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055A -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 Google Patents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055A
KR20180138055A KR1020170078123A KR20170078123A KR20180138055A KR 20180138055 A KR20180138055 A KR 20180138055A KR 1020170078123 A KR1020170078123 A KR 1020170078123A KR 20170078123 A KR20170078123 A KR 20170078123A KR 20180138055 A KR20180138055 A KR 20180138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p joint
user
pelvis
wearer
w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4538B1 (ko
Inventor
천승철
이광영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이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이광영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8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53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hip dislocation; Abduction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1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combining rotational and torsional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9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착용 가능하며 무릎 및 발목관절의 기형을 유발하는 고관절의 비정상 각도를 교정할 수 있는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ORTHOSIS FOR PELVIC AND HIP JOINT}
본 발명은 하지 교정용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착용 가능하며 무릎 및 발목관절의 기형을 유발하는 고관절의 비정상 각도를 교정할 수 있는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뇌성마비 아동들의 하지는 강직(spasticity) 및 근약화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근긴장도의 문제로 인하여 근육, 건 및 인대와 같은 연부조직(soft tissue)들의 길이와 근력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며 이는 기형(deformity)과 같은 신체 변형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하지의 신체 변형은 외반슬(genu valgum), 내반슬(genu vagum), 반장슬(genu recuvatum)로 구분되며, 내반슬은 O자형, 외반슬은 X자형 다리로 표현된다.
이러한 외/내반슬은 관절염, 골연화증, 부정유합 및 관절증 등 다양한 무릎의 통증과 질환을 일으키며, 기능적인 동작 수행에도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함께 고관절은 골반과 다리 전체를 연결하는 공 모양의 구상관절이며, 다축 관절로써 보행시에는 굴곡, 신전, 외전, 내전, 내회전 및 외회전의 다양한 움직임으로 다리를 조절한다.
이때 과도한 고관절 내회전은 무릎과 발목관절의 비정상적인 근긴장도와 정렬뿐만 아니라 하부 체간인 요추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게 됨으로써 뇌성마비 아동들의 신체정렬에 악영향을 초래한다.
고관절의 내회전 각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대퇴골의 영전각(torsional angle)이 있으며 이는 대퇴골경(femoral neck)과 대퇴골 관절 융기의 수평측 비틀림 각을 의미하며 이 각도가 현저하게 큰 경우를 전념(introversion)이라 한다..
이러한 전념이 있는 경우 고관절에서 과도하게 내회전 각도가 증가하고 외회전 각도가 현저히 제한되며 외반슬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대퇴골의 전념은 향후 탈구 발생으로 이어지고 외측 경골 염전(ecternal tibial torsion)이 증가하며 이를 보상하기 위한 회내발(pronated foot)등의 변형이 발생한다.
이러한 회내발은 발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무지외반증, 종자골통, 족근막통증 등의 문제를 추가로 발생시켜 다양한 발복 기형들을 초래한다.
또한, 외관상의 문제 이외에도 비정상적인 체중 부하로 인하여 척추변형, 요통 및 보행장애 등과 같은 뇌성마비 아동의 구조적 제한점을 일으키는 부정적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뇌성마비 아동들의 신체적 문제 해결을 위한 물리치료, 작업치료 및 다양한 재활서비스들은 고관절 내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운동치료들이 실시되고 있으며, 심할 경우 수술적 치료 후 정적인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식 정적 고관절 보조기를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조기는 대부분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으로 인하여 무게, 부피, 착용감이 매우 불편하여 일상생활에서 적용하는데 효율성이 떨어지며 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착용하기 용이한 동적 고관절 보조기는 현재까지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가볍고 일상생활에서 착용하기 용이한 고관절 회전 조절 동적 보조기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3997호 (2014.12.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문가에 의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고관절의 비정상 각도의 교정을 트위스터 구조가 적용된 밴드 및 스트랩 형태로 구성하여 쉽게 착용 및 사용 가능한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리 또는 골반 부분에 착용 및 고정되되, 하측의 양쪽 다리 방향으로 한쌍의 측면지지대가 돌출 형성된 착용부;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대 상에 각각 결합하며, 사용자의 대퇴 상부에 착용 및 고정되는 제1착용대 및 상기 제1착용대 하측으로 떨어져 사용자의 대퇴 하부에 착용 및 고정되는 제2착용대;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착용대 및 제2착용대에 결합하며 대퇴부를 둘러싸며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 형상의 교정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착용부는 사용자의 골반 부분에 밀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전면으로 사용자의 신체를 둘러 형성되어 착용 길이 조절이 가능한 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지지대는 상기 지지판 후면에 고관절의 전후방향 굽힘에 대응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1착용대는 상기 측면지지대상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착용대 및 제2착용대는 사용자의 대퇴부를 감싸되 한쪽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으며 고정되는 벨크로 테잎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착용대 또는 제2착용대는 상기 교정대상에서 결합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통해 고관절의 과도한 회전을 제어하여 전문가의 현장 도움 없이도 고관절의 정렬 교정이 상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밴드 및 스트랩 형태로 쉽게 착용 가능하며 트위스터가 고관절 및 대퇴부에 직접 힘을 인가함으로 유연성, 신축성 및 압축성이 균등하게 작용할 수 있는 구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착용모습을 나타낸 제1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착용모습을 나타낸 제2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착용모습을 나타낸 제1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착용모습을 나타낸 제2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리 또는 골반 부분으로부터 고관절과 대퇴부에 걸쳐 착용이 이루어지되, 대퇴골 측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고관절의 잘못된 틀어짐을 교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허리 또는 골반 부분에 착용 및 고정되되, 하측의 양쪽 다리 방향으로 한쌍의 측면지지대(112)가 돌출 형성된 착용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착용부(110)는 벨트 형태로 허리 내지는 골반에 착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보조기 전반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로,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의 허리(골반) 둘레에 맞춰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착용 중 좌우 회전뿐 아니라 상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이를 위한 바람직한 구조로 상기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골반 부분에 밀착되는 지지판(111)과, 상기 지지판 전면으로 사용자의 신체를 둘러 형성되어 착용 길이 조절이 가능한 벨트(11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판(111)은 금속이나 합성수지와 같은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가급적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및 형태에 맞게 제작되어 사용자의 허리나 골반 부분에 밀착되도록 착용하게 되며, 전면으로 형성된 벨트(113)를 통해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며 고정된다. 이때 착용부(110)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를 덧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지지대(112)는 기본적으로 금속재 봉과 같은 비탄성(Non-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며, 사용자의 양다리 쪽으로 각각 대칭구조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측면지지대(112)를 상기 착용부(110) 측면에 고정설치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지지대(112)를 상기 지지판(111) 후면 쪽으로 고관절의 전후방향 굽힘에 대응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대(112) 하측에는 사용자의 대퇴 상부에 착용 및 고정되는 제1착용대(120) 및 상기 제1착용대(120) 하측으로 떨어져 사용자의 대퇴 하부에 착용 및 고정되는 제2착용대(13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착용대(120) 및 제2착용대(130)는 양쪽 다리에 대응하여 한 쌍 구비되며, 각각 대퇴 상측과 하측에 일정 거리로 떨어져 착용된다. 이때 상기 제1착용대(120)는 상기 측면지지대 상에 결합되나, 상기 제2착용대(130)는 제1착용대(120)와 떨어져 착용됨에 따라 측면지지대(112) 상에 결합되지 않는다.
각 다리의 대퇴부에 착용된 상기 제1착용대(120)와 제2착용대(130)는 스프링 형상의 교정대(140)를 통해 연결된다. 즉 대퇴부를 둘러싸며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교정대(140)의 양단, 즉 상측 단부가 상기 제1착용대(120)에, 하측 단부가 상기 제2착용대(130)에 각각 결합하게 된다.
상기 교정대(140)가 스프링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이를 벌리는 형태로 착용할 경우 교정대(140)의 복원력에 의해 대퇴부가 내측으로 회전하는 힘이 인가되고, 반대로 교정대(140)를 줄이는 형태로 착용할 경우 대퇴부가 외측으로 회전하는 힘이 인가되어 고관절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착용부(110)는 비탄성재질의 측면지지대를 통해 고정되므로 이러한 회전력은 대퇴부 하부에 착용된 제2착용부(110)를 통해 인가되어 대퇴부를 비롯한 이와 연결된 사용자의 고관절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상기 제1착용대(120)는 상기 측면지지대(112)상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착용대(120)의 설치 위치 조절을 위해 상기 측면지지대(112) 자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측면지지대(112)가 비탄성재질로서 착용부(110)와 제1착용대(120)를 견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길이조절 구조는 강도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구조상으로 제1착용대(120)가 측면지지대(112)를 따라 일부 구간 이동하며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한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과 같이 상기 제1착용대(120) 외측에 상기 측면지지대(112)를 감쌀 수 있는 한쌍의 체결부(U)를 형성하되 볼트를 통해 상기 한쌍의 체결부(U)를 결합하여 그 사이에 위치한 측면지지대(112)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착용대(120) 및 제2착용대(130)는 사용자의 대퇴부, 넙다리뼈(대퇴골, Femur)를 감싸,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서 단순하게 밴드나 벨트로 구성될 수 있으나, 고관절 및 슬관절의 동적 움직임을 고려하여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한쪽으로 개구부(122, 132)가 형성되어 대퇴부를 감싸는 지지대(121, 131)와, 상기 지지대(121, 131)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22, 132)를 덮으며 고정되는 벨크로 테잎부(123, 13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벨크로 테잎부(123, 133)에 일부 탄성을 갖도록 함으로 상기 지지대(121, 131)를 조여주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효과적인 착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대(140)가 넙다리뼈에 회전을 인가함에 따라 회전력과 함께 회전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착용대(120) 또는 제2착용대(130)는 상기 교정대상에서 결합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1착용대(120) 보다는 제2착용대(130)에 앞서 언급한 측면지지대(112)와 제1착용대(120)의 결합구조와 동일하게 적용하여, 제2착용대(130)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부(U)가 상기 교정대(140)의 단부를 사이에 두고 감싸 이동하며 볼트를 통해 한 쌍의 체결부(U)를 조여 교정대(140)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교정대(140)가 회전력을 인가하지 않는 상태로 대퇴부를 감싸 설치한 상황에서 상기 교정대(140)를 내측으로 당기거나, 외측으로 밀어주는 상태로 제2착용대(130)를 고정 및 착용함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으며, 회전하는 힘의 조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X 자형 다리의 경우 외측으로 회전력을 인가하여 교정하고, 도 3과 같은 O 자형 다리의 경우 내측으로 회전력을 인가하여 교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착용부 111: 지지판
112: 측면지지대 113: 벨트
120: 제1착용대 130: 제2착용대
121, 131: 지지대 122, 132: 개구부
123, 133: 벨크로 테잎부 140: 교정대
U: 체결부

Claims (5)

  1. 사용자의 허리 또는 골반 부분에 착용 및 고정되되, 하측의 양쪽 다리 방향으로 한쌍의 측면지지대(112)가 돌출 형성된 착용부(110);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대(112) 상에 각각 결합하며, 사용자의 대퇴 상부에 착용 및 고정되는 제1착용대(120) 및 상기 제1착용대(120) 하측으로 떨어져 사용자의 대퇴 하부에 착용 및 고정되는 제2착용대(130);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착용대(120) 및 제2착용대(130)에 결합하며 대퇴부를 둘러싸며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 형상의 교정대(140);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골반 부분에 밀착되는 지지판(111)과, 상기 지지판(111) 전면으로 사용자의 신체를 둘러 형성되어 착용 길이 조절이 가능한 벨트(1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대(112)는 상기 지지판 후면에 고관절의 전후방향 굽힘에 대응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1착용대(120)는 상기 측면지지대(112)상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용대(120) 및 제2착용대(130)는 사용자의 대퇴부를 감싸되 한쪽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대(121, 131)와, 상기 지지대(121, 131)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22, 132)를 덮으며 고정되는 벨크로 테잎부(123, 1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용대(120) 또는 제2착용대(130)는 상기 교정대(140)상에서 결합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KR1020170078123A 2017-06-20 2017-06-20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KR102014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23A KR102014538B1 (ko) 2017-06-20 2017-06-20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23A KR102014538B1 (ko) 2017-06-20 2017-06-20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55A true KR20180138055A (ko) 2018-12-28
KR102014538B1 KR102014538B1 (ko) 2019-08-26

Family

ID=6500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123A KR102014538B1 (ko) 2017-06-20 2017-06-20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4308A (zh) * 2020-11-19 2021-01-29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用于髋关节骨性关节炎的矫形器及矫治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468B1 (ko) 2021-10-26 2023-11-0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관절 재활 보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1710A (en) * 1986-03-05 1990-02-20 Meyer Paul A R Leg restraint
JP2014508010A (ja) * 2011-03-14 2014-04-03 カデンス バイオ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装具および装具を使用する方法
KR20140143997A (ko) 2013-06-10 2014-12-18 신정훈 슬관절 치료 보조기
CN205494109U (zh) * 2015-12-31 2016-08-24 山东省固特矫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悬吊式膝关节固定器
US20170105862A1 (en) * 2015-10-20 2017-04-20 Sandra V. Griggs Leg Lift Walking Ai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1710A (en) * 1986-03-05 1990-02-20 Meyer Paul A R Leg restraint
JP2014508010A (ja) * 2011-03-14 2014-04-03 カデンス バイオ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装具および装具を使用する方法
KR20140143997A (ko) 2013-06-10 2014-12-18 신정훈 슬관절 치료 보조기
US20170105862A1 (en) * 2015-10-20 2017-04-20 Sandra V. Griggs Leg Lift Walking Aid
CN205494109U (zh) * 2015-12-31 2016-08-24 山东省固特矫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悬吊式膝关节固定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4308A (zh) * 2020-11-19 2021-01-29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用于髋关节骨性关节炎的矫形器及矫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538B1 (ko) 201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7158B2 (en)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CA2817067C (en) Ankle foot orthopaedic devices
US8308671B2 (en) Knee orthosis
US8308669B2 (en)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
US6945945B2 (en) Flaccid upper extremity positioning apparatus
US9089403B2 (en)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s
US10085869B2 (en) Knee orthosis for treatment of PCL injury
EP1861051B1 (en) Adjustable knee brace
CN106535833B (zh) 膝关节矫形器
JP6739625B2 (ja) 内外反膝矯正装置
US7850632B2 (en) Knee brace having an adaptable thigh pad
EP0735847A1 (en) Derotating orthotic devices for the correction of scoliotic deformities
KR101672860B1 (ko) 척추 및 무릎과 발목관절의 정형과 보행을 위한 보조기구
US5312322A (en) Three point extension splint to treat flexion contractures about limb synovial hinge joints
JP6792087B2 (ja) 脚矯正装置
KR20180138055A (ko)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KR101848639B1 (ko) 퇴행성 무릎 관절염 치료를 위한 무릎 교정 장치
KR102100146B1 (ko) 하지 관절회전 조절을 통한 자세교정 보조기
KR101882877B1 (ko)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
KR200382803Y1 (ko)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 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KR102255057B1 (ko) 전방십자인대 보조기
CN113101027B (zh) 一种柔性膝关节矫形医疗辅助器械
CA2263040C (en) Multi-functional dynamic spl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