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592B1 -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592B1
KR100285592B1 KR1019980025532A KR19980025532A KR100285592B1 KR 100285592 B1 KR100285592 B1 KR 100285592B1 KR 1019980025532 A KR1019980025532 A KR 1019980025532A KR 19980025532 A KR19980025532 A KR 19980025532A KR 100285592 B1 KR100285592 B1 KR 100285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bpy
dct
bits
en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131A (ko
Inventor
한석원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2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59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와 형상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의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호화기는 타겟 매크로 블록(target macroblock)에 대한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 CBPY 비트수를 계산한다. 상기 과정 동안에, 부호화기는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매크로 블록의 DCT_타입(type)을 결정하고, DCT_타입을 나타내는 DCT_타입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에서, DCT_타입은 상기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하는데 있어서, 순행 및 격행 부호화 기법 중에서 보다 효과적인 부호화 기법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결정된 DCT_타입에 반응하여,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가 변환되면, 변환된 텍스쳐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CBPY 정보가 생성된다. 이어서, 상기 예측 CBPY 비트수를 이용하여 CBPY 정보를 부호화하고, 변환된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텍스쳐 정보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영상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텍스쳐 정보와 대응하는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쳐 정보와 부호화 조건을 나타냄으로써 영상 신호의 텍스쳐 정보를 효과적으로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 전화 및 영상 회의와 같은 디지털 영상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신호는 화소값이라 불리는 일련의 디지털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각각의 영상 신호를 정의하는 데는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통상적인 전송 채널에서의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전송 채널을 통해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압축 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양을 줄일 필요가 있다. 특히, 영상 전화와 영상 회의 시스템 같은 저전송 영상 신호 부호화기의 경우에는 데이터 압축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
저전송 부호화 시스템에서 영상 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부호화 방법 중의 하나는 소위 객체 지향 해석 및 합성 부호화 기법(object-oriented analysis-synthesis coding technique)으로서, 상기 기법에 따르면, 입력 영상 이미지는 객체들로 나누어지고, 각 객체의 움직임, 윤곽선, 화소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한 세 세트의 패러미터들은 상이한 부호화 채널을 통해 처리된다.
이러한 객체 지향 부호화 방안의 일례로는 이른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단계 4(MPEG-4)가 있으며, 상기 기법은 내용 기반 상호 대화(content-based interactivity)를 허용하는 청각 및 시각적 부호화 표준을 제공하고, 저 비트 전송률 통신, 상호 대화식 멀티미디어(예를 들면, 게임, 상호 대화형 TV 등) 및 영역 감시용 기구와 같은 응용 분야에서 부호화 효율성 및/혹은 전반적인 억세스 기능을 향상시킨다(예를 들어, MPEG-4 Video Verification Model Version 7.0, International Organisation for Standardisation, ISO/IEC/JTC1/SC29/WG11 N1260, Bristol, April 1997 참조).
MPEG-4에 따르면, 입력 영상 이미지는 비트 스트림 내에서 사용자가 억세스할 수 있거나 혹은 조작할 수 있는 단위를 나타내는 다수 개의 영상 객체 평면(VOP : Video Object Plane)으로 분할된다. 상기 영상 객체 평면은 객체로서 표현되며 그 폭과 높이가 각 객체를 둘러싸는 16화소(매크로 블록 크기)의 최소 배수가 되는 일정 범위의 사각형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호화기는 입력 영상 이미지를 VOP 단위로 처리하게 된다.
MPEG-4에 개시된 VOP는 VOP상의 다수 개의 매크로 블록에 의해 표현되는 VOP 내의 객체에 대한 형상 정보와 텍스쳐(texture) 정보를 포함하며, 각 매크로 블록은 예를 들어, 16×16 화소를 구비한다. 상기 VOP 상의 각 매크로 블록은 배경 블록(background block)과, 경계 블록(boundary block)과 객체 블록(object block) 중의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배경 블록은 VOP 내의 객체의 외부에 존재하는 배경 화소만을 포함하고 있고, 경계 블록은 하나 이상의 배경 화소와 객체의 내부에 존재는 하나 이상의 객체 화소를 구비하고 있으며, 객체 블록은 객체 화소만을 포함하고 있다. 매크로 블록에 대응하는 형상 정보는 콘텍스트 기반 산술 부호화(context-based arithmetic encoding :CAE) 기법과 같은 종래의 비트-맵(bit-map) 기반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매크로 블록 단위로 부호화되고, 텍스쳐 정보는 이산 여현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 DCT)과, 양자화(quantization)와, 가변 길이 부호화(variable length coding) 기법과 같은 기존의 부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매크로 블록 단위로 부호화된다. 특히, 텍스쳐 정보를 변환하기 위한 DCT 과정은 매크로 블록이 동일하게 8×8 화소를 포함하는 네 개의 DCT-블록으로 나누어지는 경우, DCT-블록 단위로 실행된다.
상기 DCT와 양자화 과정의 결과로부터, 각각의 DCT-블록에 대해 하나의 DC 성분과 다수 개의 AC 성분이 생성된다. 그러나, DCT-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의 모든 값들이 일정하다면, 그 DCT-블록에 대응하는 0이 아닌 AC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DCT-블록이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AC 성분을 가지는 지를 나타내기 위해 CBPY(coded block pattern type) 정보가 제안되었다. 특히, DCT-블록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AC 성분이 존재하면, CBPY 정보는 예를 들어, ″1″의 비트를 갖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예를 들어, ″0″의 비트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복호화측은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된 CBPY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대응하는 DCT-블록에 대한 더 이상의 정보가 없이 그리고 대응 DCT-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가 전송되기 전에 대응 DCT-블록에 대응하는 0이 아닌 AC 성분의 존재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종래에는, VOP에 대한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해, 각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를 순행 및 격행 부호화 기법을 적응적으로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켰다. 그러므로, 텍스쳐 정보의 부호화 상태 즉, DCT_타입을 나타내는 DCT_타입 정보가 도입되었고, DCT_타입은 텍스쳐 정보를 이용하여 매크로 블록 단위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영상 신호 부호화기는 순행 또는 격행 부호화 기법에 따라 순행형 또는 격행형 매크로 블록으로 재배열된 매크로 블록 내의 화소 로우간의 공간적 상관성을 비교함으로써, 매크로 블록에 대한 적절한 DCT_타입을 결정한다. 만약, 순행 부호화 기법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결정되면, 매크로 블록에 대한 DCT_타입 정보는 예를 들어 ″0″의 비트를 가질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예를 들어 ″1″의 비트를 가진다.
매크로 블록에 대한 DCT_타입이 텍스쳐 정보에 기초해서 결정되면, 매크로 블록에 대한 CBPY 정보는 결정된 DCT_타입대로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를 DCT 및 양자화 처리함으로써 생성된 양자화된 DCT 결과로부터 구해진다.
예를 들어, 매크로 블록이 배경 블록이면, 그 텍스쳐 정보는 부호화되지 않으므로 그 DCT_타입 정보와 CBPY 정보는 생성되지 않는다.
매크로 블록이 객체 블록이면, 그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해 매크로 블록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해서 순행 또는 격행 부호화 기법이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된 부호화 기법을 나타내는 객체 매크로 블록의 DCT_타입 정보가 생성된다. 또한, 객체 매크로 블록은 4개의 비투명(non-transparent) DCT-블록을 가지므로, 객체 매크로 블록의 CBPY 정보는 4-비트 데이터를 가질 것이며, 각각의 비트는 매크로 블록 내의 4개의 DCT-블록에 대응하고, 상기 각각의 비투명 DCT-블록은 DCT-블록 크기이고, 부호화될 객체 화소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있다.
한편, 매크로 블록이 경계 매크로 블록이면, 매크로 블록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해서, 순행 또는 격행 부호화 기법이 선택된다. 더욱이, 경계 매크로 블록은 투명(transparent) DCT-블록과 비투명 DCT-블록을 함께 포함할 수 있으며, 투명 DCT-블록은 그 내부에 단지 배경 화소만을 구비하고 있으며, 부호화될 필요가 없다. 상기 경계 블록에 대응하는 CBPY 정보는 i-비트 데이터를 가지게 되며, i는 1에서 4에 이르는 양수이고, 각각의 비트는 매크로 블록 내의 각각의 비투명 DCT-블록에 대응한다.
도 4a 내지 4c에는 두개의 다른 형태 즉, 순행형 및 격행형 매크로 블록으로 분류되는 경계 매크로 블록의 다양한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순행형 매크로 블록을 나타내는 매크로 블록 P1 내지 P3은 상부 및 하부 필드 DCT-블록 IT1과 IB1 내지 IT3과 IB3을 포함하는 격행형 매크로 블록 I1 내지 I3으로 재배열된다. 그러므로, 순행 부호화 기법에 의하면, 매크로 블록은 순행형 매크로 블록에 기초해서 부호화되는 반면, 격행 부호화 기법에 의하면, 매크로 블록은 상부 및 하부 필드 DCT-블록을 포함하는 격행형 매크로 블록을 이용하여 부호화된다.
도 4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순행형 매크로 블록 P1과 그 격행형 매크로 블록 I1은 비투명 DCT-블록만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대응 CBPY 정보는 매크로 블록의 DCT_타입에 상관없이 4-비트 데이터를 가진다.
그러나, 도 4b와 4c에서, 순행형 매크로 블록과 격행형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는 그들의 DCT_타입에 따라 서로 다르다. 따라서, 해당 CBPY 정보의 비트수도 DCT_타입에 따라 변화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b에서 순행형 매크로 블록 P2가 부호화되도록 선택되면, 2-비트 CBPY 정보가 생성되고, 그렇지 않으면, 4-비트 CBPY 정보가 생성된다. 도 4c에서, 순행형 매크로 블록 P3이 부호화되도록 선택되면, 2-비트 CBPY 정보가 생성되고, 그렇지 않으면, 1-비트 CBPY 정보가 생성된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처리될 매크로 블록이 경계 매크로 블록이면, CBPY 정보의 비트수 즉,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는 DCT_타입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CBPY 정보와 DCT_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의 부호화 방법에서, 복호화측으로 전송될 데이터 스트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퀀스를 가진다. 즉, 부호화된 형상 정보가 우선 복호화측에 전송되고 다른 부호화 정보는 CBPY 정보, DCT_타입 정보, 텍스쳐 정보의 순서로 부호화된 형상 정보를 따른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시퀀스로 부호화된 데이터가 복호화측으로 전송되고, 대응 매크로 블록이 경계 블록인 경우에는, 부호화된 CBPY 정보 이후에 복호화측으로 전송되는 DCT_타입 정보에 따라 CBPY 정보가 결정되므로, 복호화측은 CBPY 정보의 비트수, 즉, 처리된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를 제대로 예측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CBPY 정보를 정확하게 재생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영상 신호 부호화기에 사용하도록, 비트수가 영상 신호의 형상 정보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CBPY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 M×N 화소를 포함하며 P개의 동일한 크기의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는 다수 개의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와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영상 신호를 순행 또는 격행 부호화 기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된 형상 정보, 부호화된 CBPY(coded block pattern type) 정보, DCT_타입 정보 및 부호화된 텍스쳐 정보의 순서로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기에 이용되는, 상기 영상 신호의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형상 정보에 기초해서 예측 CBPY 비트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예측 CBPY 비트수는,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형상 정보를 순행 및 격행 부호화 기법에 따라 재배열함으로써 생성된 순행형 및 격행형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 중에서 큰 수로서 결정되며, 상기 비투명 DCT-블록은 DCT-블록 크기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객체 화소를 포함하는 CBPY 비트수 예측 과정; (b)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의 DCT_타입을 결정하고 결정된 DCT_타입을 나타내는 상기 DCT_타입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DCT_타입은 상기 순행 및 격행 부호화 기법 중에서 상기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부호화 기법을 나타내는 DCT_타입 결정 과정; (c) 상기 DCT_타입에 따라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를 변환함으로써 변환된 텍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변환 과정; (d) 상기 변환된 텍스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CBPY 정보를 생성하는 CBPY 생성 과정; (e) 상기 예측 CBPY 비트수와 상기 CBPY 정보의 비트수를 비교한 후, 그 차분만큼에 해당하는 더미(dummy) 비트를 사용하여 상기 CBPY 정보를 재구성함으로써 재구성된 CBPY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재구성된 CBPY 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부호화된 CBPY 정보를 출력하는 CBPY 부호화 과정과; (f) 상기 변환된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부호화된 텍스쳐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을 제공함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 M×N 화소를 포함하며 P개의 동일한 크기의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는 다수 개의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와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영상 신호를 순행 또는 격행 부호화 기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된 형상 정보, 부호화된 CBPY(coded block pattern type) 정보, DCT_타입 정보 및 부호화된 텍스쳐 정보의 순서로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형상 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된 형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부호화된 형상 정보를 복호화함으로써 재생 형상 정보를 생성하는 형상 부호화 수단;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재생 형상 정보에 기초해서 예측 CBPY 비트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예측 CBPY 비트수는, 상기 재생 형상 정보를 순행 및 격행 부호화 기법에 따라 재배열함으로써 생성된 순행형 및 격행형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 중에서 큰 수로서 결정되며, 상기 비투명 DCT-블록은 DCT-블록 크기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객체 화소를 포함하는 것인 CBPY 비트수 예측 수단;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의 DCT_타입을 결정하고 결정된 DCT_타입을 나타내는 상기 DCT_타입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DCT_타입은 상기 순행 및 격행 부호화 기법 중에서 상기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부호화 기법을 나타내는 DCT_타입 결정 수단; 상기 DCT_타입에 따라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를 변환함으로써 변환된 텍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변환 수단; 상기 변환된 텍스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CBPY 정보를 생성하는 CBPY 정보 생성 수단; 상기 예측 CBPY 비트수와 상기 CBPY 정보의 비트수를 비교한 후, 그 차분만큼에 해당하는 더미(dummy) 비트를 사용하여 상기 CBPY 정보를 재구성함으로써 재구성된 CBPY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재구성된 CBPY 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부호화된 CBPY 정보를 출력하는 CBPY 정보 부호화 수단; 상기 변환된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부호화된 텍스쳐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를 제공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신호 부호화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정 DCT부 130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CBPY 부호화부 180의 상세 블록도,
도 4a 내지 4c는 각각 두 개의 다른 형태로 분류된 경계 블록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복호화측으로 전송될 데이터 스트림의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6c는 각각 CBPY 정보에 대한 VLC 테이블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영상 신호 부호화기 100 : 형상 부호화기
110 : CBPY 비트수 예측부 120 : DCT_타입 결정부
130 : 수정 DCT부 132 : 형상 재정렬부
134 : 텍스쳐 재정렬부 136 : 선택부
138 : DCT부 140 : 양자화부
150 : 확률 부호화부 160 : AC 성분 검출부
170 : CBPY 생성부 180 : CBPY 부호화부
182 : CBPY 확장부 184 : VLC 부호 결정부
190 : VLC 테이블부 200 : 멀티플렉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영상 신호는 내부에 다수 개의 매크로 블록에 대한 형상 정보와 텍스쳐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텍스쳐 정보는 매크로 블록 단위로 순행 또는 격행 부호화 기법을 통해 적응적으로 부호화된다. 각각의 매크로 블록은 M×N 예를 들면, 16×16 화소를 포함하며, 동일한 개수의 화소 예를 들면, 8×8 화소를 갖는 4 DCT-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고, M과 N은 양수이다. 각 매크로 블록에 대한 부호화 기법 즉, 순행 또는 격행 부호화 기법은 기존의 부호화 방법에서와 같이 텍스쳐 정보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 부호화기 1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처리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는 DCT_타입 결정부 120과 수정 DCT부 130으로 각각 입력되고, 대응하는 형상 정보는 형상 부호화기 100으로 인가된다.
형상 부호화기 100은 잘 알려진 형상 부호화 방법 예를 들어, MPEG-4에 개시된 CAE 기법을 사용하여 형상 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된 형상 정보를 생성하여 라인 L20을 통해 멀티플렉서 200에 제공한다. 형상 부호화기 100은 또한 부호화된 형상 정보를 복호화함으로써 생성된, 처리 매크로 블록에 대한 재생 형상 정보를 라인 L10을 통해 CBPY 비트수 예측부 110과 수정 DCT부 130으로 각각 공급한다.
CBPY 비트수 예측부 110은 우선 도 4a 내지 4c에서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매크로 블록에 대한 재생 형상 정보를 순행 및 격행 부호화 기법에 따라 순행형 및 격행형 매크로 블록으로 재배열하며, 순행형 매크로 블록은 순행 부호화 특성상 처리 매크로 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이룬다. 이어서, CBPY 비트수 예측부 110은 순행형 및 격행형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를 계산한다. 상기 각각의 비투명 DCT-블록은 DCT-블록 크기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객체 화소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순행형 및 격행형 매크로 블록 P1과 I1에 속하는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는 각각 4로서 동일하다. 도 4b에서는, 순행형 매크로 블록 P2에 속하는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가 2인 반면, 격행형 매크로 블록 I2에 속하는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는 4이다. 도 4c에서는, 순행형 매크로 블록 P3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는 2이고, 격행형 매크로 블록 I3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는 1이다.
순행형 및 격행형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가 계산되면, CBPY 비트수 예측부 110은 순행형 및 격행형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DCT-블록의 계수를 상호 비교한다.
상기 비교 과정의 결과로서, 순행형 및 격행형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가 도 4b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하다면, CBPY 비트수 예측부 110은 보다 큰 수를 예측 CBPY 비트수로 결정하고, 결정된 예측 CBPY 비트수를 라인 L50을 통해 CBPY 부호화부 180으로 전달한다. 그러므로, 도 4b에서는 격행형 매크로 블록 I2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 즉, 4가 예측 CBPY 비트수로 결정되고, 유사하게 도 4c에서는 순행형 매크로 블록 P3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 즉, 2가 예측 CBPY 비트수로 정해진다.
한편, 순행형 및 격행형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가 도 4a에서 보듯이 0이 아니고 서로 동일하다면, CBPY 비트수 예측부 110은 동일한 수 즉, 4를 예측 CBPY 비트수로서 라인 L50을 통해 CBPY 부호화부 180으로 공급한다.
상기에서, 순행형 및 격행형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가 0이면, 그것은 배경 화소만을 포함하는 배경 매크로 블록임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CBPY 비트수 예측부 110은 CBPY 부호화부 180에 어떠한 데이터도 전송하지 않는다.
상기 과정 동안에, DCT_타입 결정부 120은 텍스쳐 정보만을 이용하는 잘 알려진 DCT_타입 결정 방법을 이용하여 처리 매크로 블록의 DCT_타입을 결정한다. 상기 DCT_타입은 순행 및 격행 부호화 기법 중에서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부호화 기법을 나타낸다. 이어서, DCT_타입 결정부 120은 처리 매크로 블록의 DCT_타입을 나타내는 DCT_타입 정보를 라인 L30을 통해 멀티플렉서 200과 수정 DCT부 130으로 제공한다.
상기 처리 매크로 블록의 DCT_타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처리 매크로 블록이 배경 매크로 블록으로 드러나면, DCT_타입 결정부 120은 DCT 디스에이블 신호(disable signal)를 수정 DCT부 130에 제공한다.
수정 DCT부 130은 DCT_타입 정보가 인가되면, 처리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 및 재생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의 DCT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비투명 DCT-블록에 대한 DCT 계수 세트를 생성한다. 반면에, 상기 DCT 디스에이블 신호가 인가되면 수정 DCT부 130은 어떠한 동작도 실행하지 않고, 그에 따라 어떠한 출력도 발생되는 않는다.
한편, 기존의 부호화 방법에서는, 처리 매크로 블록이 배경 블록으로 결정되면, 대응하는 텍스쳐 정보가 영상 신호 부호화기 10으로 인가되지 않으므로, 영상 신호 부호화기 10은 배경 화소에 대한 어떠한 동작도 실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2에는 형상 재정렬부 132와, 텍스쳐 재정렬부 134와, 선택부 136과, DCT부 138을 포함하는 수정 DCT부 130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순행 부호화 타입을 나타내는 DCT_타입 정보가 라인 L30을 통해 형상 재정렬부 132로 인가되면, 형상 재정렬부 132는 형상 부호화기 100으로부터 전달된 재생 형상 정보를 선택부 136으로 직접 전달한다. 반면에, 격행 부호화 타입을 나타내는 DCT_타입 정보가 인가되면, 형상 재정렬부 132는 격행 부호화 기법에 따라 재생 형상 정보를 재배열함으로써 생성된 재 정렬된 형상 정보를 선택부 136으로 제공한다.
유사하게, 순행 부호화 타입을 나타내는 DCT_타입 정보가 라인 L30을 통해 인가되면, 텍스쳐 재정렬부 134는 인가된 텍스쳐 정보를 바로 선택부 136으로 전달한다. 반면에, 격행 부호화 타입을 나타내는 DCT_타입 정보가 인가되면, 텍스쳐 재정렬부 134는 격행 부호화 기법에 따라 텍스쳐 정보를 재배열함으로써 생성된 재 정렬된 텍스쳐 정보를 선택부 136으로 공급한다.
상기에서, DCT 디스에이블 신호가 라인 L30을 통해 형상 재정렬부 132 및 텍스쳐 재정렬부 134로 인가되면 형상 재정렬부 132 및 텍스쳐 재정렬부 134는 동작하지 않는다.
선택부 136은 형상 재정렬부 132로부터 제공된 재생 또는 재 정렬된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 매크로 블록에 대응하는 순행 또는 격행 타입 매크로 블록 내의 DCT-블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투명 DCT-블록을 검출한다. 이어서, 선택부 136은 각각의 비투명 DCT-블록에 대응하는 텍스쳐 정보 또는 재 정렬된 텍스쳐 정보를 DCT부 138로 공급한다.
DCT부 138은 각각의 비투명 블록에 대응하는 텍스쳐 정보 또는 재 정렬된 텍스쳐 정보를 DCT 계수 세트로 변환하여 도 1의 양자화부 140으로 전달한다.
양자화부 140은 수정 DCT부 130으로부터 공급된 DCT 계수 세트를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DCT 계수 세트를 확률 부호화부 150과 AC 성분 검출부 160으로 제공한다.
확률 부호화부 150은 예를 들어, 가변 길이 부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양자화부 140으로부터 인가된 양자화된 DCT 계수 세트를 압축함으로써 부호화된 텍스쳐 정보를 생성하고, 부호화된 텍스쳐 정보를 멀티플렉서 200으로 제공한다.
한편, AC 성분 검출부 160은 양자화부 140으로부터 전달된 양자화된 DCT 계수 세트 내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AC 성분이 존재하는 지를 점검하고, 그 결과를 CBPY 생성부 170으로 전달한다.
상기 점검 결과가 양자화된 DCT 계수 세트가 0이 아닌 AC 성분을 적어도 하나는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CBPY 생성부 170은 해당 계수 세트에 대해, 예를 들어, ″1″ 의 CBPY 비트를 생성하고, 그렇지 않으면, 예를 들어 ″0″의 CBPY 비트를 생성한다. 처리 매크로 블록에 대응하는 모든 DCT 계수 세트 즉, 비투명 DCT-블록에 대한 CBPY 비트가 상기 과정을 통해 결정되면, CBPY 생성부 170은 상기 CBPY 비트를 CBPY 정보로서, 라인 L40을 통해 CBPY 부호화부 180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는, 순행형 매크로 블록 P1과 대응하는 격행형 매크로 블록 I1이 모두 비투명 DCT-블록만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대응하는 CBPY 정보는 처리 매크로 블록의 DCT_타입에 상관없이 4-비트 데이터를 가진다.
반면에, 도 4b에서는, 순행형 매크로 블록 P2가 부호화되도록 결정되면, 2-비트 CBPY 정보가 생성되고, 그렇지 않으면, 4-비트 CBPY 정보가 생성된다. 도 4c에서는, 순행형 매크로 블록 P3이 선택될 때, 2-비트 CBPY 정보가 생성되고, 그렇지 않으면, 1-비트 CBPY 정보가 발생된다.
CBPY 부호화부 180은 CBPY 비트수 예측부 110으로부터 라인 L50을 통해 인가된 예측 CBPY 비트수를 이용하여 VLC 테이블부 190에 저장된 VLC 테이블 가운데서 CBPY 생성부 170으로부터 라인 L40을 통해 전달된 CBPY 정보에 대응하는 가변 길이(VLC) 부호를 검출한다. 검출된 VLC 부호는 부호화된 CBPY 정보로서 멀티플렉서 200으로 공급된다. 상기 VLC 테이블부 190은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CBPY 정보의 비트수와 I 프레임과 P 프레임 같은 프레임 타입에 따라 기결정된 다양한 VLC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VLC 테이블은 다양한 CBPY 정보에 대응하는 VLC 부호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CBPY 부호화부 180의 상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CBPY 확장부 182는 CBPY 정보와 예측 CBPY 비트수가 라인 L40과 L50을 통해 각각 인가되면 CBPY 정보의 비트수를 계산하여 예측 CBPY 비트수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CBPY 정보의 비트수가 예측 CBPY 비트수와 동일하면, CBPY 확장부 182는 비트 확장 과정 없이 CBPY 정보를 VLC 부호 결정부 184로 바로 전달한다.
반면에, CBPY 정보의 비트수가 예측 CBPY 비트수보다 작으면, CBPY 확장부 182는 CBPY 정보에 하나 이상의 더미(dummy) 비트를 추가함으로써 그 비트수가 예측 CBPY 비트수와 동일해지는 확장된 CBPY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추가되는 더미 비트의 수는 CBPY 정보의 비트수와 예측 CBPY 비트수간의 차이로 정해진다.
이하에서, CBPY 확장부 182에서 실행되는 과정이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예측 CBPY 비트수는 CBPY 비트수 예측부 110에서 순행형 및 격행형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 중에서 큰 수로서 정해지므로, 도 4a 내지 4c에서의 예측 CBPY 비트수는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4, 4, 그리고 2로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a에서는 CBPY 정보의 비트수와 대응하는 예측 CBPY 비트수가 처리 매크로 블록의 DCT_타입에 상관없이 각각 4로서 상호 동일하기 때문에, CBPY 정보가 바로 VLC 부호 결정부 184로 전달된다.
한편, 도 4b에서는, 순행형 매크로 블록 P2가 부호화되도록 선택되면, 그 CBPY 정보는 2비트를 갖고 그 대응하는 예측 CBPY 비트수는 4가 된다. 그러므로, CBPY 확장부 182는 2비트의 CBPY 정보에 두개의 더미 비트를 추가함으로써 4비트의 확장된 CBPY 정보를 생성한다. 반면에, 격행형 매크로 블록 I2가 선택되면, 예측 CBPY 비트수 즉, 4와 동일한 비트수를 갖는 CBPY 정보가 생성될 것이다. 따라서, CBPY 정보가 바로 VLC 부호 결정부 184로 인가된다.
도 4c에서는, 순행형 매크로 블록 P3이 부호화되도록 선택되면, 예측 CBPY 비트수 즉, 2와 동일한 비트수를 갖는 CBPY 정보가 생성될 것이므로, CBPY 정보는 확장 없이 바로 VLC 부호 결정부 184로 전달된다. 반면에, 격행형 매크로 블록 I3이 선택되면, 1비트의 CBPY 정보가 생성되므로, CBPY 확장부 182는 하나의 더미 비트를 1비트의 CBPY 정보에 추가함으로써 2비트의 확장된 CBPY 정보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비트 확장 과정과 VLC 부호 결정부 184에서 실행될 VLC 부호 결정 과정이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비트를 갖는 CBPY 정보가 4비트를 갖는 확장된 CBPY 정보로 변환될 때, CBPY 정보인 2비트 예를 들어,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4비트 시퀀스 내의 좌측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두개의 더미 비트를 갖는 확장된 CBPY 정보 즉, ″11XX″가 VLC 부호 결정부 184로 입력된다. 상기에서 ″X″는 더미 비트를 나타내며, 비트값 0과 1 어느 쪽으로든 해석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VLC 부호 결정부 184는 확장된 CBPY 정보 11XX에 대응하는 VLC 부호 중에서 가장 짧은 VLC 부호를 처리 매크로 블록의 부호화된 CBPY 정보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처리 매크로 블록이 I 프레임에 대응한다면, VLC 부호 결정부 184는 우선 도 6c에 도시된, 4비트의 CBPY 정보에 대응하는 VLC 부호들을 포함하고 있는 VLC 테이블에 속하는 VLC 부호 중에서 확장된 CBPY 정보 11XX에 대응하는 VLC 부호들을 검출한다. 즉, 상기 확장된 CBPY 정보 11XX는 1100, 1101, 1110 및 1111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도 6c에 도시된 VLC 테이블에 의하면 VLC 부호 즉, 0100, 1000, 0110 및 11이 검출된다. 따라서, 상기 검출된 VLC 부호 중에서 가장 짧은 부호 즉, 11이 처리 매크로 블록의 부호화된 CBPY 정보로 결정된다.
반면에, 처리 매크로 블록이 P 프레임에 대응하면, VLC 부호 결정부 184는 우선 VLC 부호 즉, 확장된 CBPY 정보 1100, 1101, 1110 및 1111에 각각 대응하는 1001, 00100, 00101 및 0011을 검출하는데, 이 경우에는 검출된 VLC 부호 중에 부호 길이가 동일한 두개의 짧은 VLC 부호 즉, 1100과 1101이 존재한다. 이때에는 두개의 짧은 VLC 부호 중에서 어떠한 것이라도 처리 매크로 블록의 부호화된 CBPY 정보로 결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4c에서, 1비트의 CBPY 정보가 2비트의 확장된 CBPY 정보로 변환할 경우에는 CBPY 정보 예를 들어, 0은 이전의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2비트의 시퀀스 내의 좌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하나의 더미 비트를 갖는 확장된 CBPY 정보 즉, ″0X″가 VLC 부호 결정부 184로 인가된다.
처리 매크로 블록이 I 프레임에 대응하면, VLC 부호 결정부 184는 우선 도 6a에 도시된, 2비트의 CBPY 정보에 대응하는 VLC 부호들을 포함하고 있는 VLC 테이블에 속하는 VLC 부호 중에서 확장된 CBPY 정보 0X에 대응하는 VLC 부호들을 검출한다. 즉, 상기 확장된 CBPY 정보 0X는 00과 01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도 6a에 도시된 VLC 테이블에 의하여 VLC 부호 즉, 111 및 110이 검출된다. 상기 이전의 예에서와 같이, 검출된 두개의 VLC 부호는 동일한 부호 길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두 VLC 부호 중에서 어떠한 것이라도 처리 매크로 블록의 부호화된 CBPY 정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처리 매크로 블록이 P 프레임에 대응하면, VLC 부호 결정부 184는 확장된 CBPY 정보 00과 01에 각각 대응하는 VLC 부호 즉, 0과 10을 검출하고, 검출된 VLC 부호 중에서 가장 짧은 부호 즉, 0을 처리 매크로 블록의 부호화된 CBPY 정보로서 결정한다.
상기한 경우들에서는, CBPY 정보의 비트가 확장된 시퀀스의 좌측에 위치하나, 그들의 위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트 확장 과정은 확장을 필요로 하는 어떠한 CBPY 정보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생성된 부호화된 CBPY 정보는 멀티플렉서 200으로 공급된다.
멀티플렉서 200은 인가된 DCT_타입 정보, 부호화된 텍스쳐 정보, 부호화된 CBPY 정보 및 부호화된 형상 정보를 조합하여, 도 5에 개시된 시퀀스대로 처리 매크로 블록에 대한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여 그 전송을 위해 전송로로 공급한다.
부호화된 정보가 도 5에 도시된 시퀀스대로 복호화측에 전송된다면, 영상 신호 복호화기는 우선 부호화된 형상 정보를 복호화하여 재생 형상 정보를 생성한다. 재생 형상 정보가 생성되면, 복호화기는 재생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 매크로 블록에 대응하는 순행형 및 격행형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를 검출하고 그것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CBPY 정보의 비트수 즉, 처리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교의 결과로서, CBPY 정보의 비트수가 4로 결정되면, 복호화기는 이어서 부호화된 CBPY 정보 즉, 영상 신호 부호화기 10에서 도 6c의 VLC 부호 중에서 결정된 VLC 부호에 대응하는 CBPY 정보를 검출한다. CBPY 정보 예를 들어, 1100이 구해지면, 그 정보는 DCT_타입 정보가 전송될 때까지 유지된다.
전송된 DCT_타입 정보가 순행 부호화 타입을 나타내고 처리 매크로 블록에 대응하는 순행형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블록 DCT-블록의 개수가 예를 들어, 2 이면, 상기 CBPY 정보 1100의 우측에 위치한 두개의 비트 즉, 00이 무효한 비트로서 제거되고, CBPY 정보는 11로 재구성된다.
따라서, 비록 도 5에 도시된 시퀀스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와 같이 DCT_타입 정보가 CBPY 정보 뒤에 전송된다 하더라도 복호화기는 에러 없이 CBPY 정보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재생 형상 정보 대신에 부호화될 형상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한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당업자는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신호의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CBPY 정보의 비트수를 미리 예측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데이터 전송 시퀀스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에서와 같이 DCT_타입 정보가 CBPY 정보 뒤에 전송된다 하더라도 복호화기는 에러 없이 CBPY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각각 M×N 화소를 포함하며 P개의 동일한 크기의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는 다수 개의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와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영상 신호를 순행 또는 격행 부호화 기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된 형상 정보, 부호화된 CBPY(coded block pattern type) 정보, DCT_타입 정보 및 부호화된 텍스쳐 정보의 순서로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기에 이용되는, 상기 영상 신호의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형상 정보에 기초해서 예측 CBPY 비트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예측 CBPY 비트수는,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형상 정보를 순행 및 격행 부호화 기법에 따라 재배열함으로써 생성된 순행형 및 격행형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 중에서 큰 수로서 결정되며, 상기 비투명 DCT-블록은 DCT-블록 크기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객체 화소를 포함하는 CBPY 비트수 예측 과정;
    (b)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의 DCT_타입을 결정하고 결정된 DCT_타입을 나타내는 상기 DCT_타입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DCT_타입은 상기 순행 및 격행 부호화 기법 중에서 상기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부호화 기법을 나타내는 DCT_타입 결정 과정;
    (c) 상기 DCT_타입에 따라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를 변환함으로써 변환된 텍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변환 과정;
    (d) 상기 변환된 텍스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CBPY 정보를 생성하는 CBPY 생성 과정;
    (e) 상기 예측 CBPY 비트수와 상기 CBPY 정보의 비트수를 비교한 후, 그 차분만큼에 해당하는 더미(dummy) 비트를 사용하여 상기 CBPY 정보를 재구성함으로써 재구성된 CBPY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재구성된 CBPY 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부호화된 CBPY 정보를 출력하는 CBPY 부호화 과정;
    (f) 상기 변환된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부호화된 텍스쳐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은:
    (e1) 상기 CBPY 정보의 비트수와 상기 예측 CBPY 비트수를 비교하는 과정;
    (e2) 상기 CBPY 정보의 비트수와 상기 예측 CBPY 비트수가 동일하면 CBPY 정보를 상기 재구성된 CBPY 정보로서 출력하는 과정;
    (e3) 상기 CBPY 정보의 비트수와 상기 예측 CBPY 비트수가 상이하면 상기 CBPY 정보에 하나 이상의 더미 비트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예측 CBPY 비트수와 동일한 비트수를 갖는 확장된 CBPY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재구성된 CBPY 정보로서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더미 비트는 두개의 이진값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상기 CBPY 정보의 비트수와 상기 예측 CBPY 비트수의 차분에 의해 정해지는 과정;
    (e4) 상기 재구성된 CBPY 정보를 부호화하여 상기 부호화된 CBPY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CBPY 정보는 가변 길이 부호화 기법에 의해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
  4. 제 3 항 있어서, 상기 확장된 CBPY 정보가 상기 재구성된 CBPY 정보로 선택되어, 상기 (e4) 과정에서 부호화되면, 상기 (e4) 과정은 상기 확장된 CBPY 정보에 대응하는 가변 길이 부호 중에서 가장 짧은 부호 길이를 갖는 가변 길이 부호를 검출하여,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상기 부호화된 CBPY 정보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
  5. 제 1 항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은:
    상기 (a) 과정 앞에,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입력 형상 데이터를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된 형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부호화된 형상 정보를 복호화함으로써 상기 형상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
  6. 각각 M×N 화소를 포함하며 P개의 동일한 크기의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는 다수 개의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와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영상 신호를 순행 또는 격행 부호화 기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된 형상 정보, 부호화된 CBPY(coded block pattern type) 정보, DCT_타입 정보 및 부호화된 텍스쳐 정보의 순서로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형상 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된 형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부호화된 형상 정보를 복호화함으로써 재생 형상 정보를 생성하는 형상 부호화 수단;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재생 형상 정보에 기초해서 예측 CBPY 비트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예측 CBPY 비트수는, 상기 재생 형상 정보를 순행 및 격행 부호화 기법에 따라 재배열함으로써 생성된 순행형 및 격행형 매크로 블록 내의 비투명 DCT-블록의 개수 중에서 큰 수로서 결정되며, 상기 비투명 DCT-블록은 DCT-블록 크기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객체 화소를 포함하는 것인 CBPY 비트수 예측 수단;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의 DCT_타입을 결정하고 결정된 DCT_타입을 나타내는 상기 DCT_타입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DCT_타입은 상기 순행 및 격행 부호화 기법 중에서 상기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부호화 기법을 나타내는 DCT_타입 결정 수단;
    상기 DCT_타입에 따라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텍스쳐 정보를 변환함으로써 변환된 텍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변환 수단;
    상기 변환된 텍스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CBPY 정보를 생성하는 CBPY 정보 생성 수단;
    상기 예측 CBPY 비트수와 상기 CBPY 정보의 비트수를 비교한 후, 그 차분만큼에 해당하는 더미(dummy) 비트를 사용하여 상기 CBPY 정보를 재구성함으로써 재구성된 CBPY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재구성된 CBPY 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부호화된 CBPY 정보를 출력하는 CBPY 정보 부호화 수단;
    상기 변환된 텍스쳐 정보를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부호화된 텍스쳐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BPY 정보 부호화 수단은:
    상기 CBPY 정보의 비트수와 상기 예측 CBPY 비트수를 비교하는 수단;
    상기 CBPY 정보의 비트수와 상기 예측 CBPY 비트수가 동일하면 CBPY 정보를 상기 재구성된 CBPY 정보로서 출력하는 수단;
    상기 CBPY 정보의 비트수와 상기 예측 CBPY 비트수가 상이하면 상기 CBPY 정보에 하나 이상의 더미 비트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예측 CBPY 비트수와 동일한 비트수를 갖는 확장된 CBPY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재구성된 CBPY 정보로서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더미 비트는 두개의 이진값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상기 CBPY 정보의 비트수와 상기 예측 CBPY 비트수의 차분에 의해 정해지도록 하는 수단;
    상기 재구성된 CBPY 정보를 부호화하여 상기 부호화된 CBPY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CBPY 정보는 가변 길이 부호화 기법에 의해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9. 제 8 항 있어서, 상기 확장된 CBPY 정보가 상기 재구성된 CBPY 정보로 선택되어 부호화되면, 상기 확장된 CBPY 정보에 대응하는 가변 길이 부호 중에서 가장 짧은 부호 길이를 갖는 가변 길이 부호가 상기 타겟 매크로 블록에 대한 상기 부호화된 CBPY 정보로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KR1019980025532A 1998-06-30 1998-06-30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285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532A KR100285592B1 (ko) 1998-06-30 1998-06-30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532A KR100285592B1 (ko) 1998-06-30 1998-06-30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131A KR20000004131A (ko) 2000-01-25
KR100285592B1 true KR100285592B1 (ko) 2001-04-02

Family

ID=1954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532A KR100285592B1 (ko) 1998-06-30 1998-06-30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5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739B1 (ko) * 2000-06-09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EP1534018B1 (en) * 2003-11-21 2008-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ded block pattern for alpha channel image and alpha channel image encoding/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0703063B1 (ko) * 2005-11-24 2007-04-06 주식회사 문화방송 이미지 전송 장치 및 이미지 수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131A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7506B2 (ja) クロミナンス形状情報発生装置
KR100729270B1 (ko)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 인코더 및 디코더에서의변환계수를 인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이에 대응하는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KR100530681B1 (ko) 부호화된비디오화상의송신및수신방법
EP10769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video signal
KR19990071425A (ko)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장치 및 방법_
AU7579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video signal
US60318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video signal
KR100943445B1 (ko) 비디오 코딩 방법 및 해당 전송가능 비디오 신호
US20030138052A1 (en) Video 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corresponding signal
KR100285592B1 (ko) 영상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JP4388771B2 (ja) 動画像復号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方法
JP2006333500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復号方法
AU7503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video signal
KR100310774B1 (ko) 영상부호화장치
KR100195717B1 (ko) 가변 길이 복호기
KR100195715B1 (ko) 가변 길이 복호기
EP1415479A1 (en) Video coding method
KR0165506B1 (ko) 동화상 복호기에서 디.시 인트라 계수복호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195720B1 (ko) 가변 길이 복호기용 상태 제어기
MXPA000122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video signal
KR100195716B1 (ko) 가변 길이 복호기
KR20020053338A (ko) Dct 계수 가변길이 부호화 장치 및 방법
MXPA000087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video signal
KR100195722B1 (ko) 가변 길이 복호기
MXPA00008675A (es) Metodo y aparato para codificar una señal de vide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