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025A -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및 이동체 통신 서비스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및 이동체 통신 서비스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025A
KR20020047025A KR1020010079709A KR20010079709A KR20020047025A KR 20020047025 A KR20020047025 A KR 20020047025A KR 1020010079709 A KR1020010079709 A KR 1020010079709A KR 20010079709 A KR20010079709 A KR 20010079709A KR 20020047025 A KR20020047025 A KR 20020047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register
home location
location reg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7688B1 (ko
Inventor
하세가와토오루
니시토요타
카이야마아키라
수기야마타케시
코바야시히로나리
마츠나가히로시
코주카주유키
Original Assignee
기노시타 고타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노시타 고타,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기노시타 고타
Publication of KR20020047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6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6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 정보를 기억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와,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201)를 레지스터(13)에 송신하는 교환기(12)와,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 장치(14)를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에 있어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는 서비스 제어 장치(14)가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서비스용 정보(309)를 보유함과 동시에,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201)의 응답 신호(308)와 함께 서비스용 정보(309)를 교환기(12)에 송신하며, 교환기(12)는 레지스터(13)로부터 수신한 서비스용 정보(309)를 서비스 제어 장치(14)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및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ontrol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ontrol method}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가입자 정보를 기억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와,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 장치와의 협동에 의해서,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및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 배경 기술)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이동체 단말의 위치나 발착신을 관리하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와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 장치를 별개의 장치로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장치뿐만 아니라,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있어서도 서비스를 제어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발명의 개요)
그러나, 상기 종래의 네트워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서비스 제어 장치로 제어하는 서비스를 개시(실행)함에 있어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 보유하는 정보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가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를 제어하고, 서비스 제어 장치가 「부재중 전화 서비스 」를 제어하며, 또한, 전자의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가, 후자의 부재중 전화 서비스보다도 우선적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서비스 제어 장치는 부재중 전화 서비스를 실행시키기에 앞서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 관리하는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가 기동하고 있는 것인지 혹은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가 작동하여 번호 비통지의 발신자의 회선을 절단하였는지 등의 정보를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조회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상기 조회를 위해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와 서비스 제어 장치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 수가 많아지게 되어, 양 장치를 별개로 하는 것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서비스 제어 장치가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조회할 필요가 없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및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은 가입자 정보를 기억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와, 착신 처리 시에 상기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는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송신하는 교환기와,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가 상기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서비스용 정보를 보유함과 동시에, 상기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의 응답 신호와 함께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송신하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어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에 의하면, 우선, 착신 처리 시에, 교환기가 착신 가입자에 관한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송신한다. 그리고,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상기 응답 신호와 함께, 서비스 제어 장치가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서비스용 정보를 교환기에 송신한다. 상기 서비스용 정보는 교환기로부터 서비스 제어 장치에 전송되고, 서비스 제어 장치는 해당 서비스용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제어 장치는 필요한 정보를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조회하지 않고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 장치는 가입자가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기동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서비스 기동 신호를 송신하고,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서비스 기동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의 응답 신호와 함께 서비스용 정보를 교환기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을 채용한 경우, 서비스 제어 장치로 서비스용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부터 교환기를 통해 서비스 제어 장치에 서비스용 정보가 송신되기 때문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 교환기, 및 서비스 제어 장치 간에 불필요한 정보가 송수신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에 있어서, 상기 홈 로케이션레지스터는 소정의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함과 동시에, 해당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용 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가 제어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가 제어하는 상기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우선적으로 제어를 개시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우선 순서 데이터를 보유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서비스용 정보와 상기 우선 순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를 개시하는 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와 서비스 제어 장치의 양자가 각각 서비스를 제어하는 경우는 어떤 서비스의 제어를 먼저 개시할 것인지를 검사할 필요가 있다. 서비스용 정보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의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의 우선 순서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서비스 제어 장치는 어떤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가, 서비스 기동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서비스용 정보를 교환기에 송신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또한,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소정의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용 정보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 제어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며, 상기 서비스용 정보가,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 취지를 나타내는 경우는 해당 서비스용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를 대신하여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경우, 서비스 제어 장치는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에, 자신이 레지스터측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 연락하기 위한 정보 통신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더욱이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보다도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를 적어도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용 정보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 제어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서비스용 정보가,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 취지를 나타내는 경우는 해당 서비스용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보다도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가 기동하지 않은 것을 확인한 후에, 혹은 그 서비스를 제어하였을 때에 통신 회선이 절단되지 않았을 때에,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를 대신하여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이 적합하다.
서비스 제어 장치가, 레지스터측 서비스보다도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를 제어하는 경우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그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를 제어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레지스터측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할 수는 없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 제어되는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서비스용 정보를, 교환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제어 장치에 송신한다. 그리고,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는 주체가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부터 서비스 제어 장치를 대신하고, 서비스 제어 장치는 당초부터 자신이 제어해야 하는 서비스와 레지스터측 서비스에 관해서,우선 순서에 따라서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한다. 따라서, 서비스용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제어 장치가 다른 정보를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전혀 조회하지 않고, 유저에게 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가 제어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는 발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이 자기의 전화 번호를 통지하지 않은 경우에 통신 회선을 절단하는 서비스이고,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가 제어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보다도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는 발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가 소정의 전화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통신 회선을 절단하는 서비스이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상기 서비스 기동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수신한 경우는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송신하지 않고,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도록 하여도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용 정보에는 해당 서비스용 정보가 이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특정 식별자 및 해당 서비스용 정보의 데이터 길이 정보가 붙어 있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상기 특정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판단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 길이 정보에 이어지는 정보를 상기 데이터 길이분 만큼,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경우, 교환기는 서비스용 정보의 내용을 검사할 필요가 없어, 교환기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경우라도, 교환기는 서비스용 정보의 내용을 검사하지 않기 때문에, 교환기를 개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은 가입자 정보를 기억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와, 착신 처리 시에 상기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는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송신하는 교환기와,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 장치와의 협동에 의해서 서비스를 제어하고,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가 상기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서비스용 정보를 보유함과 동시에, 상기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의 응답 신호와 함께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송신하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에 의하면, 우선, 착신 처리 시에, 교환기가 착신 가입자에 관한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송신한다. 그리고,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상기 응답 신호와 함께, 서비스 제어 장치가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서비스용 정보를 교환기에 송신한다. 상기 서비스용 정보는 교환기로부터 서비스 제어 장치에 전송되고, 서비스 제어 장치는 해당 서비스용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제어 장치는 필요한 정보를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조회하지 않고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 장치는 가입자가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기동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서비스 기동 신호를 송신하고,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서비스 기동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의 응답 신호와 함께 서비스용 정보를 교환기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을 채용한 경우, 서비스 제어 장치로 서비스용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부터 교환기를 통해 서비스 제어 장치에 서비스용 정보가 송신되기 때문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 교환기, 및 서비스 제어 장치 사이에 불필요한 정보가 송수신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소정의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함과 동시에, 해당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용 정보에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가 제어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가 제어하는 상기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우선적으로 제어를 개시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우선 순서 데이터를 보유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서비스용 정보와 상기 우선 순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를 개시하는 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와 서비스 제어 장치의 양자가 각각 서비스를 제어하는 경우는 어떤 서비스의 제어를 먼저 개시할 것인지를 검사할 필요가 있다. 서비스용 정보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의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하고 있는지의 여부의정보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우선 순서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서비스 제어 장치는 어떤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가, 서비스 기동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서비스용 정보를 교환기에 송신하는 방법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또한,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소정의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용 정보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 제어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서비스용 정보가,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 취지를 나타내는 경우는 해당 서비스용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를 대신하여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경우, 서비스 제어 장치는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에, 자신이 레지스터측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연락하기 위한 정보 통신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보다도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를 적어도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용 정보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 제어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서비스용 정보가,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 취지를 나타내는 경우는 해당 서비스용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보다도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가 기동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에, 혹은 그 서비스를 제어한 때에 통신 회선이 절단되지 않았을 때에,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를 대신하여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이 적합하다.
서비스 제어 장치가, 레지스터측 서비스보다도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를 제어하는 경우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그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를 제어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레지스터측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할 수는 없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 제어되는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서비스용 정보를, 교환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제어 장치에 송신한다. 그리고,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는 주체가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부터 서비스 제어 장치를 대신하고, 서비스 제어 장치는 당초부터 자신이 제어해야 하는 서비스와 레지스터측 서비스에 관해서, 우선 순서에 따라서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한다. 따라서, 서비스용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제어 장치가 다른 정보를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전혀 조회하지 않고, 유저에게 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가 제어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는 발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이 자기의 전화 번호를 통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통신 회선을 절단하는 서비스이고,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가 제어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보다도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는 발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가 소정의 전화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통신 회선을 절단하는 서비스이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상기 서비스 기동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수신한 경우는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송신하지 않고,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용 정보에는 해당 서비스용 정보가 이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특정 식별자 및 해당 서비스용 정보의 데이터 길이 정보가 붙어 있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상기특정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판단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 길이 정보에 이어지는 정보를 상기 데이터 길이분 만큼,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경우, 교환기는 서비스용 정보의 내용을 검사할 필요가 없고, 교환기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경우라도, 교환기는 서비스용 정보의 내용을 검사하지 않기 때문에, 교환기를 개량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이 적용된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서비스 제어 장치에 격납된 우선 순서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서비스용 정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서비스 제어 장치가 서비스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통신 네트워크13: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
14: 서비스 제어 장치61: 서비스용 정보
62: 태그63: 데이터 길이 정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및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이 적용된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10)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10)는 복수의 기지국 BS와 통신 회선(25, 26)을 통해 접속된 교환기(12)와, 네트워크(10)를 이용하기 위한 등록을 한 가입자의 각종 정보를 기억함과 동시에 통신 회선(22)에 의해서 교환기(12)에 접속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 13)와, 가입자의 이동 단말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함과 동시에 통신 회선(23)에 의해서 교환기(12)에 접속된 서비스 제어 장치(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와 서비스 제어 장치(14)는 통신 회선(24)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교환기(12)는 통신 회선(21)을 통해 다른 망 네트워크(50)의 교환기(52)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교환기(12)와 교환기(52) 사이에 통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함으로써, 다른 통신망 네트워크(50)의 가입자의 휴대 단말과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10)의 가입자의 휴대 단말 간에 통화가 가능해진다.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에는 가입자 정보 기억 영역(13a)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가입자 정보 기억 영역(13a)에는 각 가입자의 계약 정보, 각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 각종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지 여부의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가입자 정보 기억 영역(13a)에는 요금 미납 등의 이유에 의해 통화 정지로 되어 있는지 여부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는 통화 정지로 되어 있는 가입자의 휴대 단말에 대하여 착신 요구가 있던 경우는 음성 데이터로서 미리 기억한 통화 정지로 되어 있는 취지의 안내를 발신자측의 휴대 단말에 보낸 후에, 교환기(12)에 회선을 절단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 상기 통화 정지의 판정은 서비스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한다.
또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는 번호 비통지의 이동 통신 단말의 발신자에게 번호 통지 요청의 안내를 보낸 후에 회선을 절단하는 소위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를 제어한다. 그리고, 가입자 정보 기억 영역(13a)에는 각 가입자가 상기서비스를 기동시키고 있는지 여부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서비스 제어 장치(14)에는 통신 회선(27)을 통해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 센터(30)가 접속되고, 통신 회선(28)을 통해 부재중 전화 서비스 센터(3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 센터(30)는 통신 회선(33)을 통해 교환기(12)에 접속되고, 부재중 전화 서비스 센터(32)는 통신 회선(34)을 통해 교환기(12)에 접속되어 있다.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 센터(30)는 가입자가 지정한 전화 번호로부터 착신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회선을 절단하는 서비스를 행하는 것으로, 각 가입자가 상기 서비스를 기동시키고 있는지 여부의 정보 및 회선 절단의 대상이 되는 전화 번호 등을 관리하고 있다. 부재중 전화 서비스 센터(32)는 착신측의 휴대 단말의 전원이 들어오지 않은 경우나 네트워크(10)의 권외(圈外)에 있는 경우에, 발신자의 메세지를 음성 기억 장치에 녹음하는 서비스를 행하는 것으로, 각 가입자가 상기 서비스를 기동시키고 있는지 여부의 정보 등을 관리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제어 장치(14)는 원칙으로서 자신이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이 아니고, 각 서비스 센터(30, 40)의 서비스를 제어할 뿐이지만, 각 가입자가 각 서비스를 기동 상태로 하고 있는지 여부의 정보를, 통신 회선(27, 28)을 통해 서비스 센터(30, 32)로부터 얻는다. 또한, 서비스 제어 장치(14)는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 센터(30) 또는 부재중 전화 서비스 센터(32)의 적어도 한편의 서비스가 기동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이것을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에 알리기 위해서 통신 회선(24)을 통하여 "서비스 기동 신호"를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 및 서비스 제어 장치(14)의 양자로 서비스를 제어하지만, 여기서 각 서비스의 관계를 설명한다.
우선,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가 관리하는 서비스는 통화 정지 판정과,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이고, 서비스 제어 장치(14)가 제어하는 서비스는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와, 부재중 전화 서비스이다. 이들 4개의 서비스의 적용 순서는 (1) 통화 정지 판정(HLR로 제어), (2)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서비스 제어 장치로 제어), (3)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HLR로 제어; 레지스터측 서비스), (4) 부재중 전화 서비스(서비스 제어 장치로 제어)이다. 이러한 어느 것의 서비스의 제어를 우선적으로 개시(실행)시킬 것인지에 관한 데이터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우선 순서 데이터(11)로서 서비스 제어 장치(14)에 미리 격납되어 있다. 한편,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를 대신하여 서비스 제어 장치(14)가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점은 후술하는 동작 설명에서 기술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의 우선 순서를 보면, 예를 들면 서비스 제어 장치(14)로 제어하는 (4) 부재중 전화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기 위해서는 (1) 내지 (3)의 서비스에 의해서 회선이 절단되어 있지 않는 것이 전제가 된다. 상기 3개의 서비스 중에서, (1) 통화 정지 판정 및 (3)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로 제어되는 것이며, 서비스 제어 장치(14)에서는 이들 서비스가 기동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서비스 제어 장치(14)는 부재중 전화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기에 앞서서, 착신측의 가입자의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가 기동하고 있는지 여부의 정보를 "서비스용 정보"로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이러한 서비스용 정보를 서비스 제어 장치(14)가 취득하는 과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견해를 달리하면,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2)의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의 제어를 행할 것인지 여부를 검사하지 않고,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가 (3)의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를 제어하기 시작할 수는 없다. 이 점의 해결법에 관해서도 후술한다.
이상이, 본 실시예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이 적용된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10)의 구성이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하는 동작 시퀀스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이동 단말(A)로부터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10)에 가입하고 있는 이동 단말(B)에 대하여 착신 요구(101)가 있으면, 우선, 교환기(12)는 이동 단말(B)의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는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201)를 통신 회선(22)을 통해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에 송신한다.
상기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201)를 수신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는 이동 단말(B)이 요금 미납 등의 이유로 통화 정지로 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301)을 행한다. 그리고, 통화 정지로 되어 있는 경우는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201)의 응답 신호로서 회선 절단 지시(302)를 통신 회선(22)을 통해 교환기(12)에 송신하고, 교환기(12)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에 기억된 통화 정지 안내(202)를 이동 단말(A)에 대하여 보낸 후, 회선을 절단한다(203).
한편, 판정(301)에 있어서 통화 가능이라고 판단된 경우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는 서비스 제어 장치(14)로부터 상기의 "서비스 기동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03). 즉,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는 서비스 제어 장치(14)로 제어하는 서비스가 1개라도 기동 상태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서비스 기동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 및 부재중 전화 서비스의 어떠한 것이 이동 단말(B)에서 이용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 판명되면,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는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레지스터측 서비스)의 적용(제어를 개시하는지의 여부)을 검사한다(304).
우선,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는 착신측의 이동 단말(B)이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를 기동시키고 있는 경우는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고, 이동 단말(B)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한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201)의 응답 신호(305)와 함께 번호 통지 서비스 기동 정보(306)를 통신 회선(22)을 통하여 교환기(12)에 송신한다. 번호 통지 서비스 기동 정보(306)를 수신한 교환기(12)는 이동 단말(A)이 번호 통지를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204). 그리고, 번호 통지를 하고 있는 경우는 이동 단말(A)과 이동 단말(B)의 회선을 접속하여(205), 양자의 통화가 가능해진다. 이것에 대하여, 이동 단말(A)이 번호 비통지로 하고 있는 경우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에 기억된 번호 통지 요청 안내(206)를 이동 단말(A)에 보낸 후, 회선을 절단한다(207). 또한, 교환기(12)가 번호 통지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은 아니고,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201)와 함께 번호 통지 유무의 정보를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에 송신하고, 번호 비통지의 경우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가 교환기(12)에 회선 절단을 지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스텝 304에서, 착신측의 이동 단말(B)이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를 기동시키고 있지 않는 경우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는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201)의 응답 신호(307)만을 교환기(12)에 송신하고, 교환기(12)는 이동 단말(A)과 이동 단말(B)의 회선을 접속한다(208).
다음에, 스텝 303에 있어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가 서비스 제어 장치 (14)로부터의 서비스 기동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서비스 기동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는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201)의 응답 신호(308)와 함께 서비스용 정보(309) 및 액세스 정보(310)를 교환기(12)에 송신한다. 이 서비스용 정보(309)에는 이동 단말(B)이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를 기동시키고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액세스 정보(310)에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가 서비스 기동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취지의 정보, 서비스의 제어를 담당하는 서비스 제어 장치의 어드레스, 및, 서비스 제어 장치에 액세스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측에서는 서비스 제어 장치(14)가 제어하는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 및 부재중 전화 서비스 중 어떤 것이 기동하고 있는지는 파악하고 있지 않다.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는 단지, 서비스 제어 장치의 어드레스를 파악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서비스용 정보(309)를 수신한 교환기(12)는 액세스 정보에 포함된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통신 회선(23)을 통하여 서비스용 정보(309)를 서비스 제어 장치(14)에 전송한다. 이 때, 교환기(12)는 이동 단말(A)의 번호 통지의 유무, 및, 그 전화 번호를 서비스 제어 장치(14)에 송신한다. 그리고, 서비스용 정보(309)를 수신한 서비스 제어 장치(14)는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 또는 부재중 전화 서비스의 어떤 제어를 개시할지(실행할지)를 검사한다(401).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교환기(12)에 의한 서비스용 정보의 전송 과정을 설명한다. 동 도면은 서비스용 정보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서비스용 정보(61)에는 해당 서비스용 정보가 이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태그(62), 및, 해당 서비스용 정보(61)의 데이터 길이 정보(63)가 붙어 있다. 태그(62)은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로부터 교환기(12)에 송신되는 각 정보의 예를 들면 선두에 번호를 붙인 것이다. 그리고, 그 정보가 서비스용 정보(61)인 경우는 태그(62)은 "1"이라는 정보를 나타내는 특별 식별자가 된다. 또한, 데이터 길이 정보(63)는 태그(62)에 후속하는 정보이고, 도 4의 예에서는 서비스용 정보(61)의 데이터 길이는 "6"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교환기(12)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특정식별자("1"이라는 정보의 태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판단한 경우에, 데이터 길이 정보(63)에 이어지는 정보를 그 데이터 길이분 만큼, 서비스 제어 장치(14)에 전송한다. 즉, 교환기(12)는 특별 식별자 및 데이터 길이 정보만을 단서로서, 서비스용 정보를 서비스 제어 장치(14)에 전송한다. 이 때문에, 교환기(12)는 서비스용 정보(61)의 내용을 검사할 필요가 없고, 교환기(12)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장치(14)에 있어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과 같은 경우라도, 교환기(12)는 서비스용 정보(61)의 내용을 검토하지 않기 때문에, 교환기(12)를 개량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도 5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비스 제어 장치(14)에는 어떠한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제어 개시시키는지를 나타내는 우선 순서 데이터(도 2 참조)가 격납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1) 통화 정지 판정, (2)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 (3)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레지스터측 서비스), (4) 부재중 전화 서비스의 순으로 우선적으로 제어를 개시 실행하도록 정해져 있다. 단, (1)의 통화 정지 판정에 대해서는 스텝 401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B)이 통화 정지로 되어 있지 않는 것이 전제이기 때문에, 제어 개시의 순서를 검토하는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비스 제어 장치(14)는 (2)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 (3)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 및 (4) 부재중 전화 서비스의 3개의 서비스에 대해서 제어 개시를 검토하게 된다.
우선, 스텝 411에서, 서비스 제어 장치(14)는 이동 단말(B)이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를 기동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해당 서비스를 기동시키고 있는 경우는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 센터(30)에 액세스하고, 그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한다(스텝 412). 결국,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를 실행시킨다. 이 때, 서비스 제어 장치(14)는 이동 단말(A)의 전화 번호에 관한 정보를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 센터(30)에 송신한다. 그리고,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 센터(30)는 이동 단말(B)의 가입자가 미리 지정한 전화 번호와 이동 단말(A)의 전화 번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413), 일치하는 경우는 이동단말(A)에 절단하는 취지의 안내를 보낸 후에 교환기(12)에 회선을 절단시킨다(스텝 414).
한편, 스텝 413에서 2개의 전화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혹은 스텝 411에서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가 기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는 스텝 415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 장치(14)는 이동 단말(B)이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를 기동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교환기(12)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비스용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서비스용 정보에 의해 이동 단말(B)이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를 기동시키고 있는 것이 판명된 경우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를 대신하여 서비스 제어 장치(14)가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레지스터측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한다(스텝 416). 우선, 서비스 제어 장치(14)는 이동 단말(A)이 번호 비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417), 번호 비통지의 경우는 이동 단말(A)에 번호 통지 요청 안내를 보낸 후에, 교환기(12)에 회선을 절단시킨다(스텝 418).
한편, 스텝 417에서 이동 단말(A)이 번호 통지를 하고 있는 경우, 혹은 스텝 415에서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가 기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는 스텝 419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 장치(14)는 이동 단말(B)이 부재중 전화 서비스를 기동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해당 서비스를 기동시키고 있지 않는 경우는 서비스 제어 장치(14)는 교환기(12)에 통상의 회선 접속 처리를 지시한다(스텝 420). 한편, 이동 단말(B)이 부재중 전화 서비스를 기동시키고 있는 경우는 부재중 전화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한다(스텝 421). 이 부재중 전화 서비스의 제어를개시하고, 또한, 이동 단말(B)의 위치가 네트워크(10)내 권외이거나 전원을 끊고 있는 등의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이동 단말(A)의 발신자는 부재중 전화 서비스 센터(32)의 음성 기억 장치에 메시지를 녹음할 수 있다.
이상이, 서비스 제어 장치(14)에 의한 서비스의 제어 과정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에서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는 교환기(12)로부터의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201)에 대한 응답 신호(308)와 동시에 서비스용 정보(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가 기동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 309)를 교환기(12)에 송신하고(도 3 참조), 교환기(12)는 이 정보를 서비스 제어 장치(14)에 전송한다. 이 서비스용 정보(309)는 서비스 제어 장치(14)로 제어하는 부재중 전화 서비스를 제어 개시하는 데 필요한 정보이다.
그리고, 서비스 제어 장치(14)는 서비스용 정보와 우선 순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떠한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는지를 결정한다. 이 때문에, 서비스 제어 장치(14)는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가 기동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를 통신 회선(24)을 통하여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에 조회하지 않고서 각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할 수 있고, 서비스 제어 장치(14)와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와 서비스 제어 장치(14)를 별체의 장치로 하는 것에 지장이 없어진다.
또한, 서비스 제어 장치(14)가,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가 제어하는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레지스터측 서비스)보다도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를 제어하기 때문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는 그 우선 순서가높은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를 제어할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레지스터측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로 제어되는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서비스용 정보를, 교환기(12)를 경유하여 서비스 제어 장치(14)에 송신한다. 그리고,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는 주체가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로부터 서비스 제어 장치(14)를 대신하고, 서비스 제어 장치(14)는 당초부터 자신이 제어해야 할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 등과 번호 통지 요청 서비스(레지스터측 서비스)에 대하여, 우선 순서에 따라서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한다. 따라서, 서비스용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제어 장치(14)가 다른 정보를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에 어떠한 조회도 없이, 유저에게 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10)에 신규 서비스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서비스의 내용을 수정하는 경우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와 서비스 제어 장치(14)를 별체로 함으로써, 서비스 제어 장치(14)에 대해서만 신규 서비스를 추가하거나 서비스 내용을 수정하는 작업을 실행하면 되기 때문에, 신규 서비스 추가나 서비스내용의 수정을 염가로 또한 즉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와 서비스 제어 장치(14)를 별체의 장치로 함으로써, 서비스 제어 장치(14)가 만일 고장난 경우라도,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만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가입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어, 네트워크의 보증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는 서비스 기동 신호를 서비스 제어 장치(14)로부터 수신 완료의 상태에서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의 응답 신호와 함께 서비스용 정보를 교환기(1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와 부재중 전화 서비스의 양자가 함께 기동되고 있지 않는 경우는 서비스용 정보는 서비스 제어 장치(14)에 전송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서비스 제어 장치(14)에서 서비스용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로부터 교환기(12)를 통하여 서비스 제어 장치(14)에 서비스용 정보가 송신되기 때문에,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 교환기(12), 및 서비스 제어 장치(14) 사이에서 불필요한 정보가 송수신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들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서비스용 정보를 기억 보유하고 있으면 좋고, 자신이 서비스를 제어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3)는 서비스 기동 신호를 서비스 제어 장치(14)로부터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의 응답 신호와 함께 서비스용 정보를 교환기(12)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서비스 제어 장치(14)와 귀찮은 전화 차단 서비스 센터(30) 및 부재중 전화 서비스 센터(32)는 일체로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및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서비스 제어 장치는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함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조회할 필요가 없어진다.

Claims (16)

  1. 가입자 정보를 기억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와,
    착신 처리 시에 상기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는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송신하는 교환기와,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가 상기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서비스용 정보를 보유함과 동시에, 상기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의 응답 신호와 함께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송신하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가입자가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기동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서비스 기동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상기 서비스 기동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의 응답신호와 함께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소정의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함과 동시에, 해당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용 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가 제어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가 제어하는 상기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우선적으로 제어를 개시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우선 순서 데이터를 보유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서비스용 정보와 상기 우선 순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를 개시하는 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소정의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용 정보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 제어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서비스용 정보가,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 취지를 나타내는 경우는 해당 서비스용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를 대신하여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보다도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를 적어도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용 정보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 제어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서비스용 정보가,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 취지를 나타내는 경우는 해당 서비스용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보다도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가 기동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에, 혹은 그 서비스를 제어한 때에 통신 회선이 절단되었을 때에,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를 대신하여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가 제어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는 발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이 자기의 전화 번호를 통지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통신 회선을 절단하는 서비스이고,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가 제어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보다도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는 발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가 소정의 전화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통신 회선을 절단하는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상기 서비스 기동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송신하지 않고,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용 정보에는 해당 서비스용 정보가 이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특정 식별자 및 해당 서비스용 정보의 데이터 길이 정보가 붙어 있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상기 특정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판단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 길이 정보에 이어지는 정보를 상기 데이터 길이분 만큼,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9. 가입자 정보를 기억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와, 착신 처리 시에 상기 가입자정보를 조회하는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송신하는교환기와,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 장치와의 협동에 의해서 서비스를 제어하고,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가 상기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서비스용 정보를 보유함과 동시에, 상기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의 응답 신호와 함께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송신하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의 제어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가입자가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기동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서비스 기동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상기 서비스 기동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의 응답 신호와 함께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소정의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함과 동시에, 해당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용 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가 제어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가 제어하는 상기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우선적으로 제어를 개시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우선 순서 데이터를 보유하고,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서비스용 정보와 상기 우선 순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를 개시하는 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소정의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용 정보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 제어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서비스용 정보가,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 취지를 나타내는 경우는 해당 서비스용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를 대신하여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보다도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를 적어도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용 정보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 제어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서비스용 정보가,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가 기동 상태인 취지를 나타내는 경우는 해당 서비스용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보다도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가 기동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에, 혹은 그 서비스를 제어한 때에 통신 회선이 절단되지 않았을 때에,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를 대신하여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가 제어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는 발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이 자기의 전화 번호를 통지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통신 회선을 절단하는 서비스이고,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가 제어하는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보다도 제어 개시의 우선 순서가 높은 서비스는 발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가 소정의 전화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통신 회선을 절단하는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상기 서비스 기동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가입자 정보 조회 신호를 수신한 경우는, 상기 서비스용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송신하지 않고, 상기 레지스터측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
  16. 제 9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용 정보에는 해당 서비스용 정보가 이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특정 식별자 및 해당 서비스용 정보의 데이터 길이 정보가 붙어 있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상기 특정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판단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 길이 정보에 이어지는 정보를 상기 데이터 길이분 만큼,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법.
KR10-2001-0079709A 2000-12-15 2001-12-15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및 이동체 통신 서비스제어 방법 KR100487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82772 2000-12-15
JP2000382772 2000-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025A true KR20020047025A (ko) 2002-06-21
KR100487688B1 KR100487688B1 (ko) 2005-05-06

Family

ID=1885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709A KR100487688B1 (ko) 2000-12-15 2001-12-15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및 이동체 통신 서비스제어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37859B2 (ko)
EP (1) EP1223773B1 (ko)
KR (1) KR100487688B1 (ko)
CN (1) CN1180641C (ko)
AU (1) AU771767B2 (ko)
CA (1) CA2365210C (ko)
DE (1) DE60118512T2 (ko)
SG (1) SG1060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62529A (zh) * 2001-05-01 2003-12-17 株式会社Ntt都科摩 移动通信服务控制装置与移动通信服务控制方法
US20070218872A1 (en) * 2006-03-16 2007-09-2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mapping cell handset location data to physical maps for data mining (traffic patterns, new roads)
US8036651B1 (en) * 2006-05-19 2011-10-11 Nextel 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forcing call restrictions between domains
US8712373B2 (en) * 2007-05-10 2014-04-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cure service for enabling communication for calling party when communication service for called party is suspended
KR20110028038A (ko) * 2009-09-11 201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WiMAX/GSM 통합 지원 단말에서 발신자 번호 표시 방법
KR20230037143A (ko) 2021-09-09 2023-03-16 박근배 넥밴드 선풍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0197C2 (sv) * 1992-08-18 1994-05-02 Ericsson Telefon Ab L M Kommunikationsnät, förfarande att åstadkomma en förbindelse samt registreringsförfarande i ett sådant nät
US5920820A (en) * 1996-01-25 1999-07-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bined home location register and service control point for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DE19608464C2 (de) * 1996-03-01 1998-04-09 Siemens Ag Verfahren zur Administrierung zusätzlicher Dienste in einem mobilen Kommunikationsnetz
US6185198B1 (en) * 1996-03-20 2001-02-06 Aeris Communications, Inc.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downlink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voice and data debit billing method
US6032043A (en) * 1996-09-25 2000-02-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ome location register feature dispatching and arbitration in a wireless intelligent network
US5850445A (en) * 1997-01-31 1998-12-15 Synacom Technology, Inc. Authentication ke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I104397B (fi) * 1997-03-04 2000-01-14 Nokia Networks Oy Puhelunohjausmenetelmä
US6195543B1 (en) * 1997-06-20 2001-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ice of charge parameters for mobile radio telephone calls
US6351646B1 (en) 1997-06-23 2002-0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oftware HLR architecture
DE19728033A1 (de) 1997-07-01 1999-01-07 Alsthom Cge Alcatel Mobilfunknetz mit Anschlußvorrichtung zum Anschluß an Kommunikationsnetze
DE59810155D1 (de) 1997-09-29 2003-12-18 Siemens Ag Verwaltung der Erreichbarkeit eines Endgerätes in einem Mobilfunknetz und einem intelligenten Netz
FI110398B (fi) * 1997-10-17 2003-01-15 Nokia Corp Reititys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6101387A (en) * 1997-11-17 2000-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roviding notification of location dependent services to mobile stations
US6148197A (en) * 1998-03-06 2000-11-14 Sbc Technology Resources, Inc. Intelligent roaming system with over the air programming
DE19814161B4 (de) 1998-03-30 2005-08-04 Siemens Ag Verfahren zum Verbindungsaufbau für ankommende, an einen Teilnehmer eines Kommunikationsnetzes gerichtete Anrufe sowie Dienstesteuerungseinheit zum Unterstützen des Verbindungsaufbaus
US6154644A (en) * 1998-09-08 2000-11-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System and method of implementing an interactive callback feature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453161B1 (en) 1998-10-23 2002-09-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gile service interaction manager for intelligent network services
KR100384945B1 (ko) * 1999-11-30 200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지능망에서 에이엔씨엠 서비스 구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6063A1 (en) 2004-09-30
EP1223773A2 (en) 2002-07-17
DE60118512D1 (de) 2006-05-18
DE60118512T2 (de) 2006-09-21
CA2365210A1 (en) 2002-06-15
US6937859B2 (en) 2005-08-30
CN1180641C (zh) 2004-12-15
AU9727001A (en) 2002-06-20
US20020077100A1 (en) 2002-06-20
CA2365210C (en) 2006-02-28
EP1223773B1 (en) 2006-04-05
CN1377173A (zh) 2002-10-30
EP1223773A3 (en) 2003-07-23
AU771767B2 (en) 2004-04-01
KR100487688B1 (ko) 200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7424A (en) Duplicate page sensor system and method
US20010014614A1 (en) Method of controlling call routing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US201202829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lephone communication
KR100406071B1 (ko) 통신시스템
EP06402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ff and inbound cal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XPA96006703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radio-localization of two ways, to provide call control
KR100487688B1 (ko) 이동체 통신 서비스 제어 방식 및 이동체 통신 서비스제어 방법
US7050821B2 (en) Digital radio communications apparatus
KR20000019457A (ko) 분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호 제어 방법
KR100219038B1 (ko) 교환망에서의 변경번호 자동연결 서비스 처리방법
KR20000016349A (ko) 전화, 팩스기기 및 컴퓨터를 지능망에 연결하는 방법
JP3470115B2 (ja) 移動体通信サービス制御方式および移動体通信サービス制御方法
MXPA96006710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wo-way radio-localization, to provide call control
KR100239175B1 (ko) 전화기에서 착신 정보를 등록된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KR100478838B1 (ko) 씨아디 비가입 에스엠에스 전화기의 에스엠에스자동수신방법
JP3564370B2 (ja) 伝言・電話番号サービスシステム
JP4176274B2 (ja) 電話制御装置
JP2002171569A (ja) デジタル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折り返し通信方法
JPH0472850A (ja) 改番加入者選択接続方式
KR20070055720A (ko) 우선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2044243A (ja) ボタン電話装置
JPS588786B2 (ja) 蓄積変換通信方式
KR20040075568A (ko) 링백톤 송출 방법 및 시스템
KR19990056122A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발신측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착신호전환 방법
KR2002009633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