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965A - 편평한 가요성 회로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편평한 가요성 회로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965A
KR20020046965A KR1020010078352A KR20010078352A KR20020046965A KR 20020046965 A KR20020046965 A KR 20020046965A KR 1020010078352 A KR1020010078352 A KR 1020010078352A KR 20010078352 A KR20010078352 A KR 20010078352A KR 20020046965 A KR20020046965 A KR 20020046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s
flexible circuit
edge
mal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3531B1 (ko
Inventor
퓨어스트로버트엠.
르포티어이베스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20020046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7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automatically by insertion of rigid printed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커넥터 조립체(12)는 도전성 단자들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제2 전도체(18, 76, 82)들에 편평한 가요성 회로(16)의 제1 전도체(14)를 제거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도록 제공된다. 조립체는 가요성 회로(16)가 감싸여지는 에지(22) 및 에지(22)에서 본체 부재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는 회로의 제1 전도체(14)들을 갖춘 상대적으로 강성인 수형 본체 부재(24, 56)들을 갖는 수형 커넥터를 포함한다. 어댑터 또는 다른 암형 연결 장치(36)는 제1 리셉터클내로 제1 에지가 삽입된 수형 커넥터를 수납하도록 제1 리셉터클(49)을 포함한다. 제2 리셉터클(52, 44, 46)들은 수형 본체 부재의 에지(22)에 가요성 회로(16)의 제1 전도체(14)들을 결합하기 위한 위치에서 제2 전도체(18, 76, 82)들을 수납한다.

Description

편평한 가요성 회로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FLAT FLEXIBLE CIRCUITRY}
본 발명은 대체적으로 전기 커넥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들에 관한 것이다.
편평한 가요성 회로는 통상적으로 한면 또는 양면상에 측방향으로 이격된 스트립들 또는 전도체들을 갖는 긴 편평한 가요성 유전체 기판을 포함한다. 전도체들은 회로의 한면 또는 양면상에 얇고 가요성인 보호층으로 덮여질 수 있다. 보호층이 사용되면, 전도체들이 편평한 제2 가요성 회로, 인쇄 회로 기판, 결합 커넥터의 개별 전기 와이어 또는 단자일 수 있는 상호 결합하는 연결 장치의 전도체들을 결합하는 소정의 접촉 위치들에서 언더라잉 전도체들을 노출시키도록 절개부가 형성된다.
수년간에 걸쳐 상호 결합하는 연결 장치들을 갖춘 편평한 가요성 회로들을 종단하거나 또는 상호 연결하도록,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들이 설계되었다. 주요한 문제점들이 이러한 커넥터들을, 특히 비용 및 신뢰성면에서 계속하여 곤란하게 하였다. 이러한 커넥터들의 직접적인 재료 비용은 과도하게 높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들을 조립하는데 과도한 양의 작업 시간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6,039,600호 및 제6,077,124호에 개시된 것들과 같은 도전성 단자들을 사용하지 않는 단순하고 저렴하며 신뢰성있는 커넥터 구조들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되었다.
상기 언급된 특허들 및 다른 종래 기술에 도시된 커넥터 구조들은 회로의 전도체들이 본체 부재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면서, 편평한 가요성 회로가 감싸여지는 본체 부재들의 다양한 형태들을 사용한다. 전형적으로, 본체 부재는 대체적으로 편평하거나 또는 평면이며, 편평한 가요성 회로의 전도체들은 본체 부재의 평면에 대체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전도체들과 결합하여 결합내로 편향된다.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은 수직 연결을 수행하는 정상적인 로드의 치우침을 억제하도록 본체 부재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구조를 필요로 한다. 상대적으로 얇거나 또는 낮은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편평한 가요성 회로에 대해서는 이러한 커넥터가 필요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고 편평한 가요성 회로에 대한 커넥터들에서 과도한 두께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방향이 취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위한 신규하고 개선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한 쌍의 편평한 가요성 회로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1과 유사한 분해 사시도.
도3은 조립되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1 및 도2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4는 한 쌍의 편평한 회로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념들을 구체화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5는 조립되었지만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4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6은 인쇄 회로 기판을 갖춘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념들을 구체화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제3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7은 조립되었지만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6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8은 완전히 결합된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7과 유사한 도면.
도9는 복수의 개별 전기 와이어들을 갖춘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념들을 구체화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제4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10은 완전히 조립되고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9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커넥터 조립체
14 : 제1 전도체
16 : 편평한 제1 가요성 회로
18, 76, 82 : 제2 전도체
20 : 편평한 제2 가요성 회로
24 : 제1 수형 본체 부재
32 : 제2 수형 본체 부재
36 : 어댑터
44, 46, 52 : 제2 리셉터클
49 : 제1 리셉터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 조립체는 도전성 단자들을 사용하지 않고 편평한 가요성 회로의 제1 전도체들을 복수의 제2 전도체들에 상호 연결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조립체는 회로의 제1 전도체들을 에지에서 본체 부재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면서, 가요성 회로가 감싸여지는 에지를 갖춘 상대적으로 강성인 수형 본체 부재를 갖는 수형 커넥터를 포함한다. 암형 연결 장치는 리셉터클내로 삽입된 수형 커넥터를 수납하도록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수단들은 수형 본체 부재의 에지에서 가요성 회로의 제1 전도체와의 결합으로 제2 전도체를 위치시키도록 장치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라, 암형 연결 장치는 리셉터클내로 제1 에지가 삽입된 수형 커넥터를 수납하도록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어댑터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는 수형 본체 부재의 에지에서 가요성 회로의 제1 전도체들을 결합하기 위한 위치에서 제2 전도체를 수납하도록 제2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수형 본체 부재는 가요성 회로가 감싸여지는에지를 갖는 전방 부품과 어댑터에 래치 결합된 후방 부품을 포함한다. 스프링은 전방 부품을 편향시키도록 전방 부품들과 후방 부품들 사이에 배치되어 가요성 회로의 제1 전도체들은 제2 전도체에 대향한다.
본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굴복 가능한 보강 구조는 제2 전도체들에 대향한 회로의 제1 전도체들을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도록 가요성 회로 하부의 에지에서 수형 본체 부재상에 제공된다. 수형 본체 부재는 길고, 굴복 가능한 보강 구조는 본체 부재의 에지를 따라 종방향 탄성 스트립을 포함한다. 위치 설정 수단은 또한 본체 부재의 에지 주위로 감싸여지는 가요성 회로를 위치시키도록 수형 본체 부재상에 제공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위치 설정 수단은 본체 부재와 그곳에 가요성 회로를 부착하는 가요성 회로 사이에 접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이 가요성 회로의 제1 전도체들과 결합 가능한 제2 전도체를 가지면서, 어댑터의 제2 리셉터클내로 삽입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조합을 또한 고려한다. 다른 고려되는 조합은 어댑터의 제2 리셉터클내로 삽입된 편평한 제2 가요성 회로의 제공을 포함한다. 제2 가요성 회로는 제1 전도체들과 결합 가능한 제2 전도체들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되는 추가적인 조합은 어댑터의 제2 리셉터클내로 삽입된 복수의 개별 전기 와이어들을 포함한다. 개별 전기 와이어들은 가요성 회로의 제1 전도체들과 결합 가능한 제2 전도체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특성들 및 장점들은 참조 그림들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들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신규의 것이라고 믿어지는 본 발명의 특성들은 특히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설명된다. 본 발명의 목적들 및 장점들과 함께, 본 발명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를 동일시하는 참조 도면들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으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더욱 더 상세하게 도면들 그리고 우선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대체적으로 도면 부호 12로 표시된 커넥터 조립체의 제1 실시예는 도전성 단자를 사용하지 않고 편평한 제1 가요성 회로(16)의 복수의 제1 전도체(14)들을 편평한 제2 가요성 회로(20)의 복수의 제2 전도체(18)들과 제거 가능하게 상호 연결시키도록 설계된다. 제1 가요성 회로(16)는 상기 회로의 제1 전도체(14)가 에지에서 본체 부재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면서, 제1 상대적으로 강성인 수형 본체 부재(24)의 에지(22) 주위에 감싸여진다. 수형 본체 부재(24)는 얇고, 편평하며 또는 대체적으로 평면 구조이다. 에지(22)는 길고, 종축의 탄성 스트립(26)의 형태로 굴복 가능한 보강 구조는 에지를 따라 본체 부재에 부착된다. 수형 본체 부재(24)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유전체로 성형될 수 있고, 한 쌍의 가요성 래치 암(28)들은 본체 부재의 대향 측면을 따라 캔틸레버식 고정된다. 각 래치 암은 외향으로 지향된 래치 후크(28a)를 갖는다.
회로의 제2 전도체(18)들이 에지(30)에서 본체 부재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면서, 편평한 제2 가요성 회로(20)는 제2 수형 본체 부재(32)의 에지(30) 주위로 감싸여진다. 제2 수형 본체 부재는 유전체 재료에 대해서 편평하거나 또는 평면이며, 한 쌍의 외향으로 돌출하는 래치 보스(34)들을 포함한다.
제1 수형 본체 부재(24) 주위의 제1 가요성 회로(16)는 대체적으로 도면 부호 36으로 표시된 어댑터의 형태로 암형 연결 장치내에 제2 수형 본체 부재(32) 주위의 제2 가요성 회로(20)와 상호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는 대체적으로 편평하거나 또는 평면이다. 어댑터는 전방 플랜지(38) 및 대체적으로 중공 본체(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한 쌍의 측면 창(42)들, 협소한 상부 창 또는 슬릿(44) 및 더 큰 후방 창(46)을 포함한다. 이후의 설명된 목적들에 관하여, 파상 스프링(48)은 제1 수형 본체 부재(24) 및 제1 가요성 회로(16)를 향하여 제2 수형 본체 부재(32) 및 제2 가요성 회로(20)를 편향시키도록 제공된다. 커버판(50)은 상기 스프링을 덮도록 제공된다. 제2 또는 하부 커버판(도시안됨)은 하우징 하부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2는 회로의 제1 전도체(14)들이 에지에서 제1 본체 부재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면서, 제1 수형 본체 부재(24)의 에지(22) 주위로 감싸여진 편평한 제1 가요성 회로(16)를 도시한다. 상기 회로는 제2 가요성 회로(20)의 제2 전도체(18)들을 향하여 제1 전도체(14)들을 편향시키기에 효과적인 탄성 스트립(26)의 주위로 감싸여진다. 가요성 회로(16)는 가요성 회로에 부착하기 적합한 영역들에 본체 부재의 대향 면들에 적용된 접착제의 형태로 위치 설정 수단들에 의해 수형 본체 부재(24) 주위에 감싸여진 상태로 유지 또는 위치된다. 접착제는 가요성 회로에 다르게 적용될 수 있고, 본체 부재 및 가요성 회로를 결합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본체 부재의 전체적인 외형은 매우 얇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수형 본체 부재(24)의 부조립체 및 제1 가요성 회로(16)는 화살표 "A"(도2 참조)방향으로 어댑터(36)에서 제1 리셉터클(49)내로 삽입된다. 부조립체가 삽입될 때, 가요성 래치 암(28)들의 모따기 에지(28b)들은 화살표 "B"방향으로 내향으로 래치 암들을 편향시키도록 리셉터클의 측면들을 결합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조립체가 완전히 삽입될 때, 래치 후크(28a)들은 전방 플랜지(38)의 배면과의 결합으로 측면 창(42)들을 통해 외향으로 탄성적으로 스냅식 복귀한다.
제2 수형 본체 부재(32)의 부조립체 및 제2 가요성 회로(20)는 어댑터(36)의 창(46) 아래에 제2 리셉터클(52)내로 화살표 "C"방향으로 삽입된다. 래치 보스(34)들은 어댑터내에 내부 래치(도시안됨)들과 상호 결합한다. 제2 가요성 회로(20)는 제1 수형 본체 부재(24) 및 제1 가요성 회로(16)에 관하여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제에 의해 제공된 위치 설정 수단으로 제2 수형 본체 부재(32)의 에지(30) 주위에 위치된다. 제2 수형 본체 부재(32)의 부조립체 및 제2 가요성 회로(16)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36)내에 삽입된 후, 파상 스프링(48)은 상기 회로의 상부상에 창(46)을 통하여 위치된다. 스프링은 화살표 "C"방향으로 전방으로 제2 가요성 회로(20)의 본체 부재 및 전도체(18)들을 편향시키도록 제2 수형 본체 부재(32)의 후방 에지(32a)와 창(46)의 후방 에지(46a)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제2 수형 본체 부재(32)의 후방에 위치한 스프링(48) 및 제1 수형 본체 부재(24)의 에지상의 탄성 스트립(26)의 조합은 제1 가요성 회로(16)의 전도체(14)들 및 제2 가요성 회로(20)의 전도체(18)들 사이에 명확한 경계부(53)[도3 참조]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다. 결국, 커버판(5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창(46)을 밀폐시키고 스프링(48)을 포획하도록 어댑터(36)의 상단에 위치 설정된다. 적절한 고정 장치(도시안됨)들은 커버판에서 구멍(50a)들을 통과하고 어댑터에서 구멍(54)들 내로 삽입된다.
상기 설명한 것으로부터 편평한 가요성 회로(16, 20)들의 전도체(14, 18)들 각각은, 편평한 수형 본체 부재(24, 32)들에 대체적으로 평행한 "A" 및 "C"방향으로 경계부(53)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호 결합은 회로들이 수형 본체 부재들이 결합 에지들 주위로 감싸여지는 곳을 제외하고, 상기 조립체 내부에 편평한 가요성 회로들의 방향들과 대체적으로 평행하다. 종래 기술에서 널리 행해지는 바와 같이, 이것은 대체적으로 회로들에 수직 방향으로 편평한 가요성 회로들의 전도체들을 연결하는 것과 대조를 이룬다. 결과는 훨씬 얇고, 낮은 프로파일 조립체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또한, 수형 본체 부재들 상에 편평한 가요성 회로들을 위치 설정하고 위치시키도록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훨씬 더 얇은 조립체가 제공되고 가요성 회로에서 형성되는 위치 구멍들을 차지하는 공간이 필요 없음으로 인해 전체 가요성 회로 폭이 활성 전도체들용으로 사용되도록 허용한다.
도1 내지 도3의 실시예와 같이, 도4 및 도5는 편평한 제1 가요성 회로(16)의 전도체(14)들과 편평한 제2 가요성 케이블(20)의 전도체(18)들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설계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창(46)이 이동되는 것을 제외하고, 가요성 회로들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어댑터와 동일한 어댑터(36)를 통해서 상호 연결된다. 도4 및 도5의 제2 실시예와 도1 내지 도3의 제1 실시예의 주된 차이는 제1 실시예의 단편의 수형 본체 부재(24)가 대체적으로 도면 부호 56으로 표시되는 2부분의, 스프링이 삽입된 수형 본체 부재로 대체된다는 것이다. 동일한 도면 도면 부호들은 상기 설명되고 도1 내지 도3에서 도시된 요소들을 나타내도록 도4 및 도5에 적용된다.
특히, 수형 본체 부재(56)는 상대적으로 강성이며, 얇고 편평한 전방 및 후방 본체부(58, 60)들 각각을 포함한다. 전방 본체부(58)는 도시가 용이하도록 도4에서 거꾸로 도시된다. 조립체에서, 전방 본체부는 화살표 "D"방향으로 180°전복되고 화살표 "E"방향으로 후방 본체부(60)에 조립된다. 제1 실시예에서처럼, 전방 본체부는 굴복 가능한 보강 구조 또는 탄성 스트립(26)이 부착된 에지(22)를 갖는다. 전방 본체부는 그 사이에 홈(64)을 한정하는 한 쌍의 리브(62)들을 갖는다. 리브들은 후방 본체부(60)상의 한 쌍의 홈(64)들 내로 이동하며, 여기서 홈(64)들은 돌출부(66)에 의해 분리된다. 스프링(68)은 전방 본체부의 홈(64)내부에 배치되고 홈(64)의 기부 및 후방 본체부의 돌출부(66)의 말단 단부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한 쌍의 래치(70)들은 후방 본체부의 대향 측면들에 제공된다. 전방 본체부는 후방 본체부상의 한 쌍의 래치 보스(34)들을 수납하도록 한 쌍의 래치 구멍(72)들을 포함한다.
도5는 전도체(14)들이 에지(22)에서 본체 부재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면서 전방 본체부(58)의 에지 주위로 감싼 가요성 회로(16)가 조립된 상태에서 2부분의 수형 본체 부재(56)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에서처럼, 이 부조립체는 래치(70)들이 측면 창(42)들 내부의 어댑터의 전방 플랜지(38)뒤에 래치 결합할 때까지 화살표 "A"방향으로 어댑터(36)내로 삽입된다. 수형 본체 부재의 2개의 부품들의 래치(72, 74)들은 상호 결합하여서, 전방 본체부(58)는 이중 화살표 "F"의 방향으로 후방 본체부(6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제2 가요성 회로(20)는 어댑터(36)의 배면내로 삽입되고 제2 가요성 회로의 전도체(18)들은 수형 본체 부재(56)의 전방 본체부(58)의 에지들에서 창(44)하부와 제2 가요성 회로의 수형 본체 부재(32)(도4 참조)를 결합한다.
도6 내지 도8은 편평한 제1 가요성 회로(16)의 전도체(14)들이 인쇄 회로 기판(78)의 전도체(76)들과 상호 연결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2부분의 수형 본체 부재(56) 및 어댑터(36)는 실질적으로 도4 및 도5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충분히 설명하면,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상기 설명되고 도4 및 도5에 도시된 동일한 요소들에 대응하는 도6과 도7에 적용된다.
도6 내지 도8의 실시예에서, 수형 본체 부재(56)의 부조립체와 가요성 회로(16)는 화살표 "A"방향으로 어댑터(36)에서 리셉터클(48)내로 삽입된다. 전도체(76)들은 가요성 회로(16)의 전도체(14)들을 향해 대면하도록 인쇄 회로 기판(78)은 화살표 "G"방향으로 창(44)내부로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창(44)은 인쇄 회로 기판을 수납하도록 어댑터용 제2 리셉터클이 된다. 배면에서 개방하는 어댑터 대신에, 접촉벽(80)이 인쇄 회로 기판 후방에서 지지를 제공하도록 제공된다. 리셉터클(44)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에서 인쇄 회로 기판을 유지하도록 프레스 끼워맞춤을 설정하는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해 치수화될 수 있다.
도9 및 도10은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16)의 전도체(14)들이 복수의 개별 전기 와이어(82)들의 전도체들과 상호 연결되는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대적으로 강성인 수형 본체 부재(24) 및 어댑터(36)는 도1 내지 도3의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사용된다. 제1 실시예와 같이, 파상 스프링(48)은 창(46)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커버판(50)에 의해 지지된다. 스프링은 화살표 "H"방향으로 전방으로 미부 정렬기를 편향시키도록 미부 정렬기(84)와 전기 와이어(82)들을 결합한다.
전기 와이어(82)들이 도9에서 미부 정렬기(84)와 조립되어 도시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것은 조립의 실제 시퀀스가 아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와이어(82)들은 상부 커버판(50)의 상단에 실질적으로 배치된다. 실질적인 조립체에서, 미부 정렬기(84)는 어댑터내에 처음으로 장착되고, 전기 와이어(82)들의 단부들은 전도체들을 노출시키도록 절연재로부터 벗겨지며, 전도체들이 삽입되고 편평한 가요성 회로(16)의 전도체(14)들과 정렬 및 결합하도록 미부 정렬기에서 적절히 이격된 구멍들내로 프레스 끼워맞춤에 의해 금속 단자들(또는 기계적인, 전기적인 연결의 다른 수단들)에 크림프된다.
본 발명은 기술 사상이나 중심적인 특징들 내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된다. 따라서, 본 예시들 및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고, 본 발명은 본문에 설명된 상세한 설명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커넥터 조립체(12)는 도전성 단자들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제2 전도체(18, 76, 82)들에 편평한 가요성 회로(16)의 제1 전도체(14)를 제거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도전성 단자들을 사용하지 않고 편평한 가요성 회로의 제1 전도체들을 복수의 제2 전도체들에 제거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에지를 갖는 상대적으로 강성인 수형 본체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에지에서 본체 부재로부터 떨어져서 대면하는 상기 회로의 제1 전도체들에 의해 상기 에지 둘레에서 상기 제1 가요성 회로가 감싸여지도록 구성된 수형 커넥터와,
    제1 리셉터클내로 제1 에지가 삽입된 수형 커넥터를 수납하기 위한 제1 리셉터클 및 수형 본체 부재의 에지에서 상기 가요성 회로의 제1 전도체들을 결합하기 위한 위치에서 제2 전도체들을 수납하기 위한 제2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전도체들에 대하여 회로의 제1 전도체들을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도록 가요성 회로 아래의 에지에서 수형 본체 부재상의 상대적으로 굴복 가능한 보강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본체 부재들은 길고, 상기 굴복 가능한 보강 구조는 상기 에지를 따라 종방향 탄성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의 상기 에지 주위에 감싸여진 상기 가요성 회로를 위치시키도록 수형 본체 부재들 상의 위치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수단은 상기 가요성 회로를 부착하는 수형 본체 부재들 상의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본체 부재는 상기 가요성 회로가 감싸여지는 에지를 갖는 전방 본체부와, 어댑터에 래치 결합된 후방 본체부와, 전방 본체부를 편향시켜 상기 가요성 회로의 제1 전도체들이 제2 전도체들과 대향하도록 전방 본체부와 후방 본체부 사이에 있는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어댑터의 제2 리셉터클내로 삽입되고, 상기 가요성 회로의 제1 전도체들과 결합 가능한 상기 제2 전도체들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어댑터의 제2 리셉터클내로 삽입되고, 상기 제1 전도체들과 결합 가능한 상기 제2 전도체를 가지는 편평한 제2 가요성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어댑터의 제2 리셉터클내로 삽입되고, 상기 가요성 회로의 제1 전도체들과 결합 가능한 상기 제2 전도체들을 가지는 복수의 개별 전기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도전성 단자들을 사용하지 않고 편평한 가요성 회로의 제1 전도체들을 복수의 제2 전도체들에 제거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2부분의 상대적으로 강성인 수형 본체 부재를 갖는 수형 커넥터와, 에지를 구비하고 상기 에지에서 전방 본체부로부터 떨어져서 대면하는 상기 회로의 제1 전도체들에 의해 상기 에지 둘레에서 상기 가요성 회로가 감싸여지도록 구성된 편평한 전방 본체부와,
    상기 가요성 회로 아래의 에지에서 전방 본체부상의 상대적으로 굴복 가능한 보강 구조와,
    래치 수단을 갖는 후방 본체부와,
    전방 본체부와 후방 본체부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 수단과
    상기 전방 본체부의 상기 에지 둘레에서 감싸여진 가요성 회로를 위치시키기 위한 전방 및 후방 본체부 중 적어도 하나상의 위치 설정 수단과.
    제1 리셉터클내로 제1 에지가 삽입된 수형 커넥터를 수납하기 위한 제1 리셉터클과, 수형 본체 부재의 전방 본체부의 에지에서 상기 가요성 회로의 제1 전도체들을 결합하기 위한 위치에서 제2 전도체들을 수납하기 위한 제2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후방 본체부를 고정시키도록 수형 본체 부재의 후방 본체부의 래치 수단에 결합하기 위한 래치 수단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 수단은 제2 전도체들에 대해 상기 가요성 회로의 제1 전도체들과 전방 본체부를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01-0078352A 2000-12-13 2001-12-12 편평한 가요성 회로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0403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37,265 US6688911B2 (en) 2000-12-13 2000-12-13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flat flexible circuitry
US09/737,265 2000-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965A true KR20020046965A (ko) 2002-06-21
KR100403531B1 KR100403531B1 (ko) 2003-10-30

Family

ID=2496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352A KR100403531B1 (ko) 2000-12-13 2001-12-12 편평한 가요성 회로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688911B2 (ko)
EP (1) EP1215761B1 (ko)
JP (1) JP3513759B2 (ko)
KR (1) KR100403531B1 (ko)
DE (1) DE60117336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6643B2 (en) 2019-08-20 2024-05-28 Lg Energy Solution, Ltd. FPCB connector, an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650B1 (ko) * 2002-11-26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US20040224555A1 (en) * 2003-05-08 2004-11-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tive flatwire connector
EP1774625B1 (en) * 2004-07-13 2014-06-25 Panduit Corporation 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W200803057A (en) * 2006-06-27 2008-01-01 P Two Ind Inc Electrical connector
CN200941318Y (zh) * 2006-08-02 2007-08-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柔性扁平线缆
US7530839B1 (en) * 2008-04-15 2009-05-12 Jess-Link Products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826565B2 (ja) * 2011-08-31 2015-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653639B2 (en) * 2012-02-07 2017-05-16 Apic Corporation Laser using locally strained germanium on silicon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TWM519847U (zh) * 2015-11-19 2016-04-01 Niceconn Technology Co Ltd 改良式連接器(一)
CN108370116B (zh) 2015-12-08 2022-02-11 泛达公司 Rj45带闸门插座及相关的通信系统
US9887503B1 (en) * 2016-12-15 2018-02-06 Timex Group Usa, Inc. Mating connector for a micro USB connector
US10637171B1 (en) * 2019-03-15 2020-04-28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2398A (en) 1960-05-24 1963-03-19 Amphenol Borg Electronics Corp Electrical connectors
US3114587A (en) 1961-10-02 1963-12-17 Adolf L Herrmann Flat cables and corresponding connector
US3602870A (en) 1969-04-30 1971-08-31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nnector apparatus for effecting electrical connections
DE2234960C3 (de) 1971-11-26 1975-04-30 Teledyne, Inc., Los Angeles, Calif. (V.St.A.) Elektrischer Stecker
US3825878A (en) 1973-09-10 1974-07-23 Motorola Inc Flexible flat cable system
US3924925A (en) * 1974-01-30 1975-12-09 Rca Corp Focussed image hologram projector using a long narrow light source
US4581495A (en) 1984-05-02 1986-04-08 Buscom Systems Inc. Modular telephone housing
US4717345A (en) * 1985-07-22 1988-01-05 Rogers Corporation Solderless connector technique and apparatus
EP0235916B1 (en) * 1986-01-27 1993-03-24 The Whitaker Corporation Daisy chain connector
US4802866A (en) 1987-08-10 1989-02-07 Alfiero Balzano Connector
US4921437A (en) * 1989-03-29 1990-05-01 Amp Incorporated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terminal retainer
US4971575A (en) * 1989-07-14 1990-11-20 North American Specialties Of California, Inc. High density connector
US5111362A (en) 1990-09-18 1992-05-05 Intel Corporation Enclosure assembly with two identical covers having modifiable supports for asymmetrically housing a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like
US5133667A (en) * 1991-06-20 1992-07-28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Flexible circuit connector
US5246382A (en) * 1992-03-02 1993-09-21 G & H Technology, Inc. Crimpless, solderless, contactless, flexible cable connector
US5297968A (en) * 1993-01-12 1994-03-29 The Whitaker Corporation Pluggable connector systems for flexible etched circuits
US5383788A (en) 1993-05-20 1995-01-24 W. L. Gore & Associates, Inc. Electrical interconnect assembly
US5529502A (en) 1994-06-01 1996-06-25 Motorola, Inc. Solderless flexible circuit carrier to printed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
US5470246A (en) 1994-07-18 1995-11-28 Itt Industries Low profile edge connector
US5661348A (en) * 1995-07-18 1997-08-26 Dell Usa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assive input current waveform correction for universal offline switchmode power supply
US6234820B1 (en) * 1997-07-21 2001-05-22 Ramb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printed circuit boards
US6039600A (en) 1997-10-10 2000-03-21 Molex Incorporated Male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ircuit
US6086412A (en) * 1998-04-22 2000-07-11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ircuitry
US6010359A (en) * 1998-07-08 2000-01-04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for shielded flat flexible circuitry
US6608770B2 (en) * 2001-08-31 2003-08-19 Vlt Corporation Passive control of harmonic current drawn from an AC input by rectification circuit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6643B2 (en) 2019-08-20 2024-05-28 Lg Energy Solution, Ltd. FPCB connector, an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3531B1 (ko) 2003-10-30
US20020072271A1 (en) 2002-06-13
US7025626B2 (en) 2006-04-11
EP1215761A3 (en) 2003-08-13
JP3513759B2 (ja) 2004-03-31
EP1215761A2 (en) 2002-06-19
JP2002203621A (ja) 2002-07-19
EP1215761B1 (en) 2006-02-22
US20050153595A1 (en) 2005-07-14
DE60117336D1 (de) 2006-04-27
DE60117336T2 (de) 2006-11-09
US6688911B2 (en) 200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140B1 (ko) 가요성평면회로용수형커넥터
KR100323555B1 (ko) 가요성평면회로용커넥터
US4802866A (en) Connector
KR100545277B1 (ko) 편평한 가요성 회로 조합체용 키이-결합된 커넥터 조립체
EP0214830A2 (en) FPC connector
JPH06260247A (ja) シールド式電気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KR100334590B1 (ko) 평탄한 가요성 회로를 개별 전기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TWM631678U (zh) 整體屏蔽式電纜連接器
US6068505A (en) Electrical contact for flexible flat cable
US5525072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interconnecting a flat cable to a circuit board
JPS61273881A (ja) 圧接同軸ケ−ブル終端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020046965A (ko) 편평한 가요성 회로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20030171032A1 (en) Shielding connector, a shielding connector system, a terminal fitting and use thereof
JPH11329624A (ja) 電気コネクタ
US6464534B1 (en) Flexible circuit assembly having a flexible circuit support connected to a flexible circuit
JP3417663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端末防水構造
KR100512517B1 (ko) 편평 가요성 회로에 이산 단자 핀들을 접속하기 위한 전기커넥터
JP3512088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US4829255A (en) Probe for sealed connector
JPH084021B2 (ja) 電話ケ−ブル用のコネクタ
JP2001028282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1060471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09270284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