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231A - 위치 설정 및 에너지 격리식 장착구 - Google Patents

위치 설정 및 에너지 격리식 장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231A
KR20020050231A KR1020027003095A KR20027003095A KR20020050231A KR 20020050231 A KR20020050231 A KR 20020050231A KR 1020027003095 A KR1020027003095 A KR 1020027003095A KR 20027003095 A KR20027003095 A KR 20027003095A KR 20020050231 A KR20020050231 A KR 20020050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
transmitter
mounting
bushing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바라 린 존스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스넵-온 이퀴프먼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스넵-온 이퀴프먼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2005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23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5Acoustic transduc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Brushless Motor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Characterised By Use Of Acoustic Mean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 구조물에 대해 음향 및/또는 전기 에너지의 전달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격리되도록 장착 구조물에 대해 음향 발신기, 검출기 또는 센서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착구는, 장착구에 대하여 센서 또는 발신기를 정확하게 위치적으로 위치시키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비탄성 중합체 스냅 결합식 부싱을 제공함으로써, 장착구를 통하여 음향 및 다른 에너지 형태의 전달이 예측할 수 없는 높은 정도로 격리된다.

Description

위치 설정 및 에너지 격리식 장착구 {POSITION-DEFINING AND ENERGY-ISOLATING MOUNTINGS}
본 발명은 위치 설정 및 에너지 격리식 장착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충돌 수리 및 진단에 적용되는 3차원 좌표 결정에 사용되는 시스템 내에 음향 발신기 및/또는 검출기를 장착하는 데 사용하는 장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적용예는 WO 93/04381에 개시된 종류의 차량 형태 결정 시스템이고,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WO 공보의 표지 상의 정보 항목 (54), (57)에서 간략하게 개시되고 설명된 방식으로 사용되는 비임(10)에 대해 장착되는 마이크로폰(18)의 어레이에 대해 요구되는 종류의 장착구를 제공한다.
유사한 차량 형태 결정 시스템이 유럽 특허 제0 244 513호 (및 대응 미국 특허 제4,811,250호)에도 설명되어 있다. 유럽 특허 제0 244 513 B1호(어플라이드 파워 인크/스테버)에서, 자동차에 적용되는 음향에 기초한 3차원 좌표 분석용 시스템이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 내에서, 일련의 설정된 위치에서의 송신기 수단으로부터의 음향 신호가 음향 수신기 수단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기/송신기 수단은 일련의 측정에 걸쳐서 일련의 임시 고정된 분리 위치에 위치하고, 수신된 신호들은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 보내져서 기준 위치들 각각의 좌표의 시간에 기초한결정은 서로로부터의 공지된 간격의 각각의 위치에서 두 개의 송신기에 대한 그 위치에서의 음향 신호 송신 시간차를 이용하는 계산 기술에 의하여 그리고 간단한 삼각 측량 기술을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고정 프레임 상에 장착되어 결정될 형태에 대한 기준 위치에 위치된 협동적인 센서/발신기와 발신기/센서의 어레이가 상호 작용하며 데이터 처리 수단이 상대 위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해석하는 시스템의 많은 다른 공개 명세서 및 예시도 있다.
소형 마이크로폰과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된 상기 기술에서 사용되는 종류의 발신기 및/또는 검출기를 위한 기존의 장착구의 경우에, 그러한 장착구 내에서 일정 정도의 진동 감쇄가 제공되어야 하고 마이크로폰들은 그들이 위치되는 프레임의 비임으로부터 진동 격리되어야 하는 것이 현재의 전제 조건이다. 또한, 소형 마이크로폰들은 정확한 배치, 장착의 용이성, 해제 또는 교체의 용이성, 충격 또는 유사한 손상으로부터의 일정 정도의 물리적 보호를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 조건들은 모두 장착구에 의해 제공되고 만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일정 정도) 모순되는 장착구에 대한 물리적 요구 조건들의 이러한 상호 작용에 대하여 현재 사용 가능한 해결책은 탄성중합체 부싱이 마이크로폰 자체를 둘러싸서 마이크로폰의 진동 격리 및 손상 보호를 제공하도록 사용되는 2-부품 구조의 장착구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마이크로폰에 대한 비교적 정확한 위치 설정에 대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탄성중합체 부싱 둘레에 금속 칼라가 추가로 제공된다. 칼라는 마이크로폰의 어레이가 장착되어 있는 비임과 결합하도록 사용되어 칼라 자체를 비임에 대해 비교적 정확하게 위치시키도록 사용되고, 탄성중합체 부싱에 대한 칼라의 (부착에 의한) 상호 작용을 통해 칼라는 마이크로폰 자체에 대하여 일정 정도의 위치 제어를 수행한다.
그러한 장착구에 의하면, 마이크로폰은 돌출된 길이의 마이크로폰 도체 (및 관련 전기 차폐부)가 부싱 및 그의 관련 단부 케이블 홀더를 통해 삽입된 다음 부싱의 본체 내로 단단히 끼워지는 단부 삽입 기술에 의하여 부싱 및 칼라 조립체 내로 삽입된다. 도체를 인장시킴으로써 이를 달성하는 수단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마이크로폰은 그의 리드선에 의하여 그의 부싱 내로 당겨진다. 이는 마이크로폰에 대한 전기적 연결부에 손상을 주기 쉽다.
이전에 사용된 마이크로폰 장착 시스템의 다른 단점들은 장착 칼라로부터 탄성중합체 부싱을 통한 위치 정보의 본질적으로 비효율적인 전달에 기인한 마이크로폰의 위치 및/또는 방향 배치의 정확성의 결여를 포함한다. 또한, 특히 조립자가 마이크로폰에 대한 전기 연결부를 손상시키지 않아야 하는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면, 장착 과정은 단부방향 삽입 과정 중에 발생하는 마찰 효과에 때문에 비교적 어렵다.
본원에 개시된 일반적인 종류의 장착구의 경우에, 장착 정확성을 해치지 않고서 음향 발신기, 검출기 또는 다른 센서를 위한 지지부 내에 제공된 장착 개구들의 (타원형과 같은) 일정 정도의 비원형성을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필요도 있다. 통상적인 측면에서, 원형 수용기에 대해 원형 피팅을 맞추는 것은 어려움 없이 그리고/또는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종류의 물품과 관련된 실제 환경에서 용이하게 달성될 수 없고, 이와 관련하여 소정의 개선이필요하다.
진동 감쇄 및 격리식 장착 장치가 다른 분야에서 다른 부품들을 장착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장치들은 다음과 같은 공개 특허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WO 98/12453, 영국 특허 제2046,401호, 영국 특허 제1,498,891호, 영국 특허 제1,289,746호, 영국 특허 제845,891호, 미국 특허 제5,013,166호 및 영국 특허 제1,169,688호. 이러한 종래의 장치들은 모두 장착된 부품을 그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물로부터 충분히 격리시키기 위하여 장착구 내에 탄성중합체 재료, 양호하게는 고무를 사용한다. 다른 종래 기술 특허인 영국 특허 제1,178,927호에서, 장착구는 장착된 부품을 지지하기 위하여 충분히 얇은 탄성 아암 부재/스트랩을 사용함으로써 탄성중합체 재료로부터 예측되는 것처럼, 요구되는 정도의 탄성을 제공한다.
그러한 장치들은 탄성중합체 재료를 사용하여 진동 격리를 제공하거나 (또는 그러한 재료의 탄성을 모방한다는) 점에서 위에서 설명된 현재의 마이크로폰 장착구와 유사하지만, 마이크로폰과 같은 민감한 전자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요구 조건은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마이크로폰이 주요 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시스템에 의해 요구되는 장착구의 특정 요구 조건은 이러한 종래의 장착구 특허들과 관련된 부품 및 장치들과는 매우 다르다. 종래의 특허들은 구조적인 바닥 패널, 비틀림 바아 및 파이프 등을 장착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음향 센서 및 발신기의 장착구에 적용될 수 있지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음향 발신기 및 센서의 분야 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착구를 포함하기에 충분히 광범위한 특징과 관련된 신규성 및/또는 진보성을 가질 수 있으며 위에서 언급된 인자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된 개선 및/또는 통상 그들의 개선을 제공하는 장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것처럼, 음향 발신기, 검출기 또는 다른 센서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와 같은 센서를 위한 장착구가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하나의 단일한 구조물에 의하여 위치 설정 및 음향 에너지 격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그러한 장착구가 본 발명과 관련된 시스템 내에서 특히 마이크로폰과 같은 센서의 충분한 격리를 제공하여 시스템이 만족스럽게 작동되는 것을 예기치 않게 발견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중요한 일 태양을 나타내고, 본 발명과 관련된 시스템 내에서 마이크로폰 또는 센서가 그가 장착되는 비임 또는 프레임으로부터 진동 격리되도록 장착될 필요가 없다는 확실한 예측하지 못한 발견에 기초한다. 이는 관련된 요구 조건 및 방식에 대한 이해와 완전히 상반된다. 그와 다르게 그리고/또는 추가적으로, 이는 센서(마이크로폰)들이 대체로 영향을 받지 않고 바르게 작동하도록 요구되는 비교적 높거나 (또는 적어도 본 발명과 관련된 시스템의 요구 조건에 대해 충분한) 정도의 에너지 격리가 (그러한 장착구 내에 현재 사용되는 것과 같은) 탄성중합체 재료를 채용할 필요가 없이 달성될 수 있다는 예측하지 못한 다른 발견에 기초한다. 음향 또는 다른 특정 에너지 모두와 관련하여 에너지 전달 수준을 허용 가능한 한도로 감소시키는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 재료가 존재한다.
특히 실시예에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탄성 중합체가 이하에서 논의되는 음향 주파수에서 탄성 중합체의 위치적인 단점을 갖지 않고서 요구되는 수준의 음향 격리를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확실히 하기 위해, 거의 모든 고체 재료가 측정 가능하고 잘 알려진 탄성 변형 정도를 갖고 있다는 것을 말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대하여,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대조되는 탄성 중합체는 탄성 변형 정도가 대체로 상이한 수준인 천연 및 합성 고무와 같은 재료이므로 관련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측할 수 없는 높은 정도의 음향 에너지 격리 (및 실제로 위에서 논의된 것처럼 다른 관련 에너지 형태에 대한 격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비탄성 플라스틱 중합체를 적용하는 것은 중합체 자체가 동시에 위에서 언급된 형태 결정 시스템 내에서의 마이크로폰 배치 및 장착이 요구하는 수준의 정확한 위치 설정을 제공하는 장점으로 이어진다. 비탄성 중합체는 탄성중합체 재료가 사용되는 장착구에 비해 더 정확한 장착구를 제공한다. 에너지 격리와 위치 설정의 조합은 비용 및 조립의 용이성의 측면에서 안고 있는 단점이 있는 2-부품 구조물에 대하여 이전에 허용된 요구 조건에 대하여 현저하게 진보된 단계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센서 또는 발신기를 그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 결합시켜 파지하고 관련 케이블 등을 유사하게 결합시키거나 파지하여 둘을 상호 연결시키고, 장치의 이러한 부품들 사이의 연결을 강화하도록 사용되는 스냅 결합 또는 클립 결합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센서 또는 발신기를 위한 부싱 수단이 제공되어, 종래의 리드선 또는 커넥터 상에서의 손상을 유발하는 견인이 더 이상 해를 끼치지 않는다. 어느 정도까지는, 그러한 장치의 유익한 사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구 내에 탄성중합체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이 단일 구조물 내에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는 다른 유형의 장착구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를 지지부에 대하여 제거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용 장착구는 지지부 내의 상보 장착 개구 내로 억지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는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 부싱을 포함하고, 부싱은 상기 개구 둘레에서 적어도 세 개의 다수의 이격된 위치에 접촉부를 제공하고, 이에 의해 상기 부싱은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기 발신기 또는 검출기의 장착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면서도 상기 장착 개구의 일정 정도의 타원형을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부싱의 접촉 영역은 아치 형상이고 실제로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네 개가 제공되어 있다.
발신기 또는 센서 및 그의 리드선을 결합하여 파지하는 스냅 결합 또는 클립 결합식 장착구를 제공함으로써, 스냅 결합 또는 클립 결합식 조립 기술이 가역적이며 분해가 용이하게 달성되므로 위에서 언급된 기계적인 장점은 물론 조립 및 분해 방법의 현저한 단순화가 제공된다. 단부방향 삽입에 대한 필요성과 이에 수반되는 지연 및 잠재적인 손상 유발 또한 그러한 장착구를 사용함으로써 제공되는 (단부방향에 반대되는) 측방향 조립 기술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실시예에서, 스냅 결합식 부싱은 두 개의 반부들이 스냅 또는 클립 결합 및 필요하다면 해제를 위하여 용이하고 (정확하게) 협동하는 힌지 수단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는 1-부품 조립체로서 제공된다. 또한, 부싱 또는 콜릿이 그의 비임 또는 다른 구조물 상에 설치되었을 때 비임 또는 구조물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있도록 장착구 상에 시각적인 방향 표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폴리프로필렌 이외에도 나일론 유도체, 아세틸, ABS 및 다른 비탄성 중합체와 같은 다른 비탄성 중합체 재료가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의 적용에 있어서 여기서 설명된 특정 용례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유사한 시스템 내에 음향 발신기 및/또는 검출기를 장착하는 것과 관련하여 그리고 일반적으로 현저한 장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장착구는 또한 양호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유형의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발신기 또는 센서와 함께 사용되도록 그리고 더욱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종류의 그러한 센서 또는 발신기는 특히 전자 측정 장비를 위한 열, 전기 및 광학 센서를 포함하고, 여기서 용이한 장착 및/또는 해제의 능력은 (특별한 실제 적용에 대해 필요한 정도로) 장착된 센서 또는 발신기로의 또는 그로부터의 음향, 전기 또는 다른 에너지의 전달로부터의 격리와 조합하여, 장착 시에 만족스런 수준의 위치 설정을 수반한다.
이하에 개시되는 특정 실시예의 경우에, 장착구는 음향 에너지에 대한 만족스런 수준의 격리와 함께, 위치 설정과 장착 및 해제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이 사용되는 자동차 충돌 수리 및 진단을 위한 3차원 좌표 결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1A는 도1의 개략적인 도면의 화살표(II)를 따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시스템의 음향 검출기가 배치되어 있는 비임 또는 프레임의 상세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검출기용 장착 조립체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4는 도3의 단면(H-H)을 따라 도시된 도3의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5는 도3과 유사한, 조립체의 상세한 측면도이다.
도6은 도4의 단면(E-E)을 따라 도시된 조립체를 통한 종단면도이다.
도7은 도6의 단면(A-A)을 따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8은 도6의 단면(B-B)을 따른 조립체의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9는 도4의 단면(C-C)을 따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10은 도4의 단면(D-D)을 따른 조립체의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11은 도5의 단면(F-F)을 따른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12는 도5의 화살표(G)를 따른 조립체의 단부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특히 자동차 충돌 수리 및 진단에 적용되는 3차원 좌표 결정용 시스템이 유럽 특허 제0 244 513 B1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럽 특허 제0 244 513 B1호의 전체 개시 내용이 본원에서 전반적으로 참조되었다. 유사한 시스템이 WO 93/04381에도 설명되어 있고, WO 93/04381의 전체 개시 내용이 본원에서 전반적으로 참조되었다.
자동차 충돌 수리 및 진단에 적용되는 3차원 좌표 결정용 장치(40)가 도1 및도1A에 도시되어 있다. 장치(40)는 송신기 수단(48), 수신기 수단(46) 및 상기 송신기 수단 및 상기 수신기 수단(48, 46)들 중 하나(이 경우에 송신기 수단(48)임)의 다른 하나(이 경우에 수신기 수단(46)임)에 대한 3차원 좌표에 대한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 수단(46, 48)들 사이에서의 에너지 신호(41)의 전달로부터 도출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된 데이터 처리 수단(50)을 포함한다.
사용 중에, 장치(40)는 송신기 및 수신기 수단(46, 48)들 중 하나(이 경우에 송신기 수단(48)임)가 일련의 식별 가능한 위치(60, 61, 62, 63, 64)에 부착되는 일련의 좌표 데이터 평가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사용된다 (도1A 참조). 도1A에서, 단지 네 개의 그러한 위치들이 도시되었지만, 실제로는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된 유럽 특허 제 '513 B1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것처럼 더 많은 그러한 위치들이 채용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단계들이 수행되면서, 에너지 신호(41)가 송신기 수단(48)으로부터 수신기 수단(46)으로 전달된다. 보통, 송신, 수신 및 데이터 평가 단계는 위치(60 내지 64)에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수신기 수단(46)이 이러한 단계들에 걸쳐서 자동차(42)에 대해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처리의 중요한 요구 조건이다.
도1 및 도1A에도 도시된 것처럼, 장치(40)는 프레임 또는 유사한 구조물(44)을 더 포함한다. 도1에서, 프레임 또는 유사한 구조물(44)은 차량이 (도시되지 않은) 그의 지면 휠에 의해 지지되는 도1에 도시되지 않은 지면 위에서 차량(30) 아래로 연장된다. 프레임 또는 유사한 구조물(44)은 수신기 수단(46, 음향 마이크로폰 또는 카메라)이 도1A에 도시된 것처럼 에너지 신호(41)에 의하여 송신기수단(48)과 연통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고정식으로 안정된 장착 구조물을 제공한다.
프레임 또는 유사한 구조물(44)은 횡단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프레임은 측정 중에 차량(42)에 대하여 프레임(44)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아암 및 흡착 컵과 같은) 부착 수단 특징부(56)에 의하여 차량(42)에 고정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수신기 수단(46)은 프레임(44)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위치에 장착된다. 특히, 일련의 구멍 또는 개구(32)들이 형성되어 소정의 위치에서 프레임(44) 내에 제공된다. 수신기 수단(46)은 적절한 장착 장치(10)에 의하여 구멍(32) 내에 장착된다.
장착구(10)가 도3 내지 도12에 도시되어 있다. 장착구(10)는 힌지 수단(16)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장착 반부(12, 14)로 형성된 블랙 폴리프로필렌의 성형체를 포함한다. 성형 반부(12, 14)들은 조립된 장착구(10)의 중심축(1)을 통한 종방향 평면에 대하여 분할된다. 장착구(10)의 중심축(1)은 장착구(10)가 조립되어 프레임(44) 내로 끼워지면 프레임(44) 내의 개구(32)의 축과 동축이 된다. 힌지 수단(16)은 각각의 반부(12, 14)의 일단부에서 두 개의 반부(12, 14)들을 상호 연결시키고 두 개의 반부(12, 14)들을 장착구(10)의 종방향 축(1)에 직교하여 그를 통과하는 측방향 축(2)에 대해 힌지시킨다. 두 반부(12, 14)들의 통상적인 형상 및 형태는 중심축(1)에 직교하는 평면(2a) 및 힌지 수단(16)을 통과하는 힌지축(2)에 대해 대체로 대칭이다.
장착 반부(12, 14)들은 도7 내지 도12에 도시된 것처럼, 협동하는 대응 측방향 단면을 갖는다. 장착구(10)는 (도3에서 화살표(X)로 도시된 것처럼) 힌지 수단(16)에 대해 힌지되어 두 개의 반부(12, 14)들을 두 반부(12, 14)들의 종방향 면들이 서로 접촉하게 한다. 이러한 조립된 위치에서, 조립된 장착구(10)의 두 개의 반부(12, 14)들은 중심축(1)에 대해 서로 대면하여 배치된다. 조립된 장착구(10)에서, 힌지 수단(16)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장착 조립체(10)의 중간에 위치되기보다는 일단부에 배치된다.
힌지 수단(16)은 단지 두 개의 반부(12, 14)들 사이에서 이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얇은 재료의 웨브의 영역을 포함한다. 웨브와 장착구(10)는 장착구(10)가 웨브를 따라 접힐 수 있고 웨브가 구부러져서 두 개의 반부(12, 14)들이 서로 피벗되어 포개지도록 배열된다.
돌출된 스냅 결합 형성부(18, 18A)가 각각의 대면하는 장착 반부(14, 12) 내에 제공된 대응 스냅 결합 수용기(20, 20A) 내에 수용되도록 장착 반부(12, 14) 상에 제공된다. 서로 스냅 결합되면, (도시되지 않은) 마이크로폰은 그의 대향 측면 상에서 그의 헤드가 장착 반부(10, 12)들의 대향된 내부 및 표면(22, 24)에 의하여 고정되고, 마이크로폰의 헤드가 장착 반부들의 직립 헤드 구조물(26)에 의해 차폐된다. 마이크로폰은 통상 원형 단면이고, 따라서 장착 반부(12, 14)들의 내부 표면 및 형상은 마이크로폰의 단면에 대응하는 반원형 단면을 갖는다. 장착 반부(12, 14)들이 폐쇄되면, 내부 표면(22, 24)들은 상호 원형 형상 및 마이크로폰이 수용되는 테이퍼진 리세스를 형성한다.
스냅 결합 형성부(18, 18A) 및 대응 스냅 결합 수용기(20, 20A)는장착구(10)의 두 반부(12, 14)들을 마이크로폰의 둘레에 유지하여 마이크로폰을 장착구(10) 내에 고정시키는 용이하고 편리하며 간단한 수단을 제공한다.
두 장착 반부(12, 14)들을 포함하는 장착구(10)와 힌지 수단(16)은 하나의 상호 연결된 단일 플라스틱 구조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장착구(10)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물이고 기술 분야에 공지된 적절한 성형 기술에 의하여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장착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부착되어야 하는 상이한 재료들의 여러 요소들을 종종 포함하는 종래의 에너지 격리식 장착구와는 대조적일 수 있다.
사용 중에, 마이크로폰 및 그의 관련 케이블 또는 도체는 그의 헤드에 의하여 장착 반부(12 또는 14)들 중 하나의 내부(22 또는 24)의 파지 부분 상에 위치된다. 다른 반부(14 또는 12)가 하나의 반부를 향해 이동하여 두 개의 반부(12, 14)들이 서로 스냅 결합되고, 따라서 마이크로폰의 헤드를 파지하여 그를 보호식으로 확실하게 유지한다. 마이크로폰 케이블은 장착 반부(12, 14)를 종방향으로 통과하여 힌지 수단(16)의 영역 내에서 개구(6)를 통과한다. 장착 반부(12, 14)들이 폐쇄되면, 반부(12, 14)들은 마이크로폰을 위한 부싱을 형성한다.
(도시되지 않은) 마이크로폰 케이블은 장착 반부(12, 14)들의 내부 표면(22, 24)들로부터 연장되어 내부로 돌출된 부분(28, 30)들 사이에 파지되어, 이들이 케이블과 장착구(10)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강화하여 케이블에 작용하는 장력이 장착구(10)로 직접 전달되어 마이크로폰의 케이블 연결부로부터 방향 전환된다.
도7에 도시된 것처럼, 마이크로폰에 결합되었을 때 사실상 콜릿을 형성하는장착구(10)는 지지 프레임(44) 내의 장착 개구(32) 내로 억지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44)의 장착 개구(32)의 위치는 도7, 도12 및 도8에서 장착 반부(12, 14)에 대하여 점선 원(32')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부싱처럼 작용하는 장착구(10)는 다수의 이격된 위치(34)(이 경우에는 장착 반부(12, 14)의 사각형 단면에 의한 네 개의 위치임)에서 접촉부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부싱 또는 장착 조립체(10)는 장착 정확성을 해치지 않고서 일정 정도의 개구(34)의 비원형성을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시각적인 방향 표시 또한 장착구(10) 상에 제공되어 장착구(10)와 마이크로폰을 프레임(44) 내의 개구(32) 내에 설치되었을 때 중심축(1)에 대해 바르게 배치시킨다. 더욱이, 장착구(10)는 프레임(44), 특히 개구(32) 내에서 협동적인 형태의 리세스와 결합하는 장착구(10)의 외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도시되지 않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어서, 장착구(10)는 특정 방향으로만 결합될 수 있다. 개구(32) 및 장착구(10)의 외측 형상 또한 장착구(10)가 올바른 방향으로만 결합되는 것을 유사하게 보장하도록 협동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그러한 배향 특징은 다른 방향에서 다른 응답 및 성능을 갖는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는 시스템(40) 내에서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신호(41) 및 사용되는 마이크로폰/수신기로부터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특정 시스템(40)에 의존한다.
위에서 설명된 시스템(40)에 의하면, 마이크로폰이 장착되는 비임 또는 프레임(44)은 송신기 수단(48)으로부터 음향 전달을 받는다. 비임 또는 프레임(44)은구조적 부재이고, 따라서 음향을 전달할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비임 또는 프레임은 음향 전달(41)에 대하여 응답하고 그에 장착된 마이크로폰으로 프레임 구조물(44) 자체를 통해 에너지를 전달할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에는 마이크로폰이 통상 탄성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적절한 진동 감쇄 수단에 의하여 프레임(44)에 장착되었다.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는 장착구는 보통 그러한 비탄성 중합체 재료들의 상이한 특성들과 특히 탄성중합체 재료에 비해 그러한 재료들의 고유 탄성의 결여에 의하여 진동 감쇄를 제공할 수 없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에 따라,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탄성중합체 재료가 아닌 그러한 재료를 사용하는 장착구(10)는 통상 적절치 못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된 장착구(10)가 설명된 유형의 시스템(40) 내에서 만족스럽게 기능하고 마이크로폰이 사용 중에 프레임(44)으로부터 적절하게 격리되는 것이 시험에 의해 발견되었다. 실제로, 시험에서 그러한 장착구(10)는 유사한 종래의 고무 장착구보다 약간 더 양호하게 작동하였다. 그러므로, 그러한 시스템 내의 마이크로폰이 프레임(44)으로부터 진동 격리되어야 한다는 이전의 전통적이 가정은 맞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요구되는 모든 것은 마이크로폰이 프레임(44)으로부터 음향학적으로 격리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장착구(10)의 폴리프로필렌 재료는 사용 중에 마이크로폰을 그의 장착 비임 또는 프레임(44) 내로 편리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밀어 넣는 것을 가능케 하는 동시에 마이크로폰이 시스템(40) 내에서 바르게 기능하도록 마이크로폰에 대해 요구되는 수준의 음향 격리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아울러 그렇게 사용된다.
다른 유사한 비탄성 중합체 재료가 폴리프로필렌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재료는 예를 들어, 나일론 유도체, 아세틸, ABS 및 다른 비탄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아세틸은 저온(0℃)에서 덜 취성이며 따라서 폴리프로필렌보다 더 안정적이기 때문에 양호한 재료이다. 더욱이, 아세틸로부터 만들어진 힌지 수단(16)은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만들어진 것보다 더 오래 유지된다. 나일론 유도체들은 그들의 흡습 특성 때문에 덜 양호하다.

Claims (21)

  1.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를, 음향을 전달하는 구조적 장착 부재에 대하여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그러한 발신기 또는 검출기의 상기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와의 사이에서의 음향 전달을 위한 음향 전달 범위 내에 장착하고, 상기 장착된 발신기 또는 검출기는 그들 각각의 차원적/위치적으로 설정된 위치에서 유사한 발신기 또는 검출기에 의하여 교체되도록 제거될 수 있고, 상기 제거 가능한 발신기 또는 검출기는 상기 장착 부재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격리되고, 상기 발신기 또는 검출기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 중에 발신기 또는 검출기와 상기 구조적 장착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중합체 부싱 수단의 대향 부분들 사이에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 부싱 수단은 각각 상기 구조적 장착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위치 설정 구조물과 상기 구조적 장착 부재와 상기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 사이에서 에너지 전달을 방지하는 격리 구조물을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발신기 또는 검출기를 상기 음향을 전달하는 구조적 장착 부재로부터 음향학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하여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하나의 단일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기 위치 설정 구조물 및 상기 격리 구조물을 제공하고,
    b) 상기 부싱 수단은, 상기 중합체 부싱 요소의 상기 대향 부분들을 각각 제공하는 두 개의 주 구조물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 상호 스냅 결합되도록 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음향을 전달하는 구조적 장착 부재에 대해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를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하나의 단일 구조물을 포함하는 위치 설정 및 음향 격리식 구조물을 제공하고,
    상기 재료는 상기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 상호 스냅 결합되도록 된 부싱 수단의 대향 부분들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와, 음향을 전달하는 구조적 장착 부재는 3차원 좌표 결정용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시스템 내에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를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탄성 중합체 재료는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탄성 중합체 재료는 나일론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탄성 중합체 재료는 아세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센서 등을 지지부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장착하여 센서 등을 지지부로부터 음향학적으로, 전기적으로 또는 열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격리시키도록 된 센서 등을 위한 장착구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는 상기 지지부 내의 장착 개구 내로 억지 끼워 맞춰지도록 된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 부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부싱은 상기 장착 개구에 대하여 적어도 세 개인 다수의 이격된 위치에서 접촉부를 제공하여 상기 부싱이 상기 개구의 일정 정도의 비원형성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8. 센서 등을 지지부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장착하여 센서 등을 지지부로부터 음향학적으로, 전기적으로 또는 열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격리시키도록 된 센서 등을 위한 장착구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는 상호 스냅 결합 또는 클립 결합되어 상기 센서와 결합하여 센선를 위한 장착 부싱을 형성하도록 된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 부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 요소는 상기 발신기, 검출기 또는 센서 자체 뿐만 아니라 상기 발신기, 검출기 또는 센서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종방향 와이어 또는 유사한 도체를 파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부싱은 상기 도체 내의 장력에 의해 유발되는 손상에 대하여 상기 도체 및 발신기, 검출기 또는 센서를 보호하는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발신기 또는 검출기에 대해 도체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 요소는 단일편으로 일체 형성되어 힌지 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된 단부 대 단부 상보 요소들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1. 제10항에 있어서, 힌지 수단의 영역 내에서 장착구 내에 형성된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발신기, 검출기 또는 센서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와이어 또는 유사한 도체를 수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3.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은 나일론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4.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은 아세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구는 3차원 좌표 결정용 시스템 내에 센서 등을 장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
  16.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를, 음향을 전달하는 구조적 장착 부재에 대하여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그러한 발신기 또는 검출기의 상기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와의 사이에서의 음향 전달을 위한 음향 전달 범위 내에 장착하고, 상기 장착된 발신기 또는 검출기는 그들 각각의 차원적/위치적으로 설정된 위치에서 유사한 발신기 또는 검출기에 의하여 교체되도록 제거될 수 있고, 상기 제거 가능한 발신기 또는 검출기는 상기 장착 부재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격리되고, 사용 중에 발신기 또는 검출기와 상기 구조적 장착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중합체 부싱 수단의 대향 부분들 사이에 유지되는 상기 발신기 또는 검출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 부싱 수단은 상기 구조적 장착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위치 설정 구조물과 상기 구조적 장착 부재와 상기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 사이에서 에너지전달을 방지하는 격리 구조물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a) 상기 발신기 또는 검출기를 상기 음향을 전달하는 구조적 장착 부재로부터 음향학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하여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하나의 단일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기 위치 설정 구조물 및 상기 격리 구조물을 제공하고,
    b) 상기 부싱 수단은, 상기 중합체 부싱 요소의 상기 대향 부분들을 각각 제공하는 두 개의 주 구조물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 상호 스냅 결합되도록 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음향을 전달하는 구조적 장착 부재에 대해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신기 또는 검출기를 음향학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한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하나의 단일 구조물을 포함하는 위치 설정 및 에너지 격리식 구조물을 제공하고,
    상기 재료는 상기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 상호 스냅 결합되도록 된 부싱 수단의 대향 부분들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은 나일론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비탄성 중합체 플라스틱은 아세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향 발신기 또는 검출기, 및 음향을 전달하는 구조적 장착 부재는 3차원 좌표 결정용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시스템 내에 상기 발신기 또는 검출기를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27003095A 1999-09-08 2000-09-05 위치 설정 및 에너지 격리식 장착구 KR200200502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921142.7 1999-09-08
GBGB9921142.7A GB9921142D0 (en) 1999-09-08 1999-09-08 Position-defining and energy-isolating mountings
PCT/GB2000/003398 WO2001019131A2 (en) 1999-09-08 2000-09-05 Sensor array moun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231A true KR20020050231A (ko) 2002-06-26

Family

ID=1086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095A KR20020050231A (ko) 1999-09-08 2000-09-05 위치 설정 및 에너지 격리식 장착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874220B1 (ko)
EP (1) EP1210844B1 (ko)
JP (1) JP2003512600A (ko)
KR (1) KR20020050231A (ko)
CN (1) CN1378752A (ko)
AT (1) ATE244978T1 (ko)
AU (1) AU7020200A (ko)
CA (1) CA2383311A1 (ko)
DE (1) DE60003825D1 (ko)
GB (1) GB9921142D0 (ko)
MX (1) MXPA02002518A (ko)
WO (1) WO20010191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051145E (pt) 2001-02-19 2013-10-31 Canon Kk Recipiente de fornecimento de pó de impressão e sistema de fornecimento de pó de impressão
US9459515B2 (en) * 2008-12-05 2016-10-04 Mobileye Vision Technologies Ltd. Adjustable camera mount for a vehicle windshield
CN101571516B (zh) * 2009-06-15 2011-06-08 四川大学 万向式声发射测试传感器固定装置
CN101571517B (zh) * 2009-06-15 2011-06-08 四川大学 声发射测试传感器固定装置
CN105928776B (zh) * 2016-06-13 2017-08-25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用于真三轴水力压裂模拟实验的声发射探头安装装置
CN111075434B (zh) * 2019-11-29 2023-05-26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声波测井仪阵列化接收声系现场检测的便携式声源装置及其使用方法
EP4112967A1 (de) * 2021-06-28 2023-01-04 Nexans Schwingungsdämpf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5891A (en) 1956-11-03 1960-08-24 Garrard Eng & Mfg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unting means for gramophone record playing units
US3366356A (en) 1966-04-29 1968-01-30 Illinois Tool Works Bushing and combination of bushing and support plate
GB1169688A (en) 1967-10-25 1969-11-05 Ges Fuer Technischen Fortschritt Mbh Pipe Clamp
DE1943764A1 (de) 1969-08-28 1971-03-11 Continental Gummi Werke Ag Elastisches Lager fuer Motoraufhaengung in Kraftfahrzeugen
JPS5064874U (ko) * 1973-10-18 1975-06-12
US3885767A (en) 1974-01-23 1975-05-27 Edward J Olowinski Snap-in mounting and mounting assembly
DE2433824B2 (de) * 1974-07-11 1979-01-11 Deutsche Telephonwerke Und Kabelindustrie Ag, 1000 Berlin Aus zwei Gehäusehälften zusammengesetzter, plombierbarer Handapparat für Fernsprecheinrichtungen
US4286642A (en) 1979-04-09 1981-09-01 Barry Wright Corporation Isolation connection
US4534572A (en) * 1984-12-20 1985-08-13 Dana Corporation Port baffle for engine gasket
US4811250A (en) 1986-05-02 1989-03-07 Applied Power Inc. Deviation measurement system
US4729534A (en) * 1986-10-23 1988-03-08 Micro Plastics, Inc. Strain relief bushings
US4981194A (en) * 1987-10-30 1991-01-01 Sony Corporatio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R2642487B1 (fr) 1989-01-31 1991-05-10 Hutchinson Palier de barre de torsion
EP0598809B1 (en) * 1991-08-15 1999-02-24 Hein-Werner Corporation Vehicle shape determination system
US5305978A (en) * 1991-12-12 1994-04-26 International Visual Corporation Arcuate compression clamp
US5876023A (en) 1996-09-18 1999-03-02 Lord Corporation Vibration isolation insert for aircraft floor planels and the like
US5850461A (en) * 1997-10-03 1998-12-15 Sonigistix Corporation Diaphragm support frames for acoustic transducers and method of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78752A (zh) 2002-11-06
ATE244978T1 (de) 2003-07-15
CA2383311A1 (en) 2001-03-15
WO2001019131A2 (en) 2001-03-15
US6874220B1 (en) 2005-04-05
AU7020200A (en) 2001-04-10
WO2001019131A3 (en) 2001-08-02
JP2003512600A (ja) 2003-04-02
MXPA02002518A (es) 2002-10-23
EP1210844B1 (en) 2003-07-09
EP1210844A2 (en) 2002-06-05
GB9921142D0 (en) 1999-11-10
DE60003825D1 (de)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5243A (en) Holder sleeve for positioning a detecting and measuring sensor
KR20020050231A (ko) 위치 설정 및 에너지 격리식 장착구
HK1039884A1 (en) Motion tracking system
AU2002356303A1 (en) Antenna measurement system
US4333352A (en) Injection-molded Doppler flowmeter transducer assembly
US6160763A (en) Towed array hydrophone
US11662269B2 (en) Fiber-optic interconnection stabilization apparatus
US20220250548A1 (en)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and/or Electronic Appliance with an Appliance Housing, as well as Appliance Housing Assembly and Sensor Assembly
US5942691A (en) Differential pressure transducer assembly
EP0979061B1 (en) Hand-held hearing screener apparatus
US5945603A (en) Vibration detector adapted for use in a vibration measuring device
CN112242748A (zh) 一种用于监测输电导线舞动的监测设备及其安装方法
US7640801B2 (en) Electronics insert arrangement for a measuring device housing
WO1998043566A9 (en) Hand-held hearing screener apparatus
US7488179B2 (en) Component holder
US20080097718A1 (en) Interfa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sensors on the same
KR20130095552A (ko) 차량용 센서 장착 구조체
JP2022500671A (ja) 車両の内部の温度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CN220104004U (zh) 一种基于光纤和mems的分布式滑坡位移监测装置
JPH07198740A (ja) 加速度センサ取付具
JPH07113815A (ja) 振動センサ固定装置
CN218936600U (zh) 固定结构和空调
JPH1054827A (ja) 探触子固定具
KR970047831A (ko) 배기파이프의 연결플랜지 측정장치
US8311381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support for a portion of an optical fibre extending from a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