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이 생산하는 RPL1 단백질의 아미노말단(amino-terminal) 부위를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시켜 합성한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유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유도체를 항균, 항진균 및 항암용으로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의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항진균 및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 생산하는 RPL1 단백질의 아미노말단 부위를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시켜 합성한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유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유래 RPL1 단백질의 아미노 말단 부위 중 양친화성을 갖고 항생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인 HP(2-20)의 친수성 부위를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시켜 소수성 영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양친화성 구조를 갖는 항생 펩타이드를 합성하였다.
상기 항생 펩타이드를 합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Fmoc 아미노기 보호 용기를 이용한 메리필드(Merrifield)의 액상 고상법을 사용하였으며(Merrifield, RB.,J. Am. Chem. Soc., 85, 2149, 1963)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HP (2-20) 펩타이드의 17번째 아미노산인 글루타민과 19번째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산을 각각 트립토판으로 치환한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를 제조하였다(도 1참조). 이와 같이 제조된 항생 펩타이드를 분리·정제하고 그 순도를 확인한 결과 95% 이상의 순도를 나타내었으며, MALDI(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질량 분석법을 이용하여 얻은 분자량이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계산하여 얻은 분자량과 일치하므로 정확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항생 펩타이드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HP (2-20) 펩타이드의 17번째 아미노산인 글루타민과 19번째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산을 트립토판 이외의 다른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치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라닌, 이소루이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프롤린, 발린 및 루이신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HP (2-20) 펩타이드의 특정 아미노산을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시켜 소수성 부위가 증가되는 양친화성 구조로 합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번째 아미노산인 아르기닌과 10번째 아미노산인 글루탐산 및 20번째 아미노산인 리신을 상기에 기술한 소수성의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시켜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유도체를 항균, 항진균 및 항암용으로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우선,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가 상기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합성한 항생 펩타이드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균 활성은 균체가 분열되지 않는 펩타이드의 최소 농도인 생육 최소저해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이하 "MIC"라 약칭함)를 측정하여 관찰하였다.
그람 양성균으로써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와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를, 그람 음성균으로써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프로테우스 불가리스(Proteus vulgaris)를 사용하였으며,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와 양성 대조군으로 멜리틴(Melittin)을 사용하여 각 균주의 MIC 값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HP (2-20) 펩타이드에 비해 균주에 따라 10배 이상의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멜리틴과 비슷한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1참조).
또한, 대장균과B. 서브틸리스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의 항균활성을 LB 아가 배지에서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HP (2-20) 펩타이드에 비해 탁월한 항균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2및도 3참조).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의 항진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병원성 진균인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트리코스포론 베이겔라이(Trichosporon beigelii)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대상으로 각 균주의 MIC 값을 MTT 분석법으로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는 HP (2-20) 펩타이드에 비해 4배 이상의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멜리틴과 비슷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표 2참조).
또한, 상기 균주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의 항진균 활성을 PDB 아가 플레이트에서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는 HP (2-20) 펩타이드에 비해 탁월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4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가 암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백혈병 세포주인 AML-2/WT와 위암 세포주인 SNU 638 및 SNU 668을 대상으로 항암 활성을 측정한 결과, HP (2-20)은 항암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멜리틴의 경우에는 강한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도 5참조).
아울러,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세포독성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펩타이드의 적혈구 파괴능을 조사한 결과, HP (2-20)과 본 발명의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는 세포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 반면에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벌독인 멜리틴은 세포 독성이 매우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표 3참조).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는 탁월한 항균, 항진균 및 항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세포독성이 없기 때문에 인체에 안전한 항균, 항진균 및 항암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의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항진균 및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유도체는 임상투여시에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유도체는 실제로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유도체는 생리식염수 또는 유기용매와 같이 약제로 허용된 여러 전달체(carrier)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안정성이나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글루코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카보하이드레이트, 아스코르브 산(ascorbic acid) 또는 글루타치온과 같은 항산화제(antioxidants), 킬레이팅 물질(chelating agents), 저분자 단백질 또는 다른 안정화제(stabilizers)들이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유도체의 유효용량은 0.1 내지 2 ㎎/㎏이고,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1 ㎎/㎏ 이며, 하루 1 내지 3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유도체의 총 유효량은 거환(bolus) 형태 혹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확산(infusion) 등에 의해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활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유도체의 농도는 약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 뿐만 아니라 환자의 나이 및 건강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의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유도체의 약학적 조성물로서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펩타이드의 합성 및 분리정제
본 발명자들은 소수성 영역이 증가되어 양친화성 구조를 갖는 항생 펩타이드를 합성하기 위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유래 RPL1 단백질의 아미노말단 부위 중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HP(2-20) 펩타이드의 친수성 부위를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치환시켰다. 구체적으로,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HP (2-20) 펩타이드의 17번째 아미노산인 글루타민과 19번째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산을 각각 트립토판으로 치환한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를 제조하였다. 펩타이드 합성 방법은 Fmoc(9-fluorenylmethoxycarbonyl)를 아미노기 보호 용기를 이용한 메리필드(Merrifield)의 액상 고상법을 사용하였다(Merrifield, RB.,J. Am. Chem. Soc., 85, 2149, 1963)(도 1).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설계한 펩타이드의 카르복실말단이 -NH2형태인 펩타이드는 Rink Amide MBHA-Resin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였으며, 카르복실말단이 -OH 형태의 펩타이드는 Fmoc-아미노산-Wang Resin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였다. Fmoc-아미노산의 커플링(coupling)에 의한 펩타이드 사슬(chain)의 연장은 DCC(N-hydroxybenzo triazole (HOBt)-dicyclo-hexycarbodiimide)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각 펩타이드의 아미노말단의 Fmoc-아미노산을 커플링 시킨 후, 20% NMP(piperidine /N-methyl pyrolidone) 용액으로 Fmoc기를 제거하고 NMP 및 DCM(dichoromethane)으로 여러번 세척한 다음 질소 가스로 건조시켰다. 여기에 TFA(trifluoroaceticacid)-phenol-thioanisole-H2O-triisopropylsilane(85: 5: 5: 2.5: 2.5, vol./vol.) 용액을 가하고 2 내지 3시간 반응시켜 보호기의 제거 및 레진으로부터 펩타이드를 분리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diethylether)로 펩타이드를 침전시켰다. 상기의 방법으로 얻은 크루드(crude) 펩타이드는 0.05% TFA가 포함된 아세토니트릴 농도구배(acetonitrle gradient)에서 정제형 역상(reverse phase, RP)-HPLC 칼럼(Delta Pak, C18300Å, 15, 19.0mm ×30 cm, Waters)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합성 펩타이드를 6 N HCl을 이용하여 110℃에서 가수분해한 후 잔사를 감압농축하고 0.02 N HCl에 녹여서 아미노산 분석기(Hitachi 8500 A)로 아미노산 조성을 측정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성된 펩타이드의 순도를 확인한 결과 95% 이상의 순도를 나타내었으며, MALDI 질량 분석법(Hill, et al .,Rapid Commun. Mass Spectrometry, 5, 395, 1991)을 이용하여 얻은 분자량이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계산하여 얻은 분자량과 일치하므로 정확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항생 펩타이드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항생 펩타이드의 항균활성 측정
<2-1> 생육 최소저해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생 펩타이드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본 발명자들은 균체가 분열되지 않는 펩타이드의 최소 농도인 MIC 값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항균 활성 측정을 위하여 그람 양성균으로써 바실러스 서브틸리스(KCTC 1918)와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KCTC 1621)를, 그람 음성균으로써 대장균(KCTC 1682)과 프로테우스 불가리스(KCTC 2433)를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각 균주를 LB 배지(1% 박토 트립톤, 0.5% 박토 이스트 추출물, 1% 염화나트륨)에서 중간-로그 상(mid-log phase)까지 배양한 다음 1% 박토 펩톤 배지로 1×104세포/100 ㎕의 균체 농도로 희석하여 마이크로 타이트레이트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항생 펩타이드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멜리틴(Melittin)을 각각 25 μM/웰(well) 부터 1/2배씩 희석하여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37℃에서 6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마이크로 타이트레이트 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62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 균주의 MIC 값을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생 펩타이드의 항균 활성 측정
펩타이드 |
생육 최소저해농도 (μM) |
그람 양성균 |
그람 음성균 |
B. 서브틸리스 |
S. 아우레우스 |
대장균 |
P. 불가리스 |
HP (2-20) |
3.12 |
12.5 |
12.5 |
6.25 |
서열번호 2의 항생 펩타이드 |
0.39 |
0.78 |
1.56 |
0.39 |
멜리틴 |
0.19 |
0.78 |
1.56 |
1.56 |
그 결과, 본 발명의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는 HP (2-20) 펩타이드에 비해 균주에 따라 10배 이상의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멜리틴과는 비슷한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그람 양성 및 그람 음성균 모두에서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P. 불가리스에서는 HP (2-20) 펩타이드와 멜리틴보다 항균 활성 효과가 탁월하였다.
<2-2> 항균 활성의 가시화
또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의 항균활성을 배지상에서 가시화하기 위하여, 대장균과B. 서브틸리스를 LB 배지(1% 박토 트립톤, 0.5% 이스트 추출물, 1% 염화나트륨)에 접종하여 미드-로그 상까지 배양하였다. 4×105세포의 대장균과B. 서브틸리스에 각각 4 μM과 1 μM 농도의 항생 펩타이드를 섞은 후,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고 배양액을 LB 플레이트에 도말하여 균주를 가시화시켰다.
그 결과, 그람 양성균인B. 서브틸리스균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양성대조군에서는 많은 수의 콜로니(colony)를 발견할 수 있었고(도 2의 A) HP (2-20)을 첨가한 경우에도 균이 조금 자랐으나(도 2의 B)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를 첨가한 경우에는 균의 성장이 완전히 억제되어 콜로니가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2의 C). 또한, 그람 음성균인 대장균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양성대조군에서는 많은 수의 콜로니(colony)를 발견할 수 있었고(도 3의 A) HP (2-20)을 첨가한 경우에도 균이 자랐으나(도 3의 B),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를 첨가한 경우에는 균의 성장이 완전히 억제되어 콜로니가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3의 C).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HP (2-20) 펩타이드에 비해 탁월한 항균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항생 펩타이드의 항진균 활성 측정
<3-1> MTT 분석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의 항진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병원성 진균인 캔디다 알비칸스(TIMM 1768), 트리코스포론 베이겔라이(KCTC 7707)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애(KCTC 7296)를 대상으로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96-웰 플레이트에 각종 진균을 포함한 PDB 배지(20% 포테이토 인퓨전 프럼, 2% 박토 덱스트로즈) 100 ㎕씩을 분주하고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를 각각 50 μM/웰(well)부터 1/2배씩 희석하여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다시 배양한 후, 5 ㎎/㎖ 농도의 MTT 용액(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10 ㎕를 모든 웰에 첨가하여 다시 5-6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살아 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효소에 의해 생성된 포르마잔(formazan)을 0.04 N HCl-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용액 100 ㎕로 잘 용해시킨 후 ELISA 판독기(reader)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발색되는 정도로 MIC 값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표 2에 나타내었다.
항생 펩타이드의 항진균 활성 측정
펩타이드 |
생육 최소저해농도 (μM) |
C. 알비칸스 |
S. 세르비지애 |
T. 베이겔라이 |
HP (2-20) |
25.0 |
25.0 |
12.5∼25.0 |
서열번호 2의 항생 펩타이드 |
6.25 |
3.12∼6.25 |
3.12 |
멜리틴 |
3.12 |
3.12 |
3.12∼6.25 |
그 결과, 본 발명의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의 항진균 활성을 HP (2-20) 펩타이드와 비교하였을 때C. 알비칸스의 경우에는 HP (2-20) 펩타이드보다 4배 정도의 높은 항진균 활성을 보였고S. 세르비지애와T. 베이겔라이의 경우에는 4 내지 8배 정도의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멜리틴과 비슷한 정도의 항진균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3-2> 항진균 활성의 가시화
또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의 항진균 활성을 가시화하기 위하여,C. 알비칸스 균주를 PDB 배지에서 배양하여 얻은 2×103세포와 20 μM의 항생 펩타이드를 섞은 후 28℃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배양액을 PDB 아가 플레이트에 도말하여 균주를 가시화시켰다.
그 결과,C. 알비칸스 균주에 HP (2-20)을 첨가한 플레이트에서는 많은 수의 콜로니를 발견할 수 있었으나(도 4의 A) 양성 대조군인 멜리틴과 본 발명의 항생펩타이드를 첨가한 경우에는 균의 성장이 완전히 억제되어 콜로니가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4의 B 및도 4의 C).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HP (2-20) 펩타이드에 비해 탁월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며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멜리틴과 비슷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항생 펩타이드의 항암 활성 측정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의 항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백혈병 세포주인 AML-2/WT와 위암 세포주인 SNU 638 및 SNU 668를 대상으로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2×105세포/㎖ 농도의 AML-2/WT 세포주와 5×104세포/㎖ 농도의 SNU 638 및 SNU 668 세포주 90 ㎕씩을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이때 음성 대조군으로는 배양액만을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플레이트를 잘 흔든 후 3일간 CO2배양기에서 배양하고 살아 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효소에 의해 생성된 포르마잔을 0.04 N HCl-이소프로판올 용액 100 ㎕로 잘 녹여서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생 펩타이드를 처리한 웰의 흡광도 값을 항생 펩타이드를 처리하지 않는 대조군 세포가 들어 있는 흡광도 값으로 나눈 백분율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의 항암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HP (2-20)은 실험한 모든 세포주에 대해서 항암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1 μM 농도까지는 항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농도가 증가할수록 급격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어 10 μM 이상의 농도에서는 암세포의 성장을 완전히 억제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멜리틴과 비슷한 정도의 강한 항암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항생 펩타이드의 세포 독성 측정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가 세포독성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항생 펩타이드의 적혈구 파괴능을 조사하였다.
사람의 적혈구를 8%의 농도가 되도록 인산염 완충용액(PBS, pH 7.0)으로 희석하고 여기에 12.5 μM/웰 부터 1/2의 농도로 항생 펩타이드를 연속적으로 희석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1,000 g로 원심분리하여 그 상등액 속에 포함된 헤모글로빈 양을 414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세포 파괴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1% 트리톤-X100을 첨가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1% 트리톤 X-100의 세포 파괴능을 100%로 하여 이를 각 항생 펩타이드의 적혈구 파괴능과 비교하여 하기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상기 식에서, 흡광도 A는 414 nm 파장에서 펩타이드 용액의 흡광도, 흡광도 B는 414 nm 파장에서 PBS의 흡광도 및 흡광도 C는 414 nm 파장에서 1% 트리톤 X-100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상기 식에 의한 적혈구 파괴능의 결과를 하기표 3에 나타내었다.
항생 펩타이드의 세포 독성 측정
펩타이드 |
% 적혈구 파괴능 (μM) |
12.5 |
6.25 |
3.125 |
1.56 |
0.78 |
0.39 |
0.195 |
0.097 |
HP (2-20) |
0 |
0 |
0 |
0 |
0 |
0 |
0 |
0 |
서열번호 2의 항생 펩타이드 |
0 |
0 |
0 |
0 |
0 |
0 |
0 |
0 |
멜리틴 |
100 |
100 |
95 |
93 |
31 |
0 |
0 |
0 |
그 결과, 본 발명의 HP (2-20)과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는 세포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 반면에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벌독인 멜리틴은 세포 독성이 매우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랫트에 대한 비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6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2 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를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현탁하여 1 g/㎏/15 ㎖의 용량으로 단회 비경구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험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실험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랫트에서 5 ㎎/㎏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비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10 ㎎/㎏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