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075A -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 - Google Patents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075A
KR20020057075A KR1020000087325A KR20000087325A KR20020057075A KR 20020057075 A KR20020057075 A KR 20020057075A KR 1020000087325 A KR1020000087325 A KR 1020000087325A KR 20000087325 A KR20000087325 A KR 20000087325A KR 20020057075 A KR20020057075 A KR 20020057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seat belt
belt assembly
factory automation
provi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1142B1 (ko
Inventor
최병걸
이동섭
김택광
박준용
Original Assignee
이승복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복,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승복
Priority to KR10-2000-008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1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57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되게 축이동하는 지그블록들로 이루어진 부품 제공부를 제공하여, 부품들과 웨빙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립시킬 수 있는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는 하우징(10)의 상부에서 공정논리제어장치(600)로 제어되는 일련의 시트벨트 어셈블리 공정을 수행하도록 배열된 웨빙 투입부(100)와 웨빙 수납장치(200)와 부품 제공부(300)와 스토퍼 체결부(400)와 엔드 조립부(500)로 이루어져 있되, 부품 제공부(300)는 PLC(600)에 의해 제어되는 공압 실린더(311)들을 유한한 스트로크를 갖게 교반 작동시키도록 하우징(10)의 상판(13)에 배열된 지그블록(310, 320, 310')들을 포함하며, 지그블록(310, 320, 310')의 하부로 가이드 바(313)들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312)이 상판(13)에 볼트 결합되어 있으며, 가이드 바(313)에는 공압 실린더(311)에 의해서 미끄럼 작동(e)가능하게 이송블록(314)들이 결합되어 있고, 이송블록(314)의 상면에는 지그블록(310, 320, 310')들이 고정볼트로 결합되어 있다.

Description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FACTORY AUTOMATION SYSTEM HAVING PARTS PROVIDING DEVICE FOR SEAT BELT ASSEMBLY}
본 발명은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공정논리제어장치(이하, PLC ;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인버터(inverter), 근접센서 등을 이용한 자동화 공정을 통해서 자동차 시트벨트용 리트랙터(retractor)를 조립 양산하는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LC는 공정제어용 릴레이·타이머·카운터 등을 마이크로프로세서로 통합한 기기로 공장자동화(FA ; Factory Automation)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런 PLC는 1968년 미국의 디지털 이퀴프먼트사(DEC)에서 기존 릴레이 제어반을 대체하기 위해 처음 시장에 내놓은 것으로서, 프로그램 작성을 통해 시퀀스 제어가 가능하고, 산술연산, 논리연산, 함수연산, 조절연산 및 데이터 처리까지 실행할 수 있다.
PLC를 이용한 공장자동화설비는 산업전반에 걸쳐 응용되고 있음은 물론이고, 자동차 조립 공장 및 부품 조립 공장에서도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한편, 시트벨트 조립체와 같이 수작업이 많이 소요되는 공장자동화 분야에서는 제품 단가 절감과 품질 관리 차원에서 각각의 부품의 종류와 조립 공정에 맞는 공장자동화설비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시트벨트 조립체는 고장력 섬유재질로 형성된 띠형상의 웨빙(webbing)과, 착탈 가능한 버클과, 차체의 측벽에 고정되어서 평상시 웨빙을 수납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유사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해 자유롭게 웨빙을 풀거나 감아서 사용자를 구속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리트랙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이런 웨빙은 고정핀이 말아져 고정된 끝단부와, 엔드 마운트가 체결되는 고정핀 반대쪽 끝단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웨빙에는 버클과 체결되는 텅(tongue)이 체결되어 있고, 차체에 고정되도록 일체형 볼트를 갖는 엔드 마운트와, 웨빙 표면에 압착되는 단추 형상의 스토퍼와, 차체 측벽에 고정될 수 있게 일체형 볼트를 갖는 링 마운트와 내장 마감재로 사용되는 가이드 링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조립된 시트벨트 어셈블리는 통상의 삼점 고정방식으로 차체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이런 시트벨트 어셈블리를 일관성있고 정확하게 조립하기 위해서 특수 설계된 공장자동화설비가 절실히 필요하다.
그리고, 이런 시트벨트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업체에서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 특성상 탄성력이 작용하는 릴(reel)에 웨빙을 조립 후, 앞서 설명한 다수의 부품 요소들을 웨빙에 미리 끼우는 작업과 함께, 재봉 공정에 적합한 조립 상태로 유지하는 등과 같은 복잡한 조립 공정을 단시간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공장자동화설비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반되게 축이동하는 지그블록들로 이루어진 부품 제공부를 제공하여, 부품들과 웨빙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립시킬 수 있는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의 조립관계와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a내지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웨빙 수납장치의 지그블록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40 : 리트랙터
50 : 웨빙 100 : 웨빙 투입부
110 : 실린더 조립체 111 : 삽입블록
112, 212 : 액추에이터 120 : 제1롤러부
125 : 투입판 130 : 지그
140, 150 : 위치 결정 수단 200 : 웨빙 수납장치
300 : 부품 제공부 310, 320, 310' : 지그블록
400 : 스토퍼 체결부 500 : 엔드 조립부
600 : 공정논리제어장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트랙터와 웨빙을 조립시, 다수의 부품을 웨빙에 삽입시키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부에서 공정논리제어장치로 제어되는 일련의 시트벨트 어셈블리 공정을 수행하도록 배열된 웨빙 투입부와 웨빙 수납장치와 부품 제공부와 스토퍼 체결부와 엔드 조립부로 이루어져 있되, 부품 제공부는 PLC에 의해 제어되는 공압 실린더들을 유한한 스트로크를 갖게 교반 작동시키도록 하우징의 상판에 배열된 지그블록들을 포함하며, 지그블록의 하부로 가이드 바들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이 상판에 볼트 결합되어 있으며, 가이드 바에는 공압 실린더에 의해서 미끄럼 작동가능하게 이송블록들이 결합되어 있고, 이송블록의 상면에는 지그블록들이 고정볼트로 결합되며, 지그블록들에는 웨빙과 체결되는 텅과 가이드 링 및 링 마운트들에 대응한 다수의 안착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제공부를 갖는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블록들의 상면에는 각각 두 개의 제1, 제2슬릿들이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블록들의 일측면에는 텅과 링 마운트의 안착시, 조립 공차를 조절하기 위한 조임 볼트용 간극조절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의 조립관계와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a내지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웨빙 수납장치의 지그블록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그리고,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가 부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련의 시트벨트 어셈블리 공정 흐름을 따라서 웨빙 투입부(100)와, 웨빙 수납장치(200)와, 부품 제공부(300)와, 스토퍼 체결부(400) 및, 엔드 조립부(500)를 하우징(10)의 상부에 배열시키고 있다.
하우징(10)은 건장한 성인이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적당한 높이를 갖는 사각형 골격형 프레임(11)으로 상자형 몸체를 형성하고 있고, 정면과 양쪽 측면에 판부재를 부착하고 있다. 이런 하우징(10)은 가로방향의 보강 부재(12)를 구비하며, 보강 부재(12)에 의해 지지되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선반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선반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부품정렬공급기(Parts Feeder)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압 실린더를 이용한 스토퍼 승강용 엘리베이터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충격 완충용 지지부(20)들을 하부 모서리에 각각 고정시켜서, 안정된 조립 공정 환경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하우징(10)은 이동용 바퀴(30)들을 구비하여, 작업 장소에서 이동이 용이하다. 이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직사각 상판(13)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판(13)에는 웨빙 투입부(100)와, 웨빙 수납장치(200)와, 부품 제공부(300)와, 스토퍼 체결부(400) 및, 엔드 조립부(500)를 설치할 수 있는 다수의 볼트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판(13)은 다수의 유니트들을 블록 조합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압력을 제공하는 공압설비(610)와 전원(620)에 접속된 PLC(600)에 의해서 시트벨트 조립을 위한 일련의 자동화공정이 제어된다.
한편, 웨빙 투입부(100)는 삽입블록(111)을 내부에 고정하고 양쪽 측벽에 홈(113)들을 형성한 상자형 실린더 조립체(110)를 구비한다. 이런 상자형 실린더 조립체(110)는 축방향으로 이동(a)할 수 있게 액추에이터(11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자형 실린더 조립체(110)의 홈(113)들에는 최초 수직하게 삽입되는 웨빙(50)을 수평방향으로 눌러서, 웨빙(50)의 뒤틀림을 막고 이송을 돕는가로대(114)가 안착되어 있다. 가로대(114)는 상자형 실린더 조립체(110)의 일 측벽에 고정된 스텝모터(115)에 의해 유한한 회전 반경으로 회동(b)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이런 상자형 실린더 조립체(110)의 끝단에는 웨빙 이송용 제1롤러부(120)가 고정되어 있다. 제1롤러부(120)는 스텝모터(123)의 구동력으로 회전(d)하는 제1롤러(121)와, 공압 스트러트(124)에 의해서 제1롤러(121)쪽으로 이동(c)할 수 있게 형성된 제2롤러(12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1롤러부(120)의 끝단에는 고정핀 센서(126)를 갖는 두 개의 투입판(125)들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투입판(125)들이 이동하는 하우징(10)의 상판(13)에는 투입판(125)의 삽입여부를 감지하는 투입판 센서(1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두 개의 투입판(125)들의 모아진 끝단은 리트랙터(40)의 릴 측면 구멍(41)과 가이드 웹(42 ; guide web)의 웹 구멍(43)에 삽입되어 웨빙(50)의 이송 방향을 가이딩한다. 리트랙터 고정용 지그(130)는 리트랙터(40)를 세워 안착시킬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리트랙터(40)의 가이드 웹(42)용 위치 결정 수단(140, 150)들이 하우징(10)의 상판(13)에 고정되어 있다.
웨빙 수납장치(200)는 리트랙터(40)의 릴을 관통한 웨빙(50)을 상자형 케이스(210)에 수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고정핀(도시 안됨)이 고정된 웨빙(50)의 끝단부를 릴의 안착위치에 기밀하게 안착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부품 제공부(300)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제1, 제2지그블록(310, 320)들을 교반되게 축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작업 효율을 극대화하고 조립 공정 단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 체결부(400)는 웨빙(50)의 소정 위치에 스토퍼를 압착 고정시킬 수 있는 자동화수단이다. 즉, 스토퍼 체결부(400)는 부품 제공부(300)를 빠져나온 웨빙(50)을 이송시키는 제3롤러부(420)와, 웨빙(50)의 양측면에 단추 형상의 스토퍼를 압착 고정시키는 스토퍼 압착기(410) 및 스토퍼를 자동으로 정렬/공급하는 부품정렬공급기(450, 451 ; parts feeder)들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스토퍼 체결부(400)는 제2웨빙 센서(427)와 제3웨빙 센서(417)들로 구비하여 웨빙(50)의 이송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웨빙(50)의 소정 위치에 스토퍼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엔드 조립부(500)는 웨빙(50)의 마지막 조립 부품인 엔드 마운트(도시 안됨)를 웨빙(50)에 체결하기 위한 자동화수단이다. 엔드 조립부(500)는 스토퍼 체결부(400)를 빠져나온 웨빙(50)을 이송시키는 제4롤러부(520)와, 웨빙(50)의 끝단을 콘 형상으로 구부려서 엔드 마운트의 체결구멍에 웨빙(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형틀유니트(51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부품 제공부(300)의 제1, 제2지그블록(310, 320)들은 PLC(600)에 의해 제어되는 공압 실린더(311)들을 유한한 스트로크를 갖게 교반 작동시키도록 상판(13)에 배열되어 있다. 특히, 지그블록(310)의 하부로 가이드 바(313)들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312)이 상판(13)에 볼트 결합되어 있다. 이 가이드 바(313)에는 공압 실린더(311)에 의해서 미끄럼 작동(e)가능하게 이송블록(314)들이 결합되어 있다. 이런 이송블록(314)의 상면에는 지그블록(310)들이 고정볼트로 결합된다.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지그블록(310, 320)들의 상면에는 각각 두 개의 제1,제2슬릿(315, 316)들이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텅(60)과 가이드 링(61) 및 링 마운트(62)들의 형상에 대응함과 동시에 제2슬릿(316)과 교차하는 세 개의 안착홈(317, 318, 32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제2슬릿(315, 316)들은 양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웨빙(50)의 두께보다 약간 큰 사이 간격을 갖는다. 여기에서, 제1슬릿(315)은 서로 교반되는 제1지그블록(310)과 제2지그블록(320)들 중 어느 한쪽이 기준 위치에서 앞으로 후진 된 상태일 때, 웨빙(50)을 폭방향으로 관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슬릿(316)은 기준 위치에서 지그블록(310, 320)에 안착된 부품(점선으로 표시함)인 텅(60)과 가이드 링(61) 및 링 마운트(62)들의 체결구멍들을 웨빙(50)이 관통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공압 실린더(311)들의 교반 신축 작동시, 제1지그블록(310)과 제2지그블록(320)들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고, 조립 공정 순서에 따라 웨빙(50)이 지그블록(310, 320)들 중 어느 하나의 제2슬릿(316)을 관통할 때, 텅(60)과 가이드 링(61) 및 링 마운트(62)들에 웨빙(50)이 꿰어지게 된다.
또한, 지그블록(310, 320)들의 일측면에는 텅(60)과 링 마운트(62)의 안착시, 조립 공차를 조절하기 위한 조임 볼트가 체결되는 간극조절구멍(322, 323)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지그블록(310')은 조립되는 텅(60')과 링 마운트(62')의 형상에 대응한 다른 안착홈(317', 328')들이 안전벨트 조립체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래에서, 앞서 설명한 배치관계를 갖는 본 발명의 전체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본 발명의 공장자동화설비의 전원을 온(ON)한다. 이런 경우, PLC(600)는 작동 대기 상태가 된다. 작업자가 고정핀 반대쪽 웨빙(50)의 끝단부를 수직하게 유지하면서, 웨빙 투입부(100)의 삽입블록(111)에 삽입한다.
이때, 작업자는 고정핀 반대쪽 웨빙(50)의 끝단부가 제1롤러부(120)의 제1롤러(121)와 제2롤러의 사이를 약간 통과하도록 깊숙이 삽입한다. 이런 경우, 상자형 실린더 조립체(110)에 장착된 제1웨빙 센서(116)의 입력 신호를 받은 PLC(600)는 스텝모터(115)를 작동시켜서, 가로대(114)가 하방향으로 회동(b)되게 한다. 이와 함께, PLC(600)의 제어 작동에 따라서, 제1웹 위치 결정 수단(140)이 전진하고, 웹(42)의 웹구멍(43)과 리트랙터(40)의 릴 측면 구멍(41)을 일치시킨다.
또한, 상자형 실린더 조립체(11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결과, 상자형 실린더 조립체(110)에 고정된 투입판(125)들이 리트랙터(40)의 릴 측면 구멍(41)과 가이드 웹(42)의 웹 구멍(43)으로 삽입된다.
이때, 투입판 센서(127)가 투입판(125)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결과 제1롤러부(120)와 제2롤러부(220)가 작동한다. 즉, 제1롤러부(120)의 제2롤러(122)는 제1롤러(121)쪽으로 이동하여 웨빙(50)을 밀착시킴과 동시에, 스텝모터(123)의 구동력으로 제1롤러(121)가 회전한다. 이 결과, 빠른 속도로 웨빙(50)이 투입판(125)을 통해서 릴 측면 구멍(41)과 웹 구멍(43)을 통과한다. 그리고, 웨빙(50)은 제2롤러부(220)의 이송력을 받아서 웨빙 수납장치(200)의 개폐형 가이드판(211)에서 완만하게 꺾여 이송된다. 이후, 제1지그블록(310)의 제2슬릿과 제2지그블록(320)의 제1슬릿을 관통하면서, 제1지그블록(310)에 안착된 텅과 가이드 링 및 링 마운트의 체결구멍을 관통한 후, 제3롤러부(420)에 이른다.
그리고, 제2웨빙 센서(427)가 고정핀 반대쪽 웨빙(50)의 끝단부를 감지할 시점에서 웨빙 수납장치(200)의 액추에이터(212)가 작동한다. 그 결과 개폐형 가이드판(211)이 상자형 케이스(210)의 모서리를 개방시킨다. 이때, 제3롤러부(420)는 작동 정지 상태로 있고, 제1롤러부(120)와 제2롤러부(220)가 계속해서 이송력을 웨빙(50)에 전달시키고 있다. 이런 연유로 인하여 웨빙(50)은 개방된 개폐형 가이드판(211)에 의해서 이송 라인을 이탈함과 동시에, 상자형 케이스(210)의 내부에 주름 형상으로 수납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핀 센서(126)가 고정핀쪽 웨빙(50)의 끝단부를 감지한 경우, 제1롤러부(120)와 제2롤러부(220)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와 함께 제1웹 위치 결정 수단(140)이 후진하고, 상자형 실린더 조립체(110)가 뒤로 물러난다. 이때, 고정핀쪽 웨빙(50)의 끝단부는 리트랙터(40)의 릴에 안착된다. 이후, 제3롤러부(420)의 작동으로 고정핀 반대쪽 웨빙(50)의 끝단부는 제4롤러부(520) 쪽으로 이동하고, 제3웨빙 센서(417)가 이동된 웨빙(50)의 끝단부를 감지한 경우, 제3롤러부(420)의 작동이 정지한다.
그리고, 부품정렬공급기(450)는 진동을 이용 제1, 제2스토퍼 멤버를 자동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피스톤축을 움직일 수 있는 승강 실린더(461)를 이용한 스토퍼 엘리베이터(460)가 압핀 형상의 제1스토퍼 멤버와 링 형상의 제2스토퍼 멤버를 스토퍼 체결부(400)의 압착위치로 운반한다. 압착위치에 운반된 스토퍼 멤버들은 웨빙(50)을 중심으로 양측면에 배치되며, 스토퍼 압착기(410)가 스토퍼 멤버들을 웨빙(50)에 압착시킨다.
스토퍼 압착기(410)의 작동이 끝나는 시점을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도시 안됨)에 의해 PLC(600)는 제4롤러부(520)를 작동시키고, 이 결과 고정핀 반대쪽 웨빙(50)의 끝단부는 엔드 조립부(500)의 형틀유니트(510)로 투입된다.
엔드 조립부(500)의 형틀유니트(510)는 축소관 형상의 입구블록(540)과 엔드 마운트를 소정 위치에 배치시키기 위한 제3지그블록(530)을 구비하여 고정핀 반대쪽 웨빙(50)의 끝단부를 말아서 엔드 마운트의 체결구멍에 삽입시킨다.
이후, 엔드 마운트의 체결구멍을 관통한 고정핀 반대쪽 웨빙(50)의 끝단부는 별도의 재봉설비에서 마무리 재봉되어 조립 공정이 끝나게 된다. 여기에서, 별도의 재봉설비는 본 발명의 하우징(1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후 반복되는 두 번째 일련의 조립 공정들 중에서 웨빙(50)은 첫 번재 일련의 조립 공정과 달리 제1지그블록(310)의 제1슬릿과 제2지그블록(320)의 제2슬릿을 관통하면서, 제2지그블록(310)에 안착된 텅과 가이드 링 및 링 마운트의 체결구멍을 관통한 후, 제3롤러부(420)에 이른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 발명의 부품 제공부를 통해서, 제1, 제2지그블록(310, 320)들에 각각 텅과 가이드 링 및 링 마운트들을 한번 각각 안착시켜 줄 경우, 두 번의 조립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는 교반하는 지그블록을 구비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신속한 시트벨트 조립체를 양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는 작업자의 작업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작업이 필수적인 시트벨트 어셈블리의 작업 환경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는 시트벨트 조립체에 대응한 지그블록을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제품 생산으로의 응용도가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는 부품 제공부의 교반 작동으로 매우 짧은 시간에 다수의 부품들의 체결구멍들과 웨빙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리트랙터(40)와 웨빙(50)을 조립시, 다수의 부품을 상기 웨빙(50)에 삽입시키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상부에서 공정논리제어장치(600)로 제어되는 일련의 시트벨트 어셈블리 공정을 수행하도록 배열된 웨빙 투입부(100)와 웨빙 수납장치(200)와 부품 제공부(300)와 스토퍼 체결부(400)와 엔드 조립부(50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부품 제공부(300)는 PLC(600)에 의해 제어되는 공압 실린더(311)들을 유한한 스트로크를 갖게 교반 작동시키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상판(13)에 배열된 지그블록(310, 320, 310')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그블록(310, 320, 310')의 하부로 가이드 바(313)들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312)이 상판(13)에 볼트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바(313)에는 공압 실린더(311)에 의해서 미끄럼 작동(e)가능하게 이송블록(314)들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이송블록(314)의 상면에는 상기 지그블록(310, 320, 310')들이 고정볼트로 결합되며, 상기 지그블록(310, 320, 310')들에는 상기 웨빙(50)과 체결되는 텅(60, 60')과 가이드 링(61) 및 링 마운트(62, 62')들에 대응한 다수의 안착홈(317, 318, 328, 317', 328')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블록(310, 320, 310')들의 상면에는 상기 웨빙(50)이 관통할 수 있게 각각 두 개의 제1, 제2슬릿(315, 316)들이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블록(310, 320, 310')들의 일측면에는 텅(60, 60')과 링 마운트(62, 62')의 안착시, 조립 공차를 조절하기 위한 조임 볼트용 간극조절구멍(322, 323)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
KR10-2000-0087325A 2000-12-30 2000-12-30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 KR100391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325A KR100391142B1 (ko) 2000-12-30 2000-12-30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325A KR100391142B1 (ko) 2000-12-30 2000-12-30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075A true KR20020057075A (ko) 2002-07-11
KR100391142B1 KR100391142B1 (ko) 2003-07-12

Family

ID=2769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7325A KR100391142B1 (ko) 2000-12-30 2000-12-30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2135A (zh) * 2018-06-27 2018-12-07 安徽泓毅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安全带穿带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9092A (ja) * 1996-03-18 1997-09-22 Nippon Seiko Kk プリテンショナー付き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及びその組立方法
JPH1076088A (ja) * 1996-09-03 1998-03-24 A S T:Kk ベルト係合具の取付け装置及び方法
JP2000016234A (ja) * 1998-06-29 2000-01-18 Araco Corp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2135A (zh) * 2018-06-27 2018-12-07 安徽泓毅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安全带穿带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1142B1 (ko) 200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1101053B4 (de) Arbeitsstation für eine Verpack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Werkzeugwechsel
CN107107284B (zh) 生产系统及其部件
EP3150521B1 (de) Vorrichtung zum gruppieren von stückgut und verfahren zum formatwechsel einer solchen vorrichtung
DE4293174C2 (de) Laserstrahlbearbeitungsanlage mit einem Palettenspeicher
DE102010041389A1 (de) Verpackungsmaschine
DE10360566A1 (de) Werkstückfördermittel für eine Pressenstrasse
EP0841997A1 (en) Drawing process and machine
KR100391142B1 (ko) 부품 제공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
WO2009100947A2 (de) Modulare fertigungsanlage
CN108097825B (zh) 冲压生产线自动化输送系统及其工作方法
KR100424958B1 (ko) 스토퍼 체결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
DE202006005835U1 (de) Bearbeitungsstation
US5325802A (en) Sewing machine for large-surface, frame clamped material
KR100416917B1 (ko) 엔드 조립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
EP4442612A1 (de) Vorrichtung zum bevorraten von teilen, insbesondere von kunststofferzeugnissen, insbesondere von spritzgussteilen und system
KR101638877B1 (ko) 원단 절단장치
WO2008098605A1 (de) Positioniereinrichtung
WO1996005049A1 (fr) Presse de transfert
EP1068910B1 (en) Modular system for seaming, and seaming head
DE102015001258B4 (de) Produktionsanlage und deren Teile
KR100387181B1 (ko) 웨빙 수납장치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
DE102015216906B4 (de) Maschine zum Verpacken und/oder Bearbeiten und/oder Handhaben von Stückgütern und System mit einer solchen Maschine und mindestens zwei Wechselmodulen
JP3605658B2 (ja) 網状配筋材溶接装置
CN113814779B (zh) 一种数控机床盒式自动进料机构
KR100387183B1 (ko) 웨빙 투입부를 갖는 시트벨트 어셈블리용 공장자동화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