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4170A - 액정기판검사장치의 작업방법 - Google Patents

액정기판검사장치의 작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4170A
KR20020054170A KR1020000082931A KR20000082931A KR20020054170A KR 20020054170 A KR20020054170 A KR 20020054170A KR 1020000082931 A KR1020000082931 A KR 1020000082931A KR 20000082931 A KR20000082931 A KR 20000082931A KR 20020054170 A KR20020054170 A KR 20020054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tage
microscope
alignment mark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원배
Original Assignee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Priority to KR102000008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4170A/ko
Publication of KR2002005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17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8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of the susceptor, stage or support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경과, 상기 현미경을 상, 하로 구동하는 기어 및 기어모터, 기판이 놓여지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를 통해 상승, 하강하는 복수개의 리프트핀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판 검사장치의 작업방법으로서,리프트핀을 스테이지를 통해 상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로 돌출된 리프트핀에 기판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리프트핀을 스테이지 하부로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지를 검사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지의 기판의 첫 번째 얼라인마크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첫 번째 얼라인마크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오토포커싱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기어의 구동력으로 현미경이 기판을 검사할 수 있는 최적의 포커스를 맞추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지의 기판의 두 번째 얼라인마크와 첫 번째 얼라인마크를 이용하여 기판을 최적위치로 정열하는 단계와; 상기 현미경을 이용하여 기판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판검사장치의 작업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현미경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의 수명연장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정기판검사장치의 작업방법{Operation method of detecting device for liquid crystal substrates}
본 발명은 액정기판의 검사장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액정패널을 구성하는 기판 중 어레이기판(또는 TFT기판이라고도 함)의 완성검사공정장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패널은 컬러필터라 불리우는 상부기판과, 스위칭소자로 TFT(Thin film transistor)를 사용하고, 어레이기판이라 불리우는 하부기판과 그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어레이기판은 다수의 어레이공정에 의해 진행되므로 불량률이 컬러필터기판에 비해 많이 발생하고, 이러한 어레이기판의 완성이후에는 반드시 완성품 검사공정을 수행하게 되고 이는 현미경을 통해서 하게 된다.
이러한 현미경을 포함하는 검사장치가 개시되어 있는 바, 이 검사장치는 기판(40)이 놓여지는 스테이지(stage)(30)와, 현미경(10)과, 제어부(20)를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1의 개략블록도를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스테이지(30)는 하부에서 다수개의 리프트핀(44)이 상승한 상태에서 기판(40)이 올려지고, 기판(40)이 올려진 상태에서 리프트핀(44)이 스테이지(30)하부로 빠지고, 스테이지(30)는 모터에 의해 X방향으로 이동하여 현미경(10)이 위치한 곳에 도착하고, 여기서 기판(40)의 얼라인먼트마크(41)(42)를 읽어 정확하게 자리잡은 후 현미경(10)이 모터의 작동에 의해 오토포커싱(auto focusing)작업에 행하여 포커스를 제대로 잡아 기판(40)을 검사하게 된다. 여기서 현미경(10)은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검사장치에서 각 동작의 플로우를 도 2의 플로우챠트를 통해 현미경의 오토포커싱작업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매뉴얼모드로서 기판의 교환작업이 일어나게 되고(S1), 리프트핀이 스테이지 상부로 돌출되어(S2) 새로운 기판이 스테이지상부에 안착되면(S3), 제어부는 오토포커싱모드로 전환된다(S4). 이때부터 미도시된 기어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열(gear train)에 의하여 현미경이 도 1의 Z축방향 즉, 상,하로 이동하면서 오토포커싱을 하게 된다. 이후 리프트핀이 하강하고(S5) 스테이지가 현미경 하부로 이동하여(S6) 얼라인마크를 기준으로 기판을 제대로 정열한 후(S7) 검사를 진행하여(S8) 완료하게 된다.(S9)
그런데 오토모드로 전환된 이후 실제 검사하기까지는 약 10여초가 소요되는데, 이 동안에 기어는 지속적으로 움직이면서 오토포커싱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는 불필요한 작업이다. 이러한 기어의 불필요한 동작으로 인하여 기어 뿐 아니라 기어구동모터의 수명을 단축되게 되어 기어모터를 자주 교환해야 되는 번거러움과 비용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레이기판검사공정에서 현미경의 오토포커싱공정에서 사용되는 기어 및 기어모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검사장치의 작업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은 후술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정기판검사장치의 개략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장치를 이용한 종래의 기판검사의 순서도
도 3은 도 1의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검사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현미경20: 제어부
15: 현미경 구동기어30: 스테이지
40: 기판41, 42: 제 1, 2 얼라인마크
44: 리프트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미경과, 상기 현미경을 구동하는 기어와, 기판이 놓여지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를 통해 상승, 하강하는 복수개의 리프트핀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판 검사장치의 작업방법으로서, 리프트핀을 스테이지를 통해 상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로 돌출된 리프트핀에 기판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리프트핀을 스테이지 하부로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지를 검사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지의 기판의 첫 번째 얼라인마크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첫 번째 얼라인마크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오토포커싱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기어의 구동력으로 현미경이 기판을 검사할 수 있는 최적의 포커스를 맞추는 단계와; 상기 현미경을 이용하여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판검사장치의 작업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미경(10), 상기 현미경(10)을 구동하는 기어(15), 기판(40)이 놓여지는 스테이지(30), 제어부(20)로 구성되어있고, 각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순서를 도 3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전의 검사가 완료된 후, 오토포커싱 매뉴얼모드(S10)에서 스테이지가 기판이 장착될 위치로 이동한다. 이후 리프트핀이 스테이지를 통해 상승하고(S12), 로봇이 이전에검사한 기판을 이동시키고 새로운 기판을 리프트핀위에 안착시키게 된다.(S14)
리프트핀은 기판이 안착된 후 스테이지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S16) 스테이지는 현미경의 위치로 즉, 도 1의 X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S18) 첫 번째 얼라인마크가 현미경의 위치로 이동되면, 이를 판단하고 작업자는 제어부에 키보드의 엔터키 등을 이용하여 이를 알리게 된다(S20).
이 신호를 받은 제어부는 오토포커싱을 시작하게 되고, 작업자는 제 1 얼라인마크와 대각선방향의 제 2 얼라인마크를 찾아 정위치에 정열시키게 되고(S24) 현미경은 그 사이에 기어의 구동에 의해 오토포커싱을 실시하게 되고, 오토포커싱이 완료된 시점에 작업자가 기판의 결점 여부를 검사함으로써(S26) 기판의 검사는 완료되게 된다. 오토포커싱은 CCD(charge couple device)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판에서 반사된 빛에 의해 발생된 전기량이 미리 정해진 값의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토포커싱을 완료를 판단하고 이는 통상의 방법에 따른다.
즉, 제 1 얼라인 마크가 검사위치로 들어오는 순간을 제어부에 알려서 오토포커싱을 시작하게 함으로써, 현미경을 Z방향으로 구동하는 기어가 필요한 시기에만 작동되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검사작업을 진행할 경우, 현미경을 구동하는 기어가 불필요한 작업을 하지 않게 되므로 기어의 수명 및 기어를 구동하는 기어모터의 수명연장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현미경과, 상기 현미경을 상, 하로 구동하는 기어 및 기어모터, 기판이 놓여지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를 통해 상승, 하강하는 복수개의 리프트핀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판 검사장치의 작업방법으로서,
    리프트핀을 스테이지를 통해 상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로 돌출된 리프트핀에 기판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리프트핀을 스테이지 하부로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지를 검사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지의 기판의 첫 번째 얼라인마크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첫 번째 얼라인마크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오토포커싱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기어의 구동력으로 현미경이 기판을 검사할 수 있는 최적의 포커스를 맞추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지의 기판의 두 번째 얼라인마크와 첫 번째 얼라인마크를 이용하여 기판을 최적위치로 정열하는 단계와;
    상기 현미경을 이용하여 기판을 검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판검사장치의 작업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얼라인마크의 감지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 통보되는 작업방법
KR1020000082931A 2000-12-27 2000-12-27 액정기판검사장치의 작업방법 KR20020054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931A KR20020054170A (ko) 2000-12-27 2000-12-27 액정기판검사장치의 작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931A KR20020054170A (ko) 2000-12-27 2000-12-27 액정기판검사장치의 작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170A true KR20020054170A (ko) 2002-07-06

Family

ID=2768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931A KR20020054170A (ko) 2000-12-27 2000-12-27 액정기판검사장치의 작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417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361A (ko) * 2002-10-09 2004-04-17 코닉 시스템 주식회사 기판 정렬 공정에서의 광학계의 위치 보상방법
US7132671B2 (en) 2003-04-22 2006-11-07 Shimadzu Corporation Substrate testing device and substrate testing method
KR100693716B1 (ko) * 2004-06-07 2007-03-13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검사장치
KR100856078B1 (ko) * 2007-11-02 2008-09-03 서울엔지니어링(주) Lcd 패널 검사 시스템의 현미경 영상 분석 방법
WO2020077685A1 (zh) * 2018-10-16 2020-04-23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的测试设备和测试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361A (ko) * 2002-10-09 2004-04-17 코닉 시스템 주식회사 기판 정렬 공정에서의 광학계의 위치 보상방법
US7132671B2 (en) 2003-04-22 2006-11-07 Shimadzu Corporation Substrate testing device and substrate testing method
KR100745079B1 (ko) * 2003-04-22 2007-08-0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기판 검사장치 및 기판 검사방법
KR100693716B1 (ko) * 2004-06-07 2007-03-13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검사장치
KR100856078B1 (ko) * 2007-11-02 2008-09-03 서울엔지니어링(주) Lcd 패널 검사 시스템의 현미경 영상 분석 방법
WO2020077685A1 (zh) * 2018-10-16 2020-04-23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的测试设备和测试方法
US11442099B2 (en) 2018-10-16 2022-09-13 HKC Corporation Limited Testing device and testing method for performing an electrical stress test and a power-on test on an array substrate of a dispaly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965B1 (ko) 촬상 소자 시험 방법 및 장치
KR100915418B1 (ko) 웨이퍼 마킹 방법, 불량 다이의 마킹 방법, 웨이퍼 정렬방법 및 웨이퍼 검사 방법
US20080068033A1 (en) Method for re-registering an object to be aligned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060046299A (ko) 미세 패턴 수정 장치 및 미세 패턴의 결함 수정 방법
US20040101981A1 (en) Apparatus for repairing defect of substrate
KR20000000604A (ko) 웨이퍼 검사장비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 검사방법
JPH08122807A (ja) Tcp実装方法
KR100549470B1 (ko) 이방성 도전 필름용 압흔 검사장치
KR20020054170A (ko) 액정기판검사장치의 작업방법
KR20070117188A (ko)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방법
CN115218839B (zh) 一种基于中框与cg组屏的对正结构的对中控制方法
KR100820752B1 (ko) 평판표시소자의 프로브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로브검사방법
JP5077875B2 (ja) 微細パターン観察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微細パターン修正装置
JP2005141035A (ja) 液晶パネルの点灯検査用治具および点灯検査方法
CN116237611A (zh) 微型led焊盘残锡推平装置、方法及修复装置
JPH0949759A (ja) 赤外線カメラの対物レンズ交換機構
JP2005268486A (ja) マーキング方法及びマーキング装置並びに検査装置
KR20050114132A (ko) 오토 프로브 검사장비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100837729B1 (ko) Lcd 검사장비의 스테이지 정밀이동장치
JPH0520757B2 (ko)
KR20010096082A (ko) 반도체 웨이퍼의 표면 불량 검사 장치
JP2008304832A (ja) 点欠陥修正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
KR20050065823A (ko) 액정표시소자용 리페어 장치
CN220453142U (zh) 一种印刷线路板自动曝光机用支撑装置
JP2010060991A (ja) 液晶パネル検査装置及び液晶パネル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