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605A - 세탁기의 세탁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605A
KR20020056605A KR1020000085993A KR20000085993A KR20020056605A KR 20020056605 A KR20020056605 A KR 20020056605A KR 1020000085993 A KR1020000085993 A KR 1020000085993A KR 20000085993 A KR20000085993 A KR 20000085993A KR 20020056605 A KR20020056605 A KR 20020056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ust
laundry
foreign matter
str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85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6605A/ko
Publication of KR20020056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60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3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ing machine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물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사용자가 직접 털어 내는 불편함을 제거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극도로 제공함과 아울러, 세탁과정 중 완전히 분해되지 않는 세제에 의해 세탁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의 세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방법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세탁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세제와 세탁수가 세탁조 내에 투입되기 전에 상기 세탁조를 수분간 회전시켜 세탁물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털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이물질 털이 단계는 세탁조를 좌우로 반전시켜 세탁물의 먼지나 이물질을 세탁물로부터 털어내는 이물질 분리 단계와, 상기 세탁조를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시켜 분리된 먼지나 이물질을 세탁외조 및 이물질 거름망으로 채집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세탁방법{method for laundering in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털어 낼 필요 없이 세탁행정 전에 제거할 수 있는 세탁기의 세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에 묻은 때나 더러운 물질을 화학적인 분해작용과 기계적인 충격작용에 의해 제거하는 기기로서, 최근에 등장하는 전자동 세탁기는 중간에 사용자의 조작 없이 세탁, 헹굼, 탈수의 일련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이러한 전자동 세탁기의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일단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여 세탁물을 세탁조에 투입하면 세탁기의 제어부는 적정 방법을 통해 포량을 감지하고(S10), 상기 포량에 따라 세탁수위, 세탁시간, 세제 투입량 등을 결정하여 세제를 세탁조 내로 투입하게 된다(S20). 다음, 급수관로가 개방되면서 상기 세탁수위에 따라 세탁조 내에 세탁수가 급수된다(S30).
다음, 세제 및 세탁수가 세탁조 내에 공급되고 나면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전하면서 세탁조 내에 구비된 펄세이트가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물의 때를 제거하는 세탁행정이 진행된다(S40).
다음, 세탁행정이 완료되고 나면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하고 새로운 세탁수가 급수되어 상기 세탁행정과 마찬가지로 모터가 회전하면서 잔여 때를 제거하는 헹굼행정이 일정 횟수만큼 반복 진행된다(S50).
다음, 상기 헹굼행정이 완료되고 나면 모터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세탁물의 수분을 원심력으로 제거하는 탈수행정이 진행되고(S60), 이 후 세탁이 완료되었음을 부저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린 후, 상술한 일련의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세탁물에 먼지나 이물질 등이 많이 묻은 경우, 사용자는 세탁물을 세탁조에 투입하기 전에 다른 도구나 아니면 직접 손을 이용하여 먼지나 이물질을 털어내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에, 먼지나 이물질은 사용자의 기관지로 유입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술한 작업은 힘이 미약한 노약자나 주부에게 상당히 부담스러운 것으로 번거로울 수밖에 없다.
한편, 세제가 급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자동으로 투입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직접 투입되는 경우, 보통의 세제는 분말 형태로 세탁물 위에 직접 투입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히 분해되지 않고 세탁물에 그대로 남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세탁이 완전히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세탁물에 잔존하는 세제에 의해 세탁을 다시 한번 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그렇지 않은 경우, 세탁물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물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사용자가 직접 털어 내는 불편함을 제거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극도로 제공함과 아울러, 세탁과정 중 완전히 분해되지 않는 세제에 의해 세탁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의 세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방법 중 이물질 털이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10 : 포량감지 단계S20 : 세제투입 단계
S30 : 급수 단계S40 : 세탁행정
S50 : 헹굼행정S60 : 탈수행정
S100 : 이물질 털이 단계S110 : 이물질 분리 단계
S120 : 이물질 제거 단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방법은 세탁행정,헹굼행정, 탈수행정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세탁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세제와 세탁수가 세탁조 내에 투입되기 전에 상기 세탁조를 수분간 회전시켜 세탁물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털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이물질 털이 단계는 세탁조를 좌우로 반전시켜 세탁물의 먼지나 이물질을 세탁물로부터 털어내는 이물질 분리 단계와, 상기 세탁조를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시켜 분리된 먼지나 이물질을 세탁외조 및 이물질 거름망으로 채집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시 세탁조 회전속도는 세탁행정시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방법 중 이물질 털이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1)의 내부에 세탁외조(2)가 다수의 지지체(3)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세탁외조(2)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세탁조(4)의 하단에 결합된 세탁축(6)이 구동부(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5)는 상기 세탁외조(1)의 하단에 로터(5b)와 스테이터(5a)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로터의 구동력을 풀리나 벨트 없이 직접 세탁조(4)에 전달하기 위하여 세탁조와 함께 회전하는 세탁축(6)이 베어링의 지지를 받으면서 로터(5b)에 직접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조(4)에는 세탁 및 탈수행정시 세탁수가 세탁외조(2)로 배출되는 다수의 탈수공(4a)이 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세탁조(4)의 상부 일측에는 세탁물에 묻은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거름망(10)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이물질 거름망(10)은 세탁외조(2)와도 통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본체(1) 일측에는 외부의 연결되어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4)로 공급하는 급수관로가 구비되고, 상기 세탁조(4)의 상부 일측에는 세제 및 섬유 유연제 등이 수용되어 세탁행정 전에 급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상기 세탁조 내로 투입되는 세제통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세탁외조(2)의 하단 일측에는 세탁, 헹굼, 탈수행정시 탈수공(4a)을 통해 배출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로(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상부(8)에는 세탁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하는 콘트롤 패널과, 상기 콘트롤 패널과 연결되며 세탁수의 급수 및 배수와 모터의 구동 등 세탁기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를 이용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세탁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여 세탁물을 세탁조(4)에 투입하면 제어부에서 적정 방법을 통해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세탁수위와 세탁시간 및 세제 사용량 등을 결정하는 포량 감지 단계(S10)를 수행한다. 이 때, 포량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대표적인 것으로 일정시간 동안 상기 세탁조(4)를 좌우로 반전시키면서 그 부하를 측정하여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포량 감지 단계(S10) 후, 상기 세탁조(4)를 수분간 회전시켜 세탁물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털이 단계(S100)가 수행된다.
이 때, 상기 이물질 털이 단계(S100)는 세탁조(4)를 수분간 좌우로 강하게 반전시켜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에 강한 유동을 일으켜 세탁물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털어내는 이물질 분리 단계(S110)와, 상기 세탁조(4)를 일방향으로 고속회전시켜 분리된 먼지나 이물질을 원심력에 의해 세탁외조(2)로 배출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S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S120)시 세탁조 내에 부유하는 먼지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강한 원심력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상기 세탁조(4)는 세탁행정을 수행할 때보다 더 빠르게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상기 세탁조(4)를 200 rpm 정도로 회전시켰을 때 먼지 등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조(4) 내의 먼지나 이물질은 벽면에 형성된 탈수공(4a)을 통해 세탁외조(2)로 빠져나가고, 빠져나간 먼지나 이물질 중 대부분은 상기 세탁조의회전에 의해 상승하다가 이물질 거름망(10)으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이물질 거름망(10)에 포집되지 않은 먼지 등은 후기에 진행되는 세탁 및 헹굼행정시에 배수되는 세탁수에 용해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 상기 이물질 털이 단계(S100)가 완료되면, 상기 포량 감지 단계(S10)에서 결정된 세탁수위 및 세제 투입량에 따라 세제투입 단계(S20)와 급수 단계(S30)가 수행된다. 이 때, 상기 세제투입 단계(S20)와 급수 단계(S30)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급수관로의 일부가 세제통을 경유하도록 구성된 전자동 세탁기의 경우 급수되는 세탁수가 분발 세제를 용해하여 세탁조(4)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세제투입과 급수는 동시에 이루어지며, 급수 전 사용자가 세제를 직접 투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세제투입과 급수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후자의 경우, 세탁물에 직접 투입된 세제가 완전히 분해되지 않은 채로 세탁이 완료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세탁방법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는 이물질 털이 단계(S100)로 인해 일소에 해소된다. 즉, 상기 이물질 털이 단계(S100) 중 세탁조(4)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이물질 제거 단계(S120)를 완료하게 되면, 상기 세탁조(4) 내의 세탁물은 탈수시와 마찬가지로 세탁조의 벽면에 달라붙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제를 직접 투입하더라도 세탁물에 묻는 양은 극히 희박하며, 대부분의 세제는 세탁조의 중앙 바닥면에 떨어지게 된다. 이 후, 세탁수가 세탁조의 상부에서 급수되면서 높은 낙차로 인해 세제의 분해가 훨씬 용이해진다.
다음, 상기 세제투입(S20) 및 급수 단계(S30)가 완료되고 나면, 상기세탁조(4)가 구동부(5)의 구동력으로 좌우 반전하면서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물의 때를 제거하는 세탁행정(S40)이 진행된다.
다음, 세탁행정이 완료되고 나면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하고 새로운 세탁수가 급수되어 상기 세탁행정과 마찬가지로 구동부(5)가 회전하면서 잔여 때를 제거하는 헹굼행정(S50)이 일정 횟수만큼 반복 진행된다.
다음, 상기 헹굼행정이 완료되고 나면 구동부(5)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세탁물의 수분을 원심력으로 제거하는 탈수행정(S60)이 진행되고, 이 후 세탁이 완료되었음을 부저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린 후, 상술한 일련의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포량 감지 단계(S10)와 이물질 털이 단계(S100)는 그 순서가 바뀌어도 관계가 없다. 즉, 세탁물이 투입된 직후 세탁조(4)를 좌우반전 및 고속회전시켜 세탁물에 묻은 먼지 등을 제거한 후에 포량을 감지하는 것이 순서상 더 바람직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세탁조(4)를 좌우 반전시켜 먼지 등을 세탁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S110)에서 세탁물의 양을 동시에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방법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세탁방법에 있어서, 세제 및 세탁수가 공급되기 전에 세탁물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세탁조의 회전운동으로 털어 내어 세탁조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일부러 세탁물을 털어 먼지 등을 제거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그주위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방법은 먼지 등을 털어 내는 과정 중에 세탁물이 세탁조의 벽면에 달라붙게 되어 사용자가 세제를 세탁조 내부로 직접 투입하는 경우, 세제가 세탁물에 직접 투입되는 양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세제의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물을 세제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Claims (3)

  1.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세탁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탁행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세제와 세탁수가 세탁조 내에 투입되기 전에 상기 세탁조를 수분간 회전시켜 세탁물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털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털이 단계는 세탁조를 좌우로 반전시켜 세탁물의 먼지나 이물질을 세탁물로부터 털어내는 이물질 분리 단계와, 상기 세탁조를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시켜 분리된 먼지나 이물질을 세탁외조 및 이물질 거름망으로 채집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시 세탁조 회전속도는 세탁행정시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20000085993A 2000-12-29 2000-12-29 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20056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993A KR20020056605A (ko) 2000-12-29 2000-12-29 세탁기의 세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993A KR20020056605A (ko) 2000-12-29 2000-12-29 세탁기의 세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605A true KR20020056605A (ko) 2002-07-10

Family

ID=2768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993A KR20020056605A (ko) 2000-12-29 2000-12-29 세탁기의 세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66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0161B2 (en) 2017-08-29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0161B2 (en) 2017-08-29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12420B2 (en) 2017-08-29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3442B1 (en) Method for cleaning tub of washing machine
JP4801161B2 (ja) 洗濯機の槽洗浄方法及び洗濯槽洗浄コースが備わった洗濯機
KR100933701B1 (ko) 세탁기 조세정 방법 및 세탁조 세척코스가 구비된 세탁기
US20060016021A1 (en) Wash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CN109863265A (zh) 洗衣机
KR20090073580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90073582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20056605A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90079496A (ko) 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KR20020048579A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JP2001218993A (ja) ドラム式洗濯機及び洗濯方法
KR100488040B1 (ko) 세탁조 세정기능이 구비된 세탁기
KR10044495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10093969A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조 세정방법
JPH0223995A (ja) 洗濯機の運転方法
JP201407949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082882B1 (ko) 세탁기의 세탁조 세정 방법
KR101082886B1 (ko) 세탁기의 세탁조 세정 방법
KR100739613B1 (ko) 투과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KR100793764B1 (ko)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KR19980017290A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9980039417A (ko) 세탁기의 보푸라기 제거장치
JP3027707B2 (ja) 着脱自在式洗濯バケットを有する洗濯機
JP2004159973A (ja) 洗濯機
KR19990041410A (ko) 세탁기의 청소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