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141A - 감쇠 폴을 포함하는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감쇠 폴을 포함하는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141A
KR20020047141A KR1020027002811A KR20027002811A KR20020047141A KR 20020047141 A KR20020047141 A KR 20020047141A KR 1020027002811 A KR1020027002811 A KR 1020027002811A KR 20027002811 A KR20027002811 A KR 20027002811A KR 20020047141 A KR20020047141 A KR 20020047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frequency
line
band pass
pass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칼롭카하인쯔
Original Assignee
크리오엘렉트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오엘렉트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리오엘렉트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4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14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27Electromagnetic interstage coupling
    • H01P1/20354Non-comb or non-interdigital filters
    • H01P1/20381Special shape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2Coaxial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27Electromagnetic interstage coupling
    • H01P1/20354Non-comb or non-interdigital filters
    • H01P1/20363Linear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9Hollow waveguide filters comprising one or more branching arms or cavities wholly outside the main wavegu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주 공진기와 이 주 공진기에 결합된 최소한 하나의 봉쇄 대역 공진기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숫자의 폴에 대해서, 가장 높은 가능한 숫자의 전송 제로가 봉쇄 대역에 발생하도록 필터 구조를 구성하고, 이에 따라서 공지된 공진기의 구조와 관련하여, 과다 결합이 비인접 공진기 사이에서 사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봉쇄-대역 공진기가 주 공진기와 직렬로 된 전송 제로의 위치와 전송 폴의 위치의 양자를 생성하도록 봉쇄 대역 공진기는 주 공진기에 결합된다.

Description

감쇠 폴을 포함하는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 조립체{HIGH-FREQUENCY BAND PASS FILTER ASSEMBLY, COMPRISING ATTENUATION POLES}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는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지상 및 위성 보조 무선 방송, 무선 연결 및 이동 전화 시스템, 뿐만 아니라 레이더 및 항법 시스템과 같은 통신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를 구성한다. 이 경우에, 개별적인 필터, 예를 들어 무선 수신 장치 내의 필터는 사전 선택 기능, 즉 불필요한 간섭 신호를 억제하는 것과 같은 사전 선택 기능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필터 뱅크는 주파수 채널링 기능을 구비한다. 무선 송신기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개별적인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있어서 오프밴드 스펙트럴 쉐어를 억제하며, 또한 출력단의 멀티플렉서의 형태로서의 필터 뱅크는 공유 안테나에 다양한 캐리어를 집중시키는데 사용된다.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에 있어서, 초기에 능동 및 수동 설계 사이에서 차이가 난다. 선형성 및 저잡음 수준에 대한 소정의 엄정한 필요 조건이 있지만, 본원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수동형 필터만 고찰하기로 한다. 수동형 전자기 필터의 기능은 전기장 및 자기장 에너지의 저장을 기초로 한다. 불연속 구조의 부재로 구성되는 필터에 있어서, 전기장 및 자기장 에너지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한정된 숫자의 불연속 부재, 즉 커패시터와 인덕터에 서로로부터 별도로 저장된다. 이들 불연속적인 구조 부재의 기하학적인 치수가 안내될 파장의 10 분의 1 보다도 상당히 작아야 하기 때문에, 이 구조 부재의 비부하 Q가 치수가 감소하게 됨에 따라서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에, 결합된 공진기로 구성되는 구조는 유리하게는 서로 연결된 불연속적인 커패시터 및 인덕터 대신에 대략 1 GHz를 초과하는 스팁-에지드 필터에 사용된다.
본원에서 고찰되는 필터 클래스의 빌딩 블록을 나타내는 다양한 종류의 공진기 설계가 가능하다. 동축 TEM 컨덕터 부분 및 중공 컨덕터 부분을 사용하여 동축 공진기 또는 캐버티 공진기를 형성하며, 여기에서 전자기장은 컨덕터면에 의해서 완전하게 포위된다. 이들 공진기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저손실 유전체 재료로 충전되어 체적을 감소시키고, 공간 장 경과를 변화시키게 된다. 유전체 공진기에 있어서, 장 함입은 주로 유전체 재료와 주위 대기 사이에서의 계면을 통해서 주로 발생하며, 이 계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해서 공간적으로 붕괴하는 장은 필요하다면 금속 케이싱으로 차폐된다.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 스트립 선로 및 코플래너 공진기를 포함하는 플래너 공진기는 유전체 기판 상에서 평면 인쇄된 컨덕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공진기의 설계를 선택하는 것은 필터 규격에 의해서 필요로 하게 되는 공진기의 비부하 Q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이하를 참조). 종래 기술에 있어서, 높은 비부하 Q는 상대적으로 큰 기하학적인 치수의 공진기를 특정하게 된다. 한편으로는, 필터에 있어서 모든 공진기의 전체에 대해서 가능한 체적은 낮은 GHz 범위에서는 제한되어 있다. 약 50 %의 체적 감소 요구는 직교 모드를 통한 공진기의 이중 사용(듀얼 모드 공진기)을 통해서 달성된다. 높은 비부하 Q가 큰 기하학적인 치수를 특정하는 규칙에 대한 예외는 고온 초전도체로 구성된 냉각된 플래너 공진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소형이고 높은 Q의 공진기용의 다른 기술적인 진보는 유전체 공진기에 대해서 높은 유전 상수를 가진 극단적으로 낮은 손실의 유전체 재료의 개발에서의 진보로부터 발생한다. 소정의 파워 호환성(가열, 다중 계약) 또한 공진기 설계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대역 통과 필터의 전기적인 거동은 주파수 대역폭(통과 대역의 폭)과 통과 대역의 위치, 통과 대역의 최대 삽입 손실 및 최소 복귀 손실, 통과 대역 및 차단 영역 사이에서의 전송 영역의 폭, 뿐만 아니라 차단 영역에서의 최소 역 감쇠에 의해서 특징지워진다.
필터 구조의 특성을 추가적으로 정량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통과 대역에서 감쇠 제로(반사 제로)를 숫자 N으로 또한 차단 영역에서의 소정의 유한 주파수에서의 감쇠 피크(전송 제로)를 숫자 M으로 하기로 한다. 이 반사 제로와 전송 제로를 사용하는 특징에 있어서, (가상의) 무손실의 경우에서의 거동은 베이시스로 취하고, 제로는 그 순서에 기초하여 반복적으로 계수한다.
대역 통과 필터를 구현하기 위해서, 결합된 공진기의 전체 시스템이 통과 대역의 영역에서 전체 N = NR의 감쇠 제로(공진기를 이중으로 사용하는 중에는 N = 2NR)가 되도록 NR공진기를 함께 결합한다. 또한, 적절한 결합 방법(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됨)은 전체 M > N의 감쇠 피크(전송 제로)가 유한한 주파수의 차단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필요한 감쇠 제로의 숫자 N과, 따라서 필요한 공진기의 최소 숫자는 통과 대역에 대한 전송폭의 비율(상대적인 필터 에지의 스팁 정도)로부터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획득된 장점에 관한 이하의 설명은 필터 에지의 설정된 상대적인 스팁 정도에서 M/N이 증가하면서 통과 대역에서의 감쇠 제로의 필요한 숫자 N이 단조 감소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설정된 통과 대역에서, 낮은 숫자인 N, 따라서 더 낮은 숫자의 NR의 공진기는, M = 0인 체비세프(Chebyshev) 필터 대신에 M > 0인 의사 타원 필터가 사용되는 경우에, 소정의 에지 스팁 정도에 대해서 충분하다. M < N - 1인 의사 타원 필터 대신에 M = N - 1인 "완전한 타원"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한 숫자 N은 추가적으로 감소된다.
필터의 공진기에 있어서 옴 접촉 및 유전 손실 때문에, 필터의 주파수 응답은 필터 에지에서의 도달 가능한 스팁 정도가 회전 효과에 의해서 제한되고, 통과대역에서의 에너지 산일의 삽입 손실이 증가하게 되도록 열화하게 된다. 이 열화는 제 1 근사치에서의 N에만 의존하고, 전송 제로의 숫자 M과는 무관하며, 더 높은 에지 스팁 정도와 더 낮은 에너지 산일의 삽입 손실은 M/N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서 공진기의 설정된 비부하 Q에서 실현될 수 있다.
결합된 공진기를 이루는 필터에서 전송 제로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현재 주로 사용되는 접근 방법은 인접한 공진기의 직접 결합에 추가하여 직접적으로 인접하지 않은 공진기 사이에 결합을 도입("과다 결합")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의 대역 통과는 직렬식 공진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내부 공진기는 이들의 두 개의 이웃 중에 최소한 하나에 결합되어 있고, 두 개의 외부 공진기는 필터 포트에 결합되어 있다. 비인접 공진기 사이에서의 추가적인 결합 없이도 유한한 주파수, 즉 M = 0이 적용되는 주파수에서 전송 제로가 발생하기 않게 된다. 적절한 힘과 부호로 된 과다 결합, 즉 비인접 공진기 사이에서의 결합은, 차단 영역에서의 전송 제로를 초래하게 되며, 여기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전송 영역은 결합 경로의 위치에 따라서 과다 결합마다 생성된다. 상술한 이유에 대한 목적이 가능한한 큰 M / N 비율을 획득하고 또한 개별적인 전송 제로의 주파수 영역을 선택함에 있어서 최대의 자유를 획득하는 것이라면, 이는 "정식 결합 구조"로 지칭되는 결합 계획으로 유도되고, 또한 N - 2의 자유롭게 위치 가능한 전송 제로가 N - 2의 서로 다른 과다 결합을 사용하는 경우에 홀수로 숫자가 매겨진 N이 되도록 유도된다. 통과 대역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놓여 있는 M = N - 2의 제로인 경우에, 최소한 (N - 2) / 2의 과다 결합이 필요하다. 다수의 과다 결합이 있는 이와 같은 필터의 실제적인 구현은 일반적으로 공진기와 결합 부재의 공간적인 배치의 선택에 있어서 위상학적인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최초 및 최종 공진기를 결합해야만 하므로, 정식 결합 구조에 있어서, 문제점은 높은 수준의 N을 가진 필터에서 충분히 높은 역 감쇠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앵글로 색슨의 문헌에서 "추출된-폴-구조"로 지칭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구성은 인접하지 않은 공진기 사이에서 과다 결합하고 있는 공진기 구성을 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전송 제로를 실현하는 것이며, 여기에서 추가적인 공진기는 서플라이에 연결되어 유한한 주파수에서 전송 제로가 없이(M = 0) 대역 통과 필터의 입력 및/또는 출력 포트로 인도되므로 이들은 차단 영역에서 전송 제로를 실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 중의 하나가 DE 42 32 054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에서 최소한 하나의 동축 공진기로 구성되는 대역-봉쇄 필터는 유한한 주파수에서 전송 제로가 없이(M = 0: M = 0인 대역 통과 필터와 대역-봉쇄 필터로 구성되는 직렬식 구조) 마이크로웨이브 세라믹 필터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대역 봉쇄 필터는 통과 대역의 외측에 놓여있는 간섭 주파수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US 3,747,030 A에 있어서, 대략 4 분의 1 파장 길이의 선로 공진기가 M = 0인 집중 부재로 구성되는 필터의 입력 또는 출력측과 평행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대역-봉쇄 필터는 두 개의 포트의 네트워크에 직렬로 접속된다. 하나의 대역-봉쇄 필터를 M = 0인 대역 통과 필터와 직렬로 형성하는 이 개념의 단점은 대역-봉쇄 필터용으로 추가적인 공진기를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데 있는데, 즉 감쇠 제로가 통과 대역에서 N인 필터에 대해서 전체 NR> N의 공진기를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신호가 간섭성의 주파수 범위를 통과하고 인접한 주파수 범위에서 이 신호를 차단하도록 하는 기능을 위해서, 두 개의 분리된 차단 영역을 가진 대역 봉쇄 필터를 대역 통과 필터 대신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사용된 통과 대역은 대역 봉쇄 필터의 두 개의 차단 영역 사이에 놓여있게 된다. US 5,291,161 A로부터 공지된 것은 이와 같은 종류의 필터로, 상기 필터는 연속적인 주 선로와 여기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결합된 부 선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부 선로는 전송 제로를 생성한다. 1982 년 9월의 마이크로웨이브 이론 및 기술에 관한 IEEE 회보, vol. MTT-30, No. 9, pp. 1361 내지 1367에서 아이. 씨. 헝거(I. C. Hunger)와 제이. 알. 로즈(J. R. Rhodes)의 "전기적으로 조정 가능한 마이크로웨이브 대역 봉쇄 필터(Electronically tunable microwave bandstop filters)"로부터 공지된 것은, 용량성으로 결합된 부 선로 또한 갈바니 전기식으로 결합된 부 선로 대신에 전송 제로를 생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DE 24 42 618 C2로부터 공지된 것은, 연속적인 전송 선로가 부 선로(갈래 선로)와 결합한다는 것이다. NR결합된 부 선로가 차단 공진기인 필터 입구로부터 필터 출구까지 연속적인 주 선로로 구성된 이와 같은 필터 구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한 가지 단점은 높은 역 감쇠가 유한한 폭의 주파수 범위에 제한되어 유지된다는 사실이며, 따라서 필터가 다시 한번 더 이들 범위를 지나치게 허용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단점은 감쇠 제로의 숫자 N이 두 개의 차단 영역 사이에서 사용된 통과 대역에서의 공진기의 숫자 보다 더 작다는 것이고, 따라서 설정된 공진기 숫자(NR)에 적합한 필터 에지의 달성 가능한 최대의 스팁 정도가 통과 대역 및 차단 영역 사이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에 관한 것으로, 주 공진기와 이 주 공진기에 결합된 최소한 하나의 차단 공진기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주 공진기는 중단부 또는 금속 벽의 형태로 된 불연속부에 의해서 양쪽 측면에서 접촉하고 있는 컨덕터 부분에 의해서 한정되며, 또한 중심 주파수에서 전자기적으로 자연 진동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약 0.5 GHz 이상 약 100 GHz 이하의 범위에 속하는 작동 주파수 범위에서 고주파 전자기 신호를 매우 선택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해 결합된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대역 통과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기본 원칙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 도면.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역 봉쇄 필터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M = N - 1의 감쇠 피크까지 결합된 공진기로 구성되는 대역 통과 필터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을 보이는 것이며, 여기에서 어떠한 과다 결합도 없고, 어떠한 "추출 가능한 폴" 공진기도 없고, 또한 주 선로가 사용된 어떠한 대역 봉쇄 필터 구조도 없으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개념에 있어서의 단점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목적은 특허 청구 범위에서 설명된 항목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라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차단 공진기가 구조 내에 일체화되고 따라서 각각의 차단 공진기가 차단 영역에서 소정의 전송 제로 중의 하나 뿐만 아니라 남아 있는 필터 구조와 함께 통과 대역에서 감쇠 제로의 양자를 실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들 대역 통과 필터 구조는 하기의 특징을 구비한다.
(가) N = 2m + 1(여기서 m은 자연수)의 폴과 N - 1의 전송 제로를 가진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임피던스-대칭적 필터 부재 또는 각각 N = 2의 폴과 M = 2의 전송 제로를 가진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임피던스-대칭적 필터 부재의 직렬부로 구성되는 대역 통과 필터.
(나) 주 공진기로 지칭되며 중간에 한 쌍의 차단 공진기가 결합된 두 개의 불연속부에 의해서 둘러 싸여진 선로 부분으로 구성되며, 주 공진기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장 배치는 차단 공진기로의 결합이 주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중심 주파수)에서 사라지게 하지만, 이로부터 벗어난 주파수에서는 유한한 값이라고 가정하는 N = 3인 폴과 M = 2인 전송 제로의 임피던스-대칭형 필터 부재. 주 공진기의 길니는 대역 통과 필터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선로 파장의 절반과 동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하나의 차단 공진기에 대해서 선택된 차단 주파수는 더 작게 되며, 다른 차단 공진기의 차단 주파수는 중심 주파수 보다 더 크게 되며, 따라서 각각의 두 개의 차단 공진기는 전송 제로를 생성하며, 또한 주 공진기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추가적인 포트를 생성하게 된다. 단일한 임피던스 대칭형 필터 부재가 대역 통과 필터로 사용되었다면, 주 공진기의 한쪽 단부는 전기적으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자력으로 필터 입력부와 결합하게 되며, 다른쪽 단부는 필터 출력부와 결합하게 된다. 대역 통과 필터가 몇 개의 임피던스 대칭형 필터 부재를 직렬로 하여 구성되었다면, 입력 포트 또는 출력 포트에 결합되지 않은 인접한 주 공진기의 단부는 전기적으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자력으로 결합된다.
(다) 대략 중심 주파수 파장의 절반 정도의 거리에서 상호 이격되어 분리되어 있는 m 쌍의 차단 공진기가 결합된, N = 2m + 1인 폴(m은 1 보다 큰 자연수)과 M = N - 1 = 2m인 전송 제로의 임피던스 대칭형 필터 부재는 주 공진기로 지칭되는 두 개의 불연속부에 의해서 둘러싸인 선로 부분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주 공진기 상의 길이 방향의 장 배치는 차단 공진기와의 결합을 초래하게 되어 주 공진기의공진 주파수(중심 주파수)에서 장 배치가 사라지게 하지만 이로부터 벗어나는 주파수에서는 유한한 값을 가진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주 공진기의 길이는 중심 주파수에서 선로 파장의 절반의 m 배에 대략 상응하도록 선택되며, 주 공진기의 단부로부터의 외부 차단 공진기 쌍의 거리는 대략 선로 파장의 4 분의 1 정도가 된다. 각각의 m 개의 차단 공진기의 두 개의 차단 공진기의 차단 주파수는 하나가 중심 주파수 보다 더 작고 다른 하나가 중심 주파수 보다 크게 되도록 선택되며, 따라서 두 개의 차단 공진기의 각각은 전송 제로를 생성하고, 또한 주 공진기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부가적인 포트를 생성하게 된다. 단일한 임피던스 대칭형 필터 부재가 대역 통과 필터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주 공진기의 한쪽 단부는 전기적으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자력으로 필터 입력부에 결합되며, 다른 단부는 필터의 출력부에 결합된다. 대역 통과 필터가 몇 개의 임피던스 대칭형 필터 부재를 직렬로 하여 구축된 것이라면, 입력 포트 또는 출력 포트에 결합되지 않은 인접한 주 공진기의 단부는 전기적으로,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자력으로 결합된다.
(라) 임피던스 대칭형 필터 부재에 추가하여, 각각 몇 개의 필터 부재를 직렬로 하여 대역 통과 필터를 구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N = 2인 포트와 M = 2인 전송 제로의 임피던스 비대칭형 필터 부재. 임피던스 비대칭형 필터 부재는 주 공진기로 구성되며, 그 길이는 대략 대역 통과 필터의 중심 주파수에서의 선로 파장의 4 분의 1 정도에 상당하며, 한쪽 단부는 인접한 필터 부재에 결합되어 있어서 이 선로 단부가 고저항 종단(최대의 전기 장 강도)되며, 또한 다른쪽 단부는 대역 통과 필터의 입력 또는 출력 포트 또는 인접한 필터 부재에 결합되어 선로 단부가저저항 종단(선로 단부에서 전류가 최대)되며, 또한 한 쌍의 차단 공진기는 주 공진기의 저저항 단부에 전기적으로 또는 갈바니 전기식으로 결합된다.
상술한 임피던스 대칭형과 임피던스 비대칭형 필터 부재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이 하여 이해한다. 즉 임피던스 대칭형 필터 부재는 파워 전송 계수의 최대값이 입력 및 출력 포트가 동일한 종단 저항기에 와이어 연결되는 경우에 소정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손실값에 도달하는 경우이며, 한편으로 전송 비대칭 필터 부재의 경우에는 전체 파워 전송이 매우 비대칭적인 포트 저항기에 대해서만 달성되는 경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e는 N = 3의 폴과 M = 2의 전송 제로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대칭형의 필터 부재의 기본 구조의 개략도이고, 한편으로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의 상태를 반영하는 구조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따라서 도 1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기본 원칙의 단계별 설명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뿐이다.
도 1a는 동종의 고주파 선로(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서 상기 선로는 금속 TEM 선로, 즉 동축 선로와 같은 금속 TEM 선로로 또는 플래너 선로, 즉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 또는 스트립 선로 또는 코플래너 선로와 같은 플래너 선로로 또는 중공 컨덕터 또는 유전체 선로로 설계될 수도 있다. 소산을 무시하면, 파워 트랜스미션 계수 2의 주파수 응답, 즉 반사하지 않는 종단 포트(2)에서 이탈하는 파워(P2)에서 포트(1)에 도달하는 파워(Pin) 사이에서의 비율의 주파수 의존이 주파수와는 무관한 선로의 검사된 작동 주파수 범위 내에 있는 것 중의 하나와 동일하다.
도 1b는 도 1a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형된 구조의 개략적 도면을 제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두 개의 불연속부(3)는 선로 연장부 내로 대칭적으로 도입되어 있다. 이들 불연속부는 유한한 길이(a)의 선로 부분을 한정하며, 그 표면에는 상기 길이(a)가 선로 주파수의 절반의 자연수배에 대응하는 주파수에서 전자기적 자연 진동이 발생하며, 또한 이들 자연 진동은 전기장 및 자기장의 강도의 노드와 안티노드가 선로를 따라서 있는 직립파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에서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강도의 노드는 공진 주파수의 대칭면(4)에 존재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성된 구조는 종래 기술에서는 잘 알려진 공지의 1-폴 대역 통과를 나타내게 되며, 이것은 주파수(f0)에서 최대 P2/Pin= 1(감쇠 제로)인 파워 전송 계수 5의 주파수 응답을 특징으로 한다. 선로 부분을 한정하는 불연속부는 기술적으로는 예를 들어 선형 중단부의 형태를 가지거나 금속 커버로 설계될 수도 있고, 또한 종래 기술에서 잘 공지된 바와 같이 전송 곡선의 주파수 대역폭(Δf)은 공진기로서 작용하는 선로 부분의 단부와 선로 사이에서의 결합의 강도를 통해서 변화할 수도 있다.
도 1c는 도 1a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변형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공진 회로(6: "차단 공진기")가 선로에 결합되어 있고, 따라서 파워 전송 계수 7의 주파수 응답은 주파수(fs)에서 전송 제로를 구비한다. 이 구조는 따라서 종래 기술로부터 잘 공지된 1-폴 대역 봉쇄 필터("노치 필터")의 구조를 나타내게 된다.
도 1d는 도 1c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변형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가변 공진 주파수를 구비한 두 개의 차단 공진기(8)가 하나의 차단 공진기 대신에 결합되어 있고, fs1및 fs2에서 두 개의 전송 제로로 유도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적인 측면은 여기에서 도 1b의 구조와 도 1d의 차단 공진기 쌍의 조합에서 도 1e에 따른 구조를 형성하는 것과 관련된다. 유한한 길이의 선로 부분은 공진기를 형성하고, 여기에서는 주 공진기로 지칭되며, 중간에서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노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적인 측면은 차단 공진기와 주 공진기 사이에서의 결합을 선택하는 것과 관련되고, 이 결합은 주파수(f0)에서 사라지며, 여기에서 이는 예를 들어서 전기장의 노드의 존재에 의해 부여되는 주 공진기와 차단 공진기 사이에서의 전기적인 결합과 자기장의 노드의 존재에 의한 자기적인 결합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의 결과로서, 주 공진기의 공진은 한편으로는 주파수(f0)에서 차단 공진기 쌍에 의해서방해받지 않게 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차단 공진기 쌍과 주 공진기 사이에서의 결합이 주파수(f0)와는 다른 주파수에 대해서 두 개의 추가적인 자연 진동을 생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 구조에 있어서, 두 개의 차단 공진기는 따라서 두 가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간주, 즉 한편으로는 도 1d에 따른 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한편으로는 두 개의 전송 제로를 실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선로 부분과 함께 전체 3 개의 자연 진동(3 폴)을 생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소정의 공진 주파수 및 결합 강도를 제대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도 1e에 따른 구조의 주파수 응답(10)은 f1, f2및 f3에서 세 개의 전송 최대값(감쇠 제로)을 특징으로 하며, 뿐만 아니라 fs1및 fs2에서 두 개의 전송 제로를 특징으로 한다. 3의 폴과 두 개의 전송 제로를 실현하기 위한 이 필터 구조에 있어서, 전송 제로의 주파수 위치는 차단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에 의해서 결정되며, 중간의 전송 최대값의 주파수 위치는 주 공진기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두 개의 외부 전송 최대값의 위치는 주 공진기와 차단 공진기 사이에서의 결합의 강도를 통해서 변경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이들 주파수는 중간 주파수를 향해서 이동되어 증가된 결합으로 주어진다.
본원 발명의 다른 본질적인 측면은, 도 1e에 따른 원칙을 일반화하는 것으로, 도 2a 내지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M = 2m의 전송 제로와 N = M + 1 = 2m + 1의 폴을 구비한 필터 부재를 실현하는 것이다. 도 2a는 다시 도 1e에 따른 m = 1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선로 부분이 중간 주파수에서 파장의 절반("중간 주파수의 선로 파장")이라면, 차단 공진기와 주 공진기 사이에서의 결합의 종류는 최대값의 양의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선로 부분의 단부에 위치하는지에 의존한다. 전기장의 최대값이 단부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전기장은 주파수(f0)에서 대칭면 내에 노드를 가지게 되며, 따라서 두 개의 차단 공진기는 상술한 설계 규칙에 따라서 전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하며, 한편으로 단부에서의 자기장의 최대값은 자기적인 결합이 자기장의 노드에 따라서 존재하는지를 필요로 한다. 자기장의 최대값이 단부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차단 공진기와 주 공진기 사이에서의 자기적인 결합을 여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선로 부분의 길이가 중간 주파수의 선로 파장의 절반 대신에 전체 파장에 대응해야만 한다.
도 2b는 m = 2, 즉 N = 5의 폴과 M = 4의 전송 제로에 대한 본원 발명에 따른 일반화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선로 파장의 대충 절반 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된 두 쌍의 차단 공진기가 사용되었다.
도 2c는 N = 7의 폴과 M = N - 1 = 6의 전송 제로인 필터 부재를 본 발명에 따라 전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원칙에 따른 필터 부재의 폴 숫자(N)의 증가는 주 공진기의 더욱 더 바람직하지 않은 자연 진동의 주파수 위치에 의해서 제한되며, 여기에서 폴 숫자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주 공진기를 가늘고 길게 늘리면 주파수 범위 내에서 주 공진기의 자연 공진에 점점 더 수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한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폴 숫자를 가진 필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두 개의 대안적인 접근 방법, 즉 도 2a 내지 도 2c에 따라서 임피던스대칭형 필터 부재를 직렬로 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또한 필터 부재 당 두 개의 폴과 두 개의 전송 제로를 가진 임피던스 비대칭형 필터 부재를 도입한다.
도 3은 폴 숫자가 N = NgXQ이고 전송 제로가 M = N - Q인 필터를 어떻게 각각 Ng의 폴과 Mg= N - 1의 전송 제로를 가진 Q 필터 부재의 직렬부로부터 형성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 것이다. 예시로서 도시된 것은 Ng = 3인 3 개의 필터 부재로 구성되는 6의 전송 제로를 가지는 9-폴(9-루프) 필터의 경우와, Ng = 5인 3 개의 필터 부재로 구성되는 8의 전송 제로를 가지는 10-폴 필터의 경우이다.
임피던스 비대칭형 필터 부재는 도 1e에 따른 차단 공진기 쌍을 이용하여 임피던스 대칭형 필터 부재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본원 발명에 따라서 실현되며, 여기에서 두 개의 불연속부 중의 하나는 차단 공진기의 쌍이 결합되는 장소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이는 차단 공진기의 결합 위치로부터 중간 주파수의 선로 파장의 대략 4 분의 1 정도 이격되어 있는 불연속부(2: "고저항 단부")와, 차단 공진기 쌍의 결합 위치에 근접하여 위치한 제 2 불연속부(3: "저저항 단부")를 구비한 도 4a에서 도시한 T 형상의 구조를 만들게 된다.
임피던스 비대칭형에 필요한 보정을 하기 위해서, 최소한 하나의 임피던스 대칭형 부재가 임피던스 비대칭형 필터 부재로 구성되는 직렬부에 부가된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임피던스 대칭형 부재(5)는 직렬부의 한쪽 단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아니면 중앙에 삽입될 수도 있다(도 4c 참조).
도 1e, 도 2a 내지 도 2c, 도 3 및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구조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것에 대해서, 매우 다양한 잠재적인 기술적 구성이 가능한데, 이는 이하와 같이 다른 것 중에서도 서로로부터 차이가 나는 것이다.
(가) 주 공진기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선로 형태.
(나) 차단 공진기의 설계.
(다) 차단 공진기와 주 공진기 사이에서의 결합 형태.
(라) 직렬부에서의 주 공진기와 주 공진기 및 포트 사이에서의 불연속부(결합)의 구조.
도 5는 6의 전송 제로를 가지는 7-폴의 필터가 어떻게 동축 선로 기술에 기초하는 도 2c에 도시된 원칙에 따라서 단일 필터 부재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는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주 공진기(1)는 정사각형 내부 및 내부 선로를 구비하며, 길이는 중간 주파수의 파장의 1.5 배와 동일하다. 선로 부분을 둘러싸는 불연속부는 용량성 커플러의 형태를 띄게 된다. 차단 공진기(2)는 길이가 선로 파장의 대략 4 분의 1 정도인 단부에서 단축되고, 주 공진기에 용량성으로 결합된 동축 선로 부분으로서 실현된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구조의 변경을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서 차단 공진기(2)는 이제 주 공진기의 내부 선로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결합되지만, 단부에서 용량성 부하 하에 놓이게 된다.
도 7은 두 개의 임피던스 비대칭형 필터 부재와 하나의 임피던스 대칭형 필터 부재로 구성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여기에서는 9 개의 폴과 8 개의 전송 제로가 획득된다.
도 8은 5 개의 폴과 4 개의 전송 제로를 가지는 임피던스 대칭형 필터 부재로 구성되는 필터를 도시한 것이며, 여기에서는 H10 파 형태에 적합하게 정사각형 중공 선로에 기초하여 구현되어 있다. 주 공진기(1)는 양쪽 단부에서 단축된 정사각형 중공 선로로 구성되며, 길이는 중간 주파수에서 중공 선로의 파장에 대응한다. 4 개의 차단 공진기(2)는 단축된 4 분의 1 중공 컨덕터 부분의 형태의 실현된다. 포트로의 결합은 예를 들어 동축 접합부(3)를 거쳐서도 가능하다.
도 9는 필터가 두 개의 임피던스 대칭형 필터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의 유전체 공진기의 실현예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서 각각의 필터 부재는 세 개의 폴과 두 개의 전송 제로를 생성하고, 따라서 대역 통과 필터는 전체 6 개의 폴과 4 개의 전송 제로를 구비하게 된다. 적절한 유전체 재료, 즉 가능한 한 높은 유전 상수와 낮은 손실각 및 낮은 온도 계수를 가진 재료(예를 들면, 바륨 티타네이트 지르코네이트)로 형성되는 주 공진기(1)와 차단 공진기(2)는 스페이서(3), 예를 들면 수정 재료로 형성되는 스페이서에 의한 과도하게 높은 옴 접촉 손실을 회피하기에 충분하게 금속 케이싱(5)의 바닥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하게 된다. 주 공진기는 장 배치가 도 9b에서 f0으로 도시된 자연 공진 하도록 치수 설정되고, 차단 공진기는 네 개의 차단 주파수(f1내지 f4)에서 공진할 수 있도록 치수 설정되며, 여기에서 이들의 장 배치는 도 9c에서 따른 장 배치가 된다. 주 공진기의 공간적인 장 배치 때문에, f0에서 차단 공진기의 공진 장에 결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주 공진기와 차단 공진기 사이에서의 결합이 f0이외의 주파수에 대해서는 획득되기 때문에, 부가적인 4 개의 자연 공진이 발생하게 되는 결과가 나온다. 포트로의 결합은 예를 들어 컨덕터 루프(4)를 사용하여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유전체 재료로 형성한 필터 부재에 대한 다른 가능한 설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주 공진기(5)는 길이(a)의 정사각형 유전체로 구성되며, 이는 정사각형 유전체 상의 표면파의 파장과 대략 상응한다. 이는 도 10b에 따른 주 공진기 상의 장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4 개의 차단 공진기(1 내지 4) 또한 정사각형 유전체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의 길이(b1 내지 b4)는 4 개의 전송 제로의 주파수 위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유전체로 된 주 공진기와 4 개의 유전체로 된 차단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전체 구조는 5 개의 자연 진동을 실현한다. 폴의 주파수 위치는 주 공진기 및 차단 공진기 사이의 결합 강도를 통해서 변경시킬 수 있다. 유전 상수가 상대적으로 낮고 공기 또는 유전체 재료로 충전되고 폭이 h1내지 h4인 공진기 사이의 "틈"을 사용하여 상기 결합 강도를 변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원칙은 또한 플래너 공진기 구조, 예를 들면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 구조는 고온 초전도체로 형성된 것이 관심사가 되는데, 이들은 엄청난 수준의 소형화에도 불구하고 높은 비부하 Q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도 11은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 기술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 비대칭형 필터 부재의 실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먼저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 공진기의 종래 기술에서의 공지된 원칙을 상기시킨다. 이 구조에 있어서, 적절한유전체 기판(1)은 한쪽 측면 상에 연속적인 컨덕터층(2)을 유지하고 있으며, 다른 측면 상에는 구조화된 컨덕터 층을 유지하고 있다. 도 11a는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 공진기(3)의 공지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그 단부는 서플라이 리드(4, 5)에 용량성으로 결합되어 있다. 파워 전송 계수(6)의 주파수 응답은 주파수(f0)에서 최대이며, 이 최대의 폭은 선로 단부(불연속부)에서의 결합의 강도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도 11b는 임피던스 비대칭형 필터 부재가 어떻게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 기술로 실현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문에, T 형상의 컨덕터 구조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구조에 있어서 개별적인 팔의 길이는 대략 중간 주파수에서의 선로 파장의 4 분의 1에 상응하며, 여기에서 측면 팔(3)의 길이 또는 폭에 있어서 명확한 비대칭은 상기 기능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측면의 팔은 차단 공진기의 간단한 실현으로 나타나며, 여기에서 차단 주파수는 팔의 길이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제 3의 팔과 함께, 측면 팔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구조를 형성하므로, T 구조는 듀얼 모드 공진기의 특정한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출력 포트는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T 구조에 용량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듀얼 포트의 주파수 응답(6)은 두 개의 전송 최대값과, 두 개의 전송 제로를 특징으로 하며, 여기에서 전송 최대값의 절대값은 비대칭성으로 인해서 일 보다는 훨씬 적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서, 임피던스 대칭형 필터 부재와는 반대로 단일한 비대칭형 필터 부재는 쓸만한 대역 통과 필터를 대표할 수 없다. 상술한 모든 실현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 구조 또한다양한 방법, 예를 들어, 폭이 변경된 비동종 선로 부분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변경할 수 있다.
도 12는 9 개 폴의 필터와 8 개의 전송 제로가 어떻게 4 개의 임피던스 비대칭형 필터 부재(1)와 종래 기술의 반파 공진기(2)에서 형성될 수 있는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추가적인 폴을 제공하는 것에 덧붙여, 직렬로 된 공진기(2)는 포트(2)에서의 임피던스(예를 들면 50 옴)를 T 형상의 공진기의 접합 지점에 대해서 결합 위치에서의 더 낮은 임피던스로 변형시킨다. 여기에서 개별적인 필터 부재의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주파수 응답에 대해서 코어(Cauer) 특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치수 설정된다.

Claims (17)

  1.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 장치로서, 주 공진기(1)와 상기 주 공진기(1)에 결합된 최소한 하나의 차단 공진기(4, 6, 8)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 공진기(1)는 중단부 또는 금속 벽의 형태로 된 불연속부(도 2a 내지 도 2c에서 2 및 3)에 의해서 양쪽 측면에서 접촉하고 있는 선로 부분에 의해서 한정되고, 중간 주파수(f0)에서 전자기적인 자연 진동을 하는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에 있어서,
    상기 주 공진기에 결합된 차단 공진기(4)는 주 공진기(1)의 선로 부분에서의 파에 대해서 그 차단 주파수(fs)에서 1의 반사 계수가 실현되며,
    최소한 하나의 차단 공진기는 선로 부분을 따라서 전기장 및 자기장의 공간 변화에 의해서 대역 통과 필터의 중간 주파수에서 차단 공진기와 주 공진기 사이에서의 주파수에 종속되는 결합이 사라지는 곳인 선로 부분을 따르는 위치에서 주 공진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차단 공진기는 각각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차단 공진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차단 공진기는 주 공진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차단 공진기는 주 공진기에 자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차단 공진기는 주 공진기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 장치.
  6. 세 개인 자연 주파수(폴)와 두 개인 전송 제로의 제 1 항에 따른 대역 통과 필터에 있어서,
    주 공진기는 대역 통과 필터의 중간 주파수에서의 선로 파장의 대략 절반 정도와 상응하는 길이의 선로 부분으로 구성되며,
    두 개의 차단 공진기는 선로 부분 중간의 주 공진기에 결합되어 주파수 의존 결합이 중간 주파수에서 사라지게 되며,
    두 개의 차단 공진기 중의 하나의 차단 주파수는 대역 통과 필터의 중간 주파수 보다 작고, 다른 차단 공진기의 차단 주파수는 대역 통과 필터의 중간 주파수 보다 크며,
    두 개의 차단 공진기의 차단 주파수는 대역 통과 필터의 전송 제로가 필요한 차단 영역 내에서 선택되며,
    통과 대역 내의 세 개의 전송 최대값은 차단 공진기 및 주 공진기 사이에서의 결합의 강도를 변화시켜서 통과 대역에서의 복귀 손실이 소정의 최소값 이상에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7. 다섯 개인 자연 주파수(폴)와 네 개인 전송 제로의 제 1 항에 따른 대역 통과 필터에 있어서,
    주 공진기는 중간 주파수에서 대략 1의 선로 파장에 상응하는 길이의 선로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며,
    주 공진기의 선로 부분을 따라서 중간 주파수의 선로 파장의 대략 절반 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되어 있고 또한 선로 부분의 단부와 외부 차단 공진기 쌍 사이에서의 선로 파장의 대략 4 분의 1 만큼 이격되어 분리되어 있는 두 쌍의 차단 공진기는 주 공진기에 결합되어 있어 대역 통과 필터의 중간 주파수에서 주파수 의존 결합이 사라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8. 2m + 1(m은 자연수)인 자연 주파수(폴)와 2m인 전송 제로의 제 1 항에 따른 대역 통과 필터에 있어서,
    주 공진기는 대략 중간 주파수의 선로 파장의 m 배의 절반의 길이의 선로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며,
    m 쌍의 차단 공진기는 선로 부분을 따라서 중간 주파수의 선로 주파수의 절반의 거리 및 다른 차단 공진기의 쌍 사이에서 선로 파장의 대략 4 분의 1의 거리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되며,
    선로 부분의 단부는 주 공진기에 결합되어 있어서 대역 통과의 중간 주파수에서 주파수 의존 결합이 사라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9. 2m + 1(m은 자연수)인 자연 주파수(폴)과 2m인 전송 제로의 제 1 항에 다른 대역 통과 필터에 있어서,
    주 공진기는 중간 주파수의 선로 파장의 대략 (m + 1) 배의 길이인 선로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며,
    선로 부분을 따라서 중간 주파수의 선로 파장의 절반 만큼 서로 이격되어 분리되어 있고, 또한 외부 차단 공진기 쌍과 선로 부분의 단부 사이에서 선로 파장의 대략 절반 만큼 이격되어 분리되어 있는 m 쌍의 차단 공진기는 주 공진기와 결합되어 대역 통과 필터의 중간 주파수에서 주파수 의존 결합이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10.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역 통과 필터로 형성된 필터 부재가 직렬로 된(숫자 Q) 제 1 항에 따른 대역 통과 필터에 있어서,
    주 공진기로 작용하는 필터 부재의 선로 부분의 한쪽 단부는 전기적으로 또는 자력으로 또는 갈바니 전기식으로 다음 필터 부재의 선로 부분의 인접한 단부에 결합되며,
    외부 필터 부재의 선로 부분의 두 개의 바깥쪽 단부는 입력 또는 출력 포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11. 대역 통과 필터의 중간 주파수에서 선로 파장의 4 분의 1인 선로 부분(1: 도 4a)의 형태로 주 공진기를 이루는 두 개인 전송 폴과 두 개인 전송 제로(도 4a)의 제 1 항에 따른 대역 통과 필터에 있어서,
    한쪽 단부(2)는 대역 통과 필터의 입력 포트(포트 1)와 전기적으로 또는 자력으로 또는 갈바니 전기식으로 결합되어 중간 주파수에서의 전기장의 강도가 이 단부에서 최대가 되며, 다른쪽 단부(3)는 대역 통과의 출력 포트와 전기적으로 또는 자력으로 또는 갈바니 전기식으로 결합되어 중간 주파수에서의 전기장의 강도가 이 단부에서 최소가 되며,
    한 쌍의 차단 공진기는 갈바니 전기식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또는 자력으로 제 2 포트(3: 도 4a)에 결합되며,
    두 개의 차단 공진기의 선택된 차단 주파수는 차단 영역에서의 전송 제로의 소정의 주파수와 동일하며,
    통과 대역에서의 두 개의 전송 최대값의 주파수 위치는 차단 공진기와 대략 4 분의 1의 파장의 길이를 가지는 선로 부재 사이의 결합 강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12. 차단 공진기 쌍과 대략 선로 파장의 4 분의 1 정도의 길이의 선로 부분 사이에서 갈바니 전기식으로 결합된 제 11 항에 따른 대역 통과 필터에 있어서,
    상기 선로 부분은 두 개의 차단 공진기와 함께 두 개의 서로 다른 자연 주파수를 구비한 T 형상의 공진기(도 11b)를 형성하며, 필터의 입력은 "T"의 수직부의 하단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필터 출력은 "T"의 수직부의 상단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따른 대역 통과 구조 또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역 통과 구조로 되어 있는 필터 부재가 직렬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진기는 동축 공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진기는 중공 공진기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16.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진기는 유전체 공진기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17.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래너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 공진기 또는 코플래너 공진기와 함께, 고온 초전도체로 이루어지는 플래너 공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KR1020027002811A 1999-08-31 2000-08-26 감쇠 폴을 포함하는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 조립체 KR200200471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41311A DE19941311C1 (de) 1999-08-31 1999-08-31 Bandfilter
DE19941311.8 1999-08-31
PCT/EP2000/008333 WO2001017057A1 (de) 1999-08-31 2000-08-26 Hochfrequenz-bandpassfilteranordnung mit dämpfungspol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141A true KR20020047141A (ko) 2002-06-21

Family

ID=792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811A KR20020047141A (ko) 1999-08-31 2000-08-26 감쇠 폴을 포함하는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212806B1 (ko)
JP (1) JP2003508948A (ko)
KR (1) KR20020047141A (ko)
CN (1) CN1241289C (ko)
AT (1) ATE233956T1 (ko)
AU (1) AU7280000A (ko)
CA (1) CA2383777A1 (ko)
DE (2) DE19941311C1 (ko)
ES (1) ES2191642T3 (ko)
IL (1) IL148267A0 (ko)
WO (1) WO20010170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7164B2 (ja) * 2003-12-08 2007-05-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分波器および合波器
US7321884B2 (en) 2004-02-23 2008-01-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to isolate a qubit from the environment
KR101541189B1 (ko) * 2005-11-18 2015-07-31 레저넌트 인크. 저손실의 튜너블 무선 주파수 필터
KR101614955B1 (ko) 2007-06-27 2016-04-22 레저넌트 인크. 저손실 튜닝 가능 무선 주파수 필터
US9165723B2 (en) 2012-08-23 2015-10-20 Harris Corporation Switches for use in microelectromechanical and other system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US20140055215A1 (en) * 2012-08-23 2014-02-27 Harris Corporation Distributed element filters for ultra-broadband communications
US9053874B2 (en) 2012-09-20 2015-06-09 Harris Corporation MEMS switches and other miniaturized devices having encapsulating enclosures, and processes for fabricating same
US9053873B2 (en) 2012-09-20 2015-06-09 Harris Corporation Switches for use in microelectromechanical and other system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US8907849B2 (en) 2012-10-12 2014-12-09 Harris Corporation Wafer-level RF transmission and radiation devices
US9203133B2 (en) 2012-10-18 2015-12-01 Harris Corporation Directional couplers with variable frequency response
WO2014129233A1 (ja) * 2013-02-22 2014-08-28 三菱電機株式会社 音声強調装置
CN104659452B (zh) * 2013-11-22 2017-06-27 南京理工大学 一种基于十字型谐振器的双重陷波频段超宽带带通滤波器
JP6158780B2 (ja) * 2014-03-14 2017-07-05 レゾナ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Resonant Inc. 低損失の可変無線周波数フィルタ
IL251669B2 (en) 2014-10-10 2023-02-01 Idera Pharmaceuticals Inc Cancer treatment using a tlr9 agonist with checkpoint inhibitors
CN106257933B (zh) * 2015-06-18 2019-08-30 雅马哈株式会社 声学结构和音响板
JP7137474B2 (ja) 2016-03-15 2022-09-14 メルサナ セラピュー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NaPi2b標的化抗体-薬物コンジュゲート及びその使用方法
US11135307B2 (en) 2016-11-23 2021-10-05 Mersana Therapeutics, Inc. Peptide-containing linkers for antibody-drug conjugates
WO2018160538A1 (en) 2017-02-28 2018-09-07 Mersana Therapeutics, Inc. Combination therapies of her2-targeted antibody-drug conjugates
EP3717021A1 (en) 2017-11-27 2020-10-07 Mersana Therapeutics, Inc. Pyrrolobenzodiazepine antibody conjugates
EP3727463A1 (en) 2017-12-21 2020-10-28 Mersana Therapeutics, Inc. Pyrrolobenzodiazepine antibody conjugates
CN108594646A (zh) * 2018-03-12 2018-09-28 上海电力学院 一种基于滤波约分法的不稳定连续系统辨识方法
CN110729536B (zh) * 2018-07-16 2021-09-10 罗森伯格技术有限公司 一种同轴腔体双通带滤波器
US20230021500A1 (en) 2018-10-29 2023-01-26 Mersana Therapeutics, Inc. Cysteine engineered antibody-drug conjugates with peptide-containing linkers
CN109326858A (zh) * 2018-11-27 2019-02-12 安徽阖煦微波技术有限公司 一种高抑制腔体滤波器
CN110148816B (zh) * 2019-04-19 2020-07-10 华中科技大学 一种多通带零反射滤波器
JP6764163B1 (ja) 2019-11-21 2020-09-30 株式会社Space Power Technologies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情報機器
CN111709154B (zh) * 2020-07-21 2023-05-23 西安烽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腔体滤波器中混合电磁耦合产生传输零点的设计方法
CN112072238B (zh) * 2020-07-31 2022-01-28 南京邮电大学 一种发夹型带通滤波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3523C (de) * 1943-02-03 1953-10-15 Telefunken Gmbh Hochfrequenz-Breitbanduebertrager
US3747030A (en) * 1971-06-07 1973-07-17 Oak Electro Netics Corp Band pass filter with transmission line section
AU470870B2 (en) * 1973-10-29 1976-04-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ilters employing elements with distributed constants
FR2546340B1 (fr) * 1983-05-20 1985-12-06 Thomson Csf Filtre hyperfrequence coupe-bande accordable, de type coaxial, a resonateurs dielectriques
EP0226951B1 (de) * 1985-12-13 1990-08-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Bandsperre für kurze elektromagnetische Wellen mit Leitungselementen
JPH0334305U (ko) * 1989-08-14 1991-04-04
US5291161A (en) * 1991-07-22 1994-03-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icrowave band-pass filter having frequency characteristic of insertion loss steeply increasing on one outside of pass-band
DE4232054A1 (de) * 1992-09-24 1994-03-31 Siemens Matsushita Components Mikrowellen-Keramik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17057A1 (de) 2001-03-08
ES2191642T3 (es) 2003-09-16
JP2003508948A (ja) 2003-03-04
CA2383777A1 (en) 2001-03-08
AU7280000A (en) 2001-03-26
ATE233956T1 (de) 2003-03-15
IL148267A0 (en) 2002-09-12
DE19941311C1 (de) 2001-06-07
EP1212806A1 (de) 2002-06-12
EP1212806B1 (de) 2003-03-05
DE50001421D1 (de) 2003-04-10
CN1241289C (zh) 2006-02-08
CN1371534A (zh) 2002-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47141A (ko) 감쇠 폴을 포함하는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 조립체
US7323955B2 (en) Narrow-band absorptive bandstop filter with multiple signal paths
US6122533A (en) Superconductive planar radio frequency filter having resonators with folded legs
US5812036A (en) Dielectric filter having intrinsic inter-resonator coupling
US6621381B1 (en) TEM-mode dielectric resonator and bandpass filter using the resonator
US5825263A (en) Low radiation balanced microstrip bandpass filter
WO1998000880A9 (en) Planar radio frequency filter
US4757285A (en) Filter for short electromagnetic waves formed as a comb line or interdigital line filters
CN110797613A (zh) 一种十阶六陷波的介质波导滤波器
JPH10145110A (ja) 複合誘電体フィルタ
US5221912A (en) YIG tuned band reject filter for 2-18 GHz with full one-quarter wavelength RF coupling loops
US20010043129A1 (en) Resonator,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US3668564A (en) Waveguide channel diplexer and mode transducer
Wada et al. Design of a bandpass filter with multiple attenuation poles based on tapped resonators
KR20000062617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AU732191B2 (en) Microwave resonator
US20040108919A1 (en) Tunable coupling
KR100449226B1 (ko) 유전체 듀플렉서
US6023206A (en) Slot line band pass filter
US6809615B2 (en) Band-pass filt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7256666B2 (en) Band rejection filter with attenuation poles
KR100411202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기기 시스템
JPH11312902A (ja) 誘電体フィルタ、送受共用器および通信機
JPS61230502A (ja) 空中線等の共用装置
Lee et al. A new network model for miniaturized hairpin resonators and its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