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0140A -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 과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 과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0140A
KR20020060140A KR1020020034980A KR20020034980A KR20020060140A KR 20020060140 A KR20020060140 A KR 20020060140A KR 1020020034980 A KR1020020034980 A KR 1020020034980A KR 20020034980 A KR20020034980 A KR 20020034980A KR 20020060140 A KR20020060140 A KR 20020060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ed
information
checking whether
menu
satel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1415B1 (ko
Inventor
김영민
이정일
Original Assignee
김영민
주식회사 모빌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민, 주식회사 모빌콤 filed Critical 김영민
Priority to KR102002003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41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48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and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a further system
    • G01S19/49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and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a further system whereby the further system is an inertial position system, e.g. loosely-coup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traff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과 이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GPS 수신기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방위각 신호를 근거로 측위 정보의 오차를 정정하여 출력하고, 지도 데이터 저장부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며, 화상신호 처리부는 지도 데이터를 화면표시부에 출력한다. 또한 음성신호 처리부는 무선통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 출력하고, 마이크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무선통신부에 출력하며,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부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와의 연결을 통해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공받고, 중앙처리부는 중앙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오차 정정된 측위 정보를 지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부와 중앙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화상신호 처리부 또는 음성신호 처리부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다른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장치에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통신기기와의 연결을 통해 인터넷 서버와 정보를 공유하여 차량 이력과 소모품 관리 및 비상상황 발생시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과 이의 제어 방법{CAR NAVIGATION SYSTEM HAVING A FUNCTION OF MULTIMEDIA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항법 시스템과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과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선박, 항공기, 자동차 등 각종의 이동체들에는 현재 위치와 이동 속도를 확인하거나 이동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GPS 측위 장치가 탑재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 GPS 측위 장치는 전세계 위치 측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에 속하는 복수 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 등을 나타내는 전파를 수신하여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연산한 후 이 현재 위치가 포함되는 지도 정보를 운전자에게 표시시켜 준다.
즉, 통상의 차량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또는 차량 항법 시스템)는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상에 현재 위치, 주행도로명, 목적지까지의 방향, 교차로 확대도,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 등을 표시하여 주는 등 주행에 필요한 각종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항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일반적인 차량 항법 시스템은 GPS 안테나(10)를 통해 GPS 통신 위성으로부터 측위 정보를 수신하여 자기차량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그 위치에 해당하는 수치 지도를 CD-ROM(20)으로부터 읽어 모니터(80)에 표시한다. 이는 CD-ROM(20)이 미리 도로의 수치 지도는 물론 그 도로가 갖는 속성까지미리 기억되어 있으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50)가 CD-ROM(20)을 제어하여 차량의 자기 위치에 해당하는 지도를 추출하기 위해 CD-ROM 드라이버(22)를 구동하고, 이를 CD-ROM 디코더(24)로 해석하고, 해석한 데이터를 그래픽 프로세서(60)로 처리하여 지도 그래픽을 제작하여 이를 표시 장치에 맞는 신호로 변환한 다음 이를 모니터(80)에 출력하면 모니터(80)에 지도가 표시되고 차량의 자기 위치를 좌표 변환하여 모니터(80)에 표시된 도로 위에 표시하게 된다.
물론 경로 계산이나 안내는 롬(ROM)(40)에 들어 있는 프로그램이 동작되어 처리하면 미리 읽은 도로 속성 데이터를 추적하여 목적지까지 경로를 탐색하게 되고, 상기 데이터에 따라 안내를 하게 된다. 이때 롬(ROM)(40)은 실시간 구동, 경로 탐색, 경로 표시, 목적지 설정, 확대/축소, 스크롤, 경로 안내, 메뉴 표시, GPS 수신, 맵 매칭 및 설정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차량 항법 시스템은 모든 차량이 미리 기억된 수치 지도 데이터와 이를 읽게 하기 위한 CD-ROM 드라이버와 디코더 회로를 구비해야 하고, 경로 계산 또한 차량에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수행해야 되며, 만일 지도의 도로를 수정하거나 그 지도가 갖는 속성을 수정하려 하면 차량이 보유한 CD-ROM을 교체해야되며, 또한 롬(ROM)(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한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도 정보를 업 그레이드(Up grade)해야하는 경우에는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고, 수정시의 비용이나 CD-ROM, 이를 구동하기 위한 CD-ROM 드라이버 및 CD-ROM 디코더와 같은 고가의 부품들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고가 부품들의 사용으로 인해 차량 항법 시스템의 비용도 비싸지고 그 크기도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모든 정보를 운전자가 가지고 운영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초기의 차량 항법 시스템은 주로 자율 항법 센서 신호들을 입력으로 하여 차량의 속도와 방향에 대한 정보만을 이용하는 추측 항법(Dead Reckoning) 기법을 적용한 모델이었다. 이러한 모델들은 차량의 주행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누적 오차가 증가하게 되므로 맵 매칭(Map Matching) 기법을 이용한 오차 보상 기법들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에는 추측 항법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결합한 혼합 항법(Hybrid) 방식이 적용되어 짧은 시간에 추측 항법에 의한 상대 위치가 계산되고, 이후에 GPS에 의한 절대 위치로 맵 매칭 기법을 적용하여 오차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항법 시스템의 하드웨어 장치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기술들이 집약된 워크스테이션 급으로 구성되어 향후에는 기존의 단순한 차량 항법 기능만을 수행하는 초보적인 수준에서 발전하여 통합 도로 교통 정보 통신 시스템의 서브 시스템으로서 도로 교통의 안전성 향상과 다양한 교통정보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가 진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외부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비디오 신호들을 하나의 표시장치에 동시에 표현할 수 없었으며, 이러한 기능은 차량용 TV나 AV 기기에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스위칭하는 수준으로 구현하는 실정이고, 차량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인지시키는 수준으로 구현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각 유니트들의 그래픽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부분이 공통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유니트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도 차량의 전자파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해 별도의 전자파 차폐용 와이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고, 차량 제작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과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 서버와의 정보 공유를 통해 차량 이력이나, 소모품 관리 및 비상상황 발생시 대처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항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항법 시스템의 메인 메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한 도 3의 운전자 입력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상기한 도 3의 네비게이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는 경로 안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b는 정보 검색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한 도 6의 현위치 계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현재 위치의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10은 상기한 도 6의 목적지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상기한 도 6의 경로 안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상기한 도 11의 운전자 요구에 따른 메뉴 처리 과정을 상세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상기한 도 10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상기한 도 6의 정보 검색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상기한 도 6의 옵션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상기한 도 6의 상세 지도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상기한 도 6의 재탐색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상기한 도 6의 교통 정보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a는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이고, 도 19b는 관심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다.
도 20은 상기한 도 6의 차량 정보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상기한 도 6의 지도 업데이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는 상기한 도 6의 기타 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은 상기한 도 3의 TV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는 상기한 도 3의 라디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는 상기한 도 3의 멀티미디어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6a와 도 26b는 상기한 도 3의 인터넷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7은 상기한 도 3의 전자 우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8a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화면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 우편 메시지창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28b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화면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연락처창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9는 상기한 도 3의 비상상황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0은 상기한 도 3의 운전자 정의 메뉴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1은 상기한 도 3의 하드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GPS 안테나200 : 차량 항법 시스템
210 : 화상신호 처리부215 : 자이로 센서
220 : 중앙 인터페이스부225 : 라디오/위성 TV 튜너
230 : 지도 데이터 저장부235 : 멀티미디어 저장부
240 : 중앙처리부245 : DRAM
250 : 화상신호 처리부255 : VRAM
260 : 화면표시부270 : 음성신호 처리부
280 : 버스 인터페이스부300 : 무선 통신 단말기
400 : 스피커500 : 마이크
600 : 키입력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은, 운전자의 키조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키 입력부와, GPS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부와, 차량의 경로 안내 및 경고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에 있어서, 연결된 자이로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방위각 신호를 근거로 상기 측위 정보의 오차를 정정하여 오차 정정된 측위 정보를 출력하는 연산하는 GPS 수신기; 중앙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지도 데이터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 상기 중앙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지도 데이터가 입력됨에 따라 화면표시부에 출력하는 화상신호 처리부; 연결된 무선통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 출력하고, 마이크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에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부; 외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중앙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오차 정정된 측위 정보를 상기 지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부와 중앙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화상신호 처리부 또는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키조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와, GPS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부와, 차량의 경로 안내 및 경고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의 시동이 온 됨에 따라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메인 메뉴상에서 운전자의 음성 또는 키입력에 따른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GPS 측위 정보를 근거로 오차 정정하여 차량의 현위치를 계산하여 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연산, 경로 안내 및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d) 다른 멀티미디어 기기와의 연결을 통해 멀티미디어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e) 하드 키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f) 시동 오프 여부를 체크하여, 시동 온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a)로 피드백하고, 시동 오프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미등 온/오프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g) 상기 단계(f)에서 미등 온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음성 경고 및 비상등을 점멸시키고,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미등을 오프하고, 상기 미등 오프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 경과후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른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장치에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통신기기와의 연결을 통해 인터넷 서버와 정보를 공유하여 차량 이력과 소모품 관리 및 비상상황 발생시 대처할 수 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200)은 GPS 수신기(210), 자이로 센서(215), 중앙 인터페이스부(220), 라디오 튜너(225), 지도 데이터 저장부(230), DVD 데크(235), 중앙처리부(CPU)(240),다이내믹 램(DRAM)(245), 화상신호 처리부(250), 비디오 램(VRAM)(255), 화면표시부(260), 위성 TV 튜너(265), 스마트 카드 인터페이스(2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5), 버스 인터페이스부(280) 및 음성 신호 처리부(285)를 포함한다.
동작시, 차량 항법 시스템(200)은 연결된 GPS 안테나(100)로부터 제공되는 GPS 위성 신호를 근거로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하고, 연결된 위성 안테나(300)로부터 제공되는 위성 TV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출력한다. 또한, 연결된 무선 통신 단말기(400)를 통해 음성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뿐만 아니라, 연결된 스피커(500)나 마이크(600)를 통해 해당 음성 신호를 출력하거나 음성 신호를 입력받으며, 연결된 키입력부(700)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키 신호를 제공받아 동작한다.
GPS 수신기(210)는 GPS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된 GPS 측위 신호에서 차량의 현위치를 계산하고, 차량의 진행 방향에 연동하여 방위각 정보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215)로부터 제공되는 방위각 정보를 근거로 GPS 측위 정보의 오차를 정정하여 차량의 현위치 정보를 중앙 인터페이스부(220)에 출력한다
중앙 인터페이스부(220)는 GPS 수신기(210), 라디오 튜너(225), 지도 데이터 저장부(230), DVD(Digital Versatile Disc) 데크(235), 중앙처리부(CPU)(240), 화상신호 처리부(250), 위성 TV 튜너(265), 스마트 카드 인터페이스(2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5), 버스 인터페이스부(280), 음성 신호 처리부(285), 무선통신단말기(400) 및 키입력부(700)와의 인터페이싱을 담당한다.
라디오 튜너(225)는 중앙 인터페이스부(220)를 경유하여 키입력부(700)로부터 제공되는 라디오 온 신호에 응답하여 기동하여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라디오 신호를 중앙 인터페이스부(220)를 경유하여 스피커(500)를 통해 출력한다.
지도 데이터 저장부(230)는 위성TV 튜너(265)와 중앙 인터페이스부(220)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물론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까지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DVD 데크(235)는 DVD가 삽입될 수 있는 일종의 슬롯으로서, DVD가 삽입됨에 따라 해당 정보를 중앙 인터페이스부(220)를 경유하여 화면표시부(260)에 출력하거나, 중앙 인터페이스부(220)와 음성 신호 처리부(285)를 경유하여 스피커(500)에 출력한다.
중앙처리부(CPU)(240)는 GPS 수신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오차 정정된 측위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무선 통신 단말기(400)측에 제공하고, 위성TV 채널 신호인 일정 영역의 지도 정보를 지도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일정영역을 주행 한 후 재전송받아 다시 지도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차량의 진행에 따라 해당 지도 데이터를 독출하여 화상 신호 처리부(250)에 제공하여 지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중앙처리부(CPU)(240)는 버스 인터페이스부(280)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현재 상태 정보를 외부의 차량 상태 정보서버(미도시)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무선 통신 단말기(400)에 제공하고, 응급 상황 발생시 위급 신호를 외부의 조난 시스템(미도시)측에 요청하도록 무선 통신 단말기(400)에 제공한다.
DRAM(245)은 차량 항법 시스템(200)의 실행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보다 상세히는 중앙처리부(240)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운전자 소프트웨어를 로드시킬 장소를 제공한다.
화상신호 처리부(250)는 중앙처리부(240)나 중앙 인터페이스부(220)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지도 데이터를 지도 화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VRAM(Video RAM)(255)은 화소 데이터를 써넣기 위한 RAM으로서, 화상신호처리부(250)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 일종의 화상 처리용 기억 장치이다.
화면표시부(260)는 화상신호 처리부(25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화면표시부(260)는 차량 항법 시스템(200)에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차량 항법 시스템(200)으로부터 이탈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화면표시부는 다양한 표시 장치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액정 표시 장치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위성 TV 튜너(265)는 중앙처리부(240)의 제어에 의해 기동되어 위성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되는 위성 정보를 제공받아 중앙 인터페이스부(220)에 제공한다. 일반 위성 TV 채널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중앙 인터페이스부(220)를 경유하여 화상신호처리부(250)에서 MPEG 처리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그러나 차량항법 전용 TV 채널에서 출력된 신호는 중앙 인터페이스부(220)를 경유하여 지도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되며 중앙처리부(240)의 요구에 의해 화상신호처리부(250)로 전송되어 그래픽 처리된 후 화면에 표시된다.
스마트 카드 인터페이스(270)는 스마트 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일종의 슬롯(미도시)과의 연결을 통해 해당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중앙인터페이스부(220)에 제공한다. 예를들어,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정보는 위성 TV 수신시 사용자 확인과 비용 지불에 사용되는 ID 정보 또는 위성 TV 홈 쇼핑이나 인터넷 쇼핑시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정보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5)는 외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전자 장치와의 인터페이싱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별도의 전자 장치는 노트북 컴퓨터, MP3 플레이어, 키보드 등으로, 별도의 포트를 통해 해당 전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중앙 인터페이스부(220)에 제공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부(280)는 차량의 차속 센서(미도시)나 가속도 센서(미도시)와의 연결을 통해 차량의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데 이용되는 차속 센서 정보나 가속도 센서 정보를 제공받고,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미도시)와의 연결을 통해 차량의 현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중앙 인터페이스부(220)를 경유하여 중앙처리부(240)에 제공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285)는 지도데이터 저장부(230)에 있는 차량항법의 음성안내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무선 통신 단말기(40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500)에 출력하고, 마이크(60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신호를 무선통신 단말기(400) 또는 중앙 인터페이스부(220)에 제공한다. 특히, 무선통신 단말기(400)와의 연결을 통해 음성 신호를 양방향 송수신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핸즈프리 세트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구비된 스피커(500)와 마이크(600)를 통해 핸즈프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스피커(500)는 차량의 진행 방향에 응답하는 경로 안내 방송이나 도로의 교차점이나 병목 구간 진입시 이를 경고하는 경고 방송을 출력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차량 항법 시스템(200)과는 별개로 휴대폰 등과 같이 탈착이 가능한 형태의 무선 통신 단말기(400)를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차량 항법 시스템(200)내에 구비시켜 탈착이 불가능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처럼 차량 항법 시스템내에 무선 통신 단말기를 구현하므로써 차량내에서 굳이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항법 시스템을 통해 충분히 휴대폰 기능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성방송 수신을 위해 구비되는 위성 안테나와의 연결을 위한 위성 TV 튜너(265)를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방송위성을 통하지 않는 TV 시청, 즉 공중파 TV 시청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공중파 TV 시청을 위해서는 상기한 위성 TV 튜너에 대체하여 공중파 TV 튜너를 구비하여야함은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항법 시스템을 기본으로 하고 동시에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른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차량 항법 시스템에 구비된 화면표시부(260)에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컨트롤 유니트, 예를들어 ECU(Electric Control Unit) 등에서 출력된 차량 정보를 표시할 뿐 아니라 무선통신기기와 연결되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종 서버와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여 차량 이력이나 소모품 관리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차량이나 운전자의 비상 상황 발생시이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장된 위성 TV 튜너(265)에 연결된 위성 안테나(300)를 경유하여 제공되는 위성방송을 이용해 목적지 설정과 경로 안내 그리고 최신 지도와 정보를 업 데이트할 수 있다.
그러면, 하기에 있는 흐름도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항법 시스템을 통해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일련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메인 메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차량 항법 시스템의 시동이 온 됨에 따라 차량 항법 시스템이 구비하는 각종 메뉴를 표시한다(단계 S10). 이때 표시되는 각종 메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종의 메인 메뉴로서 네비게이션 모드, 위성 TV 모드, 인터넷 모드, 외부 멀티미디어 모드, E-mail 모드, DVD 모드, 라디오 모드 및 비상 모드 등이다. 물론 화면 전체에 상기한 각종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으나, 분할된 화면의 일면에는 지도 정보를 표시하고, 다른 일면에는 메뉴 선택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도 있다.
이어, 운전자의 음성 또는 키입력에 따라 코드를 생성하거나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20). 이러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에 대한 상세한 예는 후술하는 도 5에서 설명한다.
이어, GPS 수신기를 통해 오차 정정된 측위 정보를 통해 차량의 현위치를 계산하여 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연산이나 경로 안내, 교통 정보 등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0). 이러한 네비게이션 처리 과정에 대한 상세한 예는 후술하는 도 6에서 설명한다.
이어, 다른 멀티미디어 기기와의 연결을 통해 멀티미디어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40). 보다 상세히는, 상기한 단계 S30에서 설명한 네비게이션 처리 과정을 수행한 이후에, 위성 TV 시청 요구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05), 위성 TV 시청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23에서 설명하는 위성 TV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410). 물론 본 발명에서는 위성 TV 시청에 대해서 설명하나 방송위성을 통하지 않는 TV 시청, 즉 공중파 TV 시청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다른 모드를 실행하기 전에 네비게이션 모드를 먼저 실행하는 것은 다른 모드를 실행하는 중에도 네비게이션 안내를 받기 위함이다. 운전자가 경로 안내 받고 싶지 않으면 네비게이션 모드를 건너뛰고 바로 타 모드 실행도 가능하다.
단계 S405에서 위성 TV 요구가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10에 이어, 라디오 요구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15), 라디오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24에서 설명하는 라디오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420).
단계 S415에서 라디오 요구가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20에 이어, 멀티미디어 요구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25), 멀티미디어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25에서 설명하는 멀티미디어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430).
단계 S425에서 멀티미디어 요구가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30에 이어, 인터넷 억세스 요구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35), 인터넷 억세스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26a와 도 26b에서 설명하는 인터넷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440).
단계 S435에서 인터넷 억세스 요구가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40에 이어, 전자 우편 요구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44), 전자 우편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27에서 설명하는 전자 우편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450).
단계 S444에서 전자 우편 요구가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50에 이어, 비상 상황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55), 비상 상황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29에서 설명하는 비상 상황을 처리한다(단계 S460).
단계 S455에서 비상 상황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60에 이어, 운전자 정의 메뉴 요구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65), 운전자 정의 메뉴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30에서 설명하는 운전자 정의 메뉴를 처리한다(단계 S470).
단계 S465에서 운전자 정의 메뉴 요구가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70에 이어, 후술하는 도 31에서 설명하는 하드 키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50). 여기서, 이용되는 하드 키는 다른 단계를 실행하고 있더라도 운전자의 하드 키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실행중인 다른 단계를 일시 정지하고, 하드 키에 의한 다른 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다.
시동 오프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60), 시동 온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단계 S10으로 피드백하고, 시동 오프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미등이 켜져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70), 미등이 켜져있다고 체크되는 경우에는 음성 경고 및 비상등을 점멸시킨다(단계 S70).
단계 S60에서 미등이 꺼져 있다고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70에 이어 일정 시간 경과후 시스템 전원을 오프시켜 종료한다(단계 S80).
이상에서는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나,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단계, 네비게이션을 처리하는 단계, 멀티미디어를 처리하는 단계, 하드키를 처리하는 단계 등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첨부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순차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하였을 뿐 각 단계들이 수행되는 시점을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멀티미디어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복수의 단계들 역시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하였을 뿐 각 단계들이 수행되는 시점을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상기한 도 3의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상세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음성 입력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1), 음성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인식되는 음성을 처리하고(단계 S22), 처리된 음성을 오디오 출력함과 함께 텍스트 출력한다(단계 S23).
이어 인식 결과가 정당한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4), 부당하다고 체크되는 경우에는 단계 S21로 피드백하고, 정당하다고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코드를 생성한다(단계 S25).
한편, 단계 S21에서 음성 입력이 없다고 체크되는 경우에는 키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6), 키입력이 있다고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25에 이어, 코드에 따른 메뉴를 표시하거나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단계 27).
도 6은 상기한 도 3의 네비게이션 처리 과정을 상세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a는 경로 안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b는 정보 검색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현위치를 계산하고(단계 S302),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단계 S304), 목적지 설정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05) 목적지 설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10에서 설명하는 목적지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06).
단계 S305에서 목적지 미설정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306에 이어, 경로 안내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07), 경로 안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한 화면을 초기 화면으로 하여 후술하는 도 11에서 설명하는 경로 안내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08).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로 안내를 위한 초기 화면에는 경로 안내 시작 버튼, 경로 정보 보기 버튼, 가상 주행 시작 버튼, 경로 등록 버튼 등과 같은 다양한 버튼을 화면의 일측에 구비하고, 화면의 다른 일측에는 출발지(S 깃발)부터 목적지(체크 깃발)까지의 경로가 표시된다.
단계 S307에서 경로 미안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308에 이어, 정보 검색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09), 정보 검색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도 7b에 도시한 화면을 초기 화면으로 하여 후술하는 도 14에서 설명하는 정보 검색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10).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검색을 위한 초기 화면에는 화면의 일측에 지도 정보가 표시되고, 화면의 다른 일측에는 행정공공기관 버튼, 극장 등의 문화시절 버튼, 주유소 버튼, 화장실 버튼, 음식점 버튼, 의료시설 버튼, 카페 등의 약속장소 버튼, 차량 항법 시스템의 A/S 장소라 할 수 있는 대리점 버튼 등이 구비되어 표시되고, 이에 오버랩되어 서비스 제공자측과의 온라인 연결 과정에 대한 화면을 표시한다.
단계 S309에서 정보 미검색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310에 이어, 옵션 설정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11), 옵션 설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15에서 설명하는 옵션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12).
단계 S311에서 옵션 미설정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312에 이어, 상세 지도 요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13), 상세 지도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16에서 설명하는 상세 지도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14).
단계 S313에서 상세 지도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314에 이어, 재탐색 요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15), 재탐색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17에서 설명하는 재탐색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16).
단계 S315에서 재탐색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316에 이어, 교통 정보 요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17), 교통 정보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18에서 설명하는 교통 정보를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18).
단계 S317에서 교통 정보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318에 이어, 차량 정보 요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19), 차량 정보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20에서 설명하는 차량 정보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20).
단계 S319에서 차량 정보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320에 이어, 지도 업데이트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21), 지도 업데이트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21에서 설명하는 지도 업 데이트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22). 여기서, 지도 업데이트는 차량 진행 방향에 대응하는 일정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단계 S321에서 지도 업데이트가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322에 어어, 기타 키 처리 요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23), 기타 키 처리가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종료하나, 기타 키 처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22에서 설명하는 기타 키 처리 과정을 수행(단계 S324)한 후 종료한다.
도 8은 상기한 도 6의 현위치 계산 및 위성안테나 방향 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현재 위치의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GPS 신호를 수신하고, 현위치를 계산한다(단계 S3021).
이어 DGPS(Differential GPS)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단계 S3022), 현재 위치의 지도를 읽는 후(단계 S3023), 읽어진 현재 위치의 지도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S3024). 여기서, 현재 위치의 지도를 읽는 과정은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정보를 호출하는 것이다.
이어 차속 센서에 의한 이동 거리를 계산하고(단계 S3025), 자이로 센서의 값으로 이동각을 계산한다(단계 S3026).
이어 맵매칭으로 현위치를 보정하고(단계 S3027), 현위치에 따른 위성 방향을 계산하고(단계 S3028), 계산된 방향으로 위성 안테나를 설정한다(단계 S3029).
도 10은 상기한 도 6의 목적지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목적지 검색을 위한 코드와 검색 명령을 무선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단계 S3061), 해당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검색 명령 요청에 응답하는 목적지 검색 결과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062).
단계 S3062에서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목적지 검색 결과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해당 수신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단계 S3063), 목적지 검색이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064).
단계 S3064에서 목적지 검색이 성공하지 않았다고 체크되는 경우에는 도 6에서 설명한 단계 S302로 피드백하고, 목적지 검색이 성공했다고 체크되는 경우에는 목적지까지 다중 경로를 계산하기 위해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해 승인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승인 신호에 응답하여 경로탐색 서버에서는 출발지와 목적지에 따른 경로를 계산하고, 계산된 경로를 위성 TV 채널을 통해 경로를 요청한 차량항법 장치측으로 전송한다. 물론 상기한 경로탐색 서버에서는 교통정보와 주변 교통상황의 정보를 이용해 최적의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무료와 유료 우선 경로까지 계산된 다중 경로를 위성 TV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전송 프로토콜은 장치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한 ID인 스마트 카드 번호에 이어 출발지와 목적지를 포함한 지도와 다중 경로 링크 정보들을 포함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해 다중 경로 정보를 수신받고 화면에 표시할 지도는 위성 TV 채널을 통해 전송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어 경로탐색 서버측에서 계산된 다중 경로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단계 S3066),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운전자에 의한 다중 경로의 경로 선택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067), 경로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경로를 표시하고 종료하나, 경로 미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신규 목적지 설정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068).
단계 S3068에서 신규 목적지 설정이 아닌 것을 체크되는 경우에는 현 목적지를 경유지로 변경한 후(단계 S3069), 도 6에서 설명한 단계 S302로 피드백하고, 신규 목적지 설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도 6에서 설명한 단계 S302로 피드백한다.
도 11은 상기한 도 6의 경로 안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도 8에서 설명한 현위치를 계산한 후(단계 S302), 경로 이탈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081), 경로 이탈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경로를 재탐색한다(단계 S316). 단계 S3081에서 경로 미이탈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316에서 경로 재탐색 과정을 수행한 후 음성 안내의 필요성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083), 필요하다고 체크되는 경우에는 진행 방향을 음성 안내하고(단계 S3084), 주행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S3085). 단계 S3083에서 음성 안내가 불필요하다고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3085에 이어, 운전자 요구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086), 운전자 요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12에서 설명하는 운전자 요구에 따른 메뉴를 처리한다(단계 S3087).
단계 S3086에서 운전자 요구가 미존재하는 경우 및 단계 S3087에서 요구에 따른 메뉴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지도 업 데이트 동작을 수행하고(단계 3088), 목적지 도착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089).
단계 S3089에서 목적지 도착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목적지 도착 안내 및 경로 안내를 해제하고(단계 S3090), 목적지 미도착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단계 S302로 피드백하여 현위치를 계산한 후 단계 S3081로 피드백한다.
도 12는 상기한 도 11의 운전자 요구에 따른 메뉴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교통정보 요구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702), 교통정보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교통정보 요구에 대응하는 코드를 생성하고(단계 S704), 생성된 교통정보 요구 코드를 근거로 후술하는 도 13에서 설명하는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706).
단계 S702에서 교통정보 미요구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706에서 데이터를 처리한 후 목적지 주변 상세 지도를 요청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708), 목적지 주변 상세 지도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목적지 주변 상세 지도 요구에 대응하는 코드를 생성하고(단계 S710), 생성된 목적지 주변 상세 지도 요구 코드를 근거로 후술하는 도 13에서 설명하는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712).
단계 S708에서 목적지 주변 상세 정보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S712에서 데이터를 처리한 후 주변정보 음성 안내 요구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714), 목적지 주변 정보 음성 안내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코드를 생성하고(단계 S716), 생성된 코드를 근거로 목적지 주변 정보를 음성 출력한다(단계 S718).
단계 S714에서 주변정보 음성 안내 미요구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718에서 주변 정보를 음성 안내한 후 주행 정보 요구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720), 주행 정보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차량 상태를 확인한 후(단계 S722), 문자 및 음성으로 해당 차량 상태정보를 출력한다(단계 S724).
단계 S720에서 주행 정보 미요구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724에서 문자 및 음성을 출력한 후 지도 표시 변경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726), 지도 표시 변경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지도 표시를 위한 플래그를 변경하고(단계 S728), 변경된 플래그를 근거로 변경된 지도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단계 S730).
단계 S726에서 지도 표시 미변경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730에서 화면에 출력한 후 현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재탐색 요구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732), 재탐색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탐색 조건을 확인한 후(단계 S734), 후술하는 도 17에서 설명하는 경로 재탐색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16).
단계 S732에서 경로 재탐색 미요구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736에서 재탐색을 수행한 후 경로 설정 변경 요구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738), 경로 설정 변경 미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종료하나, 경로 설정 변경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경로 설정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고(단계 S740), 표시된 메뉴에 운전자가 조작함에따라 이를 근거로 경로 설정을 변경한 후(단계 S742) 종료한다.
도 13은 상기한 도 12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코드와 검색 명령을 무선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단계 S7062),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신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7064), 위성 TV 정보 미수신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수신시까지 대기하지만 위성 TV 정보 수신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수신된 정보를 화면 출력하거나 음성 출력한다(단계 S7066). 여기서, 위성 TV 채널로 수신할 때 이용되는 수신 ID일 수도 있고, 위성 TV 홈 쇼핑 또는 인터넷 쇼핑시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정보일 수도 있다. 물론 이때 수신 ID나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는 정보는 별도의 스마트 카드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해 전송되는 코드와 검색 명령은 교통 정보 요구에 대응하는 정보 또는 목적지 주변 상세 지도 요구에 대응하는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위성 TV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는 운전자가 요청한 교통 정보 또는 목적지 주변 상세 지도 정보이다. 물론 교통 정보는 동영상 화면일 수도 있고, 스틸 화면일 수도 있으며, 목적지 주변 상세 정보는 관광지 등의 조감도가 포함된 관광용 지도일 수도 있고, 약도 정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4는 상기한 도 6의 정보 검색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정보 검색을 위한 메뉴를 표시한 후(단계 S3102),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하고(단계 S304), 상기한 도 13에서 설명한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706).
도 15는 상기한 도 6의 옵션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옵션 메뉴를 표시한 후(단계 S3120),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하고(단계 S304), 이어 옵션을 변경한 후(단계 S3126), 변경된 옵션에 대해서 화면을 통해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S3128).
도 16은 상기한 도 6의 상세 지도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상세 지도 요구 위치를 표시하고(단계 S3140),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단계 S304), 위치 좌표 및 검색 명령 코드를 생성하고(단계 S3144), 상기한 도 13에서 설명한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706).
이어 화면을 통해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S3148).
도 17은 상기한 도 6의 재탐색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탐색 조건을 확인하고(단계 S3160), 현위치에서 목적지까지 경로를 탐색한 후(단계 S3162), 화면이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S3164).
도 18은 상기한 도 6의 교통 정보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9a는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이고, 도 19b는 관심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다.
도 18을 참조하면, 교통 정보 서비스 지역을 표시하고(단계 S3180),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단계 S304), 요구 지역 및 검색 코드를 생성하고(단계 S3180), 상기한 도 13에서 설명한 데이터 처리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706).
이어 화면을 통해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S3188). 이때 출력되는 화면은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정보일 수도 있고,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심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정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한 도 5의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에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정보가 요청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현재 시각의 교통정보가 표시될 것이고, 관심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정보가 요청되는 경우에는 관심 위치에 대응하는 현재 시각의 교통정보가 표시될 것이다.
이처럼, 운전자는 현재 위치 또는 관심 위치에 대응하는 교통정보, 즉 원활/서행/정체/통제 등의 정보를 서비스받을 수 있으므로 교통체증 등에 의한 비용적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20은 상기한 도 6의 차량 정보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먼저 운전자가 차량 정보 처리를 요청한 경우에는 소모품 리스트를 화면표시부에 표시하고(단계 S3200), 총 주행 거리를 계산한 후(단계 S3202), 각 소모품별 교체 주행 거리를 표시한다(단계 S3204).
이어 소모품 각각에 대해서 총 주행 거리에서 이전 교체 주행 거리를 감산하는 연산 과정을 통해 각 소모품별로 잔여 교체 주행 거리를 표시하고(단계 S3206), 교체가 필요한 품목을 화면표시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S3208).
이처럼, 운전자는 차량의 각 소모품에 대한 정보를 차량 항법 시스템을 통해확인할 수 있으므로 굳이 각 소모품의 교체 주기를 기록하는 차계부를 작성하지 않더라도 정상적으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거리 등의 운전시 미리 대처할 수 있다.
도 21은 상기한 도 6의 지도 업데이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먼저 일정 영역을 주행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221), 일정 영역을 주행했다고 체크되는 경우에는 주행 방향에 대응하는 지도의 재전송을 요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222).
단계 S3222에서 주행 방향 지도의 재전송을 요구하는 것을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3221에서 일정 영역을 주행하는 것을 체크되는 경우에는 요구 지역 및 검색 코드를 전송한 후(단계 S3223), 위성 TV 채널을 튜닝한 후 이를 수신한다(단계 S3224).
이어, 요구 영역 아이디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225), 요구 영역 아이디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도 13에서 설명하는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하고(단계 S706), 기록 장치에 저장한다(단계 S3227). 이때의 기록 장치는 불휘발성 메모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는 상기한 도 6의 기타 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먼저 자기 진단을 요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241), 자기 진단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시스템 각 부분 통신을 확인한 후(단계 S3241-a), 확인 결과를 화면에 출력한 후 종료한다(단계 S3241-b).
단계 S3241에서 자기 진단 미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차속 센서 주행 오차 보정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242), 차속 센서 주행 오차 보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를 표시하고(단계 S3242-a), 보정 수치를 입력받는 후 종료한다(단계 S3242-b).
단계 S3242에서 차속 센서 주행 오차 보정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위험 위치 경보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243), 위험 위치 경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를 표시하고(단계 S3243-a), 위치 항목에 대응하는 온/오프를 입력받은 후 종료한다(단계 S3243-b).
단계 S3243에서 위험 위치 경보가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메모리 지점 설정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244), 메모리 지점 설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현위치에 마크를 표시하고(단계 S3244-a), 현위치 마크를 등록한다(단계 S3244-b).
단계 S3244에서 메모리 지점 미설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경로 편집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245), 경로 편집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를 표시하고(단계 S3245-a), 현위치/목적지/경유지를 수정 및 삭제한 후 종료한다.(단계 S3245-b).
단계 S3245에서 경로 편집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메모리 지점 편집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246), 메모리 지점 편집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를 표시하고(단계 S3246-a), 메모리 지점 위치나, 기호, 명칭 등을 수정 및 삭제한 후 종료한다(단계 S3246-b).
단계 S3246에서 메모리 지점 편집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화면 표시 설정 변경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247), 화면 표시 설정 변경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를 표시하고(단계 S3247-a), 설정에 따른 표시를 변경(단계 S3247-b)한 후 종료하고, 화면 표시 설정 변경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종료한다.
도 23은 상기한 도 3의 위성 TV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먼저 이전에 설정된 위성방송채널을 튜닝하고(단계 S4102), 위성방송 수신을 위한 메뉴를 표시한 후(단계 S4104),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04).
이어, 위성방송채널 선택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108), 위성방송채널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위성방송채널을 튜닝 출력한다(단계 S4110).
단계 S4108에서 위성방송채널 미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110에 이어, 위성방송의 자동 선국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112), 위성방송의 자동 선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수신 가능한 위성방송채널을 검색하고(단계 S4114), 수신 가능한 위성방송채널을 기록한다(단계 S4116).
단계 S4112에서 위성방송의 자동 선국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116에 이어, 화질 설정 변경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118), 화질 설정 변경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밝기/색상/색도의 설정을 변경한다(단계 S4120).
단계 S4118에서 화질 설정 미변경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120에 이어, 위성방송채널의 음질/음량 조정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122), 음질/음량 조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저음/중음/음량/좌우음량/전후음량 등을 조정한다(단계 S4124).
단계 S4122에서 음질/음량 미조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DSP 조정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126), DSP 조정이 아닌 것을 체크되는 경우에는 종료하고, DSP 조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음장 모드를 변경한 후 종료한다(단계 S4128).
도 24는 상기한 도 3의 라디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먼저 이전에 설정된 라디오채널을 튜닝하고(단계 S4202), 라디오채널 선택을 위한 메뉴를 표시한 후(단계 S4204),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04).
이어, 특정 라디오채널 선택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208), 특정 라디오채널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라디오채널을 튜닝 출력한다(단계 S4210).
단계 S4208에서 채널 미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210에 이어, 라디오 방송채널의 자동 선국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212), 자동 선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수신 가능한 라디오 방송채널을 검색하고(단계 S4214), 검색된 라디오 방송채널을 기록한다(단계 S4216).
단계 S4212에서 라디오 방송채널의 자동 선국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216에 이어, 음질/음량 조정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218), 음질/음량 조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저음/중음/음량/좌우음량/전후음량을 조정한다(단계 S4220).
단계 S4218에서 음질/음량 조정이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220에 이어, DSP 조정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222), DSP 조정이 아닌 것을 체크되는 경우에는 종료하고, DSP 조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음장 모드를 변경한 후(단계 S4224), 종료한다.
도 25는 상기한 도 3의 멀티미디어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먼저 이전 설정 모드를 표시하고(단계 S4302), 해당 메뉴를 표시한 후(단계 S4304),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04).
이어, 내부 멀티미디어 기능을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308), 내부 멀티미디어 기능을 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내부 멀티미디어를 재생한다(단계 S4310).
단계 S4308에서 내부 멀티미디어 기능을 선택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310에 이어, 주변 멀티미디어(Auxiliary Multimedia)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312), 주변 멀티미디어를 선택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종료하고, 주변 멀티미디어를 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주변 멀티미디어 장치를 재생 출력한 후(단계 S4314), 종료한다.
도 26a와 도 26b는 상기한 도 3의 인터넷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6a와 도 26b를 참조하면, 먼저 인터넷 처리를 위한 메뉴를 표시하고(단계 S4402),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과정을 수행한 후(단계 S304), 편의 서비스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406).
단계 S4406에서, 편의 서비스를 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제휴 편의 서비스 홈페이지에 연결한다(단계 S4408).
단계 S4406에서 편의 서비스를 미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408에 이어, 예약 서비스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 예약 서비스를 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예약 서비스 전용 홈페이지에 연결한다(단계 S4412).
단계 S4410에서 예약 서비스를 미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412에 이어, 응급 상황 지원 서비스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 응급 상황 지원 서비스를 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현위치 및 에어백 동작 유무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단계 S4416).
단계 S4414에서 응급 상황 서비스를 미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4156에 이어, 자동 항법 서비스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418), 자동항법 서비스를 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자동 항법 서비스 전용 홈페이지에 연결한 후(단계 S4420), 목적지를 입력하고(단계 S4422), 서버의 검색 리스트에서 목적지를 선택한 후(단계 S4424), 서버에서 탐색된 경로를 선택하고(단계 S4426), 경로를 다운 로드 받으며(단계 S4428), 경로를 안내한다(단계 S4430).
단계 S4418에서 자동 항법 서비스를 미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430에 이어 도난 보호 서비스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432), 도난 보호 서비스를 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확인하고(단계 S4434), 현위치 및 아이디를 정기적으로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온/오프를 설정한다(단계 S4436).
단계 S4432에서 도난 보호 서비스를 미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436에 이어, 교통 정보 서비스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438), 교통 정보 서비스를 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교통 정보 서비스 전용 홈페이지에 연결한다(단계 S4440).
단계 S4438에서 교통 정보 서비스를 미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442에 이어, 증권/은행 서비스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442), 증권/은행 서비스를 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제휴 증권/은행 서비스 홈페이지에 연결한다(단계 S4444).
단계 S4442에서 증권/은행 서비스를 미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444에 이어, A/S 서비스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446), A/S 서비스를 선택했다고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A/S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연결한다(단계 S4448).
단계 S4446에서 A/S 서비스를 미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448에 이어, 검색 서비스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450), 검색 서비스를 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URL을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454), URL을 입력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입력된 URL 사이트로 연결한 후(단계 S4456) 종료하고, 단계 S4454에서 URL을 미입력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종료한다.
도 27은 상기한 도 3의 전자 우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8a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화면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 우편 메시지창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28b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화면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연락처창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먼저 전자 우편 처리를 위한 메뉴를 표시하고(단계 S4502),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04).
이어 전자 우편 수신 서비스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506), 전자 우편 수신 서비스를 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전자 우편을 받고(단계 S4508), 전자 우편 화면을 표시 출력하며(단계 S4510), TTS(Text To Speech) 음성 처리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4512). 여기서, 전자 우편 수신시 별도의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정상적으로 전자 우편을 수신할 수 있다. 왜냐하면, 차량 항법 시스템에 대응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서비스 센터측에서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화면에 표시되는 수신 전자 우편 메시지를 TTS 음성 처리하는 과정을 부여하였으나, 이러한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 S4506에서 수신 서비스를 미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512에 이어, 발신 서비스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514), 발신 서비스를 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도 2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우편을 편집하고(단계 S4516), 편집된 전자 우편 메시지상에 전자 우편 수신인을 지정하며(단계 S4518), 지정된 전자 우편 수신인 측으로 전자 우편을 발송한다(단계 S4520). 물론 도 28a에서는 화면표시부의 화면의 일부를 이용하여 전자 우편을 편집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화면 전체를 이용하여 전자 우편을 편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자 우편 편집시 화면표시부의 일측에 키입력을 위한 가상의 키들을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을 통해 각종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연결이 가능한 키보드 등을 통해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 S4514에서 발신 서비스를 미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520에 이어, 주소록 편집을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522), 주소록 편집이 선택된 경우에는 패스워드를 확인한 후(단계 S4524), 도 2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소록을 편집한다(단계 S4526).
단계 S4522에서 주소록 편집을 미선택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526에 이어, 전자 우편 수발신함 편집을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528), 전자 우편 수발신함 편집이 선택된 경우에는 수발신함을 편집한 후(단계 S4530) 종료하고, 전자 우편 수발신함 편집이 미선택된 경우에는 종료한다. 이러한 전자 우편 수발신함 편집 과정을 통해 이미 확인한 수신 전자 우편 메시지나 발신 전자 우편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주어진 환경내에서 메모리의 용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29는 상기한 도 3의 비상상황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먼저 차량의 현위치를 취득하고(단계 S4602), 에어백 동작 유무를 확인하고(단계 S4604), 급 브레이크 동작 유무를 확인한다(단계 S4606).
이어, 상기한 도 13에서 설명한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단계 706S), 비상등을 점멸한다(단계 S4608). 물론 비상등이 점멸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단계 S4604에서 에어백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로 판별되는 경우 또는 단계 S4606에서 급 브레이크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이고, 이러한 긴급 상황 발생시 단계 S4602에서 취득한 현위치에 대응하는 코드와 함께 해당 긴급 상황에 대응하는 코드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센터측에 제공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운전자는 굳이 해당 긴급 상황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자신의 휴대폰을 통해 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수행되므로 운전자는 침착함을 유지할 수 있고, 자동으로 비상등이 점멸하므로 다른 차량에는 경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0은 상기한 도 3의 운전자 정의 메뉴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먼저 운전자가 정의한 메뉴를 표시한 후(단계 S4702),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304).
이어, 명품 정보의 서비스를 요청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704), 명품 정보를 서비스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를 표시하고(단계 S4706),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단계 S304),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706).
단계 S4704에서 명품 정보 서비스를 요청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706에 이어, 전문가 정보의 서비스를 요청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S4708), 전문가 정보의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를 표시하고(단계 S4710),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단계 S304), 상기한 도 13에서 설명한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706).
단계 S4708에서 전문가 정보 서비스를 요청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706에 이어, VIP 클럽 서비스를 요청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712), VIP 클럽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를 표시하고(단계 S4714),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단계 S304), 상기한 도 13에서 설명한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706).
단계 S4712에서 VIP 클럽 서비스를 요청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706에 이어, 즐겨찾기 설정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716), 즐겨찾기 설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를 표시하고(단계 S4718),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단계 S304), 즐겨찾기 메뉴를 표시한다(단계 S4720).
단계 S4716에서 즐겨찾기 미설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운전자 정의 메뉴를 설정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720), 운전자 정의 메뉴의 설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를 표시하고(단계 S4722), 상기한 도 5에서 설명한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단계 S304), 각 메뉴 표시를 온/오프 처리한다(단계 S7724). 즉 운전자가 주로 사용할 메뉴를 그 구조에 상관없이 최소의 키조작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메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메뉴를 누르고, 경로설정을 누르고, 정보검색을 누르고, 명칭입력을 눌러 명칭 검색에 의한 목적지 설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명칭입력 항목을 운전자 정의 메뉴에 설정하면 메뉴를 눌러 명칭 입력에 의한 목적지 설정 항목이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4번의 키 조작을 2번의 키 조작으로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도 31은 상기한 도 3의 하드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오디오의 모노, 스테레오 등의 모드 선택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802), 특정 모드가 선택되는 해당 모드로 전환한다(단계 S4804).
단계 S4802에서 모드 미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804에 이어, 기능 선택 키 선택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806), 기능 선택 키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기능 키 메뉴를 실행한다(단계 S4808).
단계 S4806에서 기능키 미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808에 이어, 음량/음질 조정 선택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810), 음량/음질 조정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음량/음질을 조정한다(단계 S4812).
단계 S4810에서 음량/음질 미조정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812에 이어, 비상 호출 선택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814), 비상 호출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도 29에서 설명한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460).
단계 S4814에서 비상 호출 미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60에 이어, 오디오 튜닝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820), 오디오 튜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오디오를 튜닝한다(단계 S4818).
단계 S4818에서 오디오 미튜닝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820에 이어, 메뉴 선택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822), 메뉴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를 표시한다(단계 S4824).
단계 S4822에서 메뉴 미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824에 이어, 화질 조정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826), 화질 조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화질을 조정한다(단계 S4828).
단계 S4826에서 화질 미조정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828에 이어, 현위치 선택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830) 현위치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네비게이션 모드로 전환하고, 현재 위치를 표시한다(단계 S4832).
단계 S4830에서 현위치 미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4832에 이어, 목적지 설정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834), 목적지 설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도 10에서 설명한 목적지 설정 과정을 통해 목적지를 설정한다(단계 S306).
단계 S4834에서 목적지 미설정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306에 이어, 차량 항법 시스템에 공급되는 파워 조정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838), 파워 미조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종료하고, 파워 조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파워를 온 또는 오프한 후(단계 S4840) 종료한다. 바람직하게는 파워를 오프시킨 후 종료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항법 시스템에 외부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비디오 신호들을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므로써 다른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차량 항법 시스템의 화면표시부의 전체 또는 일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통합시킬 수 있으므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부품들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차량내에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에도 별도의 전자파 차폐용 와이어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차량 제작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차량 항법 시스템과는 별개로 또는 차량 항법 시스템내에 일체로 구비되는 무선통신기기와의 연결을 통해 인터넷 서버와 각종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차량 이력이나, 차량 소모품 등의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상상황 발생시에도 빠르고 정확하게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위성 지도 데이터 서비스 채널을 통해 지도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전국 지도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메모리 또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CD-ROM이나 CD-ROM으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별도의 CD-ROM 드라이버를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1)

  1. 운전자의 키조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키 입력부와, GPS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부와, 차량의 경로 안내 및 경고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에 있어서,
    연결된 자이로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방위각 신호를 근거로 상기 측위 정보의 오차를 정정하여 오차 정정된 측위 정보를 출력하는 연산하는 GPS 수신기;
    중앙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지도 데이터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
    상기 중앙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지도 데이터가 입력됨에 따라 화면표시부에 출력하는 화상신호 처리부;
    연결된 무선통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 출력하고, 마이크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에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부;
    외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중앙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오차 정정된 측위 정보를 상기 지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부와 중앙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화상신호 처리부 또는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은,
    DVD 삽입을 위한 DVD 데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DVD 데크에 상기 DVD가 삽입됨에 따라 저장된 DVD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중앙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상기 화상신호 처리부 또는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부는,
    스마트 카드의 삽입을 위한 슬롯과 연결된 스마트 카드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위성 TV 채널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항법 정보를 위성 TV 채널로 수신할 때 수신 ID로 이용하거나 위성 TV 홈 쇼핑 또는 인터넷쇼핑시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정보를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부는,
    외부의 네트워크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상기 중앙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다른 네트워크 기기의 디지털 신호를 상기 화상신호 또는 상기음성신호 처리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은,
    차량의 전자제어유니트와 연결된 버스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부와 중앙 인터페이스부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차량 감지 신호를 상기 화상신호 처리부 또는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은,
    라디오 수신을 위한 라디오 튜너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라디오 제어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라디오 튜너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은,
    위성 안테나에 연결되어, 상기 위성 안테나를 통해 일반 위성 TV 채널 및 지도 데이터 서비스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위성 TV 튜너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위성방송 제어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위성 TV 튜너를 제어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 서비스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지도 데이터, 경로 정보, 주변 상세 정보 및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지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은,
    무선통신단말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위성 튜너 및 상기 무선통신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지도 데이터 또는 업 그레이드 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지도 데이터 또는 업 그레이트 프로그램을 상기 지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은,
    공중파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TV 튜너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공중파 방송 제어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TV튜너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
  10. 운전자의 키조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와, GPS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부와, 차량의 경로 안내 및 경고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의 시동이 온 됨에 따라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메인 메뉴상에서 운전자의 음성 또는 키입력에 따른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GPS 측위 정보를 근거로 오차 정정하여 차량의 현위치를 계산하여 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연산, 경로 안내 및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d) 다른 멀티미디어 기기와의 연결을 통해 멀티미디어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e) 하드 키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f) 시동 오프 여부를 체크하여, 시동 온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a)로 피드백하고, 시동 오프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미등 온/오프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g) 상기 단계(f)에서 미등 온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음성 경고 및 비상등을 점멸시키고,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미등을 오프하고, 상기 미등 오프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 경과후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d-11) 위성 TV 요구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위성 TV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이전 설정 위성채널을 튜닝하고,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d-12) 표시되는 메뉴에 위성 채널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위성 채널을 튜닝하는 단계:
    (d-121)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주행 방향에 따른 위성 안테나 방향 설정하는 단계;
    (d-13) 자동 선국 여부를 체크하여 자동 선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수신 가능한 위성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위성채널을 기록하는 단계;
    (d-14) 화질 설정 변경 여부를 체크하여, 화질 설정 변경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조작에 따른 밝기, 색상 및 색도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
    (d-15) 음질, 음향 조정 여부를 체크하여, 음질, 음향 조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저음, 중음, 음량, 좌우 음량 및 전후 음량을 조정하는 단계; 및
    (d-16) DSP 조정 여부를 체크하여, DSP 조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음장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d-21) 라디오 요구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라디오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이전 설정 라디오 채널을 튜닝하고, 라디오용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d-22) 상기 라디오용 메뉴에서 라디오 채널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라디오 채널을 튜닝하는 단계;
    (d-23) 상기 라디오용 메뉴에서 자동 선국 여부를 체크하여 자동 선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수신 가능한 라디오 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라디오 채널을 기록하는 단계;
    (d-24) 상기 라디오용 메뉴에서 음질, 음향 조정 여부를 체크하여, 음질, 음향 조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저음, 중음, 음량, 좌우 음량, 전후 음량을 조정하는 단계; 및
    (d-25) 상기 라디오용 메뉴에서 DSP 조정 여부를 체크하여, DSP 조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음장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d-31) 멀티미디어 요구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멀티미디어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이전 설정 모드를 표시하고, 멀티미디어용 메뉴를 표시하며,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d-32) 내부 멀티미디어 기능 선택 여부를 체크하여, 내부 멀티미디어 기능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내부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단계; 및
    (d-33) 상기 단계(d-32)에서 내부 멀티미디어 기능 미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보조 멀티미디어 기능 선택 여부를 체크하여, 보조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d-4a) 인터넷 억세스 요구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인터넷 억세스 요구라체크되는 경우에는 인터넷 억세스 메뉴를 표시하고,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인터넷 억세스를 위한 제1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d-4b) 상기 제1 코드가 편의 서비스 선택인지를 체크하여, 편의 서비스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제휴 편의 서비스 홈페이지에 연결하는 단계;
    (d-4c) 상기 제1 코드가 예약 서비스 선택인지를 체크하여, 예약 서비스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예약 서비스 전용 홈페이지에 연결하는 단계;
    (d-4d) 상기 제1 코드가 응급 상황 지원 서비스 선택인지를 체크하여, 응급 상황 지원 서비스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현위치 및 에어백 동작 유무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d-4e) 상기 제1 코드가 자동 항법 서비스 선택인지를 체크하여, 자동 항법 서비스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자동 항법 서비스 요청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그의 응답에 따른 자동 항법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d-4f) 상기 제1 코드가 도난 보호 서비스 선택인지를 체크하여, 도난 보호 서비스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확인하고, 서버의 요청시 현위치 및 아이디를 정기적으로 서버에 전송하는 기능을 온/오프 설정하는 단계;
    (d-4g) 상기 제1 코드가 교통 정보 서비스 선택인지를 체크하여, 교통 정보 서비스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교통 정보 서비스 전용 홈페이지에 연결하는 단계;
    (d-4h) 상기 제1 코드가 증권/은행 서비스 선택인지를 체크하여, 증권/은행 서비스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제휴 증권/은행 서비스 홈페이지에 연결하는단계;
    (d-4i) 상기 제1 코드가 사후 서비스 선택인지를 체크하여, 사후 서비스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사후 서비스 홈페이지에 연결하는 단계;
    (d-4j) 상기 제1 코드가 검색 서비스 선택인지를 체크하여, 검색 서비스 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제휴 검색 서비스 홈페이지에 연결하는 단계; 및
    (d-4k) 상기 제1 코드가 URL 입력인지를 체크하여, URL 입력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URL 사이트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4e)는
    자동 항법 서비스 전용 서버에 연결하여 목적지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검색 리스트에서 목적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탐색된 경로를 선택하여 해당 경로를 다운 로드하는 단계;
    상기 다운 로드된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d-51) 전자 우편 요구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전자 우편 요구라 체크되는경우에는 전자 우편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고,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전자 우편을 위한 제2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d-52) 상기 제2 코드가 전자 우편 수신 서비스 선택인지를 체크하여, 전자 우편 수신 서비스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전자 우편을 수신하고, 화면에 표시하며, 음성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d-53) 상기 제2 코드가 전자 우편 발신 서비스 선택인지를 체크하여, 전자 우편 발신 서비스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전자 우편을 편집하고, 수신인을 지정하여 전송하는 단계;
    (d-54) 상기 제2 코드가 주소록 편집인지를 체크하여, 주소록 편집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패스워드를 확인하고, 주소록을 편집하는 단계; 및
    (d-55) 상기 제2 코드가 수발신함 편집인지를 체크하여, 수발신함 편집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수발신함을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d-61) 비상 상황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비상 상황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현위치를 취득하는 단계;
    (d-62) 에어백 동작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d-63) 급 브레이크 동작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및
    (d-64) 상기 단계(d-62)에서 에어백 불동작이라 확인되는 경우 또는 상기 단계(d-63)에서 급 브레이크 불동작이라 확인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는 상기 단계(d-61)에서 취득한 현위치 정보를 무선전송하고, 비상등을 점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c-1) 코드와 검색 명령을 무선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2)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신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c-3) 상기 단계(c-2) 에서 위성 TV 정보 미수신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수신시까지 대기하고, 위성 TV 정보 수신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수신된 정보를 화면 또는 음성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와 검색 명령은 교통 정보 요구에 대응하는 정보 또는 목적지 주변 상세 지도 요구에 대응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TV 정보는 운전자가 요청한 교통 정보 또는 목적지 주변 상세 지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
  2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d-1) 운전자 정의 메뉴 요구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운전자 정의 메뉴 요구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메뉴를 표시하고,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운전자 정의 메뉴를 위한 제3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d-2) 상기 제3 코드가 명품 정보 서비스 선택인지를 체크하여, 명품 정보 서비스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메뉴를 표시하고,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d-3) 상기 제3 코드가 전문가 정보 서비스 선택인지를 체크하여, 전문가 정보 서비스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메뉴를 표시하고,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d-4) 상기 제3 코드가 VIP 클럽 서비스 선택인지를 체크하여, VIP 클럭 서비스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메뉴를 표시하고,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d-5) 상기 제3 코드가 즐겨찾기 설정인지를 체크하여, 즐겨찾기 서비스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메뉴를 표시하고,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즐겨찾기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d-6) 상기 제3 코드가 운전자 정의 메뉴 설정인지를 체크하여, 운전자 정의 메뉴 설정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메뉴를 표시하고,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각 메뉴 표시 온/오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20034980A 2002-06-21 2002-06-21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 과 이의 제어방법 KR100541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980A KR100541415B1 (ko) 2002-06-21 2002-06-21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 과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980A KR100541415B1 (ko) 2002-06-21 2002-06-21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 과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140A true KR20020060140A (ko) 2002-07-16
KR100541415B1 KR100541415B1 (ko) 2006-01-10

Family

ID=2772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980A KR100541415B1 (ko) 2002-06-21 2002-06-21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 과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41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771A (ko) * 2002-11-11 2004-05-20 에스케이 주식회사 카 네비게이션에서의 즐겨찾기 사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17808B1 (ko) * 2002-11-01 2005-09-29 에스케이 주식회사 차량의 다중경로 탐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38427B1 (ko) * 2005-04-12 2006-01-11 효림산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오디오 비디오 시스템
KR100723799B1 (ko) * 2006-04-06 2007-05-31 조경래 지피에스 기반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정체구역에서의무선인터넷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070084812A (ko) * 2006-02-22 2007-08-27 주식회사 사라콤 차량용 정보 단말기
KR100783148B1 (ko) * 2006-04-12 2007-12-07 (주)이너큐브 멀티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차량 정보 제공 장치,조합형 텔레매틱스 시스템
KR100786896B1 (ko) * 2005-02-23 2007-12-17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최적정보 서비스 방법
KR101055703B1 (ko) * 2010-11-24 2011-08-11 주식회사 해빛솔루션 차량의 정황정보에 따라 출력이 제어되는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
CN102539955A (zh) * 2012-03-22 2012-07-04 深圳市金凯博自动化测试有限公司 车载多媒体的自动化测试系统
TWI392849B (zh) * 2009-12-02 2013-04-11 Inventec Appliances Corp 利用gps導航輔助移動多媒體電視接收端接收方法及其接收系統
CN103471621A (zh) * 2013-09-30 2013-12-25 深圳迪恩杰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车载导航多媒体终端的测试方法及测试设备
KR20170088960A (ko) * 2014-12-22 2017-08-02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손가락 기반 컨트롤 바 및 상기 손가락 기반 컨트롤 바의 사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605B1 (ko) * 1995-10-13 1998-11-16 김광호 차량원격관리시스템
US5794164A (en) * 1995-11-29 1998-08-11 Microsoft Corporation Vehicle computer system
KR19990027526U (ko) * 1997-12-24 1999-07-15 양재신 인터넷 기능을 가지는 네비게이션 및 카 티브이 시스템
KR19990057532A (ko) * 1997-12-30 1999-07-15 오상수 전조등 & 미등 자동 소등장치
WO2000022593A1 (en) * 1998-10-14 2000-04-20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Driver information system
KR100316917B1 (ko) * 1999-06-30 2001-12-22 이계안 차량용 위성 방송 수신장치
DE10062035A1 (de) * 1999-12-16 2001-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ternet-Terminal und Navigationsgerät, das dieses nutzt
KR20010034969A (ko) * 2000-05-04 2001-05-07 송진호 인터넷 차량관리시스템
KR100481443B1 (ko) * 2000-09-26 2005-04-08 주식회사 지피에스아이 인터넷을 이용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관련 정보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KR20010088980A (ko) * 2001-08-29 2001-09-29 - 차량 멀티미디어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808B1 (ko) * 2002-11-01 2005-09-29 에스케이 주식회사 차량의 다중경로 탐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41771A (ko) * 2002-11-11 2004-05-20 에스케이 주식회사 카 네비게이션에서의 즐겨찾기 사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6896B1 (ko) * 2005-02-23 2007-12-17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단말장치 및 최적정보 서비스 방법
KR100538427B1 (ko) * 2005-04-12 2006-01-11 효림산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오디오 비디오 시스템
KR20070084812A (ko) * 2006-02-22 2007-08-27 주식회사 사라콤 차량용 정보 단말기
KR100723799B1 (ko) * 2006-04-06 2007-05-31 조경래 지피에스 기반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정체구역에서의무선인터넷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0783148B1 (ko) * 2006-04-12 2007-12-07 (주)이너큐브 멀티미디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차량 정보 제공 장치,조합형 텔레매틱스 시스템
TWI392849B (zh) * 2009-12-02 2013-04-11 Inventec Appliances Corp 利用gps導航輔助移動多媒體電視接收端接收方法及其接收系統
KR101055703B1 (ko) * 2010-11-24 2011-08-11 주식회사 해빛솔루션 차량의 정황정보에 따라 출력이 제어되는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
CN102539955A (zh) * 2012-03-22 2012-07-04 深圳市金凯博自动化测试有限公司 车载多媒体的自动化测试系统
CN103471621A (zh) * 2013-09-30 2013-12-25 深圳迪恩杰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车载导航多媒体终端的测试方法及测试设备
KR20170088960A (ko) * 2014-12-22 2017-08-02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손가락 기반 컨트롤 바 및 상기 손가락 기반 컨트롤 바의 사용
US10596906B2 (en) 2014-12-22 2020-03-24 Volkswagen Ag Finger strip and use of said finger str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1415B1 (ko) 2006-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2144B2 (en) Image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with portable navigation unit
US10479203B2 (en) Vehicle equipment
KR100661005B1 (ko) Dmb 수신 네비게이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네비게이션 수행 방법
CN100549622C (zh) 适用于指引导航系统中另一方位置的装置和方法
US7146274B2 (en) Process for updating map data and navigation system
US20080215240A1 (en) Integrating User Interfaces
US20080147308A1 (en) Integrating Navigation Systems
US8849568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contents using a portable terminal
KR100541415B1 (ko)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차량 항법 시스템 과 이의 제어방법
WO2006025422A1 (ja) 処理制御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01373139A (zh) 具有用于管理位置信息的功能的终端和程序记录介质
JP2005265572A (ja) 車載情報端末の操作方法、車載情報端末、携帯端末用プログラム、携帯電話
JP2006153731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携帯電話
JPH08145705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101979A (ja) 情報通信システム
JP4420812B2 (ja) 車載機と地上波デジタル放送受信機からなるシステムの情報処理方法
JP2003344087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おける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方法のプログラム、画像表示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11101652A (ja) 電子メールデータ受信装置、電子メールホスト装置、これらの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及び電子メールシステム
US20070063826A1 (en) In-vehicle multifunctional information device
JP2003228794A (ja) 放送情報表示システム
KR20020070924A (ko) 조감지도표시방법 및 네비게이션 장치
JP2019021277A (ja) 車載システム
JP4727826B2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そのための車載用案内情報出力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4402984B2 (ja) 地上波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210108377U (zh) 一种共享自行车的导航系统及多媒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