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0983A - 데이터 적합화 장치, 데이터 적합화 방법, 기억 매체 및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데이터 적합화 장치, 데이터 적합화 방법, 기억 매체 및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0983A
KR20020060983A KR1020027007103A KR20027007103A KR20020060983A KR 20020060983 A KR20020060983 A KR 20020060983A KR 1020027007103 A KR1020027007103 A KR 1020027007103A KR 20027007103 A KR20027007103 A KR 20027007103A KR 20020060983 A KR20020060983 A KR 20020060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user
content
viewpoint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1704B1 (ko
Inventor
에무라고이치
무네츠구도시히코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2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layers, e.g. base layer and one or more enhancement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복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데이터(d102)에 대하여 세그먼트마다 부여된 세그먼트 관점을 기재한 메타 데이터(d101)와, 사용자의 기호를 사용자 관점으로서 기재한 사용자 프레퍼런스(d103)를 갖고, 상기 사용자 관점에 의해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비교하고, 데이터 중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를 사용자의 기호에 적응시켜 표시를 행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Description

데이터 적합화 장치, 데이터 적합화 방법, 기억 매체 및 프로그램{DATA ADAPTING DEVICE, DATA ADAPT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최근, 방송의 디지털화의 움직임이 활발해져 통신과의 융합도 진행되고 있다. 방송 분야에서는 이미 위성 디지털 방송이 시작되어, 금후 지상파 방송도 디지털화될 예정이다. 방송 내용을 디지털화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비디오·오디오에 더하여 데이터 방송도 행해지고 있다. TiVo(www.tivo.com)나 ReplayTV(www.replaytv.com) 등, 텔레비전 방송을 하드디스크에 축적하고, 후에 시청한다고 하는 컨셉(TV Anytime)을 실현하는 제품도 미국에서 시판되어 있다. 또한 통신 분야에서는 인터넷을 거친 디지털 컨텐츠 배신이 음악으로서 시작되어, 비디오를 방송하는 인터넷 방송국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에서도 액세스네트워크의 광대역화와 인터넷으로의 접속에 의해 인터넷 컨텐츠에의 액세스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 인프라의 비약적 변화 중에서, 이후 비디오, 오디오나 문서 등을 포함하는 방대한 정보 소스로 사용자가 여러 가지 단말로부터 간단하게 액세스할 수 있게 되는 것이 예상된다. 이와 같이 통신과 방송의 융합·디지털화에 의해, 컨텐츠를 설명하는 메타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은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전송 혹은 재생하지 않고는, 방대한 정보 소스를 사용자가 취급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Adapting Multimedia Internet Content For Universal Access"(IEEE Transaction on Multimedia, March 1999, pp.104-1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컨텐츠를 텔레비전이나 휴대 단말 등 다양한 단말에 배신하거나, HHC(Hand Held Computer)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Smart Phone 등 여러 가지 단말에서 인터넷 상의 리치 컨텐츠에 액세싱하기 위한 기술 기법과, 인터넷 컨텐츠를 단말의 표시 능력에 맞춰 변환(데이터 적응)하는(예컨대, 표시 크기나 표시색 수의 변경)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하, 종래의 데이터 적응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8은 종래의 데이터 적응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종래의 데이터 적응 장치는 데이터 적응부(100)와 폴리시 엔진(101)과 컨텐츠 해석부(102)와 컨텐츠 선택부(103)와 컨텐츠 조작부(104)와 단말(105)로 구성되어 있다. 컨텐츠 해석부(102)에는, 인터넷 컨텐츠 d1001이 입력된다. 또한, 단말(105)에는 단말(105)의 능력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 프레퍼런스 d1002가 축적되어 있다.
또한, 도 69는 단말 프레퍼런스 d1002의 상세도이다. 단말 프레퍼런스 d1002는 단말(105)의 표시 능력인 화면색 수 정보 x와 화면 크기 정보 axb를 포함한다.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데이터 적응부의 동작에 대하여, 도 7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0은 데이터 적응부(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처리 흐름도이다.
폴리시 엔진(101)은 단말(105)로부터 취득한 단말 프레퍼런스 d1002에 의해 단말 능력으로서의 표시 화면 크기 및 표시색 수를 식별한다(P1201). 그리고, 폴리시 엔진(101)은 P1201에서 식별한 정보와 폴리시에 따라서 컨텐츠 선택부(103) 및 컨텐츠 조작부(104)를 제어한다.
또한, 컨텐츠 해석부(102)는 사용자가 요구한 인터넷 컨텐츠 d1001의 물리적 데이터 종별을 해석한다(P1202). 그리고, 컨텐츠 선택부(103)는 인터넷 컨텐츠 d1001이 단말(105)의 표시 능력으로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P1203), 인터넷 컨텐츠 d1001이 표시 능력 가능인 경우는 인터넷 컨텐츠 d1001로부터 단말 능력으로 표시할 수 있는 컨텐츠만을 선택한다(P1204).
그리고, 또한 컨텐츠 조작부(104)가, P1204에서 선택한 표시 가능한 컨텐츠를 단말 능력으로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컨텐츠를 변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선택부(103)가 표시 화면 크기보다 컨텐츠가 큰 지 여부를 판정하고(P1205), 표시 화면 크기보다 큰 컨텐츠는 컨텐츠 조작부(104)가 축소한다(P1206). 또한, 표시 화면 크기보다 컨텐츠가 크지 않은 경우는, 컨텐츠 조작부(104)는 컨텐츠가 표시 능력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P1207), 작은 컨텐츠는 컨텐츠 조작부(104)가 확대한다(P1208).
또한, 컨텐츠 조작부(104)는 단말(105)의 표시색 수가 컬러인지 여부를 판단한다(P1209). 그리고, 단말(105)의 표시색 수가 컬러가 없는 경우는, 컨텐츠 조작부(104)는 그레이 스케일인지 여부를 판정하고(P1210), 그레이 스케일이면 컨텐츠의 색 수를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P1211), 컬러도 그레이 스케일도 아니면 2치화한다(P1212).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일반적인 폴리시, 즉 특정한 단말에 맞춘 폴리시에 따라서 컨텐츠 해석 결과로부터 컨텐츠의 선택 및 조작을 하게 된다. 이 때문에, 미리 결정할 수 있었던 일정 수의 단말의 패턴에 일치시킨 데이터 적응밖에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컨텐츠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선택 및 조작, 예컨대 임의 화상에 대해서는 축소가 아니라 일부를 표시하는 등의 선택 및 조작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미리 결정할 수 있었던 특정한 단말을 사용하여 컨텐츠의 선택 및 조작을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그 단말을 사용하여 컨텐츠를 사용자의 기호에 맞춘 형태로 데이터 적응은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를 사용자의 기호에 적응시키는 데이터 적합화 장치 및 데이터 적응화 방법 및 데이터 적합화 장치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디지털 방송이나 인터넷 등의 방송 및 통신 미디어를 거친 비디오, 오디오, 문서를 포함하는 데이터 적합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 따른 데이터 적합화 장치를 구비하는 단말의 블럭도,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상세도,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 정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세그먼트 선택부의 동작 설명도,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사용자 적응 제어부의 처리 흐름도,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단말 적응 제어부의 처리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 따른 데이터 적합화부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블럭도,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의 처리 흐름도,
도 10은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11은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제 2 기술 정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제 2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세그먼트 선택부의 제 2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사용자 적응 제어부의 제 2 처리의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적합화부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데이터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데이터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데이터 구조의 다른 예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데이터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데이터의 기술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데이터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데이터 구조의 다른 예의 기술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데이터의 기술을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데이터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데이터의 다른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 정의를 나타내는 제 1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 정의를 나타내는 제 2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 기술의 정의를 나타내는 제 1 도면,
도 36은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 기술의 정의를 나타내는 제 2 도면,
도 37은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 기술의 정의를 나타내는 제 3 도면,
도 38은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의 제 1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9는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의 제 2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0은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의 제 3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은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의 제 4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2는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의 제 5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3은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의 제 6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4는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의 제 7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5는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의 제 8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6은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의 제 9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 정의를 나타내는 제 1 도면,
도 48은 실시예 10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 정의를 나타내는 제 2 도면,
도 49는 실시예 10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 정의를 나타내는 제 3 도면,
도 50은 실시예 10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 정의를 나타내는 제 4 도면,
도 51은 실시예 10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 정의를 나타내는 제 5 도면,
도 52는 실시예 10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예를 나타낸 도면,
도 53은 실시예 10에 따른 세그먼트 기술의 정의를 나타내는 제 1 도면,
도 54는 실시예 10에 따른 세그먼트 기술의 정의를 나타내는 제 2 도면,
도 55는 실시예 10에 따른 세그먼트 기술의 정의를 나타내는 제 3 도면,
도 56은 실시예 10에 따른 세그먼트 기술의 정의를 나타내는 제 4 도면,
도 57은 실시예 10에 따른 세그먼트의 기술예를 나타낸 제 1 도면,
도 58은 실시예 10에 따른 세그먼트의 기술예를 나타낸 제 2 도면,
도 59는 실시예 10에 따른 세그먼트의 기술예를 나타낸 제 3 도면,
도 60은 실시예 10에 따른 세그먼트의 기술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제 1 도면,
도 61은 실시예 10에 따른 세그먼트의 기술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제 2 도면,
도 62는 실시예 11에 따른 다이제스트 기술의 정의를 나타내는 제 1 도면,
도 63은 실시예 11에 따른 다이제스트 기술의 정의를 나타내는 제 2 도면,
도 64는 실시예 11에 따른 다이제스트 기술의 정의를 나타내는 제 3 도면,
도 65는 실시예 11에 따른 다이제스트 기술의 정의를 나타내는 제 4 도면,
도 66은 실시예에 따른 관점 리스트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7은 실시예 11에 따른 다이제스트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8은 종래의 데이터 적합화 장치의 블럭도,
도 69는 종래의 단말 프레퍼런스의 기술 상세도, 및,
도 70은 종래의 데이터 적응부의 처리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기호 정보에 의해서 데이터의 세그먼트를 선택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춘 형태로 컨텐츠의 데이터 적응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네트워크를 거쳐서 컨텐츠를 배신할 때에, 사용자가 수신하려는 형태이고 또한, 네트워크의 상태에 맞춰 스케일러블하게 컨텐츠의 데이터 적응을 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호 정보를 사용자 프레퍼런스로서 갖게 하고, 사용자 프레퍼런스에 의해서 데이터의 세그먼트를 선택하고, 세그먼트의 우선도와 단말 능력에 근거하여 해상도 변환을 함으로써 컨텐츠마다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형태로 데이터 적응을 행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일의적으로 데이터 적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거쳐서 컨텐츠를 배신할 때에 네트워크의 전송 대역의 정보를 네트워크 프레퍼런스로서 취득하고, 세그먼트의 우선도와 전송 대역에 따라 데이터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형태로 또한, 네트워크의 상태에 맞춰 스케일러블하게 데이터 적응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형태로 또한, 네트워크의 상태에 맞춰 스케일러블하게 데이터 적응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데이터 적합화 장치를 구비하는 단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 적합화 장치를 구비하는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10)은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컨텐츠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d102 및 데이터 d102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인 메타 데이터 d101이 축적된 컨텐츠 데이터 축적 매체(11)와, 사용자의 기호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을 축적하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축적부(19)와, 단말의 능력 정보인 단말 프레퍼런스 d104를 저장하는 단말 프레퍼런스 축적부(20)와, 데이터 d102를 메타 데이터 d101과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 및 단말 프레퍼런스 d104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적응시키는 사용자 적응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적응부(12)에는, 각종 데이터를 취득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각종 데이터를 취득하는 수단으로는, 메타 데이터 d101을 취득하는 메타 데이터 취득부(21a)와 데이터 d102를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21b)로 구성되는 컨텐츠 데이터취득부(21)와,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을 취득하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취득부(22)와, 단말 프레퍼런스 d104를 취득하는 단말 프레퍼런스 취득부(2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적응부(12)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취득한 데이터 d102로부터 소정의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선택한 세그먼트를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는 수단으로는, 취득한 메타 데이터 d101과 사용자 프레퍼런스 데이터 d103을 이용하여, 취득한 데이터 d102로부터 소정의 세그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적응 제어부(14)와, 사용자 적응 제어부(14)에서 생성한 정보에 근거하여 취득한 데이터 d102로부터 소정의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추출하는 세그먼트 선택부(1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적응부(12)에는, 데이터 d102의 처리 장치인 표시부(18) 등의 단말 능력에 맞춰 데이터 d102를 변환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데이터 d102를 단말 능력에 맞춰 변환하는 수단으로는, 메타 데이터 d101과 단말 프레퍼런스 d104로부터 데이터 d102의 공간 해상도나 색 해상도를 변화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 적응 제어부(15)와, 단말 적응 제어부(15)에서 생성한 정보에 의해 d102의 공간 해상도 변환이나 색 해상도 변환을 행하는 해상도 변환부(17)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의 상세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은 복수의 사용자 기호 기술(記述)(3a∼3n)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기호 기술(3a∼3n)에는, 사용자 기호 기술(3a∼3n)의 각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식별하는컨텐츠 식별자(34)와, 컨텐츠를 소망하는 시간으로 표시하기 위한 시간 길이 정보(35)와, 컨텐츠로부터 소망하는 세그먼트를 추출하기 위한 키워드(사용자 관점)(36a, 36b)와 이 키워드(36a, 36b)에 대한 우선도(37a, 37b)의 조(組)가 복수 저장되어 있다.
다음에, 사용자 기호 기술(3a∼3n)을 포함하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의 정의 기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의 정의 기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프레퍼런스 기술 정의(40)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DTD(Document Type Definition)으로 기술되고 있다.
사용자 프레퍼런스 기술 정의(40)는, 도면 중 참조 부호 4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 프레퍼런스에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Content)를 갖는다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4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텐츠마다 한 개 이상의 키워드(사용자 관점)(36)(Keyword)를 갖는다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4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텐츠에는, 속성으로서 컨텐츠 식별자(34)(ContentID)와, 시간 길이(35)(Duration)와, 데이터를 표시하는 크기 정보인 화면 크기(46)(ScreenSize)가 정의된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47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워드(36)(Keyword)는, 텍스트 데이터로 기술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48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워드(36)에는, 각각 속성으로서 우선도(37)(Priority)를 갖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다음에, 도 3에 나타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 정의를 이용하여 작성한 사용자 프레퍼런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참조 부호 50으로 기재되는 것은 사용자 기호 기술 정의(40)를 사용하여 XML로 기술한 실제의 사용자 기호 기술예이다.
사용자 프레퍼런스(50)는 두 개의 컨텐츠(51, 52)를 갖는다. 컨텐츠(51)에는 컨텐츠 ID(53a)(이 예에서는, 123456789), 컨텐츠(52)에는 컨텐츠 ID(53b)(이 예에서는, 123456788)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컨텐츠(51)에는, 컨텐츠의 속성으로서 표시 시간 길이(54)(이 예에서는, smpte=00:05:00:00)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컨텐츠(51)에는 키워드(사용자 관점)(55a∼55c)가 기재되어 있다. 키워드(55a)에는 Nakata, 키워드(55b)에는 Soccer, 키워드(55c)에는 Japah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키워드(55a∼55c)의 속성으로서, 키워드(55a)에는 우선도 5, 키워드(55b)에는 우선도 4, 키워드(55c)에는 우선도 2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컨텐츠(52)에는, 컨텐츠의 속성으로서 표시 스케일(56)(이 예에서는, pixel= 320×240)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컨텐츠(52)에는 키워드(55d∼55f)가 기재되어 있다. 키워드(55d)에는 Headline, 키워드(55e)에는 Stock, 키워드(55f)에는 Sports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키워드(55d∼55f)의 속성으로서, 키워드(55d)에는 우선도 5, 키워드(55e)에는 우선도 5, 키워드(55f)에는 우선도 3이 기재되어 있다.
다음에, 도 5를 사용하여, 데이터 d10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d102는 데이터 d102의 임의 시간 범위를 구성하는 세그먼트(61)로 구성된다. 세그먼트(61)는 제 1 서브세그먼트(62)와 제 2 서브세그먼트(63)로 구성된다. 서브세그먼트(62)는 제 1 서브세그먼트(64)와 제 2 서브세그먼트(65)로 구성되고, 서브세그먼트(63)는 제 1 서브세그먼트(66)와 서브세그먼트(6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d102는 세그먼트 및 서브세그먼트에 의해서 계층화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서브세그먼트(62)에는 키워드(세그먼트 관점)(621)가 부가되고, 서브세그먼트(63)에는 키워드(631)가 부가되어 있다. 또한, 서브세그먼트(64)에는 키워드(세그먼트 관점)(641)가 부여되고, 서브세그먼트(65)에는 키워드(세그먼트 관점)(651)가 부가되고, 서브세그먼트(66)에는 키워드(세그먼트 관점)(661)가 부여되며, 서브세그먼트(67)에는 키워드(세그먼트 관점)(671)가 부가되어 있다.
키워드(621, 631, 641, 651, 661, 671)는 메타 데이터 d101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키워드(621, 631, 641, 651, 661, 671)에는, 키워드(621, 631, 641, 651, 661, 671)에 대응하는 세그먼트(62∼67)의 내용을 나타내는 복수의 키워드 KWD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키워드 KWD마다 세그먼트의 우선도(세그먼트 우선도)가 부여되어 있다. 도면의 예로는, 키워드(621)는 KWD#2와 KWD#2 내의 순위 지워진 세그먼트 우선도 3의 조와, KWD#3과 KWD#3 내의 순위 지워진 세그먼트 우선도 3의 조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세그먼트 선택부(16)의 동작 및 사용자 적응 제어부(14)의 동작에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세그먼트 선택부(16)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6은 사용자 적응 제어부(14)의 동작을 설명하는 처리 흐름도이다.
데이터 적응부(12)의 컨텐츠 데이터 취득부(21)는 축적 매체(11)로부터 메타 데이터 d101과 데이터 d102를 판독하여, 취득한다. 그리고, 사용자 적응 제어부(14)는 취득한 메타 데이터 d101을 해석하여, 데이터의 구조와 구조의 각 세그먼트에 부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 관점 및 세그먼트 관점에서의 세그먼트 우선도를 추출하여, 판독한 데이터(컨텐츠) d102를 식별한다(P701).
다음에, 사용자 적응 제어부(14)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으로부터 식별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호 기술(예컨대, 사용자 기호 기술(31))을 선택한다(P702). 또한, 사용자 적응 제어부(14)는 사용자 기호 기술(31)에 포함되는 사용자 관점(키워드)을 사용자 관점의 속성인 우선도의 순서에 정렬한다(P703). 그리고, 사용자 적응 제어부(14)는 가장 우선도가 높은 우선도가 부여된 사용자 관점을 선택한다(P704).
다음에, 사용자 적응 제어부(14)는 우선도가 높은 사용자 관점(최초의 사용자 관점)부터 순서대로, 그 사용자 관점과 합치하는 세그먼트를 데이터 d102로부터 선택하는 것과 같은 정보를 세그먼트 선택부(16)에 보낸다.
그리고, 세그먼트 선택부(16)는 사용자 적응 제어부(14)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의해, 최초의 사용자 관점과 세그먼트의 세그먼트 관점을 비교하여, 최초의 사용자 관점과 일치하는 세그먼트 관점이 부여된 세그먼트가 있는지 여부를판단한다(P705).
다음에, 최초의 사용자 관점과 일치하는 세그먼트 관점이 부여된 세그먼트의 선택 동작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단순히 최초의 사용자 관점과 일치하는 세그먼트 관점이 부여된 세그먼트를 모두 선택했다는 것은, 선택한 세그먼트가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기재된 시간 길이 정보(54), 공간 범위 정보(56) 또는 그 양쪽의 제약 조건을 넘어 챙길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 최초의 사용자 관점과 일치하는 세그먼트 관점이 부여된 세그먼트를 모두 임시 선택한다. 그리고, 임시 선택한 세그먼트로부터, 시간 길이 정보(54), 공간 범위 정보(56) 또는 그 양쪽의 제약 조건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의 수의 세그먼트를 본(本)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세그먼트 선택부(16)는 사용자 관점에 합치하는 세그먼트를 임시 선택한다(P706). 다음에, 세그먼트 선택부(16)는 데이터 d101에 포함되는 모든 세그먼트에 대하여 임시 선택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P707),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 메타 데이터 d101을 이용하여 다음 세그먼트를 추출하고, P705, P706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d102에 포함되는 모든 세그먼트에 대한 임시 선택을 할 수 있다.
그리고, P707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12)가 모든 세그먼트에 대하여 임시 선택이 종료한 했다고 판단하면, 임시 선택된 세그먼트를 세그먼트에 부여된 세그먼트 우선도 순서로 정렬한다(P708). 이것은 후술하는 세그먼트의 본 선택 시에 세그먼트 우선도가 높은 세그먼트로부터 세그먼트의 본 선택을 하기 위함이다.
우선, 데이터 적응부(12)가 가장 세그먼트 우선도가 높은 세그먼트를 본 선택한다(P709). 다음에 데이터 적응부(12)가, 임시 선택한 모든 세그먼트의 본 선택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710). 그리고, P710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12)가 임시 선택한 모든 세그먼트의 본 선택이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본 선택한 세그먼트의 데이터 길이가 시간 길이, 공간 범위 또는 그 양쪽의 제약 조건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711). 그리고, 데이터 적응부(12)가 이들의 제약 조건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P709 내지 P711까지의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P710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12)가 임시 선택한 모든 세그먼트의 본 선택이 종료하고 있다고 판단을 하면, 모든 사용자 관점(키워드)에 대하여 처리를 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715). 그리고, P715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12)가 모든 사용자 관점에 대하여 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단한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P715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12)가 모든 사용자 관점에 대하여 처리가 종료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는, 다음 사용자 관점에 대한 처리로 이행한다.
여기서, 이미 상술한 처리에 의해 선택된 세그먼트에 대하여, 재차 처리를 행하여 재차 선택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따라서, 우선, 데이터 적응부(12)가 미 선택의 세그먼트를 추출하고, 미 선택의 세그먼트에 한정하여 이하의 처리를 하도록 한다(P714). 그리고, 데이터 적응부(12)가 다음의 사용자 관점을 선택하여(P713), P705 내지 P711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세그먼트 선택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데이터 적응부(12)가 사용자 프레퍼런스(사용자 기호 기술)(3)에 포함되는사용자 관점(사용자 키워드) 중 가장 세그먼트 우선도가 높은 KWD#1이 임의 서브세그먼트를 찾는다. 서브세그먼트(63)의 키워드(631), 서브세그먼트(66)의 키워드(661)에는, 각각 KWD#1이 있다. 다음에, 데이터 적응부(12)가 서브세그먼트(63), 서브세그먼트(66)에 시간 길이 제약을 가미하여, 서브세그먼트(63), 서브세그먼트(66)로부터 시간 길이 제약이 심한 순서로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시간 길이 제약이 심하지 않은, 즉 시간 길이가 짧은 서브세그먼트(66)가 가장 우선되어 출력 데이터 d102a로서 선택된다. 그리고, 다음에, 서브세그먼트(63)가 출력 데이터(102b)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로서 선택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적응부(12)가 사용자 프레퍼런스(3)에 포함되는 사용자 관점 중 다음에 우선도가 높은 KWD#2가 임의 서브세그먼트를 찾는다. 세그먼트(61)를 구성하는 모든 서브세그먼트에 KWD#2가 포함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어떤 서브세그먼트가 우선되는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적응부(12)가 각 서브세그먼트에 부가되는 세그먼트 관점의 세그먼트 우선도를 비교한다. 도 5의 예에서는, 서브세그먼트(63), 서브세그먼트(62), 서브세그먼트(65), 서브세그먼트(66)가 같은 우선도이고, 다음에 서브세그먼트(64), 서브세그먼트(67)로 우선도가 계속된다. 또한, 서브세그먼트(67)는 이미 선택되었으므로, 이하의 처리 대상으로부터 생략한다.
따라서, 데이터 적응부(12)가 출력 데이터 d102b를 선택한 후에, 또한 시간 길이 제약이 허용되는 경우에는, 세그먼트 우선도가 서브세그먼트(64)보다도 높은 서브세그먼트(65)가 서브세그먼트(63)에 더하여 출력 데이터(102c)를 구성하는 서브세그먼트로서 선택된다. 나머지 서브세그먼트(64)는 KWD#2와 KWD#3을 포함하고, 세그먼트 우선도가 서브세그먼트(65)보다 낮다. 따라서, 가장 시간 길이 제약이 느슨한 경우에, 서브세그먼트(64)는 서브세그먼트(63)와 서브세그먼트(65)에 더하여 출력 데이터 스트림(102d)을 구성하는 서브세그먼트로서 선택된다.
또한 사용자 적응 제어부(14)는 선택된 세그먼트에 부가되는 키워드의 우선도에 따라서, 키워드와 합치하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포함되는 사용자 관점의 우선도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d102로부터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적응하는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데이터 d102를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적합화할 수 있다.
다음에, 데이터 적응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한 세그먼트를 단말 능력 정보인 단말 프레퍼런스 d104에 따라 변환하는 동작으로 이행한다. 이하, 단말 적응 제어부(15)의 동작에 대하여,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단말 적응 제어부(15)의 동작을 설명하는 처리 흐름도이다.
우선, 단말 적응 제어부(15)는 단말(10)에 기록되는 단말 프레퍼런스 d104를 취득하여, 단말 능력으로서의 표시부(18)의 화면 표시 크기와 표시색 수를 식별한다(P801). 다음에, 단말 적응 제어부(15)는 세그먼트 선택부(16)에 의해서 선택된 세그먼트가 자신의 속성으로서 갖는 세그먼트 우선도를 판정한다(P802). 그리고, 단말 적응 제어부(15)는 선택된 세그먼트가 단말(10)의 표시부(18)의 표시 능력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P803).
그리고, P803에 있어서 단말 적응 제어부(15)가 선택된 세그먼트가 단말(10)의 표시부(18)의 표시 능력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는, 단말 적응 제어부(15)는 단말 프레퍼런스 d104에 세그먼트 우선도를 가미하여, 선택된 세그먼트 전체를 축소할지, 선택된 세그먼트의 일부를 표시할지, 선택된 세그먼트의 일부를 표시하지 않을지, 선택된 세그먼트의 일부를 변환하여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한다(P804).
한편, P803에 있어서 단말 적응 제어부(15)가 선택된 세그먼트가 단말(10)의 표시부(18)의 표시 능력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는, 단말 적응 제어부(15)는 선택된 세그먼트의 데이터가 표시부(18)의 화면 표시 크기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P805). 그리고, P805에 있어서 단말 적응 제어부(15)가 선택된 세그먼트의 데이터가 표시부(18)의 화면 표시 크기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말 적응 제어부(15)는 단말 프레퍼런스 d104에 세그먼트 우선도를 가미하여, 선택한 세그먼트 전체를 확대할지, 선택한 세그먼트의 일부를 확대할지, 선택한 세그먼트의 일부를 표시하지 않을지, 선택한 세그먼트의 일부를 변환하여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한다(P806).
다음에, 단말 적응 제어부(15)는 단말 프레퍼런스 d104로부터 단말의 표시색 수를 식별하여, 단말 표시색 수에 맞춰 P801 내지 P806의 처리를 실시한 세그먼트가 표시부(18)에서 컬러 표시 가능할지 여부를 판단한다(P807). 그리고, P807에 있어서, 단말 적응 제어부(15)가, 상술한 처리를 실시한 세그먼트가 표시부(18)에서 컬러 표시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P807에 있어서, 단말 적응 제어부(15)가, 상술한 처리를 실시한 세그먼트가 표시부(18)에서 컬러 표시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상술한 처리를 실시한세그먼트가 그레이 스케일화한 후에 표시부(18)에서 표시 가능하게 될지 여부를 판단한다(P808). 그리고, 단말 적응 제어부(15)가, 상술한 처리를 실시한 세그먼트가 표시부(18)로 그레이 스케일화한 후에 표시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상술한 처리를 실시한 세그먼트를 그레이 스케일화하는 결정을 행한다(P809). 또한, 단말 적응 제어부(15)가, 상술한 처리를 실시한 세그먼트가 표시부(18)에서 그레이 스케일화한 후에 표시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상술한 처리를 실시한 세그먼트를 2치화하는 결정을 행한다(P810).
그리고, 해상도 변환부(17)는 단말 적응 제어부(15)의 결정 내용을 실제로 선택된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응하여 해상도 변환을 행한다. 그리고, 표시부(18)는 해상도 변환부(17)에서 변환한 세그먼트를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에 따르면, 메타 데이터 d101의 각 세그먼트에 부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 관점 및 세그먼트 관점에서의 세그먼트 우선도를 추출하여,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포함되는 사용자 관점과 합치하는 세그먼트 관점을 갖는 세그먼트를 세그먼트 우선도에 근거해서 세그먼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d102를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서 일의(一意)로 데이터를 적합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단말 프레퍼런스에 포함되는 단말 능력 정보에 따라서 세그먼트의 시간 및 공간 해상도 변환을 행함으로써 단말의 능력에 맞춰 일의로 데이터를 적합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사용자 관점마다 사용자 우선도를 부여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 우선도만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관점간의 우선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관점의 편집이 용이하게 된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데이터 적합화 장치에 대하여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데이터 적합화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 따른 사용자 적응 제어부를 서버가 갖게 하여, 서버와 단말을 네트워크로 접속한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사용자 적응 제어부와 단말을 네트워크 접속했다는 것은,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형태로, 또한, 네트워크의 상태에 맞춰 스케일러블하게 데이터 적응을 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시예 2에서는, 사용자 적응부가, 네트워크를 거쳐서 컨텐츠를 단말에 배신할 때에 네트워크의 전송 대역의 정보를 네트워크 프레퍼런스로서 취득하여, 세그먼트의 우선도와 전송 대역에 따라 데이터량을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2는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형태로, 또한, 네트워크의 상태에 맞춰 스케일러블하게 데이터 적응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 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2에 따른 데이터 적합화부(22)의 구성에 대하여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데이터 적합화부(22)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버(20)와 단말(2B)은 네트워크(2A)에서 접속되어 있다. 단말(2B)은 사용자의 기호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을 축적하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축적부(30)와, 단말(2B)의 능력 정보인 단말 프레퍼런스 d104를 저장하는 단말 프레퍼런스 축적부(31)와, 네트워크(2A)의 전송 대역 정보인 네트워크 프레퍼런스 d205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프레퍼런스 저장부(32)와, 서버(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 매체(2C)로 구성된다.
또한, 서버(20i), 복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컨텐츠인 데이터 d102 및 데이터 d102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인 메타 데이터 d101이 축적된 컨텐츠 데이터 축적 매체(21)와, 데이터 d102를 메타 데이터 d101과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 단말 프레퍼런스 d104 및 네트워크 프레퍼런스 d205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적응시키는 사용자 적응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적응부(22)에는, 각종 데이터를 취득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각종 데이터를 취득하는 수단으로는, 메타 데이터 d101을 취득하는 메타 데이터 취득부(33a)와 데이터 d102를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33b)로 구성되는 컨텐츠 데이터 취득부(33)와, 네트워크(2A)를 거쳐서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을 취득하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취득부(34)와, 네트워크(2A)를 거쳐서 단말 프레퍼런스 d104를 취득하는 단말 프레퍼런스 취득부(35)와, 네트워크(2A)를 거쳐서 네트워크 프레퍼런스 d205를 취득하는 네트워크 프레퍼런스 취득부(3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적응부(12)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취득한 데이터 d102로부터 소정의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선택한 세그먼트를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는 수단으로는, 취득한 메타 데이터 d101과 사용자 프레퍼런스 데이터 d103을 이용하여, 취득한 데이터 d102로부터 소정의 세그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적응 제어부(24)와, 사용자 적응 제어부(24)에서 생성한 정보에 근거하여 취득한 데이터 d102로부터 소정의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추출하는 세그먼트 선택부(2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적응부(24)에는, 데이터 d102의 처리 장치인 단말(2B)의 능력에 맞춰 데이터 d102를 변환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데이터 d102를 단말 능력에 맞춰 변환하는 수단으로는, 메타 데이터 d101과 단말 프레퍼런스 d104로부터 데이터 d102의 공간 해상도나 색 해상도를 변화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 적응 제어부(25)와, 단말 적응 제어부(25)에서 생성한 정보에 의해 d102의 공간 해상도 변환이나 색 해상도 변환을 행하는 해상도 변환부(27)와, 메타 데이터 d101과 네트워크 프레퍼런스 d205를 이용하여 네트워크(2A)로 전송하는 데이터 d102의 양을 조정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와,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에서 생성한 정보에 의해 네트워크(2A)로 전송하는 데이터 d102의 양을 조정하는 데이터량 조정부(29)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세그먼트 선택부(26)의 동작 및 사용자 적응 제어부(24)의 동작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적응부(24)의 컨텐츠 데이터 취득부(33)는 축적 매체(21)로부터 메타 데이터 d101과 데이터 d102를 판독하여, 취득한다. 그리고, 사용자 적응 제어부(24)는 취득한 메타 데이터 d101을 해석하여, 데이터의 구조와 구조의 각 세그먼트에 부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 관점 및 세그먼트 관점에서의 우선도를 추출하여, 판독한 데이터(컨텐츠) d102를 식별한다(P701). 다음에, 사용자 적응 제어부(24)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으로부터 식별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호 기술(예컨대, 사용자 기호 기술(31))을 선택한다(P702). 또한, 사용자 적응 제어부(24)는 사용자 기호 기술(31)에 포함되는 사용자 관점(키워드)을 사용자 관점의 속성인 우선도의 순서로 정렬한다(P703). 그리고, 가장 우선도가 높은 우선도가 부여된 사용자 관점을 선택한다(P704).
다음에, 사용자 적응 제어부(24)는 사용자 우선도가 높은 사용자 관점(최초의 사용자 관점)부터 순서대로, 그 사용자 관점과 합치하는 세그먼트를 데이터 d102로부터 선택하는 것과 같은 정보를 세그먼트 선택부(26)로 전송한다.
그리고, 세그먼트 선택부(26)는 사용자 적응 제어부(24)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의해, 최초의 사용자 관점과 세그먼트의 세그먼트 관점을 비교하여, 최초의 사용자 관점과 일치하는 세그먼트 관점이 부여된 세그먼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705).
다음에, 최초의 사용자 관점과 일치하는 세그먼트 관점이 부여된 세그먼트의 선택 동작으로 옮긴다.
우선, 세그먼트 선택부(26)는 사용자 관점에 합치하는 세그먼트를 임시 선택한다(P706). 다음에, 세그먼트 선택부(26)는 메타 데이터 d101에 포함되는 모든 세그먼트에 대하여 임시 선택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P707), 종료하지 않고 있으면, 메타 데이터 d101을 이용하여 다음의 세그먼트를 추출하고, P705, P706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d102에 포함되는 모든 세그먼트에 대한임시 선택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P707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22)가 모든 세그먼트에 대하여 임시 선택이 종료했다고 판단하면, 임시 선택된 세그먼트를 세그먼트에 부여된 세그먼트 우선도 순서로 정렬한다(P708). 이것은, 후술하는 세그먼트의 본 선택 시에, 세그먼트 우선도가 높은 세그먼트로부터 본 선택을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우선 데이터 적응부(22)가 가장 세그먼트 우선도가 높은 세그먼트를 본 선택한다(P709). 다음에, 데이터 적응부(22)가 임시 선택한 모든 세그먼트의 본 선택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710). 그리고, 데이터 적응부(22)가 P710에 있어서, 임시 선택한 모든 세그먼트의 본 선택이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본 선택한 세그먼트의 데이터 길이가 시간 길이, 공간 범위 또는 그 양쪽의 제약 조건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711). 그리고, 데이터 적응부(22)가 이들의 제약 조건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P709 내지 P711까지의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P710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22)가 임시 선택한 모든 세그먼트의 본 선택이 종료하고 있다고 판단을 하면, 모든 사용자 관점(키워드)에 대하여, 처리를 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715). 그리고, P715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22)가 모든 사용자 관점에 대하여 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단한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P715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22)가 모든 사용자 관점에 대하여 처리가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는, 다음 사용자 관점에 대한 처리에 이행한다.
여기서, 이미 상술한 처리에서 선택된 세그먼트에 대하여, 재차 처리를 행하여 재차 선택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따라서, 우선, 데이터 적응부(22)가 미선택의세그먼트를 추출하고, 미선택의 세그먼트에 한정하여 이하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P714). 그리고, 다음 사용자 관점을 선택하여(P713), P705 내지 P711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d102로부터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적응하는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데이터 d102를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으로 적합화할 수 있다.
다음에, 데이터 적응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한 세그먼트를 단말 능력 정보인 단말 프레퍼런스 d104에 따라 변환하는 동작에 이행한다. 이하, 단말 적응 제어부(25)의 동작에 대하여,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말 적응 제어부(25)는, 단말(2B)에 기록되는 단말 프레퍼런스 d104를 단말 프레퍼런스 취득부(35)로부터 취득하여, 단말 능력으로서의 표시부(18)의 화면 표시 크기와 표시색 수를 식별한다(P801). 다음에, 단말 적응 제어부(25)는 세그먼트 선택부(26)에 의해서 선택된 세그먼트가 자신의 속성으로서 갖는 세그먼트 우선도를 판정한다(P802). 그리고, 단말 적응 제어부(25)는 선택된 세그먼트가 단말(2B)의 표시 능력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P803).
그리고, P803에 있어서 단말 적응 제어부(25)가 선택된 세그먼트가 단말(2B)의 표시 능력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는, 단말 적응 제어부(25)는 단말 프레퍼런스 d104에 세그먼트 우선도를 가미하여, 선택된 세그먼트 전체를 축소할지, 선택된 세그먼트의 일부를 표시할지, 선택된 세그먼트의 일부를 표시하지 않을지, 선택된 세그먼트의 일부를 변환하여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한다(P804).
한편, P803에 있어서 단말 적응 제어부(25)가 선택된 세그먼트가 단말(2B)의표시 능력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는, 단말 적응 제어부(25)는 선택된 세그먼트의 데이터가 단말(2B)의 화면 표시 크기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P805). 그리고, P805에 있어서 단말 적응 제어부(25)가 선택된 세그먼트의 데이터가 단말(2B)의 화면 표시 크기보다 작은 경우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말 적응 제어부(25)는 단말 프레퍼런스 d104에 세그먼트 우선도를 가미하여, 선택한 세그먼트 전체를 확대할지, 선택한 세그먼트의 일부를 확대할지, 선택한 세그먼트의 일부를 표시하지 않을지, 선택한 세그먼트의 일부를 변환하여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한다(P806).
다음에, 단말 적응 제어부(25)는 단말 프레퍼런스 d104로부터 단말(2B)의 표시색 수를 식별하여, 단말 표시색 수에 맞춰 P801 내지 P806의 처리를 실시한 세그먼트가 표시부에서 컬러 표시 가능할지 여부를 판단한다(P807). 그리고, P807에 있어서, 단말 적응 제어부(25)가, 상술한 처리를 실시한 세그먼트가 단말(2B)에서 컬러 표시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P807에 있어서, 단말 적응 제어부(25)가, 상술한 처리를 실시한 세그먼트가 단말(2B)에서 컬러 표시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상술한 처리를 실시한 세그먼트가 그레이 스케일화한 후에 단말(2B)에서 표시 가능하게 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808). 그리고, 단말 적응 제어부(25)가, 상술한 처리를 실시한 세그먼트가 표시부(18)에서 그레이 스케일화한 후에 표시 가능이라고 판단하면, 상술한 처리를 실시한 세그먼트를 그레이 스케일화하는 결정을 행한다(P809). 또한, 단말 적응 제어부(25)가, 상술한 처리를 실시한 세그먼트가 단말(2B)에서 그레이 스케일화한후에 표시 불가능이라고 판단하면, 상술한 처리를 실시한 세그먼트를 2치화하는 결정을 행한다(P810).
그리고, 해상도 변환부(27)는 단말 적응 제어부(25)의 결정 내용을 실제로 선택된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응하여 해상도 변환을 행한다. 그리고, 해상도 변환된 데이터는 데이터량 조절부(29)로 전송된다.
다음에,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의 동작에 대하여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의 처리 흐름도이다.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는 네트워크(2A)를 거쳐서 단말(2B)로부터 전송된 네트워크 프레퍼런스 d205를 네트워크 프레퍼런스 취득부(36)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는 네트워크(2A)의 전송 대역을 식별한다(P901). 다음에,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는 세그먼트 선택부(26)에 의해서 선택된 세그먼트가 자신의 속성으로서 갖는 세그먼트 우선도를 판정한다(P902). 그리고,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는 변환된 데이터가 전송 대역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P903).
P903에 있어서,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가, 변환된 데이터가 전송 대역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는 데이터 전체를 압축할지, 데이터의 일부를 전송할지, 데이터 전체를 전송하지 않을지, 데이터의 일부를 변환하여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P904). 여기서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은 MPEG1의 데이터를 MPEG4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 또는 AAC의 데이터를 MP3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등의 포맷 변환이다.
한편, P903에 있어서,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가, 변환된 데이터가 전송 대역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는 변환된 세그먼트의 데이터가 전송 대역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P805). P805에 있어서,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가 전송 대역으로부터 변환된 데이터가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는 미전송 데이터를 추가 전송할지, 전송하지 않을지, 변환 또는 변환을 근거로 반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P906).
그리고, 데이터량 조정부(29)는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의 결정 내용을 실제로 선택된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응하고, 데이터량을 조정하여 단말(2B)로 전송한다. 단말(2B)은 수신한 세그먼트를 축적 매체(2C)에 기록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에 따르면, 실시예 1에 따른 효과에 더하여, 네트워크 프레퍼런스 d205에 포함되는 전송 대역을 따라서, 선택된 세그먼트의 데이터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형태로, 또한, 네트워크의 상태에 맞춰 스케일러블하게 데이터 적응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데이터 적합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데이터 적합화 장치의 구성은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 적합화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예 3에 따른 데이터 적합화 장치의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에 따른 데이터 적합화 장치와 실시예 1에 따른 데이터 적합화 장치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의 구성이 다르다. 이하, 실시예 3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의 제 2 상세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은 복수의 사용자 기호 기술(131∼13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기호 기술(131∼133)에는, 사용자 기호 기술(131∼133)의 각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자(134)와,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시간 길이 정보(135)와,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세그먼트를 추출하기 위한 키워드(136a, 136b)가 복수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3의 사용자 프레퍼런스에는, 키워드(136a, 136b)에 대한 우선도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 이 점에서, 실시예 3의 사용자 프레퍼런스와 실시예 1의 사용자 프레퍼런스는 다르다.
다음에, 사용자 기호 기술(131∼133)을 포함하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의 정의 기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의 정의 기술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프레퍼런스 기술 정의(140)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DTD(Document Type Definition)으로 기술되어 있다.
사용자 프레퍼런스 기술 정의(140)는, 도면 중 참조 부호 14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 프레퍼런스에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Content)를 갖는다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1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텐츠마다 한 개이상의 키워드(136)(Keyword)를 갖는다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14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텐츠에는, 속성으로서 컨텐츠 식별자(134)(ContentID)와, 시간 길이(135)(Duration)와, 데이터를 표시하는 크기 정보인 화면 크기(144)(ScreenSize)가 정의된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1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워드(136)(Keyword)는 텍스트 데이터로 기술된다고 정의되어 있다.
도 11의 사용자 프레퍼런스 기술 정의(140)로부터도, 실시예 3의 사용자 프레퍼런스에는, 키워드(136)에 대한 우선도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도 11에 나타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 정의를 이용하여 작성한 사용자 프레퍼런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있어서, 참조 부호 150은 사용자 기호 기술 정의(40)를 사용하여 XML로 기술한 실제의 사용자 기호 기술예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사용자 프레퍼런스(150)는 두 개의 컨텐츠(151, 152)를 갖는다. 컨텐츠(151)에는 컨텐츠 ID(153a)(이 예에서는, 123456789), 컨텐츠(152)에는 컨텐츠 ID(153b)(이 예에서는, 123456788)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컨텐츠(151)에는, 컨텐츠의 속성으로서 표시 시간 길이(154)(이 예에서는, smpte=00:05:00:00)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컨텐츠(151)에는 키워드(155a∼155c)가 기재되어 있다. 키워드(155a)에는 Nakata, 키워드(155b)에는 Soccer, 키워드(155c)에는 Japan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컨텐츠(152)에는, 컨텐츠의 속성으로서 표시 스케일(156)(이 예에서는, pixel=320×240)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컨텐츠(152)에는 키워드(155d∼155f)가 기재되어 있다. 키워드(155d)에는 Headline, 키워드(155e)에는 Stock, 키워드(155f)에는 Sports가 기재되어 있다.
다음에, 도 13을 사용하여, 실시예 3에 따른 데이터 d10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3은 세그먼트 선택부(16)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참조 부호 131이 부여되어 있는 것은 사용자 기호 기술이다. 사용자 기호 기술(131)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다.
다음에, 실시예 3에 따른 세그먼트 선택부(16)의 동작 및 사용자 적응 제어부(14)의 동작에 대하여 도 13 및 도 14를 이용하고 설명한다. 도 13은, 세그먼트 선택부(16)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4는 사용자 적응 제어부(14)의 동작을 설명하는 처리 흐름도이다.
데이터 적응부(12)의 컨텐츠 데이터 취득부(21)는 축적 매체(11)로부터 메타 데이터 d101과 데이터 d102를 판독하여, 취득한다. 그리고, 사용자 적응 제어부(14)는 취득한 메타 데이터 d101을 해석하여, 데이터 구조와 구조의 각 세그먼트에 부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 관점 및 세그먼트 관점에서의 우선도를 추출하여, 판독한 데이터(컨텐츠) d102를 식별한다(P1701). 다음에, 사용자 적응 제어부(14)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으로부터 식별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호 기술(예컨대, 사용자 기호 기술(131))을 선택한다(P1702). 또한, 사용자 적응 제어부(14)는 사용자 기호 기술(131)에 포함되는 사용자 관점(키워드)을기술된 순서로 정렬한다. 도 12의 예에서는, 위의 행에 기술된 키워드로부터 순서대로, 즉 키워드(155a), 키워드(155b), 키워드(155c)의 순서로 정렬한다. 그리고, 최초에, 즉 가장 상위에 기술된 사용자 관점을 선택한다(P1704). 이와 같이, 키워드를 기술된 순서로 정렬하는 것은, 실시예 3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사용자 우선도가 부여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 우선도에 대응하는 어떠한 우선도를 부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3에서는, 이 사용자 우선도의 대신으로서, 키워드의 우선도를 기술한 순서로 대응시키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사용자 적응 제어부(14)는, 우선도가 높은 사용자 관점(최초의 사용자 관점)부터 순서대로, 그 사용자 관점과 합치하는 세그먼트를 데이터 d102로부터 선택하는 것과 같은 정보를 세그먼트 선택부(16)로 보낸다.
그리고, 세그먼트 선택부(16)는 사용자 적응 제어부(14)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의해, 최초의 사용자 관점과 세그먼트의 세그먼트 관점을 비교하여, 최초의 사용자 관점과 일치하는 세그먼트 관점이 부여된 세그먼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1705).
다음에, 최초의 사용자 관점과 일치하는 세그먼트 관점이 부여된 세그먼트의 선택 동작으로 이동한다.
우선, 세그먼트 선택부(16)는 사용자 관점에 합치하는 세그먼트를 임시 선택한다(P1706). 다음에, 세그먼트 선택부(16)는 데이터 d102에 포함되는 모든 세그먼트에 대하여 임시 선택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P1707), 종료하지 않고 있으면, 메타 데이터 d101을 이용하여 다음 세그먼트를 추출하고, P1705, P1706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d102에 포함되는 모든 세그먼트에 대한 임시 선택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P1707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12)가 모든 세그먼트에 대하여 임시 선택이 종료했다고 판단하면, 임시 선택된 세그먼트를 세그먼트에 부여된 세그먼트 우선도 순서로 정렬한다(P1708). 이것은 후술하는 세그먼트의 본 선택 시에 세그먼트 우선도가 높은 세그먼트로부터 본 선택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우선 데이터 적응부(12)가 가장 세그먼트 우선도가 높은 세그먼트를 본 선택한다(P1709). 다음에 데이터 적응부(12)가 임시 선택한 모든 세그먼트의 본 선택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1710). 그리고, P1710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12)가 임시 선택한 모든 세그먼트의 본 선택이 종료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본 선택한 세그먼트의 데이터 길이가 시간 길이, 공간 범위 또는 그 양쪽의 제약 조건을 초과했는지 판단한다(P1711). 그리고, 데이터 적응부(12)가 이들의 제약 조건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P1709 내지 P1711까지의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P1710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12)가 임시 선택한 모든 세그먼트의 본 선택이 종료하고 있다고 하는 판단을 하면, 모든 사용자 관점(키워드)에 대하여 처리를 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1715). 그리고, P1715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12)가 모든 사용자 관점에 대하여 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단한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P1715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12)가 모든 사용자 관점에 대하여 처리가 종료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는, 다음의 사용자 관점에 대한 처리로 이행한다.
여기서, 이미 상술한 처리에서 선택된 세그먼트에 대하여, 두 번째 처리를 행하여 재차 선택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따라서, 우선, 데이터 적응부(12)가 미선택의 세그먼트를 추출하고, 미선택의 세그먼트에 한정하여 이하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P1714). 그리고, 데이터 적응부(12)가 다음의 사용자 관점을 선택하여(P1713), P1705 내지 P1711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세그먼트 선택 동작에 대하여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데이터 적응부(12)가 사용자 프레퍼런스(사용자 기호 기술)(131)에 포함되는 사용자 관점(사용자 키워드) 중 가장 위의 행에 기재된, 즉, 우선도가 높은 KWD#1이 있는 서브세그먼트를 찾는다. 서브세그먼트(63)의 키워드(631), 서브세그먼트(66)의 키워드(661)에는, 각각 KWD#1이 있다. 다음에, 데이터 적응부(12)가 서브세그먼트(63), 서브세그먼트(66)에 시간 길이 제약을 가미하여, 서브세그먼트(63), 서브세그먼트(66)로부터 시간 길이 제약이 심한 순서로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시간 길이 제약이 심하지 않은, 즉 시간 길이가 짧은 서브세그먼트(66)가 가장 우선되어 출력 데이터 d102a로서 선택된다. 그리고, 다음에, 서브세그먼트(63)가 출력 데이터(102b)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로서 선택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적응부(12)가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포함되는 사용자 관점 중 다음에 우선도가 높은 KWD#2가 있는 서브세그먼트를 찾는다. 세그먼트(61)를 구성하는 모든 서브세그먼트에 KWD#2가 포함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어떤 서브세그먼트가 우선되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적응부(12)가 각 서브세그먼트에 부가되는 세그먼트관점의 세그먼트 우선도를 비교한다. 도 13의 예에서는, 서브세그먼트(63), 서브세그먼트(62), 서브세그먼트(65), 서브세그먼트(66)가 같은 우선도이고, 다음에 서브세그먼트(64), 서브세그먼트(67)로 우선도가 계속된다. 또한, 서브세그먼트(67)는 이미 선택되었기 때문에, 이하의 처리 대상으로부터 생략한다.
따라서, 데이터 적응부(12)가 출력 데이터 d102b를 선택한 후에, 또한 시간 길이 제약이 허용되는 경우에는, 세그먼트 우선도가 서브세그먼트(64)보다도 높은 서브세그먼트(65)가 서브세그먼트(63)에 더하여 출력 데이터(102c)를 구성하는 서브세그먼트로서 선택된다. 남은 서브세그먼트(64)는 KWD#2와 KWD#3을 포함하여, 세그먼트 우선도가 서브세그먼트(65)보다 낮기 때문에, 가장 시간 길이 제약이 느슨한 경우에, 서브세그먼트(64)는 서브세그먼트(63)와 서브세그먼트(65)에 더하여 출력 데이터 스트림(102d)을 구성하는 서브세그먼트로서 선택된다.
또한 사용자 적응 제어부(14)는 선택된 세그먼트에 부가되는 키워드의 우선도에 따라서, 키워드와 합치하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포함되는 사용자 관점의 우선도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d102로부터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적응하는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데이터 d102를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적합화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에, 단말 제어부(15)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7에 나타내는 흐름을 따라서, 세그먼트 선택부(16)로부터 전송되는 선택된 세그먼트의 해상도 변환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3에 의하면,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사용자 우선도를 부여하지 않아도, 사용자 관점을 기술한 순서를 사용자 관점의 우선도로서 처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사용자 우선도를 부여하지 않아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서 일의로 데이터 적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과 같이, 사용자 우선도를 구비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의 데이터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실시예 4)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데이터 적합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4는 실시예 3에 따른 사용자 적응 제어부를 서버에 갖게 하여, 서버와 단말을 네트워크에서 접속한 것이다.
실시예 4에 따른 데이터 적합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실시예 2에 따른 데이터 적합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도 8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데이터 적합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블럭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 4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대해서는, 실시예 3과 같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내는 도면이 실시예 4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실시예 4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정의이다.
또한, 실시예 4에 따른 세그먼트 선택부(26)의 동작도, 실시예 3에 따른 세그먼트 선택부(26)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3은 세그먼트 선택부(26)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또한, 도 14는 실시예 4에 따른 사용자 적응 제어부(24)의 동작을 설명하는 처리 흐름도이다.
또한, 실시예 4에 따른 단말 적응 제어부(25)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단말 적응 제어부와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도 7은 실시예 4에 따른 단말 적응 제어부(25)의 동작을 설명하는 처리 흐름이다. 또한, 실시예 4에 따른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는 실시예 2에 따른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와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도 9는 실시예 4에 따른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의 동작을 설명하는 처리 흐름도이다.
이하, 이들의 첨부 도면을 사용하여 실시예 4에 따른 데이터 적합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적응부(22)의 컨텐츠 데이터 취득부(33)는 축적 매체(21)로부터 메타 데이터 d101과 데이터 d102를 판독하여, 취득한다. 그리고, 사용자 적응 제어부(24)는 취득한 메타 데이터 d101을 해석하여, 데이터의 구조와 구조의 각 세그먼트에 부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 관점 및 세그먼트 관점에서의 우선도를 추출하여, 판독한 데이터(컨텐츠) d102를 식별한다(P1701). 다음에, 사용자 적응 제어부(24)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으로부터 식별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호 기술(예컨대, 사용자 기호 기술(131))을 선택한다(P1702). 또한, 사용자 적응 제어부(24)는 사용자 기호 기술(131)에 포함되는 사용자 관점(키워드)을 기재된 순서로 정렬한다. 도 12의 예에서는, 기재 순서, 즉, 위의 행부터 순서대로, 키워드(155a), 키워드(155b), 키워드(155c)의 순서로 정렬한다. 그리고, 최초에, 즉, 가장 상위에 기재된 사용자 관점을 선택한다(P1704). 이와 같이, 키워드를 기재된 순서로 정렬하는 것은 실시예 4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사용자 우선도가 부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어떤 것인가의 사용자 우선도에 대응하는 우선도를 부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3에서는, 이 사용자 우선도의 대신으로서, 키워드의 우선도를 기술한 순서서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사용자 적응 제어부(24)는 우선도가 높은 사용자 관점(최초의 사용자 관점)부터 순서대로, 그 사용자 관점과 합치하는 세그먼트를 데이터 d102로부터 선택하는 것과 같은 정보를 세그먼트 선택부(26)로 보낸다.
그리고, 세그먼트 선택부(26)는 사용자 적응 제어부(24)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의해, 최초의 사용자 관점과 세그먼트의 세그먼트 관점을 비교하여, 최초의 사용자 관점과 일치하는 세그먼트 관점이 부여된 세그먼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1705).
다음에, 최초의 사용자 관점과 일치하는 세그먼트 관점이 부여된 세그먼트의 선택 동작으로 이동된다.
우선, 세그먼트 선택부(26)는 사용자 관점에 합치하는 세그먼트를 임시 선택한다(P1706). 다음에, 세그먼트 선택부(26)는 메타 데이터 d101에 포함되는 모든 세그먼트에 대하여 임시 선택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P1707), 종료하지 않았으면, 메타 데이터 d101을 이용해 다음 세그먼트를 추출하여, P1705, P1706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d102에 포함되는 모든 세그먼트에 대한 임시 선택을 할 수 있다.
그리고, P1707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22)가 모든 세그먼트에 대하여 임시 선택이 종료했다고 판단하면, 임시 선택된 세그먼트를 세그먼트에 부여된 세그먼트 우선도 순서로 정렬한다(P1708). 이것은 후술하는 세그먼트의 본 선택 시에 세그먼트 우선도가 높은 세그먼트로부터 본 선택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우선 데이터 적응부(22)가 가장 세그먼트 우선도가 높은 세그먼트를 본 선택한다(P1709). 다음에 데이터 적응부(22)가 임시 선택한 모든 세그먼트의 본 선택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1710). 그리고, P1710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22)가 임시 선택한 모든 세그먼트의 본 선택이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본 선택한 세그먼트의 데이터 길이가 시간 길이, 공간 범위 또는 그 양쪽의 제약 조건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1711). 그리고, 데이터 적응부(22)가 이들의 제약 조건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P1709 내지 P1711까지의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P1710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22)가 임시 선택한 모든 세그먼트의 본 선택이 종료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모든 사용자 관점(키워드)에 대하여 처리를 했는지 판단한다(P1715). 그리고, P1715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22)가 모든 사용자 관점에 대하여 처리가 종료했다고 판단한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P1715에 있어서, 데이터 적응부(22)가 모든 사용자 관점에 대하여 처리가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는, 다음의 사용자 관점에 대한 처리로 이행한다.
여기서, 이미 상술한 처리에서 선택된 세그먼트에 대하여, 재차 처리를 행하고 재차 선택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따라서, 우선, 데이터 적응부(22)가 미선택의 세그먼트를 추출하여, 미선택의 세그먼트에 한정해서 이하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P1714). 그리고, 데이터 적응부(22)가 다음 사용자 관점을 선택하여(P1713), P1705 내지 P1711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세그먼트 선택 동작에 대하여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데이터 적응부(22)가 사용자 프레퍼런스(사용자 기호 기술)(131)에 포함되는 사용자 관점(사용자 키워드) 중 가장 위의 행에 기재된, 즉, 우선도가 높은 KWD#1이 있는 서브세그먼트를 찾는다. 서브세그먼트(63)의 키워드(631), 서브세그먼트(66)의 키워드(661)에는, 각각 KWD#1이 있다. 다음에, 데이터 적응부(22)가 서브세그먼트(63), 서브세그먼트(66)에 시간 길이 제약을 가미하고, 서브세그먼트(63), 서브세그먼트(66)로부터 시간 길이 제약이 심한 순서로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시간 길이 제약이 심하지 않은, 즉, 시간 길이가 짧은 서브세그먼트(66)가 가장 우선되어 출력 데이터 d102a로서 선택된다. 그리고, 다음에, 서브세그먼트(63)가 출력 데이터(102b)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로서 선택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적응부(22)가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포함되는 사용자 관점 중 다음에 우선도가 높은 KWD#2가 있는 서브세그먼트를 찾는다. 세그먼트(61)를 구성하는 모든 서브세그먼트에 KWD#2가 포함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어떤 서브세그먼트가 우선되는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적응부(22)가 각 서브세그먼트에 부가되는 세그먼트관점의 세그먼트 우선도를 비교한다. 도 13의 예에서는, 서브세그먼트(63), 서브세그먼트(62), 서브세그먼트(65), 서브세그먼트(66)가 같은 우선도이고, 다음에 서브세그먼트(64), 서브세그먼트(67)로 우선도가 계속된다. 또한, 서브세그먼트(67)는 이미 선택되었기 때문에, 이하의 처리 대상으로부터 생략한다.
따라서, 데이터 적응부(12)가 출력 데이터 d102b를 선택한 후에, 또한 시간 길이 제약이 허용되는 경우에는, 세그먼트 우선도가 서브세그먼트(64)보다도 높은 서브세그먼트(65)가 서브세그먼트(63)에 가하여 출력 데이터(102c)를 구성하는 서브세그먼트로서 선택된다. 남은 서브세그먼트(64)는 KWD#2와 KWD#3을 포함하고, 세그먼트 우선도가 서브세그먼트(65)보다 낮기 때문에, 가장 시간 길이 제약이 느슨한 경우에, 서브세그먼트(64)는 서브세그먼트(63)와 서브세그먼트(65)에 가하여 출력 데이터 스트림(102d)을 구성하는 서브세그먼트로서 선택된다.
또한 사용자 적응 제어부(24)는 선택된 세그먼트에 부가되는 키워드의 우선도에 따라서, 키워드와 합치하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포함되는 사용자 관점의 우선도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d102로부터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적응하는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데이터 d102를 사용자 프레퍼런스 d103에 적합화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에, 단말 적응 제어부(25)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7의 흐름을 따라서, 세그먼트 선택부(26)로부터 전송되는 선택된 세그먼트의 해상도 변환을 행한다.
다음에,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의 동작에 대하여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 4에 따른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의 처리 흐름도이다.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는 네트워크(2A)를 거쳐서 단말(2B)에서 전송된 네트워크 프레퍼런스 d205를 네트워크 프레퍼런스 취득부(36)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는 네트워크(2A)의 전송 대역을 식별한다(P901). 다음에,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는 세그먼트 선택부(26)에 의해서 선택된 세그먼트가 자신의 속성으로서 갖는 세그먼트 우선도를 판정한다(P902). 그리고,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는 변환된 데이터가 전송 대역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P903).
P903에 있어서,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가, 변환된 데이터가 전송 대역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는 데이터 전체를 압축할지, 데이터의 일부를 전송할지, 데이터 전체를 전송하지 않을지, 데이터의 일부를 변환하여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P904).
한편, P903에 있어서,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가, 변환된 데이터가 전송 대역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는 변환된 세그먼트의 데이터가 전송 대역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P905). P905에 있어서,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가 전송 대역보다 변환된 데이터가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는 미전송 데이터를 추가 전송할지, 전송하지 않을지, 변환 또는 변환을 근거해서 반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P906).
그리고, 데이터량 조정부(29)는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의 결정 내용을 실제로 선택된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응하고, 데이터량을 조정하여 단말(2B)에 전송한다. 단말(2B)은 수신한 세그먼트를 축적 매체(2C)에 기록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4에 따르면, 메타 데이터로부터 데이터의 구조 및 구조의 각 세그먼트에 부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점 및 관점에서의 우선도를 추출하고, 사용자 프레퍼런스에 포함되는 사용자 관점과 합치하는 관점의 우선도에 근거해서 세그먼트를 선택하며, 단말 프레퍼런스에 포함되는 단말 능력 정보에 따라서 선택된 세그먼트의 시간 및 공간 해상도 변환을 행하여, 네트워크 프레퍼런스에 포함되는 전송 대역을 따라서 선택된 세그먼트의 데이터량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형태로, 또한, 네트워크의 상태에 맞춰 스케일러블하게 데이터 적응을 할 수 있다.
또,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 있어서, 사용자 관점의 우선도를 기술 순으로 했지만, 그 순서가 반대이거나, 기술한 순서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가장 높게 하는 등 그 밖의 기술 방법으로 각 사용자 관점의 우선도를 표현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서는, 도 8과 같이 서버(20) 측에 제어 수단인 사용자 적응 제어부(24), 단말 적응 제어부(25),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를 마련한 형태로 설명했지만,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적응 제어부(24), 단말 적응 제어부(25),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를 단말(2B)에 마련하는 형태라도 좋다.
이 형태의 경우는, 서버(20)로부터 단말(2B)로 메타 데이터 d102를 전송하여, 단말(2B)에서의 데이터 d102를 사용자 적응 제어부(25)에서 사용자 적응하여, 그 결과를 서버(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20)가 사용자 적응 제어부(25)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근거해서 데이터 d102로부터 세그먼트를 선택하고, 선택한 세그먼트를 단말(2B)에 송신한다. 또한, 단말(2B)의 단말 적응 제어부(25)로부터 서버(20)의 해상도 변환부(27)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여, 단말(2B)의 네트워크 적응 제어부(28)로부터 서버(20)의 데이터량 조정부(29)를 제어하는 신호를 보낸다. 해상도 변환부(27) 및 데이터량 조정부(29)는, 단말(2B)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세그먼트 선택부(26)가 선택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한 세그먼트를 단말(2B)의 축적 매체(2C)로 보낸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세그먼트 또는 서브세그먼트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세그먼트 관점을 할당한 형태로 설명했다. 그러나, 동일의 세그먼트 관점이 부여된 세그먼트 또는 서브세그먼트가 복수인 경우에, 어느 것인가 한 개의 세그먼트 또는 서브세그먼트에 세그먼트 관점을 부가하고, 다른 세그먼트 또는 서브세그먼트에는 그 세그먼트 관점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여하는 형태라도 좋다.
이에 따라, 어떤 세그먼트 또는 서브세그먼트의 세그먼트 관점을 다른 세그먼트 또는 서브세그먼트의 세그먼트 관점에 대한 링크로 표현할 수 있다.
이하, 이 형태에 대하여, 도 16, 도 17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세그먼트의 그 밖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세그먼트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세그먼트(1601)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이미 설명한 구조를 갖는 세그먼트이다. 세그먼트(1601)에는, 세그먼트 관점과 세그먼트 우선도가 부여되어 있다.
세그먼트(1602)와, 세그먼트(1603)는 동일한 세그먼트 관점이 부여되어 있다. 세그먼트(1603)에는, 세그먼트(1602)에 대한 링크 정보가 부여되어 있고, 세그먼트(1602)에 링크하고 있다.
세그먼트(1602) 및 세그먼트(1603)에 대하여 도 17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세그먼트(1602)에는, 세그먼트 관점(키워드)의 ID 번호(id)(1701)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D 번호(1701)는 1이다. 또한, 세그먼트(1602)에는, 키워드에 대한 세그먼트 우선도(P)(1702)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 세그먼트 우선도는 5이다. 그리고, 세그먼트(1602)에는 키워드로서, "TeamA"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1603)에는, 링크 정보인 다른 세그먼트 관점(키워드)에 대한 참조 번호(idref)(1703)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참조 번호(1701)는 1이다. 즉, 세그먼트(1603)는 ID 번호가 1의 키워드를 참조하고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1603)의 키워드는 "TeamA"로 된다. 세그먼트(1603)에는, 키워드에 대한 세그먼트 우선도(P)(1704)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 세그먼트 우선도는 2이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 키워드 끼리를 링크시킴으로써 모든 세그먼트에 키워드를 기재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세그먼트 키워드 끼리를 링크시키는 것에 의해 세그먼트 사이의 관계가 명확하게 된다.
(실시예 5)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데이터 적합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으로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마찬가지다.
실시예 5는, 세그먼트 또는 서브세그먼트에 부가하는 세그먼트 관점에 관해서, 등장하는 세그먼트 관점 전부를 정리한 표(관점표(觀点表))를 문맥 구조 기술 데이터의 최상위층의 요소인 컨텐츠의 자(子)요소로서 갖게 한 것이다.
다음에, 실시예 5에 따른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도 18,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텐츠는 관점표(1801)를 자 요소로서 갖는다. 관점표(1801)에는, 컨텐츠에 포함되는 복수의 세그먼트 관점(1802a∼1802n)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컨텐츠에는 복수의 세그먼트(1803∼1805)가 포함되어 있다. 세그먼트(1803)에는, 관점표(1801)에 대한 링크 정보가 부여되어 있고, 관점표(1801)의 세그먼트 관점(1802a)에 링크하고 있다. 세그먼트(1804)에는, 관점표(1801)에 대한 링크 정보가 부여되어 있고, 관점표(1801)의 세그먼트 관점(1802b)에 링크하고 있다. 세그먼트(1804)에는, 관점표(1801)에 대한 링크 정보가 부여되어 있고, 관점표(1801)의 세그먼트 관점(1802c)에 링크하고 있다. 또한, 세그먼트(1803∼1805)에는, 각각의 세그먼트 관점에 대한 세그먼트 우선도가 부여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예 5에 따른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도 19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관점표(1801)에는, 세그먼트 관점(1802a∼1802c)이 기재되어 있다. 세그먼트 관점(1802a)에는, ID 번호(id)(1901a)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D 번호(1901a)는 1이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1802a)은 "A"라는 텍스트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1802b)에는, ID 번호(id)(1901b)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D 번호(1901b)는 2이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1802b)은 "B"라는 텍스트로 표시되어 있다. 세그먼트 관점(1802c)에는, ID 번호(id)(1901c)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D 번호(1901c)는 3이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1802c)은 "C"라는 텍스트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세그먼트(1803∼1805)에는, 관점표(1801)의 세그먼트 관점(1802a∼1802c)에 대한 링크 정보인 참조 번호(idref)(1903a∼1903c)가 각각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 세그먼트(1803)의 참조 번호(1903a)는 1이다. 즉, 세그먼트(1803)는 ID 번호가 1인 사용자 관점(1802a)을 참조하고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1803)의 키워드는 "A"가 된다. 또한, 세그먼트(1803)에는, 키워드에 대한 세그먼트 우선도(P)(1904a)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 세그먼트 우선도는 2이다. 또한, 세그먼트(1804)의 참조 번호(1903b)는 2이다. 즉, 세그먼트(18034), ID 번호가 2인 사용자 관점(1802b)을 참조하고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1804)의키워드는 "B"가 된다.
또한, 세그먼트(1804)에는, 키워드에 대한 세그먼트 우선도(P)(1904b)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 세그먼트 우선도는 3이다. 또한, 세그먼트(1805)의 참조 번호(1903c)는 3이다. 즉, 세그먼트(1805)는 ID 번호가 1인 사용자 관점(1802c)을 참조하고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1805)의 키워드는 "C"가 된다. 또한, 세그먼트(1805)에는, 키워드에 대한 세그먼트 우선도(P)(1904c)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 세그먼트 우선도는 4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에 미리 세그먼트 관점 리스트의 제시가 용이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세그먼트 관점을 입력하기 전에 거기에 나타나는 세그먼트 관점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세그먼트 관점 입력을 관점표로부터의 선택 작업으로 할 수 있다.
또, 각 세그먼트 또는 서브세그먼트에는, 이 관점표 중에 대응하는 관점에의 링크와 그것에 관한 스코어의 조를 부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관점표는 컨텐츠가 아니라, 어느 하나의 세그먼트 또는 서브세그먼트에 갖게 하는 구성이어도, 또한, 별도 기술하는 것이어도 관계없다.
또한, 전부를 관점 리스트에의 링크로 표현하는 것은 아니라, 관점 리스트에의 링크와 스코어의 조 및 관점과 스코어의 조를 혼재시켜도 좋다.
도 20은 관점과 스코어의 조를 혼재시킨 데이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컨텐츠에는, 관점표(1801)에 대한 링크 정보를 갖는 세그먼트(1803, 1804)와, 관점표(1801)에 대한 링크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세그먼트(2001)가 혼재하고 있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데이터 구성의 기술예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듯이, 관점표(1801)에는, 문맥 내용 기술 데이터에 나타내는 모든 세그먼트 관점을 기술할 필요 없이, 링크로 참조되는 것만으로 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2001)에는, 관점표(1801)에의, 링크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실시예 6)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데이터 적합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6은 문맥 내용 기술 데이터에 나타나는 세그먼트 관점의 일람을 나타내는 관점표를 준비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입력 전에 제시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6에 따른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6에 따른 컨텐츠는 관점표(2101)와 복수의 세그먼트(2103∼2105)로 구성되어 있다. 관점표(2101)에는, 복수의 세그먼트 관점(2102a∼2102n)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2103)에는 세그먼트 관점(2106)과 세그먼트 우선도(2107)가, 세그먼트(2104)에는 세그먼트 관점(2108)과 세그먼트 우선도(2109)가, 세그먼트(2105)에는 세그먼트 관점(2110)과 세그먼트 우선도(2122)가 포함되어 있다. 세그먼트(2103∼2105)에는, 실시예 5의 세그먼트와는 달리 관점표(2101)에 대한 링크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즉, 세그먼트(2103∼2105)와 관점표(2101)는 독립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데이터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관점표(2101)에는, 세그먼트(2103∼2105)에 포함되는 관점(2106, 2108, 2110)이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점(2106, 2108, 2110)에 대응하여 관점(2301∼2303)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관점을 입력하기 전에, 관점표(2101)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관점을 입력하기 전에 거기에 나타나는 관점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자 관점 입력을 이 관점표로부터의 선택 작업으로 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실시예 7)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데이터 적합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7은 문맥 내용 기술 데이터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도록 표현하는 경우에, 구조를 기술하는 부분과, 속성인 관점과 그 스코어를 기술하는 부분으로 나누어 표현한 것이다.
이하, 도 24, 25를 이용하여 실시예 7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실시예 7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예 7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기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의 상단에 기재된 것이 구조를 기술하는 구조 부분(2200a), 하단에 기재된 것이 속성인 세그먼트 관점과 그 우선도를 기술하는 속성 부분(2200b)이다.구조 부분(2200a)의 컨텐츠에는, 복수의 세그먼트(2201a∼2201n)가 기술되어 있다.
또, 이 도면에서는, 구조를 기술하는 부분은 가장 간단한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기술했던 것과 같은 구성이 얻어진다.
또한, 속성 부분(2200b)에는, 복수의 세그먼트 관점(2202a, 2202b)이 기술되어 있다. 각 세그먼트 관점(2202a, 2202b)마다, 대상이 되는 세그먼트나 서브세그먼트에의 링크 정보(2203a∼2203f)와, 각 세그먼트 관점(2202a, 2202b)에 관한 우선도(2204a∼2204f)의 조가 정리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예 7에 따른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도 25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컨텐츠에는, 복수의 세그먼트(2201a∼2201c)가 기재되어 있다. 세그먼트(2201a)에는, 세그먼트의 ID 번호(id)(2301a)가 부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d(2301a)는 1이다. 세그먼트(2201b)에는, 세그먼트의 ID 번호(id)(2301b)가 부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d(2301a)는 2이다. 세그먼트(2201n)에는, 세그먼트의 ID 번호(id)(2301n)가 부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d(2301n)는 n이다.
한편, 도 25로부터 세그먼트 관점(2202a)은 "TeamA"인 것을 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2202a)에는, 복수의 세그먼트 우선도(2204a∼2204c)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세그먼트 우선도(2204a)의 우선도는 3, 세그먼트 우선도(2204b)의 우선도는 2, 세그먼트 우선도(2204c)의 우선도는 5이다.
또한, 세그먼트 우선도(2202a)에는, 각각 링크 정보(2203a∼2203c)가 부여되어 있다. 링크 정보(2203a∼2203c)는 세그먼트(2201a∼2201c)의 ID 번호(2301a∼2301c)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번호 Idref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세그먼트 우선도(2204a)의 idref는 1, 세그먼트 우선도(2204b)의 idref는 n, 세그먼트 우선도(2204c)의 idref는 2이다. 따라서, 세그먼트 우선도(2204a)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201a), 세그먼트 우선도(2204b)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201c), 세그먼트 우선도(2204c)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201n)가 된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 우선도(2204a∼2204c)에서 세그먼트(2201a∼2201c)를 참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5로부터 세그먼트 관점(2202b)은 "TeamB"인 것을 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2202b)에는, 복수의 세그먼트 우선도(2204d∼2204f)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세그먼트 우선도(2204d)의 우선도는 4, 세그먼트 우선도(2204e)의 우선도는 5, 세그먼트 우선도(2204f)의 우선도는 2이다.
또한, 세그먼트 우선도(2202b)에는, 각각 링크 정보(2203d∼2203f)가 부여되어 있다. 링크 정보(2203d∼2203f)는 세그먼트(2201a∼2201c)의 ID 번호(2301a∼2301c)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번호 idref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세그먼트 우선도(2204d)의 idref는 2, 세그먼트 우선도(2204e)의 idref는 3, 세그먼트 우선도(2204f)의 idref는 1이다. 따라서, 세그먼트 우선도(2204d)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201b), 세그먼트 우선도(2204e)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201c), 세그먼트 우선도(2204f)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201a)가 된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 우선도(2204a∼2204f)에서 세그먼트(2201a∼2201n)를참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데이터 구조의 경우의 세그먼트 선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세그먼트 선택부(16, 26)가, 속성 부분(2200b)에 기술한 부분으로부터 대상이 되는 세그먼트 관점(2202a, 2202b)마다, 우선도(2204a∼2204f)를 선택한다. 선택한 우선도(2204a∼2204f)에는, 각각 링크 정보(2203a∼2203f)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선택한 우선도(2203a∼2203f)가 대상이 되는 세그먼트(2201a∼2201n)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세그먼트 선택부(16, 26)는 세그먼트(2202a, 2202b)마다, 관점 우선도(2204a) 관점을 지정하는 것에 의해, 대상이 되는 세그먼트(2201a∼2201h)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링크 정보(2203a∼2203f)와 우선도(2204a∼2204f)의 부분은 동일 파일로 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기술된 것이어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세그먼트와 세그먼트 관점을 쌍 방향의 링크로 연결하는 형태도 생각된다.
이하, 도 26, 27을 이용하여 이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실시예 7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실시예 7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기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형태의 데이터도,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구조 부분(2400a)과 속성 부분(2400b)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 부분(2400a)의 컨텐츠에는, 복수의 세그먼트(2401a∼2401n)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속성 부분(2400b)에는, 복수의 세그먼트 관점(2402a, 2402b)이 기술되어 있다. 각 세그먼트 관점(2402a, 2402b)마다,대상이 되는 세그먼트나 서브세그먼트에의 링크 정보(2403a∼2403f)와, 각 세그먼트 관점(2402a, 2402b)에 관한 우선도(2404a∼2404f)의 조(組)가 정리되어 있다.
또한, 이 형태에서는, 구조 부분(2400a)과 속성 부분(2400b)을 쌍방향으로 링크시키기 때문에, 세그먼트(2401a) 내지 세그먼트(2401n)에도 세그먼트 우선도(2404a∼2404f)에 대한 링크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실시에 따른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도 25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7로부터 알 수 있듯이, 컨텐츠에는, 복수의 세그먼트(2401a∼2401c)가 기재되어 있다. 세그먼트(2401a)에는, 세그먼트의 ID 번호(id)(2501a)가 부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d(2501a)는 1이다. 세그먼트(2401b)에는, 세그먼트의 ID 번호(id)2501b가 부여되어 있다. 이 예로서는, id(2501a)는 2이다. 세그먼트(2401c)에는, 세그먼트의 ID 번호(id)(2501c)가 부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d(2501c)는 3이다.
한편, 세그먼트 관점(2402a)에는, 복수의 세그먼트 우선도(2404a∼2404c)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세그먼트 우선도(2404a)의 우선도는 3, 세그먼트 우선도(2404b)의 우선도는 2, 세그먼트 우선도(2404c)의 우선도는 5이다.
또한, 세그먼트 우선도(2402a)에는, 각각 링크 정보(2403a∼2403c)가 부여되어 있다. 링크 정보(2403a∼2403c)는 세그먼트(2401a∼2401c)의 ID 번호(2501a∼2501c)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번호 Idref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세그먼트 우선도(2404a)의 idref는 1, 세그먼트 우선도(2404b)의 idref는 2, 세그먼트 우선도(2404c)의 idref는 n이다.
따라서, 세그먼트 우선도(2404a)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401a), 세그먼트 우선도(2404b)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401b), 세그먼트 우선도(2404c)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401n)가 된다.
한편, 세그먼트 관점(2402b)에는, 복수의 세그먼트 우선도(2404d∼2404f)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세그먼트 우선도(2404d)의 우선도는 4, 세그먼트 우선도(2404e)의 우선도는 5, 세그먼트 우선도(2404f)의 우선도는 2이다.
또한, 세그먼트 우선도(2402b)에는, 각각 링크 정보(2403d∼2403f)가 부여되어 있다. 링크 정보(2403d∼2403f)는, 세그먼트(2401a∼2401c)의 ID 번호(2501a∼2501c)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번호 Idref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세그먼트 우선도(2404d)의 idref는 2, 세그먼트 우선도(2404e)의 idref는 3, 세그먼트 우선도(2404f)의 idref는 1이다.
따라서, 세그먼트 우선도(2404d)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401b), 세그먼트 우선도(2404e)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401c), 세그먼트 우선도(2404f)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401a)가 된다.
또한, 세그먼트 우선도(2402a)에는, 각각 우선도 ID 번호(idref)(2503a∼2503c)가 부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우선도 ID 번호(2503a)는 p101, 우선도 ID 번호(2503b)는 p102, 우선도 ID 번호(2503c)는 P103이다.
또한, 세그먼트 우선도(2402b)에는, 각각 우선도 ID 번호(idref)(2503d∼2503f)가 부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우선도 ID번호(2503d)는 p201, 우선도 ID 번호(2503e)는 p202, 우선도 ID 번호(2503f)는 P203이다.
한편, 세그먼트(2401a∼2401n)에는, 세그먼트 우선도(2404a∼2404f)에 대한 링크 정보인, 우선도 ID(2503a∼2503c)를 참조하는 우선도 참조 번호(idrefs)(2502a∼2502e)가 부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drefs(2502a)는 p101, idrefs(2502b)는 p203, idrefs(2502c)는 p102, idrefs(2502d)는 p201, idrefs(2502e)는 p202이다.
따라서, 세그먼트(2401a)가 대상이 되는 세그먼트 우선도는 세그먼트 우선도(2404a, 2404f)이며, 세그먼트(2401b)가 대상이 되는 세그먼트 우선도는 세그먼트 우선도(2404c, 2404d)이며, 세그먼트(2401n)가 대상이 되는 세그먼트 우선도는 세그먼트 우선도(2404b)가 된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2401a∼2401n)와 세그먼트 우선도(2204a∼2204f)가 쌍방으로부터 참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세그먼트 선택부(16, 26)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기재한 수법에서도, 실시예 7로 기재한 수법으로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실시예 8)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데이터 적합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8은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문맥 내용 기술 데이터의 표현을, 구조를 기술하는 부분과, 속성인 관점과 그 스코어를 기술하는 부분에 나누어 표현하는것이다. 단, 실시예 8의 경우는, 세그먼트에의, 링크 및 세그먼트 우선도의 조로 표현하는 것은 아니고, 각 세그먼트 관점마다 세그먼트 우선도가 높은 순서로 기술하는 것이다.
이하, 도 28, 29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실시예 8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실시예 8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기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8에 따른 데이터 구조는 구조를 기술하는 구조 부분(2600a)과 속성 부분(2600b)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 부분(2600a)의 컨텐츠에는, 복수의 세그먼트(2601a∼2601n)가 기술되어 있다. 속성 부분(2600b)에는, 복수의 세그먼트 관점(2602a, 2602b)이 기술되어 있다. 각 세그먼트 관점(2602a, 2602b)마다, 대상이 되는 세그먼트나 서브세그먼트에의 링크 정보(2603a∼2603f)가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예 8에 따른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도 29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9로부터 알 수 있듯이, 컨텐츠에는, 복수의 세그먼트(2601a∼2601n)가 기재되어 있다. 세그먼트(2601a∼2601n)에는, 각각 세그먼트의 ID 번호(id)(2701a∼2701n)가 부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d(2701a)는 1, id(2701a)는 2, id(2701n)는 n이다.
한편, 도 29로부터, 세그먼트 관점(2602a)은 "TeamA"인 것을 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2602a)에는, 각각 링크 정보(2603a∼2603c)가 부여되어 있다. 링크정보(2603a∼2603c)는 세그먼트(2601a∼2601n)의 ID 번호(2701a∼2701n)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번호 idref(2702a∼2302c)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dref(2702a)는 1, idref(2702b)는 n, idref(2702c)는 2이다.
또한, 링크 정보(2603a∼2603c)는 기술 순서가 세그먼트 우선도로서 인식되기 때문에, 이 예에서는, 링크 정보(2603a)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높고, 링크 정보(2603c)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낮게 된다.
따라서, 세그먼트(2601a)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높고, 세그먼트(2601b)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낮게 된다.
한편, 도 29로부터, 세그먼트 관점(2602b)은 "TeamB"인 것을 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2602b)에는, 각각 링크 정보(2603d∼2603f)가 부여되어 있다. 링크 정보(2603d∼2603f)는 세그먼트(2601a∼2601n)의 ID 번호(2701a∼2701n)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번호 idref(2702d∼2302f)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dref(2702d)는 2, idref(2702e)는 3, idref(2702f)는 1이다.
또한, 링크 정보(2603d∼2603f)는 기술 순서 세그먼트 우선도로서 인식되기 때문에, 이 예에서는, 링크 정보(2603d)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높고, 링크 정보(2603f)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낮게 된다.
따라서, 세그먼트(2601b)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높고, 세그먼트(2601a)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낮게 된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 관점(2602a, b)에 세그먼트 우선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도, 세그먼트 관점(2602a, b)에서 세그먼트(2201a∼2201n)를 참조할 수 있어, 우선도를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28에서는, 각 세그먼트(또는 서브세그먼트)에 대하여, 전부 다른 세그먼트 우선도를 갖도록 되어 있지만, 도 30과 같이 같은 세그먼트 우선도인 것을 기술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도 3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속성 부분(2800)의 세그먼트 관점(2802)에, 좌로부터 순서대로 세그먼트 우선도가 높은 것을 나타내고, 같은 세그먼트 우선도인 것은 상하로 배열하여 기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링크 정보(2803a)와 링크 정보(2803b)를 상하로, 링크 정보(2803a)를 링크 정보(2803c)의 왼쪽에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링크 정보(2803a)는 세그먼트(2601b)에 링크하고, 링크 정보(2803c)는 세그먼트(2601a)에 링크하며, 링크 정보(2803b)는 세그먼트(2601n)에 링크하고 있다. 즉, 세그먼트(2601b)와 세그먼트(2601n)는 같은 세그먼트 우선도를 갖고, 세그먼트(2601a)는 세그먼트(2601b)와 세그먼트(2601n)보다 낮은 세그먼트 우선도를 갖게 된다.
여기서, 도 31을 이용하여 도 30의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컨텐츠에는, 복수의 세그먼트(2601a∼2601n)가 기재되어 있다. 세그먼트(2601a∼2601n)에는, 각각 세그먼트의 ID 번호(id)(2901a∼2901n)가 부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id(2901a)는 1, id(2901a)는 2, id(2901n)는 n이다.
한편, 도 31로부터, 세그먼트 관점(2802)은 "TeamA"인 것을 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2602a)에는, 각각 링크 정보(idref)(2803a∼2803c)가 부여되어 있다.이 예에서는, idref(2803a)는 2, idref(2803b)는 1, idref(2803c)는 n이다.
또한, 링크 정보(2803a∼2803c)는, 기술 순서가 세그먼트 우선도로서 인식되기 때문에, 이 예에서는, 링크 정보(2803a)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높고, 링크 정보(2803c)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낮게 된다.
따라서, 세그먼트(2601a)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높고, 세그먼트(2601b)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낮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세그먼트 우선도를 세그먼트 관점에 기재하지 않아도, 같은 세그먼트 우선도를 갖는 세그먼트를 기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세그먼트 선택부(16, 26)가 실시예 7에서 기재한 수법에 의해, 세그먼트의 선택을 행한다.
(실시예 9)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까지는, 컨텐츠 식별자에 의해 컨텐츠를 식별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컨텐츠 식별에 의해, 컨텐츠를 식별하지 않고, 키워드 또는 키워드의 공기 확률(共起確率)에 의해 컨텐츠의 식별을 하여도 좋다. 또한, 그 밖의 방법에 의해 컨텐츠를 식별하여도 관계없다.
또한, 사용자 프레퍼런스를 컨텐츠마다 준비하지 않고, 사용자 프레퍼런스를 년대(年代)나 그룹마다 등의 어느 것인가의 기호(嗜好) 카테고리나 일반적인 기호(嗜好)로서, 사용자 기호에 관계없이 디폴트로서 준비하여도 좋다.
실시예 9는 컨텐츠 식별에 의해 컨텐츠 식별을 행하지 않는 것이다. 이하,실시예 9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에 대하여, 도 32, 3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2, 33은 실시예 9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 정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 도면 중, 사용자 프레퍼런스는 UserPreference, 키워드는 PreferredSummaryTheme,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시간 길이 정보는 SummaryDuration, 키워드에 대한 우선도는 preferencevalue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UserPreference(3201)는 요소로서, 사용자 정보로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인 UserIdentifier(3202)와, 사용자의 기호 정보인 UsagePreference(3203)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UsagePreference(3203)는 0개 또는 한 개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다음에, UserIdentifier(3202)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UserIdentifier(3202)는, 도면 중 참조 부호 320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UserIdentifier(3202)는, 개서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인 protected(3204)와, 사용자명인 userName(3205)을 속성으로서 포함한다고 정의되어 있다. protected(3204)는, 개서 가능한 "true", 개서 불가능한 "false", 사용자에 따라 개서 가능하게 되는 "user"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되어 있다. 또한, protected(3204)의 디폴트는 "true"로 되어 있다. userName(3205)는, CDATA, 즉 텍스트 정보라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userName(3205)은 디폴트로서 "anoymous"가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UsagePreference(3203)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부호 320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UsagePreference(3203)는 요소로서 시간이나 날씨 등의 상황 정보를 갖는 BrowsingPreferences(3207)를 0개 이상 포함한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UsagePreference(3203)는 관리자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서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인 allowAutomaticupdate(3208)를 속성으로서 포함한다고 정의되어 있다. allowAutomaticupdate(3208)는 개서 가능한 "true", 개서 불가능한 "false", 사용자에 따라 개서 가능하게 되는 "user"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되어 있다. 또한, allowAutomaticupdate(3208)의 디폴트는 "true"로 되어 있다.
다음에, BrowsingPreferences(3207)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3209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BrowsingPreferences(3207)에는, 요소로서 Summaryprefereences(3210)를 0개 이상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BrowsingPreferences(3207)에는, 요소로서 개서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인 protected(3211)와, BrowsingPreferences(3207)의 우선도인 preferenceValue(3212)를 속성으로서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protected(3211)는 개서 가능한 "true", 개서 불가능한 "false", 사용자에 따라 개서 가능하게 되는 "user"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되어 있다. 또한, protected(3211)의 디폴트는 "true"로 되어 있다. preferenceValue(3212)는, CDATA, 즉 텍스트 정보라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preferenceValue(3212)는 디폴트로서 100이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BrowsingPreferences(3207)가 preferenceValue(3212)를 가지기 때문에, Userpreference(3201)를 BrowsingPreferences(3207)라고 하는 상위의 계층에서도, 우선도를 부여하여 처리할 수 있다.
다음에, SummaryPreferences(3210)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33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Preferences(3210)는 키워드인 PreferredSummaryTheme(3302)을 0개 이상, 표시 기간 정보인 SummaryDuration(3303)을 0 또는 한 개,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SummaryPreferences(3210)는 우선도인 preferencevalue(3304)를 속성으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preferencevalue(3304)의 디폴트는 100으로 정의되어 있다.
이와 같이, SummaryPreferences(3210)가 우선도인 preferencevalue(3304)를 속성으로서 가짐으로써 키워드인 PreferredSummaryTheme(3302)의 상위 계층인 SummaryPreferences(3210)에 있어서도, 우선도를 부여한 처리를 할 수 있다.
다음에, PreferredSummaryTheme(3302)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330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PreferredSummaryTheme(3302)은 요소로서 텍스트 데이터를 갖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PreferredSummaryTheme(3302)는, 옵션으로서 언어 정보인 xml:lang(3306)과, 우선도 정보인 preferenceValue(3307)를 속성으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우선도 정보인 preferenceValue(3307)의 디폴트는 100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키워드인 PreferredSummaryTheme(3302)이 우선도 정보인 preferenceValue(3307)를 속성으로서 가짐으로써 PreferredSummaryTheme(3302)을 우선도 부여한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308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Duration(3303)은 요소로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9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는 컨텐츠마다의 처리가 아니라, BrowsingPreferences(3207), SummaryPreferences(3210)라고 하는, PreferredSummaryTheme(3302)의 상위의 계층마다 처리할 수 있다. 또한, BrowsingPreferences(3207), SummaryPreferences(3210)라고 하는, PreferredSummaryTheme(3302)의 상위 계층마다 우선도를 부여한 처리를 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9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가 구체적인 기술에 대하여 도 3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실시예 9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에 나타내는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예는 도 4에 나타내는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예를 실시예 9에 대응하도록 한 것이다.
도면 중 참조 부호 34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UserIdentifier는 protected로서 "true"가, userName으로서 "Bob"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340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UsagePreferences는 allowAutomaticUpdate로서 "false"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40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BrowsingPreferences는 protected로서 "true"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UserPreference(3400)에는, 두 개의 SummaryPreferences(3404a, 3404b)가 기술되어 있다.
도면 중 3405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Preferences(3404a)에는, PreferredSummaryTheme으로서, "Nakata"라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405a로 나타내는 PreferredSummaryTheme의 preferenceValue는 500이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406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Preferences(3404a)에는, PreferredSummaryTheme로서, "Soccer"라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406a로 나타내는 PreferredSummaryTheme의 preferenceValue는 400이다. 도면 중 참조 부호 3407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Preferences(3404a)에는, PreferredSummaryTheme으로서, "Japan"이라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407a로 나타내는 PreferredSummaryTheme의 preferenceValue는 200이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408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Duration에는, "PT5M", 즉 5분이라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도면 중 참조 부호 3405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Preferences(3404b)에는, PreferredSummaryTheme으로서, "Headline"이라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405b에 나타내는 PreferredSummaryTheme의 preferenceValue는 500이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406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Preferences(3404b)에는, PreferredSummaryTheme으로서, "Stock"이라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406b에 나타내는 PreferredSummaryTheme의 preferenceValue는 500이다. 도면 중 참조 부호 3407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Preferences(3404b)에는, PreferredSummaryTheme으로서, "Sports"라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407b로 나타내는 PreferredSummaryTheme의 preferenceValue는 300이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408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Duration에는, "PT3M", 즉 3분이라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9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정의에 의해서도, 도 4에 대응하는 내용의 기술을 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의 정의에 대하여, 도 35 내지 도 3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5 내지 도 37은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 기술의 정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세그먼트로서, 오디오와 비주얼의 세그먼트인 AudioVisualSegment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35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AudioVisualSegment(3502)에는, 0개 이상의 PointOfView(3503)와 MediaTime(3504)을 요소로서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PointOfView(3503)는 세그먼트에 관한 관점을 포함하는 요소이다. MediaTime(3504)은 세그먼트의 시간 길이 등을 포함하는 요소이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50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AudioVisualSegment(3502)는 식별자인 ID를 속성으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AudioVisualSegment(3502)는, 도면 중 참조 부호 350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옵션으로서 URL 참조 정보인 href와, 도면 중 참조 부호 3507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옵션으로서 ID 참조 정보인 idref를 속성으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다음에, PointOfView(3503)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3508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PointOfView(3503)는 0개나 한 개의 SupplementalInfo(3503)와, 한 개 이상의 Value(3510)를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SupplementalInfo(3503)은, PointOfView(3503)의 내용을 나타내는 코멘트 등이다. Value(3510)는 PointOfView(3503)의 우선도 정보이다.
또한, PointOfView(3503)는, 도면 중 참조 부호 351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자 정보인 id를 옵션으로서 속성에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PointOfView(3503)은, 도면 중 참조 부호 351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그먼트 관점인 viewPoint를 속성으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viewPoint는 텍스트 정보로 기술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다음에, Value(3510)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351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Value(3510)는 요소로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51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Value(3510)는 식별자 id를 속성으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Value(3510)의 식별자 id는 옵션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와 같이, PointOfView(3502)와, Value(3510)가 id를 가지고, AudioVisualSegment(3502)가 이들의 id를 참조하는 idref를 가짐으로써, AudioVisualSegment(3502)가 idref에 의해 PointOfView(3502)와 Value(3510)를 참조할 수 있다. 즉, AudioVisualSegment(3502)를 idref에 의해 PointOfView(3502)와 Value(3510)에 링크할 수 있다.
다음에, SupplementalInfo(3509)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36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pplementalInfo(3509)는 FreeTextAnnotation(3602) 또는 StructuredAnnotation(3603)을 적어도 하나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60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pplementalInfo(3509)는 요소로서 텍스트 데이터를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60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pplementalInfo(3509)는 언어 정보를 속성으로서 갖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다음에, StructuredAnnotation(3603)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360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tructuredAnnotation(3603)은, 누가 실행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인 Who(3607)를 0 또는 한 개, 또는 무엇에 대하여 행하였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인 WhatObject(3608)를 0개 또는 한 개, 또는 무엇을 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인 WhatAction(3609)을 0개 또는 한 개, 또는 어디에서 행해졌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인 Where(3610)를 0개 또는 한 개, 또는 언제 행해졌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인 When(3611)을 0개 또는 한 개, 또는 왜 행해졌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인 Why(3612)를 0개 또는 한 개,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613 내지 36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Who(3607), WhatObject(3608), WhatAction(3609), Where(3610), When(3611), Why(3612)는 요소로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619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StructuredAnnotation(3603)은 식별자 정보인 id를 속성으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62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tructuredAnnotation(3603)은 언어 정보를 속성으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이와 같이, StructuredAnnotation(3603)에 의해서, AudioVisualSegment(3502)가 어떠한 정보인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음에, MediaTime(3504)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37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ediaTime(3504)은 MediaTimePoint(3702)와, MediaDuration(3703)을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MediaTimePoint(3702)는 AudioVisualSegment(3502)의 개시 시간 정보이며, MediaDuration(3703)은 AudioVisualSegment(3502)의 시간 길이 정보이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70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ediaTimePoint(3702)는 텍스트 정보를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370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ediaDuration(3703)도, 텍스트 정보를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AudioVisualSegment(3502)는 정의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정의된 AudioVisualSegment(3502)의 기술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8은 도 17에 나타내는 세그먼트의 기술예를 실시예 9에 대응시킨 기술예이다.
도 38로부터 알 수 있듯이, 세그먼트(1602)에는, 도 17의 기술예와 마찬가지로, 세그먼트 관점(키워드)의 ID 번호(id)(1701)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1602)에는, 키워드에 대한 세그먼트 우선도(P)(1702)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세그먼트(1602)에는 키워드로서, "TeamA"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1603)에는, 도 17의 기술예와 마찬가지로, 링크 정보인 다른 세그먼트 관점(키워드)에 대한 참조 번호(idref)(1703)가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1603)의 키워드는 "TeamA"가 된다. 또한, 세그먼트(1603)에는, 키워드에 대한 세그먼트 우선도(P)(1704)가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9에 의해서도 세그먼트 끼리를 링크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19에 나타내는 세그먼트의 기술예를 실시예 9에 대응시킨 기술에 대하여 도 3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9로부터 알 수 있듯이, 관점표(1801)에는, 세그먼트 관점(1802a)에서 1802c가 기재되어 있다. 세그먼트 관점(1802a)에는, ID 번호(id)(1901a)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1802a)은 "A"이라는 텍스트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1802b)에는, ID 번호(id)(1901b)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1802b)은 "B"라는 텍스트로 표시되어 있다. 세그먼트 관점(1802c)에는, ID 번호(id)(1901c)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1802c)은 "C"라는 텍스트로 표시되고 있다.
한편, 세그먼트(1803∼1805)에는, 관점표(1801)의 세그먼트 관점(1802a∼1802c)에 대한 링크 정보인 참조 번호(idref)(1903a∼1903c)가 각각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1803)에는, 키워드에 대한 세그먼트 우선도(P)(1904a)가 기재되어 있다. 세그먼트(1804)에는, 키워드에 대한 세그먼트 우선도(P)(1904b)가 기재되어 있다. 세그먼트(1805)에는, 키워드에 대한 세그먼트 우선도(P)(1904c)가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9를 이용하여도, 사용자에게 미리 세그먼트 관점 리스트를 제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도 21에 나타내는 세그먼트의 기술예를 실시예 9에 대응시킨 기술에 대하여 도 4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0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관점표(1801)에는, 문맥 내용 기술 데이터에 나타나는 모든 세그먼트 관점을 기술할 필요 없이, 링크로 참조시키는 것으로만 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2001)에는, 관점표(1801)에의, 링크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도 40과 같은 기술에 의해, 도 21의 기술을 실시예 9에 대응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23에 나타내는 세그먼트의 기술예를 실시예 9에 대응시킨 기술에 대하여 도 4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1로부터 알 수 있듯이, 관점표(2101)에는, 세그먼트(2103∼2105)에 포함되는 관점(2106, 2108, 2110)이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점(2106, 2108, 2110)에 대응하여 관점(2301∼2303)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관점을 입력하기 전에, 관점표(2101)를 표시하도록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41과 같은 기술에 의해, 도 23의 기술을 실시예 9에 대응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25에 나타내는 세그먼트의 기술예를 실시예 9에 대응시킨 기술에 대하여 도 4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컨텐츠에는, 복수의 세그먼트(2201a∼2201c)가 기재되어 있다. 세그먼트(2201a)에는, 세그먼트의 ID 번호(id)(2301a)가 부여되어 있다. 세그먼트(2201b)에는, 세그먼트의 ID 번호(id)(2301b)가 부여되어 있다. 세그먼트(2201c)에는, 세그먼트의 ID 번호(id)(2301c)가 부여되어 있다.
한편, 세그먼트 관점(2202a)은 "TeamA"인 것을 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2202a)에는, 복수의 세그먼트 우선도(2204a∼2204c)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 우선도(2202a)에는, 각각 링크 정보(2203a∼2203c)가 부여되어 있다. 링크 정보(2203a∼2203c)는 세그먼트(2201a∼2201c)의 ID 번호(2301a∼2301c)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번호 Idref가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 우선도(2204a∼2204c)로부터 세그먼트(2201a∼2201c)를 참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2202b)은 "TeamB"인 것을 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2202b)에는, 복수의 세그먼트 우선도(2204d∼2204f)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 우선도(2202b)에는, 각각 링크 정보(2203d∼2203f)가 부여되어 있다. 링크 정보(2203d∼2203f)는 세그먼트(2201a∼2201c)의 ID번호(2301a∼2301c)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번호 Idref가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 우선도(2204a∼2204f)에서 세그먼트(2201a∼2201n)를 참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42와 같은 기술에 의해, 도 25의 기술을 실시예 9에 대응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27에 나타내는 세그먼트의 기술예를 실시예 9에 대응시킨 기술에 대하여 도 43, 도 4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컨텐츠에는, 복수의 세그먼트(2401a∼2401c)가 기재되어 있다. 세그먼트(2401a)에는, 세그먼트의 ID 번호(id)(2501a)가 부여되어 있다. 세그먼트(2401b)에는, 세그먼트의 ID 번호(id)(2501b)가 부여되어 있다. 세그먼트(2401c)에는, 세그먼트의 ID 번호(id)(2501c)가 부여되어 있다.
한편, 세그먼트 관점(2402a)에는, 복수의 세그먼트 우선도(2404a∼2404c)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 우선도(2402a)에는, 각각 링크 정보(2403a∼2403c)가 부여되어 있다. 링크 정보(2403a∼2403c)는 세그먼트(2401a∼2401c)의 ID 번호(2501a∼2501c)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번호 Idref가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 우선도(2404a)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401a), 세그먼트 우선도(2404b)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401b), 세그먼트 우선도(2404c)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401n)가 된다.
한편, 세그먼트 관점(2402b)에는, 복수의 세그먼트 우선도(2404d∼2404f)가기재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 우선도(2402b)에는, 각각 링크 정보(2403d∼2403f)가 부여되어 있다. 링크 정보(2403d∼2403f)는 세그먼트(2401a∼2401c)의 ID 번호(2501a∼2501c)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번호 Idref가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 우선도(2404d)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401b), 세그먼트 우선도(2404e)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401c), 세그먼트 우선도(2404f)의 대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2401a)가 된다.
또한, 세그먼트 우선도(2402a)에는, 각각 우선도 ID 번호(idref)(2503a∼2503c)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 우선도(2402b)에는, 각각 우선도 ID 번호(idref)(2503d∼2503f)가 부여되어 있다.
한편, 세그먼트(2401a∼2401c)에는, 세그먼트 우선도(2404a∼2404f)에 대한 링크 정보이다, 우선도 ID(2503a∼2503c)를 참조하는 우선도 참조 번호(idrefs)(2502a∼2502e)가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2401a)가 대상이 되는 세그먼트 우선도는 세그먼트 우선도(2404a, 2404f)이며, 세그먼트(2401b)가 대상이 되는 세그먼트 우선도는 세그먼트 우선도(2404b, 2404d)이며, 세그먼트(2401c)가 대상이 되는 세그먼트 우선도는 세그먼트 우선도(2404e)가 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 9를 이용하여도, 세그먼트(2401a∼2401c)와 세그먼트 우선도(2204a∼2204f)를 쌍방으로부터 참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 29에 나타내는 세그먼트의 기술예를 실시예 9에 대응시킨 기술에대하여 도 4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컨텐츠에는, 복수의 세그먼트(2601a∼2601c)가 기재되어 있다. 세그먼트(2601a∼2601c)에는, 각각 세그먼트의 ID 번호(id)(2701a∼2701c)가 부여되어 있다.
한편, 도면으로부터, 세그먼트 관점(2602a)은 "TeamA"인 것을 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2602a)에는, 각각 링크 정보(2603a∼2603c)가 부여되어 있다. 링크 정보(2603a∼2603c)는 세그먼트(2601a∼2601c)의 ID 번호(2701a∼2701c)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번호 idref(2702a∼2302c)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링크 정보(2603a∼2603c)는, 기술 순서가 세그먼트 우선도로서 인식되기 때문에, 이 예에서는, 링크 정보(2603a)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높고, 링크 정보(2603c)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낮게 된다.
따라서, 세그먼트(2601a)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높고, 세그먼트(2601b)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낮게 된다.
한편, 도면으로부터, 세그먼트 관점(2602b)은 "TeamB"인 것을 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2602b)에는, 각각 링크 정보(2603d∼2603f)가 부여되어 있다. 링크 정보(2603d∼2603f)는 세그먼트(2601a∼2601c)의 ID 번호(2701a∼2701c)를 참조하기 위한 참조 번호 idref(2702d∼2302f)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링크 정보(2603d∼2603f)는 기술 순서가 세그먼트 우선도로서 인식되기 때문에, 이 예에서는, 링크 정보(2603d)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높고, 링크 정보(2603f)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낮게 된다.
따라서, 세그먼트(2601b)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높고, 세그먼트(2601a)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낮게 된다.
이와 같이, 도 45의 기술에 의해, 도 29의 기술을 실시예 9에 대응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31에 나타내는 세그먼트의 기술예를 실시예 9에 대응시킨 기술에 대하여 도 4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컨텐츠에는, 복수의 세그먼트(2601a∼2601c)가 기재되어 있다. 세그먼트(2601a∼2601c)에는, 각각 세그먼트의 ID 번호(id)(2901a∼2901c)가 부여되어 있다.
한편, 도면으로부터, 세그먼트 관점(2802)은 "TeamA"인 것을 안다. 또한, 세그먼트 관점(2602a)에는, 각각 링크 정보(idref)(2803a∼2803c)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링크 정보(2803a∼2803c)는 기술 순서가 세그먼트 우선도로서 인식되기 때문에, 이 예에서는, 링크 정보(2803a)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높고, 링크 정보(2803)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낮게 된다.
따라서, 세그먼트(2601a)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높고, 세그먼트(2601b)의 세그먼트 우선도가 가장 낮게 된다.
이와 같이, 도 46의 기술을 이용하여, 도 31의 기술을 실시예 9에 대응시킬 수 있다.
(실시예 10)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는 사용자 프레퍼런스를 XML-DTD로 기술하는 형태로 설명했지만, 사용자 프레퍼런스를 RDF, XML-Schema, XML 베이스의 다른 언어, XML 이외의 언어, 또는 언어 이외의 기술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 10은 사용자 프레퍼런스를 XML-Schema로 기재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10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정의에 대하여 도 47 내지 도 5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7 내지 도 51은 실시예 10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 정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47 내지 도 51은 실시예 9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 정의에 대응한 것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UserPreference(3201)는 요소로서 사용자 정보로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인 UserIdentifier(3202)와, 사용자의 기호 정보인 UsagePreference(3203)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UsagePreference(3203)는 0개 또는 한 개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다음에, UsagePreference(3203)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480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UsagePreference(3203)는 BrowsingPreferences(3207)를 0개 이상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UsagePreference(3203)는, allowAutomaticUpdate(3208)를 속성으로서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UsagePreference(3203)는 도면 중 참조 부호 48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FilteringAndSearchPreferences(4802)를 요소로서, 0개 이상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다음에, BrowsingPreferences(3207)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490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BrowsingPreferences(3207)에는, 요소로서 SummaryPreferences(3210)를 0개 이상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BrowsingPreferences(3207)에는, protected(3211)와, preferenceValue(3212)를 속성으로서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BrowsingPreferences(3207)에는, 요소로서 PrefernceConditionType(4902)를 0개 이상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다음에, SummaryPreferences(3210)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500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Preferences(3210)는, 도면 중 참조 부호 5003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리스트를 갖는 summaryComponentType을 확장한 SummaryPreferencesType이라는 요소를 0개 이상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SummaryPreferences(3210)는 키워드인 PreferredSummaryTheme(3302)을 0개 이상, 표시 기간 정보인 SummaryDuration(3303)을 0 또는 한 개,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SummaryPreferences(3210)는 우선도인 preferencevalue(3304)를 속성으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preferencevalue(3304)의 디폴트는 100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PreferredSummaryTheme(3302)는 TextualType, 즉, 요소로서 텍스트 데이터와, 언어 정보를 갖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PreferredSummaryTheme(3302)은 우선도 정보인 preferenceValue(3307)를 속성으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101 내지 51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ummaryPreferences(3210)는 최소 시간 길이를 나타내는 MinSummaryDuration과, 최대 시간 길이를 나타내는 MaxSummaryDuration과, 표시 프레임 수를 나타내는 NumOfKeyframes와, 최소 표시 프레임 수를 나타내는 MinNumOfKeyframes와, 최대 표시 프레임 수를 나타내는 MaxNumOfKeyframes와, 표시 문자수를 나타내는 NumOfChars와, 최소 표시 문자수를 나타내는 MinNumOfChars와, 최대 표시 문자수를 나타내는 MaxNumOfChars를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11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의 요소는 속성으로서, 우선도를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47 내지 도 51을 이용하여, XML-Schema를 이용해서 사용자 프레퍼런스를 기술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10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의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 5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2는 실시예 10에 따른 사용자 프레퍼런스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 참조 부호 52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UserIdentifier는 protected로서 "true"가, userName로서 "Mike"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20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UsagePreferences는 allowAutomaticUpdate로서 "false"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20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BrowingPreferences는 protected로서 "true"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UserPreference(5200)에는, 두 개의 SummaryPreferences(5204)가 기술되어 있다.
도면 중 참조 부호 520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Preferences(5204)에는, PreferredSummaryTheme로서, "Free-kick"이라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20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Preferences(5204)에는, PreferredSummaryTheme으로서, "Goals"이라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208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Duration에는, "PT5M", 즉 5분이라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이, XML-Schema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레퍼런스를 기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0은 세그먼트 기술에 대해서도 XML-Schema에서 기술하고 있다. 이하, 실시예 10에 따른 세그먼트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예 9에 따른 세그먼트의 정의에 대하여, 도 53 내지 도 5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3 내지 도 56은 실시예 10에 따른 세그먼트 기술의 정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0에 따른 세그먼트는 도 53, 도 54에 나타내는 추상 세그먼트인 Segment DS로서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AudioVisualSegment DS, AudioSegment DS, VideoSegment DS, StillRegion DS, MovingRegion DS가 각각 Segment DS를 계승하여 구체적인 기술 정의가 된다. 이하, AudioVisualSegment DS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우선 Segment DS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530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egment는 추상 타입이라고 선언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중 참조 부호 53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egment는 부호화 포맷 등의 미디어 정보인 MediaInformation을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30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egment는 이 세그먼트의 실체에의 링크 정보인 MediaLocator를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30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egment는 카피라이트(copy write) 정보 등의 제조자 정보인 CreationInfomation을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30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egment는 사용 방법이나, 사용 제한 등의 사용 정보인 UsageInformation을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30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egment는 세그먼트의 주석 등인 TextAnnotation을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307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egment는 세그먼트의 관점(키워드)인 PointOfView를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308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egment는 서브세그먼트를 지정하는데 사용하는 SegmentDecomposition을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31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egment는 식별자인 id를 속성으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31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egment는 URL에의 링크 정보인 href를 속성으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31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egment는 id에의 링크 정보인 idref를 속성으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이와 같이, segment에는, 키워드 정보인 PointOfView와 식별자인 id와 다른세그먼트의 식별자에 대한 참조 정보인 idref를 갖는다.
다음에, 상술한 추상 세그먼트를 계승한 AudioVisualSegment에 대하여 도 5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55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AudioVisualSegment는 상술한 추상 Segment를 확장한 것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중 참조 부호 550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AudioVisualSegment는 개시 시간을 나타내는 MediaTime을 확장된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50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AudioVisualSegment는 다른 세그먼트에 대한 참조 정보인 idref를 속성으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이와 같이, AudioVisualSegment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참조 정보인 idref를 갖는다.
다음에, PointOfView의 정의에 대해서 도 5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560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PointOfView의 타입이 선언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중 참조 부호 56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PointOfView는 SupplementalInfo를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60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PointOfView는 Value를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Value의 타입은 도면 중 참조 부호 5603으로 나타내는 PrimitiveImportanceType이다. PrimitiveImportanceType은 도면 중 참조 부호 560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그먼트의 id의 참조 정보인 idref를 속성으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60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PointOfView는 텍스트로 기술된 viewPoint를 속성으로 갖는다고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이, PointOfView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id와 idref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상술한 정의에 기초를 둔 세그먼트의 기술예에 대하여 도 57 내지 도 5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7 내지 도 59는 실시예 10에 따른 세그먼트의 기술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7 내지 도 59에 나타내는 기술예는 세그먼트 구조 중 PointOfView를 기술한 예이다.
이 예에서는, 도면 중 참조 부호 570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d가 "FootBallGame"이라는 세그먼트를 갖는다. 이 "FootBallGame"이라는 id를 갖는 세그먼트는 도면 중 참조 부호 5701a, 5701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서브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5701a로 나타내는 서브세그먼트는 id가 "seg1"이라는 서브세그먼트(5702a)와, id가 "seg2"라는 서브세그먼트(5702b)와, id가 "seg20"이라는 서브세그먼트(5702c)를 갖는다.
그리고, 서브세그먼트(5702a)는 도면 중 참조 부호 5703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도인 Value가 0.3인 "TeamA"라는 viewPoint와, 도면 중 참조 부호 5703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도인 Value가 0.7인 "TeamB"라는 viewPoint를 갖는다. 또한, 서브세그먼트(5702a)는, 도면 중 참조 부호 5704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MediaTime 정보도 갖는다.
또한, 서브세그먼트(5702b)는 도면 중 참조 부호 5703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도인 Value가 0.5인 "TeamA"라는 viewPoint를 갖는다. 또한, 서브세그먼트(5702a)는, 도면 중 참조 부호 5704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ediaTime 정보도 갖는다.
또한, 서브세그먼트(5702c)는, 도면 중 참조 부호 5703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도인 Value가 0.8인 "TeamA"라는 viewPoint와, 도면 중 참조 부호 5703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도인 Value가 0.2인 "TeamB"라는 viewPoint를 갖는다. 또한, 서브세그먼트(5702a)는, 도면 중 참조 부호 5704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ediaTime 정보도 갖는다.
한편, 도면 중 참조 부호 5701b로 나타내는 서브세그먼트는, id가 "2seg1"라는 서브세그먼트(5702d)와, id가 "2seg2"라는 서브세그먼트(5702e)와, id가 "2seg20"라는 서브세그먼트(5702f)를 갖는다. 서브세그먼트(5702d)는, 도면 중 5703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도인 Value가 0.3인 "TeamA"라는 viewPoint를 갖는다. 또한, 서브세그먼트(5702b)는, 도면 중 참조 부호 5704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ediaTime 정보도 갖는다.
또한, 서브세그먼트(5702b)는, 도면 중 참조 부호 5703g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도인 Value가 0.5인 "TeamA"라는 viewPoint를 갖는다. 또한, 서브세그먼트(5702a)는, 도면 중 5704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ediaTime 정보도 갖는다.
또한, 서브세그먼트(5702f)는, 도면 중 참조 부호 5703h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도인 Value가 0.8인 "TeamA"라는 viewPoint를 갖는다. 또한, 서브세그먼트(5702f)는, 도면 중 참조 부호 5704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ediaTime 정보도 갖는다.
이와 같이, 도 57 내지 도 59에 나타내는 기술예에서는, 세그먼트 구조 중 PointOfView가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세그먼트 구조와 PointOfView 구조를 나눈 기술예에 대하여 도 60, 도 6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0, 61은 실시예 10에 따른 세그먼트의 기술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00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d가 "FootBallGame"이라는 세그먼트 구조와, PointOfView 구조(6005, 6008)를 갖는다. 이 "FootBallGame"이라는 id를 갖는 세그먼트 구조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0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6001로 나타내는 서브세그먼트는 id가 "seg1"라는 서브세그먼트(6004a)와, id가 "seg2"라는 서브세그먼트(6004b)와, id가 "seg20"이라는 서브세그먼트(6004c)를 갖는다.
그리고, 서브세그먼트(6002a)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004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ediaTime 정보를 갖는다. 또한, 서브세그먼트(6002b)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004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ediaTime 정보를 갖는다. 서브세그먼트(6002c)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004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ediaTime 정보를 갖는다.
서브세그먼트(6001)도, 도면 중 참조 부호 6004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MediaTime 정보를 갖는다.
한편, PointOfView 구조(6005)는 "TeamA"라는 PointOfView를 갖는다. 그리고, PointOfView 구조(6005)는, 세그먼트 참조 정보(6006a∼600c)를 갖는다. 세그먼트 참조 정보(6006a)는 Value로서 0.3을 갖고, 세그먼트에의 참조 정보 idref는 "seg1"이다. 세그먼트 참조 정보(6006b)는 Value로서 0.5를 갖고, 세그먼트에의 참조 정보 idref는 "seg2"이다. 세그먼트 참조 정보(6006c)는 Value로서 0.8을 갖고, 세그먼트에의 참조 정보 idref는 "seg20"이다.
또한, PointOfView 구조(6008)는 "TeamB"라는 PointOfView를 갖는다. 그리고, PointOfView 구조(6008)는 세그먼트 참조 정보(6009a, 600b)를 갖는다. 세그먼트 참조 정보(6009a)는 Value로서 0.7을 갖고, 세그먼트에의 참조 정보 idref는 "seg1"이다. 세그먼트 참조 정보(6009b)는 Value로서 0.2를 갖고, 세그먼트에의 참조 정보 idref는 "seg20"이다.
이와 같이, 실시예 10에 있어서도, PointOfView가 세그먼트의 id를 참조하는 정보를 갖고 있기 때문에, 세그먼트 구조와 PointOfView 구조를 나눌 수 있다.
(실시예 11)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세그먼트에 대하여 관점(키워드)을 부여하여, 이 관점을 이용하여 세그먼트를 추출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추출한 복수의 세그먼트를 그룹화하여, 다이제스트를 작성하고 있다.
실시예 11은 이 다이제스트에 대하여 관점(키워드)을 부여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관점을 이용하여 다이제스트의 추출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실시예 11에 따른 다이제스트에 대하여, 도 62 내지 도 6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다이제스트(도면 중에서는 HierarchicalSummary라고 기술)의 정의에 대하여 도 62, 6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620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HierarchicalSummary의 타입이 선언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중 참조 부호 62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HierarchicalSummary는, HierarchicalSummary의 관점(키워드) 리스트인 SummaryThemeList를 요소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620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HierarchicalSummary는 HierarchicalSummary가 어떤 세그먼트 구성이 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인 HighlightLevel을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620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HierarchicalSummary는 summaryComponentList를 속성으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SummaryComponentList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20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HierarchicalSummary가 어떠한 구성인지를 나타내는 summaryComponentListType를 계승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SummaryComponentListType는 리스트로서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keyFrames, 비디오 클립 구성을 나타내는 keyVideoClips, 오디오 클립 구성을 나타내는 keyAudeoClips, 테마의 구성을 나타내는 keyThemes나 제약 조건을 나타내는 unconstrained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HierarchicalSummary의 관점(키워드) 리스트인 SummaryThemeList의정의에 대하여 도 6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640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ThemeList의 타입이 선언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중 참조 부호 64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ThemeList는 HierarchicalSummary의 관점인 SummaryTheme을 요소로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SummaryTheme는 텍스트 정보이며, 언어 정보도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640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Theme는 식별자인 id를 속성으로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640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mmaryTheme는 상위 계층의 다른 SummaryTheme에의 참조 정보인 parentId를 갖는다고 정의되어 있다.
이와 같이, SummaryTheme를 계층화한 표현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HierarchicalSummary가 어떠한 세그먼트 구성으로 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인 HighlightLevel의 정의에 대하여 도 6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650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HighlightLevel은 선언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중 참조 부호 65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HighlightLevel은 HierarchicalSummary에 포함되는 세그먼트 정보인 HighlightSegment를 요소로서 갖는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650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HighlightLevel은 HighlightLevel을 요소로서 갖는다. 이것에 의해, HighlightLevel의 하위 계층에 HighlightLevel을 갖게 할 수 있게 되어, HighlightLevel을 재귀적인 구성으로 할수 있다.
또한, HighlightLevel은, 도면 중 참조 부호 6503∼650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HighlightLevel의 이름 정보인 name와, HighlightLevel의 우선도 정보인 level과, HighlightLevel의 길이 정보인 duration과, 어떤 SummaryTheme에의 참조 정보인 themeIds를 속성으로서 갖는다.
이와 같이 하여, HighlightLevel을, SummaryTheme에 대하여 링크시킬 수 있다.
다음에, HierarchicalSummary의 정의에 근거해서 작성된 SummaryTheme의 구체예에 대하여, 도 6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SummaryThemeList(6600)에는, SummaryTheme(660la∼660lf)가 포함된다.
SummaryTheme(6601a)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2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어로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SummaryTheme(6601a)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3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tem0"이라는 id를 갖는다. 또한, SummaryTheme(6601a)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4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baseball"이라는 내용이다.
또한, SummaryTheme(6601b)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2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어로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SummaryTheme(6601b)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3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tem01"이라는 id를 갖는다. 또한, SummaryTheme(6601b)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4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home run"이라는 내용이다. 그리고, SummaryTheme(6601b)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5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tem0"라는 parentID를 갖는다. 즉,SummaryTheme(6601b)는 SummaryTheme(6601a)의 하위 계층에 위치하는 SummaryTheme이다.
또한, SummaryTheme(6601c)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2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어로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SummaryTheme(6601c)은, 도면 중 참조 부호 6603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tem1"이라는 id를 갖는다. 또한, SummaryTheme(6601c)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4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basketball"이라는 내용이다. 그리고, SummaryTheme(6601a)는 "item0"이라는 parentID를 갖는다.
또한, SummaryTheme(6601d)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2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어로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SummaryTheme(6601d)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3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tem11"이라는 id를 갖는다. 또한, SummaryTheme(6601d)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4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three-pointer"라는 내용이다. 그리고, SummaryTheme(6601d)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5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tem1"이라는 parentID를 갖는다. 즉, SummaryTheme(6601d)는 SummaryTheme(6601c)의 하위 계층에 위치하는 SummaryTheme이다.
또한, SummaryTheme(6601e)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2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어로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SummaryTheme(6601e)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3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tem12"라는 id를 갖는다. 또한, SummaryTheme(6601e)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4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lamdunk"라는 내용이다. 그리고, SummaryTheme(6601e)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5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tem1"이라는 parentID를 갖는다. 즉, SummaryTheme(6601e)는 SummaryTheme(6601c)의 하위 계층에 위치하는 SummaryTheme이다.
또한, SummaryTheme(6601f)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2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어로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SummaryTheme(6601f)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3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tem2"라는 id를 갖는다. 또한, SummaryTheme(6601f)는, 도면 중 참조 부호 6604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soccer"라는 내용이다.
이와 같이, SummaryTheme가 parentID를 가짐으로써 다른 SummaryTheme에 대하여 링크할 수 있다. 또한, SummaryTheme끼리를 계층화하여 링크시킬 수 있다.
다음에, SummaryThemeList를 이용한 HierarchicalSummary의 기술예에 대하여 도 6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670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keyThemesSummary001"이라는 이름을 갖는 HierarchicalSummary가 선언되어 있다.
그리고, HierarchicalSummary는, SummaryThemeList(6701)와, "Summary001"라는 이름의 HighlightLevel(6702a)과, "Summary002"라는 이름의 HighlightLevel(6702b)로 구성되어 있다.
SummaryThemeList(6701)는 "slam dunk"라는 SummaryTheme(6703a)을 갖는다. 또한, SummaryTheme(6703a)은, "E0"이라는 id를 갖는다. 또한, SummaryThemeList(6701)는 "3-point shots"이라는 SummaryTheme(6703b)을 갖는다.또한, SummaryTheme(6703b)은, "E1"이라는 id를 갖는다.
한편, HighlightLevel(6702a)은, 도면 중 참조 부호 6704a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세그먼트 구성을 하고 있다. 그리고, HighlightLevel(6702a)은, 도면 중 참조 부호 6705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E0"라는 themeIds를 갖는다. 즉, HighlightLevel(6702a)은 "E0"이라는 id를 갖는 SummaryTheme(6703a)에 링크하고 있다. 따라서, HighlightLevel(6702a)은 "slam dunk"이라는 SummaryTheme을 갖는다.
또한, HighlightLevel(6702b)은, 도면 중 참조 부호 6704b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세그먼트 구성을 하고 있다. 그리고, HighlightLevel(6702b)은, 도면 중 참조 부호 6705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E1"이라는 themeIds를 갖는다. 즉, HighlightLevel(6702b)은, "E1"이라는 id를 갖는 SummaryTheme(6703b)에 링크하고 있다. 따라서, HighlightLevel(6702b)은 "3-point shots"이라는 SummaryTheme을 갖는다.
이와 같이 하여, HierarchicalSummary에 SummaryTheme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HighlightLevel과 SummaryTheme를 링크시킬 수 있다. 따라서, HighlightLevel과 SummaryTheme을 다른 구성으로 나누어 기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 있어서, 사용자 프레퍼런스는 사용자의 이용 이력이나 구매 이력, 이벤트 이력, 미리 준비된 템플레이트 등 무엇이라도 좋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 있어서, 사용자 프레퍼런스에 있어서의 컨텐츠 식별자, 시간 길이, 키워드, 우선도 또는 키워드의 우선 관계의 기술 방법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 있어서, 단말 프레퍼런스는 구체적인, 단말의 종류나 단말의 능력값이 아니라, 단말의 카테고리(예컨대, PC용, 휴대 단말용 등)를 대표하는 ID 등이라도 좋다. 또한 단말 프레퍼런스는 단말에 의해서 일의로 결정하여도 좋고,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버전 업에 의해서 갱신되어도 좋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 있어서, 데이터는 오디오·비디오나 문서 이외의 데이터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에 있어서, 사용자 적응 제어부는 사용자 프레퍼런스를 갱신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같은 컨텐츠에 대하여 다른 복수의 사용자 기호 기술을 갖는 것도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서, 세그먼트 및 서브세그먼트의 계층은 1 이상 몇 개라도 좋다.
또한, 실시예 2에 있어서, 사용자 프레퍼런스, 단말 프레퍼런스, 네트워크 프레퍼런스는 단말 측이 아니라, 서버 측 또는 완전히 별도의 관리 사이트에 있어도 좋다. 또한, 네트워크 프레퍼런스는 단말이 계약하는 서비스에 의해서 일의로 결정하여도 좋고, 단말과 서버 사이의 통신 상태에 의해 일의 또는 동적으로 결정하여도 좋다.
또, 상술한 본 발명의 각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의 동작을 프로그램화로 하여,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하여, 컴퓨터를 이용하여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 부분의 동작을 실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각 부분의 기능을 발휘하는 전용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하여도 관계없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각 부분의 모두 또는 일부의 동작을 컴퓨터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이라는 형태를 채용하여도 좋다.
본 명세서는, 1999년 12월 3일 출원된 특허 출원 평성 제11-344476호 및 2000년 3월 10일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00-066531호에 근거한다. 이들의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에, 사용자의 기호 정보를 사용자 프레퍼런스로서 컨텐츠마다 갖게 하여, 사용자 프레퍼런스에 의해서 데이터의 세그먼트를 선택하고, 세그먼트의 우선도와 단말 능력에 근거하여 해상도 변환을 행함으로써 컨텐츠마다 사용자가 보고 싶은 형태로 데이터 적응을 할 수 있다.
제 2 에, 네트워크를 거쳐서 컨텐츠를 배신할 때에 네트워크의 전송 대역의 정보를 네트워크 프레퍼런스로서 취득하여, 세그먼트의 우선도와 전송 대역에 따라 데이터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형태로 또한, 네트워크의 상태에 맞춰 스케일러블하게 데이터 적응을 행할 수 있다.

Claims (30)

  1.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취득하는 컨텐츠 데이터 취득부와,
    사용자의 기호에 관한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를 취득하는 사용자 프레퍼런스 취득부와,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해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에 적응시키는 사용자 적응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세그먼트로부터 임의의 상기 세그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관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점에는, 상기 사용자 관점마다 사용자 우선도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세그먼트마다 부여된 상기 세그먼트의 내용을 나타내는 세그먼트 관점과, 상기 세그먼트 관점마다 부여된 세그먼트 우선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적응부는, 상기 메타 데이터로부터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세그먼트 관점과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관점을 비교하여, 합치한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갖는 상기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적응부는, 상기 메타 데이터로부터 상기 세그먼트 관점과 상기 세그먼트 우선도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세그먼트 관점과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관점을 비교하여, 합치한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갖는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를 상기 세그먼트 우선도가 높은 순서대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세그먼트마다 부여된 세그먼트의 내용을 나타내는 세그먼트 관점과, 상기 세그먼트 관점마다 부여된 세그먼트 우선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적응부는, 상기 메타 데이터로부터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세그먼트 관점을 제 1 사용자 우선도가 부여된 제 1 사용자 관점에서 상기 제 1 사용자 우선도보다 낮은 상기 사용자 우선도인 제 2 사용자 우선도가 부여된 제 2 사용자 관점의 순서로 비교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관점과 합치한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갖는 상기 세그먼트를 추출한 후에, 상기 제 2 사용자 관점을 갖는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갖는 상기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 시간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적응부는, 상기 표시 시간 길이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 내에서 표시할 수 있는 수의 상기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 공간 범위 정보 또는 표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적응부는, 상기 표시 공간 범위 정보 또는 상기 표시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 범위 내에서 표시할 수 있는 수의 상기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같은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갖는 상기 세그먼트가 복수 있는경우, 상기 같은 세그먼트 관점을 갖는 상기 세그먼트 중 하나에 상기 같은 세그먼트 관점을 부가하여, 상기 같은 세그먼트 관점을 갖는 그 밖의 상기 세그먼트에 대하여 상기 같은 세그먼트 관점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적합화 장치.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포함되는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에 부여된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일괄시킨 세그먼트 관점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관점은, 상기 세그먼트 관점과 대상이 되는 상기 세그먼트를 대응시키는 링크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세그먼트와 대상이 되는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대응시키는 링크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에 적응시킨 상기 컨텐츠에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단말의 처리 능력인 단말 정보를 취득하는 단말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적응시킨 컨텐츠를, 상기 단말 정보에 따라 해상도 변환을 행하는 해상도 변환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에 적응시킨 상기 컨텐츠를 네트워크로 출력하는 네트워크 출력부와,
    상기 네트워크의 전송 대역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정보를 취득하는 네트워크 정보 취득부와,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서 송신하는 상기 적응시킨 컨텐츠의 데이터량을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따라 조정하는 네트워크 적응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는, 본 장치 내에 미리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는,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에 적응시킨 상기 컨텐츠에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거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는, 상기 데이터의 컨텐츠 식별자마다 관리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적합화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는, XML의 DTD에 의해서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적합화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는, XML Schema에 의해서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적합화 장치.
  24.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기호에 관한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에 적응시키는 사용자 적응 단계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세그먼트로부터 임의의 상기 세그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관점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세그먼트마다 부여된 세그먼트의 내용을 나타내는 세그먼트 관점과 상기 세그먼트 관점마다 부여된 세그먼트 우선도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적응 단계는, 상기 메타 데이터로부터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세그먼트 관점과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관점을 비교하여, 합치한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갖는 상기 세그먼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적합화 방법.
  26. 컨텐츠를 유지하는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거쳐서 단말 장치로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메타 데이터의 세그먼트마다 부여된 상기 세그먼트의 내용을 나타내는 세그먼트 관점과, 상기 단말 장치에 미리 유지된 사용자의 기호에 관한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컨텐츠의 세그먼트로부터 임의의 상기 세그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관점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한 결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비교한 결과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선택한 세그먼트를 상기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데이터 적합화 방법.
  27. 컴퓨터에,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취득시키는 단계와,
    사용자의 기호에 관한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를 취득시키는 단계와,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에 적응시키는 사용자 적응 단계
    를 구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세그먼트로부터 임의의 상기 세그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관점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세그먼트마다 부여된 세그먼트의 내용을 나타내는 세그먼트 관점과 상기 세그먼트 관점마다 부여된 세그먼트 우선도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적응 단계는, 컴퓨터에, 상기 메타 데이터로부터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추출시켜, 상기 추출한 세그먼트 관점과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관점을 비교시켜, 합치한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갖는 상기 세그먼트를 추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29. 컴퓨터에,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취득시키는 단계와,
    사용자의 기호에 관한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를 취득시키는 단계와,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에 적응시키는 사용자 적응 단계
    를 구비한 프로그램.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세그먼트로부터 임의의 상기 세그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관점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세그먼트마다 부여된 세그먼트의 내용을 나타내는 세그먼트 관점과 상기 세그먼트 관점마다 부여된 세그먼트 우선도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적응 단계는, 컴퓨터에, 상기 메타 데이터로부터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추출시켜, 상기 추출한 세그먼트 관점과 상기 사용자 프레퍼런스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관점을 비교시켜, 합치한 상기 세그먼트 관점을 갖는 상기 세그먼트를 추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2-7007103A 1999-12-03 2000-11-29 데이터 적합화 장치, 데이터 적합화 방법, 기억 매체 및프로그램 KR100441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44476 1999-12-03
JP34447699 1999-12-03
JPJP-P-2000-00066531 2000-03-10
JP2000066531 2000-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983A true KR20020060983A (ko) 2002-07-19
KR100441704B1 KR100441704B1 (ko) 2004-07-27

Family

ID=2657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103A KR100441704B1 (ko) 1999-12-03 2000-11-29 데이터 적합화 장치, 데이터 적합화 방법, 기억 매체 및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66653B2 (ko)
EP (2) EP1246070A4 (ko)
JP (2) JP4741133B2 (ko)
KR (1) KR100441704B1 (ko)
CN (1) CN100437528C (ko)
AU (1) AU1648501A (ko)
WO (1) WO20010409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653B1 (ko) * 2005-08-22 2007-01-24 주식회사 텔레칩스 메타 데이터 검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0925A1 (en) * 2000-03-28 2002-08-29 Logan James D.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JP2001333353A (ja) * 2000-03-16 2001-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該データ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7134074B2 (en) 1998-12-25 2006-11-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an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data processing method
JP3966503B2 (ja) * 2002-05-30 2007-08-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ンテンツ再生制御装置、データ管理装置、蓄積型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制御データ送信サーバ、プログラム
US7251697B2 (en) * 2002-06-20 2007-07-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structured streaming of an XML document
WO2004023358A1 (en) * 2002-09-09 2004-03-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ata network,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US7103591B2 (en) * 2002-12-02 2006-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describing business and technology information for utilization
JP2004234158A (ja) * 2003-01-29 2004-08-1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コンテンツ情報管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745995B1 (ko) * 2003-06-04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DE10339498B4 (de) * 2003-07-21 2006-04-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dateiformatumwandlung
PL1647010T3 (pl) * 2003-07-21 2018-02-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posób konwersji formatu pliku audio
JP2005071227A (ja) * 2003-08-27 2005-03-17 Sony Corp メタデータ流通管理システム,メタデータ流通管理装置,個人別メタデータ管理装置,クライアント端末,メタデータ流通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1744556A4 (en) * 2004-03-29 2012-10-24 Panasonic Corp ACCUMULATION DISPLAY DEVICE, LOCKED DISPLAY PROCESS AND SYSTEM
KR100664306B1 (ko) * 2004-10-29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유효성 검증을 위한 예방 통제 데이터 생성 및검증 장치 및 방법
US7577665B2 (en) * 2005-09-14 2009-08-18 Jumptap, Inc. User characteristic influenced search results
US8311888B2 (en) 2005-09-14 2012-11-13 Jumptap, Inc. Revenue models associated with syndication of a behavioral profile using a monetization platform
US8364521B2 (en) 2005-09-14 2013-01-29 Jumptap, Inc. Rendering targeted advertisement on mobile communication facilities
US8503995B2 (en) 2005-09-14 2013-08-06 Jumptap, Inc. Mobile dynamic advertisement creation and placement
US7769764B2 (en) 2005-09-14 2010-08-03 Jumptap, Inc. Mobile advertisement syndication
US20110145076A1 (en) * 2005-09-14 2011-06-16 Jorey Ramer Mobile Campaign Creation
US20070061242A1 (en) * 2005-09-14 2007-03-15 Jorey Ramer Implicit searching for mobile content
US9076175B2 (en) 2005-09-14 2015-07-07 Millennial Media, Inc. Mobile comparison shopping
US8989718B2 (en) 2005-09-14 2015-03-24 Millennial Media, Inc. Idle screen advertising
US8819659B2 (en) 2005-09-14 2014-08-26 Millennial Media, Inc. Mobile search service instant activation
US7702318B2 (en) 2005-09-14 2010-04-20 Jumptap, Inc. Presentation of sponsored content based on mobile transaction event
US20110153428A1 (en) * 2005-09-14 2011-06-23 Jorey Ramer Targeted advertising to specified mobile communication facilities
US8229914B2 (en) 2005-09-14 2012-07-24 Jumptap, Inc. Mobile content spidering and compatibility determination
US7912458B2 (en) 2005-09-14 2011-03-22 Jumptap, Inc. Interaction analysis and prioritization of mobile content
US20110313853A1 (en) 2005-09-14 2011-12-22 Jorey Ramer System for targeting advertising content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facilities
US9201979B2 (en) 2005-09-14 2015-12-01 Millennial Media, Inc. Syndication of a behavioral profile associated with an availability condition using a monetization platform
US7660581B2 (en) 2005-09-14 2010-02-09 Jumptap, Inc. Managing sponsored content based on usage history
US8131271B2 (en) 2005-11-05 2012-03-06 Jumptap, Inc. Categorization of a mobile user profile based on browse behavior
US8666376B2 (en) 2005-09-14 2014-03-04 Millennial Media Location based mobile shopping affinity program
US8364540B2 (en) 2005-09-14 2013-01-29 Jumptap, Inc. Contextual targeting of content using a monetization platform
US8195133B2 (en) 2005-09-14 2012-06-05 Jumptap, Inc. Mobile dynamic advertisement creation and placement
US8209344B2 (en) 2005-09-14 2012-06-26 Jumptap, Inc. Embedding sponsored content in mobile applications
US9058406B2 (en) 2005-09-14 2015-06-16 Millennial Media, Inc. Management of multiple advertising inventories using a monetization platform
US8812526B2 (en) 2005-09-14 2014-08-19 Millennial Media, Inc. Mobile content cross-inventory yield optimization
US9703892B2 (en) 2005-09-14 2017-07-11 Millennial Media Llc Predictive text completion for a mobile communication facility
US9471925B2 (en) 2005-09-14 2016-10-18 Millennial Media Llc Increasing mobile interactivity
US7676394B2 (en) 2005-09-14 2010-03-09 Jumptap, Inc. Dynamic bidding and expected value
US8688671B2 (en) 2005-09-14 2014-04-01 Millennial Media Managing sponsored content based on geographic region
US8156128B2 (en) 2005-09-14 2012-04-10 Jumptap, Inc. Contextual mobile content placement on a mobile communication facility
US10038756B2 (en) 2005-09-14 2018-07-31 Millenial Media LLC Managing sponsored content based on device characteristics
US10592930B2 (en) 2005-09-14 2020-03-17 Millenial Media, LLC Syndication of a behavioral profile using a monetization platform
US8302030B2 (en) 2005-09-14 2012-10-30 Jumptap, Inc. Management of multiple advertising inventories using a monetization platform
US7752209B2 (en) 2005-09-14 2010-07-06 Jumptap, Inc. Presenting sponsored content on a mobile communication facility
US10911894B2 (en) 2005-09-14 2021-02-02 Verizon Media Inc. Use of dynamic content generation parameters based on previous performance of those parameters
US8532633B2 (en) 2005-09-14 2013-09-10 Jumptap, Inc. System for targeting advertising content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facilities
US8238888B2 (en) 2006-09-13 2012-08-07 Jumptap,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obile coupon placement
US8832100B2 (en) 2005-09-14 2014-09-09 Millennial Media, Inc. User transaction history influenced search results
US8615719B2 (en) 2005-09-14 2013-12-24 Jumptap, Inc. Managing sponsored content for delivery to mobile communication facilities
US8103545B2 (en) 2005-09-14 2012-01-24 Jumptap, Inc. Managing payment for sponsored content presented to mobile communication facilities
US8805339B2 (en) 2005-09-14 2014-08-12 Millennial Media, Inc. Categorization of a mobile user profile based on browse and viewing behavior
US8660891B2 (en) 2005-11-01 2014-02-25 Millennial Media Interactive mobile advertisement banners
US8175585B2 (en) 2005-11-05 2012-05-08 Jumptap, Inc. System for targeting advertising content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facilities
KR101366805B1 (ko) * 2006-05-30 201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관심 사항에 기초한 이동 통신 장치의애플리케이션의 런칭 패드 장치 및 구동 방법
WO2008072753A2 (en) * 2006-12-12 2008-06-19 Panasonic Corporation Content information outputting apparatus, content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content information outputting method, content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KR100964013B1 (ko) * 2007-11-09 2010-06-15 광주과학기술원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데이터 변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CN104394487B (zh) 2010-03-05 2018-02-06 三星电子株式会社 基于文件格式生成和再现自适应流的方法和装置
EP2614654B1 (en) * 2010-09-07 2018-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ifest mechanism in broadcast involved system
US8782519B1 (en) * 2011-10-27 2014-07-15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rchiving and displaying lengthy documents based on content priority levels
US20130127920A1 (en) * 2011-11-22 2013-05-23 Sap Portals Israel Ltd. Focusing on Contextually-Relevant Content
US9172999B2 (en) * 2012-08-08 2015-10-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Behavioral keyword identification based on thematic channel viewing
US8774596B2 (en) * 2012-12-10 2014-07-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Context driven video prioritization and bookmarking
KR102249978B1 (ko) 2013-12-03 2021-05-11 소니 주식회사 수신 장치
US9608876B2 (en) 2014-01-06 2017-03-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ally adjusting brand and platform interface elements
US9501808B2 (en) 2014-01-06 2016-11-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vision of processing between systems based on business constraints
US9483811B2 (en) 2014-01-06 2016-11-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vision of processing between systems based on external factors
JP7529950B2 (ja) 2020-11-25 2024-08-07 株式会社Nttドコモ 情報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4678A (en) * 1993-01-11 1995-07-18 Abecassis; Max Seamless transmission of non-sequential video segments
JPH07152668A (ja) 1993-11-26 1995-06-16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方法
JPH0946689A (ja) * 1995-07-28 1997-02-14 Hitachi Ltd 映像ソフト紹介システムおよび映像ソフト紹介方法
JPH09128405A (ja) 1995-10-31 1997-05-16 Toshiba Corp 文書検索方法及び文書検索装置
TW347498B (en) * 1996-09-30 1998-12-11 Casio Computer Co Ltd Information supply system
US7055166B1 (en) * 1996-10-03 2006-05-30 Gotuit Media Corp. Apparatus and methods for broadcast monitoring
US20020120925A1 (en) * 2000-03-28 2002-08-29 Logan James D.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JP3814903B2 (ja) * 1996-12-25 2006-08-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データ表示方法及び装置
JP3803189B2 (ja) * 1998-01-07 2006-08-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番組情報編成装置
JP3274393B2 (ja) 1997-09-22 2002-04-15 株式会社ディジタル・ビジョン・ラボラトリーズ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データ配信方法、および、配信用データ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11126205A (ja) 1997-10-22 1999-05-11 Fujitsu Ltd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記憶媒体
JPH11134364A (ja) 1997-10-31 1999-05-21 Omron Corp 体系化知識解析方法及び装置並びに分類方法及び装置
JP3208116B2 (ja) * 1998-02-03 2001-09-10 株式会社次世代情報放送システム研究所 映像インデックス情報を記録した記録媒体、映像インデックス情報を用いた映像情報管理方法、音声インデックス情報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音声インデックス情報を用いた音声情報管理方法
JPH11242687A (ja) * 1998-02-26 1999-09-07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実時間連続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11288403A (ja) 1998-04-03 1999-10-19 Toshiba Corp 分散ネットワーク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同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情報交換装置、情報交換方法、及び記憶媒体
US6356902B1 (en) * 1998-07-28 2002-03-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torage and retrieval of multimedia objects
JP2000066531A (ja) 1998-08-25 2000-03-03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487566B1 (en) * 1998-10-05 2002-1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forming documents using pattern matching and a replacement language
JP3551045B2 (ja) * 1998-11-02 2004-08-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送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2001333353A (ja) 2000-03-16 2001-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該データ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6470378B1 (en) * 1999-03-31 2002-10-22 Intel Corporation Dynamic content customization in a clientserver environment
KR100319157B1 (ko) * 1999-09-22 2002-01-05 구자홍 사용자 프로파일의 복합항목 사용자 선호도 정보 자료구조와 복합항목 사용자 선호도 정보 자료구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트 필터링 및 검색 방법
US7882520B2 (en) * 2000-12-20 2011-02-01 Tivo Inc. Broadcast program recording overrun and underrun scheduling system
JP3810268B2 (ja) * 2000-04-07 2006-08-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システム
US7334249B1 (en) * 2000-04-26 2008-02-1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ltering digital video images
US8302127B2 (en) * 2000-09-25 2012-10-30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TV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653B1 (ko) * 2005-08-22 2007-01-24 주식회사 텔레칩스 메타 데이터 검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46070A1 (en) 2002-10-02
WO2001040953A1 (fr) 2001-06-07
US20020184622A1 (en) 2002-12-05
KR100441704B1 (ko) 2004-07-27
JP4879358B2 (ja) 2012-02-22
CN100437528C (zh) 2008-11-26
EP1950673A3 (en) 2010-01-20
US8266653B2 (en) 2012-09-11
CN1433546A (zh) 2003-07-30
JP2011181075A (ja) 2011-09-15
JP4741133B2 (ja) 2011-08-03
EP1950673A2 (en) 2008-07-30
EP1246070A4 (en) 2004-08-18
AU1648501A (en) 2001-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704B1 (ko) 데이터 적합화 장치, 데이터 적합화 방법, 기억 매체 및프로그램
US106094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lackout recording and summary information
JP6266818B2 (ja) 双方向メディアガイダンスアプリケーションにおいてメディアを取得、分類、および配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2341795B (zh) 用于增强用户界面屏幕的方法、装置和系统
US8234271B2 (en) Integrated media content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the customization of metadata that is associated therewith
JP4363806B2 (ja)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プログラム管理システム及び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プログラム管理方法
US9582582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updating recommendation display information containing a content list
KR101247174B1 (ko) Tv 채널 리스트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30004934A1 (en) Creating and managing portable user preferences for personalizion of media consumption from device to device
CN1398484A (zh) 为一个节目推荐器自动生成查询搜索项的方法和装置
US200300512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several EPG sources to one reliable EPG
CN1600022A (zh) 向用户介绍推荐理由的媒体推荐器
US8875186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recommended broadcast program
CN1739106A (zh) 使用其他人简档的个人化推荐器简档修改
JP2005539307A (ja) メディア・システムの関心プロファイルの適合化
CN104144357B (zh) 视频播放方法和系统
JP200505636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20130039883A (ko)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291953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mosaic management
US20070162412A1 (en) System and method using alphanumeric codes for the identification, description, classification and encoding of information
US20070022440A1 (en) Program recommendation via dynamic category creation
US20090025034A1 (en) Personal television guide
US1065006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ggregating data from webpages using path attributes
JP2002007460A (ja) コンテンツ選択装置、コンテンツ選択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100872231B1 (ko) Vod 서비스망에서 채널 정보 파일 미포함 vod 컨텐츠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