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9406A -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9406A
KR20020049406A KR1020000078571A KR20000078571A KR20020049406A KR 20020049406 A KR20020049406 A KR 20020049406A KR 1020000078571 A KR1020000078571 A KR 1020000078571A KR 20000078571 A KR20000078571 A KR 20000078571A KR 20020049406 A KR20020049406 A KR 20020049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vibration mode
bell
mobile telephon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희
Original Assignee
김석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희 filed Critical 김석희
Priority to KR1020000078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9406A/ko
Publication of KR2002004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40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전화기를 휴대하고 있을 때와 휴대하지 않고 있을 때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진동모드 또는 벨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도록 한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전화기(30)에 설치되고 속이 빈 구형용기(42)와, 구형용기(42)의 내벽으로 노출되어 모두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고정접점(46a)(46b)(46c)(46d)과, 구형용기(42) 내에서 이동전화기(30)의 기울기에 따라서 자유롭게 유동되면서 고정접점(46a)(46b)(46c)(46d)과 단락(短絡)되거나 차단(遮斷)되면서 회로를 개폐하는 유동접점(44)과, 구형용기(42)의 내부로 노출되어 상기 유동접점(44)과 항상 접촉하는 공통접점(48)(49)과, 모든 고정접점(46a)(46b)(46c)(46d)이 설정시간 이내에서 단락(短絡)된 상태를 유지하면, 이동전화기(30)의 착신을 벨모드로 전환하고, 복수의 고정접점(46a)(46b)(46c)(46d)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접점(46a)(46b)(46c)(46d)이 차단(遮斷) 되면, 이동전화기(30)의 착신을 진동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 및 그 방법{bell/vibration mode automatic changer and method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전화기(휴대폰)를 휴대하고 있을 때와 휴대하지 않고 있을 때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진동모드 또는 벨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도록 한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전화기는 착신을 벨 또는 진동, 램프의 점멸로 알려주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전화기는 착신방법을 수동으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벨소리로 착신을 알려주도록 설정한 상태에서 이를 잊어버리고, 지하철, 회의장소, 영화관, 강의실, 버스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휴대하게 되면, 벨소리가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어 난처하게 되며, 진동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잊어버리고, 배터리 충전기나 책상서랍 속, 책상 위 등에 두는 경우 착신음을 듣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는 이동전화기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이동전화기를 휴대하고 있는가 아니면, 휴대하고 있지 않은가를 판별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착신을 수동으로 밖에 설정할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전화기를 휴대하고 있는 상태와 휴대하고 있지 않는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착신을 진동모드 또는 벨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는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전화기의 자세를 검출하는 3차원 위치검출수단과, 3차원 위치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이동전화기의 자세정보를 기초로 이동전화기가 수평하게 누운 것으로 판정되면, 이동전화기의 착신을 진동모드로 전환하고, 그 외의 자세로 판정되면, 이동전화기의 착신을 벨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하여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동접점과 모든 고정접점이 설정시간 이내에서 단락(短絡)된 상태를 유지하면, 이동전화기의 착신을 벨모드로 전환하고, 복수의 고정접점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접점이 차단(遮斷) 되면, 이동전화기의 착신을 진동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하여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방법이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에서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가 이동전화기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기가 세워진 상태에서 진동모드로 자동전환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기가 눕혀진 상태에서 벨모드로 자동전환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에서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이동전화기50 : 제어부
40 : 3차원 위치검출수단42 : 구형용기
44 : 유동접점46a,46b,46c,46d : 고정접점
48,49 : 공통접점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이동전화기(30)의 자세를 검출하는 3차원 위치검출수단(40)과, 이 3차원 위치검출수단(40)으로부터 검출되는 이동전화기(30)의 자세정보를 기초로 이동전화기(30)가 수평하게 누운 것으로 판정되면, 이동전화기(30)의 착신을 진동모드로 전환하고, 그 외의 자세로 판정되면, 이동전화기(30)의 착신을 벨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부(50)로 구성된다.
여기서 3차원 위치검출수단(40)은 이동전화기(30)에 설치되는 속이 빈 구형용기(42)의 내벽으로 노출되어 모두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고정접점(46a)(46b)(46c)(46d)과, 구형용기(42) 내에서 이동전화기(30)의 기울기에 따라서 자유롭게 유동되면서 고정접점(46a)(46b)(46c)(46d)과 단락되거나 차단되면서 회로를 개폐하는 유동접점(44)과, 구형용기(42)의 내부로 노출되어 상기 유동접점(44)과 항상 접촉하는 공통접점(48)(49)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50)는 모든 고정접점(46a)(46b)(46c)(46d)이 설정시간 이내에서 단락(短絡)된 상태를 유지하면, 이동전화기(30)의 착신을 벨모드로 전환하고, 복수의 고정접점(46a)(46b)(46c)(46d)중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46a)(46b)(46c)(46d)이 차단(遮斷) 되면, 이동전화기(30)의 착신을 진동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착신을 벨모드로 전환할 것인가 아니면 진동모드로 전환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출력포트를 통해 이동전화기 콘트롤러(도시 안됨)의 입력포트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여 착신을 전환하도록 제어하게 되며, 내부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CPU), 클럭발생부, 프로그램 메모리(ROM), 데이터 메모리(RAM),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접점(46a)(46b)(46c)(46d)에는 전원에 접속되는 풀업저항(R1)(R2)(R3)(R4)을 연결하고, 이들 고정접점(46a)(46b)(46c)(46d)과 풀업저항(R1)(R2)(R3)(R4)의 각 접속점들은 제어부(50)의 입력포트에 접속된다.
또한, 도2, 도3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접점(46a)(46b)(46c)(46d)은 구형용기(42)의 전후좌우 중점 4군데에 설치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위치나 개수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그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 위치를 더 높은 위치에 둘 수도 있다.
상기 유동접점(44)은 예컨대, 수은이나 다른 도전성 액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접점(46a)(46b)(46c)(46d)보다 더 높은 수위를 갖도록 구성되며, 유동접점(44)과 고정접점(46a)(46b)(46c)(46d)의 높이차를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기울기에 따른 검출감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접점(46a)(46b)(46c)(46d)들이 이루는 동일면(C2)이 이동전화기(30)의 수직중심선(C1)에 대해 평행한 위치에 놓이도록 설치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이동전화기(30)를 휴대하게 되면, 이동전화기(30)가 거의 정지된 상태로 서 있거나 계속해서 흔들리게 된다.
즉, 이동전화기(30)를 몸에 지니게 되면, 보통의 경우 목이나 벨트에 걸거나 주머니에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정지된 상태로 있게 되면, 이동전화기(30)가 똑 바로 세워지거나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흔들리지 않게 되며, 이동전화기(30)를 휴대하고,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교통수단을 이용하거나 보행중일 때에는 진동이 신체를 통해 이동전화기(30)에 전달되어 이동전화기(30)가 흔들리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전화기(30)를 휴대할 때에는 첨부도면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화기(30)가 세워져 있거나 기울어져 있게 되는데, 이때 복수의 고정접점(46a)(46b)(46c)(46d) 중 한 개 이상의 고정접점(46a)(46b)(46c)(46d)이 유동접점(44)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유동접점(44)으로부터 떨어진 고정접점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되므로, 이 떨어진 고정접점에서는 하이레벨의 전위(이진 데이터 "1")가 검출되며, 제어부(50)의 입력포트로부터 검출되는 포트상태는 예를 들어서, "1000", "0100", "0010", "0001"또는 "1100", "1010", "1001", "0110", "0101", "0011"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제어부(50)는 도6의 단계 S10에서 포트상태를 검출하여 레지스터에 기억시킨 다음 단계 S11에서 프로그램 메모리에 미리 기억되어 있던 "0000"과 포트상태를 비교하여 동일한 가의 여부를 비교하게 되는데, "0000"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모든 고정접점(46a)(46b)(46c)(46d)이 단락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여 단계 S17에서 출력포트를 통해 착신을 진동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제어부(50)는 이동전화기(30)가 휴대되면서 동시에 일정하게 세워진 상태로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진동모드로 자동 전환하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전화기(30)가 눕혀져 있게 되면, 이동전화기(30)에 설치되어 있는 구형용기(42)와 유동접점(44)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구형용기(42)의 내벽으로 노출되어 있는 모든 고정접점(46a)(46b)(46c)(46d)에 유동접점(44)이 접촉하여 회로가 단락된다.
이때 모든 고정접점(46a)(46b)(46c)(46d)을 통해 유동접점(44)을 경유하여 공통접점(48)(49)으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풀업저항(R1)(R2)(R3)(R4)과 고정접점(46a)(46b)(46c)(46d)의 접속점 전위는 모두 로우레벨("0"전위)의 전위로 떨어지면서 도6의 단계 S10에서 제어부(50)의 입력포트를 통해서 검출되는 접점의 상태값이 이진데이터 형태인 "0000"으로 검출된다.
이후, 제어부(50)는 단계 S11에서 모든 접점이 단락 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현재 입력포트로부터 검출된 이진데이터("0000")와 프로그램 메모리에 미리 기억되어 있던 이진데이터 "0000"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는 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 입력포트로부터 검출된 이진 데이터는 "0000"이고, 프로그램 메모리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는 "0000"이기 때문에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판정하여 제어부(50)는 모든 고정접점(46a)(46b)(46c)(46d)이 단락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전화기(30)가 눕혀져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50)는 이동전화기(30)가 휴대된 상태에서 눕혀져 있을 수도 있고, 휴대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한 장소에 눕혀져 있을 수도 있으므로, 이 두 가지 경우를 이동전화기(30)의 흔들림으로써 판단하기 위하여 도6의 단계 S12, S13, S14를 수행하게 판단하게 된다.
즉, 이동전화기(30)가 눕혀진 상태에서 휴대되어 흔들리게 되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유동접점(44)이 이동전화기(30)와 함께 흔들리면서 구형용기(42)의 내벽으로 노출되어 있는 고정접점(46a)(46b)(46c)(46d)과 유동접점(44)이 서로 단락 되거나 차단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즉, 유동접점(44)은 구형용기(42)의 내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공통접점(48)(49)에 항상 접촉되어 있고, 이 공통접점(48)(49)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유동접점(44)이 고정접점(46a)(46b)(46c)(46d)에 접촉하게 되면, 접촉된 고정접점(46a)(46b)(46c)(46d)을 통해 그라운드로 전류가 흐르면서 풀업저항(R1)(R2)(R3)(R4)과 고정접점(46a)(46b)(46c)(46d)이 만나는 접속점의 전위는 로우레벨의 전위(이진데이터 "0")로 하강하게 되고, 그 반대로 유동접점(44)이 고정접점(46a)(46b)(46c)(46d)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떨어진 고정접점(46a)(46b)(46c)(46d)을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없으므로, 풀업저항(R1)(R2)(R3)(R4)과 고정접점(46a)(46b)(46c)(46d)이 만나는 접속점의 전위는 로우레벨에서 다시 하이레벨의 전위(이진데이터 "1")로 상승하게 되므로, 유동접점(44)이 흔들리게 되면 고정접점(46a)(46b)(46c)(46d)과 풀업저항(R1)(R2)(R3)(R4)이 만나는 접속점에서 검출되는 전위는 로우레벨과 하이레벨이 반전되는 펄스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유동접점(44)이 진동에 의해 흔들리면서고정접점(46a)(46b)(46c)(46d)에 순간적으로 접촉하거나 떨어지게 되면, 고정접점(46a)(46b)(46c)(46d)과 풀업저항(R1)(R2)(R3)(R4)의 접속점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50)의 입력포트에서 검출되는 전위가 순간적으로 반전된다.
이때, 제어부(50)는 접점상태를 기억하기 위해 첨부도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2에서 검출된 포트상태를 레지스터에 기억시킨 다음 단계 S13에서 설정된 지연시간(예를 들어서, 10초)이 지난 후 다시 단계 S14에서 다시 입력포트의 상태를 검출하고, 단계 S15에서 레지스터에 기억된 이전의 접점상태(이진데이터)와 지연시간이 지나고 현재 검출된 접점상태(이진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그 값이 다른 경우로 판정되면, 접점상태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17에서 제어부(50)의 출력포트를 통해 진동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반대로 비교된 값이 같은 것으로 판정되면, 접점상태에 변화가 없었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16에서 제어부(50)의 출력포트를 통해 벨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제어부(50)의 입력포트를 통해 검출되는 고정접점(46a)(46b)(46c)(46d)의 상태에 변화가 있게 되면, 제어부(50)는 이동전화기(30)가 휴대되어 흔들리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진동모드로 자동 전환하게 되고, 제어부(50)의 입력포트를 통해 검출되는 고정접점(46a)(46b)(46c)(46d)의 상태에 변화가 없게 되면, 제어부(50)는 이동전화기(30)가 흔들리지 않고 어느 일정한 장소에 안정되게 놓여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벨모드로 자동 전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전화기를 사용할 때 휴대하고 있으면, 자동으로 진동모드로 전환하고, 휴대하지 않고 일정한 장소에 놓아 두게 되면, 벨모드로 자동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동전화기(30)의 자세를 검출하는 3차원 위치검출수단(40);
    상기 3차원 위치검출수단(40)으로부터 검출되는 이동전화기(30)의 자세정보를 기초로 이동전화기(30)가 수평하게 누운 것으로 판정되면, 이동전화기(30)의 착신을 진동모드로 전환하고, 그 외의 자세로 판정되면, 이동전화기(30)의 착신을 벨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위치검출수단(40)은 이동전화기(30)에 설치되는 속이 빈 구형용기(42);
    구형용기(42)의 내벽으로 노출되어 모두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고정접점(46a)(46b)(46c)(46d);
    구형용기(42) 내에서 이동전화기(30)의 기울기에 따라서 자유롭게 유동되면서 고정접점(46a)(46b)(46c)(46d)과 단락(短絡)되거나 차단(遮斷)되면서 회로를 개폐하는 유동접점(44);
    구형용기(42)의 내부로 노출되어 상기 유동접점(44)과 항상 접촉하는 공통접점(48)(49);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3차원 위치검출수단(40)에 의해 검출되는 이동전화기(30)의 자세가 일정한 시간 이내에 소정 횟수 이상 변화를 일으키면, 흔들림으로 판정하여 이동전화기(30)의 착신을 진동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접점(44)은 도전성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
  5. 이동전화기의 자세를 검출하여 벨/진동모드를 전환하도록 된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방법에 있어서,
    유동접점(44)과 모든 고정접점(46a)(46b)(46c)(46d)이 설정시간 이내에서 단락(短絡)된 상태를 유지하면, 이동전화기(30)의 착신을 벨모드로 전환하고, 복수의 고정접점(46a)(46b)(46c)(46d)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접점(46a)(46b)(46c)(46d)이 차단(遮斷) 되면, 이동전화기(30)의 착신을 진동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방법.
KR1020000078571A 2000-12-19 2000-12-19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49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571A KR20020049406A (ko) 2000-12-19 2000-12-19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571A KR20020049406A (ko) 2000-12-19 2000-12-19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406A true KR20020049406A (ko) 2002-06-26

Family

ID=2768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571A KR20020049406A (ko) 2000-12-19 2000-12-19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94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183B1 (ko) * 2001-12-07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입력장치 및 방법
KR100606094B1 (ko) * 2004-01-29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에서 지정 기능 자동 실행방법
KR100986356B1 (ko) * 2003-08-26 2010-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무음 전환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183B1 (ko) * 2001-12-07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입력장치 및 방법
KR100986356B1 (ko) * 2003-08-26 2010-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무음 전환 방법 및 장치
KR100606094B1 (ko) * 2004-01-29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에서 지정 기능 자동 실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0150B1 (en) Portable device
US7024228B2 (en) Movement and attitude controlled mobile station control
KR20050019171A (ko) 움직임을 감지하여 벨소리/진동량을 조절하는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50195952A1 (en) Telephone having ring stopping function
KR970055991A (ko) 디지탈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선택적 수신링 발생방법 및 장치
KR20020049406A (ko) 이동전화기의 벨/진동 모드 자동전환장치 및 그 방법
JP2005332118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情報入力方法
KR1011174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 및 방법
EP37914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mobile phone and a mobile phone cover
JPH10290473A (ja) 携帯通信装置
KR100812071B1 (ko) 상하 대칭형 화면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06061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알림 자동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727080B1 (ko) 착신 호 종류 구별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40503B1 (ko) 휴대형 단말기의 착신 알람 모드의 전환 방법
KR20000020848U (ko) 반지형태를 갖는 무선호출 수신기
JP3068863U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着信報知装置
KR1005847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 종류 설정방법
JP2512107Y2 (ja) コ―ドレス電話装置
JP2000224271A (ja) 携帯電話装置
KR200196387Y1 (ko) 휴대폰의 음성 및 음향 메시지 출력 장치
JP2000022791A (ja) 電話装置
KR100350160B1 (ko) 휴대폰의 음성 및 음향 메시지 출력장치 및 그 방법
JPH01173995A (ja) ボタン電話装置
KR20010016666A (ko) 사용자 접촉 감지에 의한 착신 표시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37455U (ko) 사용자가 기억시킨 소리를 통신단말장치의 착신음으로 사용하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