(200)는 탄성 스트립(206) 상에 인장력이 존재할 때만 웨이브가 완전히 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45 참조). 미리 형성된 웨이브(200)의 마련은 흡입 튜브(204)가 갈고리가 블리스터 팩 조립체(205) 내의 리세스(230) 내에 수용되는 곳에 인접한 영역 내의 블리스터를 관통하는 것을 보장하고, 탄성 스트립(206)이 엉키거나 사용자에 의한 흡입 장치의 부드러운 작동이 방해되는 위험을 감소시킨다[탄성 스트립(6)이 블리스터 팩 조립체(5)로부터 단순히 호형상으로 이격되는 도31의 제1 실시예와 비교].
사용 중에 외부 케이스(202)가 개방되면, 탄성 스트립(206)은 이러한 길이를 가지므로 뚜껑(209)이 완전히 개방될 때 흡입 튜브(204)는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뚜껑(209)으로부터 당겨질 것이다. 예컨대,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어서 힌지 아암(229)으로부터 흡입 튜브(204)를 제거하고 가이드 아암(217)을 블리스터 팩 조립체(205) 내부로 삽입한다.
본 발명의 단지 세 개의 양호한 실시예가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장점을 제공할 흡입 튜브를 위한 상승 수단의 다양한 변형이 구상될 수 있다.

Claims (26)

  1. 흡입에 의하여 분말화된 약제를 투약하기 위한 흡입 장치이며,
    약제가 사용자에 의한 흡입에 이끌리는 흡입 튜브와,
    블리스터 팩 및 블리스터 팩을 운반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튜브는 하우징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블리스터 팩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말단부 및 사용자가 흡입하는 근접 단부를 갖는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장치는 사용을 위하여 준비된 때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 내부로 흡입 튜브를 이동시키는 바이어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바이어싱 수단은 흡입 튜브의 하우징으로의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바이어싱 수단은 흡입 튜브를 하우징 표면으로부터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블리스터 팩을 위한 운반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흡입 튜브의 말단부는 운반구 상에 제거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바이어싱 수단은 연장 탄성 부재이며, 이것의 일 단부는 흡입 튜브에 결합되고 다른 단부는 운반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흡입 장치가 운반구에 인접하게 놓일 수 있는 제1 위치로부터 흡입 튜브가 운반구로부터 상승되는 제2 위치까지 힌지 상의 흡입 튜브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스트립의 길이를 따라 중심으로 연장되는 돌출 스파인과 함께 구성된 스트립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흡입 튜브에 결합된 탄성 부재의 단부는 두꺼워진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갈고리 구조에 의하여 운반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갈고리 구조는 블리스터 사이에서 흡입 튜브의 전달 중에 흡입 튜브의 측방향 및/또는 비틀림 동작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탄성 부재를 운반구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바이어싱 수단은 운반구 상의 힌지의 일부를 형성하는 스프링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는 흡입 튜브가 운반구에 인접하게 놓일 수 있는 제1 위치로부터 흡입 튜브가 운반구로부터 상승되는 제2 위치까지 힌지 상의 흡입 튜브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힌지는 흡입 튜브의 말단부와 협동 작용하기 위한 유지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흡입 튜브는 가요성 연장 부재에 의하여 유지 요소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6. 제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 튜브 및 운반구를 유지하기 위한 외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외부 케이스는 사용자가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 작동에 대향하여 외부 케이스를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와 외부 케이스가 닫힐 때 흡입 튜브가 운반구에 인접하게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외부 케이스 및 블리스터 팩을 운반하는 운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흡입 튜브의 말단부는 외부 케이스 상에 제거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바이어싱 수단은 연장 탄성 부재이며, 이것의 일 단부는 흡입 튜브에 결합되고 다른 단부는 운반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흡입 튜브가 외부 케이스에 인접하게 놓일 수 있는 제1 위치로부터 흡입 튜브가 외부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제2 위치까지 힌지 상의 흡입 튜브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장력 하에서 펴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미리 형성된 웨이브를 갖는 스트립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흡입 튜브에 결합된 탄성 스트립의 단부는 두꺼워진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탄성 스트립은 갈고리 구조에 의하여 운반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갈고리 구조는 블리스터 사이에서 흡입 튜브의 전달 중에 측방향 및/또는 비틀림 동작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탄성 부재를 운반구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바이어싱 수단은 흡입 튜브 상에서 작동하는 스프링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6.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기술된 흡입 장치.
KR1020027007828A 1999-12-21 2000-12-21 흡입 장치 KR200200629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904705A SE9904705D0 (sv) 1999-12-21 1999-12-21 An inhalation device
SE9904705-2 1999-12-21
PCT/SE2000/002650 WO2001045777A1 (en) 1999-12-21 2000-12-21 An inhal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977A true KR20020062977A (ko) 2002-07-31

Family

ID=2041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828A KR20020062977A (ko) 1999-12-21 2000-12-21 흡입 장치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604522B2 (ko)
EP (1) EP1242135A1 (ko)
JP (1) JP2003517895A (ko)
KR (1) KR20020062977A (ko)
CN (1) CN1434732A (ko)
AU (1) AU2568501A (ko)
BR (1) BR0016540A (ko)
CA (1) CA2393819A1 (ko)
CZ (1) CZ20022153A3 (ko)
EE (1) EE200200335A (ko)
HU (1) HUP0300859A2 (ko)
IL (1) IL150206A0 (ko)
MX (1) MXPA02006153A (ko)
NO (1) NO20022921L (ko)
PL (1) PL355813A1 (ko)
SE (1) SE9904705D0 (ko)
SK (1) SK8812002A3 (ko)
TW (1) TW464518B (ko)
WO (1) WO2001045777A1 (ko)
ZA (1) ZA2002042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12347T2 (de) * 1999-10-12 2005-07-28 Shl Medical Ab Inhalator
US7093595B2 (en) 2001-10-08 2006-08-22 Eli Lilly And Company Portable medication inhalation kit
GR1004350B (el) * 2002-03-29 2003-09-26 Συσκευη εισπνοων ξηρης σκονης
US6941947B2 (en) * 2002-12-18 2005-09-13 Quadrant Technologies Limited Unit dose dry powder inhaler
SE527200C2 (sv) * 2003-06-19 2006-01-17 Microdrug Ag Inhalatoranordning samt kombinerade doser av formaterol och fluticason
GB0427028D0 (en) * 2004-12-09 2005-01-12 Cambridge Consultants Dry powder inhalers
WO2007109606A2 (en) * 2006-03-17 2007-09-27 Csp Technologies, Inc. Moisture-tight primary packaging for a dry powder inhaler
EP2534958A1 (en) 2007-12-14 2012-12-19 AeroDesigns, Inc Delivering aerosolizable food products
GB2468471B (en) * 2009-03-06 2011-06-15 Future Technology Medication dispensing cups
FR2962343B1 (fr) * 2010-07-07 2012-08-03 Valois Sas Inhalateur de poudre seche.
CN101912312B (zh) 2010-08-25 2012-08-01 陈启锋 一种舌侧托槽
GB201020638D0 (en) * 2010-12-06 2011-01-19 Liconsa Laboratorios Sa Inhalator
US9364622B2 (en) 2012-04-20 2016-06-14 Fsc Laboratories, Inc. Inhala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AU2013285433A1 (en) * 2012-07-05 2015-01-22 Glaxo Group Limited Inhaler device
USD735316S1 (en) 2013-03-11 2015-07-28 Fsc Laboratories, Inc. Inhalation spacer
USD747793S1 (en) * 2014-07-22 2016-01-19 Slim Fit, LLC Inhaler
KR20170102261A (ko) * 2015-01-08 2017-09-08 컨벡시티 사이언티픽 엘엘씨 분무기 장치 및 저장고
AU2016247914B2 (en) * 2015-04-15 2020-06-18 Philip Morris Products S.A. Dry powder inhaler and method of use
USD901002S1 (en) * 2019-08-13 2020-11-03 Convexity Scientific Inc. Nebuliz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8531A1 (de) * 1985-05-23 1986-11-27 Dieter Dipl.-Phys. Dr. 8500 Nürnberg Hafner Vorrichtung zur aufbewahrung und zeitlich veranlassten einnahme von arzneimitteln
IT1243344B (it) * 1990-07-16 1994-06-10 Promo Pack Sa Inalatore plurimonodose per medicamenti in polvere
US5896855A (en) * 1992-12-24 1999-04-27 Rhone-Poulenc Rorer Limited Multi dose inhaler apparatus
US5533502A (en) 1993-05-28 1996-07-09 Vortran Medical Technology, Inc. Powder inhaler with aerosolization occurring within each individual powder receptacle
US5349947A (en) * 1993-07-15 1994-09-27 Newhouse Michael T Dry powder inhaler and process that explosively discharges a dose of powder and gas from a soft plastic pillow
US5622166A (en) * 1995-04-24 1997-04-22 Dura Pharmaceuticals, Inc. Dry powder inhaler delivery system
US5669973A (en) * 1995-06-06 1997-09-23 David Sarnoff Research Center, Inc. Apparatus for electrostatically depositing and retaining materials upon a substrate
US5642727A (en) * 1995-07-25 1997-07-01 David Sarnoff Research Center, Inc. Inhaler apparatus using a tribo-electric charging technique
DK0995457T3 (da) * 1995-12-07 2004-08-16 Jago Res Ag Mundstykke til inhalator til flere dosisvise afgivelser af farmakologisk törpulver
DE19616536C2 (de) 1996-04-25 2000-01-27 Wernicke & Co Gmbh Verfahren und Brillenglasrandschleifmaschine zum Formschleifen des Umfangsrandes von Brillengläsern und ggf. zum anschließenden Facettenschleifen
CA2250031C (en) 1996-04-25 2006-03-28 Alfred Von Schuckmann Inhaler
DE19619536A1 (de) * 1996-04-25 1997-10-30 Alfred Von Schuckmann Inhalier-Vorrichtung
AU720813B2 (en) 1996-04-25 2000-06-15 Astrazeneca Ab Inhaler
GB9626233D0 (en) * 1996-12-18 1997-02-05 Chawla Brinda P S Medicament packaging and deliveery device
DE19757207A1 (de) 1997-12-22 1999-06-24 Alfred Von Schuckmann Vorrichtung zum Leersaugen pulverenthaltender Kavitäten
DE19757208A1 (de) * 1997-12-22 1999-06-24 Alfred Von Schuckmann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JP2003522549A (ja) 1997-12-22 2003-07-29 アストラゼネカ・アクチエボラーグ 吸入装置
SE9800897D0 (sv) * 1998-03-17 1998-03-17 Astra Ab Inhal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9904705D0 (sv) 1999-12-21
US20020134383A1 (en) 2002-09-26
SK8812002A3 (en) 2003-04-01
ZA200204205B (en) 2003-08-27
NO20022921L (no) 2002-08-20
AU2568501A (en) 2001-07-03
EE200200335A (et) 2003-08-15
CA2393819A1 (en) 2001-06-28
HUP0300859A2 (en) 2003-07-28
PL355813A1 (en) 2004-05-17
CN1434732A (zh) 2003-08-06
NO20022921D0 (no) 2002-06-18
JP2003517895A (ja) 2003-06-03
TW464518B (en) 2001-11-21
BR0016540A (pt) 2002-09-24
MXPA02006153A (es) 2002-12-05
EP1242135A1 (en) 2002-09-25
WO2001045777A1 (en) 2001-06-28
US6604522B2 (en) 2003-08-12
IL150206A0 (en) 2002-12-01
CZ20022153A3 (cs)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2977A (ko) 흡입 장치
US6637431B2 (en) Inhalation device employing blister packs with cavities and alignment slits
EP0063599B1 (en) Powder inhalation device
RU2351369C2 (ru) Ингалятор смесей на одну дозу в капсулах
ES2633785T3 (es) Inhalador
EA008792B1 (ru) Ингалятор
US20100083962A1 (en) Dispenser for pulverulent substances
EP3071272B1 (en) Inhaler device
JP5118650B2 (ja) 流体ディスペンサ装置用のマウスピース
CN211096765U (zh) 一种干粉吸入器
KR102631314B1 (ko) 흡입기 디바이스
EP4295877A1 (en) Inhalation device
CZ20002344A3 (cs) Zařízení pro inhalování práškových láte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