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217A -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217A
KR20020050217A KR1020020031692A KR20020031692A KR20020050217A KR 20020050217 A KR20020050217 A KR 20020050217A KR 1020020031692 A KR1020020031692 A KR 1020020031692A KR 20020031692 A KR20020031692 A KR 20020031692A KR 20020050217 A KR20020050217 A KR 20020050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base
parcel
building
land
relation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용수
Original Assignee
주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수 filed Critical 주용수
Priority to KR1020020031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0217A/ko
Publication of KR2002005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2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인력으로 작성 및 관리할 수 없었던 대지의 공간정보(수치 垈地圖)와 속성정보를 수치화된 지적도와 토지대장 및 건축물 관리대장 등을 이용하여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필지의 도형정보와 속성정보 및 건축물 속성정보를 설정하면, 설정된 필지, 건축물 정보를 이용하여 필지-대지-건축물 관계를 정립하는 관계 테이블을 자동으로 작성하고, 필지 데이터베이스(DB), 건축물DB, 관계테이블을 이용하여 대지의 도형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또한, 사용자가 현실세계에서의 필지의 분할 및 합병 사건과 건축물의 신축, 증축 및 개축, 재건축, 멸실 등의 사건을 GUI를 통해 필지 또는 건축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면, 필지DB, 건축물DB, 관계테이블을 이용하여 필지-대지-건축물 관계의 변화를 구축된 대지 데이터베이스에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실 시간적으로 갱신하게 된다.

Description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Method for Lot Databas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토지의 이용에 대한 건축법 및 도시계획법 규제의 최소 단위인 대지(垈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법 제2조 1항과 건축법시행령 제3조에서 대지의 정의와 범위를 규정하고 있으며, 건축법 제46조(건축물의 대지가 지역, 지구 또는 구역에 걸치는 경우의 조치), 제47조(건축물의 건폐율), 제48조(건축물의 용적률), 도시계획법 제53조(지역 또는 지구에서의 건축제한), 제54조(지역 안에서의 건폐율), 제55조(지역 안에서의 용적률) 등에서 지역, 지구 안에서의 건축을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대지는 건축법 및 도시계획법 규제의 기초단위이다.
대지의 경계와 규모는, 건축법 제2조 1항의 규정에 의해 토지의 소유 또는 등록 단위인 필지의 구획으로 결정되며, 건축행위(건축법시행령 제3조 제1항 제1,4,5,6호), 토지의 합병이 불가능한 경우(제3조 제1항 제2호), 도시계획시설설치(제3조제1항제3호)에 따라 2필지 이상을 합한 토지의 경계와 규모로 결정된다, 1이상의 필지의 일부에 대한 도시계획시설이 결정, 고시된 경우나, 농지전용허가, 산림형질변경허가, 토지형질변경허가를 받은 경우는 토지분할 행위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대지의 경계와 규모 또한 결정된다.
지적법과 건축법을 종합해 보면, 토지의 용도 변화, 소유관계 변화에 따른 토지분할, 합병과 건축행위에 따른 필지(筆地)와 건축물의 공간적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대지의 규모에 따라 건축의 밀도 즉, 단위 토지에서의 물리적 이용(건폐율, 용적률)이 제어되며, 대지의 경계(공간적 위치)는 도시계획법의 용도지역, 지구, 구역 지정에 의한 토지이용 제어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대지의 공간적 특성인 경계와 규모는 토지이용의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므로 대지도면의 구축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토지의 이용단위인 대지도면이 공식적으로 제작된 적은 전무하며, 최근에 와서 건축 인가/허가를 위한 건축도면 중 배치도에 표시된 것이 집합 건축물 대장에 첨부되어 관리되고 있는 것이 그 실정이다.
도시계획 현황도 또는 총괄도에서도 필지의 구획을 표시한 지적도와 건축물의 규모와 위치를 표시한 지형도에 도시계획 용도, 지역, 지구, 구역 시설의 범위와 위치가 표시되었을 뿐 토지의 이용 현황과 그에 따른 토지이용 규제 범위와의 작용을 파악할 수 있는 대지구획을 표시한 도면은 없다. 이는 현실적으로 수많은 필지와 건축물의 관계를 파악하여 그 현황을 인력으로 작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최근에는 사이버 국토 관리라는 기치아래 국가 지리정보 체계구축사업(NGIS)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사업의 결과물로 지형도 및 지적도가 수치화 되어 지리정보시스템으로 관리되는 체계가 구축 중에 있다.
지리정보시스템의 기술적 진보는 대용량의 공간정보를 쉽고 빠르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며, 이의 활용은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의 생산과 관리를 진일보시키고 있다.
그러나 주지한 바와 같은 지리정보 시스템도 대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실 시간적인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주지한 바와 같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인력으로 작성및 관리할 수 없었던 대지의 공간정보(수치 垈地圖)와 속성정보를 수치화된 지적도와 토지대장 및 건축물 관리대장 등을 이용하여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필지의 도형정보와 속성정보 및 건축물 속성정보를 설정하면, 설정된 필지, 건축물 정보를 이용하여 필지-대지-건축물 관계를 정립하는 관계 테이블을 자동으로 작성하고, 필지 데이터베이스(DB), 건축물DB, 관계테이블을 이용하여 대지의 도형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토록 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현실세계에서의 필지의 분할 및 합병 사건과 건축물의 신축, 증축 및 개축, 재건축, 멸실 등의 사건을 GUI를 통해 필지 또는 건축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면, 필지DB, 건축물DB, 관계테이블을 이용하여 필지-대지-건축물 관계의 변화를 구축된 대지 데이터베이스에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실 시간적으로 갱신할 수 있도록 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은,
대지 데이터베이스 생성모듈, 대지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 시스템 제어모듈, 관계 테이블, 대지 데이터베이스,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필지 데이터베이스로이루어진 대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의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지 데이터베이스 생성모듈에서 수치지적 형상(Shape) 선택을 통해 도형정보를 설정하고, 토지대장 선택을 통해 속성 정보를 설정한 후 이를 토대로 필지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고, 건축물 관리대장 선택을 통해 건축물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설정한 필지 및 건축물의 공간 관계 유형으로 필지 및 건축물의 관계 테이블을 생성하는 제2과정과;
상기 생성한 관계테이블과 필지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대지 도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3과정과;
상기 필지 및 건축물의 속성을 이용하여 대지 속성 테이블을 작성하는 제4과정과;
토지소유 관계의 변화와 분할/합병에 따른 물리적 변화에 대응하여 필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토지관리 과정과, 건축물의 추가, 수정 및 삭제에 대응하여 건축물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건축물 관리 과정으로 구성됨으로써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관리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리정보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필지와 건축물과의 관계도이고,
도 5는 도 3의 필지 데이터 베이스 설정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3의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설정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며,
도 7은 도 3의 필지-건축물 관계의 정립을 위한 테이블 생성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3의 대지 도형 데이터베이스 작성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3의 대지 속성 테이블 작성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10은 도 3의 토지관리 과정중 토지분할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11은 도 3의 토지관리 과정중 토지합병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12는 도 3의 건축물 관리 과정중 건축물 추가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13은 도 3의 건축물 관리 과정중 건축물 수정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14는 도 3의 건축물 관리 과정중 건축물 삭제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대지 데이터베이스 생성모듈
112 .....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113 ..... 관계테이블
114 ..... 대지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
115 ..... 시스템 제어모듈
116 ..... 대지 데이터베이스
117 .....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118 ..... 필지 데이터베이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리정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러한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입력, 수정, 처리, 출력 뿐만 아니라 분석 등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이다.
토지 및 건축물의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는 대용량이므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101)을 관리하는 서버(102)가 존재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시스템(103)을 통해 서버(102)에 접속하여 토지 및 건축물 정보를 쉽게 조회 및 검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입력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하며,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리하도록 한다.
또한 구축된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호환 가능한 데이터 포맷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결과를 프린터(105)나 플로터(106)로도 출력 가능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7은 연결 장치인 허브(Hub)를 나타내고, 미설명 부호 104는 사용자 시스템(103)에 연결되는 프린터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사용자는 서버(102)에 접속하여 대지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101)내의 대지 데이터베이스 생성모듈(111)의 GUI(112)를 이용 필지 및 건축물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한 후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대지 데이터베이스 생성모듈(111)은 필지-대지-건축물 관계를 정립하는 관계 테이블(113)을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는 대지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14)을 이용하여 필지DB의 수정, 건축물 DB의 수정을 통해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게 되며, 시스템 제어모듈(115)은 변화되는 필지-대지-건축물 관계유형을 관계 테이블(113)의 수정을 통해 관리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6은 대지 정보가 저장되는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며, 미설명 부호 117은 건축물 정보가 저장되는 건축물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고, 미설명 부호 118은 필지 정보가 저장되는 필지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지 데이터베이스 생성모듈에서 수치지적 형상(Shape) 선택을 통해 도형정보를 설정하고, 토지대장 선택을 통해 속성 정보를 설정한 후 이를 토대로 필지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고, 건축물 관리대장 선택을 통해 건축물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제1과정(S101)과; 상기 설정한 필지 및 건축물의 공간 관계 유형으로 필지 및 건축물의 관계 테이블을 생성하는 제2과정(102)과; 상기 생성한 관계테이블과 필지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대지 도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3과정(S103)과; 상기 필지 및 건축물의 속성을 이용하여 대지 속성 테이블을 작성하는 제4과정(S104)과; 토지소유 관계의 변화와 분할/합병에 따른 물리적 변화에 대응하여 필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토지관리 과정과, 건축물의 추가, 수정 및 삭제에 대응하여 건축물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건축물관리 과정으로 구성됨으로써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관리하는 제5과정(S105)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방법을 첨부한 도면 도4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과정(S101)에서와 같이, 대지DB 생성모듈(111)은, 맨 먼저 GUI(112)를 통해 필지 및 건축물 데이터베이스(DB)를 설정한다.
여기서 필지DB는, 도형정보와 속성정보 모두를 설정하게 되는데, GUI(112)를 통해 도형정보로 수치지적 형상(Shape)을 선택하는데 ID는 필지ID이어야 한다, 다음으로 속성정보는, 필지ID(또는 토지ID), 소재지(시도/시군구/읍면동/리/산/본번/부번), 공부상 토지면적(이하 토지공부면적) 필드로 구성되는 토지대장을 선택한다.
아울러 건축물DB는 건축물ID, 필지ID, 소재지, 관련지번수, 관련지번, 건축면적, 연면적 필드로 구성되는 건축물관리대장을 선택한다.
상기에서 토지 및 건축물 대장의 필드 구성은 언급한 필드 외에 다수의 필드가 존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DB의 필수 요소로 상기의 필드들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다음으로, 제2과정(S102)에서 설정된 필지, 건축물DB를 활용하여 필지-건축물의 공간관계 유형을 정립하는 관계 테이블을 생성한다. 상기 관계 테이블은, 관계를 맺고 있는 필지, 건축물들의 그룹 구분자로 인덱스(INDEX)를, 해당 필지의 ID, 건축물의 ID, 그리고 이들 필지-건축물 관계유형을 정의한 필드로 구성된다.
도4는 상기 필지-건축물 관계 유형을 보인 도면이다.
도4에서 왼쪽의 1:1은 1필지에 1건물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1:다는 1필지에 2이상의 건물이 있는 경우를 나타내며, 다:1은 2필지 이상에 1건물이 있는 경우를 나타내며, 다: 다는 2필지 이상에 2이상의 건물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제3과정(S103)에서는, 상기 생성된 관계 테이블과 필지DB를 연계(Link)하여 대지 도형DB를 구축한다.
대지의 경계와 규모는 필지(들)의 구획으로 결정되므로 관계테이블을 통해 필지-건축물 관계를 파악한 후 수치지적의 도형을 추출 또는 통합(Dissolve)하여 대지도형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4과정(S104)에서는,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 용적률로 구성되는 대지의 속성정보는 토지 및 건축물의 속성을 이용하여 구축한다. 대지면적은 토지면적의 합으로 계산한다. 여기서 토지면적은 토지대장의 토지공부면적을 사용하여야 한다. 건축면적과 연면적은 대지 위에 존재하는 전체 건축물의 건축면적 합, 연면적 합으로 계산한다. 건폐율은 단위 대지 면적당 건축면적의 비율(건폐율 = 건축면적/대지면적 * 100), 용적률은 단위 대지 면적당 연면적의 비율(용적률 = 연면적/대지면적 * 100)로 계산한다.
이후 제5과정(S105)에서는 토지 및 건축물 관리를 통해 토지 데이터베이스 및 건축물 데이터베이스를 실 시간적으로 갱신하게 된다.
도5는 상기 도3의 필지 데이터베이스 설정과정(S101)의 일 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필지 도형 데이터베이스를 불러오는 단계(S111)와, 상기 도형 데이터베이스의 속성 필드중 필지ID에 대응하는 필드를 선택하는 단계(S112)와, 상기 필지ID로 선택된 필드의 값들이 필지ID의 표준체계를 따르고 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S113)와, 상기 도형 데이터베이스에 토지공부 면적에 대응하는 필드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114)와, 상기 체크결과 토지공부 면적에 대응되는 필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대응되는 필드가 존재하는 필지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불러온 후 필지 ID 필드를 선택하는 단계(S115 ~ S116)와, 상기 토지공부 면적에 대응되는 필드가 존재하면 그 토지공부면적 필드를 선택하는 단계(S117)와, 상기 필지 도형 데이터베이스와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연계시키는 단계(S118)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필지 데이터베이스 설정과정은, 먼저 단계 S111에서 사용자는 GUI를 이용하여 필지 도형DB를 선택하여 불러오며, 단계 S112에서 선택된 도형DB의 속성 필드 중 필지ID 필드에 대응되는 필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단계 S113에서 필지ID로 선택된 필드의 값들이 필지ID의 표준체계를 따르고 있는지 검사한다. 이후 단계 S114에서는 도형DB에 토지공부면적에 대응되는 필드가 존재하는가를 체크하고, 그 결과 존재하지 않을 경우는 단계 S115 및 S116에서 대응되는 필드가 존재하는 DB를 불러와서 대응시킨다. 아울러 단계 S117에서 상기 토지공부면적에 대응하는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필드를 선택한다. 이후 단계 S118에서 상기 불러온 필지 도형DB와 속성DB를 필지ID를 연계필드로 하여 연계시킨다.
도6은 상기 도3의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설정과정(S101)의 일 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건축물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는 단계(S121)와, 상기 건축물 속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건축물 ID 및 필지 ID 필드를 선택하는 단계(S122)와, 상기 선택한 필지 ID 체계를 검사하는 단계(S123)와, 상기 건축물 속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건축면적, 연면적, 관련지번수, 관련지번에 대응되는 필드들을 선택하여 건축물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단계(S124 ~ S12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설정과정은, 먼저 단계 S121에서 GUI를 통하여 건축물 속성DB를 선택한다. 이후 단계 S122에서 상기 불러온 건축물 속성DB에서 건축물ID, 필지ID 필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단계 S123에서는 필지 ID 필드에 해당하는 필드의 속성 값이 표준체계인지 검사한다. 아울러 단계 S124 및 S125에서는 건축면적, 연면적, 관련지번수, 관련지번에 대응되는 필드들을 선택하여 건축물DB를 설정하게 된다.
도7은 도3의 필지-건축물 관계테이블 생성과정(S102)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계유형을 결정하고, 건축물 데이터베이스를 읽어들이는 단계(S131 ~ S132)와, 인덱스, 필지ID, 건축물ID, 관계유형 필드로 구성된 필지-건축물 관계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S133)와, 상기 설정된 건축물 데이터베이스에서 건축물 레코드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S134)와, 필지ID 및 관련지번을 통해 해당 건축물이 관계를 맺고 있는 필지들을 파악하는 단계(S135 ~ S1141, S157, S158)와, 상기 관계를 맺고 잇는 필지들과 건축물들의 그룹에 인덱스를 부여하며 그룹을 구분하고 그룹에 속하는 필지-건축물의 관계유형을 파악하여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S142 ~ S151, S153 ~ S155, S159 ~ S172)와, 상기 필지-건축물의 관계 수만큼 인덱스, 필지ID, 건축물ID, 관계유형으로 구성되는 레코드를 관계테이블에 추가하여 필지-건축물 관계정립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S15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필지-건축물 관계테이블 생성과정은, 필지-건축물 관계를 정립한 빈 관계테이블을 생성한다. 관계테이블은 인덱스, 필지ID, 건축물ID, 관계유형 필드로 구성된다. 설정된 건축물 데이터베이스에서 건축물 레코드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필지ID 및 관련지번을 통해 해당 건축물이 관계를 맺고 있는 필지들을 파악한다. 관계를 맺고 있는 필지들과 건축물들의 그룹에 인덱스를 부여하여 그룹을 구분하고, 그 그룹에 속하는 필지-건축물의 관계유형을 파악하여 관계유형에 따라 하기한 [표1]과 같이 코드를 부여한다.
따라서 필지-건축물의 관계 수만큼 인덱스, 필지ID, 건축물ID, 관계유형으로 구성되는 레코드를 관계테이블에 추가한다.
토지-건축물 관계유형
관계유형코드 필지 건축물
1 1 1
2 1
3 1
4
도 8은 도 3의 대지 도형 데이터베이스 작성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지도형 레코드를 추가하기 위한 대지도형 형상(Shape)을 생성하고, 필지-대지-건축물 관계를 정립하기 위해 관계테이블에 대지ID필드를 추가하는 단계(S174 ~ S175)와, 필지 데이터베이스와 관계테이블을 연계시키는 단계(S176)와, 필지 레코드를 선택하는 단계(S177)와, 대지로 변환된 필지인지를 체크하는 단계(S178)와, 상기 확인결과 대지로 변환된 필지가 아닌 경우에는 관계테이블의 선택된 레코드 집합을 추출하는 단계(S179)와, 관계테이블에 선택된 레코드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180)와, 상기 관계테이블에 선택된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필지ID중 가장 낮은 수에 10을 승산하여 그 결과치를 대지ID로 결정하는 단계(S181)와, 필지 형상의 선택된 도형 사본을 대지도형으로 결정하는 단계(S182)와, 상기 관계테이블에 선택된 레코드가 존재할 경우에는, 관계유형이 3또는 4인지를 체크하는 단계(S183)와, 상기 관계유형이 3또는 4일 경우 필지ID중 가장 낮은 수에 10을 승산하고 그 결과치에 1을 가산하여 대지ID를 설정하는 단계(S184)와, 필지 형상의 선택된 도형들을 통합하여 대지도형을 설정하는 단계(S185)와, 대지도형 Shape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186)와, 관계테이블의 선택된 레코드의 대지ID,필드에 대지ID값을 입력하여 대지도형을 생성하는 단계(S18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대지도형 데이터베이스 작성과정은, 대지도형레코드를 추가하기 위한 대지도형 Shape를 생성하고, 필지-대지-건축물 관계를 정립하기 위해 관계테이블에 대지ID필드를 추가한다. 대지ID의 구성체계는, 필지 : 대지 관계가 1 : 1의 경우는 필지가 하나이기 때문에 필지ID에 끝자리 0을 덧붙여(필지ID *10) 사용하고, 필지 : 대지 관계가 다 : 1 인 경우는 여러 필지ID 중 가장 낮은 수의 필지ID에 끝자리 1을 덧붙여(가장 낮은 필지ID * 10 + 1) 구성한다. 해당 필지-건축물 그룹에 대지관계를 추가하기 위해 관계테이블의 대지ID필드에 대지ID 값을 부여한다. 필지 : 대지 관계가 1 : 1의 경우는 필지 구획이 곧 대지구획이므로 필지 도형을 추출해서 레코드를 구성하고, 다 : 1의 경우는 2이상의 필지가 대지구획을 구성하므로 지리정보시스템의 Dissolve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필지 도형들을 통합하여 대지도형을 생성한다.
도 9는 도 3의 대지 속성 테이블 작성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지ID,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 용적률 필드로 구성되는 대지속성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S189)와, 필지 데이터베이스,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대지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테이블을 연계시켜 필지-대지-건축물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S190)와, 대지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레코드를 선택하는 단계(S191)와, 선택된 필지 속성에서 토지공부면적을 이용하여 대지면적을 산출하는 단계(S192)와, 건축물 속성에서 건축면적, 연면적을 산출하여 건폐율과 용적률을 계산하는 단계(S193 ~ S196)와, 대지 속성 테이블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19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대지 속성 테이블 작성 과정은, 대지ID,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 용적률 필드로 구성되는 대지속성 테이블을 생성한다. 필지DB, 건축물DB, 대지도형DB, 관계테이블을 연계시켜, 필지-대지-건축물 관계를 설정한 후 대지도형DB에서 레코드를 선택하면 관계를 맺고 있는 필지-대지-건축물 그룹이 선택된다. 선택된 필지 속성에서 토지공부면적을 이용하여 대지면적을 산출하고, 건축물 속성에서 건축면적, 연면적을 산출하여 건폐율과 용적률을 계산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한편, 대지는 필지-건축물 관계의 변화에 따라 그 공간적 특성이 바뀌거나 속성이 바뀐다. 토지의 변화는 소유관계의 변화와 분할/합병에 따른 물리적 변화로 나눌 수 있는데, 필지-대지-건축물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는 물리적 변화인 분할/합병이다. 따라서 필지의 분할/합병을 지원하는 GUI 기능을 이용하여 필지DB를 수정하고, 이에 따라 변화되는 관계를 시스템이 파악하여 필지-대지-건축물 관계를 자동으로 수정하고, 건축물DB, 대지DB를 수정한다.
건축물은 토지이용의 물리적 실체이다. 따라서, 건축물의 신축, 증축/개축, 재건축, 멸실에 따라 필지-대지-건축물 관계가 변화한다. 그러므로 건축물의 추가, 수정, 삭제 GUI 기능을 통해 건축물DB를 수정하며, 이에 따라 변화되는 관계를 시스템이 파악하여 필지-대지-건축물 관계를 자동으로 수정하고, 필지DB, 대지DB를 수정한다.
도 10은 도 3의 토지관리 과정중 토지분할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지 데이터베이스와 관계테이블을 연계시키는 단계(S201)와, 필지 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분할 대상 필지를 선택하는 단계(S202)와, 도형분할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203)와, 분할된 필지의 지번, 토지공부면적 수정, 필지 ID를 생성하는 단계(S204)와, 분할된 필지가 동일 대지를 구성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205)와, 상기 분할된 필지가 동일 대지를구성하지 않는 경우, 필지ID에 10을 승산하여 대지ID를 설정하는 단계(S206)와, 필지Shape의 도형 사본을 대지도형으로 설정하는 단계(S207)와, 대지Shape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208)와, 토지공부면적을 대지면적으로 설정하는 단계(S209)와, 대지 속성테이블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210)와, 필지 위의 건축물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211)와, 상기 분할된 필지가 동일 대지를 구성하는 경우, 관계유형을 1이면 관계유형을 3으로 설정하는 단계(S212 ~ S213)와, 상기 관계유형이1이 아니면 관계유형이 3인가를 체크하여, 3일 경우에는 해당 건축물 속성을 수정하는 단계(S214, S216)와, 상기 관계유형이3이 아닐 경우에는 관계유형을 4로 설정하고 해당 건축물 속성을 수정하는 단계(S215, S216)와, 관계테이블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21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토지분할 과정은, 필지 도형Shape에서 분필하고자 하는 필지를 선택한 후 분필 GUI를 통해 필지를 분할하고, 분할된 필지 쌍에 대한 속성 레코드를 추가하고 필지의 지번, 토지공부면적을 입력한다. 다음으로 입력된 필지의 지번을 이용하여 필지ID를 생성한다.
필지 분할은 분할된 필지가 기존의 관계를 맺고 있던 대지를 구성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이하 대지분할)로 구분된다. 동일 대지 구성의 경우, 대지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시스템은 기존 관계유형을 파악하여 변화된 관계유형을 관계테이블에 반영하고, 해당 건축물 레코드를 수정한다.
동일대지구성 필지 분할에 따른 관계유형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필지 : 건축물).
1 : 1 1 : 다 다 : 1 다 : 다
동일 대지구성필지 분할 다 : 1 다 :다 다 : 1 다 :다
대지분할의 경우는 분할되는 필지 위에 건축물이 존재하는 경우와 건축물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로 구분된다. 건축물이 존재하는 경우는 해당 건축물의 속성 및 관계테이블을 수정한 후 대지DB에 레코드를 추가한다.
도 11은 도 3의 토지관리 과정중 토지합병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지 데이터베이스,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대지 데이터베이스와 관계테이블을 각각 연계시키는 단계(S221)와, 필지 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합필 대상 필지를 선택하는 단계(S222)와, 관계테이블에 선택된 레코드가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223)와, 관계테이블에 선택된 레코드가 없을 경우에는 필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S224 ~ S225)와, 관계테이블에 선택된 레코드가 존재할 경우에는 동일한 대지를 구성하는 필지들의 합필인지를 체크하는 단계(S226)와, 상기 동일한 대지를 구성하는 필지들의 합필일 경우에는 변화되는 관계유형을 도출하는 단계(S227)와, 상기 관계유형 도출 후 필지 데이터베이스,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대지 데이터베이스, 관계테이블을 각각 갱신하는 단계(S228 ~ S231)와, 상기 동일한 대지를 구성하는 필지들의 합필이 아닐경우, 합필 되는 필지들의 관계유형을 파악하는 단계(S232)와, 관계유형들의 조합관계에 따른 변화되는 관계유형을 도출하는 단계(S233)와, 변환되는 관계유형이 1 또는 2인지를 체크하는 단계(S234)와, 상기 변환되는 관계유형이 1 또는 2가 아닐 경우에는 필지 데이터베이스,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대지 데이터베이스, 관계테이블을 각각 갱신하는 단계(S235 ~ S238)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토지합병 과정은, GUI를 통해 합필 하고자 하는 필지를 지적Shape에서 선택한다. 합필 하고자 하는 필지들의 관계유형을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건축물이 존재하지 않는 필지들의 합필인 경우는 토지DB와 대지DB만 갱신하고, 건축물이 존재하는 필지들의 합필인 경우는 토지-대지-건축물 관계에 변화가 발생되므로 토지DB, 건축물 속성테이블, 대지DB, 관계테이블을 갱신한다.
건축물이 존재하는 필지들의 합필인 경우에서도 동일한 대지를 구성하는 필지간 합필의 경우와 비동일 대지구성 필지간 합필의 경우로 구분된다.
동일 대지구성 필지간 합필의 결과는 1 : 1 또는 1 : 다 관계유형으로 귀결됨에 따라 합필 대상 필지들의 기존 관계유형이 큰 의미를 갖지 않지만, 비동일 대지구성 필지간 합필의 경우는 합필 대상 필지들의 기존 관계유형에 따라 합필 결과의 관계유형이 변화된다.
비동일 대지구성 필지간 합필에서의 관계유형간 조합에 따른 관계유형 변화결과(필지 : 건축물)
0 1(1:1) 2(1:다) 3(다:1) 4(다:다)
0 0 1 : 1 1 : 다 다 : 1 다 : 다
1 : 1 1 : 다 1 : 다 다 : 다 다 : 다
1 : 다 1 : 다 다 : 다 다 : 다
다 : 1 다 : 다 다 : 다
다 : 다 다 : 다
도 12는 도 3의 건축물 관리 과정중 건축물 추가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지 데이터베이스,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대지 데이터베이스와 관계테이블을 각각 연계시키는 단계(S301)와, 건축물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302)와, 관련지번을 관련필지ID로 변환하는 단계(S303)와, 필지ID또는 관련필지ID가 관계테이블에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304)와, 그럴 경우 기존 관계 유형이 3 또는 4인지를 체크하는 단계(S305)와, 기존 관련 유형이 3 또는 4가 아닐 경우 관련지번수가 1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체크하여 그럴 경우 관계유형을 2로 설정하고, 대지속성 레코드를 갱신하는 단계(S306 ~ S308)와, 상기 기존 관련유형이 3 또는 4일 경우 대지ID 및 대지도형을 설정하는 단계(S309 ~ S310)와, 대지Shape에 레코드를 갱신하고, 대지속성 레코드를 갱신하며 관계테이블의 기존 관계 유형을 갱신하고 관계테이블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312 ~ S315)와, 필지ID 또는 관련필지ID가 관계테이블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관련지번수가 1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체크하여, 그렇지 않을 경우 관계 유형을1로 설정하고, 대지ID와대지도형을 새롭게 갱신하는 단계(S316 ~ S319)와, 상기 관련지번수가 1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관계유형을 3으로 설정하는 단계(S316, S320)와, 대지ID 및 대지도형을 설정하는 단계(S321 ~ S322)와, 대지Shape에 레코드를 갱신하고, 대지속성 레코드를 갱신하며 관계테이블의 기존 관계 유형을 갱신하고 관계테이블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323 ~ S32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건축물 추가 과정은, 건축물 추가 GUI를 통해 추가하고자 하는 건축물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된 건축물 정보에서 대표지번 및 관련지번을 토대로 토지-대지-건축물 관계를 파악한다.
기존에 건축물이 존재하지 않는 토지에서의 건축행위와 건축물이 존재하는 토지 위에서의 건축행위로 구분할 있다.
전자의 경우, 관계유형이 1 유형과 3유형으로 구분되며, 1유형의 경우는 필지 구획이 대지구획이 되므로 필지 도형을 복사하여 대지도형으로 생성하고, 3유형은 해당 필지들의 도형을 Dissolve하여 대지도형을 생성한다.
후자의 경우, 관계 맺는 토지들의 기존 관계유형을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기존 관계유형이 3 또는 4인 경우는 모두 4 유형이 되며, 1 또는 2 유형에 1 유형의 결합은 2 유형이 되고, 3 유형을 결합하면 4 유형이 된다.
건축물이 존재하는 필지에서의 건축행위에 따른 관계유형 변화(필지 : 건축물)
기존 관계유형 1(1:1) 2(1:다) 3(다:1) 4(다:다)
관련지번수=0 1 : 다 1 : 다 다 : 다 다 : 다
관련지번수≥1 다 : 다 다 : 다 다 : 다 다 : 다
도 13은 도 3의 건축물 관리 과정중 건축물 수정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지 데이터베이스와 건축물 데이터베이스와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관계테이블과 각각 연계시키는 단계(S331)와, 건축물 레코드를 수정하는 단계(S332)와, 관련지번을 관련 필지ID로 변환하는 단계(S333)와, 관련지번수와 관련지번에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334)와,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지속성 레코드를 수정하는 단계(S335)와,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는 기존 관계유형이 2 또는 4인지를 체크하는 단계(S336)와, 상기 기존 관계유형이 2 또는 4가 아닐 경우에는 관계유형을 3으로 설정하는 단계(S337)와, 상기 기존 관계유형이 2 또는 4일 경우에는 관계유형을 4로 설정하는 단계(S338)와, 관계유형을 4로 설정한 후 대지ID와 대지도형을 갱신하는 단계(S339 ~ S340)와, 대지Shape에 레코드를 갱신하고, 대지속성 레코드를 갱신하며 관계테이블의 기존 관계유형을 갱신하고 관계테이블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341 ~ S34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건축물 수정 과정은, 관련지번수에 변화가 없는 경우는, 건축면적, 연면적의 변화로 대지의 속성만 수정한다.
관련지번수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는 대지확장의 경우로 이는 필지 합필과 무관한 대지의 확장이므로 대지 도형 및 속성DB를 갱신하고 관계테이블을 갱신한다. 기존 관계유형이 1 또는 3인 경우는 3유형으로 변화하고, 2 또는 4 유형은 4유형으로 변화한다.
대지 확장을 동반하는 건축물 증축/개축에 따른 관계유형 변화(필지 : 건축물)
기존 관계 유형 1 : 1 1 : 다 다 : 1 다 : 다
변화되는 관계유형 다 : 1 다 : 다 다 : 1 다 : 다
도 14는 도 3의 건축물 관리 과정중 건축물 삭제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지 데이터베이스와 건축물 데이터베이스와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각각 관계테이블과 연계시키는 단계(S351)와, 삭제 대상 건축물 레코드를 선택하는 단계(S352)와, 기관 관계유형이 1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353)와, 상기 기존 관계유형이 1일 경우에는 대지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S354)와, 기존 관계유형이 1이 아닐 경우에는 기존 관계유형이 2인지를 확인하고 기존 관계유형이 2도 아닐 경우에는 다시 기존 관계유형이 3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355, S356)와, 상기 기존 관계유형이 3일 경우에는 대지 구성 필지별 대지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357)와, 상기 기존 관계유형이 3도 아닐 경우에는 변화되는 관계유형을 파악하는 단계(S358)와, 대지도형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대지속성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S359, S360)와, 관계테이블의 관계유형을 갱신하는 단계(S361)와, 선택된 건축물 레코드를 삭제하는 단계(S362)와, 관계테이블의 해당 레코드를 삭제하는 단계(S36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건축물 삭제 과정은, 건축물 삭제 GUI를 통해 삭제하고자 하는 건축물을 선택한다.
삭제되는 건축물이 맺고 있던 관계유형에 따라 필지-대지-건축물 관계 변화가 변화한다.
기존 관계유형이 1유형(1:1)인 경우는 필지-대지관계는 변화되지 않지만 건축물의 삭제로 관계테이블의 레코드가 삭제되며 대지속성 중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 용적률 값이 삭제된다. 2유형(1:다)인 경우 또한 필지-대지 관계 변화는 없지만 관계테이블의 해당 관계 레코드의 삭제와 1:1로의 변화의 경우 관계유형이 변화된다. 3유형(다:1)인 경우는 건축물이 없어짐에 따라 대지를 구성하던 필지들이 각각 대지로 전환되며 대지DB의 갱신과 함께 관계테이블의 레코드들이 삭제된다.
4유형(다: 다)의 변화 변화결과는 1,2,3,4유형 중 어떤 유형으로도 변화 가능하다. 따라서 선택된 건축물의 삭제에 따른 변화 유형을 파악하여 유형에 따른 DB갱신이 필요하다.
건축물 멸실에 따른 관계유형 변화(필지 : 건축물)
기존 관계유형 1 : 1 1 : 다 다 : 1 다 : 다
변화되는 관계유형 1 : 0 1 : 다또는1 : 1 1 : 0 1 : 1또는1 : 다또는다 : 1또는다 : 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지금껏 제작하지 못했으며 존재하지 않던 대지도(圖)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성하게 됨과 동시에 즉각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토지의 등록단위인 필지에 적용해왔던 건축규제 및 도시계획규제를 토지의 이용단위인 대지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그간 필지에 적용시켜 온 규제를 대지에 적용시킴으로써 토지이용 규제의 정합성을 담보하고, 규제의 정합성을 바탕으로 공공의 업무에 적용할 경우, 지적도를 기본도로 작성해 오던 도시계획현황도에 대지圖를 같이 표시함으로써 도시계획 규제 범위가 더욱 명확해져, 신속하고 정확한 규제관련 민원대응 및 계획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현황 및 예측 도면, 통계자료,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진다.
또한, 민간의 건축 및 (부동산)개발업무에 활용할 경우, 각종 규제를 감안한 경제성 분석, 건축 등의 시뮬레이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대지 데이터베이스 생성모듈, 대지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 시스템 제어모듈, 관계 테이블, 대지 데이터베이스,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필지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진 대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의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지 데이터베이스 생성모듈에서 수치지적 형상(Shape) 선택을 통해 도형정보를 설정하고, 토지대장 선택을 통해 속성 정보를 설정한 후 이를 토대로 필지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고, 건축물 관리대장 선택을 통해 건축물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설정한 필지 및 건축물의 공간 관계 유형으로 필지 및 건축물의 관계 테이블을 생성하는 제2과정과;
    상기 생성한 관계테이블과 필지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대지 도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3과정과;
    상기 필지 및 건축물의 속성을 이용하여 대지 속성 테이블을 작성하는 제4과정과;
    토지소유 관계의 변화와 분할/합병에 따른 물리적 변화에 대응하여 필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토지관리 과정과, 건축물의 추가, 수정 및 삭제에 대응하여 건축물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건축물관리 과정으로 구성됨으로써,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관리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지 데이터베이스 설정과정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필지 도형 데이터베이스를 불러오는 단계(S111)와, 상기 도형 데이터베이스의 속성 필드중 필지ID에 대응하는 필드를 선택하는 단계(S112)와, 상기 필지ID로 선택된 필드의 값들이 필지ID의 표준체계를 따르고 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S113)와, 상기 도형 데이터베이스에 토지공부 면적에 대응하는 필드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114)와, 상기 체크결과 토지공부 면적에 대응되는 필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대응되는 필드가 존재하는 필지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불러온 후 필지 ID 필드를 선택하는 단계(S115 ~ S116)와, 상기 토지공부 면적에 대응되는 필드가 존재하면 그 토지공부면적 필드를 선택하는 단계(S117)와, 상기 필지 도형 데이터베이스와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연계시키는 단계(S1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설정과정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건축물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는 단계(S121)와, 상기 건축물 속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건축물 ID 및 필지 ID 필드를선택하는 단계(S122)와, 상기 선택한 필지 ID 체계를 검사하는 단계(S123)와, 상기 건축물 속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건축면적, 연면적 필드, 관련지번수, 관련지번에 대응되는 필드들을 선택하여 건축물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단계(S124 ~ S1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지-건축물 관계테이블 생성과정은,
    관계유형을 결정하고, 건축물 데이터베이스를 읽어들이는 단계(S131 ~ S132)와, 인덱스, 필지ID, 건축물ID, 관계유형 필드로 구성된 필지-건축물 관계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S133)와, 상기 설정된 건축물 데이터베이스에서 건축물 레코드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S134)와, 필지ID 및 관련지번을 통해 해당 건축물이 관계를 맺고 있는 필지들을 파악하는 단계(S135 ~ S1141, S157, S158)와, 상기 관계를 맺고 잇는 필지들과 건축물들의 그룹에 인덱스를 부여하며 그룹을 구분하고 그룹에 속하는 필지-건축물의 관계유형을 파악하여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S142 ~ S151, S153 ~ S155, S159 ~ S172)와, 상기 필지-건축물의 관계 수만큼 인덱스, 필지ID, 건축물ID, 관계유형으로 구성되는 레코드를 관계테이블에 추가하여 필지-건축물 관계정립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S1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지-건축물 관계유형은,
    필지 대 건축물이 1 : 1인 경우에는 관계유형 1이라하고, 필지 대 건축물이 1 : 다인 경우에는 관계유형 2라하며, 필지 대 건축물이 다 : 1인 경우에는 관계유형 3이라하며, 필지 대 건축물이 다 : 다인 경우에는 관계유형 4라고 규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지 도형 데이터베이스 작성 과정은,
    대지도형 레코드를 추가하기 위한 대지도형 형상(Shape)을 생성하고, 필지-대지-건축물 관계를 정립하기 위해 관계테이블에 대지ID필드를 추가하는 단계(S174 ~ S175)와, 필지 데이터베이스와 관계테이블을 연계시키는 단계(S176)와, 필지 레코드를 선택하는 단계(S177)와, 대지로 변환된 필지인지를 체크하는 단계(S178)와, 상기 확인결과 대지로 변환된 필지가 아닌 경우에는 관계테이블의 선택된 레코드 집합을 추출하는 단계(S179)와, 관계테이블에 선택된 레코드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180)와, 상기 관계테이블에 선택된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필지ID중 가장 낮은 수에 10을 승산하여 그 결과치를 대지ID로 결정하는 단계(S181)와, 필지 형상의 선택된 도형 사본을 대지도형으로 결정하는 단계(S182)와, 상기 관계테이블에 선택된 레코드가 존재할 경우에는, 관계유형이 3또는 4인지를 체크하는 단계(S183)와, 상기 관계유형이 3또는 4일 경우 필지ID중 가장 낮은수에 10을 승산하고 그 결과치에 1을 가산하여 대지ID를 설정하는 단계(S184)와, 필지 형상의 선택된 도형들을 분해하여 대지도형을 설정하는 단계(S185)와, 대지형상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186)와, 관계테이블의 선택된 레코드의 대지ID,필드에 대지ID값을 입력하여 대지도형을 생성하는 단계(S18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지 속성 테이블 작성 과정은,
    대지ID,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 용적률 필드로 구성되는 대지속성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S189)와, 필지 데이터베이스,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대지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테이블을 연계시켜 필지-대지-건축물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S190)와, 대지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레코드를 선택하는 단계(S191)와, 선택된 필지 속성에서 토지공부면적을 이용하여 대지면적을 산출하는 단계(S192)와, 건축물 속성에서 건축면적, 연면적을 산출하여 건폐율과 용적률을 계산하는 단계(S193 ~ S196)와, 대지 속성 테이블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19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의 토지관리 과정중 토지분할 과정은,
    필지 데이터베이스와 관계테이블을 연계시키는 단계(S201)와, 필지 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분할 대상 필지를 선택하는 단계(S202)와, 도형분할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203)와, 분할된 필지의 지번, 토지공부면적 수정, 필지 ID를 생성하는 단계(S204)와, 분할된 필지가 동일 대지를 구성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205)와, 상기 분할된 필지가 동일 대지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 필지ID에 10을 승산하여 대지ID를 설정하는 단계(S206)와, 필지Shape의 도형 사본을 대지도형으로 설정하는 단계(S207)와, 대지Shape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208)와, 토지공부면적을 대지면적으로 설정하는 단계(S209)와, 대지 속성테이블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210)와, 필지 위의 건축물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211)와, 상기 분할된 필지가 동일 대지를 구성하는 경우, 관계유형을 1이면 관계유형을 3으로 설정하는 단계(S212 ~ S213)와, 상기 관계유형이1이 아니면 관계유형이 3인가를 체크하여, 3일 경우에는 해당 건축물 속성을 수정하는 단계(S214, S216)와, 상기 관계유형이3이 아닐 경우에는 관계유형을 4로 설정하고 해당 건축물 속성을 수정하는 단계(S215, S216)와, 관계테이블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21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의 토지관리 과정중 토지합병 과정은,
    필지 데이터베이스,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대지 데이터베이스와 관계테이블을 각각 연계시키는 단계(S221)와, 필지 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합필 대상 필지를 선택하는 단계(S222)와, 관계테이블에 선택된 레코드가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223)와, 관계테이블에 선택된 레코드가 없을 경우에는 필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S224 ~ S225)와, 관계테이블에 선택된 레코드가 존재할 경우에는 동일한 대지를 구성하는 필지들의 합필인지를 체크하는 단계(S226)와, 상기 동일한 대지를 구성하는 필지들의 합필일 경우에는 변화되는 관계유형을 도출하는 단계(S227)와, 상기 관계유형 도출 후 필지 데이터베이스,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대지 데이터베이스, 관계테이블을 각각 갱신하는 단계(S228 ~ S231)와, 상기 동일한 대지를 구성하는 필지들의 합필이 아닐 경우, 합필되는 필지들의 관계유형을 파악하는 단계(S232)와, 관계유형들의 조합관계에 따른 변화되는 관계유형을 도출하는 단계(S233)와, 변환되는 관계유형이 1 또는 2인지를 체크하는 단계(S234)와, 상기 변환되는 관계유형이 1 또는 2가 아닐 경우에는 필지 데이터베이스,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대지 데이터베이스, 관계테이블을 각각 갱신하는 단계(S235 ~ S23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의 건축물관리 과정중 건축물 추가 과정은,
    필지 데이터베이스, 건축물 데이터베이스, 대지 데이터베이스와 관계테이블을 각각 연계시키는 단계(S301)와, 건축물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302)와, 관련지번을 관련필지ID로 변환하는 단계(S303)와, 필지ID또는 관련필지ID가 관계테이블에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304)와, 그럴 경우 기존 관계 유형이 3 또는 4인지를 체크하는 단계(S305)와, 기존 관련 유형이 3 또는 4가 아닐 경우 관련지번수가 1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체크하여 그럴 경우 관계유형을 2로 설정하고, 대지속성 레코드를 갱신하는 단계(S306 ~ S308)와, 상기 기존 관련유형이 3 또는 4일 경우 대지ID 및 대지도형을 설정하는 단계(S309 ~ S310)와, 대지Shape에 레코드를 갱신하고, 대지속성 레코드를 갱신하며 관계테이블의 기존 관계 유형을 갱신하고 관계테이블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312 ~ S315)와, 필지ID 또는 관련필지ID가 관계테이블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관련지번수가 1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체크하여, 그렇지 않을 경우 관계 유형을 1로 설정하고, 대지ID와 대지도형을 새롭게 갱신하는 단계(S316 ~ S319)와, 상기 관련지번수가 1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관계유형을 3으로 설정하는 단계(S316, S320)와, 대지ID 및 대지도형을 설정하는 단계(S321 ~ S322)와, 대지Shape에 레코드를 갱신하고, 대지속성 레코드를 갱신하며 관계테이블의 기존 관계 유형을 갱신하고 관계테이블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323 ~ S3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의 건축물관리 과정중 건축물 수정 과정은,
    필지 데이터베이스와 건축물 데이터베이스와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관계테이블과 각각 연계시키는 단계(S331)와, 건축물 레코드를 수정하는 단계(S332)와, 관련지번을 관련 필지ID로 변환하는 단계(S333)와, 관련지번수와 관련지번에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334)와,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지속성 레코드를 수정하는 단계(S335)와, 변환가 발생한 경우에는 기존 관계유형이 2 또는 4인지를 체크하는 단계(S336)와, 상기 기존 관계유형이 2 또는 4가 아닐 경우에는 관계유형을 3으로 설정하는 단계(S337)와, 상기 기존 관계유형이 2 또는 4일 경우에는 관계유형을 4로 설정하는 단계(S338)와, 관계유형을 4로 설정한 후 대지ID와 대지도형을 갱신하는 단계(S339 ~ S340)와, 대지Shape에 레코드를 갱신하고, 대지속성 레코드를 갱신하며 관계테이블의 기존 관계유형을 갱신하고 관계테이블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341 ~ S3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의 건축물관리 과정중 건축물 삭제 과정은,
    필지 데이터베이스와 건축물 데이터베이스와 대지 데이터베이스를 각각 관계테이블과 연계시키는 단계(S351)와, 삭제 대상 건축물 레코드를 선택하는 단계(S352)와, 기관 관계유형이 1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353)와, 상기 기존 관계유형이 1일 경우에는 대지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S354)와, 기존 관계유형이 1이 아닐 경우에는 기존 관계유형이 2인지를 확인하고 기존 관계유형이 2도 아닐 경우에는 다시 기존 관계유형이 3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355, S356)와, 상기 기존 관계유형이 3일 경우에는 대지 구성 필지별 대지 레코드를 추가하는 단계(S357)와, 상기 기존 관계유형이 3도 아닐 경우에는 변화되는 관계유형을 파악하는 단계(S358)와, 대지도형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대지속성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S359, S360)와, 관계테이블의 관계유형을 갱신하는 단계(S361)와, 선택된 건축물 레코드를 삭제하는 단계(S362)와, 관계테이블의 해당 레코드를 삭제하는 단계(S36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방법.
KR1020020031692A 2002-06-05 2002-06-05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방법 KR20020050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692A KR20020050217A (ko) 2002-06-05 2002-06-05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692A KR20020050217A (ko) 2002-06-05 2002-06-05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217A true KR20020050217A (ko) 2002-06-26

Family

ID=2772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692A KR20020050217A (ko) 2002-06-05 2002-06-05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0217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869B1 (ko) * 2002-09-12 2005-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지리정보 시스템의 대용량 영상 데이터 분산 저장장치 및 그 관리 방법
KR100833221B1 (ko) * 2007-06-15 2008-06-10 (주)한양 지적관측망 종합관리시스템
KR100848820B1 (ko) * 2007-10-23 2008-07-28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3차원 매스를 이용한 건축 기준 표현 시스템 및 방법
KR101064142B1 (ko) * 2011-04-14 2011-09-14 충청남도 토지분할 민원 처리방법
KR20150010849A (ko) * 2013-07-19 2015-01-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리정보시스템 기반 합필지원도구 시스템
KR101582568B1 (ko) * 2015-02-12 2016-02-12 조영선 선형형태 사회기반시설의 효과적인 수치지적화 장치 및 방법
KR20200006501A (ko) *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
KR102134241B1 (ko) 2019-12-17 2020-07-21 허경원 부동산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102241221B1 (ko) * 2020-03-03 2021-04-16 주식회사 쉬모스랩 관심 지역공간의 세분화 장치 및 방법
KR20210080966A (ko) 2019-12-23 2021-07-01 전주원 건축물 시공 예측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CN113780057A (zh) * 2021-07-23 2021-12-10 贵州图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闲置土地识别方法及装置
KR102510820B1 (ko) * 2022-12-10 2023-03-17 주식회사 제주알마켓 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043A (ko) * 2000-07-13 2000-12-05 강성돈 지적도 관리방법 및 장치
KR20010044813A (ko) * 2001-03-28 2001-06-05 홍성철 지가 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5569A (ko) * 2000-05-16 2001-11-29 전정철 3차원 부동산 지도정보 인터넷 서비스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서비스방법
JP2002007440A (ja) * 2000-06-23 2002-01-11 Misawa Homes Co Ltd 地図データ更新システム、地図データ更新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020014011A (ko) * 2000-08-12 2002-02-25 이명구 디지털 수치 지도와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및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569A (ko) * 2000-05-16 2001-11-29 전정철 3차원 부동산 지도정보 인터넷 서비스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서비스방법
JP2002007440A (ja) * 2000-06-23 2002-01-11 Misawa Homes Co Ltd 地図データ更新システム、地図データ更新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000072043A (ko) * 2000-07-13 2000-12-05 강성돈 지적도 관리방법 및 장치
KR20020014011A (ko) * 2000-08-12 2002-02-25 이명구 디지털 수치 지도와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및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44813A (ko) * 2001-03-28 2001-06-05 홍성철 지가 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869B1 (ko) * 2002-09-12 2005-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지리정보 시스템의 대용량 영상 데이터 분산 저장장치 및 그 관리 방법
KR100833221B1 (ko) * 2007-06-15 2008-06-10 (주)한양 지적관측망 종합관리시스템
KR100848820B1 (ko) * 2007-10-23 2008-07-28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3차원 매스를 이용한 건축 기준 표현 시스템 및 방법
KR101064142B1 (ko) * 2011-04-14 2011-09-14 충청남도 토지분할 민원 처리방법
KR20150010849A (ko) * 2013-07-19 2015-01-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리정보시스템 기반 합필지원도구 시스템
KR101582568B1 (ko) * 2015-02-12 2016-02-12 조영선 선형형태 사회기반시설의 효과적인 수치지적화 장치 및 방법
KR20200006501A (ko) *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
KR102134241B1 (ko) 2019-12-17 2020-07-21 허경원 부동산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20210080966A (ko) 2019-12-23 2021-07-01 전주원 건축물 시공 예측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102241221B1 (ko) * 2020-03-03 2021-04-16 주식회사 쉬모스랩 관심 지역공간의 세분화 장치 및 방법
CN113780057A (zh) * 2021-07-23 2021-12-10 贵州图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闲置土地识别方法及装置
KR102510820B1 (ko) * 2022-12-10 2023-03-17 주식회사 제주알마켓 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533004B1 (ko) * 2022-12-10 2023-05-17 주식회사 제주알마켓 최신 주제도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eing Street network models and indicators for every urban area in the world
Steiniger et al. Relations among map objects in cartographic generalization
CN101477549B (zh) 知识库支持下的空间数据库设计系统和方法
Shojani 3D Cadastral Visualisation: Understanding Users' Requirements
KR20020050217A (ko)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방법
Stoter et al. Technological aspects of a full 3D cadastral registration
Pissourios Survey methodologies of urban land uses: An oddment of the past, or a gap in contemporary planning theory?
Siebritz Assessing the accuracy of openstreetmap data in south africa for the purpose of integrating it with authoritative data
Vacca et al. BIM-3D GIS: An integrated system for the knowledge process of the buildings
CN103824157A (zh) 基于泛树分摊模型的分层分户图管理系统
Hampe et al. MRDB applications for data revision and real-time generalisation
Cecchini From data to 3D digital archive: a GIS-BIM spatial database for the historical centre of Pavia (Italy).
Karpinskyi et al. Topographic mapping in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in Ukraine
Venerandi et al. Exploring the similarities between informal and medieval settlements: A methodology and an application
Martini et al. Database-supported change analysis and quality evaluation of OpenStreetMap Data
Hallowell et al. Neighborhood dynamics and long‐term change
Kajiwara et al. Development of current estimated household data and agent-based simulation of the future population distribution of households in Japan
Siejka et al. Correction of topological errors in geospatial databases
Wiseman et al. Testing block subdivision algorithms on block designs
Planting Developing a data repository for the Climate Adaptive City Enschede
Shariatpour et al. Urban 3D Modeling as a Precursor of City Information Modeling and Digital Twin for Smart City Era: A Case Study of the Narmak Neighborhood of Tehran City, Iran
de Araújo et al. NSDI-compliant reference map: experiences on implementing a user-centered cartographic symbology and standardized data modeling at large scale (1: 2000).
Balcıoğlu An improved spatio-relational database design for urban conservation and its performance analysis
JP5517013B2 (ja) 地理空間情報の管理システム、及び地理空間情報のプログラム
Lazorenko-Hevel et al. Automation of quality control of digital topographic maps at the scale 1: 50 000 of the Main State Topographic Map in Ukra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