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268A - 자동방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방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268A
KR20020062268A KR1020020039771A KR20020039771A KR20020062268A KR 20020062268 A KR20020062268 A KR 20020062268A KR 1020020039771 A KR1020020039771 A KR 1020020039771A KR 20020039771 A KR20020039771 A KR 20020039771A KR 20020062268 A KR20020062268 A KR 20020062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gun
fixing means
angular movement
control device
automat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0431B1 (ko
Inventor
최선화
Original Assignee
최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선화 filed Critical 최선화
Priority to KR10-2002-003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0431B1/ko
Publication of KR20020062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35Pressure sprayers mounted on a frame and guided by hand; Spray barrow
    • A01M7/0039Pressure sprayers mounted on a frame and guided by hand; Spray barrow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을 고압 살포하는 분사건에 각운동을 부여하여 농로를 주행하거나 논밭 내부로 들어가 주행하 면서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방제장치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농약살포를 위한 약액 분사건의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일정한 각도로 왕복 각 운동시키기 위한 각운동수단과, 상기한 고정수단 및 각운동수단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이 포함되도록 방제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수단을 분무장치가 장착된 주행체에 고정 설치하고, 고정수단에 분사건을 고정하여 분사건이 왕복 각운동하면서 약액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제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자동방제장치{Automatic sterilizer}
본 발명은 약액을 고압 살포하는 분사건에 각운동을 부여하여 농로 또는 전답안을 주행하면서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자동방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압분무기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제장치는 분무기에 호스를 연결하고, 호스 끝에 분사건을 결합하여 사람이 분사건을 잡고 긴 호스를 직접 끌고 다니면서 분무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작업강도가 매우 높고, 약액에 직접 접촉할 가능성이 항시 존재하여 각종 중독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람이 호스를 끌고 다니면서 방제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매우 낮고, 분무기를 조작하고, 호스를 풀어주거나 감아들이기 위한 사람과 직접 방제를 하는 사람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혼자서 방제작업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승용상태에서 농로 또는 논밭안을 주행하면서 자동으로 방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방제능률을 향상시키고, 운전자 1인에 의해서도 자동 방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노동력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도1은 본발명에 의한 방제장치의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도1의 평면 상태도
도3는 도1의 정면 상태도
도4는 분사건의 상하 경사운동이 가능하게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례도
도5 및 도6은 승용관리기나 차량의 측면 장착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례도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장착상태도
*주요부호의 설명
10.지지수단11.바닥부착구12.지주
13.수평프레임13a.결합부13b.장공
14,볼트15.부착구
20.분사건 고정수단21.축22.수평부재
23.수직부재24.나사축25.분사건 고정구
30.각운동 수단31.모터32.중간풀리
33.벨트34,35.암36.링크
40.상하경사운동 수단41.힌지연결구42.유압실린더
43.제2분사건 고정구44.힌지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농약살포를 위한 약액 분사건의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일정한 각도로 왕복 각 운동시키기 위한 각운동수단과, 상기한 고정수단 및 각운동수단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이 포함되도록 방제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수단을 분무장치가 장착된 주행체에 고정 설치하고, 고정수단에 분사건을 고정하여 분사건이 왕복 각운동하면서 약액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제장치를 제시한다.
분사건 고정수단은 분사건을 일정한 경사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적정살포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수단에 축결합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부재 및 수직부재 단부에 힌지 또는 나사축으로 결합되는 분사건 고정구로 이루어진다.
나사축은 나사를 풀어 경사각을 조절한 후 이를 다시 조여줌으로서 방제조건에 따라 분사건의 각도를 조절하는 작용을 하고, 힌지축은 수직부재의 몸통과 분사건의 전방 일점을 고정하는 별도의 유압실린더에 의해 분무작업중 상하방향의 경사를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근거리와 원거리를 차례로 방제하는데 매우 유용하다.상기한 유압실린더는 수직부재의 몸통부에 힌지로 결합되고, 피스턴헤드에는 힌지결합되는 제2 분사건 고정구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분사건의 손잡이부분과 몸통부 2점을 분사건 고정구로 고정한 상태에서 유입실린더를 상하 행정시키면 자동으로 경사조절이 이루어지며, 수평각운동과 상하 각운동의 동시운동에 의한 방제작업이 가능해지며, 과수원과 같은 수목의 방제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각운동 수단은 분사건에 수평각운동을 부여함으로서 분사건에 일정한 각도 범위로 왕복운동을 부여하여 정해진 각도 범위에서 방제작업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이며, 유압모터나 DC모터등의 회전운동을 각운동으로 변환시켜 분사건고정수단에 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각운동 수단으로 크랭크운동이나 캠운동기구등이 적용될 수 있다.
지지수단은 상기한 각운동수단 및 분사건고정수단을 고정하고, 주행가능한 차체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례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은 트랙터용 분무기 장치대에 설치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방제장치를 도시한 것다.
상기 실시례는 지지수단(10)으로 차체 또는 분무기 장치대등에 부착하기 위한 바닥부착구(11)와, 상기 바닥 부착구에 결합되는 지주(12)와, 상기 지주에 대하여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3)으로 이루어진다.
분사 건 고정수단(20)은 상기한 수평프레임(13)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결합되는 축(21)에 대하여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부재(22)와, 상기 수평부재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부재(23)와, 상기 수직부재의 단부에 나사축(24)으로 결합되는 분사건 고정구(25)로 이루어진다.
분사건 고정구는 상하부에 반원형의 홈을 갖는 밴드 형태로서 분사건(100)을 얹은 후 상부밴드를 결합함으로서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수평부재에 고정된 축(21)은 수평프레임상에서 분사건 고정수단이 자유롭게 축회전되도록 하는 요소로서 상기한 축회전은 각운동수단에 의해 각운동으로 제한된다.
실시례에 의해 표현된 각운동수단(30)은 회전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회전운동을 각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크랭크 운동기구로 이루어진다.
모터(31)는 수평프레임이 결합되는 지주의 반대측에 모터 홀더(31a)를 부착하고, 상기 홀더내에 축이 상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모터 축에는 풀리(31b)를 결합하여 수평프레임의 중간부에서 축지지되는 중간풀리(32)와 벨트(33)로 연결하여 모터의 회전이 중간풀리로 인가되게 하고, 상기 중간풀리에 의해 크랭크 운동이 시작되도록 구성된다.
모터는 DC모터 또는 유압모터가 사용되며, 중간풀리를 연결하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지주(12)와 수평프레임(13)의 결합부(13a)를 " ⊃ " 형태로 하고, 수평방향으로 장공(13b)을 형성하여 볼트(14)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중간 풀리의 상부돌출부 및 수평부재를 고정하는 축(21)에 각기 암(34)(35)을 형성하고, 각각의 암을 축요소에 의해 결합되는 링크(36)로 연결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한 각운동 수단은 모터의 회전이 벨트에 의해 중간 풀리로 전달되어 중간풀리의 상부에 고정된 암을 회전시키며, 중간풀리의 회전운동은 암과 링크에 의해 수평부재를 고정하는 축을 각운동 시키고, 상기 축에 고정된 수평부재에 전달하여 분사건을 수평각운동 시키게 된다.
상기 구조에 의한 실시례는 트랙터의 분무기 장치대나 차량등의 바닥에 고정설치하며, 설치방향을 달리함으로 주행방향의 측면이나 정면 또는 후면등 편리한 방향으로 분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4는 상기 실시례에 있어서, 차량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3발 구조의 거치대(15)를 지주 하부에 설치하고, 분사건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분사건의 상하경사운동수단(40)을 위한 구성은 상기한 분사건 고정수단의 수직부재(23)의 몸통부에 힌지연결구(41)를 형성하여 유압실린더(42)를 결합하고, 유압실린더의 단부에는 힌지결합되는 제2분사건 고정구(43)를 형성하며, 수직부재 상부에 결합된 분사건 고정구는 힌지(44)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은 분사건이 2점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의 상하행정에 따라 분사건 고정구의 축을 중을 중심으로 각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로서 운전석에서의 유압제어에 의해 분사건의 상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수평각운동과 동시에 상하 각운동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실시례는 근거리와 원거리를 순차적으로 방제하거나 수목등의 방제 또는 축사등의 방제시 수평방향 각운동과 수직방향각운동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어 효과적인 방제가 가능해진다.
도5 및 도6은 차량이나 승용관리기 또는 이앙관리기의 측면에 간편히 부착할 수 있는 구조의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시례는 지지수단과 각운동수단을 간편하게 구성한 실시례이다.
상기 실시례에 있어서 지지수단(10)은 수평프레임(13) 측면에 부착구(16)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분사건 고정수단(20)은 수평부재(22)를 " ┗ " 형태로 구성하여 중앙부가 수평프레임의 단부에서 축(21)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부재(22)의 단부에 수직부재(23)를 형성하고 수직부재의 단부에 나사축(24)결합되는 분사건 고정구(25)를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각운동 수단(30)은 수평프레임(13)의 몸통하부에 설치한 모터(31)의 돌출된 축상에 암(34)을 고정결합하고, 상기 암의 단부와 수평부재의 돌출부를 링크(36)로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실시례는 모터축에 연결된 암의 회전 운동에 의해 수평부재가 축을 중심으로 각운동함으로서 분사건의 수평각운동을 유도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7 및 도8은 본발명에 의한 방제장치를 차량 및 트랙터에 장착 사용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9는 승용관리기에 본 발명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1은 트랙터,102는 트럭,103은 승용관리기, 104.약액통,105는 장치대, 106은 분무기, 107은 호스, 108은 보조부착구를 표시한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분사건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분사건에 수평각운동을 부여함으로서 일정한 각도범위내에서 자동으로 방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며, 부수적으로 상하방향의 각운동도 부여하여 다양한 목적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례에 의해 표현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면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으며, 각운동수단, 지지수단 또는 분사건고정수단의 구체적인 형태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변경실시가 가능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주행가능한 차체에 부착하여 운전자가 승차한 상태에서 농로를 주행하거나 논밭 내부로 들어가 주행하면서 자동으로 방제가 이루어짐으로서 방제능률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며, 운전자 1인에 의해서도 자동 방제가 이루어짐으로서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약액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방제작업이 가능하여 각종 중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7)

  1. 농약살포를 위한 약액 분사건의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일정한 각도로 왕복 각 운동시키기 위한 각운동수단과, 상기한 고정수단 및 각운동수단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이 포함되도록 방제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수단을 분무장치가 장착된 주행체에 고정 설치하고, 고정수단에 분사건을 고정하여 분사건이 왕복 각운동하면서 약액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약액 분사건의 고정수단은 일단에서 축지지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단부에서 축으로 지지되는 분사건 고정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분사건 고정구는 힌지축에 의해 수직부재에 결합되고, 수직부재의 몸통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턴 헤드에는 제2 분사건 고정구를 힌지 결합시킨 구성으로 하여 2개의 분사건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 분사건이 유압실린더의 행정에 의해 상하 각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각운동 수단은 지지수단에 고정된 회전요소에 암을 형성하고, 지지수단에 축결합된 분사건의 고정구정수단에도 암을 형성하여 각각의 암을 링크로 연결하여 크랭크 운동에 의한 각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회전요소는 트랙터로 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회전요소는 유압모터의 회전이 중간풀리에 의해 감속전달되게 하고, 상기 중간풀리 상부에 크랭크 운동을 부여하기 위한 암을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회전요소는 주행장치로 부터 제공되는 DC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DC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제장치.
KR10-2002-0039771A 2002-07-09 2002-07-09 자동방제장치 KR100480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771A KR100480431B1 (ko) 2002-07-09 2002-07-09 자동방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771A KR100480431B1 (ko) 2002-07-09 2002-07-09 자동방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268A true KR20020062268A (ko) 2002-07-25
KR100480431B1 KR100480431B1 (ko) 2005-03-30

Family

ID=2772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771A KR100480431B1 (ko) 2002-07-09 2002-07-09 자동방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0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400B1 (ko) * 2002-11-29 2005-05-30 김창곤 이앙기 및 승용관리기를 이용한 자동회전 농약 살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586B1 (ko) * 2005-12-13 2006-07-13 홍기술 회전식 방역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2050U (ko) * 1987-11-04 1989-05-15
JPH0437562A (ja) * 1990-06-04 1992-02-07 Fujitsu Ltd 記録装置
JPH07255347A (ja) * 1994-03-25 1995-10-09 Kenichi Asaba 薬液散布車
KR19980020410U (ko) * 1996-10-09 1998-07-15 송낙호 과수용 농약 분무장치
KR100429409B1 (ko) * 2001-05-23 2004-04-28 안태홍 회전식 살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400B1 (ko) * 2002-11-29 2005-05-30 김창곤 이앙기 및 승용관리기를 이용한 자동회전 농약 살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0431B1 (ko) 200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344B1 (ko) 트랙터 탑재용 폴더타입 농약살포장치
KR102037176B1 (ko) 트랙터 탑재용 농약 분무기
CN109221069A (zh) 一种智能超声气力喷雾施药机器人
KR20020062268A (ko) 자동방제장치
KR200301384Y1 (ko) 농약 살포 장치
KR100492400B1 (ko) 이앙기 및 승용관리기를 이용한 자동회전 농약 살포장치
JPH0525728Y2 (ko)
JPH10248468A (ja) 薬液散布装置の噴霧ノズル上下動構造
KR100206105B1 (ko) 이동식 방제기
KR100458938B1 (ko) 농약방제기
JP2520993Y2 (ja) 液体散布装置
JP3362623B2 (ja) 薬液散布管装置
CN219596984U (zh) 喷雾设备和具有其的喷雾器
JPS6344131Y2 (ko)
JP2000060268A5 (ko)
KR20230013458A (ko) 트랙터 부착형 제초제 살포기
KR200346446Y1 (ko)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미립자 광역방제기
JP3765496B2 (ja) 薬剤散布アタッチメント
KR200221498Y1 (ko) 농약방제기
CN216775650U (zh) 喷洒机器人
JP2537404Y2 (ja) 液体散布装置の噴管開閉装置
CN212545253U (zh) 一种太阳能打药机
JPH053250Y2 (ko)
JP2504661Y2 (ja) 液体散布装置の噴管体
JP2506012Y2 (ja) ブ―ムスプレ―ヤのブ―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