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0267A - 볼펜용 잉크 및 볼펜 - Google Patents

볼펜용 잉크 및 볼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0267A
KR20020060267A KR1020027007795A KR20027007795A KR20020060267A KR 20020060267 A KR20020060267 A KR 20020060267A KR 1020027007795 A KR1020027007795 A KR 1020027007795A KR 20027007795 A KR20027007795 A KR 20027007795A KR 20020060267 A KR20020060267 A KR 20020060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water
ballpoint pen
tip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루 미야모토
시게루 미야자키
다케우치요지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미쓰비시 펜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미쓰비시 펜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60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26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16Writing inks
    • C09D11/18Writing inks specially adapted for ball-point writing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0.64∼1.6mg/cm2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볼펜에 있어서, 지면에 전사된 잉크의 속건성과 팁의 선단의 비건조성을 양립시키면서, 글씨 쓸 때 감촉도 좋게 하기 위해, 볼펜용 잉크 중의 물의 함유량을 30.0∼80.0 중량%의 범위로 조정하고, 휘발억제 물질의 함유량을 0.1∼10.0 중량%의 범위로 조정하며,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의 함유량을 1.0∼40.0 중량% 범위로 조정한다.

Description

볼펜용 잉크 및 볼펜 {INK FOR BALL PEN AND BALL PEN}
종래부터, 여러가지의 볼펜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용제로서 물 또는 수용성 용매를 사용하는 동시에, 착색제로서 염료 또는 안료를 사용한 잉크(이하, 「수성 잉크」라 한다.)를 충전한 볼펜(이하, 「수성 볼펜」이라 한다.)이 제공되고 있다.
이 수성 볼펜은, 잉크의 점성이 낮기 때문에, 낮은 필기압으로 필기할 수가 있어 글씨 쓸 때 촉감이 원활하다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반면,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팁의 선단으로부터 잉크가 누출하여버리는 현상(이하, 「직류현상」이라 한다.)이나 팁의 선단으로부터 팁의 내부에 공기를 끌어 넣게 되는 현상(이하, 「역류현상」이라 한다.)을 일으키기 쉬운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수성 볼펜은 그린 선이 번지기 쉽다는 결점도 가지고 있다.
한편, 용제로서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동시에, 착새제로서 염료 또는 안료를사용한 잉크(이하, 「유성 잉크」라 한다.)를 충전한 볼펜(이하, 「유성 볼펜」이라 한다.)도 제공되고 있다.
이 유성 볼펜은 잉크의 점성이 높기 때문에, 수성 볼펜에 보이는 것 같은 같은 결점은 가지고 있지 않지만, 필기를 위해 높은 필기압을 필요로 하여, 글씨 쓸 때 촉감이 무겁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유성 볼펜은, 팁의 선단이나 지면(紙面)을 잉크의 덩어리로 더럽히는 현상(아하, 「보테현상」이라 한다.)을 일으키기 쉽다는 결점도 가지고 있다.
또, 최근에는, 용제로서 물 또는 수용성 용매를 이용하는 동시에, 착색제로서 염료 또는 안료를 사용하고, 다시, 의소성화제(擬塑性化劑)를 첨가함에 의해 의소성을 가지게 한 잉크(이하, 「수성 겔잉크」라 한다.)를 충전한 볼펜(이하, 「수성 겔잉크 볼펜」이라 한다.)이 제공되고 있다.
의소성이란, 정지(靜止)상태에 있어서는 비유동성을 나타내지만, 전단력이 가해지면 유동성을 나타내는 성질을 말한다.
이 수성 겔잉크는 잉크탱크 내에서는 유성 잉크와 같은 비유동성을 나타내며, 한편, 팁의 선단 근방에서는, 볼의 회전에 의해 전단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수성 잉크와 같은 유동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수성 겔잉크 볼펜은 수성 볼펜이 가지는 잇점과 유성 볼펜이 가지는 잇점을 아울러 가지게 된다. 즉, 이 수성 겔잉크 볼펜은, 낮은 필기압으로 필기할 수 있어, 글씨 쓸 때 촉감이 원활한 동시에, 그린 선이 번지기 어렵고, 보테현상도 일으키기 어려운 것이다.
그런데, 이 수성 겔잉크 볼펜의 제조는, 실제로는 용이하지 않다.
예를 들면, 볼의 직경이 0.5mm의 팁과, 볼의 직경이 0,7mm의 팁에서는 볼과 홀더의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다름과 동시에, 볼의 회전에 의해 잉크에 가해지는 전단력이 다름에 의해, 한편의 팁에 적합한 수성 겔잉크를 다른편의 팁에 사용하면, 직류현상이나 역류현상을 일으키거나 또는 보테현상을 일으키거나 한다.
따라서, 사용하는 팁에 맞추어 수성 겔잉크의 점도 등의 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비교적 굵고 진한 글자를 쓸 수 있는 수성 겔잉크 볼펜(이하, 「굵은 글자 수성 겔잉크 볼펜」이라 한다.)이 요구되고 있다.
이 굵은 글자 수성 겔잉크 볼펜에서는 굵은 글자에 대응하기 위해, 직경이 0.9mm 이상의 볼이 이용된다.
또, 볼의 직경을 크게 한 것 만으로는, 그린 선의 폭은 넓게 할 수 있으나 그린 선의 색이 엷어 보이게 되므로, 이 굵은 글자 수성 겔잉크 볼펜에서는 볼과 홀더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도 비교적 크게 형성된다.
게다가, 이 굵은 글자 수성 겔잉크 볼펜에서는 볼의 직경을 크게 한 만큼과, 볼과 홀더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크게 한 만큼에 걸맞는 정도의 다량의 잉크를 팁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0.64∼1.6mg/cm2정도로 되도록, 팁에 잉크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잉크의 소비량은 종래의 수성 겔잉크 볼펜에 있어서의 잉크 소비량의 1.5배로부터 3배에도 상당하는 것이다.
그런데, 잉크의 소비량을 증대시키면, 지면에 전사된 잉크가 건조하기 어렵게 된다.
때문에, 이 같은 굵은 글자 수성 겔잉크 볼펜에서는, 지면에 전사된 잉크의 속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하여, 잉크 중의 물의 함유량을 비교적 많게 하는 것이 행해진다.
그러나, 잉크 중의 물의 함유량을 비교적 많게 하면, 지면에 잔사된 잉크의 속건성은 향상하나, 한편으로, 팁의 선단이 건조하기 쉬워지는 불합리가 생긴다.
또, 잉크 중의 물의 함유량을 비교적 많게 하면, 볼과 홀더 간의 마찰저항이 커지는 것에 의해서, 글씨 쓸 때 촉감이 나빠지는 불합리도 생긴다.
즉, 지면에 전사된 잉크의 속건성을 향상시키려 하면, 팁의 선단이 건조하기 쉽고, 또 글씨 쓸 때 촉감이 나빠지는 것이다.
그리하여, 지면에 전사된 잉크의 속건성과 팁의 선단의 비속건성과를 양립시키면서 글씨 쓸 때 촉감의 좋음도 유지한다고 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중점도(中粘度) 잉크, 중성 잉크, 겔잉크, 또는 수성 겔잉크 등으로 불리는 볼펜용 잉크, 및 그 볼펜용 잉크를 사용한 볼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잉크의 소비량이 큰 볼펜, 즉, 굵고 진한 글자을 쓰기 위한 볼펜에 사용하는 볼펜용 잉크, 및 그 볼펜용 잉크를 사용한 굵은 글자 용 볼펜에 관한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 중 청구항 1 내지 3에 기재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굵은 글자 수성 겔잉크 볼펜에 사용하는 볼펜용 잉크로서, 지면에 전사된 때의 속건성이 뛰어나고, 또, 팁의 선단을 건조시키기 어려우며, 또한, 글씨 쓸 때 촉감도 좋게 하는 볼펜용 잉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위에, 본 발명 중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굵은 글자 수성 겔잉크 볼펜에 사용하는 볼펜용 잉크로서, 지면에 전사된 잉크가 건조하기 쉽고, 또, 팁의 선단은 건조하기 어려우며, 또한, 글씨 쓸 때 촉감도 좋은 볼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은 굵은 글자 수성 겔잉크 볼펜에 충점하는 볼펜용 잉크에 있어서는, 물의 함유량을 비교적 많게 하는 동시에, 소정량의 휘발억제 물질과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를 첨가함에 의해서, 지면에 전사된 때의 속건성과 팁의 선단의 비건조성을 양립시키고, 또, 글씨 쓸 때 촉감의 좋기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이하에 보이는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0.64∼1.6mg/cm2로 되게 형성돼 있는 볼펜에 사용되는 볼펜용 잉크로서, 물을 30.0∼80.0 중량% 함유하고, 휘발억제 물질을 0.1∼10.0 중량% 함유하며,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를 1.0∼4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란 「단위길이당의 잉크 소비량치」를 「그린 선 폭」으로 나눔에 의해 구해지는 값을 말한다.
또, 「단위길이당의 잉크 소비량치」란 ISO 규격에 의한 단위길이당의 잉크 소비량치를 말한다.
이 단위길이당의 잉크 소비량치는 ISO 규격 14145-1에 준거한 필기시험기를이용하여, 소정의 조건(예를 들면, 필기속도 4.5m/분, 필기각도 60°, 필기부하 100g의 조건)으로 측정할 수가 있다.
또. 굵은 글자 수성 겔잉크 볼펜의 단위길이당의 잉크 소비량치는 300∼750mg/100m 정도가 바람직하다. 단위길이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300mg/100m 이하에서는 그린 선의 색이 엷어 보이게 되고, 한편, 단위길이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750mg/100m 이상에서는 지면에 전사된 잉크가 마르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또, 「그린 선 폭」이란 지면상에 그려지는 선의 폭을 말한다.
이 그린 선 폭은, 지질에 따라 다르나, 예를 들어, ISO 구격 14145-1에 준거한 필기서험 용지에 그린 경우에는, 볼의 직경이 1.0mm이면 0.47mm 정도로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볼의 직경이 1.0mm의 굵은 글자 수성 겔잉크 볼펜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는 0.64∼1.6mg/cm2정도로 된다.
더구나,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0.64∼1.6mg/cm2의 범위에 조정되면, 볼의 직경은, 1.0mm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0.9mm로 하여도 좋고, 또, 1.1mm로 하여도 좋다.
또, 「물」에는, 예를 들어, 증류수나 이온교환수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물의 함유량은, 볼펜용 잉크의 전량에 대하여 30.0∼80.0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물의 함량이 30.0 중양% 이하에서는, 지면에 전사된 때에 매우 건조하기 어렵게 되고, 또, 팁의 선단으로부터의 잉크의 유출량이 저하하게 된다. 한편, 물의 함유량이 80.0 중량% 이상에서는, 팁의 선단이 매우 건조하기 쉬워지고,또, 잉크가 경시적으로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물의 함량을 30.0∼80.0 중량%로 함에 의해, 즉, 물의 함유량을 비교적 많게 함에 의해, 지면에 전사된 때의 속건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 「휘발억제 물질」이란, 볼펜용 잉크 중의 물의 휘발을 억제하기 위한 물질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멀티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원당, 소르비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원당, 환원 올리고 당, 환원 말토올리고 당, 환원 덱스트린, 환원 말토덱스트린,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실사이클로텍스트린, 환원전분당화물, 환원맥아당 등의 화합물을 휘발억제 물질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 휘발억제 물질의 함유량은, 볼펜용 잉크의 전량에 대하여 0.1∼10.0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휘발억제 물질의 함유량이 0.1 중량% 이하에서는, 팁의 선단의 건조를 충분히 방지할 수가 없고, 한편, 휘발억제 물질의 함유량이 10.0 중량% 이상에서는, 지면에 전사된 때에 건조히기 어렵게 되며, 또, 그린 선이 번지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같은 휘발억제 물질은 볼펜용 잉크에 첨가함에 의해, 가령 물의 함유량을 비교적 많게 하여도, 팁의 선단의 건조를 방지할 수가 있다. 즉, 지면에 전사된 잉크의 속건성과 팁의 선단의 비건조성을 양립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란, 휘발하기 어렵고, 또, 물에 용해되기 쉬운 액체의 용매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글리세린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폴리그리셀린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트리메티롤프로판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화합물을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의 함유량은, 볼펜용 잉크의 전량에 대하여 1.0∼40.0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의 함유량이 1.0 중량% 이하에서는 글씨 쓸 때 촉감의 좋음을 충분히 유지할 수가 없고, 또, 잉크가 경시적으로 불안정하게 되며, 한편,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의 함유량이 40.0% 이상에서는, 지면에 전사된 때에 건조하기 어렵게 되고, 또, 팁의 선단으로부터의 잉크의 유출량이 저하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술한 휘발억제 물질에 더하여, 이와 같은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를 볼펜용 잉크에 첨가함에 의해, 가령 물의 함유량을 비교적 많게 하여도, 글씨 쓸 때 촉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즉, 지면에 전사된 잉크의 속건성과 팁의 선단의 비건조성과를 양립시키면서, 글씨 쓸 때 촉감의 좋음을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볼펜용 잉크는 상기의 성분 이외에도, 예를 들어, 착색제, 윤활제, 방부제, 방청제, pH 조정제, 증점제 등을 함유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한 볼펜용 잉크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볼펜용 잉크의 구성에 더하여, 휘발억제 물질이, 멀티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원당, 소르비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원당, 환원 올리고 당, 환원 말토올리고 당, 환원 덱스트린, 환원 말토덱스트린,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실사이클로텍스트린, 환원전분당화물, 환원맥아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함물에 의해서 구성돼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들의 화합물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 휘발억제 물질을 구성하여도 좋고, 또, 이들의 화합물 중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휘발억제 물질을 구성하여도 좋다.
이들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화합물 중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휘발억제 물질을 구성함에 의해, 팁의 선단의 건조를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 중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볼펜용 잉크의 구성에 더하여,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글리세린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폴리그리셀린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트리메티롤프로판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이상의 화합물에 의해서 구성돼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들의 화합물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를 구성하여도 좋고, 또, 이들 화합물 중 2종 이상을 조합하여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를 구성하여도 좋다.
그리하여, 이들의 화합물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화합물 중 2종 이상을 조합하여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를 구성함에 의해, 글씨 쓸 때 감촉의 저하를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0.64∼1.6mg/cm2로 되도록 구성돼 있는 볼펜으로서, 물을 30.0∼80.0 중량% 함유하고, 휘발억제 물질을 0.1∼10.0 중량% 함유하며,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를 1.0∼40.0 중량% 함유하는 볼펜용 잉크가 충전돼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휘발억제 물질」 및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의 의의에 대하여는 위에 기술한 바와 같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물의 함유량이 비교적 많고, 더구나, 소정량의 휘발억제 물질과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를 함유하는 볼펜용 잉크를 충전함에 의해, 지면에 전사된 잉크의 속건성과 팁의 선단의 비건조성을 양립시키면서, 글씨 쓸 때 촉감이도 좋은 볼펜으로 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볼펜용 잉크, 및 그 볼펜용 잉크를 사용한 볼펜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볼펜용 잉크)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볼펜용 잉크는,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0.64∼1.6mg/cm2로 되도록 형성돼 있는 볼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물을 30.0∼80.0 중량% 함유하고, 휘발억제 물질을 0.1∼10.0 중량% 함유하며,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를 1.0∼40.0 중량% 함유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볼펜용 잉크는, 상기 성분 이외에 착색제, 윤활제, 방부제, 방청제, pH 조정제, 증점제 등을 함유한다.
(착색제)
착색제로서는, 종래부터 볼펜용 잉크에 사용되어 온 염료 또는 안료로서, 물에 용해 또는 분산하는 것 모두를 사용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C.I. 애시드 블랙 1, 동 2, 동 24, 동 26, 동 31, 동 52, 동 107, 동 109, 동 110, 동 119, 동 154, C.I. 애시드 옐로 7, 동 17, 동 19, 동 23, 동 25, 동 29, 동 38, 동 42, 동 49, 동 61, 동 72, 동 78, 동 110, 동 141, 동 127, 동 135, 동 142, C.I. 애시드 레드 8, 동 9, 동 14, 동 18, 동 26, 동 27, 동 35, 동 37, 동 51, 동 52, 동 57, 동 82, 동 87, 동 92, 동 94, 동 111, 동 129, 동 131, 동 138, 동 186, 동 249, 동 254, 동 265, 동 276, C.I. 애시드 바이올렛 15, 동 17, C.I. 애시드 블루 1, 동 7, 동 9, 동 15, 동 22, 동 23, 동 25, 동 40, 동 41, 동 43, 동 62, 동 78, 동 83, 동 90, 동 93, 동 103, 동 112, 동 113, 동 158, C.I. 애시드 그린 3, 동 9, 동 16, 동 25, 동 27 등의 산성 염료를 착색제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어 C.I. 베이식 옐로 1, 동 2, 동 21, C.I. 베이식 오린지 2, 동 14, 동 32, C.I. 베이식 레드 1, 동 2, 동 9, 동 14, C.I. 베이식 비이올렛 1, 동 3, 동 7, C.I. 베이식 브라운 12, C.I. 베이식 블랙 2, 동 8 등의 염기성 염료를 착색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어 C.I. 다이렉트 블랙 17, 동 19, 동 22, 동 32, 동 38, 동 51, 동 71, C.I. 다이렉트 옐로 4, 동 26, 동 44, 동 50, C.I. 다이렉트 레드 1, 동 4, 동 23, 동 31, 동 37, 동 39, 동 75, 동 80, 동 81, 동 83, 동 225, 동 226, 동 227, C.I. 다이렉트 블루 1, 동 15, 동 71, 동 86, 동 106, 동 119 등의 직접 염료를 착색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어 산화티탄, 카본블랙, 벤갈라, 산화크롬, 철흑, 코발트블루, 알미나화이트, 산화철황, 비리디언, 황화아연, 리토폰, 카드뮴옐로, 버밀리언, 카드뮴레드, 황연, 몰리브데드오린지, 징크크로메이트, 스트론튬크로메이트, 화이트카본, 클레이, 탤크, 울트라마린, 침강성 황산바륨, 바라이트분, 탄산칼슘, 연백, 감청, 망간바이올렛, 알루미늄분, 스테인레스분, 니켈분, 동분 아연분, 놋쇠분 등의 무기계 안료를 착색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어 아조레이크, 불용성 아조안료, 킬레이트 아조안료, 프탈로시아닌안료, 페릴렌 및 페릴논 안료, 안트라퀴논안료, 퀴나크리돈안료, 염료레이크, 니트로안료, 니트로소안료 등의 유기계 안료, 더 구체적으로는, 프탈로시아닌 블루(C.I. 74160), 프탈로시아닌그린(C.I. 74260), 한자옐로 3G(C.I. 11670), 지스아조옐로 GR(C.I. 21100), 퍼머넌트레드 4R(C.I. 12335), 브릴리언트카민 6B(C.I.15850), 퀴나크리돈레드(C.I. 46500) 등의 유기계 안료를 착새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의 염료 또는 안료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 착새제의 함유량은, 볼펜용 잉크의 전량에 대하여 0.1∼40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착색제의 함유량이 0.1 중량% 이하에서는, 그린 선의 색이 엷게 보이게 되고, 한편, 착색제의 함유량이 40 중량% 이상에서는, 잉크가 경시적으로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또,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글리세린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폴리그리셀린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트리메티롤프로판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화합물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상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의 함유량은 볼펜용 잉크의 전량에 대하여 1.0∼40.0 중량%가 바람직하다.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의 함유량이 1.0 중량% 이하에서는, 글씨 쓸 때 감촉의 좋음을 충분히 유지할 수가 없고, 또, 잉크가 경시적으로 불안정하게 되고, 한편,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의 함유량이 40.0 중량% 이상에서는, 지면에 전사된 때에 건조하기 어려워지고, 또, 팁의 선단으로부터의 잉크의 유출량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휘발억제 물질)
또, 휘발억제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멀티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원당, 소르비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원당, 환원 올리고 당, 환원 말토올리고 당, 환원 덱스트린, 환원 말토덱스트린,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실사이클로덱스트린, 환원전분당화물, 환원맥아당 등의 화합물을 이용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TK-16, TK-17(어느 것이나 상품명, 마쓰타니 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 다이어톨 N, 다이어톨 K(어느 것이나 상품명, 산에이 도카가부시키가이샤 제), 에스이 20, 에스이 58(어느 것이나 상품명, 니켄 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 PO-300, PO-20(어느 것이나 상품명, 도와 가세이가부시키가이샤 제) 등을 휘발억제 물질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의 회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 휘발억제 물질의 함유량은, 볼펜용 잉크의 전량에 대하여 0.1∼10.0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휘발억제 물질의 함유량이 0.1 중량% 이하에서는, 팁의 선단의 건조를 충분히 방지할 수가 없게 되고, 한편, 휘발억제 물질의 함유량이 10.0 중량% 이상에서는, 지면에 전사된 때에 건조하기 어렵게 되며, 또, 그린 선이 번지기 쉽게 되기 때문이다.
(윤활제)
또, 윤활제로서는, 예를 들어 가성칼리바누, 인산에스테르, 리놀산칼륨, 올레인산칼륨, 올레인산나트륨,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캐스터오일,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포름알데히드축합물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방부제)
또,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어 나트륨오마진이나, 1-2벤조이소티아졸린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방청제)
또, 방청제로서는, 예를 들어 사포닌, 톨릴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인산옥틸, 티오인산디옥틸, 이미다졸, 벤조이미다졸,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옥틸옥시메탄포스폰산, 디시클로헥실암모늄·나이트라이트, 디이소프로필암모늄·나이트라이트, 프로파르길알코올, 디알킬티오뇨소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pH 조정제)
또, pH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인산칼륨, 수산화칼슘,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암모니아,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프로필아민, 디프로필아민, 트리포로필아민, 부틸아민, 디부틸아민, 트리부틸아민, 이소부틸아민, 디이소부틸아민, 2-부탄아민, N-(1-메틸프로필)-1-프로판아민, N,N-디메틸부틸아민, 1,2-디메틸프로필아민, N-에틸1,2-디메틸프로필아민, 알릴아민, 디알릴아민, 트리알릴아민, N,N-디메틸알릴아민, N-메틸디알릴아민, 3-펜틸아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히드록시메틸아미노)에탄올, 2-아미노프로판올, 3-아미노프로판올,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N-이소부틸디에탄올아민, 3-메톡시프로필아민, 3-프로필옥시프로필아민, 3-이소프로필옥시프로필아민, 3-부톡시프로필아민 등의 화합물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증점제)
또,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로카스토빈검, 구아검, 알긴산, 알긴산염, 펙틴, 카라기난, 젤라틴, 가제인, 가제인나트륨, 키산탄검, 람잔검, 웨란검, 제란검, 덱스트란, 메틸셀룰로스, 에틸설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덴픈글리콜산나트륨, 라놀린유도체, 키토산유도체, 락트알부민,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그의 유도체, 폴리아크릴산수지, 가교형폴리아크릴수지, 폴리우레탄수지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화합물을 이용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니혼준야쿠가부시키가이샤 제의 준론PW-111(상품명), 와코준야쿠가부시키가이샤 제의 하이비스와코103(상품명), 산쇼가부시키가이샤 제의 KELZAN, KELZAN AR, K1A96, K1A112, 레오잔, K7C233(어느 것이나 상품명), 로누·푸란재팬가부시키가이샤 제의 JAGUAR HP-8, JAGUAR HP-60, RHODOPOL23, RHODOPOL 50MC(어느 것이나 상품명), 다이니폰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제의 에코검GM(상품명) 등을 점증제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물)
또, 물은, 볼펜용 잉크의 성분 중, 상기한 착색제로부터 점증제까지의 성분 이외의 대부분을 점하는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증류수, 또는 이온교환수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물의 함유량은, 볼펜용 잉크의 전량에 대하여 30.0∼80.0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물의 함유량이 30.0 중량% 이하에서는, 지면에 전사된 때에 극히 건조하기 어려워지며, 또, 팁의 선단으로부터의 잉크의 유출량이 저하되고, 한편, 물의 함유량이 80.0 중량% 이상에서는, 팁의 선단이 극히 건조하기 쉬워지며, 또, 잉크가 경시적으로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기타)
또, 상기한 성분 이외에, 예를 들어 안료의 분산제로서 스티렌말레인산의 암모늄염이나, 스티렌아크릴산의 암모늄염 등의 수지를 첨가하기도 한다.
(볼펜용 잉크의 제조방법)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볼펜용 잉크의 제조방법은, 타의 볼펜용 잉크의 제조방법에 비해 특히 다른 점은 없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볼펜용 잉크는, 상술한 각 성분을 혼합교반함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볼펜)
다음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볼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볼펜은,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0.64∼
1.6mg/cm2로 되도록 형성돼 있는 것으로서, 물을 30.0∼80.0 중량% 함유하고, 휘발억제 물질을 0.1∼10.0 중량% 함유하며,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를 1.0∼40.0 중량% 함유하는 볼펜용 잉크가 충전돼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볼펜은 팁, 및 잉크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팁)
상기 팁은 볼과 홀더가 구비되어, 홀더의 선단측에 볼이 회전자재하게 보지되어 있다.
상기 볼은, 초경합금(超硬合金)에 의해 형성돼 있다. 또, 이 볼의 직경은 1.0mm로 돼 있다.
또, 상기 홀더는 스테인레스제의 선재(線材)를 절삭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홀더에는 볼하우스 및 잉크유도공 등이 마련돼 있다.
그리고, 이 팁은, 볼하우스에 볼을 수납한 후에, 홀더의 선단 근방에 코킹부를 형성함에 의해, 홀더의 선단측에 볼을 회전자재하게 보지시키고 있는 것이다.
또, 볼과 홀더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0.64∼1.6m/cm2정도로 되도록, 즉, 굵고 진한 글자를 쓸 수 있도록 조정돼 있는 것이다.
더구나, 볼은, 예를 들어 열처리강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고, 또, 세라믹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또,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0.64∼1.6mg/cm2정도로 되도록 조정되면, 볼의 직경은 1.0mm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0.9mm로 하여도 좋고, 또, 1.1mm로 하여도 좋다.
또, 홀더는, 예를 들어 양은 또는 놋쇠 등의 금속제의 선재를 절삭하여 형성하여도 좋고, 또, 예를 들어 파이프 강재(鋼材)를 절삭하는 등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잉크탱크)
또, 상기 잉크탱크는 수지제의 튜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잉크탱크는 상술한 팁의 후단측에 연설돼 있다. 그리하여, 이 잉크탱크에, 상술한 볼펜용 잉크가 충전돼 있는 것이다.
(볼펜의 제조방법)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볼펜의 제조방법은, 타의 볼펜의 제조방법에 비해 특히 다른 점은 없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팁을 형성하고, 또, 이 팁의 후단측에 잉크탱크를 연설하며, 다시, 이 잉크탱크에 볼펜용 잉크를 충전하고, 그 후, 원심처리를 행하여, 볼펜용 잉크 내의 공기를 빼냄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는 것이다.
(효과)
그리하여,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0.64∼1.6mg/cm2의 범위로 형성돼 있는 볼펜에 사용하는 볼펜용 잉크에 있어서, 물의 함유량을 30.0∼80.0 중량%의 범위로 조정하고, 휘발억제 물질의 함유량을 0.1∼10.0 중량%의 범위로 조정하며,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의 함유량을 1.0∼40.0 중량%의 범위로 조정함에 의해, 지면에 전사된 때의 속건성과 팁의 선단의 비건조성을 양립시키면서, 글씨 쓸 때 감촉의 좋음을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더구나, 물의 함유량이 30.0 중량% 이하에서는, 지면에 전사된 때에 극히 건조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물의 함유량이 80.0 중량% 이상에서는, 팁의 선단이매우 건조하기 쉬워지게 된다.
또, 휘발억제 물질의 함유량이 0.1 중량% 이하에서는, 팁의 선단의 건조를 충분히 방지할 수가 없게 된다. 한편, 휘발억제 물질의 함유량이 10.0 중량% 이상에서는, 지면에 전사된 때에 건조하기 어렵게 되고, 또, 그린 선이 번지기 쉬워지게 된다.
또,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의 함유량이 1.0 중량% 이하에서는, 글씨 쓸 때 감촉의 좋음을 충분히 유지할 수가 없게 된다. 한편,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의 함유량이 40.0 중량% 이상에서는, 지면에 전사된 때에 건조하기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 휘발억제 물질을 멀티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원당, 소르비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원당, 환원 올리고 당, 환원 말토올리고 당, 환원 덱스트린, 환원 말토덱스트린,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실사이클로텍스트린, 환원전분당화물, 환원맥아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에 의해 구성함에 의해, 팁의 선단의 건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를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글리세린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폴리그리셀린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트리메티롤프로판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에 의해 구성함에 의해, 글씨 쓸 때 감촉의 저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는것이다.
게다가,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0.64∼1.6mg/cm2의 범위로 형성돼 있는 볼펜에, 물의 함유량을 30.0∼80.0 중량%의 범위로 조정하고, 휘발억제 물질의 함유량을 0.1∼10.0 중량%의 범위로 조정하며,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의 함유량을 1.0∼40.0 중량%의 범위로 조정한 볼펜용 잉크를 충전함에 의해, 지면에 전사된 잉크의 속건성과 팁의 선단의 비건조성을 양립시키면서, 글씨 쓸 때 감촉도 좋은 볼펜으로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볼펜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카본블랙:7.0중량%
수지: 스티렌아크릴산수지암모늄염:2.0 중량%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프로필렌글리콜:15.0 중량%
휘발억제 물질: 말토실사이클로덴스트린:5.0 중량%
윤활제: 칼리비누:0.5 중량%
방부제: 나트륨오마진:0.2 중량%
방청제: 사포닌:0.1 중량%
pH 조정제: 아미노메틸프로판올:0.4 중량%
증점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0.2 중량%
물: 이온교환수:69.6 중량%
(실시예 2)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볼펜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카본블랙:7.0중량%
수지: 스티렌아크릴산수지암모늄염:2.0 중량%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프로필렌글리콜:15.0 중량%
휘발억제 물질: 말토실사이클로덴스트린:5.0 중량%
윤활제: 칼리비누:0.5 중량%
방부제: 나트륨오마진:0.2 중량%
방청제: 사포닌:0.1 중량%
pH 조정제: 아미노메틸프로판올:0.4 중량%
증점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0.4 중량%
물: 이온교환수:69.4 중량%
(실시예 3)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볼펜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카본블랙:7.0중량%
수지: 스티렌아크릴산수지암모늄염:2.0 중량%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프로필렌글리콜:10.0 중량%
휘발억제 물질: 환원덴스트린:5.0 중량%
윤활제: 칼리비누:0.5 중량%
방부제: 나트륨오마진:0.2 중량%
방청제: 사포닌:0.1 중량%
pH 조정제: 아미노메틸프로판올:0.3 중량%
증점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0.3 중량%
물: 이온교환수:71.6 중량%
(실시예 4)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볼펜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프탈로시아닌블루:7.5 중량%
수지: 스티렌말레인산수지암모늄염:2.2 중량%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글리세린:15.0 중량%
휘발억제 물질: 멀티톨:3.0 중량%
윤활제: 칼리비누:0.5 중량%
방부제: 나트륨오마진:0.2 중량%
방청제: 사포닌:0.1 중량%
pH 조정제: 아미노메틸프로판올:0.3 중량%
증점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0.3 중량%
물: 이온교환수:70.9 중량%
(실시예 5)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볼펜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프탈로시아닌블루:7.5 중량%
수지: 스티렌말레인산수지암모늄염:2.2 중량%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글리세린:25.0 중량%
휘발억제 물질: 말토실사이클로덱스트린:5.0 중량%
윤활제: 인산에스테르:0.8 중량%
방부제: 나트륨오마진:0.2 중량%
방청제: 사포닌:0.1 중량%
pH 조정제: 아미노메틸프로판올:0.3 중량%
증점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0.3 중량%
물: 이온교환수:58.6 중량%
(실시예 6)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볼펜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프탈로시아닌블루:7.5 중량%
수지: 스티렌말레인산수지암모늄염:2.2 중량%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디에틸렌글리콜:15.0 중량%
휘발억제 물질: 환원덱스트린:5.0 중량%
윤활제: 인산에스테르:0.8 중량%
방부제: 나트륨오마진:0.2 중량%
방청제: 사포닌:0.1 중량%
pH 조정제: 아미노메틸프로판올:0.3 중량%
증점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0.3 중량%
물: 이온교환수:68.6 중량%
(실시예 7)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볼펜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프탈로시아닌블루:1.5 중량%
착색제: 산화티탄:20.0 중량%
수지: 스티렌말레인산수지암모늄염:2.5 중량%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디글리세린프로필렌옥사이드 4몰 부가물:5.0 중량%
휘발억제 물질: 말토실사이클로덱스트린:5.0 중량%
윤활제: 칼리비누:0.5 중량%
방부제: 나트륨오마진:0.2 중량%
방청제: 사포닌:0.1 중량%
pH 조정제: 아미노메틸프로판올:0.3 중량%
증점제: 키산탄고무:0.4 중량%
물: 이온교환수:64.5 중량%
(비교예 1)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볼펜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프탈로시아닌블루:7.5 중량%
수지: 스티렌말레인산수지암모늄염:2.2 중량%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글리세린:15.0 중량%
휘발억제 물질: 없음
윤활제: 칼리비누:0.5 중량%
방부제: 나트륨오마진:0.2 중량%
방청제: 사포닌:0.1 중량%
pH 조정제: 아미노메틸프로판올:0.3 중량%
증점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0.3 중량%
물: 이온교환수:73.9 중량%
(비교예 2)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볼펜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프탈로시아닌블루:7.5 중량%
수지: 스티렌말레인산수지암모늄염:2.2 중량%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글리세린:15.0 중량%
휘발억제 물질: 멀티톨:11.0 중량%
윤활제: 칼리비누:0.5 중량%
방부제: 나트륨오마진:0.2 중량%
방청제: 사포닌:0.1 중량%
pH 조정제: 아미노메틸프로판올:0.3 중량%
증점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0.3 중량%
물: 이온교환수:62.9 중량%
(비교예 3)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볼펜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카본블랙:7.0 중량%
수지: 스티렌아크릴산수지암모늄염:2.0 중량%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없음
휘발억제 물질: 말토실사이클로덱스트린:5.0 중량%
윤활제: 칼리비누:0.5 중량%
방부제: 나트륨오마진:0.2 중량%
방청제: 사포닌:0.1 중량%
pH 조정제: 아미노메틸프로판올:0.4 중량%
증점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0.4 중량%
물: 이온교환수:84.4 중량%
(비교예 4)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볼펜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카본블랙:7.0 중량%
수지: 스티렌아크릴산수지암모늄염:2.0 중량%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프로필렌글리콜:45.0 중량%
휘발억제 물질: 말토실사이클로덱스트린:5.0 중량%
윤활제: 칼리비누:0.5 중량%
방부제: 나트륨오마진:0.2 중량%
방청제: 사포닌:0.1 중량%
pH 조정제: 아미노메틸프로판올:0.4 중량%
증점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0.4 중량%
물: 이온교환수:39.4 중량%
(비교예 5)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볼펜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프탈로시아닌블루:1.5 중량%
착색제: 산화티탄:38.0 중량%
수지: 스티렌말레인산수지암모늄염:3.5 중량%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디글리세린프로필렌옥사이드 4몰 부가물:22.0 중량%
휘발억제 물질: 말토실사이클로덱스트린:5.0 중량%
윤활제: 칼리비누:0.5 중량%
방부제: 나트륨오마진:0.2 중량%
방청제: 사포닌:0.1 중량%
pH 조정제: 아미노메틸프로판올:0.3 중량%
증점제: 키산탄고무:0.2 중량%
물: 이온교환수:28.7 중량%
(비교예 6)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볼펜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프탈로시아닌블루:1.5 중량%
착색제: 산화티탄:2.5 중량%
수지: 스티렌말레인산수지암모늄염:2.0 중량%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디글리세린프로필렌옥사이드 4몰 부가물:5.0 중량%
휘발억제 물질: 말토실사이클로덱스트린:5.0 중량%
윤활제: 칼리비누:0.5 중량%
방부제: 나트륨오마진:0.2 중량%
방청제: 사포닌:0.1 중량%
pH 조정제: 아미노메틸프로판올:0.3 중량%
증점제: 키산탄고무:0.4 중량%
물: 이온교환수:82.5 중량%
(비교예 7)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볼펜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프탈로시아닌블루:7.5 중량%
수지: 스티렌말레인산수지암모늄염:2.2 중량%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디에틸렌글리콜:45.0 중량%
휘발억제 물질: 없음
윤활제: 인산에스테르:0.8 중량%
방부제: 나트륨오마진:0.2 중량%
방청제: 사포닌:0.1 중량%
pH 조정제: 아미노메틸프로판올:0.3 중량%
증점제: 키산탄고무:0.3 중량%
물: 이온교환수:43.6 중량%
(비교예 8)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여 볼펜용 잉크를 제조하였다.
착색제: 프탈로시아닌블루:7.5 중량%
수지: 스티렌말레인산수지암모늄염:2.2 중량%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 없음
휘발억제 물질: 환원덱스트린:11.0 중량%
윤활제: 인산에스테르:0.8 중량%
방부제: 나트륨오마진:0.2 중량%
방청제: 사포닌:0.1 중량%
pH 조정제: 아미노메틸프로판올:0.3 중량%
증점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0.3 중량%
물: 이온교환수:77.6 중량%
(볼펜용 잉크, 및 볼펜에 대한 평가)
상기 실시예 1로부터 7까지, 및 비교예 1로부터 8까지의 각 볼펜용 잉크에 대하여, 경시적 안정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또, 이들을 충전한 볼펜에 대하여, 그린 선의 속건성, 그린 선의 번짐, 팁의 선단의 비건조성, 및 글씨 쓸 때 감촉의 각 항목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에 있어, 우선, 상기 각 볼펜용 잉크를, 볼의 직경이 1.0mm이고, 또한,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0.64∼1.6mg/cm2의 범위로 형성돼 있는 볼펜에 각각충전하였다.
그리하여, 각 볼펜에 대하여 필기시험을 행하였다.
필기시험은 ISO 규격 14145-1에 준거한 필기시험기를 이용하여, 필기속도 4.5m/분, 필기각도 60°, 필기부하 100g의 조건으로 「나선필기」하여, 볼펜용 잉크를 다 쓸 때까지 행하였다.
또, 필기시험 용지로는 ISO 규격 14145-1에 준거한 것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그린 선의 속건성은, 상기 필기시험의 결과를 하기의 기준으로 판단함에 의해, 「○」「△」「×」의 3 단계로 평가하였다.
(가) 필기후 30초 이내에, 그린 선이 건조하였다. → 평가「○」
(나) 필기후 30초∼1분 이내에, 그린 선이 건조하였다. → 평가「△」
(다) 필기후 1분 이내에, 그린 선이 건조하지 않았다. → 평가「×」
또, 그린 선의 번짐은, 상기 필기시험의 결과를 하기의 기준으로 판단함에 의해, 「○」「△」「×」의 3 단계로 평가하였다.
(가) 번짐이 없고, 선명한 필적이었다. → 평가「○」
(나) 번짐이 있고, 다소 불선명한 필적이었다. → 평가「△」
(다) 번짐이 현저하고, 대단히 불선명한 필적이었다. → 평가「×」
또, 팁의 선단의 비건조성은, 캡을 벗기고, 또, 옆을 향하게 놓은 상태로 기온 25℃, 습도 65%의 환경하에 1개월간 보관한 상기 각 볼펜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필기시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기준으로 판단함에 의해,「○」「△」「×」의 3 단계로 평가하였다.
(가) 그린 선의 스침이 확인되지 않고, 양호하게 필기된다. → 평가「○」
(나) 그린 선의 스침이 다소 확인되나, 대체로 양호하게 필기된다. → 평가「△」
(다) 거의 필기되지 않는다. → 평가「×」
또, 글씨 쓸 때 감촉은, 상기 각 볼펜에 대하여, 손으로 「나선필기」를 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기준으로 판단함에 의해,「○」「△」「×」의 3 단계로 평가하였다.
(가) 거침이 없고 안정한 촉감이었다. → 평가「○」
(나) 다소 부드럽지 못한 굳은 감촉이었다. → 평가「△」
(다) 부드럽지 못한 굳은 감촉이었다. → 평가「×」
또, 잉크의 경시적 안정성은, 제조직후의 상기 각 볼펜용 잉크와, 유리병에 봉입하여 기온 50℃의 환경하에 1개월간 보관한 상기 각 볼펜용 잉크에 대해 점도측정을 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기준으로 판단함에 의해,「○」「×」의 2 단계로 평가하였다.
(가) 점도변화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 평가「○」
(나) 현저한 점도변화가 확인되었다. → 평가「×」
히기의 표 1에, 상기 각 볼펜용 잉크에 대하여서의 경시적 안정성의 평가와 함께, 상기 각 볼펜에 대하여서의 그린 선의 속건성, 그린 선의 번짐, 팁의 선단의 비건조성, 및 글씨 쓸 때 감촉의 각 항목의 평가를 나타낸다.
더구나, 표 1 중,「A」는「그린 선의 속건성」을,「B」는「그린 선의 번짐」을, 「C」는「팁의 선단의 비건조성」을, 「D」는 「글씨 쓸 때 감촉」을, 「E」는 「잉크의 경시적 안정성」을 나타낸다.
표 1
A B C D E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 ×
비교예 7 ×
비교예 8 × ×
이와 같이, 실시예 1로부터 7까지의 볼펜용 잉크에 대하여는 그린 선의 속건성, 그린 선의 번짐, 팁의 선단의 비건조성, 글씨 쓸 때 감촉, 및 경시적 안정성의 어느 항목의 평가도 「○」또는「△」이었다. 즉, 이들의 볼펜용 잉크는, 지면에 전사된 때의 속건성과 팁의 선단의 비건조성을 양립시키면서, 글씨 쓸 때 감촉의 좋음을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이들의 볼펜용 잉크는, 지면에 전사된 때에 번지기 어렵고, 또한, 경시적 안정성도 우수하다.
한편, 비교예 1로부터 8까지의 볼펜용 잉크에 대하여는 그린 선의 속건성, 그린 선의 번짐, 팁의 선단의 비건조성, 글씨 쓸 때 감촉, 및 경시적 안정성의 어느 항목의 평가도「×」이었다. 즉, 이들의 볼펜용 잉크는, 지면에 전사된 때의 속건성과 팁의 선단의 비건조성을 양립시키면서, 글씨 쓸 때 감촉의 좋음을 유지할 수가 없는 것이다. 또, 이들의 볼펜용 잉크 중에는, 지면에 전사된 때에 번지기 쉽거나, 또한, 경시적으로 불안정하거나 하는 것도 있었다.
또한, 물의 함유량의 한계수치에 대하여서의 실험을 행한 바, 적어도 30.0∼80.0 중량%의 범위에 있어서는 지면에 전사된 때의 속건성이 뛰어나고, 또, 경시적으로 안정함이 확인되었다.
또, 물의 함유량이 30.0 중량% 이하에서는, 지면에 전사된 때에 대단히 건조하기 어렵게 되고, 한편, 물의 함유량이 80.0 중량% 이상에서는, 팁의 선단이 매우 건조하기 쉬워지며, 또, 경시적으로 불안정하게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휘발억제 물질의 함유량의 한계수치에 대하여서의 실험을 행하였던 바, 적어도 0.1∼10.0 중량%의 범위에 있어서는, 팁의 선단의 건조를 충분히 방지할 수가 있고, 또, 그린 선도 번지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또, 휘발억제 물질의 함유량이 0.1 중량% 이하에서는, 팁의 선단의 건조를 충분히 방지할 수가 없고, 한편, 휘발억제 물질의 함유량이 10.0 중량% 이상에서는, 지면에 전사된 때에 건조하기 어렵게 되며, 또, 그린 선이 번지기 쉽게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역시,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의 함유량의 한계수치에 대하여서의 실험을 행한 바, 적어도 1.0∼40.0 중량%의 범위에 있어서는, 글씨 쓸 때 감촉의 좋음을 충분히 유지할 수가 있고, 또, 지면에 전사된 때의 속건성도 손상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의 함유량이 1.0 중량% 이하에서는, 글씨 쓸 때 감촉의 좋음을 충분히 유지할 수가 없고, 한편,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의 함유량이 40.0 중량% 이상에서는, 지면에 전사된 때에 건조하기 어려워짐을 확인하였다.
더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내지 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굵고 진한 글자를 쓰기 위한 볼펜에 사용하는 볼펜용 잉크로서, 지면에 전사된 때의 속건성이 뛰어나고, 또, 팁의 선단을 건조시키기 어려우며, 또한, 글씨 쓸 때 감촉도 좋게 하는 볼펜용 잉크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굵고 진한 글자를 쓰기 위한 볼펜으로서, 지면에 전사된 잉크가 건조하기 쉽고, 또, 팁의 선단은 건조히기 어려우며, 또한, 글씨 쓸 때 감촉도 좋은 볼펜을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0.64∼1.6mg/cm2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볼펜에 사용되는 볼펜용 잉크로서,
    물을 30.0∼80.0 중량% 함유하고,
    휘발억제 물질을 0.1∼10.0 중량% 함유하며,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를 1.0∼40.0 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펜용 잉크.
  2. 제 1 항에 있어서,
    휘발억제 물질은 멀티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원당, 소르비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원당, 환원 올리고 당, 환원 말토올리고 당, 환원 덱스트린, 환원 말토덱스트린,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실사이클로덱스트린, 환원전분당화물, 환원맥아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에 의해 구성돼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볼펜용 잉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글리세린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폴리그리셀린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트리메티롤프로판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에 의해 구성돼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볼펜용 잉크.
  4. 단위면적당의 잉크 소비량치가 0.64∼1.6mg/cm2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볼펜으로서,
    물을 30.0∼80.0 중량% 함유하고,
    휘발억제 물질을 0.1∼10.0 중량% 함유하며,
    난휘발수용성 액체용매를 1.0∼40.0 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펜.
KR1020027007795A 1999-12-24 2000-12-18 볼펜용 잉크 및 볼펜 KR200200602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65802 1999-12-24
JP36580299 1999-12-24
PCT/JP2000/008957 WO2001048103A1 (fr) 1999-12-24 2000-12-18 Stylo a bille et encre pour stylo a bil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267A true KR20020060267A (ko) 2002-07-15

Family

ID=1848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795A KR20020060267A (ko) 1999-12-24 2000-12-18 볼펜용 잉크 및 볼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18047B2 (ko)
JP (1) JPWO2001048103A1 (ko)
KR (1) KR20020060267A (ko)
CN (1) CN1221618C (ko)
AU (1) AU1893701A (ko)
GB (1) GB2374079B (ko)
WO (1) WO2001048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1571B2 (ja) * 2000-12-28 2009-11-25 三菱鉛筆株式会社 ボールペン用油性インキ組成物
JP2003201433A (ja) * 2001-10-30 2003-07-18 Pilot Ink Co Ltd 筆記具用水性インキ組成物
JP4191435B2 (ja) * 2002-06-24 2008-12-03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筆記具用水性インキ組成物
CN101921512A (zh) * 2010-08-23 2010-12-22 苏州雄鹰笔墨科技有限公司 一种抗渗漏的圆珠笔油墨及其制备方法
KR101390802B1 (ko) 2012-08-13 2014-05-02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실리콘 단결정의 제조방법 및 실리콘 단결정 용융액
CA2902753C (en) 2013-02-27 2019-04-09 Crayola Llc Rinsable ink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15067828A (ja) * 2013-10-01 2015-04-13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用水性インク組成物
KR101827604B1 (ko) * 2014-10-07 2018-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블리칭 패턴이 형성된 편광필름 제조방법
CN106479263A (zh) * 2015-08-31 2017-03-08 旭化成家庭用品株式会社 食品包装材料用水性笔记用具
CN107354745B (zh) * 2017-07-11 2020-04-17 山西大学 一种可重复使用的书写布及其专用书写液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5444A (en) * 1987-07-21 1989-01-2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JPS6477438A (en) * 1987-09-16 1989-03-23 Hitachi Ltd Stator of rotary electric machine
JPH01319576A (ja) * 1988-06-20 1989-12-25 Orient Chem Ind Ltd 水性インク組成物
US5069719A (en) * 1990-12-21 1991-12-03 Orient Chemical Industries, Ltd. Organic solvent based ink composition
JP3247784B2 (ja) * 1993-12-22 2002-01-21 株式会社リコー 水性インク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方法
JPH07216284A (ja) 1994-02-01 1995-08-15 Tombow Pencil Co Ltd 水性ボールペンインキ組成物
JP3348181B2 (ja) 1995-02-28 2002-11-20 ぺんてる株式会社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
JP3500554B2 (ja) 1996-03-14 2004-02-23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ボールペン用水性金属光沢色インキ組成物
JP3311242B2 (ja) * 1996-05-24 2002-08-05 株式会社パイロット 水性ボールペン用インキとこのインキを直詰した水性ボールペン
JP3045472B2 (ja) 1996-05-31 2000-05-29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スラスト軸受用摺動部材
US5965634A (en) * 1996-06-19 1999-10-12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Water base ink composition
JP2978773B2 (ja) 1996-07-10 1999-11-15 株式会社パイロット 水性ボールペンに使用する直詰めインキ
JP3737219B2 (ja) 1996-09-03 2006-01-18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ボールペン用水性金属光沢色インキ組成物
AU5137998A (en) * 1996-12-12 1998-07-03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Pseudoplastic water-base ballpoint ink
AU7938098A (en) * 1997-07-07 1999-02-08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Aqueous ink composition for writing utensils
US6261351B1 (en) 1997-12-01 2001-07-17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Water based ink for ball point pen
JP3372872B2 (ja) 1998-06-08 2003-02-04 株式会社パイロット 水性ボールペンに使用する直詰めイン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214690D0 (en) 2002-08-07
CN1221618C (zh) 2005-10-05
GB2374079B (en) 2004-03-31
US6818047B2 (en) 2004-11-16
CN1413238A (zh) 2003-04-23
AU1893701A (en) 2001-07-09
WO2001048103A1 (fr) 2001-07-05
JPWO2001048103A1 (ja) 2004-03-04
GB2374079A (en) 2002-10-09
US20030005854A1 (en)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6881B2 (ja) 筆記具用水性インキ組成物
US20040250728A1 (en) Water based ink composition for writing instrument
JP4919660B2 (ja) 筆記具用水性インキ組成物
JP4713372B2 (ja) 水性ボールペン用インキ組成物
KR20020060267A (ko) 볼펜용 잉크 및 볼펜
JP2006206658A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ボールペン
KR20020060268A (ko) 볼펜용 잉크 및 볼펜
JP4750487B2 (ja) キャップレス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収容したキャップレスボールペン
KR100352082B1 (ko) 필기구용 수성 잉크 조성물
JP2004051779A (ja) 擬塑性水性ボールペン用インキ組成物
EP0999244B1 (en) Pseudoplastic water-base ball pen ink
JP2007297514A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ボールペンレフィル、ボールペン
JP2004224892A (ja) ボールペン用擬塑性水性顔料インキ組成物
JP4008150B2 (ja) 筆記具用水性インキ組成物
JP2018051966A (ja) 水性ボールペン
JP5043377B2 (ja) ボールペン
JP2007238736A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収容したボールペン
JP3720151B2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
JP2007297448A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ボールペンレフィル、ボールペン
EP4053229A1 (en) Ink composition for oil-based ballpoint pen and oil-based ballpoint pen using same
JP2001323200A (ja) ボールペン用インキ
JPH07216284A (ja) 水性ボールペンインキ組成物
JP2009108121A (ja) 油性ボールペン用インキ組成物
JP2000080317A (ja) 水性ボールペン用顔料インキ組成物
JP2005036156A (ja) 筆記具用水性インキ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