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825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825A
KR20020062825A KR1020020003804A KR20020003804A KR20020062825A KR 20020062825 A KR20020062825 A KR 20020062825A KR 1020020003804 A KR1020020003804 A KR 1020020003804A KR 20020003804 A KR20020003804 A KR 20020003804A KR 20020062825 A KR20020062825 A KR 20020062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electrode
common
voltage
selec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7269B1 (ko
Inventor
타카하시히로유키
마쯔토토시미쯔
키시노아키후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62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81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pass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22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3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92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passive matr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STN방식등의 패시브 매트릭스형의 액정표시장치의 교류화타이밍구동에 따른 소비전력증대를 억제한다. 커먼전류의 주사기간에 이 커먼전극에 선택전압을 인가하여 또한 그 이외의 기간에 비선택전압을 인가하여 구동되는 액정표시장치에서, 본 발명은, 커먼 전극 n의 주사기간에서 여기에 이어서 커먼전극 m의 주사기간으로 이행하는 기간에 커먼전극 n과 m을 일단 쇼트하고 커먼전극 n의 주사기간으로 선택전압의 인가에 의해 커먼전극 n으로 저장된 전하를 커먼전극 m의 충전에 이용하는 스위칭 회로를 설치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셀선택을 위한 구동전력을 저감한 액정표시장치 및 구동방식에 관한 것이다.
STN(Super Twisted Nematic)방식의 액정판넬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그 화소구동신호 즉 액정판넬의 각 셀(Cell)을 선택하기 위한 구동신호는 선택신호(주사신호)인 세그먼트 신호(Segment Signal) 와 표시데이터(Display Data)를 나타내는 세그먼트신호로 이룬다. 이들 구동신호는 상호 전위가 주기적으로 반전하는 소위 교류화신호로서 공급된다.
도 14는 STN 방식에 대표되는 패시브 매트릭스형(Passive Matrix type)의 액정판넬의 구동방식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 액정판넬(LCD)은 도의 좌우방향으로 복수형성된 커먼전극(COM)과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세그먼트전극(SEG)의 교차부에 화소 즉 셀을 형성하고 있다.
각 커먼전극(COM)은 커먼주사회로에서 주사신호(커먼신호)가 인가되어 각 세그먼트전극(SEG)은 세그먼트 주사회로에서 표시신호(세그먼트신호)가 인가되고, 양전극의 교차부에 설치된 화소에 표시시킨다. 제어회로(CONT)는 외부입력단자에서 공급되는 표시신호, 제어신호 및 전원에 의거하여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커먼주사회로(COND)와 세그먼트 주사회로(SEGD)에 소요신호를 전달한다.
도 15A, 15B, 15C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STN방식의 액정판넬의 구동파형(Driving Waveform)의 설명도이고, 도 15A는 셀을 구성하는 커먼전극(COM)과 세그먼트전극(SEG)의 전극 배치구조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15B와 15C는 구동신호의 파형도이다.
또한, 도 16은 도 15B의 구동파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17은 도 15C의 구동파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5A에 나타난 전극배치에 있어서, 액정판넬의 각 셀은 80개(1행 ~ 80행)의 커먼전극(COM 1, COM 2, ...., COMn, COMn+1, ...COM80)과, 384개의 세그먼트전극(SEG 1, SEG 2, ...SEGm, SEGm+1, ....SEG 384)로 이루어진다.
예를들면 인접하는 커먼전극(COMn, COMn+1)에 주목하면, 도 15B에 나타난 종래의 구동파형(1)에서는 커먼전극(COMn, COMn+1)에 인가되는 구동신호는 상호 독립하고 있다.
즉, 임의의 타이밍으로 제 n행의 커먼전극(COMn)이 선택되고, 다음 타이밍으로 제 n+1행의 커먼전극(COMn+1)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커먼전극(COMn)은 선택전압에서 비선택전압으로 커먼전극(COMn+1)은 비선택전압에서 선택전압으로 절환된다.
도 15B에 나타나는 구동파형(1)을 출력하는 도 16에 나타나는 출력회로에 있어서, Va는 제어회로(CONT)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레벨전압(하이레벨), Vb는 동일하게 제 2 레벨전압(로우레벨), ca 1, ca 2, .... caN은 커먼전극선택신호, SWa 1과 SWb 1, SWa 2와 SWb 2,.... SWaN과 SWbN은 각각 커먼전극(COM1, COM 2,....COMn...으로 출력 ct1 ~ ctN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스위치(Analog Switch)쌍을 나타낸다.
또한, 도 15A에서는 커먼전극을 COM1, COM2, ....COMn, COMn+1,... COM80으로 하여 나타내었지만, 여기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커먼전극은 1 ~ n으로 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커먼전극(COMn)은 도 14의 커먼전극(COMn, n+1, ....80)을 대표하여 나타내는 것이 된다.
아날로그 스위치쌍 SWa 1과 SWb 1, SWa 2와 SWb 2,.... SWaN과 SWbN은 제어회로(CONT)에서 출력되는 제 1 레벨전압(Va) 제 2 레벨전압(Vb) 및 커먼전극선택신호(ca 1, ca 2, ...caN)를 입력하여 출력신호(ct 1 ~ ctN)를 대응하는 커먼전극(1 ~ n)으로 인가한다.
이와같은 전압의 순차절환을 하는 경우에, 예를들면 도 15B에 있어서의 선택된 커먼전극(COMn)의 전압레벨과 커먼전극(COMn+1)의 전압레벨은 상호 역극성을 이루고 있다. 이 절환시점에 있어서 커먼전극(COMn)의 전하는 대체로 방전된 상태를 이루고, 커먼전극(COMn+1)은 커먼전극(COMn)의 전압레벨에 의존하는 경우 없이 비선택레벨에서 선택레벨로 소요전하가 충전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충전동작을 위하여 전류가 소비되고 액정판넬에 불필요한 소비전력이 발생된다.
상기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 1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환시에 인접하는 커먼전극(COMn, COMn+1)을 쇼트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도 17은 커먼전극의 절환의 타이밍으로 인접하는 커먼전극을 쇼트하기 위하여 도 15C에 나타난 구동방식의 회로도이다.
도 17안에서 swc 1 ~ swcN은 아날로그 스위치, cb 1 ~ cbN은 아날로그 스위치(swc 1 ~ swcN)를 제어하는 단락신호, 도 16과 동일부호는 동일기능부분으로 대응한다.
상기 방식에서는 도 1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재 선택된 커먼전극을 비선택으로 하고, 다음 커먼전극을 비선택상태에서 선택상태로 할 때, 아날로그 스위치(swc 1 ~ swcN)에 의해 현재 선택되고 있던 커먼전극과 다음 선택된 커먼전극을 쇼트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한 것에 의해, 인접하는 커먼전극을 평균전하로 보유유지할 수 있고, 다음에 선택되는 커먼전극에 대한 충전전류가 저감되어, 저전력화가 달성된다. 또한, 상기한 출력회로의 상세한 동작은 일본국 특개평11-194314호 공보에 개시가 있다.
본 종류의 액정판넬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해당하는 액정판넬에 직류전압을 부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인가전압을 교류화할 필요가 있다. 도 18은 종래기술의 교류화구동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구동파형도이다. 도 안에서 FLM은 프레임신호(Frame Signal), M은 교류화신호(Alternatio Signal), CL 1은 래치펄스(Latching Pulse) 도 15와 동일 부호는 동일부분에 대응한다.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래치펄스(CL 1)의 타이밍으로 임의의 커먼전극이 선택되고,이 선택타이밍으로 임의의 커먼전극과 여기에 인접하는 별도의 커먼전극(임의의 커먼전극의 다음에 선택되는 커먼전극)이 쇼트된다.
예를들면, 래치펄스(n)의 타이밍으로 커먼전극(COMn-1, COMn)을 단락(쇼트), 래치펄스(n+1)의 타이밍으로 커먼전극(COMn, COMn+1)을 단락하면 소비전력이 증가해버린다.
아날로그 스위치에 있어서의 스위치시간이 제로가 아닌 경우에 의거하여, 단락할 때 양측의 아날로그 스위치가 함께 온 된 경우가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나타난 출력회로의 구성에서는 교류화(Alternation)에 의한 극성의 변화시에도 다음에 선택되는 커먼전극고의 사이를 단락하지만, 해당하는 커먼전극에 의한 주사행에 관해서 주시하면 인가해야할 전압의 역방향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되고, 소비전류이 저감효과를 억제해버린다. 이 점이 해결해야할 과제의 하나이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커먼선택신호의 절환신호에 있어서, 스위치작용을 매개하여 인접하는 커먼전극단자(커먼단자)를 연속하여 인접하는 커먼전극의전하를 평균전하로 보유유지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레벨전압에서 다음에 선택되는 커먼전극에 대해서 공급되는 충전전류를 대략 절반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액정에 대한 인가전압을 교류화 한 경우, 그 교류화타이밍에 있어서의 처리에 관해서 충분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소비전력의 저감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출력회로의 스위치동작에 필요한 시간에 있어서의 과도적 소비전류의 발생이 염려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는 해결되지 않고 있던 하기 2점의 과제를 해소한것이다. 즉, ① 커먼출력부(커먼전압출력회로)를 구성하는 한쌍의 CMS스위치소자등으로 구성되는 아날로그 스위치의 스위칭시간이 0이 아닌것에 기인하여, 상기 스위치소자의 양자가 과도적으로 동시에 온되는 것에 의한 소비전력이 증대하는 것. ② 액정판넬로의 인가전압은 교류인 것에 의한 해당교류화 타이밍으로 소비전력이 증대하는 것.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 스위치의 동작시간을 고려하여 셀 선택을 위한 구동전력을 또한 저감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액정층을 끼우는 한쌍의 기판의 한쪽에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예를들면, nN개의)커먼전극을 배설하고, 또한 이 한쌍의 기판의 타방향으로 제 1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세그먼트전극을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액정판넬과, (b) 상기 복수의 커먼전극의 각각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커먼전압출력부를 갖추는 커먼드라이버와,
(c)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전극의 각각에 표시데이터에 대응 하는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세그먼트전압 출력부를 갖추는 세그먼트 드라이버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먼드라이버에 이하의 기능을 가진다.
기능 1 :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전극에 데이터신호가 인가되는 기간에서, 상기 복수의 커먼전극의 각각으로 순차선택기간을 할당하여, 상기 주사신호로서 비선택전압이 인간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커먼전극의 하나로 선택전압을 인가한다. 복수의 세그먼트전극에 데이터신호가 인가되는 기간은 주사기간으로도 호칭되며, 이 기간에 있어서, 예를들면 해당하는 복수의 세그먼트전극의 화상표시에 기여하는 각각에 상기 데이터신호를 일괄하여 공급한다. 선택기간의 할당에는 예를들면, 소정의(nM행의 .... 1nM nN) 커먼전극을 선택하는 커먼전극선택신호를 외부회로에서 커먼드라이버에 입력하여 실행한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커먼전극 선택신호는 후 기술하는 CAM으로서 예시되지만, M은 상기 복수의 커먼전극을 순차선택하는 공정(상기 액정판넬동작)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커먼전극이 선택되는 순위(시간적인 순위)를 나타내는 수(2 이상의 자연수)이고, 해당하는 복수의 커먼전극의 배치(해당하는 액정판넬에 있어서의 공간적인 혹은 기하학적인 배치)에 있어서의 해당하는 소정의 커먼전극의 위치(예를들면, 상기 nM행)와 필히 대응하는 값은 아니다. 상기 주사기간내에 커먼전극의 각각을 선택하는 선택기간이 N회(N은 자연수)의 경우, 상기 자연수(M)는 N이하도 된다.
기능 2 : 상기 복수의 커먼전극가운데 상기 소정의 커먼전극(이하, M번째의 선택기간(시간적인 순위)이 할당되는 nM번째(공간적인 위치)의 커먼전극으로 기입)으로 상기 주사신호의 인가를 M번째의 선택기간이 개시되는 제 1 시간으로 비선택전압의 인가를 멈추고, 상기 제 1 시각후의 제 2 시간에서 선택전압의 인가를 개시하고, 상기 M번째의 선택기간이 종료하는(제 2 시각후의) 제 3 시각에서 해당 선택전압의 인가를 멈추고, 또한, 상기 제 3 시각후의 제 4 시간에서 비선택전압의 인가를 개시하는 순서로 실행한다. 비선택전압(Vm으로서 후기술)을 액정층에 전계를인가하여 여기에 빛을 투과시키는 노멀·블랙(normally black)형의 액정표시장치의 예로 기입하면, 상기 비선택전압이 인가된 커먼전극와 상기에 대향하는 세그먼트전극으로 끼워진 액정층은 차광상태가 되고, 상기 액정층에 대응하는 화소는 소위 흑색표시가 된다. 상기에 대해서, 선택전압이 커먼전극으로 인가되면 여기에 대향하는 세그먼트전극으로 끼워진 액정층은 투광상태가 되고, 이 액정층에 대응하는 화소는 예를들면 백색표시가 된다. 선택전압에는 상기 비선택전압에서 전위가 낮은 전압(VL로서 후기술)과 상기 비선택전압보다 전위가 높은 전압(VH로서 후기술)이 있고, 이들중 어느하나를 하기복수의 커먼전극의 각각에 소정의 간격(INTERVAL)으로 상호 인가해가는 것에 의해 액정층의 분극등에 의한 쇠화를 방지한다.
기능 3 : 상기 비선택전압에 대한 상기 M번째의 선택기간의 선택전압과 상기 M번째보다 전 M'번재의 선택기간(M'은 자연수로, 1M'<M을 만족한다)이 할당되는 nM1번째의 커먼전극에 인가된 선택전압과의 극성을 비교한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M번째의 선택기간의 선택전압과 상기 M'번째의 선택기간의 선택전압이 상기 비선택전압보다 함께 낮은(예를들면, 모두 VL이다) 경우 또는 상기 비선택전압보다 함께 높은(예를들면, 함께 VH이다)경우, 쌍방의 선택전압은 동일한 극성인것으로 정의하고, 상기 M번째의 선택기간의 선택전압의 한쪽이 상기 비선택전압보다 낮고 또한 다른방향이 해당하는 선택전압보다 높은(예를들면 한쪽이 VL로 다른쪽이 VH이다)경우, 쌍방의 선택전압은 역의 극성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M번째보다 전 M'번째의 선택기간을 특정하는 M'은 상기 기술의 M과 동일하게 상기 복수의 커먼전극을 순차선택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nM1번째의 커먼전극이 선택되는 시간적인 순위를 나타내는 수(자연수)이고, 해당하는 복수의 커먼전극의 액정판넬에 있어서의 공간적인 배치에 있어서의 해당하는 소정의 커먼전극의 nM1번째(자연수)는 반드시 대응하지는 않는다. 액정표시장치뿐아니라, 유기 EL소자와 전계방출형 전자원을 이용한 패시브 매트릭스구동방식에 의한 표시장치 일반에 있어서, 상기 자연수 M'는 상기 자연수 M보다 작은 임의의 수치를 취득하지만, 액정표시장치에 한정해보면 상기 자연수 M'은 상기자연수 M과, 「M'=M-1」이 되는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상기 자연수 M'를 자연수(M-1)로 치환하여, 본 발명을 액정표시장치로서 바람직한 적용예로 하여 기술하지만, 이후의 자연수(M-1)를 자연수 M'으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자연수 nM1도 자연수 nM-1로서 이후 표기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커먼전극이 nM개의 커먼전극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자연수 nM1는 「1nM1 nM」가 되는 범위의 임의의 값을 취득하지만,기능 1의 설명에 기입하는 바와 같이, 커먼전극간의 선택기간의 시간적 순위와 표시소자안의 기하학적인 배열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nM1과 nM와의 대소관계도, nM-1과 nM과의 대소관계도 일정하게 결정되지 않는다.
기능 4 : 기능 3에 의한 비교에 있어서, 상기 M번째의 선택기간의 선택전압과 상기(M-1)번째의 선택기간의 선택전압이 동일한 극성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커먼전극 출력부의 상기 nM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것과 상기 nM1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것을 상기 제 1 시각과 상기 제 2 시각과의 사이에 있어서 단락시킨다.
기능 5 : 기능 3에 의한 비교에 있어서, 상기 M번째의 선택기간의 선택전압과 상기(M-1)번째의 선택기간의 선택전압이 역의 극성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제 1 시각과 상기 제 2 시각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커먼전극출력부의 상기 nM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것과 상기 nM-1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것을 단락시키지 않는다.
이상의 기능에 특징이 부여되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M번째의 선택기간이 할당되는 nM번째의 커먼전극으로의 선택전압의 공급은, 상기를 선택하는 커먼전극 선택신호가 발생하는 상기 제 1 시각후 상기 제 2 시각으로 개시된다. 또한, 상기 nM번째의 커먼전극으로의 선택전압의 공급은 상기를 선택하는 상기 커먼전극선택신호가 사라지는 상기 제 3 시각후의 상기 제 4 시각으로 종료한다. 그런데,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기능 4에 의해, nM번째의 커먼전극으로 공급되는 선택전압과 그 전의 선택기간으로 nM-1번째의 커먼전극에 인가된 선택전압과의 극성이 동일한 경우, 그 선택기간이 종료한 nM-1번째의 커먼전극으로 존재하는 전하를 상기에 접속되는 커먼전압출력부(후 기술의 ct 1 ~ ct N의 하나, 여기에서는 ct(M-1)로 기입)와 nM번째의 커먼전극으로 접속되는 커먼전압출력부(후 기술의 ct 1 ~ ct N의 다른 하나, 여기에서는 ctM으로 기입)를 단락(쇼트)시켜 처리한다. 이때, 커먼전압출력부(ct(M-1))과 커먼전압출력부(ctM)의 각각의 전위는 상기 선택전압과 상기 비선택전압과의 평균값가지 변화한다. 따라서, nM번째의 커먼전극에는 해당평균값분의 전위에 상당하는 전하가 nM-1번째의 커먼전극에서 미리 공급된다. 이로 인하여, nM-1번째의 커먼전극에서 불필요한 전하는 nM번째의 커먼전극의 충전에 유효하게 활성화되고, 이와 같이 충전된 분만큼 nM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셀(화소)를 선택할 때에 소비되는 전력이 저감된다. 또한, 커먼전압출력부(ct(M-1))와 커먼전압출력부(ctM)과의 단락은 예를들면, 쌍방의 커먼전압출력부를 단락하는 단락선을 설치하고 이 단락선에 스위치소자(후 기술의 swcM)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기능 5에 의해 nM번째의 커먼전극으로 공급되는 선택전압과 그 전의 선택기간으로 nM-1번째의 커먼전극으로 인가된 선택전압과의 극성이 역의 경우, 커먼전압출력부(ct(M-1))과 커먼전압출력부(ctM)는 단락시키지 않는다. 이것은, 쌍방의 단락에 의해 nM번째의 커먼전극의 전위를 nM-1번째의 커먼전극의 선택전압과 비선택전압과의 평균값까지 변동시킨 경우, nM번째의 커먼전극의 전위를 그 선택기간에 있어서 그 선택전압으로 설정할 때, 해당 평균값의 변동분을 메우기위한 전하공급이 다시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이유는 nM번째의 커먼전극으로 고읍해야할 선택전압이 커먼전극에 전하로서 전자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와는 역의 극성을 가지는 nM-1번째의 커먼전극의 선택전압이 커먼전극에 전하로서 정공(正孔,positive hole)을 공급하는(커먼전극의 전자밀도를 저감한다)것으로부터 설명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 5도 nM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한 셀선택에 있어서 소비되는 전력의 저감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nM번째의 커먼전극의 선택개시시각(상기 제 1 시각)에 대해서, 상기에 전원선에서 선택전압을 인가하는 시각(상기 제 2 시각)을 소정의 시간분만큼 지연시켜, 상기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 nM번째의 커먼전극으로 별도의 커먼전극에서 전하를 도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nM번째의 커먼전극의 선택 종료시각(상기 제 3 시각)에 대해서, 상기에 전원선으로부터 비선택전압을 인가하는 시각(상기 제 4 시각)을 소정의 시간분만큼 지연시켜, 상기에 잔류한 전하를 상기 소정의 시간별로 커먼전극으로 분배한다. 이로 인하여, nM번째의 커먼전극의 선택신호(CAM)와는 별도로, 소정의 간격으로 지연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에 의해 상기 제 2 시각에 있어서, nM번째의커먼전극과 선택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접속하고, 상기 제 4 시각에 있어서 nM번째의 커먼전극과 비선택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접속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경우, 상기 제어신호(후 기술의 CAM-)을 nM번째의 커먼전극의 선택신호를 지연시켜 발생시키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커먼전압 출력부간을 단락하는 단락선에 설치된 스위치소자를 도전시키는 제어신호(후 기술의 CAM'...여기에 기입되는 M'는 상기 기술의 자연수 M'와는 다르다)와 차단시키는 제어신호(후기술의 CMA")를 nM번째의 커먼전극의 선택신호를 지연시켜서 발생시켜도 용이하다. 상기의 3종류의 제어신호는 nM번째의 커먼전극의 선택신호(CAM)의 출력부의 후단으로 지연 회로블록을 3단 배치하여, 그 1단째의 출력에서 단락선의 스위칭소자를 도전시키는 제어신호(CAM')를, 그 2단째의 출력에서 단락선의 스위칭소자를 차단시키는 제어신호(CAM")를, 그 3단째의 출력에서 nM번째의 커먼전극의 선택신호(CAM)와 AND조건을 취하는 것에 의해 상기와 선택전압의 전원선과의 사이를 도전시켜 또한, 해당선택신호(CAM)와 NOR(NOTOR)조건을 취하는 것에 의해, 상기와 비선택전압의 전원선과의 사이를 도전시키는 제어신호(CAM-)를 각각 인출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신호를 간소한 회로구성으로 또한 정밀도 높게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기술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어느하나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를 커먼전극으로 인가하는 선택전압의 극성을 그 비선택전압애 대해서 반전시키면서 동작시키는 소위 교류화타이밍구동시의 소비전력을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 비하여 격단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결과,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를 전지용량이 작은 휴대전화기와 휴대정보단말등에 재치하는 것에 의해, 이들의 충전시간에 대응 하는 동작가능시간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휴대전화기를 예로 취하면, 동일한 충전용량과 동일한 대기시간(제품의 보증치)을 가지는 제품을 종래보다 미소한 경량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으로 기술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nM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커먼전압출력부와 상기 nM1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 하는 커먼전압출력부가, 상기 제 1 시각후로 또한, 상기 제 2 시각전의 시간으로 단락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nM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커먼전압출력부와 상기 nM-1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커먼전압출려구를 단락하는 기간이, 상기 제 3 시각후에서 또한, 상기 제 4 시각전의 시각으로 종료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커먼전압출력부간의 단락개시의 타이밍을 제 1 시각 또는 제 3 시각보다 지연시켜, 커먼전압출력부간의 단락종료의 타이밍을 제 2 시간 또는 제 4 시각보다 빠르게 하는 것에 의해, 커먼전극 출력부와 선택전압 또는 비선택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선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위치소자의 개폐타이밍의 불시의 지연에 의한 해당전원선으로의 노이즈전압혼입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액정판넬에 있어서, 상기 nM번째의 커먼전극과 상기 nM-1번째의 커먼전극을 인접하도록(공간적으로)배치하여도, 상기 nM번째의 커먼전극과 상기 nM-1번째의 커먼전극을 격리하여 배치하여도 용이하다. 상기의 경우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기능 1 및 기능 3의 설명에 있어서, nM번째의 커먼전극 및 nM-1번째의 커먼전극을 예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복수의 커먼전극의 각각의 선택기간의 순위는 상기 공간적인 배치의 순서에 구속되지 않는 것에 의거한다. 또한, 상기 nM번째의 커먼전극과 상기 nM-1번째의 커먼전극을 격리하여 배치한 구성은 커먼드라이버로서 빗장형(toggle형) 드라이버를 채용한 액정표시장치등에 있어서 실시된다.
이상, 그 개요를 기술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기술의 구성 및 후 기술하는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일탈하는 경우 없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의 전체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는 커먼출력회로에 구비되는 커먼전압출력부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는 커먼출력회로의 동작파형도이다.
도 4 는 도 3에 나타난 파형을 생성하는 회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교류화구동에 있어서, 커먼전극을 적정한 타이밍으로만 쇼트할 경우의 파형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커먼출력회로에 구비되는 커먼전압출력부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7 은 도 5에 나타난 파형을 생성하는 회로도이다.
도 8 은 도 7의 회로의 동작파형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출력부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10 은 도 9의 회로의 동작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11 은 교류화구동에 있어서 커먼전극을 적당한 타이밍으로서 쇼트할 경우의 파형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에 나타난 액정표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4 는 STN방식의 액정판넬의 구동방식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5A, 15B, 15C 는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STN방식의 액정판넬의 구동파형의 설명도이고, 도 15A는 STN방식의 액정판넬의 전극구조의 일례를, 도 15B 및 도 15C는 도 15A의 전극배치에 있어서의 구동파형의 각각의 예를 나타낸다.
도 16 은 도 15B의 구동파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7 은 도 15C의 구동파형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8 은 종래기술의 교류화구동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구동파형도이다.
<주요부위를 나타내는 도면부호의 설명>
LCD : 액정판넬
COM(COM 1 …COM 2 …, COMN, COMN+1…) : 커먼전극
SEG(SEG 1, SEG 2 …SEGM, SEGM+1…) : 세그먼트전극
D-C : 커먼 드라이버 DSS 스캔데이터발회로(주사신호발생회로)
LS : 레벨시프터 CD : 커먼측 액정구동회로,
DD : DC/DC 컨버터 COP : 커먼전압출력회로
D-S : 세그먼트 드라이버
I/F : 인터페이스 회로(마이크로 컴퓨터 인터페이스)
GR : 그래픽RAM GSL : 계조생성회로
SDS : 세그먼트측 액정구동회로 SOP : 세그먼트전압 출력회로SOP
이하,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의 전체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안에서, LCD는 액정판넬이고, 복수의 커먼전극(COM(COM 1, ...COM2.., COMN, COMN+1...)과 복수의 세그먼트전극(SEG(SEG 1, SEG 2, ..SEGM, SEGM+1....)을 포함한다.
커먼전극(COM)을 구동하는 커먼드라이버(D-C)는 스캔데이터 발생회로(주사신호 발생회로)(DSS), 레벨시프터(LS), 커먼측 액정구동회로(CD) 및 DC/DC 컨버터(DD)로 구성된다. 커먼측 액정구동회로(CD)는 커먼전압출력회로(COP)를 가진다.
세그먼트전극(SEG)을 구동하는 세그먼트드라이버(D-S)는 외부호스트(마이크로 컴퓨터, 마이컴으로 약기)에서 입력되는 컨트롤 신호, 데이터(표시데이터) 및 전원을 받는 인터페이스회로(마이크로 컴퓨터· 인터페이스, 마이컴 ·인터페이스로 약기) I/F와, 그래픽 RAM(GR)과, 계조생성회로(GSL)와, 세그먼트측 액정구동회로(SDS)를 포함한다. 세그먼트측 액정구동회로(SDS)는 세그먼트전압출력회로(SOP)을 가진다.
커먼드라이버(D-C)의 DC/DC 컨버터(DD)는 외부입력의 전원전압에서 커먼드라이버(D-C)와 세그먼트 드라이버(D-C)에 필요한 전원전압을 생성한다. 마이컴 인터페이스(I/F)에서 생성된 타이밍신호는 세그먼트드라이버(D-S) 및 커먼 드라이버(D-C)로 이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커먼출력회로에 구비되는 커먼전압출력부의 회로구성도이고, 도 3은 그 동작파형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파형을 생성하는 회로도이다. 도한, 이하의 기술에 있어서의 원의 숫자는 도 3에 있어서의 동일 원의 숫자로 나타난 타이밍에 대응 한다.
도 2 ~ 도 4에 있어서, Va는 선택전압, Vb는 비선택전압, caM은 스캔데이터발생회로(DS)에서 발생되는 M행의 커먼전극 선택신호이다. 상기 커먼 전극선택신호(caM)는 도 4에 있어서의 지연회로(도안의 지연으로 표시)에 있어서, M행의 커먼전극의 선택개시타이밍에 맞추어 지연신호(caM', caM", caM-)를 발생한다.
상기의 지연신호 및 커먼전극선택신호(caM)를 도 4의 AND, NOR 및 NAND회로를 통하여 지연한 레벨선택제어신호(caMa, caMb, cbM)로서 출력시킨다.
레벨선택제어신호(caMa, caMb, cbM)는 각각, 커먼측 액정구동회로(CD)의 커먼전압 출력회로(COP)에 입력되고(예를들면 M=2의 경우, ca2a, ca1b, cb2에 준한다), (M-1)행의 커먼전극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ca(M-1)a가 하이레벨(High)이 되어 swa(M-1)만 온되고, (M-1)행의 커먼전극에 전압(Va)(=High:하이레벨)이 인가된다. 그 외의 커먼전극에 관해서는, caMb(여기에서는 M=1~N, 단 상기(M-1)를 제외한다)이 하이레벨이 되어 각각으로 대응하는 swbM이 온상태가 되고, 전압(Vb)=(Low ; 로우레벨)이 인가된다.
예를들면 (M-1)=1로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①래치펄스(CL 1)(도 5)가 M행(상기(M-1)행으로 인접하는 특정행)을 선택하면, 커먼전극선택신호(caM)이 도 1의 레벨시프터(LS)에 입력된다. 레벨시프터(LS)에서는, 우선 로우 레벨로 전환한 상기 지연된 레벨선택제어신호(caMb)가 swbM을 오프하지만, 커먼전극의 전위는 각각(M-1)행을 선택할 때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 때, 커먼전극 선택신호(ca(M-1))에 의해 지연출력(ca(M-1)a)가 로우레벨로 전환하고, swa(M-1)을 오프한다.
다음으로, ②하이레벨로 전환한 지연한 레벨선택제어신호(cbM)이 swcM을 온하고, (M-1)행의 커먼전극의 전하는 M행의 커먼전극으로 서서히 유입하고, 상호 소정전위에 위치한다.
그리고, ③지연한 레벨선택제어신호(caM")에 의해 cbM이 로우레벨로 되돌아가 swcM을 오프하여 잠정행(M-1) 및 M행의 커먼전극의 전위는 임의의 레벨을 유지한다. 다음으로 ④하이레벨로 전환한 caMa에서 swaM을 온하고, M행의 커먼전극에는 전압(Va)이 인가되는 한편, 대략 동일한 타이밍으로 지연출력(ca(M-1)b)이 하이레벨로 전환하여 swb(M-1)를 온하고, (M-1) 행의 커먼전극에는 전압(Vb)이 인가된다.
상기 ①,③에 있어서, 전원레벨이 절환되는(M-1)행, M행의 커먼전극을 일단 전원에서 절연하여 오프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전극에 복수의 전원이 동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교류화구동에 있어서 커먼전극을 적당한 타이밍으로 쇼트할 때의 파형도이고, 상기 도 18에서 설명한 교류화구동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타이밍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은 커먼출력회로에 구비되는 커먼전압출력부의 회로구성도이고, 도 7은 도 5에 나타난 파형을 생성하는 회로도, 도 8은 도 7의 그 동작파형도이다.
도 5에 있어서, FLM은 프레임신호, M은 교류화신호(커먼전극 극성 선택신호), CL 1은 래치펄스, COM 1, COM 2 ~ COMn-1, COMn, COMn+1, COMn+2는 액정구동전압(커먼전극 구동전압)이다.
상기 타이밍파형에서는 액정구동회로에 설치되는 래치를 2단계로 하여, 교류화의 극성이 변화하지 않을 때에는 인접하는 커먼전극(도안의 COM 1과 COM 2, COMn-1과 COMn)을 쇼트하는 것에 의해 2개의 행전위를 평균화한다. 한편, 교류화의 극성이 변화할 때에는 인접하는 커먼전극(도안의 COMn+1과 COMn+2)을 쇼트하지 않는다.
도 7에 있어서, 도 1의 스캔데이터 발생회로(DSS)에서 발생되는 M행의 커먼전극 선택신호(caM)는 레벨시프터(LS)로 설치된 지연회로에서 M행의 커먼전극선택개시 타이밍을 맞추어 지연신호(caM', caM", caM-)를 발생한다.
커먼전극 극성선택신호(M)는 도 7에서는 플립플로우(FF)에서 지연신호의 타이밍을 정렬한다. 또한, 플립플로우(FF)를 대신하여 동일기능의 회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연신호(caM', caM", caM-)와 커먼전극 극성선택신호(M) 및 커먼전극 선택신호(caM)를 AND, OR, 배타적반전(OR)을 통하여 레벨선택제어신호(caMH, caMm, caML, cbM)를 각각 출력시킨다.
레벨선택제어신호(caMH, caMm, caML, cbM)는 각각 도 1의 커먼측 액정구동회로(CD)에 설치된 커먼전압출력회로(COP)(도 6에 회로구성을 나타낸다)에 입력되고, (M-1)행의 커먼전극이 선택되어 있어 M행의 커먼전극이 하이레벨의 경우, ca(M-1)H가 하이레벨이 되어 swH(M-1)만 온상태가 되고, (M-1)행의 커먼전극으로 VH가 인가되어, 그외의 커먼전극에 관해서는 caMm(여기에서는, M=1 ~ N, 단(M-1)을 제외한다)이 하이레벨이 되어 각각으로 대응하는 swmM이 온상태가 되고, 전압(Vm)이 인가된다.
이하, 도 7에 나타난 회로의 동작파형을 도 8에 원숫자로 나타낸 각각의 타임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각의 타이밍에 대응하는 동작파형은 도 8에 나타난 원내의 숫자에서 특정된 타이밍에 따라서 설명된다. 도 8에 있어서, ①래치펄스(CL 1)(도 5)가 M행(상기 (M-1)행으로 인접하는 특정행)을 선택하면, 커먼전극 선택신호(caM)이 레벨시프터(LS)에 입력된다. 레벨시프터(LS)에서는, 우선 로우레벨로 전환한 레벨선택 제어신호(caMm)이 출력되어 swmM을 오프하지만, 커먼전극의 전위는 각각(M-1)행을 선택한 경우와 동일한 전위로 유지된다. 이때, 커먼전극 선택신호(ca(M-1))에 의해 지연된 레벨선택제어신호(ca(M-1)H)가 로우레벨로 전환하고,swH(M-1)을 오프한다.
②다음으로 하이레벨로 전환한 지연된 레벨선택제어신호 cbM이 swcM을 온하고 (M-1)행의 커먼전극의 전하는 M행의 전극으로 서서히 유입하고, 상호 소정전위로 위치한다.
③지연된 레벨선택제어신호(caM")에 의해 cbM이 로우 레벨로 되돌아가 swM을 오프하여 잠정시간(M-1)행 및 M행의 커먼전극의 전위는 임의레벨을 유지한다.
④다음으로 하이레벨로 전환한 caMa이 커먼전극 극성선택신호가 하이레벨이므로, swHM을 온하고, M행의 커먼전극에는 전압(VH)이 인가된다. 한편, 동일한 타이밍으로 ca(M-1)m이 하이레벨로 전환하여 swm(M-1)을 온하고, (M-1)행의 커먼전극에는 전압(Vm)이 인가된다.
⑤래치펄스(CL1)가 (M+1)행(상기 M행으로 인접하는 특정행)을 선택하면, 커먼선택신호(ca(M+1))가 레벨시프터(LS(도 1))에 입력된다. 레벨시프터(LS)에서는, 우선 로우레벨로 전환한 ca(M+2)m를 오프하지만, 커먼전극전위는 각각 M행을 선택한 경우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⑥⑦은 차례로, 지연출력(ca(M+1))이 하이레벨로 전환하지만, 커먼전극극성 선택신호(M)가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cb(M+1)는 로우레벨의상태이다.
⑧다음으로, 하이레벨로 전환한 ca(M+1)H가 커먼전극 극성선택신호(M)가 로우레벨이므로, swL(M+1)을 온하고, (M+1)행의 커먼전극은 VL이 인가된다. 한편, 대략 동일한 타이밍으로 caMm이 하이레벨로 전환하고, swmM을 온하고, M행의 커먼전극에는 전압(Vm)이 인가된다.
상기 기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커먼전극으로의 출력(ctM(M=1 ~ N))으로 각각 설치되고 또한, 그 출력 ctM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 1 레벨(하이레벨 : 선택전압(Va))과 제 2 레벨(로우레벨 : 비선택전압(Vb))과의 사이에서 절환하는 아날로그 스위치소자(swaN(N=1 ~ N)와 아날로그 스위치소자(swbN(N=1~N)로 이루어지는 쌍을 포함하는 제 1 스위치회로와, 이들 출력 ctM간에 각각 설치되고 또한, M행의 커먼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이, 제 1 레벨과 제 2 레벨과의 사이에서 절환되면서 상기 M행의 커먼전극을 일단 전원에서 절연하여 오프하는 아날로그 스위치소자(swcN(N= 1 ~ N)를 포함하는 제 2 아날로그 스위치회로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커먼전극의 하나로 복수의 전원이 동시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특정의 임의의 커먼전극간을 쇼트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교류화를 이용한 교류화타이밍구동에서 발생하는 소비전력증대가 억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출력부의 회로구성도이고, 도 10은 그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고, 도 11은 교류화구동에 있어서, 커먼전극을 적정한 타이밍으로 쇼트할 때의 파형도이다.
도 9에 나타난 출력회로는 입력하는 제 1 레벨전압(하이레벨)(VH)및 제 2 레벨전압(로우레벨)(VL)의 각각에 아날로그 스위치(swcc(H), swcc(L))가 직렬로 삽입되고, 온-오프제어신호(cc)로 제 1 레벨전압(VH)과 제 2 레벨전압(VL)을 상호 절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출력(ct 1 ~ ctN)은 한쌍의 아날로그 스위치(swH 1, swL 1 ~ swHN, swLN)로 이루어지는 제 1 아날로그 스위칭회로와, 각각의 출력에 대해서 각 한쌍의 아날로그 스위치로 배열하여 설치된 아날로그 스위치(swm)로 이루어지는 제 2 아날로그 스위치회로를 각각 구비한다.
도 10에 있어서의 caM은 도 1의 스캔데이터발생회로(DSS)에서 발생되는 M행의 커먼전극 선택신호이다. 우선 ①ca(M-1), cc가 하이레벨의 타이밍에서는, ca(M-1)H가 하이레벨이고, (M-1)행의 커먼전극 출력(ct(M-1))에는 VH가 출력되고 있다.
②래치펄스(CL 1)(도 5 참조)가 (상기(M-1))에 인접하는 특정행을 선택하면, 커먼레벨제어신호(caMm)이 로우레벨로 전환하여 swmM이 오프하지만, 커먼전극의 전위는 각각(M-1)행을 선택할 때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때, VH, VL의 온-오프제어신호(cc)가 로우레벨로 전환하고, swcc(H), swcc(L)는 오프하지만, 역시 커먼전극의 전위는(M-1)행을 선택할 때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③다음으로, 하이레벨로 전환한 caMH가 swHM을 온하는 것으로, 출력 ct(M-1)와 출력ctM이 VH레벨의 버스(도 9)로 접속된다. 상기 접속에 의해 (M-1)행의 커먼전극의 전하는 M행의 커먼전극으로 서서히 유입하고 상호 소정전위에 위치한다.
④다음으로, ca(M-1)H가 로우레벨로 전환하고, swH(M-1)를 오프한다. 잠정적으로는 (M-1)행, M행의 커먼전극의 전위는 임의 레벨을 유지하지만, ⑤온-오프제어신호(cc)가 하이레벨로 전환하고, swcc(H), swcc(L)이 온한다. VH레벨의 버스에 VH전원이 접속되므로, 출력(ctM) 즉 제 M행의 커먼전극에 전압(VH)이 인가된다.
또한, ca(M-1)m이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전환하고, 제 (M-1)행의 커먼전극에는 전압(Vm)이 인가된다.
⑥래치펄스(CL 1)가 (M+1)행(상기 M행으로 인접하는 특정행)을 선택하면, 커먼레벨제어신호(ca(M+1)m)가 로우레벨로 전환하여 swM(M+1)이 온하지만, 커먼전극의 전위는 각각 M행을 선택할 때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때, VH, VL의 온-오프제어신호(cc)가 로우레벨로 전환하고, swcc(H), swcc(L)은 오프하지만, 역시 커먼전극의 전위는 M행을 선택할 때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⑦다음으로, 커먼전극 극성선택신호(M)가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전환한 것에 의해, caMH가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전환하여 swHM을 오프하는 것으로, 출력(ctM)은 VH레벨의 버스와의 접속이 이탈되지만, 제 M행의 커먼전극의 전위는 제 M행으로 선택한 경우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⑧다음으로, ca(M+1)L이 하이레벨로 전환하고, swL(M+1)을 온하는 것으로 출력(ct(M+1))은 VL레벨의 버스와 접속되지만, VL레벨의 버스에는 또한, 전원이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 (M+1)행의 커먼전극의 전위는 제 M행을 선택할 때와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다.
⑨온-오프제어신호(cc)가 하이레벨로 전환하고, swcc(H), swcc(L)가 온한다.VH레벨의 버스에 VL전원이 접속되므로, 출력ct(M+1) 즉 제 (M+1)행의 커먼전극에 전압(VL)이 인가된다.
또한, caMm이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전환하고, 제 M행의 커먼전극에는 전압(Vm)이 인가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교류화구동에 있어서, 커먼전극을 적당한 타이밍으로 쇼트할 때의 상기 도 5와 동일한 파형도이고, 상기 도 10에서 설명한 교류화구동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타이밍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교류화의 극성이 변화하지 않을때에는 인가전압을 변경하는 커먼전극간을 쇼트하지만(도안의 COM 1과 COM 2, COMn-1과 COMn, COMn+1과 COMn+2), 극성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쇼트하지 않는다(도안의 COMn과 COMn+1). 상기에 부가되어, 적정선에서 선택전압의 인가기간을 단축하는 것에 의해(도안의 COMn, COMn+1), 각행에서 인가하는 실효치전압을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류화에 따르는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소비전력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로, 도 13은 측면도이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휴대전화기용의 표시수단으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프레임체(몰드)(MLD)에 수용되고, 그 액정판넬(LCD)가 표시화면으로서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로의 표시데이터 및 구동에 필요한 전원은 플렉시블 프린트기판(FPC)을 매개하여 미도시의 호스트컴퓨터측에서 공급된다. 부호(CNT)는 호스트컴퓨터측의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이다.
플렉시블 프린트기판(FPC)은 액정표시장치의 이면에 배치한 미도시의 프린트기판에 설치된 커넥터(CN)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프린트기판에는 상기한 커먼전압출력부를 가지는 커먼드라이버와 세그먼트 드라이버를 구성하는 구동IC와 각종 부품EP이 실장되어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휴대전화기의 소비전력의 저감이 실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판넬을 구성하는 커먼전극의 특정의 임의의 전극을 쇼트하는 것으로, 특히 교류화타이밍구동에서의 교류화에 따른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소비전력 증대를 억제하고, 전지용량이 작은 휴대전화기와 휴대정보단말등의 동작가능 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휴대전화기에서는 동일용량의 동일 대기시간으로, 기기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소수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상기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동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식견범위에 있어서, 상기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변형 및 개선을 허용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고, 따라서, 본원 명세서에 부여된 청구항의 범위는 여기에 표시되고 또한 기재된 상세에 구속되는 경우 없이, 상기와 같은 변형 및 개선도 전부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다.

Claims (5)

  1. 액정층을 끼우는 한쌍의 기판의 한쪽에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커먼전극을 배설하고, 또한 상기 한쌍의 기판의 타방향으로 상기 제 1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세그먼트전극을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액정판넬과,
    상기 복수의 커먼전극의 각각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커먼전압출력부를 갖추는 커먼드라이버와,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전극의 각각에 표시데이터에 대응 하는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세그먼트전압 출력부를 갖추는 세그먼트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상기 커먼드라이버는,
    (a)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전극에 상기 데이터신호가 인가되는 기간에서, 상기 복수의 커먼전극의 각각으로 순차선택기간을 할당하고 또한, 상기 주사신호로서 비선택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커먼전극의 하나로 선택전압을 인가하고,
    (b) 상기 복수의 커먼전극의 M번째의 선택기간(M은 2이상의 자연수)이 할당되는 nM번째의 커먼전극으로의 상기 주사신호의 인가를,
    (i) M번째의 선택기간이 개시되는 제 1 시각에서 상기 비선택전압의 인가를 멈추고,
    (ii) 상기 제 1 시각 후인 제 2 시각에서 상기 선택전압의 인가를 개시하고,
    (iii) 상기 M번째의 선택기간이 종료하는 제 3 시각에서,상기 선택전압의 인가를 멈추고,
    (iv) 상기 제 3 시각후인 제 4 시각에서 상기 비선택전압의 인가를 개시하는 순서로 실행하고,
    (c) 상기 M번째의 선택기간의 선택전압과, 상기 M번째보다 전 (M-1)번째의 선택기간이 할당된 nM-1번째의 커먼전극에 인가된 선택전압과의 각각의 상기 비선택전압에 대한 극성을 비교하고,
    (d) 상기 M번째의 선택기간의 선택전압과, 상기 (M-1)번째의 선택기간의 선택전압이 동일한 극성의 경우,
    상기 제 1 시각과 상기 제 2 시각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커먼전압출력부의 상기 nM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것과 상기 nM-1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것을 단락시키고,
    (e) 상기 M번째의 선택기간의 선택전압과 상기(M-1)번째의 선택기간의 선택전압이 역의 극성의 경우,
    상기 제 1 시각과 상기 제 2 시각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커먼전압출력부의 상기 nM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것과 상기 nM-1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것을 단락시키지 않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nM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커먼전압출력부와, 상기 nM-1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커먼전압출력부는,
    상기 제 1 시각후에서 또는 상기 제 2 시각전의 시각으로 단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nM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커먼전압출력부와, 상기 nM-1번째의 커먼전극에 대응하는 커먼전압출력부를 단락하는 기간은,
    상기 제 3 시각후에서 또는 상기 제 4 시각전의 시각으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액정판넬에 있어서,
    상기 nM번째의 커먼전극과 상기 nM-1번째의 커먼전극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액정판넬에 있어서,
    상기 nM번째의 커먼전극과 상기 nM-1번째의 커먼전극은 격리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2-0003804A 2001-01-24 2002-01-23 액정표시장치 KR100417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15593 2001-01-24
JP2001015593A JP2002221939A (ja) 2001-01-24 2001-01-24 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825A true KR20020062825A (ko) 2002-07-31
KR100417269B1 KR100417269B1 (ko) 2004-02-05

Family

ID=1888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804A KR100417269B1 (ko) 2001-01-24 2002-01-23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47622B2 (ko)
JP (1) JP2002221939A (ko)
KR (1) KR100417269B1 (ko)
TW (1) TW57576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035A (ko) * 2010-10-04 201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표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75854B (en) * 2001-09-19 2004-02-11 Optrex Kk Method for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1414009A1 (en) * 2002-10-24 2004-04-28 Dialog Semiconductor GmbH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for LCD drivers by backplane charge sharing
KR100594274B1 (ko) * 2004-05-11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비 전력을 저감한 수평 ccd 구동회로, 및 이를구비한 고체 촬상 소자 및 그 구동 방법
US20060001914A1 (en) * 2004-06-30 2006-01-05 Mesmer Ralph M Color scanner display
US20080143899A1 (en) * 2006-12-13 2008-06-19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00033416A1 (en) * 2008-08-11 2010-02-11 Powertip Technology Corp. Row-modulation gray-level lcd device and method thereof
JP5724243B2 (ja) * 2010-08-19 2015-05-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駆動装置、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液晶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2484A (ja) * 1988-08-01 1990-02-13 Sharp Corp 表示駆動装置
JP3102666B2 (ja) * 1993-06-28 2000-10-2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100218375B1 (ko) * 1997-05-31 1999-09-01 구본준 전하 재활용을 이용한 티에프티-엘씨디의 저전력 게이트드라이버회로
JPH1130975A (ja) * 1997-05-13 1999-02-02 Oki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及びその駆動方法
JP3150098B2 (ja) * 1998-01-05 2001-03-26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液晶駆動装置
JP2954162B1 (ja) * 1998-05-20 1999-09-27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液晶駆動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035A (ko) * 2010-10-04 201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표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21939A (ja) 2002-08-09
TW575760B (en) 2004-02-11
US20020097209A1 (en) 2002-07-25
US6747622B2 (en) 2004-06-08
KR100417269B1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8543B2 (en) Voltage-supply circuit, voltage-supply method, power-supply circuit, electro-optical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5828367A (en) Display arrangement
US6633287B1 (en) Power supply circuit of an 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circuit of an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of driving an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780057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for implmenting improved inversion driving technique
US7221352B2 (en) Driving method for improving display uniformity in multiplexed pixel
US9646552B2 (en) Display device with a source signal generating circuit
WO1996006421A2 (en) Power-saving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EP0844600B1 (en) Power-saving mode for a liquid crystal device with two display portions
JPH11175028A (ja)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070077759A (ko)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3000992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cd driver
CN101640479B (zh) 升压器电路、显示面板驱动器以及显示装置
JP2008262196A (ja) ガンマ電圧生成回路及び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
KR100417269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00097369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driving circuit
KR100708251B1 (ko) 전압 공급 회로, 전압 공급 방법, 전기 광학 장치 및전자기기
US201101815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bistable nematic dot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US8686930B2 (en) Electro-optical device having odd and even scanning lines for alternately driving odd and even column pixel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716157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5793916A (zh) 电光装置、驱动电光装置的方法,以及电子设备
JP3960043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回路
JP2000002866A (ja) 液晶表示装置の制御方法、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10634451A (zh) 驱动方法及其驱动电路
JP4176423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20100259571A1 (en) Electro-optical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