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9584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9584A
KR20020059584A KR1020027001180A KR20027001180A KR20020059584A KR 20020059584 A KR20020059584 A KR 20020059584A KR 1020027001180 A KR1020027001180 A KR 1020027001180A KR 20027001180 A KR20027001180 A KR 20027001180A KR 20020059584 A KR20020059584 A KR 20020059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drive
pin
bristle carrier
guid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틴 니버갈
우도 괴츠
Original Assignee
데트레프 비테
모제르 엘렉트로게래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934805A external-priority patent/DE19934805C2/de
Priority claimed from DE19956689A external-priority patent/DE19956689C2/de
Application filed by 데트레프 비테, 모제르 엘렉트로게래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데트레프 비테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00/007213 external-priority patent/WO2001006947A1/de
Publication of KR20020059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5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칫솔 몸체(10)에 의해 지지된 칫솔 머리(12)를 구비한 칫솔이 개시된다. 칫솔 머리(12)는 강모를 수용하는 강모 캐리어(20)를 구비하고, 피봇 축(R) 주위에서의 피봇 운동을 위해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고 편심 구동(40, 50, 52)에 의해 가역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편심 구동(40, 50, 52)은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 샤프트(50)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구동 샤프트(50)는 강모 캐리어(20)의 피봇 축(R)에 수직으로 연장하며 칫솔 몸체(10)의 중심을 관통한다. 구동 샤프트(50)의 단면은 편심 핀(52)을 구비한다. 또한, 강모 캐리어(20)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내강 또는 가이드 채널(32)을 포함하고, 편심 핀(52)이 가이드 내강 또는 가이드 채널내에서 안내된다. 또한, 강모 캐리어는 축 방향 변위를 위해 칫솔 머리상에 지지되고, 편심 구동(40, 50, 52)에 의해 전/후로 가역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상이한 설계의 많은 종류의 전동 칫솔이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다.
그러한 칫솔은 통상 칫솔 몸체에 의해 지지되고 전기적 손잡이에 교체 가능하게 부착된 칫솔 머리를 구비하고 있다. 칫솔 머리는 강모(bristle)를 수용하는 강모 캐리어를 구비하고, 피봇(pivot)축 주위의 피봇 운동을 위해 피봇 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칫솔 머리는 전기 구동에 의해 가역적으로 피봇 운동이 되게 구동될 수 있으며, 특정 피봇 각 예를 들어, 30도로 2개의 피봇 방향으로 교호적으로 피봇 운동을 한다.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범용되는 칫솔에 있어서, 전기 운동은 구동 모터의 뒤에 배열된 전기 기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기 기어는 구동 핀에 전달되는 가역적 왕복 운동을 발생시킨다. 구동 핀은 칫솔 몸체를 관통하고, 거기에서 강모 캐리어의 피봇 축 방향에 대해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동 핀의 각진 단부는 강모 캐리어 상에 위치한 대응하는 내강에 맞물린다. 구동 핀 내강은 여기에서 피봇 축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일탈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승강 로드(rod)의 가역적 왕복 동작이 강모 몸체의 가역적 피봇 운동으로 전환된다. 칫솔을 위한 그러한 전기 구동은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617,601호 및 제5,524,312호에 개시되어 있다.
칫솔을 위한 전기 구동의 또 다른 변형예가 WO 96/37164에 개시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서, 구동 모터의 원형 회전 운동은 치솔 몸체를 관통하고 각진 단부를 가진 구동 샤프트에 직접 전달된다. 각진 단부는 강모 캐리어 상에 위치한 대응하는 가이드 채널와 맞물리고, 그리하여 강모 캐리어내에 가역적 피봇 운동을 유도한다. 이러한 배열은 기계적으로 매우 단순하고 내마모성 구동을 생성한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구동은 매우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함으로써 하우징이 가늘고 작은 형태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형태의 가역적으로 구동된 칫솔이 신뢰할 수 있게 구동하더라도, 여러 단점을 갖는다. 특히, 그러한 칫솔의 치아 청소 능력이 여전히 개선될 필요가 있다.
또한, 회전 운동에 추가적 운동을 중첩함으로써 치아 청소 능력을 개선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WO 96/31171 또는 DE 4433914 A1은 전기 구동을 구비한 이러한 형태의 칫솔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강모 캐리어는 피봇 운동에 유사한 운동을 실행한다.
그러나, 그러한 치솔은 여전히 치아를 최적으로 청소할 수 없다고 증명되었다. 게다가, 칫솔은 기계적으로 복잡하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칫솔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칫솔 머리를 구비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구체예에 따른 구동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구동의 확대 단면(상세)도이다.
도 3은 제 2구체예에 따른 구동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3구체예에 따른 구동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4구체예에 따른 구동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5구체예에 따른 구동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칫솔10 : 칫솔 몸체
12 : 칫솔 머리14 : 베어링 채널
16 : 베어링 저널20 : 강모 캐리어
24 : 베어링 돌출부26 : 베어링 내강
28 : 오목부30 : 활주 블록
32 : 가이드 채널40 : 모터
50 : 구동 샤프트52 : 편심 핀
60 : 핸들
200 : 칫솔210 : 칫솔 몸체
212 : 칫솔 머리214 : 베어링 채널
216 : 베어링 저널220 : 강모 캐리어
224 : 베어링 돌출부226 : 베어링 내강
228 : 가이드 채널230 : 활주 블록
232 : 구동-핀 내강
300 : 칫솔310 : 칫솔 몸체
312 : 칫솔 머리314 : 구동 핀
316 : 베어링 저널320 : 강모 캐리어
324 : 구동-핀 채널326 : 베어링 내강
328 : 가이드 채널330 : 활주 블록
332 : 구동-핀 내강
400 : 칫솔410 : 칫솔 몸체
412 : 칫솔 머리414 : 구동 핀
416 : 베어링 저널420 : 강모 캐리어
424 : 구동-핀 채널426 : 베어링 내강
428 : 가이드 채널430 : 활주 블록
432 : 구동-핀 내강
500 : 칫솔510 : 칫솔 몸체
512 : 칫솔 머리514 : 구동 핀
516 : 베어링 저널520 : 강모 캐리어
524 : 구동-핀 채널526 : 베어링 내강
528 : 가이드 채널530 : 활주 블록
532 : 구동-핀 내강
600 : 칫솔610 : 칫솔 몸체
612 : 칫솔 머리614 : 구동 핀
616 : 베어링 저널620 : 강모 캐리어
624 : 구동-핀 채널626 : 베어링 내강
628 : 가이드 채널630 : 공동
본 발명은 상기 형태의 칫솔이 개선된 청소 능력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조를갖도록 개선하는 문제에 집중하였다.
상술한 문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가진 상기 형태의 치솔에 의해 해결되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체예는 종속항의 특징으로 개시되었다.
본 발명은 강모 캐리어를 치솔 머리상의 축방향 변위를 위해 지지하고, 강모 캐리어를 전기 구동기로 선형 경로를 따라 전/후로 가역적으로 구동하는 개념에 의존한다. 이것은 강모 캐리어가 진동 축 변위 운동을 하도록 하고 결국 치아 청소 능력을 향상시킨다.
제 1구체예에 따르면, 칫솔 머리는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베어링 돌출부(projection)에 맞물리게 되어진 하나 이상의 베어링 채널을 구비한다. 이 구체예는 강모 캐리어의 전/후 운동(왕복)의 선형 경로를 제한하는 제한 멈춤개(stop)를 이용한다.
제 2구체예에 따르면, 축 방향 선형 이동이 직접 강모 캐리어에 가해질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활주 블록이 강모 캐리어의 가이드 채널내에서 축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활주 블록이 제한 멈춤개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활주 블록은 가이드 채널에 물려 있는 편심 핀과 함께 구동 핀 내강 또는 가이드 채널을 구비한다. 강모 캐리어는 축 방향 변위를 위해 칫솔 머리에 지지됨으로써 2개의 가역 지점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대응 편심 핀의 운동을 확실히 따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축 방향 변위 운동은 회전 운동에 중첩된다.
추가의 구체예에 따르면, 중첩된 축 방향 변위 운동은 강모 캐리어에 강모 캐리어의 주위 부분을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구동-핀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칫솔 머리는 구동-핀 채널에 맞물리게 되어진 대응하는 구동 핀을 구비한다. 그리하여, 구동-핀 채널이 축 방향 성분을 갖기 때문에, 회전 운동이 칫솔 몸체에 확실히 전달됨으로써 축 방향 변위 운동을 생성한다. 이러한 배열은 강모 캐리어의 주위에 인접한 추가의 단순한 기계적 링크 가이드를 제공한다. 그것은 단일 구동 핀 및 대응하여 단일 구동-핀 채널을 제공하기에 충분하고, 여기에서 구동 핀 및 구동-핀 채널의 배열은 상호 교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개의 직경 방향으로 상반된 구동 핀이 칫솔 머리에 배열될 수 있다. 이제 2개의 링크 가이드가 축 방향 힘을 생성하므로, 이러한 배열은 구동 핀 및 채널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킨다.
제 5의 구체예에 따르면, 가이드 채널이 직접 강모 캐리어내에 형성될 수 있다. 편심 핀이 직접 가이드 채널에 물리고, 그리하여 전방 및 후방 가역 지점 사이에서 전/후로 움직인다. 그리하여, 힘이 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채널의 측면을 통해 전달되고, 그리하여 강모 캐리어를 가역적으로 구동한다.
이 구체예는 운동성 부품이 적기 때문에 매우 조용하게 동작하고, 특히 고주파 장치 즉, 통상 "초음속" 칫솔로 명명되는 소위 고속 칫솔에 적합하다. 그러한 칫솔의 편심 샤프트는 15000 내지 25000 rpm의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그러한 고속 회전에서, 구성 부품들은 칫솔 몸체의 회전 방향의 연속적 역전에 의해 증대되는 특히 고응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방법으로 제공된 바와 같이, 칫솔을 가능한 한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안된 구성은 강모 캐리어에 진동 피봇 운동에 더하여 축 방향 변위 운동을 가하기 위해 추가의 구성 수단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러한 조합은 상기 우수한 치아 청소 능력을 갖는다. 이 목적을 위해, 축 방향내의 가이드 채널의 길이는 편심 핀의 전방 및 후방 가역 지점 사이의 이동 경로보다 작다.
편심 핀의 이동은 축 방향내의 가이드 채널의 제한된 길이에 구속된다. 강모 캐리어는 축 방향 변위를 위해 칫솔 머리상에 지지됨으로써 축 방향에서 편심 핀의 2개 가역 지점 사이의 대응 운동을 확실히 수행한다. 이것은 회전 운동에 중첩되는 축 방향 변위 운동을 초래한다.
제 6구체예에 따르면, 활주 블록은 강모 캐리어상의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활주 블록은 전방 및 후방 가역 지점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편심 핀에 맞물리게 된 가이드 채널을 구비한다.
제 7구체예에 따르면, 활주 블록은 축 방향 변위를 위하여 가이드 채널내에 지지된다. 활주 블록은 편심 핀에 맞물리게 된 구동-핀 내강을 구비한다. 그리하여, 편심 핀은 강모 캐리어내에 일체된 가이드 채널내에서 활주 블록을 전방 및 후방 가역 지점 사이에서 전/후로 안내한다.
활주 블록을 구비한 모든 구체예는, 강모 캐리어상에 각각 배치된 활주 블록 및 대응하는 오목부 또는 가이드 채널이 강모 몸체의 피봇 운동에 상반되는 활주 블록의 회전 또는 피봇 운동이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오목부 또는 가이드 채널에 맞물리는 편심 핀이 굽힘 응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 공통된다.
통상, 활주 블록은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리하여 오목부 및 가이드 채널 각각 내에서 신뢰할 수 있는 지지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이러한 활주 블록은 구형을 또한 가질 수 있다. 이 구체예는 유리하게는 활주 블록과 오목부 또는 가이드 채널 각각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시킨다.
이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구체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칫솔(1)의 제 1구체예가 도 1에 도시되었다.
칫솔 머리(12)는 핸들 부분(60)에 교환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치솔 몸체(10)의 구성 성분을 형성한다. 강모 캐리어(20)의 대응하는 베어링 내강(26)에 맞물리는 베어링 저널(16)이 칫솔 머리(12)상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베어링 저널(16)은 강모 캐리어(20)를 위한 회전/피봇 베어링을 나타낸다.
또한, 칫솔 머리(12)는 강모 캐리어(20)의 대응하는 베어링 돌출부(24)에 맞물리게 된 주위 베어링 채널(14)을 포함한다. 결국, 강모 캐리어(20)의 칫솔 머리(12)에 대한 축 방향 이동 경로가 제한되고, 이것은 강모 캐리어(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강모 캐리어(20)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28)와 함께, 오목부(28)에 삽입된 가이드 채널(32)을 구비한 활주 블록(30)을 포함한다. 활주 블록(30)의 축 방향 위치는 오목부(28) 및 강모 캐리어(20) 각각에 대해 한정된다.
구동 샤프트(50)의 편심 핀(52)은 주어진 실시예에서 내강 형태인 가이드 채널(32)내에 물려진다. 그러나, 가이드 채널(32)은 또한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50)는 모터(4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강모 캐리어(20)는 하기 방식으로 움직인다:
도 1의 확대도 X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 단면도의 편심 핀(52)은 좌측 가역 지점에 위치된다. 회전이 시작되는 경우, 편심 핀(52)의 위치는 편심 핀(52)이 우측 가역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우측으로 움직인다.
그리하여, 칫솔 머리(20)는 부분도의 우상귀에 나타낸 피봇 운동, 즉 실선으로 나타낸 좌단 위치에서 시작하여 점선으로 나타낸 우단 위치까지의 운동을 수행한다. 피봇 운동이 계속되는 경우, 편심 핀(52)은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칫솔 머리(20)는 반대 방향으로 피봇 운동을 수행한다.
편심 핀(52)이 비교적 작은 간극으로 측면으로 안내되어 피봇 운동이 놀지 않고 실질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면, 운동이 신뢰할 수 있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활주 블록(30)은 강모 캐리어(20)의 운동을 보상하도록 강모 캐리어(20)의 회전에 반대 방향으로 장축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을 할 수 있음으로써 물리는 편심 핀(52)에 가해지는 굽힘 응력을 방지하도록 오목부(28)에 지지되어야 한다. 활주 블록(30) 및 오목부(28)는 눈에 띄는 마찰 없이 필수적으로 놀지 않고 보상 운동이 가능하게 일치되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또한, 편심 핀(52)의 길이는 그것이 활주블록(30)의 실제 위치에 불구하고 활주 블록(30)을 항상 물리도록 선택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간단한 기계적 배열로, 구동 샤프트(50)의 연속 회전 운동이 가역 회전 운동(피봇 운동)으로 변환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칫솔의 확대도이다. 하기 상세한 특징이 도 2에 도시되었다:
칫솔 몸체의 상부 단부는 베어링 저널(216)을 구비한 칫솔 머리(212)를 구비한다. 강모 캐리어(220)는 베어링 저널(216)을 베어링 내강(226)에 수용한다.
강모 캐리어(220)는 축 방향 변위를 위해 칫솔 머리(212)에 대해 지지된다. 주위 베어링 돌출부(224)는 칫솔 머리(212)상의 베이링 채널(214)에 맞물리고, 여기에서 베어링 채널(214)은 강모 캐리어(220)가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전방 축 방향 위치와,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후방 축 방향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최대 이동 경로는 "왕복거리(stroke)"로 명명된다.
강모 캐리어(220)는 활주 블록(230)이 삽입된 축 방향 가이드 채널(228)을 포함한다. 활주 블록(230)은 강모 캐리어(220)에 대해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활주 블록(230)은 구동 샤프트(50)의 편심 핀(52)을 물도록 된 구동-핀 내강(232)을 구비한다.
편심 핀(52)이 활주 블록(230)을 통해 축 방향으로 강모 캐리어(220)와 확실히 결합하므로, 강모 캐리어(220)는 회전 운동에 중첩된 축 방향 선형 운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축 방향의 고주파 펄스 운동은 청소 효과를 상당히 향상시킨다. 그러므로, 이러한 관찰 결과는 상기 구체예를 참조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간단한 기계적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3은 강모 캐리어(320)의 축 방향 선형 운동이 확실한 결합에 의해 또한 수행되는 칫솔(300)을 도시한다.
또한, 칫솔 머리(312) 및 베어링 저널(316)을 구비한 칫솔 몸체(310)가 제공된다. 베어링 저널(316)은 베어링 내강(326)내의 축 방향 변위를 위하여 강모 캐리어(320)를 수용한다.
강모 캐리어(320)는 축 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활주 블록(330)이 삽입된 축 방향 가이드 채널(328)을 포함한다. 활주 블록(330)은 구동 샤프트(50)의 편심 핀(52)과 물리게 된 구동-핀 내강(332)을 구비한다.
또한, 2개의 직경 방향으로 상반된, 방사 방향으로 내부를 향하는 구동 핀(314)이 칫솔 머리(312)에 삽입된다. 구동 핀(314)은 강모 캐리어(320)의 주위 부분을 따라 배치된 대응하는 2개의 구동 채널(324)와 맞물린다. 구동 핀(314)은 축 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으며, 그리하여 강모 캐리어(320)의 회전 운동이 확실히 결합된 축 방향 변위 운동을 초래한다.
도 4에 도시된 칫솔(400)은 상기 구체예와 필수적으로 동일하게 실현된다.
또한, 칫솔 몸체(410)는 베어링 저널(416)을 구비한 칫솔 머리(412)를 구비한다. 강모 캐리어(420)는 베어링 내강(426)에 의해 베어링 저널(416)상의 장축 방향 변위를 위해 지지된다.
강모 캐리어(420)는 활주 블록(430)이 축 방향 변위를 위해 지지된 축 방향가이드 채널(428)을 구비한다. 활주 블록(430)은 구동 샤프트(50)의 편심 핀(52)과 물리게 된 구동-핀 내강(432)을 구비한다.
지금까지, 이 구체예는 구동 채널(424)와 협동하는 단지 하나의 구동 핀(414)이 제공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구체예와 동일하다. 축 방향 선형 운동은 축 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진 구동 채널(424)을 구비하여 강모 캐리어(420)의 축 방향 왕복을 한정함으로써 생성되었다.
도 5에 도시된 칫솔(500)의 구체예와 상기 구체예들과의 유일한 차이는 활주 블록(530)이 구형을 갖는다는 것이다. 활주 블록(530)은 구동 샤프트(50)의 편심 핀(52)과 맞물리는 구동-핀 내강(532)을 구비한다.
활주 블록은 축 방향 변위를 위하여 강모 캐리어(520)의 축 방향 가이드 채널(528)내에서 안내된다. 강모 캐리어(520)는 축 방향 변위를 위해 강모 캐리어(520)를 베어링 저널(516)상에서 안내하는 베어링 내강(526)을 구비한다. 베어링 저널(516)은 칫솔 몸체(510)의 칫솔 머리(512)에 부착된다.
구동 핀(514)은 칫솔 머리(512)상에 배치되고, 여기에서 구동 핀(514)은 대응하는 구동 채널(524)과 협동하여 강모 몸체(520)의 피봇 운동이 강모 몸체(520)의 확실히 결합된 축 방향 왕복 운동을 초래한다.
도 6에 도시된 칫솔(600)의 구체예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구체예와 필수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칫솔 머리(612)를 구비한 칫솔 몸체(6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칫솔 머리(612)는 베어링 저널(616)을 구비한다. 강모 캐리어(620)는 장축 변위를 위해 베어링 내강(626)을 통해 베어링 저널(616)상에 지지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핀(614)은 축 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진 구동 채널(624)과 협동한다. 이것은 강모 캐리어(620)의 축 방향 왕복 운동을 생성한다.
지금까지, 칫솔의 구체예의 기본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칫솔(600)의 구체예에서 가이드 채널(628)이 강모 캐리어(620)내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모터에 의해 그 다음 구동되는 구동 샤프트(50)에 의해 회전 운동을 하게 설정될 수 있는 편심 핀(52)은 가이드 채널(628)과 직접 물려진다. 구동 샤프트(50) 상의 모터 구동 동작은 편심 핀(52)이 가이드 채널(628)내에서 전방 및 후방 가역 지점 사이에서 전/후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한다. 편심 핀(52)은 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채널(628)의 측면을 통해 강모 캐리어(620)에 힘을 전달한다. 가이드 채널(628)에 물려 있는 편심 핀(52)내의 굽힘 응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이드 채널(628)은 방사 방향으로 내부로 연장하는 공동(634)을 구비하며, 상기 공동(634)은 편심 핀(52)의 자유단을 수용하고, 자유단과 공동(634)의 내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Claims (10)

  1. 피봇 운동을 위해 피봇 축(R)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고,편심 구동(40; 50; 52)에 의해 피봇 가능하고 가역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강모를 수용하는 강모 캐리어(20; 220; 320; 420; 520; 620)를 포함하고 칫솔 몸체(10; 210; 310; 410; 510; 610)에 의해 지지되는 칫솔 머리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편심 구동이 제 1방향으로 회전하고, 강모 캐리어(20; 220; 320; 420; 520; 620)의 피봇 축(R)에 수직으로 배열되며, 칫솔 몸체(10; 210; 310; 410; 510; 610)의 중심을 관통하며, 그 단면이 편심 핀(52)을 구비하는 구동 샤프트(50)를 구비하며,
    여기에서, 강모 캐리어(20; 220; 320; 420; 520; 620)가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채널(32; 128; 228; 328; 428; 528; 628) 또는 가이드 내강을 구비하며, 편심 핀(52)이 가이드 내강 또는 가이드 채널내에서 안내되는 칫솔에 있어서,
    강모 캐리어(20; 220; 320; 420; 520; 620)가 축 방향의 운동을 위하여 칫솔 머리(12; 212; 312; 412; 512)에 지지되고, 선형 경로를 따라 전/후로 움직이도록 편심 핀(40, 50, 52)에 의해 가역적으로 구동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칫솔 머리(12, 212)가 강모 캐리어(20, 220)의 전/후 선형 운동을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베어링 돌출부(24, 224)와 맞물리게 된 하나 이상의 베어링 채널(14, 214)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편심 핀(52)과 맞물리게 된 구동-핀 내강(32; 232) 또는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고; 가이드 채널(28; 228)내에서 축 방향으로 고정되거나 그 내부의 제한 멈춤개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활주 블록(30; 230)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1항에 있어서, 강모 캐리어(320; 420; 520)가 그 주위 부분을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구동-핀 채널(324; 424; 524)을 구비하고, 축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으며; 구동-핀 채널(324; 424; 524)내에서 안내되는 하나 이상의 구동 핀(314; 414; 514)이 칫솔 머리(312; 412; 512)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4항에 있어서, 2개의 직경 방향으로 상반된 가이드 핀(314)이 칫솔 머리(310)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가이드 채널(628)이 강모 캐리어(620)내에 직접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가이드 채널이 강모 캐리어에 축 방향으로 고정된 활주 블록의 일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활주 블록(430; 530)이 축 방향 변위를 위해 가이드 채널(328; 428; 528)내에 지지되고; 활주 블록(330; 430; 530)이 편심 핀(52)과 맞물리게 된 구동-핀 내강(332; 432; 532)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9. 제 3항,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활주 블록(130; 230; 330; 430)이 원통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0. 제 3항,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활주 블록(530)이 구형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027001180A 1999-07-28 2000-07-27 칫솔 KR200200595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4805.7 1999-07-28
DE19934805A DE19934805C2 (de) 1999-07-28 1999-07-28 Zahnbürste mit Exzenterantrieb
DE29914615.4 1999-08-20
DE29914615U DE29914615U1 (de) 1999-07-28 1999-08-20 Zahnbürste
DE19956689.5 1999-11-25
DE19956689A DE19956689C2 (de) 1999-08-20 1999-11-25 Zahnbürste
PCT/EP2000/007213 WO2001006947A1 (de) 1999-07-28 2000-07-27 Zahnbür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584A true KR20020059584A (ko) 2002-07-13

Family

ID=477161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181A KR20020059585A (ko) 1999-07-28 2000-07-27 편심 구동부를 구비한 칫솔
KR1020027001180A KR20020059584A (ko) 1999-07-28 2000-07-27 칫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181A KR20020059585A (ko) 1999-07-28 2000-07-27 편심 구동부를 구비한 칫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020059585A (ko)
YU (2) YU590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YU1802A (sh) 2003-07-07
KR20020059585A (ko) 2002-07-13
YU5902A (sh)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301B2 (en) Electric toothbrush and toothbrush head
RU24221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гиены ротовой полости, зубная щетк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множества чистящих операций единственной зубной щеткой
KR100277423B1 (ko) 로터리 브리슬 지지체를 구비한 전기 칫솔
US20100325823A1 (en) Electric Toothbrush and Toothbrush Head Therefor
RU2004107846A (ru) Зубная щетка
KR20030020316A (ko) 3차원 회전 헤드 동작을 하는 전동 칫솔
NZ516663A (en) Toothbrush
JP2003070812A (ja) 歯磨き器
KR100591396B1 (ko) 전동 칫솔용 칫솔헤드
KR20020059584A (ko) 칫솔
JP5731011B2 (ja) 電動口腔衛生装置の洗浄部
ZA200200064B (en) Toothbrush.
JP6601529B2 (ja) 電動歯ブラシ
JP4720388B2 (ja) 歯清掃装置
JP3475581B2 (ja) 電動歯ブラシ
RU2296534C2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и съемная головк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зубной щетки
CN116530769A (zh) 一种电动刷
CA2202256C (en) Brush section for an electric toothbrush
KR960040246A (ko) 전동칫솔
KR960040245A (ko) 전동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