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424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424B1
KR101117424B1 KR1020050058107A KR20050058107A KR101117424B1 KR 101117424 B1 KR101117424 B1 KR 101117424B1 KR 1020050058107 A KR1020050058107 A KR 1020050058107A KR 20050058107 A KR20050058107 A KR 20050058107A KR 101117424 B1 KR101117424 B1 KR 101117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ception notification
motion
level valu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2529A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58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424B1/ko
Publication of KR2007000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단말기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따라 수신 알림 기능이 되는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결정하고, 그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따라 수신 사실을 알리기 위한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해 줌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보다 명확히 알릴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단말기 움직임 정도(움직임이 많거나 적은 정도)에 관계없이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정확히 알 수 있게 되어 어떠한 상황에서도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즉시 응답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단말기 사용 환경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인식, 수신 알림, 착신음 크기, 진동 세기, 단말기 움직임 단계, 수신 알림 레벨 제어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eive Notific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단말기 동작 인식부 12 : 움직임 단계 결정부
13 : 정보 저장부 14 : 단말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단말기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따라 수신 알림 기능이 되는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벨소리와 진동 세기는 사용자에게 상당히 민감하게 느껴지는 부분이다. 이에 종래의 기술은 단말기에 전화가 왔을 때 언제나 벨소리 음량/진동 세기가 기존에 사용자가 셋팅한 값(크기)로만 되어 있었다.
이에 사용자가 많은 움직임(빨리 걷거나/뛰고 있을 시)을 하고 있을 때, 전화가 오면 벨소리나 진동을 못 느낄 때가 종종 있었다.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한다.
최근에 이동통신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PCS 폰이나 셀룰러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알리기 위한 방법(즉, 수신 알림 모드)으로서, 소정의 착신음(멜로디 등)을 출력해 주는 착신음 모드와 진동 모터를 이용한 진동 모드(또는 매너 모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착신음 모드와 진동 모드는 주변 상황에 따라 그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진동 모드는 직장이나 공연장(극장) 또는 대중교통수단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착신음을 출력하여 알리는 경우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모드로서, 이는 진동 모터에 소정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면서 일정 주기의 온-오프 단속으로 진동 모터 구동을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한 진동 세기 및 진동 주기로만 진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착신음 모드의 경우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특정 버튼 조작을 통해 착신음의 종류를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신음의 크기 예컨대, 벨소리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그 수신 알림 모드(즉, 착신 모드)가 진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진동 세기나 진동 주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착신음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통해 착신음 크기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나, 한번 착신음 크기를 설정한 후에는 그 착신음 크기가 자동으로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중에 도서관이나 사무실 등과 같이 조용한 장소에서 움직임이 거의 없는 경우 지나치게 큰 벨소리나 강한 진동으로 깜짝 놀라게 되고, 반대로 단말기 사용자가 교통수단을 이용하거나 빠른 보행 또는 달리기 등과 같이 움직임이 많은 상황에서는 벨소리를 듣지 못하거나 단말기 진동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단말기 사용자의 본래 의도와는 달리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에 즉시 응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결정된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따라 수신 사실을 알리기 위한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해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따라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해 줌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에게는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보다 명확히 알릴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단말기 사용자 입장에서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관계없이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어떠한 상황에서도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즉시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현재의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그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를 전달해 주는 단말기 동작 인식부와, 상기 단말기 동작 인식부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의 크기를 각 움직임 단계별 신호 레벨 크기와 비교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결정하는 움직임 단계 결정부와, 각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여 수신 알림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각 움직임 단계별 수신 알림 레벨값이 되는 착신음 크기 레벨값 및 진동 세기 레벨값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움직임 단계 결정부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를 검색해서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을 추출한 후, 그 수신 알림 레벨값에 따라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도록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제어부는,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단말기 동작 인식부를 제어하여 단말기 움직임을 감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현재의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그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를 전달해 주는 단말기 동작 인식부와, 상기 단말기 동작 인식부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의 크기를 각 움직임 단계별 신호 레벨 크기와 비교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결정하는 움직임 단계 결정부와, 각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여 수신 알림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각 움직임 단계별 수신 알림 레벨값이 되는 착신음 크기 레벨값 및 진동 세기 레벨값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움직임 단계 결정부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를 검색해서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을 추출한 후, 그 수신 알림 레벨값에 따라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도록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제어부는,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을 추출하되, 현재의 수신 알림 모드를 확인하여 그 수신 알림 모드가 착신음 모드인 경우에는 수신 알림 레벨값으로 착신음 크기 레벨값을 추출하고, 수신 알림 모드가 진동 모드인 경우에는 수신 알림 레벨값으로 진동 세기 레벨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다.
삭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말기 동작 인식 기능을 추가하고,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따라 수신 알림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 정보가 되는 각 단말기 움직임 단계별 수신 알림 레벨값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과정과,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상기 단말기 동작 인식 기능에 따라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따라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알리기 위한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감지하는 과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 동작 인식부에서 현재의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그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를 전달해 주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동작 인식부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의 크기를 각 움직임 단계별 신호 레벨 크기와 비교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말기 동작 인식 기능을 추가하고,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따라 수신 알림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 정보가 되는 각 단말기 움직임 단계별 수신 알림 레벨값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과정과,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상기 단말기 동작 인식 기능에 따라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따라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알리기 위한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하는 과정은,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현재의 단말기 수신 알림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단말기 수신 알림 모드 및 단말기 움직임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각 움직임 단계별 수신 알림 레벨값을 검색하여 현재의 단말기 수신 알림 모드 및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수신 알림 레벨값에 따라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도록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방법을 구현함에 있다.
또한, 상기 수신 알림 레벨값을 추출하는 단계는, 현재의 단말기 수신 알림 모드가 착신음 모드인 경우에는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으로 착신음 크기 레벨값을 추출하고, 현재의 수신 알림 모드가 진동 모드인 경우에는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으로 진동 세기 레벨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말기 움직임에 따른 동작 인식 기능을 추가하여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단말기 움직임 정도를 인식하고, 그 단말기 움 직임 정도에 따라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알리기 위한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고자 하는데,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1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동작 인식부(11)와, 움직임 단계 결정부(12)와, 정보 저장부(13) 및 단말 제어부(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단말기 동작 인식부(11)는 동작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현재의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그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를 움직임 단계 결정부(12)로 전달해 준다.
움직임 단계 결정부(12)는 단말기 동작 인식부(11)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의 크기를 기준 정보가 되는 각 움직임 단계별 신호 레벨 크기와 비교하여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 정보를 단말 제어부(14)로 전달해 준다.
정보 저장부(13)는 각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여 수신 알림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각 움직임 단계별 수신 알림 레벨값이 되는 착신음 크기 레벨값 및 진동 세기 레벨값을 저장하고 있다.
단말 제어부(14)는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단말기 동작 인식부(11)를 제어하여 단말기 움직임을 감지하게 하고, 이후에 움직임 단계 결정부(12)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저장부(13)를 검색해서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을 추출한 후, 그 수신 알림 레벨값 에 따라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도록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한다.
여기서, 단말 제어부(14)는 단말기 움직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 추출시 현재의 수신 알림 모드를 확인하여 그 수신 알림 모드 및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을 추출한다. 즉, 현재의 수신 알림 모드가 착신음 모드인 경우에는 수신 알림 레벨값으로 착신음 크기 레벨값을 추출하고, 수신 알림 모드가 진동 모드인 경우에는 수신 알림 레벨값으로 진동 세기 레벨값을 추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그 단말기 움직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동작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동작 인식부(11)가 구현되어 있어야 하며, 이러한 단말기 동작 인식부(11)는 동작 인식 센서 등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말기 동작 인식부(11)가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따라 수신 알림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 정보가 되는 각 단말기 움직임 단계별 수신 알림 레벨값 즉, 착신음 크기 레벨값 및 진동 세기 레벨값이 정보 저장부(13)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렇게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말기 동작 인식 기능이 추가되고, 단말기 움직임 단계별 수신 알림 레벨값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이동통신 단말 기에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면(스텝 S21), 단말 제어부(14)는 단말기 동작 인식부(11)를 제어하여 단말기 움직임을 감지하게 함과 동시에 현재의 수신 알림 모드를 확인하게 된다(스텝 S22).
이때, 단말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 동작 인식부(11)에서는 현재의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그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를 움직임 단계 결정부(12)로 전달해 준다(스텝 S23).
그리고, 움직임 단계 결정부(12)는 단말기 동작 인식부(11)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의 크기를 각 움직임 단계별 신호 레벨 크기와 비교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결정하게 되며, 이렇게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결정한 후에는 그 단말기 움직임 단계 정보를 단말 제어부(14)로 전달해 주게 된다(스텝 S24).
이에, 단말 제어부(14)는 움직임 단계 결정부(12)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도록 현재의 단말기 수신 알림 레벨을 자동 조절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앞에서 확인된 단말기 수신 알림 모드 및 움직임 단계 결정부(12)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저장부(13)를 검색하게 되며, 이렇게 정보 저장부(13)를 검색하여 현재의 단말기 수신 알림 모드 및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을 추출하게 된다. 즉, 단말 제어부(14)는 현재의 단말기 수신 알림 모드가 착신음 모드인 경우에는 수신 알림 레벨값으로 착신음 크기 레벨값을 추출하게 되고, 수신 알림 모드가 진동 모드인 경우에는 수신 알림 레벨값으로 진동 세기 레벨값을 추출하게 된다(스텝 S25).
그리고, 단말 제어부(14)에서 현재의 단말기 수신 알림 모드 및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을 추출한 후에는 그 수신 알림 레벨값에 따라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도록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단말기 수신 알림 모드가 착신음 모드인 경우에는 수신 알림 레벨값으로 착신음 크기 레벨값을 추출하였기 때문에 그 착신음 크기 레벨값에 따라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도록 착신음 크기를 크게 또는 작게 조절해 주게 되며, 단말기 수신 알림 모드가 진동 모드인 경우에는 수신 알림 레벨값으로 진동 세기 레벨값을 추출하였기 때문에 그 진동 세기 레벨값에 따라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진동 세기를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해 주게 된다(스텝 S26).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도록 수신 알림 레벨을 자동 조절하는데 있어, 단말기 움직임 단계가 정지 상태와 같이 거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제 1단계와, 도보 이동과 같이 약간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제 2단계와, 빠른 도보 이동과 같이 비교적 많은 움직임이 감지되는 제 3단계와, 달리기 이동과 같이 매우 많은 움직임이 감지되는 제 4단계로 분류된다고 가정할 때,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단말기 움직임 단계가 제 1단계로 결정되면 이는 정지 상태와 같이 거의 단말기 움직임이 없는 상태이므로 수신 알림 레벨을 하위 레벨로 즉,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가장 약한 레벨로 조절하게 되고, 단말기 움직임 단계가 제 2단계로 결정되면 이는 도보 이동 등으로 인해 약간의 단말기 움직임이 있는 상태이므로 수신 알림 레벨을 보통 레벨로 즉,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보통 레벨로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단말기 움직임 단계가 제 3단계로 결정되면 이는 빠른 도보 이동 등으로 인해 비교적 많은 단말기 움직임이 있는 상태이므로 수신 알림 레벨을 상위 레벨로 즉,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조금 강한 레벨로 조절하게 되고, 단말기 움직임 단계가 제 4단계로 결정되면 이는 달리기 운동이나 교통수단 이용 등으로 인해 매우 많은 움직임이 있는 상태이므로 수신 알림 레벨을 최상위 레벨로 즉,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가장 강한 레벨로 조절하게 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그 때의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결정하고, 그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따라 수신 알림 레벨을 즉, 착신음 크기를 크게 또는 작게 조절하거나 진동 세기를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의 동작에 의한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따라 조절되는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로 인해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여 설정된 수신 알림 레벨값에 따라 그 단말기 수신 알림 레벨을 설정된 레벨값으로 자동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기 움직임 단계가 제 1단계(즉, 거의 단말기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현재의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 레벨을 한 단계 낮은 레벨로 조절하고, 단말기 움직임 단계가 제 2단계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현재의 착신음 크 기나 진동 세기를 그대로 적용하며, 단말기 움직임 단계가 제 3단계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현재의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 레벨을 한 단계 높은 레벨로 조절하고, 단말기 움직임 단계가 제 4단계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현재의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 레벨을 두 단계 높은 레벨로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렇게 하여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가 조절된 후에는 그에 대응하는 단말기 수신 알림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이후에 단말기 사용자가 수신 응답하게 되면 해당되는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초기화(즉, 본래의 수신 알림 레벨로 복원)시킴으로써 다음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에도 동일한 수신 알림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따라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조절하는 방법 이외에 그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따라 수신 알림 모드 자체를 착신음 모드에서 진동 모드로 전환하거나 진동 모드에서 착신음 모드로 전환하여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알려주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결정하고, 그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따라 수신 사실을 알리기 위한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해 줌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보다 명확히 알릴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관계없이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정확히 알 수 있게 되어 어떠한 상황에서도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즉시 응답할 수 있게 된 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따라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는 착신음 크기를 크게 조절하거나 진동 세기를 강하게 조절하여 수신 사실을 알리고, 움직임이 적은 경우에는 착신음 크기를 작게 조절하거나 진동 세기를 약하게 조절하여 수신 사실을 알림으로써, 단말기 사용자 입장에서 움직임이 많거나 적음에 관계없이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되는 등 단말기 사용 환경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삭제
  2.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현재의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그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를 전달해 주는 단말기 동작 인식부와,
    상기 단말기 동작 인식부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의 크기를 각 움직임 단계별 신호 레벨 크기와 비교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결정하는 움직임 단계 결정부와,
    각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여 수신 알림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각 움직임 단계별 수신 알림 레벨값이 되는 착신음 크기 레벨값 및 진동 세기 레벨값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움직임 단계 결정부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를 검색해서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을 추출한 후, 그 수신 알림 레벨값에 따라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도록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제어부는,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단말기 동작 인식부를 제어하여 단말기 움직임을 감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
  3.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현재의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그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를 전달해 주는 단말기 동작 인식부와,
    상기 단말기 동작 인식부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의 크기를 각 움직임 단계별 신호 레벨 크기와 비교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결정하는 움직임 단계 결정부와,
    각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여 수신 알림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각 움직임 단계별 수신 알림 레벨값이 되는 착신음 크기 레벨값 및 진동 세기 레벨값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움직임 단계 결정부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를 검색해서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을 추출한 후, 그 수신 알림 레벨값에 따라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도록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제어부는,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을 추출하되, 현재의 수신 알림 모드를 확인하여 그 수신 알림 모드가 착신음 모드인 경우에는 수신 알림 레벨값으로 착신음 크기 레벨값을 추출하고, 수신 알림 모드가 진동 모드인 경우에는 수신 알림 레벨값으로 진동 세기 레벨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
  4. 삭제
  5.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말기 동작 인식 기능을 추가하고,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따라 수신 알림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 정보가 되는 각 단말기 움직임 단계별 수신 알림 레벨값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과정과,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상기 단말기 동작 인식 기능에 따라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따라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알리기 위한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감지하는 과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 동작 인식부에서 현재의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그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를 전달해 주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동작 인식부로부터 전달되는 단말기 움직임 신호의 크기를 각 움직임 단계별 신호 레벨 크기와 비교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방법.
  6.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말기 동작 인식 기능을 추가하고,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따라 수신 알림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 정보가 되는 각 단말기 움직임 단계별 수신 알림 레벨값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과정과,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상기 단말기 동작 인식 기능에 따라 단말기 동작을 인식하여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따라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 사실을 알리기 위한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하는 과정은, 전화 또는 메시지 수신시 현재의 단말기 수신 알림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단말기 수신 알림 모드 및 단말기 움직임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각 움직임 단계별 수신 알림 레벨값을 검색하여 현재의 단말기 수신 알림 모드 및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수신 알림 레벨값에 따라 현재의 단말기 움직임 정도에 대응하도록 착신음 크기나 진동 세기를 자동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알림 레벨값을 추출하는 단계는, 현재의 단말기 수신 알림 모드가 착신음 모드인 경우에는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으로 착신음 크기 레벨값을 추출하고, 현재의 수신 알림 모드가 진동 모드인 경우에는 단말기 움직임 단계에 대응하는 수신 알림 레벨값으로 진동 세기 레벨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방법.
KR1020050058107A 2005-06-30 2005-06-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1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107A KR101117424B1 (ko) 2005-06-30 2005-06-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107A KR101117424B1 (ko) 2005-06-30 2005-06-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529A KR20070002529A (ko) 2007-01-05
KR101117424B1 true KR101117424B1 (ko) 2012-02-29

Family

ID=3786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107A KR101117424B1 (ko) 2005-06-30 2005-06-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4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5523B2 (en) 2015-05-22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937B1 (ko) 2014-10-24 2019-03-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신 단말의 호 착신 알람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74349B1 (ko) 2019-03-18 2020-02-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신 단말의 호 착신 알람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13542963B (zh) * 2021-07-21 2022-12-20 RealMe重庆移动通信有限公司 声音模式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171A (ko) * 2003-08-18 2005-03-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움직임을 감지하여 벨소리/진동량을 조절하는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171A (ko) * 2003-08-18 2005-03-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움직임을 감지하여 벨소리/진동량을 조절하는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5523B2 (en) 2015-05-22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529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484B1 (ko) 부재중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부재중알림 방법
US7912509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coming call signal output mode from vibration to ringtone using vibration detection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9733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of received message
US7096045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US702784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muting an alert
KR20050019171A (ko) 움직임을 감지하여 벨소리/진동량을 조절하는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17147652A (ja) 情報処理装置
KR1011174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알림 제어 장치 및 방법
JP5663138B2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着信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68100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prompting method thereof
US7089041B2 (en) Method for managing incoming calls on a mobile phone
CN105072274A (zh) 音频通道动态切换方法及系统
KR101128200B1 (ko) 수신자 상태 자동 응답 기능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수신자 상태 자동 응답 방법
KR20110133143A (ko)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1065293B1 (ko) 진동강도 자동조절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진동강도 자동조절 방법
JP2010011044A (ja)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充電器、並びに充電システム
KR102364324B1 (ko) 전자 기기
JP2006217346A (ja) 携帯端末、充電装置、通信システムユニット、報知制御方法、報知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2319997A (ja) 携帯電話機
KR100899943B1 (ko)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단말장치
KR100605820B1 (ko) 피디에이 기능과 폰 기능을 구비한 피디에이폰에서사용자데이터 보호방법
KR100400560B1 (ko)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
KR20090075318A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수신모드 전환 방법
JP2000134293A (ja) 携帯用通信機器
JP2000232500A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