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594A - 인터넷을 통하여 악보를 공유하며 음악 교육을 제공하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하여 악보를 공유하며 음악 교육을 제공하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594A
KR20020050594A KR1020000079783A KR20000079783A KR20020050594A KR 20020050594 A KR20020050594 A KR 20020050594A KR 1020000079783 A KR1020000079783 A KR 1020000079783A KR 20000079783 A KR20000079783 A KR 20000079783A KR 20020050594 A KR20020050594 A KR 20020050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usic
classroom
information
lecture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우
Original Assignee
정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우 filed Critical 정용우
Priority to KR1020000079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0594A/ko
Publication of KR2002005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594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악보를 공유하며 음악 교육을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은 시스템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웹 운영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웹서버와, 교육에 사용되는 다수의 회원 정보, 악보 정보, 강의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하면, 인터넷 악보 공유 편집 프로그램을 무료로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터넷 악보 공유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이 필요로 하는 음악 강의를 제공하는 강의실에 접속하거나, 자신이 강의할 강의실을 인터넷 상에 만들어 학습자와 악보를 공유하며 음악을 강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음악 교육을 받거나 제공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하고, 음악 교육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 악보 공유 편집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강사와 학습자간에 현장감있는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음악 강의의 상호작용을 쉽게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통하여 악보를 공유하며 음악 교육을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방법{COMPUTER SYSTEM FOR PROVIDING MUSIC EDUCATION SHARED SHEET MUSIC VIA INTERNET NETWORK COMMUNICATION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악보를 공유하여 음악 교육을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 교육을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들의 개발은 교육서비스를 교육 서비스를 교육 수요자에게 전달하는 수단(우편제도, 라디오/티브이 방송, 케이블티브이, 위성, 전화망네트워크, 인터넷 화상통신)의 기술적인 발전과 같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곧 원격 교육이 기존의 전통적인 교실 중심의 교육 방법에 비해서 기술적인 방법에 더욱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적인 밀착성은 원격 교육이 교육 서비스를 원격지로 단순히 전달하는 차원을 넘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 공학의 제 분야와 멀티미디어 및 정보 통신 기술의 접목이 필요함을 간접적으로 시사해 주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원격 교육 환경에서 교육 서비스의 전달은 아날로그 자료표현에 의한 문자와 그래픽 중심의 교육 내용을 우편제도를 이용해서 전달하던 통신(correspondence) 교육 단계로부터 라디오, 티브이 및 위성 방송 기술을 이용한 단일 방향의 강사 중심의 비대화형 교육 단계를 거쳐서 케이블 티브이 기술, 대화형 티브이 기술과 위성 통신 기술이 접목된 쌍방향 대화형 원격 강의 시스템으로 발전되고 있다.
따라서, 음악 교육에 있어 컴퓨터 통신망을 효과적인 교육 환경으로 활용해서 수요자 중심의 열린 교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문자 전송이나 음성, 화상 데이터 전송의 경우 시간적, 공간적인 측면에서 장점은 있으나, 음악 교육의 특성상 악보를 중심으로한 형태가 많아 기존의 방법으로는 수요자의 학습 집중력을 향상시키거나 이해도 측면에서 학습 효과가 크지 않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악보를 공유하며 음악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b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동작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악보 공유 편집 프로그램에 의한 사용자가 음악 교육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a는 도 5에 의해 접속된 회원이 강의실에 접속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b는 도 6a에 의해 접속된 강의실에서 강사와 학습자가 강의를 진행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20 : 학습자 클라이언트 20,30 : 강사 클라이언트
12,22,32,42 : 인터넷 악보 공유 편집 프로그램
100 : 악보 공유 음악 교육 서버 시스템 110 : 웹서버 112 : 쌍방향 악보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 140 : 웹 운영 프로그램 142 : 제어 프로그램 144 : 질의어 변환부 146 : 출력 정보 변환부 152 : 악보 정보 DB 154 : 강의 정보 DB 156 : 회원 정보 DB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연결 수단과; 강의에 필요한 다수의 악보 정보, 강의 정보, 회원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 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 연결 수단에 접속된 사용자가 강의에 필요로 하는 악보 정보와 강의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선택하고, 상기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악보 데이터를 공유하는 네트워크상의 가상 강의실을 제공하며, 강의실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상기 공유 악보를 편집, 수정할 경우 수정한 악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강의실 접속자들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사용자가 접속되면, 네트워크 접속, 강의실 만들기, 강의실 들어가기, 악보 선택, 다운로드, 편집 및 인터넷 상에서 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상기 네트워크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더욱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시스템 제반동작을 제어하는 웹서버와 교육에 사용되는 다수의 회원 정보, 악보 정보, 강의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구비하는 서버와 컴퓨터 네트워크에 상호 연결되는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 상기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악보 정보, 강의 정보 및 공유 악보 편집, 수정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회원 정보를 받아들이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회원 정보가 등록된 회원 정보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회원 정보가 등록된 회원 정보이면 상기 회원이 강의실 만들기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이 강의실 들어가기를 선택할 수 있는, 현재 개설된 강의실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강의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거나, 상기 회원이 강의실 만들기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악보 데이터를 공유하는 강의실을 만들었으면, 상기 회원을 강의실에 접속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원들이 상기 강의실내에서발생시키는 대화 메시지나 공유 악보 편집, 수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강의실 내의 다른 회원들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원이 강의실 만들기를 선택하면, 회원에게 악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악보 정보를 출력하여 강의실에서 공유할 악보를 선택하게 하고, 상기 선택된 악보를 상기 강의실에 접속한 클라이언트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보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악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질의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질의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악보 정보들 중에서 상기 질의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악보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를 웨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달된 악보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작용)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을 통하여 인터넷 악보 공유 음악 교육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고, 인터넷 악보 공유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강의에 사용될 악보를 공유한 상기 네트워크 상의 가상 강의실에 접속한다. 상기 강의실에 접속하면 회원(강사와 학습자)들 간의 악보 편집, 수정 정보와 대화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교환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하여 악보를 공유하여 음악 교육을 제공하는 인터넷 악보 공유 음악 교육 서버 시스템(100)고, 사용자 시스템인 다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들(10, 20, 30, 40)이 상호 연결된다.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음악 교육 서버 시스템(100)과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10, 20,30,40)은 전형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음악 교육 서버 시스템(100)과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10, 20,30,40)은 중앙 처리 장치, 메인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들을 구비한다.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음악 교육 서버 시스템(100)은 크게, 교육에 사용되는 다수의 회원 정보, 악보 정보, 강의 정보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50)와, 상기 회원 정보, 악보 정보, 강의 정보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50)에 저장하거나, 상기 클라이언트(10, 20, 30, 40)로부터 요청된 악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공유 악보 편집, 수정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들에게 전송하는 쌍방향 악보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112)을 구비하는 웹서버(110)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음악 교육 서버 시스템(100)은 인터넷상에서 악보를 공유하고 강의실을 운영하기 위한 웹사이트 운영 시스템으로, 신규한 인터넷 악보 공유 편집 프로그램(12, 22, 32, 42)을 무료로 상기 클라이언트들(10, 20, 30, 40)에게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악보는 이미지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음악 교육 서버 시스템(100)은 상기 악보를 편집, 수정할 수 있도록 편집 가능한 텍스트 타입 예컨대, 음표(note), 쉼표(rest), 음자리표(clef), 박자 기호(signature) 등의 노테이션(notation) 기호들을 이용하여 편집되는 파일 형태의 포맷으로 구비하여 악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사용자가 악보 데이터를 편집, 수정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클라이언트(10, 20, 30, 40)는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음악 교육 서버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편집 프로그램(12, 22, 32, 42)을 최초 접속시 또는 업데이트시 다운로드 받는다. 이를 위해서 상기 클라이언트(10, 20, 30, 40)의 사용자는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음악 교육 서버 시스템(100)에 회원으로 가입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음악 교육 서버 시스템(100)으로부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악보 데이터를 다운로드 한다. 이 때, 상기 악보 데이터는 인터넷 악보 공유 편집 프로그램(12, 22, 32, 42)으로 로드되어 음악 교육의 주 도구로 사용된다.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편집 프로그램(12, 22, 32, 42)은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 플러그-인(plug-in) 프로그램, 악보 편집 프로그램, 원격 통신 프로그램(문자통신, 음성 통신, 화상 통신 등) 등으로 구비되며 이를 통해 직접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음악 교육 서버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악보 데이터를 공유하여, 원격 쌍방향 음악 교육이 가능하다. 또한 다운로드된 악보 데이터(14, 24, 34, 44)를 저장, 연주,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음악 교육 서버 시스템(100)은 인터넷을 통하여 악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10, 20, 30, 40)은 상기 악보를 공유하여 강의시 편집, 수정되는 악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재생, 연주하여 상기 악보에 대응하는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인터넷 악보 공유 음악 교육 서버 시스템(100)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계층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 시스템(100)은 상기 서버 시스템(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 102)와 램(RAM)으로 구비되는 메인 메모리(104) 및 시스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바이오스 롬(BIOS ROM : 10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 시스템(100)은 모니터 등으로 구비되는 출력 장치(120)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122)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랜(LAN)카드, 모뎀(MODEM) 등으로 구비되는 네트워크 장치(124)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구비되는 저장 장치(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들 구성 요소들은 시스템 버스(BUS)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상기 저장 장치(130)는 신규한 웹서버(110)와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미도시되었지만, 운영체계 프로그램, 보안 프로그램 및 전자 관련 프로그램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시스템(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시스템에 상기 저장 장치(130)를 구비하고 있지만, 시스템 운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대의 시스템으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웹서버(110)는 상기 클라이언트(10, 20, 30, 40)가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서버 시스템(100)에 접속되면, 상기 클라이언트(10, 20, 30, 40)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악보 데이터나 강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를 제어하고, 강의시 쌍방향 원격 음악 교육을 위한 쌍방향 악보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웹 운영 프로그램(140)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 시스템(100)은 상기 웹서버(11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들(10, 20, 30, 40)과 상호 통신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132)을 구비한다.
상기 웹서버(110)는 상기 서버 시스템(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주체로서 파일 전송을 위한 FTP(File Transfer Protocol) 서버(114)와 전자 메일을 전송, 관리하는 메일 서버(115)와 인터넷상에서 트래픽(traffic) 분산을 위한 DNS(Domain Name System) 서버(116) , 그리고 사용자들의 의사 소통을 위한 화상채팅 서버(117)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공유 악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공유 악보 데이터의 편집, 수정 정보를 제어하는 웹 운영 프로그램(140)을 포함한다.
상기 웹 운영 프로그램(140)은 구체적으로, 상기 웹서버(11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142)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선택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50)가 인식할 수 있는 질의어로 변환하는 질의어 변환부(144)와, 강의 정보, 회원 정보 등을 상기 클라이언트(10, 20, 30, 40)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정보 변환부(146)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악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클라이언트들(10, 20, 30, 40)로부터 수신된 공유 악보 편집, 수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클라이언트(10, 20, 30, 40)가 접속한 강의실 내의 다른접속자들에게로 전송하는 쌍방향 악보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 (112)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편집 가능한 다수의 악보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악보 데이터베이스(152)와, 상기 악보 데이터를 공유하여 강의하는 강의 내용(예를 들어, 강사 이름, 학습자 이름, 악보 정보, 강의 시간, 강의 진행 정보 등)을 저장하는 강의 정보 데이터베이스(154)와, 상기 클라이언트들(10, 20, 30, 40)의 사용자가 상기 서버 시스템(100)의 회원으로 등록하면, 이들의 ID 정보, 비밀 번호 및 회원 속성 정보(주소, 전화 번호, 이름 및 결재 방법 등)를 저장하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15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들(152 ∼ 156)의 데이터들을 등록, 수정, 갱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16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버 시스템(100)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클라이언트들(10, 20, 30, 40)의 상세한 동작 수순을 살펴본다.
도 3a와 도3b는 본 발명의 서버 시스템의 동작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상기 서버 시스템에 연계된 클라이언트의 동작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와 도 3b의 수순은 상기 웹 운영 프로그램(110)에 의해서 실행된다. 그리고 도 4의 수순은 상기 클라이언트(10, 20, 30, 40)의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편집 프로그램(12, 22, 32, 42)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클라이언트의 제어부(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미도시됨)에 의해서 실행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웹서버(110)는 단계 S150에서 클라이언트(10, 20, 30, 40)가 서버 시스템(100)에 접속되면, 이를 확인하고 회원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한다. 단계 S152에서 상기 클라이언트(10, 20, 30, 40)의 사용자가 상기 회원 정보 입력 화면에서 회원 정보를 입력하면 회원 정보를 받아들인다. 단계 S154에서 수신된 회원 정보로부터 등록된 회원인지를 판별한다. 즉, 등록된 회원이면, 이 수순은 단계 S158로 진행하여 상기 서버 시스템(100)의 접근을 허용한다. 즉, 강의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현재 개설된 강의실 정보 리스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판별 결과, 등록된 회원이 아니면, 이 수순은 단계 S156으로 진행하여 회원가입을 요청한다.
이어서 단계 S160에서는 상기 클라이언트(10, 20, 30, 40)의 사용자가 강의실 만들기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별한다. 즉 강의실 만들기를 선택하였으면, 이 수순은 단계 S162로 진행하여 강의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 단계 S164에서는 악보DB에 저장된 악보 리스트를 출력하여, 단계 S166에서 상기 클라이언트(10, 20, 30, 40)의 사용자에게 강의 정보 및 악보 선택 정보의 입력을 요청한다.
이어서 단계 S168에서는 상기 강의 정보 및 악보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50)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질의어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150)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160)으로 전송한다. 단계 S170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160)은 상기 질의어 중 강의 정보 질의어를 받아서 강의 정보 데이터베이스(154)에 저장하고, 단계 S172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160)은 악보 선택 정보 질의어를 받아서 질의어에 해당하는 악보 데이터를 악보 데이터베이스(15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악보 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리고 단계 S174에서 검색된 악보 데이터 및 강의 정보를 웹서버로 전송한다. 단계S176에서는 상기 강의 정보 및 악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상의 가상 강의실을 개설한다. 그리고 단계 S160의 판별 결과, 상기 회원이 강의실을 만들지 않으면, 이 수순은 단계 S178로 진행하여 개설 강의실 선택 정보를 요청한다.
계속해서 도 3b를 참조하면, 단계 S180에서는 상기 회원들을 상기 선택 정보에 의한 개성 강의실로 접속시킨다. 단계 S182에서는 상기 강의실에 접속한 회원들에게 상기 공유 악보 데이터를 전송하여 강의를 시작할 수 있게 한다. 단계 S184에서는 상기 강의시 접속한 회원들에게서 수신된 강의 메시지나 공유 악보 편집, 수정 정보가 있는지를 판별한다. 즉 수신된 강의 메시지나 공유 악보 편집, 수정 정보가 있으면, 이 수순은 단계 S186으로 진행하여 공유 악보 편집, 수정 정보나 강의 메시지를 쌍방향 악보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으로 전송하고, 단계 S188에서 상기 수신된 공유 악보 편집, 수정 정보나 강의 메시지를 상기 강의실 내의 각 접속 회원들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수신된 공유 악보 편집, 수정 정보나 강의 메시지가 없으면, 단계 S190으로 진행하여, 상기 강의실에 적어도 한명의 접속자라도 있으면 단계 S184로 돌아가고, 상기 강의실에 한명의 접속자도 없으면 강의실을 종료한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언트(10, 20, 30, 40)는 단계 S50에서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편집 프로그램(12, 22, 32, 42)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음악 교육 서버 시스템(100)으로 접속한다. 단계 S52에서 상기 회원 정보 입력 화면에서 회원 ID 정보 및 비밀 번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단계 S54에서 강의실을 만들것인가룰 선택한다. 상기 선택 결과, 강의실 만들기를 선택했으면, 이 수순은 단계 S56으로 진행하여 만들 강의실의 강의 정보를 입력하고, 단계 S58에서 공유할 악보 데이터를 선택하여 단계 S62로 진행한다. 상기 선택 결과, 강의실 만들기를 선택하지 않으면, 이 수순은 단계 S60으로 진행하여 접속할 개설 강의실 정보를 선택한다. 단계 S62에서는 상기 선택한 강의실로 접속한다. 단계 S64에서 상기 공유 악보 데이터를 로드하고, 단계 S66에서 강의실에 접속한 접속자들을 확인하고, 단계 S68에서 강의를 시작한다.
도 5 내지 도 6은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편집 프로그램의 실행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편집 프로그램(12, 22, 32, 42)은 최초 실행시 회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윈도우 화면(2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인터넷 악보 공유 편집 프로그램(12, 22, 32, 42)은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서버 시스템(100)에 접속시킨다. 사용자는 상기 윈도우 화면을 통해 자신의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여 상기 서버 시스템(100)으로 접속한다.
도 6a를 참조 하면, 사용자가 상기 서버 시스템에 접속하면, 상기 강의 정보 리스트(310)에서 적어도 하나의 강의 정보를 선택하면 강의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는 화면(320)과 다른 접속자와 대화할 수 있는 화면(330) 및 강의실 만들기를 선택할 수 있는 툴바(340)를 구비하는 인터넷 악보 공유 편집 프로그램(12, 22, 32, 42)의 주화면(300)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강의실을 만들거나 개설된 강의실을 선택함으로써 강의실로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강의실로 들어가면 공유 악보 데이터를 확인, 편집, 수정할 수 있는 화면(350)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악보 도구 박스(360)를 이용하여 공유 악보를 편집, 수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음악 강의를 악보를 공유하여 제공하고, 공유된 악보 데이터의 편집, 수정 정보를 상기 강의에 참가한 다른 사용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음악 교육 수요자의 학습 집중력을 향상시키거나 이해도 측면에서 학습 효과를 높여 주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악보에 대한 데이터 생성을 위하여 고가의 프로그램을 구매해서 직접 편집할 필요가 없게 된다.

Claims (5)

  1.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연결 수단과;
    강의에 필요한 다수의 악보 정보, 강의 정보, 회원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 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 연결 수단에 접속된 사용자가 강의에 필요로 하는 악보 정보와 강의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선택하고, 상기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악보 데이터를 공유하는 네트워크상의 가상 강의실을 제공하며, 강의실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상기 공유 악보를 편집, 수정할 경우 수정한 악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강의실 접속자들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사용자가 접속되면, 네트워크 접속, 강의실 만들기, 강의실 들어가기, 악보 선택, 다운로드, 편집 및 인터넷 상에서 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상기 네트워크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3. 시스템 제반동작을 제어하는 웹서버와 교육에 사용되는 다수의 회원 정보,악보 정보, 강의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구비하는 서버와 컴퓨터 네트워크에 상호 연결되는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로 상기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악보 정보, 강의 정보 및 공유 악보 편집, 수정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회원 정보를 받아들이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회원 정보가 등록된 회원 정보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회원 정보가 등록된 회원 정보이면 상기 회원이 강의실 만들기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이 강의실 들어가기를 선택할 수 있는, 현재 개설된 강의실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강의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거나, 상기 회원이 강의실 만들기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악보 데이터를 공유하는 강의실을 만들었으면, 상기 회원을 강의실에 접속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원들이 상기 강의실내에서 발생시키는 대화 메시지나 공유 악보 편집, 수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강의실 내의 다른 회원들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교육 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이 강의실 만들기를 선택하면, 회원에게 악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악보 정보를 출력하여 강의실에서 공유할 악보를 선택하게 하고, 상기 선택된 악보를 상기 강의실에 접속한 클라이언트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교육 제공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악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질의어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질의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악보 정보들 중에서 상기 질의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악보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악보 데이터를 웹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달된 악보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교육 제공 방법.
KR1020000079783A 2000-12-21 2000-12-21 인터넷을 통하여 악보를 공유하며 음악 교육을 제공하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50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783A KR20020050594A (ko) 2000-12-21 2000-12-21 인터넷을 통하여 악보를 공유하며 음악 교육을 제공하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783A KR20020050594A (ko) 2000-12-21 2000-12-21 인터넷을 통하여 악보를 공유하며 음악 교육을 제공하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594A true KR20020050594A (ko) 2002-06-27

Family

ID=2768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783A KR20020050594A (ko) 2000-12-21 2000-12-21 인터넷을 통하여 악보를 공유하며 음악 교육을 제공하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059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733A (ko) * 2001-08-28 2001-09-28 전호민 인터넷 청음교육 방법
KR20160142188A (ko) 2015-06-02 2016-12-12 김요석 음악 레슨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00036159A (ko) 2018-09-28 2020-04-07 김요석 음악 레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58064A (ko) * 2019-11-13 2021-05-24 서미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기록된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악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733A (ko) * 2001-08-28 2001-09-28 전호민 인터넷 청음교육 방법
KR20160142188A (ko) 2015-06-02 2016-12-12 김요석 음악 레슨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00036159A (ko) 2018-09-28 2020-04-07 김요석 음악 레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58064A (ko) * 2019-11-13 2021-05-24 서미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기록된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악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45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nd delivering informational content
TWI263950B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 via communication network
EP1502247A2 (en) Structural elements for a collaborative e-learning system
KR20000054518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 및시스템
Kouki et al. Telelearning via the Internet
Klobas et al. Selecting software and services for web-based teaching and learning
KR20020050594A (ko) 인터넷을 통하여 악보를 공유하며 음악 교육을 제공하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54844A (ko) 인터넷 상에서 3차원 사이버캐릭터, 3차원 가상학습공간및 실시간 음성지원에 의한 교육방법
KR20020000282A (ko) 인터넷을 통하여 악보를 공유하며음악 교육을 제공하는컴퓨터 시스템 및 그 방법
Aoki et al. A Typology for Distance Education-Tool for Strategic Planning.
KR20210040751A (ko) 음악 교육방법
KR20010007738A (ko) 인터넷을 이용한 다수의 사용자간 원격 학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558900B1 (ko) 블로그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Beckett Exploring the possible impact of current and future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s on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Bouras et al. Distributed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a web-based approach
KR20030053415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별 선택 학습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학습방법
KR20020013048A (ko) 통신망을 이용한 경력 개발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Raymond et al. Distant e-learning using synchronous collaborative environment" Platine"
KR20020070734A (ko) 네트웍 기반의 멀티미디어 화상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2188A (ko) 음악 레슨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Wyman Internet and foreign-language instruction: A report from behind the front lines
KR20010077828A (ko) 인터넷의 전자메일 및 푸쉬기술을 활용한 교육 방법 및 장치
KR20020048679A (ko) 인터넷을 통한 맞춤형 교육 시스템, 이를 이용한 맞춤형교육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Lee Promoting student feedback in the classroom
Gibbs Modifying Multi-user Discussion Systems to Support Text-based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on the Web—the coMentor Exper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