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820B1 - 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820B1
KR102510820B1 KR1020220172139A KR20220172139A KR102510820B1 KR 102510820 B1 KR102510820 B1 KR 102510820B1 KR 1020220172139 A KR1020220172139 A KR 1020220172139A KR 20220172139 A KR20220172139 A KR 20220172139A KR 102510820 B1 KR102510820 B1 KR 102510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land
planning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정
오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주알마켓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주알마켓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주알마켓
Priority to KR102022017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820B1/ko
Priority to KR1020230031663A priority patent/KR102533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5Update request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기관관리서버가국가기관 혹은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위임받아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에 따른 각종 주제도나 조사를 실행하는 조사업체의 서버에 연동하면서 해당 조사업체서버에 완성된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를 즉시 요청하여 체계적으로 처리하므로 써,다수의민원인들이 최신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정보들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 그에 따라 국가계획이나 토지계획에 의한 재산권의 변동에 따른 손실발생을 최소화함은 물론 정보의 사용편의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Meathod for controlling ageographic information systemproviding national land planning and land planning information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본 발명은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기관 종합관리서버가국가기관 혹은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위임받아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에 따른 각종 주제도나 조사를 실행하는 조사업체의 서버와 연동하면서 완성된 해당 조사업체서버의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를 즉시 요청받아 체계적으로 처리하므로 써, 국가계획이나 토지계획에 의한 재산권의 변동에 따른 손실발생을 최소화하는 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도란인간이 땅에 대한 정보를 얻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지형, 시설물 등 땅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각각 해당분야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를 가리키는 용어이고, 특히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국가나 지방자치의 토지 혹은 건물의 사무를 위해 특정한 주제를 강조하여 표현한 지도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토지이용현황도, 지질도, 토양도 등의 통계도, 도시계획도, 지역계획 및 국토개발계획도 등이 이 주제도에 포함되며, 이러한 주제도는 일반도를 기초로 하여 일정한 색채 또는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작된 주제도는 수시로 변화하는 내용들을 제대로 수록하지 못해 이용의 한계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국가나 지방자치에서 제작한 주제도의 자료를 수집, 처리, 분석함으로서 방대하고 다양한 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종합적 공간처리 기술인 지리정보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지리정보시스템은 통상 GIS 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러한 지리정보시스템은 지리에 관련된 데이터 예를 들어, 거주 공간, 산업 공간, 도로, 철도 등의 기간 시설, 상수도, 하천, 산악, 토지, 임야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저장, 처리, 분석, 출력할 수 있는 컴퓨터 기반의 응용 시스템으로서, 지리적 환경과 관련된 인간의 다양한 활동 및 그에 따른 지리적 공간 내지영역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정책적 의사 결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시스템을 의미하는데, 도시계획정보시스템 내지 도시계획정보체계(UPIS,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가 지리정보시스템의 대표적 예라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시계획정보체계(약칭하여 도시계획정보)는 국가적 단위에서 운용될 수 있는 통합 정보 체계로서, 지형도, 지질도, 토양도, 지적도, 상하수도 시설, 도로망 등에 대한 정보가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 위치 체계와 결합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와 각 지형도, 지질도 등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해당 시설물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와 정보 등은 물론, 다양한 정책적 기반에 의한 조서, 고시 정보 등이 계층적 내지 계통적으로 생성되는 수많은 이미지 데이터와 속성정보 체계의 총체적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계획정보는 도시계획정책 수립, 지리 기반 행정업무에 대한 다양한 의사 결정을 통합 내지 수렴하고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산업화, 도시화 등의 설계, 정책 등에 대하여 발생될 수 있는 인구, 교통, 자원 건물, 환경 등에 관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도시계획, 정비, 친환경 정책 구현, 시설 관리 등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구현된다. 또한, 상기 도시계획정보에는 시설, 지구, 영역 등에 관한 도시 계획의 다양한 고시, 조서, 도형, POI, 승인, 보류, 인가 등에 대한 각종의 데이터가 DB로 구축되며, 이를 고시, 조서 등의 속성 정보들은 법률에 기초한 도시계획에 따라 광역, 지역, 지구, 구역 및 시설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계층적 항목으로 분류되어 DB화된다. 상기 도시계획정보는, 이러한 속성정보 및 GIS 정보 등과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맵(map) 데이터로서 실제 측량에 의한 작성되거나 또는 예측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작성되는 다양한 주제도(행정구역도, 지형도, 삼림도, 항공도, 군사도, 인구분포도, 하천도, 토질도 등)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들 주제도에는 토지 현황, 표고, 경사도, 지가, 지적, 지목 등의 기초 속성정보와 공간, 영역 등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다. 그리고 정책자, 계획입안자, 업무 수행자 또는 관리자 등(이하 사용자로 지칭한다)은 이와 같은 도시계획정보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주제도 데이터를 이용 및 확인하여 데이터 내지 정보 등을 분석하고 비교하는 등의 방법으로 주제도 데이터 등을 활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도시계획정보는 환경친화성 또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보장하고 개발과 보전이 조화되는 선계획/후개발의 국토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토지의 환경적, 물리적, 공간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토지가 갖는 환경적 내지 사회적 가치를 과학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각종 토지이용계획이나 주요시설의 설치에 관한 계획을 입안하고자 하는 경우에 정량적이고 체계적인 판단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조사인 토지적성평가에 주로 활용되기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GIS 정보시스템의 일례를 도 1을 참고로 살며보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토지 혹은 건물의 사무를 위해 실제 측량에 의한 작성되거나 또는 예측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작성되는 다양한 주제도 예컨대, 행정구역도, 지형도, 삼림도, 항공도, 군사도, 인구분포도, 하천도, 토질도 등 이 포함되는 주제도 데이터에 연동되도록 속성정보 및 GIS 정보 등과 유기적으로 결합되게 맵(map) 데이터를 구성하여 저장하는 DB서버(70)와;
상기 DB서버(70)와 연동하면서 DB서버(70)에 저장되어 있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위해 제작된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정보들에 대한 갱신 및 입출력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기관관리서버(71)와;
상기 기관관리서버(71)에 유무선 통신망(72)을 경유하여 접속한 후 설정된 입출력메뉴를 통해 인증한 다음 필요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의해서 작성된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열람하거나 출력시키는 클라이언트 단말기(73a-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GIS 정보시스템의 동작은 먼저, 기관관리서버(71)가 설정된 데이터저장메뉴에 의해 DB서버(70)와 연동하면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선정한 조사업체서버(74)로부터 유무선 통신망(72)을 통해 전송되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토지 혹은 건물의 사무를 위해 실제 측량에 의한 작성되거나 또는 예측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작성되는 다양한 주제도 예컨대, 행정구역도, 지형도, 삼림도, 항공도, 군사도, 인구분포도, 하천도, 토질도, 행정구역도, 축척별 지형도, 지하시설물도, 국토이용계획도, 지형지번도, 토지이용현황도, 도시계획도, 및 도로망도 등 이 포함되는 주제도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속성정보 및 GIS 정보 등과 유기적으로 결합되게 맵(map) 데이터를 구성하여 DB서버(70)에 저장시킨다. 여기서 상기 DB서버(70)의 주제도데이터에는 토지 현황, 표고, 경사도, 지가, 지적, 지목 등의 기초 속성정보와 공간, 영역 등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유무선 통신망(72)을 통해 각 지역에 산재한 클라이언트 단말기(73a-n)가 필요한 서류 예컨대,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공식문서를 열람하고 출력하기를 원할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73a-n)의 사용자는 기관관리서버(71)의 홈페이지로 접속한 후 설정된 입출력메뉴를 통해 인증한 다음 필요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의해서 작성된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열람하거나 출력을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기관관리서버(71)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73a-n)의 사용자가 유무선 통신망(72)을 경유하여 입출력메뉴를 통해 요청한 해당 공식문서를 DB서버(70)로부터 불러낸 후 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73a-n)로 전송시켜주어 그 연결된 프린터 혹은 화면상에서 열람 및 출력되게 한다. 또한 상기 기관관리서버(71)는 상기 과정중에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정보가 변경되어 다시 전송되어 올 경우 DB서버(70)에 저장된 해당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정보를 갱신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GIS 정보시스템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선정한 조사업체들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을 받아 토지 혹은 건물에 대한 주제도를 실제 측량에 의해 작성하거나 또는 예측 결과를 종합적으로 작성하여 자체 조사업체서버에 올리더라도 이 데이터가 국가나 지장자치단계가 관리하는 DB서버에 업로드 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자료까지 함께 통째로 전송되기 때문에 이 자료를 선별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했으며, 더 나아가, 상기와 같은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정보들의 설정내용들이 변경되거나 또는 그 권리관계가 변경되더라도 이러한 변경사항이 DB서버에 저장된 최종 데이터에 반영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흐르기 때문에 국가나 지장자치단계에 의해 관리되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정보들을 이용하여 본인들의 민원을 처리하려는 부동산의 소유자나 그 관계인들이 최신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정보들을 신속히 파악할 수가 없으므로 그에 따라 국가계획이나 토지계획에 의한 재산권의 변동에 따른 손실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상기와 같은 종래GIS 정보시스템은 또한 국가기관 혹은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위임을 받아 토지나 건물을 조사하고 지도를 제작하는 조사업체들이 그 조사업체마다 다 다른 형태로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에 따른 주제도들을 조사업체서버를 통해 전송받아 저장하기 때문에 기관관리서버를 통해 외부로 표시되는 화면상에 일치되지 않은 혹은 통일되지 않은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가 표시되므로 써, 그에 따라 국가 혹은 지방단치단체의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상당히 훼손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조사업체의 서버와 연동하면서 완성된 해당 조사업체서버의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를 즉시 요청받아 체계적으로 처리하므로 써,다수의민원인들이 최신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정보들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조사업체로부터 입력되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에 따른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을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서로 분석하고 해당 정보들을 하나의 지도상에 통일되게 위치되도록 보정한 다음 그 보정한 최종 정보를 신속히 활용할 수 있게하므로써, 정보의 신뢰성도 극대화시키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을 받은 토지 혹은 건물에 대해 실제 측량에 의한 작성되거나 또는 예측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작성되는 다수의 주제도 데이터에 연동되도록 속성정보 및 GIS 정보 등과 유기적으로 결합되게 맵(map) 데이터를 구성하여 저장하고 이들 정보를 갱신시키는 DB관리서버와;
상기 DB과리서버와 연동하면서 DB관리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위해 제작된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정보들을 분석하고 이들 정보들이 실제 위치의 GPS위치좌표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여 보정하는 작업을 제어하며, 실시간으로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정보들에 대한 업데이트 및 입출력 작업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기관 종합관리서버와;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에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접속한 후 설정된 입출력메뉴를 통해 인증한 다음 필요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관리되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열람하거나 출력시키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에는 DB관리서버에 기저장되어 있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업데이트를 위해 전송되는 해당 지번이나 번지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과 서로 비교한 후 차이가 나는 부분을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보정한 다음 새로 산출된 해당 정보들을 DB관리서버에 넣어 업데이트시키는 정보비교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 정보비교모듈에는 기저장되어 있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업데이트를 위해 전송되는 해당 지번이나 번지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과 서로 비교한 후 차이가 나는 부분데이터를 별도의 테이블에 넣어 저장한 후 이를 표시패널을 통해 외부에 음성이나 숫자 혹은 문자로 고지해주는 차정보 표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에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을 받은 토지 혹은 건물에 대해 실제 측량에 의한 작성되거나 또는 예측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작성되는 다수의 주제도 데이터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을 받은 각 조사업체서버로부터 입력되는 신규 혹은 업데이트되는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에 기재된 해당 지번이나 번지의 GPS위치좌표를 기설정되어 있는 GPS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서로 비교분석하고 차이가 나는 해당 위치를 설정된 규칙에 따라하나로 정리하여 해당 위치좌표의 계획정보를 하나의 지도상에 통일되게 보정한 다음 그 통일되게 보정한 최종 계획정보를 DB관리서버에 업데이트 저장시키는 종합정보 보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 종합정보 보정모듈은 기관 종합관리서버의 기능제어하에지도상에 위치한 GPS위치좌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GPS위치좌표가 실제위치에 있는지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GPS위치좌표를 받아 두 좌표를 비교한 후 그 차이를 보정한 다음 지도상의 해당 좌표신호를 보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다른 좌표들도 보정하는 실시간 GPS위치좌표 보정모듈을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기관 종합관리서버는 종합정보 보정모듈에 의해 최종 보정된 최종 계획정보를기설정되어 있는전문가 단말기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표시되게 한 후 해당 전문가에 의해 긴급수정을 받은 후 그 수정된 최종 계획정보를 전문가 단말기를 통해 다시 설정된 포맷으로 전달받아 DB관리서버의 정보로 업데이트시키는 전문가 진단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는 조사업체서버와 연동하면서 해당 조사업체서버의 DB에 항상 접속하고 해당 DB로 입력되는 위임받아 조사된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가 최종본인지를 확인한 다음 만약 최종본일 경우 즉시 해당 정보를 DB관리서버로 가지고와 업로드 시키는 정보감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 정보감시모듈은 상기 과정중에 해당 조사업체서버의 DB에 위임되어 조사된 정보가 최종본이 아닐 경우 해당 최종본이 언제쯤 업로드될 것인지를 퍼센트로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는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조사업체서버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비치된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연동하면서 현재 DB관리서버로 업데이트 시키려는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 혹은 관리담당자나 민원인의 요청에 의해 DB관리서버로부터 출력된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 차이가 있을 경우 이를 즉시 DB관리서버의 기저장된 데이터에 반영하여 업데이트시키는 정보검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는 조사업체서버의 위임된 정보에 포함된 사용선호도가 높지 않은 불필요한 정보까지 통째로 DB관리서버로 전송되지 않도록 위임된 정보중 필요한 정보만을 신속히 선별적으로 DB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선별정보 전송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기관관리서버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을 받은 토지 혹은 건물에 대해 실제 측량에 의한 작성되거나 또는 예측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작성되는 다수의 주제도 데이터를 조사업체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이 데이터에 속성정보 및 GIS 정보 등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맵(map) 데이터를 구성하여 DB관리서버에 저장시키는 DB정보 구축과정과;
상기 DB정보 구축과정후에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조사업체서버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비치된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연동하면서 현재 DB관리서버로 업데이트 시키려는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 혹은 관리담당자나 민원인의 요청에 의해 DB관리서버로부터 출력된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차이가 있을 경우 이를 즉시 DB관리서버의 기저장된 데이터에 반영하여 업데이트시키는 정보 신속업데이트과정을 포함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 DB정보 구축과정중에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DB관리서버에 기저장되어 있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업데이트를 위해 전송되는 해당 지번이나 번지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과 서로 비교한 후 차이가 나는 부분을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병합보정한다음 새로 산출된 해당 정보들을 DB관리서버에 넣어 업데이트시키는 정보 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 정보 보정단계중에 정보비교모듈이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과 서로 비교한 후 차이가 난 변경된 부분데이터를 차정보 표시모듈로 전송하고 차정보 표시모듈이 그 변경된 부분데이터들을 모두 수집하여 설정된 테이블에 넣어 저장한 후 이를 표시패널을 통해 외부에 음성이나 숫자 혹은 문자로 고지해주는 차정보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 DB정보 구축과정중에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종합정보 보정모듈을 통해 DB관리서버에 기저장되어 있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을 받은 각 조사업체의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신규 혹은 업데이트되는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에 기재된 해당 지번이나 번지의 GPS위치좌표들과 기설정되어 있는 GPS위치좌표 비교보정절차를 이용하여 서로 비교분석하고 차이가 나는 해당 위치를 설정된 규칙에 따라 보정하여 해당 위치좌표의 계획정보를 하나의 지도상에 통일되게 보정한 다음 그 통일되게 보정한 최종 계획정보를 DB관리서버에 업데이트 저장시키는 비교보정실행단계를 더 포함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 비교보정실행단계중에실시간 GPS위치좌표 보정모듈이종합정보 보정모듈과 연동하면서 기관 종합관리서버의 기능제어하에 DB관리서버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에 기재된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의 GPS위치좌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GPS위치좌표가 실제위치에 있는지 해당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에 해당하는 GPS위치좌표를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받아 두 좌표를 서로 비교한 후 만약 이들 결과값에 차이가 발생했다면DB관리서버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의 해당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에 보정된GPS위치좌표를 기재하는 실시간 GPS위치좌표 보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비교보정실행단계에는 종합정보 보정모듈이실시간 GPS위치좌표 보정모듈과 연동하면서 기관 종합관리서버의 기능제어하에 차이가 나는 해당 위치를 보정하는 설정된 규칙에 각지도데이터들의 포맷이 달라 차이가 나는 경우일 경우 기 설정된 하나의 지도데이터 포맷을 기준으로해당 위치좌표의 계획정보를 하나의 지도상에 모두 통일되게 보정하는 기준포맷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 DB정보 구축과정중에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정보감시모듈을 통해 조사업체서버와 연동하면서 해당 조사업체서버의 DB로 입력되는 위임받아 조사된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가 최종본인지를 확인한 다음 만약 최종본일 경우 즉시 해당 정보를 DB관리서버로 가지고와 실시간으로 업로드 시키는 실시간 업로드단계를 더포함한다. 이때 상기 실시간 업로드단계에는 정보감시모듈이 해당 조사업체서버의 DB에 위임되어 조사된 정보가 최종본이 아닐 경우 해당 최종본이 언제쯤 업로드될 것인지를 퍼센트 형태로 표시해 줄 것을 해당 조사업체서버의 사용자단말기로 요청하는 정보관리단계를 더 포함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 DB정보 구축과정중에 기관 종합관리서버가전문가 진단모듈을 통해종합정보 보정모듈에 의해 최종 보정된 최종 계획정보를기설정되어 있는 전문가 단말기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표시되게 한 후 해당 전문가에 의해 긴급수정을 받은 후 그 수정된 최종 계획정보를 전문가 단말기를 통해 다시 설정된 포맷으로 전달받아 DB관리서버의 정보로 업데이트시키는 전문가 정보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상기 DB정보 구축과정중에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선별정보 전송모듈을 통해 조사업체서버의 위임된 정보에 포함된 사용선호도가 높지 않은 불필요한 정보까지 통째로 DB관리서버로 전송되지 않도록 위임된 정보중 필요한 정보만을 신속히 선별적으로 DB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정보선별단계를 더 포함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기관 종합관리서버가국가기관 혹은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위임받아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에 따른 각종 주제도나 조사를 실행하는 조사업체의 서버와 연동하면서 완성된 해당 조사업체서버의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를 즉시 요청받아 체계적으로 처리하므로 써,다수의민원인들이 최신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정보들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 그에 따라 국가계획이나 토지계획에 의한 재산권의 변동에 따른 손실발생을 최소화함은 물론 정보의 사용편의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각 조사업체로부터 입력되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에 따른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을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서로 분석하고 해당 정보들을 하나의 지도상에 통일되게 위치되도록 보정한 다음 그 보정한 최종 정보를 신속히 활용할 수 있게하므로써, 국가나 지자체에서 외부로 출력되는 정보들을 민원인들이 일치된 기준으로 판별할 수 있게 하므로 그에 따라 정보의 신뢰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GIS 정보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기관 종합관리서버의 기능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기관 종합관리서버의 기능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을 받은 토지 혹은 건물에 대해 실제 측량에 의한 작성되거나 또는 예측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작성되는 다수의 주제도 데이터에 연동되도록 속성정보 및 GIS 정보 등과 유기적으로 결합되게 맵(map) 데이터를 구성하여 저장하고 이들 정보를 갱신시키는 DB관리서버(1)와;
상기 DB관리서버(1)와 연동하면서 DB관리서버(1)에 저장되어 있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위해 제작된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정보들을 분석하고 이들 정보들이 실제 위치의 GPS위치좌표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여 보정하는 작업을 제어하며, 실시간으로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정보들에 대한 업데이트 및 입출력 작업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기관 종합관리서버(2)와;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에 유무선 통신망(3)을 경유하여 접속한 후 설정된 입출력메뉴를 통해 인증한 다음 필요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관리되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열람하거나 출력시키는 사용자 단말기(4a-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되어 있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업데이트를 위해 전송되는 해당 지번이나 번지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과 서로 비교한 후 차이가 나는 부분을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보정한 다음 새로 산출된 해당 정보들을 DB관리서버(1)에 넣어 업데이트시키는 정보비교모듈(5)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비교모듈(5)에는 기저장되어 있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업데이트를 위해 전송되는 해당 지번이나 번지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과 서로 비교한 후 차이가 나는 부분데이터를 별도의 테이블(도시 안됨)에 넣어 저장한 후 이를 표시패널(6)을 통해 외부에 음성이나 숫자 혹은 문자로 고지해주는 차정보 표시모듈(7)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정보비교모듈(5)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지능 기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의 비교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제1 조사업체서버(8d)의 사용자 계정과 DB관리서버(1)의 관리자 계정간에 전송된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이하 주제도정보라 함)를 기초로, 제1 조사업체서버(8d)의 변경된 주제도정보를 추출하는 변경정보추출기능을 더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DB관리서버(1)에 저장된 주제도상의 토지구역 지번정보를 기초로, 제1 조사업체서버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제1 사용자 단말기(20d)를 통해 전송된 가공된 주제도에서 제1 조사업체서버(8d)가 활용한 토지구역 지번정보를 추출하는 지번추출기능을 더 포함하여 수행한다.
또한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제1 조사업체서버(8d)의 제1 사용자 단말기(20d)를 통해 조회된 토지구역 지번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조사업체서버(8d)에 의해 변경된 주제도의 영역을 추출하는 영역추출기능을 더 포함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제1 조사업체서버(8d)에 의해 변경된 토지구역 지번정보 및 주제도 영역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조사업체서버(8d)에 의해 변경된 주제도상의 건물이나 지형정보를 분석하는 분석기능을 더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제1 조사업체서버(8d)에 의해 변경된 주제도상의 건물이나 지형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1 인공 신경망(21)에 입력하고, 상기 제1 인공 신경망(21)으로부터 출력을 획득하는 결과출력기능과, 상기 제1 인공 신경망(21)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DB관리서버(1)에 기저정된 주제도정보의 해당 토지구역의 콘텐츠가 제1 조사업체서버(8d)에 의해 변경되었는지를 판별하는 판별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조사업체서버는 각 조사업체서버(8a-n)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에는 DB관리서버(1)에 기저정된 주제도정보의 콘텐츠에 대한 변경이 판별될 경우 상기 주제도정보의 콘텐츠에 대한 변경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의 차정보 표시모듈(7)로 전송하는 알림전송기능을 더 포함하여 수행한다.
이때 상기 알림전송단계의 알림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상기 DB관리서버(1)에 기저정된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와 제1 조사업체서버(8d)에 의해 변경된 해당 토지구역의 콘텐츠의 내용을 다시 확인하는 변경정보 확인기능을 더 포함하여 수행한다.
더 나아가 상기 변경정보 확인기능중에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토지구역의 콘텐츠의 변경기간을 확인하고 변경 기간이 제1 기간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1 기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기간 내에서 제2 기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DB관리서버(1)에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가 저장되는 시점부터 상기 제2 기간이 지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의 관리자 단말기(16a)로 변경된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에 대해 촬영하고 그 생성된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이미지 획득기능을 더 포함하여 수행한다.
또한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상기 DB관리서버(1)에 기저정되어 있던 해당 주제도의 콘텐츠를 찰영한 제1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용량값을 연산하여 제1 기준 데이터량값으로 설정하는 제1 기준 데이터량값 설정기능과, 제2 이미지를 기초로, 제2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용량값을 연산하여 제2 기준 데이터량값으로 설정하는 제2 기준 데이터량값 설정기능과, 상기 제1 기준 데이터량값에서 제2 기준 데이터량값을 차감하여 제1 갭값(gap value)을 산출하는 차이산출기능과, 상기 차이산출단계에 의해 차이가 발생할 경우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에 대한 내용변경이 확실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16a)로 전송하는 메지지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의 관리자 단말기(16a)로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에 대한 타 조사업체서버의 사용여부를 확인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확인메시지기능을 더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상기와 같이 설정된 제2 기간이 넘는 시점에, 제1 조사업체서버(8d)에 의해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가 변경되는 동안 타 조사업체서버(8a-n)에서 해당 콘텐츠를 사용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경우 해당 확인사항을 표시패널(6)을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확인사항 표시기능을 더 포함하여 수행한다.
또한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상기와 같이 설정된 제2 기간이 넘는 시점에, 제1 조사업체서버(8d)에 의해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가 변경되는 동안 타 조사업체서버(8a-n)에서 해당 콘텐츠를 사용하였음을 확인할 경우 해당 확인사항을 표시패널(6)을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변경결과 표시기능을 더 포함하여 수행한다.
또한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의 또 다른 일단에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을 받은 토지 혹은 건물에 대해 실제 측량에 의한 작성되거나 또는 예측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작성되는 다수의 주제도 데이터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을 받은 각 조사업체서버(8a-n)로부터 입력되는 신규 혹은 업데이트되는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에 기재된 해당 지번이나 번지의 GPS위치좌표를 기설정되어 있는 GPS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서로 비교분석하고 차이가 나는 해당 위치를 설정된 규칙에 따라 예컨대,각자 다른 지도데이터들의 포맷을 일정기준을 통해 하나로 정리하여 해당 위치좌표의 계획정보를 하나의 지도상에 통일되게 보정한 다음 그 통일되게 보정한 최종 계획정보를 DB관리서버(1)에 업데이트 저장시키는 종합정보 보정모듈(9)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에 기재된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의 GPS위치좌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GPS위치좌표가 실제위치에 있는지 해당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에 해당하는 GPS위치좌표를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받아 두 좌표를 서로 비교한 후 만약 이들 결과값에 차이가 발생했다면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의 해당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에 보정된GPS위치좌표를 기재하는 실시간 GPS위치좌표 보정모듈(10)을 더 포함한다.
또한상기 종합정보 보정모듈(9)은 기관 종합관리서버(2)의 기능제어하에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에 기재된 토지의 면적정보들의 오류를 비교검출하여 보정하는 기능도 더 실행한다.
즉, 상기 종합정보 보정모듈(9)은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중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를 매개로 하여 각종 토지의 관련정보들이 기재된 2이상의 제1 비교자료와 제2 비교자료를 설정하는데, 이때, 상기 제1 비교자료는 지적도로 설정되고, 제2 비교자료는 토지대장으로 설정되며, 상기 지적도와 토지대장 내의 동일 번지나 지번의 용도지역을 제1 용도지역으로 설정한다.
즉, 상기 종합정보 보정모듈(9)은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 중 상기 제1 비교자료와 제2 비교자료를 비교하여 토지의 면적정보의 오류를보정하기 위해,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중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를 매개로 하여 각종 토지의 관련정보들이 기재된 지적도를 제1 비교자료, 토지대장을 제2 비교자료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비교자료에 포함되는 제1 용도 지역의 면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2 비교자료에 포함되는 제1 용도 지역의 면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비교자료에서 추출한 제1용도 지역의 면적과 상기 제2 비교자료에서 추출한 제1 용도 지역의 면적을 서로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지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제1 비교자료의 제1용도 지역의 면적과 제2 비교자료의 제1용도 지역의 면적이 서로 차이가 날 경우 상기 제 1 비교자료와 제2 비교자료의 해당 토지의 지번 혹은 번지에 해당하는 제1 용도지역의 면적을 계산하여 실제 면적값을 산출하는 단계,
실제 면적값을 산출하는 단계에 의해 실제 면적값이 산출되면 이를 기준값으로 상기 제1 비교자료의 제1용도 지역의 면적과 제2 비교자료의 제1용도 지역의 면적을 실제값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토지대장은 토지의 소재.지번.지목.면적, 소유자의 주소.주민등록번호.성명 또는 명칭 등을 등록하여 토지의 상황을 명확하게 하는 장부(네이버 지식백과 참조)이다.
상기 지적도는 모든 땅은 쓰임새에 따라 분류되는데, 크게는 토지와 임야로 분류되어 있지만 ‘토지’라는 용어는 토지와 임야를 포함한 모든 땅에 대한 통칭으로 쓰일 때가 많으며, 이러한 토지를 좀 더 세분하여 필지별로 구분하고 땅의 경계를 그어놓은 것이 지적도(cadastral map 또는 land registration map)이고, 지적도는 토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중요한 공문서의 일종으로 토지의 소재, 지번, 지목, 면적, 소유자의 주소, 성명, 토지의 등급 등 토지의 권리를 행정적 또는 사법적으로 관리하는 데 이용되며, 지적은 1필지(parcel)의 토지에 대한 정보를 총괄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공적등록부로서 하나의 획지(lot)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상기 용도지역은 토지의 이용이나 건축물의 용도ㆍ건폐율ㆍ용적률ㆍ높이 등을 제한함으로써, 토지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서로 중복되지 않게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을 말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한편, 상기기관 종합관리서버(2)의 또 다른 일단에는 종합정보 보정모듈(9)에 의해 최종 보정된 최종 계획정보를기설정되어 있는전문가 단말기(11a-n)로 유무선 통신망(3)을 통해 전송하여 표시되게 한 후 해당 전문가에 의해 긴급수정을 받은 후 그 수정된 최종 계획정보를 전문가 단말기(11a-n)를 통해 다시 설정된 포맷으로 전달받아 DB관리서버(1)의 정보로 업데이트시키는 전문가 진단모듈(12)을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의 또 다른 일단에는 조사업체서버(8a-n)와 연동하면서 해당 조사업체서버(8a-n)의 DB(13)에 항상 접속하고 해당 DB(13)로 입력되는 위임받아 조사된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가 최종본인지를 확인한 다음 만약 최종본일 경우 즉시 해당 정보를 DB관리서버(1)로 가지고와 업로드 시키는 정보감시모듈(14)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감시모듈(14)은 상기 과정중에 해당 조사업체서버(8a-n)의 DB(13)에 위임되어 조사된 정보가 최종본이 아닐 경우 해당 최종본이 언제쯤 업로드될 것인지를 퍼센트로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의 또 다른 일단에는 유무선 통신망(3)을 경유하여 조사업체서버(8a-n)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서버(15a-n)에 비치된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5a-n)와 연동하면서 현재 DB관리서버(1)로 업데이트 시키려는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 혹은 관리담당자나 민원인의 요청에 의해 DB관리서버(1)로부터 출력된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 차이가 있을 경우 예컨대, 소유자의 권리관계의 변경이나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의 내용이 변경될 경우 이를 즉시 DB관리서버(1)의 기저장된 데이터에 반영하여 업데이트시키는 정보검토모듈(17)을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의 또 다른 일단에는 조사업체서버(8a-n)의 위임된 정보에 포함된 사용선호도가 높지 않은 불필요한 정보까지 통째로 DB관리서버(1)로 전송되지 않도록 위임된 정보중 필요한 정보만을 신속히 선별적으로 DB관리서버(1)로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선별정보 전송모듈(18)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상기 주제도에는 예컨대, 행정구역도, 지형도, 삼림도, 항공도, 군사도, 인구분포도, 하천도, 토질도, 행정구역도, 축척별 지형도, 지하시설물도, 국토이용계획도, 지형지번도, 토지이용현황도, 도시계획도, 및 도로망도 등 이 포함되고, 이러한 주제도 데이터에 속성정보 및 GIS 정보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맵(map) 데이터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제도데이터에는 토지 현황, 표고, 경사도, 지가, 지적, 지목 등의 기초 속성정보와 공간, 영역 등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도 포함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S1)에서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을 받은 토지 혹은 건물에 대해 실제 측량에 의한 작성되거나 또는 예측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작성되는 다수의 주제도 데이터를 조사업체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이 데이터에 속성정보 및 GIS 정보 등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맵(map) 데이터를 구성하여 DB관리서버에 저장시키는 DB정보 구축과정(S2)과;
상기 DB정보 구축과정(S2)후에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조사업체서버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비치된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연동하면서 현재 DB관리서버로 업데이트 시키려는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 혹은 관리담당자나 민원인의 요청에 의해 DB관리서버로부터 출력된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차이가 있을 경우 이를 즉시 DB관리서버의 기저장된 데이터에 반영하여 업데이트시키는 정보 신속업데이트과정(S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DB정보 구축과정(S2)에는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DB관리서버에 기저장되어 있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업데이트를 위해 전송되는 해당 지번이나 번지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과 서로 비교한 후 차이가 나는 부분을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병합보정한다음 새로 산출된 해당 정보들을 DB관리서버에 넣어 업데이트시키는 정보 보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정보 보정단계중에는 정보비교모듈이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과 서로 비교한 후 차이가 난 변경된 부분데이터를 차정보 표시모듈로 전송하고 차정보 표시모듈이 그 변경된 부분데이터들을 모두 수집하여 설정된 테이블에 넣어 저장한 후 이를 표시패널을 통해 외부에 음성이나 숫자 혹은 문자로 고지해주는 차정보 표시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DB정보 구축과정(S2)에는 기관 종합관리서버의 정보비교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지능 기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의 비교보정 방법에 있어서, 제1 조사업체서버의 사용자 계정과 DB관리서버의 관리자 계정 간에 전송된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이하 주제도정보라 함)를 기초로, 제 1 조사업체서버의 변경된 주제도정보를 추출하는 변경정보추출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DB정보 구축과정(S2)에는 DB관리서버에 저장된 주제도상의 토지구역 지번정보를 기초로, 제1 조사업체서버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송된 가공된 주제도에서 제1 조사업체서버가 활용한 토지구역 지번정보를 추출하는 지번추출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DB정보 구축과정(S2)에는 상기 제1 조사업체서버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조회된 토지구역 지번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조사업체서버에 의해 변경된 주제도의 영역을 추출하는 영역추출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DB정보 구축과정(S2)에는 상기 제1 조사업체서버에 의해 변경된 토지구역 지번정보 및 주제도 영역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조사업체서버에 의해 변경된 주제도상의 건물이나 지형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DB정보 구축과정(S2)에는 상기 제1 조사업체서버에 의해 변경된 주제도상의 건물이나 지형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1 인공 신경망에 입력하고, 상기 제1 인공 신경망으로부터 출력을 획득하는 결과출력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DB정보 구축과정(S2)에는 상기 제1 인공 신경망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DB관리서버에 기저정된 주제도정보의 해당 토지구역의 콘텐츠가 조사업체서버에 의해 변경되었는지를 판별하는 판별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판별단계후에는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DB관리서버에 기저정된 주제도정보의 콘텐츠에 대한 변경이 판별될 경우 상기 주제도정보의 콘텐츠에 대한 변경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의 차정보 표시모듈로 전송하는 알림전송단계 더 포함한다.
상기 알림전송단계의 알림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상기 DB관리서버에 기저정된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와 조사업체서버에 의해 변경된 해당 토지구역의 콘텐츠의 내용을 다시 확인하는 변경정보 확인단계 더 포함한다.
상기 변경정보 확인단계중에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토지구역의 콘텐츠의 변경기간을 확인하되, 변경 기간이 제1 기간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1 기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기간 내에서 제2 기간이 설정되며, 상기 DB관리서버에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가 저장되는 시점부터 상기 제2 기간이 지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는 관리자 단말기로 변경된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에 대해 촬영하고 그 생성된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이미지 획득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는 상기 DB관리서버에 기저정되어 있던 해당 주제도의 콘텐츠를 찰영한 제1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용량값을 연산하여 제1 기준 데이터량값으로 설정하는 제1 갭값 설정단계와,
제2 이미지를 기초로, 제2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용량값을 연산하여 제2 기준 데이터량값으로 설정하는 제2 기준 데이터량값 설정단계와,
상기 제1 기준 데이터량값에서 제2 기준 데이터량값을 차감하여 제1 갭값을 산출하는 차이산출단계와,
상기 차이산출단계에 의해 차이가 발생할 경우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에 대한 내용변경이 확실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지지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더 나아가 상기 판별단계에는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관리자 단말기로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에 대한 타 조사업체서버의 사용여부를 확인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확인메시지단계와;
상기 확인메시지단계후에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설정된 제2 기간이 넘는 시점에, 제1 조사업체서버에 의해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가 변경되는 동안 타 조사업체서버에서 해당 콘텐츠를 사용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경우 해당 확인사항을 표시패널을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확인사항 표시단계와;
상기 확인메시지단계후에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설정된 제2 기간이 넘는 시점에, 제1 조사업체서버에 의해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가 변경되는 동안 타 조사업체서버에서 해당 콘텐츠를 사용하였음을 확인할 경우 해당 확인사항을 표시패널을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변경결과 표시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DB정보 구축과정(S2)에는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종합정보 보정모듈을 통해 DB관리서버에 기저장되어 있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을 받은 각 조사업체의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신규 혹은 업데이트되는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에 기재된 해당 지번이나 번지의 GPS위치좌표들과 기설정되어 있는 GPS위치좌표 비교보정절차를 이용하여 서로 비교분석하고 차이가 나는 해당 위치를 설정된 규칙에 따라 보정하여 해당 위치좌표의 계획정보를 하나의 지도상에 통일되게 보정한 다음 그 통일되게 보정한 최종 계획정보를 DB관리서버에 업데이트 저장시키는 비교보정실행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비교보정실행단계에는실시간 GPS위치좌표 보정모듈이종합정보 보정모듈과 연동하면서 기관 종합관리서버의 기능제어하에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에 기재된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의 GPS위치좌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GPS위치좌표가 실제위치에 있는지 해당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에 해당하는 GPS위치좌표를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받아 두 좌표를 서로 비교한 후 만약 이들 결과값에 차이가 발생했다면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의 해당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에 보정된GPS위치좌표를 기재하는 실시간 GPS위치좌표 보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비교보정실행단계에는 종합정보 보정모듈이실시간 GPS위치좌표 보정모듈과 연동하면서 기관 종합관리서버의 기능제어하에 차이가 나는 해당 위치를 보정하는 설정된 규칙에 각지도데이터들의 포맷이 달라 차이가 나는 경우일 경우 기 설정된 하나의 지도데이터 포맷을 기준으로해당 위치좌표의 계획정보를 하나의 지도상에 모두 통일되게 보정하는 기준포맷 설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비교보정실행단계에는 상기 종합정보 보정모듈(9)이 기관 종합관리서버(2)의 기능제어하에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에 기재된 토지의 면적정보들의 오류를 비교검출하여 보정하는 오류보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DB정보 구축과정(S2)에는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정보감시모듈을 통해 조사업체서버와 연동하면서 해당 조사업체서버의 DB로 입력되는 위임받아 조사된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가 최종본인지를 확인한 다음 만약 최종본일 경우 즉시 해당 정보를 DB관리서버로 가지고와 실시간으로 업로드 시키는 실시간 업로드단계를 더포함한다. 이때 상기 실시간 업로드단계에는 정보감시모듈이 해당 조사업체서버의 DB에 위임되어 조사된 정보가 최종본이 아닐 경우 해당 최종본이 언제쯤 업로드될 것인지를 퍼센트 형태로 표시해 줄 것을 해당 조사업체서버의 사용자단말기로 요청하는 정보관리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상기 DB정보 구축과정(S2)에는 기관 종합관리서버가전문가 진단모듈을 통해종합정보 보정모듈에 의해 최종 보정된 최종 계획정보를기설정되어 있는 전문가 단말기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표시되게 한 후 해당 전문가에 의해 긴급수정을 받은 후 그 수정된 최종 계획정보를 전문가 단말기를 통해 다시 설정된 포맷으로 전달받아 DB관리서버의 정보로 업데이트시키는 전문가 정보보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DB정보 구축과정(S2)에는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선별정보 전송모듈을 통해 조사업체서버의 위임된 정보에 포함된 사용선호도가 높지 않은 불필요한 정보까지 통째로 DB관리서버로 전송되지 않도록 위임된 정보중 필요한 정보만을 신속히 선별적으로 DB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정보선별단계를 더 포함한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은 먼저,기관 종합관리서버(2)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을 받은 토지 혹은 건물에 대해 실제 측량에 의한 작성되거나 또는 예측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작성되는 다수의 주제도 데이터를 조사업체서버(8a-n)로부터 전송받아 이 데이터에 속성정보 및 GIS 정보 등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맵(map) 데이터를 구성하여 DB관리서버(1)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또한 정보감시모듈(14)을 통해 유무선 통신망(3)을 경유하여 조사업체서버(8a-n)와 연동하면서 해당 조사업체서버(8a-n)로부터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를 전송받아 DB관리서버(1)로 업데이트시키고, 아울러 국가나 각 지방자치단체서버(15a-n)에 비치된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6a-n)의 설정된 입출력메뉴를 통해 관리담당자나 민원인의 요청이 있을 경우 요청한 정보데이터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16a-n)로 전송하고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16a-n)로 변경된 정보가 업로드될 경우 업로드 되는 정보데이터를 DB관리서버(1)로부터 기 출력된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와 비교 분석하며, 그 분석결과에 차이가 나는 변경이 있을 경우 이를 즉시 DB관리서버(1)의 기저장된 데이터에 반영하여 업데이트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은 DB구축과정에서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정보비교모듈(5)을 통해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되어 있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각 조사업체서버(8a-n)와, 국가나 각 지방자치단체서버(15a-n)에 비치된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16a-n)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지번이나 번지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과 서로 비교한 후 차이가 나는 변경부분이 있을 경우 그 변경부분을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병합보정한다음 그 새로 산출된 해당 정보들을 DB관리서버(1)에 넣어 업데이트시킨다.
이때 상기 정보 보정단계중에 기관 종합관리서버(2)의 기능제어를 받는 정보비교모듈(5)은 차이에 의해 변경된 부분데이터를 차정보 표시모듈(7)로 전송하고 차정보 표시모듈(7)은 그 변경된 부분데이터들을 모두 수집하여 기설정된 별도의 테이블(도시 안됨)에 넣어 저장한 후 이를 표시패널(6)을 통해 외부로 음성이나 숫자 혹은 문자로 고지해주어 관련자들이 이를 인지하게 해준다.
한편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DB정보 구축과정에서, 정보비교모듈(5)에 의해 수행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의 비교보정을 실행하는데,
이 과정에서 제1 조사업체서버(8d)의 사용자 계정과 DB관리서버(1)의 관리자 계정 간에 전송된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이하 주제도정보라 함)를 기초로, 제1 조사업체서버의 변경된 주제도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조사업체서버는 각 조사업체서버(8a-n)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상기 DB관리서버(1)에 저장된 주제도상의 토지구역 지번정보를 기초로, 제1 조사업체서버(8d)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제1 사용자 단말기(20d)를 통해 전송된 가공된 주제도에서 제1 조사업체서버가 활용한 토지구역 지번정보를 추출한 다음 상기 제1 조사업체서버(8d)의 제1 사용자 단말기(20d)를 통해 조회된 토지구역 지번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조사업체서버에 의해 변경된 주제도의 영역을 추출한다.
또한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제1 조사업체서버(8d)에 의해 변경된 토지구역 지번정보 및 주제도 영역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조사업체서버(8d)에 의해 변경된 주제도상의 건물이나 지형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제1 조사업체서버(8d)에 의해 변경된 주제도상의 건물이나 지형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1 인공 신경망에 입력시킨 다음 제1 인공 신경망(21)으로부터 출력을 획득한다.
더 나아가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제1 인공 신경망(21)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DB관리서버(1)에 기저정된 주제도정보의 해당 토지구역의 콘텐츠가 제1 조사업체서버(8d)에 의해 변경되었는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DB관리서버(1)에 기저정된 주제도정보의 콘텐츠에 대한 변경으로 판별될 경우 상기 주제도정보의 콘텐츠에 대한 변경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의 차정보 표시모듈(7)로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상기 알림전송단계의 알림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DB관리서버(1)에 기저정된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와 제1 조사업체서버(8d)에 의해 변경된 해당 토지구역의 콘텐츠의 내용을 다시 확인한 다음 토지구역의 콘텐츠의 변경기간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변경 기간이 제1 기간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1 기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기간 내에서 제2 기간이 설정되며, 상기 DB관리서버(1)에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가 저장되는 시점부터 상기 제2 기간이 지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의 관리자 단말기(16a)로 변경된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에 대해 촬영하고 그 생성된 제2 이미지를 획득하여 저장시킨다.
또한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상기 DB관리서버(1)에 기저정되어 있던 해당 주제도의 콘텐츠를 찰영한 제1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용량값을 연산하여 제1 기준 데이터량값으로 설정하고, 제2 이미지를 기초로, 제2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용량값을 연산하여 제2 기준 데이터량값으로 설정한 다음 상기 제1 기준 데이터량값에서 제2 기준 데이터량값을 차감하여 제1 갭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상기 차이산출과정에서 차이가 발생할 경우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에 대한 내용변경이 확실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16a)로 전송한다.
더 나아가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관리자 단말기(16a)로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에 대한 타 조사업체서버(8a-n)의 사용여부를 확인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설정된 제2 기간이 넘는 시점에, 제1 조사업체서버(8d)에 의해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가 변경되는 동안 타 조사업체서버(8a-n)에서 해당 콘텐츠를 사용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경우 해당 확인사항을 표시패널(6)을 통해 외부로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설정된 제2 기간이 넘는 시점에, 제1 조사업체서버(8d)에 의해 주제도정보의 토지구역의 콘텐츠가 변경되는 동안 타 조사업체서버에서 해당 콘텐츠를 사용하였음을 확인할 경우 해당 확인사항을 표시패널(6)을 통해 외부로 표시한다.
한편 상기 DB정보 구축과정중에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정보감시모듈(14)을 통해 조사업체서버(8a-n)와 연동하면서 해당 조사업체서버(8a-n)의 DB(13)로 입력되는 위임받아 조사된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가 최종본인지를 확인한 다음 만약 최종본일 경우 즉시 해당 정보를 DB관리서버(1)로 가지고와 실시간으로 업로드 시키는 실시간 업로드과정을 더 실행한다. 이때 상기 실시간 업로드 중에 상기 정보감시모듈(14)은 기관 종합관리서버(2)의 기능제어하에 해당 조사업체서버(8a-n)의 DB()에 위임되어 조사된 정보가 최종본이 아닐 경우 해당 최종본이 언제쯤 업로드될 것인지를 퍼센트 형태로 표시해 줄 것을 해당 조사업체서버(8a-n)의 사용자단말기(4a-n)로 요청하여 전송되는 위임정보가 신속히 업로드 되도록 관리한다.
더 나아가 상기 DB정보 구축과정중에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종합정보 보정모듈(9)을 통해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되어 있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을 받은 각 조사업체의 서버(8a-n)로부터 입력되는 신규 혹은 업데이트되는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에 기재된 해당 지번이나 번지의 GPS위치좌표들과 기설정되어 있는 GPS위치좌표 비교보정절차를 이용하여 서로 비교분석하고 차이가 나는 해당 위치를 설정된 규칙에 따라 보정하여 해당 위치좌표의 계획정보를 하나의 지도상에 통일되게 보정한 다음 그 통일되게 보정한 최종 계획정보를 DB관리서버(1)에 업데이트 저장시키므로 써, 입출력되는 정보가 서로 차이가 날 경우 이를 보정하는 절차를 이행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실시간 GPS위치좌표 보정모듈(10)의 기능을 제어하여종합정보 보정모듈(9)과 연동하면서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에 기재된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의 GPS위치좌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종합정보 보정모듈(9)은실시간 GPS위치좌표 보정모듈(10)과 연동하면서 그 선택된 GPS위치좌표가 실제위치에 있는지 해당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에 해당하는 GPS위치좌표를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받아 두 좌표를 서로 비교한다.
이때 만약 이들 결과값에 차이가 발생했다면 상기종합정보 보정모듈(9)은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의 해당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에 보정된GPS위치좌표를 기재한다.
또한상기 종합정보 보정모듈(9)은 기관 종합관리서버(2)의 기능제어하에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에 기재된 토지의 면적정보들의 오류를 비교검출하여 보정하는 기능를 더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종합정보 보정모듈(9)은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중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를 매개로 하여 각종 토지의 관련정보들이 기재된 2이상의 제1 비교자료와 제2 비교자료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1 비교자료는 지적도로 설정되고, 제2 비교자료는 토지대장으로 설정되며, 상기 지적도와 토지대장 내의 동일 번지나 지번의 용도지역을 제1 용도지역으로 설정한다.
즉, 상기 종합정보 보정모듈(9)은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 중 상기 제1 비교자료와 제2 비교자료를 비교하여 토지의 면적정보의 오류를보정하기 위해,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중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를 매개로 하여 각종 토지의 관련정보들이 기재된 지적도를 제1 비교자료, 토지대장을 제2 비교자료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 비교자료, 제2 비교자료가 설정되면, 상기 종합정보 보정모듈(9)은 해당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를 매개로 상기 제1 비교자료에 포함되는 제1 용도 지역의 면적을 추출하고, 동시에 상기 제2 비교자료에 포함되는 제1 용도 지역의 면적을 추출한다.
또한 상기 종합정보 보정모듈(9)은 상기 제1 비교자료에서 추출한 제1용도 지역의 면적과 상기 제2 비교자료에서 추출한 제1 용도 지역의 면적을 서로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지 검출한다.
이때 상기 종합정보 보정모듈(9)은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제1 비교자료의 제1용도 지역의 면적과 제2 비교자료의 제1용도 지역의 면적이 서로 차이가 날 경우 상기 제 1 비교자료와 제2 비교자료의 해당 토지의 지번 혹은 번지에 해당하는 제1 용도지역의 면적을 계산하여 실제 면적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종합정보 보정모듈(9)은 실제 면적값을 산출하는 단계에 의해 실제 면적값이 산출되면 이를 기준값으로 상기 제1 비교자료의 제1용도 지역의 면적과 제2 비교자료의 제1용도 지역의 면적을 실제값으로 보정하므로써, DB관리서버(1)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에 포함된 토지의 면적정보의 오류를 바로 잡는다.
여기서, 상기 토지대장은 토지의 소재.지번.지목.면적, 소유자의 주소.주민등록번호.성명 또는 명칭 등을 등록하여 토지의 상황을 명확하게 하는 장부(네이버 지식백과 참조)이다.
상기 지적도는 모든 땅은 쓰임새에 따라 분류되는데, 크게는 토지와 임야로 분류되어 있지만 ‘토지’라는 용어는 토지와 임야를 포함한 모든 땅에 대한 통칭으로 쓰일 때가 많으며, 이러한 토지를 좀 더 세분하여 필지별로 구분하고 땅의 경계를 그어놓은 것이 지적도(cadastral map 또는 land registration map)이고, 지적도는 토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중요한 공문서의 일종으로 토지의 소재, 지번, 지목, 면적, 소유자의 주소, 성명, 토지의 등급 등 토지의 권리를 행정적 또는 사법적으로 관리하는 데 이용되며, 지적은 1필지(parcel)의 토지에 대한 정보를 총괄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공적등록부로서 하나의 획지(lot)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상기 용도지역은 토지의 이용이나 건축물의 용도ㆍ건폐율ㆍ용적률ㆍ높이 등을 제한함으로써, 토지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서로 중복되지 않게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을 말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한편, 상기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종합정보 보정모듈(9)의 기능을 제어하여실시간 GPS위치좌표 보정모듈(10)과 연동하면서 차이가 나는 해당 위치를 보정하는 설정된 규칙에 각지도데이터들의 포맷이 달라 차이가 나는 경우일 경우 기 설정된 하나의 지도데이터 포맷을 기준으로해당 위치좌표의 계획정보를 하나의 지도상에 모두 통일되게 보정하는 기준포맷 설정과정을 더 실행한다.
더 나아가 상기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상기와 같은 DB정보 구축과정중에전문가 진단모듈(12)을 제어하여종합정보 보정모듈(9)에 의해 최종 보정된 최종 계획정보를기설정되어 있는 전문가 단말기(11a-n)로 유무선통신망(3)을 통해 전송하여 해당 전문가 단말기(11a-n)의 화면상에 긴급처리정보로 표시되게 하고 해당 전문가가 이를 확인한 후 상기보정된 최종 계획정보를 검토한 다음 필요한긴급수정을 행한 다음 그 수정된 최종 계획정보를 전문가 단말기(11a-n)를 통해 다시 설정된 포맷 예컨대, 디지털포맷형태로하여 재전송해주면 이를 전달받아 DB관리서버(1)의 정보로 업데이트시키므로 써, 해당 전문가가 다시 한 번 정보를 보정하여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DB정보 구축과정에 기관 종합관리서버(2)는 또한 선별정보 전송모듈(18)을 통해 조사업체서버(8a-n)의 위임된 정보에 포함된 사용선호도가 높지 않은 불필요한 정보까지 통째로 DB관리서버(1)로 전송되지 않도록 위임된 정보중 필요한 정보만을 신속히 선별적으로 DB관리서버(1)로 전송되도록 설정하므로 써, 정보전송시 불필요하게 통신 트래픽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데이터전송 및 처리 프로세싱을 간편하면서도 신속히 처리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와 별개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DB관리서버 2 : 기관 종합관리서버
3 : 유무선 통신망 4a-n: 사용자 단말기
5 :정보비교모듈 6 : 표시패널
7 : 차정보 표시모듈 8a-n: 조사업체서버
9 : 종합정보 보정모듈 10:실시간 GPS위치좌표 보정모듈
11a-n:전문가 단말기 12: 전문가 진단모듈
13: DB 14:정보감시모듈
15a-n:국가나 지방자치단체서버 16a-n:클라이언트 단말기
17:정보검토모듈 18:선별정보 전송모듈
19: GPS위성 20a-n: 단말기
21: 제1 인공 신경망

Claims (3)

  1.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을 받은 토지 혹은 건물에 대해 실제 측량에 의한 작성되거나 또는 예측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작성되는 다수의 주제도 데이터를 조사업체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이 데이터에 속성정보 및 GIS 정보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맵데이터를 구성하여 DB관리서버에 저장시키는 DB정보 구축과정과;
    상기 DB정보 구축과정후에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조사업체서버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비치된 각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연동하면서 현재 DB관리서버로 업데이트 시키려는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 혹은 관리담당자나 민원인의 요청에 의해 DB관리서버로부터 출력된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차이가 있을 경우 이를 즉시 DB관리서버의 기저장된 데이터에 반영하여 업데이트시키는 정보 신속업데이트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DB정보 구축과정에는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DB관리서버에 기저장되어 있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업데이트를 위해 전송되는 해당 지번이나 번지의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과 서로 비교한 후 차이가 나는 부분을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병합보정한다음 새로 산출된 해당 정보들을 DB관리서버에 넣어 업데이트시키는 정보 보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B정보 구축과정중에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종합정보 보정모듈을 통해 DB관리서버에 기저장되어 있는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을 받은 각 조사업체의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신규 혹은 업데이트되는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에 기재된 해당 지번이나 번지의 GPS위치좌표들과 기설정되어 있는 GPS위치좌표 비교보정절차를 이용하여 서로 비교분석하고 차이가 나는 해당 위치를 설정된 규칙에 따라 보정하여 해당 위치좌표의 계획정보를 하나의 지도상에 통일되게 보정한 다음 그 통일되게 보정한 최종 계획정보를 DB관리서버에 업데이트 저장시키는 비교보정실행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B정보 구축과정중에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정보감시모듈을 통해 조사업체서버와 연동하면서 해당 조사업체서버의 DB로 입력되는 위임받아 조사된 국토계획 혹은 토지계획정보가 최종본인지를 확인한 다음 만약 최종본일 경우 즉시 해당 정보를 DB관리서버로 가지고와 실시간으로 업로드 시키는 실시간 업로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정보 보정단계중에는 정보비교모듈이 국토계획 또는 토지계획 혹은 도시계획정보들과 서로 비교한 후 차이가 난 변경된 부분데이터를 차정보 표시모듈로 전송하고 차정보 표시모듈이 그 변경된 부분데이터들을 모두 수집하여 설정된 테이블에 넣어 저장한 후 이를 표시패널을 통해 외부에 음성이나 숫자 혹은 문자로 고지해주는 차정보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보정실행단계에는 실시간 GPS위치좌표 보정모듈이종합정보 보정모듈과 연동하면서 기관 종합관리서버의 기능제어하에 DB관리서버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에 기재된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의 GPS위치좌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GPS위치좌표가 실제위치에 있는지 해당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에 해당하는 GPS위치좌표를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받아 두 좌표를 서로 비교한 후 만약 이들 결과값에 차이가 발생했다면DB관리서버에 기저장된 주제도 및 관련정보들의 해당 토지의 지번이나 번지에 보정된GPS위치좌표를 기재하는 실시간 GPS위치좌표 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비교보정실행단계에는 종합정보 보정모듈이실시간 GPS위치좌표 보정모듈과 연동하면서 기관 종합관리서버의 기능제어하에 차이가 나는 해당 위치를 보정하는 설정된 규칙에 각지도데이터들의 포맷이 달라 차이가 나는 경우일 경우 기 설정된 하나의 지도데이터 포맷을 기준으로해당 위치좌표의 계획정보를 하나의 지도상에 모두 통일되게 보정하는 기준포맷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업로드단계에는 정보감시모듈이 해당 조사업체서버의 DB에 위임되어 조사된 정보가 최종본이 아닐 경우 해당 최종본이 언제쯤 업로드될 것인지를 퍼센트 형태로 표시해 줄 것을 해당 조사업체서버의 사용자단말기로 요청하는 정보관리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B정보 구축과정에는 기관 종합관리서버가전문가 진단모듈을 통해종합정보 보정모듈에 의해 최종 보정된 최종 계획정보를기설정되어 있는 전문가 단말기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표시되게 한 후 해당 전문가에 의해 긴급수정을 받은 후 그 수정된 최종 계획정보를 전문가 단말기를 통해 다시 설정된 포맷으로 전달받아 DB관리서버의 정보로 업데이트시키는 전문가 정보보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B정보 구축과정에는 기관 종합관리서버가 선별정보 전송모듈을 통해 조사업체서버의 위임된 정보에 포함된 사용선호도가 높지 않은 불필요한 정보까지 통째로 DB관리서버로 전송되지 않도록 위임된 정보중 필요한 정보만을 신속히 선별적으로 DB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정보선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20172139A 2022-12-10 2022-12-10 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510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139A KR102510820B1 (ko) 2022-12-10 2022-12-10 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230031663A KR102533004B1 (ko) 2022-12-10 2023-03-10 최신 주제도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139A KR102510820B1 (ko) 2022-12-10 2022-12-10 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663A Division KR102533004B1 (ko) 2022-12-10 2023-03-10 최신 주제도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820B1 true KR102510820B1 (ko) 2023-03-17

Family

ID=858721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139A KR102510820B1 (ko) 2022-12-10 2022-12-10 국가 및 지자체의 국토계획 및 토지계획정보를 제공하는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230031663A KR102533004B1 (ko) 2022-12-10 2023-03-10 최신 주제도정보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663A KR102533004B1 (ko) 2022-12-10 2023-03-10 최신 주제도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0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1306A (zh) * 2023-11-07 2024-01-12 广州国测规划信息技术有限公司 国土空间规划成果审查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252A (ko) * 2001-01-29 2001-05-07 김계현 지아이에스에 기반한 수변구역 토지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50217A (ko) * 2002-06-05 2002-06-26 주용수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방법
KR20050058810A (ko) * 2003-12-12 2005-06-17 주식회사 에브리웨어 전자지도를 위한 영상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07195A (ko) * 2005-04-08 2006-10-13 (주)한국공간정보통신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토지정보 시스템
KR20100069132A (ko) * 2008-12-16 2010-06-24 김인규 휴대용 전자지도 장치
KR20200006501A (ko) *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252A (ko) * 2001-01-29 2001-05-07 김계현 지아이에스에 기반한 수변구역 토지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50217A (ko) * 2002-06-05 2002-06-26 주용수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방법
KR20050058810A (ko) * 2003-12-12 2005-06-17 주식회사 에브리웨어 전자지도를 위한 영상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07195A (ko) * 2005-04-08 2006-10-13 (주)한국공간정보통신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토지정보 시스템
KR20100069132A (ko) * 2008-12-16 2010-06-24 김인규 휴대용 전자지도 장치
KR20200006501A (ko) *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1306A (zh) * 2023-11-07 2024-01-12 广州国测规划信息技术有限公司 国土空间规划成果审查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004B1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ubizarreta et al. Smart city concept: What it is and what it should be
US20050255842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prehensive collection, aggregation and dissemin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US20190361847A1 (en) Spatial Linking Visual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533004B1 (ko) 최신 주제도정보 제공 방법
KR102230258B1 (ko)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US202101424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service to facilitate regulatory compliance
Stats Statistical standard for geographic areas 2023
Rajput et al. Urban policymaking for a developing city using a hybridized technique based on SWOT, AHP, and GIS
Munyati et al. Inferring urban household socio-economic conditions in Mafikeng, South Africa, using high spatial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CN113626408B (zh) 一种城市信息数据库构建方法及一张图显示方法
KR20180082648A (ko) 지하수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Nanni et al. From the smart city to the smart community, model and architecture of a real project: SensorNet
Haldorson High demand for local area level statistics–How do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s respond?
US20040068520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kyere et al. Implementation of a low-cost Ambulance Management System
Gotlib et al. Smart governance in the capital city of Warsaw with the use of ICT and geoinformation technologies
Kocalar Life Cycle Data Analysis for Smart Cities and Support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Mondal et al. Land information system using cadastral techniques, mining area of Raniganj, Barddhaman district, India
KR20240078539A (ko) 토지의 미래가치의 예측기능이 구비된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
Mahavir et al. Integration of existing information systems as a spatial eDemocracy tool for smart cities in India
Flentje et al. Landslide inventory and susceptibility zoning across SE Australia
Mehrer et al. A GIS-based archaeological predictive model an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North Carolin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US20060129919A1 (en) Disparate GIS file forma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lba et al. GIS applications in transportation analysis and planning
Šimbera Modeling population with topographic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