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3338A -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3338A
KR20020053338A KR1020000082894A KR20000082894A KR20020053338A KR 20020053338 A KR20020053338 A KR 20020053338A KR 1020000082894 A KR1020000082894 A KR 1020000082894A KR 20000082894 A KR20000082894 A KR 20000082894A KR 20020053338 A KR20020053338 A KR 20020053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eption type
code
run
level
vl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수
Original Assignee
송문섭
주식회사 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문섭, 주식회사 큐리텔 filed Critical 송문섭
Priority to KR1020000082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3338A/ko
Publication of KR20020053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33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error resilience
    • H04N19/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error resilience involving reversible variable length codes [RV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40Conversion to or from variable length codes, e.g. Shannon-Fano code, Huffman code, Morse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부호화기에서 사용되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 변화계수에 대한 가변길이부호화장치(Variable Length Coder)로서 입력된 DCT 변환계수에 대한 예외 형태(escape type)를 가변길이부호화하기 이전에 미리 판단함으로써 동작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길이부호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ARIABLE LENGTH CODING DCT COEFFICIENT}
본 발명은 가변길이부호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MPEG-4 동영상 부호화기에서 사용되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 변환계수에 대한 가변길이부호화장치로서 입력된 DCT 계수에 대한 예외 형태(escape type)를 가변길이부호화하기 이전에 미리 판단함으로써 동작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가변길이부호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신호의 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는 저속 채널(low rate channel)을 통한 동영상 정보의 전송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해당 영상을 저장하는데 요구되는 메모리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기술은 동영상의 저장(storage), 전송(transmission) 등의 응용(application)을 요구하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산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한편, 멀티미디어 산업의 확대와 정보의 호환성을 위하여 이러한 정보 압축 방법의 표준화 작업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현재까지 다양한 응용을 중심으로 동영상 표준화 방안이 마련되었다. 예를 들면, 영상 전화(video phone), 영상 회의(video conferencing) 등을 위한 동영상 정보를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을 이용하여 전송하기 위한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국제전기통신연합 - 전기통신표준화부문, 전 CCITT)의 H.261, 공중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이용하여 동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ITU-T의 H.263, DSM(Digital Storage Media)에의 동영상 저장을 위한 ISO/IEC JTC1/SC29/WG11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Joint Technical Committee 1/Sub Committee 29/Working Group 11)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의 MPEG-1, EDTV(Enhanced Digital Television),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등의 고화질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을 위한 MPEG-2 등이 대표적인 동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의 표준화 방법이다. 그리고 정지 영상(still image) 신호의 압축 부호화도 표준화 작업이 수행되었는데 ISO/IEC JTC1/SC29/WG1의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동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동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는 입력된 현재 영상과 움직임 예측부(6)에서 얻어진 예측 영상(prediction frame)과의 차 영상(frame difference)을 변환하는 변환부(1), 변환부(1)로부터 입력된 변환계수(transform coefficient)를 데이터 압축을 위하여 양자화하는 양자화부(2),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을 가변길이부호화(VLC; Variable Length Coding)하는 가변길이부호화부(3), 역양자화부(4) 및 역변환부(5)로 구성된다. 이러한 동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역양자화부(4) 및 역변환부(5)를 통해 복원된 차 영상은 움직임 예측부(6)의 입력으로 사용되어 다음 영상에 대한 예측 영상을 얻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움직임 예측부(6)는 입력을 통해 들어온 현재 영상과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 추정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영상을 찾는다. 움직임 예측부(6)에 의해 추정된 움직임 벡터는 가변길이부호화부(3)에 입력되어 변환계수와 함께 가변길이부호화되어 전송된다. 가변길이부호화부(3)로부터 출력된 영상 정보 비트스트림은 수신단으로 전송되거나, 다른 신호들과 다중화하기 위하여 다중화기로 전송된다. 일반적인 동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에서는 전체 영상 단위로 부호화하는 대신에 한장의 영상을 일정한 크기의 블록(예컨대, 가로방향으로 M 화소, 세로 방향으로 N 화소(통상적으로 M×N으로 표시))의 화소(picture element 또는 pixel)의 집합 단위로 부호화를 수행하는데, 대체로 블록의 크기는 16×16 또는 8×8이다.
가변길이부호화(variable length coding)는 양자화된 변환계수에 대해 발생확률에 따라 길이가 가변적인 부호를 할당하여 부호화하는 것으로, 영상 데이터를 압축처리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가변길이부호화부(3)는 양자화부(2)로부터 입력된 DCT 계수를 가변길이부호화하는 DCT 계수 가변길이부호화부(31), 예측기(6)로부터 입력된 움직임 벡터를 가변길이부호화하는 움직임벡터 가변길이부호화부(32) 및 DCT 계수와 움직임벡터에 대한 VLC 결과를 조합하여 동영상 부호화기의 표준에 맞는 비트열을 제작하는 비트열 발생기(33)로 구성된다. 상기 DCT 계수 가변길이부호화기(31)는 양자화기(2)로부터의 DCT 변환계수 입력값들에서 일어나는 이벤트(EVENT)에 따라 가변 길이 부호화부(3)의 정해진 VLC 코드표(VLC TABLE) 값들을 출력한다. 이 때 이벤트의 종류는 마지막 변환계수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라스트(LAST)와 지그재그스캔시 "0"이 아닌 계수부터 다음 "0"이 아닌 계수가 나타날 때까지 변환계수값이 "0"인 계수 갯수를 나타내는 런(RUN)과 "0" 다음에 나타나는 "0"가 아닌 계수값을 나타내는 레벨(LEVEL)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된 이벤트에 대해 발생확률이 높은 이벤트에 대해서는 작은 비트를 할당하고, 발생확률이 낮은 이벤트에 대해서는 많은 비트를 할당하여 각 이벤트에 대해 가변길이의 비트값으로 정해둔 VLC 코드표(VLC TABLE) 값들을 출력한다. 그런데, 코드표에는 모든 가능한 런, 레벨, 라스트에 해당하는 코드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자주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한 코드만 존재하고, 통계적으로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이벤트들은 예외형태(escape type)로 부호화된다. 여기서 해당하는 VLC 코드가 VLC 코드표 상에 존재하는 경우를 정상형태 (normal type)라고 하고, VLC 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예외 형태(escape type)라고 한다. MPEG-4의 경우, DCT 변환계수의 예외형태들은 다섯 가지 타입(escape type 1, 2, 3, 4 및 5)이 존재하고, 세 가지 타입의 예외형태는 가역적 가변길이부호화테이블(reversible VLC table)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이용되고, 나머지 두 가지 예외형태는 비가역적 가변길이부호화 테이블(non-RVLC)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 이용된다. 종래의 가변길이부호화의 경우 런(run), 레벨(level), 라스트(last)가 정상형태인지 예외형태인지를 판단하는데 최악의 경우 3 번의 반복적인 판단을 거쳐야 하므로 VLC를 수행하는데 많은 지연이 발생하였다.
도 3을 참고하면, 종래의 DCT 계수 가변길이부호하기(31)는 런, 레벨, 라스트를 계산하는 RLC부(310), RLC부로부터 수신한 런, 레벨, 라스트에 해당하는 코드를 발생시키는 코드발생기(313), 코드발생기(313)에서 코드 제작시 참조하는 VLC 코드표(312), VLC 코드표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인 예외형태를 처리하는 예외형태 코드처리기(311)와 코드발생기(313)에서 얻은 코드를 일정 크기의 비트(bit)로 모아서 출력하는 팩커(packer)(314)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의 예외형태 처리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코드발생기(313)에서 RLC부(310)로부터 수신한 런, 레벨, 라스트에 해당하는 발생시키고자 하는 코드가 VLC 코드표(312)에 없는 경우, 예외형태코드 처리기(311)에 통보하고 예외형태코드 처리기(311)는 그 신호를 받아 런과 레벨 값에 가감을 가하여 새로운 런 및 레벨 값을 다시 코드발생기(313)에 입력시킨다. 이러한 새로운 런 및 레벨 값이 코드표(312)에 있는 경우에는 팩커(314)로 그 결과를 전달하는 한편, 예외형태처리기(311)에 의해 새로 생성된 런 및 레벨이 VLC 코드표(312)에 없는 경우, 코드발생기(313)는 다시 입력된 런 및 레벨 데이터에 대해 앞의 과정과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반복 판단 과정은 MPEG-4 부호화기에서는 최대 3 번까지 일어날 수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DCT 계수의 가변길이 부호화기에서는 VLC를 수행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입력되는 DCT 계수에 따라 반복 판단과정의 횟수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하나의 블록에 대한 VLC 수행시, 가변길이부호화 수행에 필요한 총시간을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코드발생기가 동작하기 이전에 미리 예외형태를 판단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반복 판단과정을 제거하여, VLC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가변길이부호화 수행에 필요한 시간을 예측하기 쉽도록 한 가변길이부호화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DCT 변환계수로부터 런(run), 레벨(level), 및 라스트(last)를 계산하는 RLC부(run-length coding part);
RLC부로부터 입력받은 런, 레벨, 라스트에 상응하는 예외형태를 판단하는 예외형태판단부;
예외형태판단부로부터 출력된 새로운 런, 레벨, 라스트를 입력으로 하여 해당 코드를 발생시키는 코드발생기와,
코드발생기에서 코드 생성시 참조하는 VLC 코드표; 및
코드발생기에서 얻은 코드를 일정 크기의 비트(bit)로 모아서 출력하는팩커(packer)를 포함하는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RLC부(run-length coding part); 예외형태판단부; 코드발생기; VLC 코드표; 및 팩커(packer)를 포함하는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에서 가변길이부호화함에 있어서, RLC부로부터 DCT 변환계수에 해당하는 런, 레벨, 및 라스트 값을 입력 받아, 가변길이부호화하기 이전에 이들에 대한 예외형태를 판단하여 입력된 런, 레벨, 및 라스트에 해당하는 코드값의 유무를 코드발생기에 알려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 계수의 가변길이부호화방법이다.
도 1은 종래의 동영상 부호화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동영상 부호화기중의 가변길이부호화기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가변길이부화기의 종래의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기의 세부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길이부호화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의 가변길이부호화장치의 예외형태판단부의 상세 블록도,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의 예외형태판단부중 비가역적 가변길이부호화(non-RVLC) 예외형태판단부의 상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상형태 판단부 및 예외형태 판단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환부 2 : 양자화부
3 : 가변길이부호화부 4 : 역양자화부
5 : 역변환부 6 : 움직임 예측부
31: DCT 계수 가변길이부호화부100: RLC부
200: 예외형태판단부 300: VLC 코드표
400: 코드발생기500: 팩커(packer)
210: 비가역적 가변길이부호화(non-RVLC) 예외형태판단부
220: 가역적 가변길이부호화(RVLC) 예외형태판단부
230: 스위치 240: RL 갱신부
가변길이 부호화에서 예외형태에 대한 반복 판단으로 인한 지연의 문제는 MPEG-4 뿐만 아니라 예외 형태가 존재하는 다른 영상 부호화기, 예컨대, H.261, H.263, JPEG, MPEG-1, MPEG-2, 등에서도 발생하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부호화기들에도 적용가능하나, 이하에서는 MPEG-4 부호화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길이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장치는 RLC부(100), 예외형태판단부(200), VLC 코드표(300), 코드발생기(400), 및 팩커(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변길이부호화장치는 예외형태판단부(200)를 코드발생기(400) 전단에 배치하여 미리 예외형태를 판단함으로써 기존의 가변길이 부호화기에서 문제가 되는 반복 계산 과정 없이 빠른 계산을 수행할 수 있어 고속의 가변길이부호화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가변길이부호화장치에서 RLC부(100)는 변환부로부터 입력받은 DCT 변환계수들에 대하여 RLC(RUN-LENGTH CODING)에 의해 런, 레벨, 라스트를 계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예외형태판단부(200)는 코드발생기가(400) 동작하기 이전에 한번에 RLC부(100)로부터 수신한 런, 레벨 및 라스트에 상응하는 예외형태를 판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코드발생기(400)는 예외형태판단부(200)에서 출력된 새로운 런, 레벨, 라스트를 입력으로 하여 해당 코드를 발생시키며, 이 때 VLC 코드표(300)를 참조한다. 한편, 팩커(500)는 코드발생기(400)에서 얻은 코드를 일정 크기의 비트(bit)로 모아서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외형태판단부(200)의 상세 블록도이다. 예외형태판단부(200)는 비가역적 가변길이부호화(non-RVLC) 예외형태판단부(210), 가역적 가변길이부호화(RVLC) 예외형태판단부(220), 스위치(230) 및 RL(RUN & LEVEL) 갱신부(2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비가역적 VLC 예외형태판단부(210)는 보통의 가변길이부호화의 예외형태를 판단하고, 가역적 VLC 예외형태판단부(220)는 에러 내성(error resilience)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RVLC 코드표를 참조하여 행해지는 가역적 가변길이부호화(reversible VLC) 모드에서의 예외형태를 판단한다. 스위치(230)는 비가역적 VLC 예외형태판단부(210)로부터의 출력과 가역적 VLC 예외형태판단부(220)로부터의 출력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스위치(230)는 동영상 부호화기가 가역적 가변길이부호화(RVLC) 모드로 부호화할 경우 가역적 가변길이부호화 예외형태판단부(220)의 출력을, 비가역적 가변길이부호화(non-RVLC) 모드로 부호화할 경우에는 비가역적 가변길이부호화 예외형태판단부(210)의 출력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230)는 RVLC_ENABLE 신호에 따라 가역적 VLC 예외형태판단부(220)와 비가역적 VLC 예외형태판단부(21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RVLC_ENABLE 신호가 1인 경우에는 비가역적 VLC 예외형태판단부(210)를 동작시키고 0인 경우에는 가역적 VLC 예외형태판단부(220)를 동작시킨다. RL 갱신부(240)는 스위치(230)에 의해 결정된 예외형태(ESC_TYPE)에 해당하는 새로운 런(run2) 및 레벨(level2)을 계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6은 도 5의 비가역적 가변길이부호화(non-RVLC) 예외형태판단부(210)의 상세 블록도로서, RVLC_ENABLE=1인 경우에 동작한다. 비가역적 가변길이부호화(non-RVLC) 예외형태판단부(210)는 정상형태 코드 판단부(211)와, 예외형태 1(escape type 1)을 판단하는 예외형태 1 판단부(212)와, 예외형태 2(escape type 2)를 판단하는 예외형태 2 판단부(213)와, 상기 3개의 판단부들의 출력들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예외형태를 판단하는 예외형태 선택부(21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예외형태 선택부(214)는 정상형태 코드 판단부(211)의 출력인 A0가 1이면 예외형태 1 판단부(212)의 출력(A1)과 예외형태 2 판단부(213)의 출력(A2)의 값과는 무관하게 정상형태로 판단하고, A0=0이고 A1=1이면 A2의 값과는무관하게 예외형태 1로 판단하며, A0=0이고 A1=0이고 A2=1이면 예외형태 2로 판단하고, A0, A1, A2 모두가 0이면 예외형태 3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RVLC_ENBALE=0 인 경우, 가역적 가변길이부호화(RVLC) 예외형태판단부(220)가 동작하는데, RVLC 예외형태판단부(220)는 RVLC 코드표에 존재하지 않는 입력이 들어올 경우, 예외형태 4(escape type 4)로 판단한다. 예외형태 5는 정상형태코드 판단부(211)에서 판단되는데, MPEG-4 부호화기가 H.263에 해당되는 비트열을 제작할 때, H.263 코드표에 존재하지 않는 입력이 들어올 때 발생한다. 이상과 같은 상기 예외형태 선택부(214)에 의해 선택된 최종적인 예외형태(ESC_SEL)는 스위치(230)의 제어에 의해 출력되어 RL 갱신부(240)에 입력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각 형태 판단부(211, 212, 및 213)의 세부 블록도이다. 이들 판단부들은 런과 레벨 값에 가감을 가하여 새로운 런과 레벨을 얻는 RL 변환부(71)와, 입력되는 런, 레벨, 라스트에 해당하는 코드값이 있는지 없는지만을 나타내는 1bit 플래그(flag)로 나타낸 매우 단순한 코드표(72)로 구성되어 있다. RVLC 예외형태판단부(220)와, 정상형태코드 판단부(211)는 RL 변환부(71)를 거치지 않고 바로 단순 코드표(72)에 입력되는 반면, 예외형태 1 판단부(212)와 예외형태 2 판단부(213)는 RL 변환부(71)에서 새로운 런과 레벨을 단순 코드표(72)에 입력한다.
위에서 설명한 예외형태 판단부(200)의 결과로서, 새로운 런과 레벨, 그리고판단된 예외형태가 얻어지고, 이 결과는 도 4의 코드발생기(400))에 입력되어 코드표에서 단 한번 VLC 코드표를 읽음으로써 RLC부(100)에서 얻은 런, 레벨, 라스트에 대한 코드를 팩커(50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예외형태판단부(200)를 이용함으로써 고속의 가변길이 부호화기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런, 레벨, 라스트에 따라 수행 속도가 다른 기존의 가변길이 부호화기와 대조적으로 수행 속도가 일정한 장점을 가지므로, 고속의 부호화기의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RLC부(run-length coding part); 예외형태판단부; 코드발생기; VLC 코드표; 및 팩커(packer)를 포함하는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를 이용한 가변길이부호화방법이다. 본 발명의 가변길이부호화방법은 RLC부로부터 DCT 변환계수에 해당하는 런, 레벨, 및 라스트 값을 입력 받아, 가변길이부호화하기 이전에 이들에 대한 예외형태를 판단하여 입력된 런, 레벨, 및 라스트에 해당하는 코드값의 유무를 코드발생기에 알려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코드값의 유무를 코드발생기(400)에알려주면, 코드발생기(400))에 입력된 후 VLC 코드표(300)에서 단 한번 코드표를 읽음으로써 RLC부(100)에서 얻은 런, 레벨, 라스트에 대한 코드를 팩커(500)로 출력할 수 있게 되므로 예외형태 판단 과정을 여러번 반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DCT 계수 가변길이부호화장치 및 방법은, 최종적인 예외형태를 찾아내기 위해 반복적으로 코드표를 읽으면서 연산을 수행하는 기존의 가변길이부호화장치 및 방법에 비해, 약 3 배 정도 가변길이부호화 수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코드 발생시 소요되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연산 시간을 예측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속의 동영상 부호화기 및 부호화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DCT 변환계수로부터 런(run), 레벨Ilevel), 및 라스트(last)를 계산하는 RLC부(run-length coding part);
    RLC부로부터 입력받은 런, 레벨, 라스트에 상응하는 예외형태를 판단하는 예외형태판단부;
    예외형태판단부로부터 출력된 새로운 런, 레벨, 라스트를 입력으로 하여 해당 코드를 발생시키는 코드발생기;
    코드발생기에서 코드 생성시 참조하는 VLC 코드표; 및
    코드발생기에서 얻은 코드를 일정 크기의 비트(bit)로 모아서 출력하는 팩커(packer)를 포함하는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2. 제 1 항에서, 상기 예외형태 판단부가
    RLC부로부터 수신한 런, 레벨, 라스트에 대해 RVLC(reversible VLC)의 예외형태를 판단하는 가역적 VLC 예외형태판단부;
    RLC부로부터 수신한 런, 레벨, 라스트에 대해 보통의 VLC(non-RVLC)의 예외형태를 판단하는 비기역적 VLC 예외형태판단부;
    가역적 VLC 예외형태판단부와 비가역적 VLC 예외형태판단부의 출력들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예외형태에 해당하는 새로운 런과 레벨을 계산하는 RL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3. 제 2 항에서, 상기 스위치가 RVLC_ENABLE 신호에 의해 가역적 VLC 예외형태 판단부와 비가역적 VLC 예외형태판단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역적 VLC 예외형태판단부가
    정상 형태 코드를 판단하는 정상형태 코드 판단부;
    예외형태 1 (escape type 1)을 판단하는 예외형태 1 판단부;
    예외형태 2 (escape type 2)을 판단하는 예외형태 2 판단부; 및
    상기 3 개의 판단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예외형태를 판단하는 예외형태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형태 선택부가
    정상형태 코드 판단부의 출력(A0)이 1이면 예외형태 1 판단부의 출력(A1) 및 예외형태 2 판단부(A2)의 출력 값과는 무관하게 정상형태로 판단하고;
    A0=0이고 A1=1이면 A2의 값과는 무관하게 예외형태 1로 판단하며;
    A0=0이고 A1=0이고 A2=1이면 예외형태 2로 판단하고;
    A0, A1, A2 모두가 0이면 예외형태 3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역적 및 비가역적 예외형태판단부가
    런과 레벨 값에 가감을 가하여 새로운 런과 레벨을 구하는 RL 변환부; 및
    상기 RL 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런, 레벨, 라스트에 해당하는 코드값이 코드표에 있는지 없는지를 나타내는 단순 코드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 코드표가 VLC 코드표의 코드 존재여부를 1bit 플래그(flag)만으로 나타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8. RLC부(run-length coding part); 예외형태판단부; 코드발생기; VLC 코드표; 및 팩커(packer)를 포함하는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에서 가변길이부호화함에 있어서, RLC부로부터 DCT 변환계수에 해당하는 런, 레벨, 및 라스트 값을 입력 받아, 가변길이부호화하기 이전에 이들에 대한 예외형태를 판단하여 입력된 런, 레벨, 및 라스트에 해당하는 코드값의 유무를 코드발생기에 알려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 계수의 가변길이부호화방법.
KR1020000082894A 2000-12-27 2000-12-27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20020053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894A KR20020053338A (ko) 2000-12-27 2000-12-27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894A KR20020053338A (ko) 2000-12-27 2000-12-27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338A true KR20020053338A (ko) 2002-07-05

Family

ID=2768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894A KR20020053338A (ko) 2000-12-27 2000-12-27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33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494B1 (ko) * 2002-10-07 200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부호화기 및 이를 이용한 부호화 방법
KR100627493B1 (ko) * 2002-10-07 200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부호화기 및 이를 이용한 부호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494B1 (ko) * 2002-10-07 200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부호화기 및 이를 이용한 부호화 방법
KR100627493B1 (ko) * 2002-10-07 200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부호화기 및 이를 이용한 부호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6820B2 (en) Method for producing video coding and programme-product
KR970009408B1 (ko) 인터/인트라 테이블 선택 회로
KR100312603B1 (ko) 영상 압축 시스템의 연산의 단계적 성능저하를 위한 방법
KR100197385B1 (ko) 버퍼 엠프티/필 룩어헤드 비트 할당기를 구비한 모션 비디오 압축 시스템
EP1528813B1 (en) Improved video coding using adaptive coding of block parameters for coded/uncoded blocks
KR970003789B1 (ko) 비디오 부호기의 전송율을 제어하기 위한 비트 할당 방법
KR20040047977A (ko) 공간적으로 스케일가능한 압축
WO2006082690A1 (ja)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装置
JP3244399B2 (ja) 圧縮動画像符号信号の情報量変換回路、及び方法
US680429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requantization-originated generational error in predictive video streams using motion compensation
KR20010083718A (ko) 영상 압축 부호화를 위한 변환 및 역변환 방법 및 장치
US20030138052A1 (en) Video 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corresponding signal
KR20020053338A (ko)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100413868B1 (ko) 저장된비트스트림을사용하여온-스크린디스플레이메시지를발생시키는장치및방법
JPH10174106A (ja) 映像データ圧縮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285592B1 (ko)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396173B1 (ko) 가변길이 복호화 장치
KR100195717B1 (ko) 가변 길이 복호기
JPH03124182A (ja) セル廃棄補償画像復号化方式
WO2003013147A1 (en) Video coding method
KR100310774B1 (ko) 영상부호화장치
KR100207384B1 (ko) 영상 신호 복호화 시스템의 인트라 디씨 계수 디코딩 장치
KR0128863B1 (ko) 영상 복호기에서의 데이터 병렬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195720B1 (ko) 가변 길이 복호기용 상태 제어기
KR100195716B1 (ko) 가변 길이 복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20040720

Effective date: 200504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200004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20040720

Effective date: 200504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421

Effective date: 200511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17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421

Effective date: 2005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