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90Y1 - 척추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90Y1
KR200200590Y1 KR2020000008298U KR20000008298U KR200200590Y1 KR 200200590 Y1 KR200200590 Y1 KR 200200590Y1 KR 2020000008298 U KR2020000008298 U KR 2020000008298U KR 20000008298 U KR20000008298 U KR 20000008298U KR 200200590 Y1 KR200200590 Y1 KR 200200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dontic
spine
belt
load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자
Original Assignee
박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자 filed Critical 박진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척추 교정 대상자가 가슴, 등, 배, 허리 부분을 감싼 교정보호대 재킷의 결합 띠를 교정대에 걸어 놓은 후 앉으면 교정 보호대와 교정대에 의하여 인체의 하부가 허공에 뜨인 상태가 되게 함으로서 앉은 상태에서 자기 체중과 중력에 의해 척추의 요추와 요추 사이가 넓어지므로 튀어나온 연골이나 수핵이 무리 없이 자연 정복되고 정형되는 운동효과를 발생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척추를 펴주는 척추교정 장치이다.

Description

척추 교정장치{StraightBACKBONE}
본 고안은 휘어진 척추를 교정하거나 척추의 휘어짐을 예방하는 척추교정장치로서 강제적 물리치료가 아닌 자연치유원리를 근접시킨 인체 하부의 하중에 의한 척추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휘어진 척추를 교정하기 위하여 교정대 위에 사람을 눕혀 놓고 손으로 눌려 주거나 인위적인 견인 방법으로 늘려주거나 또는 허리부분에 복대로 감싸서 공기로 압박하여 척추를 교정하여 왔으나 사용이 불편하고 시간적 제약을 받고 뿐만 아니라 실효성이 없었다.
본 고안은 척추 교정대상자가 혼자서 수시로 척추 교정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자신의 척추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척추 교정장치 대상자의 하체 중량에 의하여 척추가 바르게 펴지며 이 때 척추의 요추와 요추 사이가 넓어지게 되며, 튀어나온 연골이나 수핵이 자연 정복되고 정형되는 효과를 발생시키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교정대 사시도
도3은 보호대 재킷의 외형도
도4는 보호대 재킷의 내면도
도5는 보호대 재킷의 착용 정면도
도6은 척추 교정장치 사용 전 요추 상태도
도7은 척추 교정장치 사용 후 요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척추 교정 장치 2: 교정보호대 자켓
3: 교정대 4: 탄력판
5: 벨크로 테입 6: 결합고리
7: 하중 조정띠 8: 교정대 결합띠
9: 돌출점 10: 결합띠
11: 의자 12: 요추
본 고안(1)을 구성함에 있어서 척추 교정보호대 재킷(2) 내면에 벨크로 테입(5)을 설치하고 또 미끄러짐 방지를 위하여 다수의 돌출점(9)을 형성하고 탄력판(4)을 벨크로 테입(5)에 착탈 가능케 하고 교정보호대 재킷(2)의 외면에는 벨크로 테입(5)과 결합띠(10)와 결합고리(6)와 하중 조정띠(7)를 부착하고 교정대 결합띠(8)와 결합고리(6)를 설치하고 교정대(3)를 설치하여서 본 고안의 척추교정장치(1)를 완성한다.
이렇게 하여 완성된 본 고안의 척추 교정장치(1)를 사용함에 있어서 척추 교정 대상자가 교정보호대 재킷(2)을 착용하고서 결합띠(8)를 교정대(3)에 걸고서 자세를 낮추면 도1과 같은 자세가 되며 엉덩이는 공중에 뜨인 상태가 되는데 이 때 엉덩이 이하의 체중에 의한 관성에 의하여 척추가 자연히 펴지게 된다. 따라서 척추의 요추와 요추 사이가 넓혀지므로 튀어나온 연골이나 수핵이 무리없이 자연 정복되고 정형되는 효과를 발생하게 된다. 척추교정 대상자가 하체 중량에 의한 부담을 느낄 때는 하중 조정띠(7)를 조절하여 하체 중량에 의한 부담을 가감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척추교정 대상자가 본 고안의 척추 교정장치(1)를 사용하여 척추교정을 필요에 따라 수시로 혼자서 할 수 있으며 교정장치(1)의 설치범위가 작고 또 간편해서 학생이나 사무실 근무자는 의자 위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척추교정에 있어서 교정자 본인의 하체중량에 의하여 척추가 펴지기 때문에 외부 힘에 의한 피해 발생 염려가 없고 치료에 무리가 없는 특징적 효과를 발생한다.

Claims (3)

  1. 척추교정보호대 재킷(2) 내면에 벨크로 테입(5)을 설치하여 탄력판(4)을 착탈 가능케하고 내면 전체에 미끄럼 방지 돌출점(9)을 다수로 형성하고 외부에는 결합고리(6)와 결합띠(10), 교정대 결합띠(8), 하중조정띠(7)를 설치하고 교정대(3)를 설치하여 척추교정 대상자가 교정보호대 재킷(2)을 착용하고서 교정대 결합띠(8)를 교정대(3)에 걸고서 앉으면 엉덩이 부분의 하중에 의한 관성에 의하여 척추가 바르게 펴지도록 함으로서 이 때 척추의 요추와 요추 사이가 넓혀지게 되므로 튀어나온 연골과 수핵이 자연 정복되고 정형되는 효과를 발생하도록한 척추 교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척추교정 대상자가 엉덩이 부분의 하중에 의하여 불편을 느낄 때 하중 조정띠(7)를 조절하여 하체의 처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중 조정띠(7)를 설치한 것.
  3. 제 1항에 있어서 척추교정대상자가 교정보호대 재킷(2)과 교정대(3)를 사용하여 척추를 교정하다가 의자(11)에 앉을 필요성이 있을 때는 결합고리(6)을 해체하면 곧바로 의자(11)에 앉을 수 있도록 교정대(3)에 의자(11)의 출납이 가능토록한 척추교정장치.
KR2020000008298U 2000-03-22 2000-03-22 척추 교정장치 KR2002005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662A KR20000053745A (ko) 2000-03-22 2000-03-22 척추 교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662A Division KR20000053745A (ko) 2000-03-22 2000-03-22 척추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0Y1 true KR200200590Y1 (ko) 2000-10-16

Family

ID=196576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298U KR200200590Y1 (ko) 2000-03-22 2000-03-22 척추 교정장치
KR1020000014662A KR20000053745A (ko) 2000-03-22 2000-03-22 척추 교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662A KR20000053745A (ko) 2000-03-22 2000-03-22 척추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059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71Y1 (ko) * 2009-04-22 2011-05-06 정인성 견인치료용 애견하네스
KR20160093231A (ko) 2015-01-29 2016-08-08 (주)엠케이산업 3d 스캐너와 3d 프린터를 이용한 척추 교정기구
CN105686924B (zh) * 2016-04-05 2018-05-04 尚鸿生 一种脊椎矫正椅
CN106176014A (zh) * 2016-08-12 2016-12-07 王建民 坐姿矫正及腰部保健带
CN108371612B (zh) * 2018-04-23 2020-03-17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用于循环系统疾病的康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0791A (en) * 1976-12-24 1978-07-17 Horii Inkooporeeshiyon Kk Device for towing jaw
JPS5666323U (ko) * 1979-10-25 1981-06-03
JPS5916633U (ja) * 1982-07-22 1984-02-01 松谷 安淳 健康器
JPH033905A (ja) * 1989-05-16 1991-01-10 Volkswagen Ag <Vw> 上下動弁、特に内燃機関の荷重交番弁の弁駆動装置
KR950005648U (ko) * 1993-08-11 1995-03-20 김종립 목 보호용 밴드
JP2596048Y2 (ja) * 1993-09-03 1999-06-07 智明 石川 姿勢矯正バンド
KR200163988Y1 (ko) * 1999-07-06 2000-02-15 김광천 허리보호및교정용복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745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3359A1 (en) Spinal orthosis
US83666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ulnar neuropathy
US5199940A (en) Posture training and correcting device
US8926537B2 (en) Orthopedic device for treatment of the back
US9370440B2 (en) Spinal orthosis
US6945945B2 (en) Flaccid upper extremity positioning apparatus
US3853123A (en) Orthopedic knee brace
US10406014B2 (en) Low-profile, postural corrective garment for therapeutic relief of low back pain and mechanical lumbar disorders
JP2010194320A (ja) 脊柱整形装具
US9044324B2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US4370976A (en) Dynamic foam orthosis
US9827133B1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KR200200590Y1 (ko) 척추 교정장치
US11331210B2 (en) Posture improving apparatus
US9668902B1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US10610400B1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WO2021104138A1 (zh) 用于护腰带上的护腰板
KR20180131657A (ko) 관절 보정 시스템
KR200439676Y1 (ko) 골반교정 벨트
KR20180138055A (ko)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US9005149B1 (en) Spinal decompression and sleep therapy system
CN209899689U (zh) 一种脊柱侧弯矫正装置
KR101882877B1 (ko)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
EP3030203B1 (en) Brace for immobilising a traumatized or operated shoulder
CN217960566U (zh) 适配于轮椅的可拆卸肩托板以及带有可拆卸肩托板的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