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646A - 장갑 착용형 단말기 - Google Patents

장갑 착용형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646A
KR20020046646A KR1020000076927A KR20000076927A KR20020046646A KR 20020046646 A KR20020046646 A KR 20020046646A KR 1020000076927 A KR1020000076927 A KR 1020000076927A KR 20000076927 A KR20000076927 A KR 20000076927A KR 20020046646 A KR20020046646 A KR 20020046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finger
thimble
terminal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7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6646A/ko
Publication of KR20020046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64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갑 착용형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개시된 장갑 착용형 단말기는 (a) 손을 감싸는 장갑; (b) 손목을 감싸며, 상기 장갑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밴드형 손목 착용부; (c) 데이터 입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 소정 위치에 위치하는 본체 하우징; (d) 상기 장갑에서 손가락방향으로 연장되어 선택된 손가락에 착용되는 골무; (e) 상기 손목 착용부에 구비된 송화부; 및 (f) 상기 골무에 구비된 수화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외 작업자용, 레져용 또는 스포츠용 단말기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장갑 착용형 단말기{GLOBE WEARABLE RADIOTELE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의 보호 수단이나 패션을 위해서 사용되는 장갑에 구비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통신이나 영상 통신을 위하여 기지국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기능에 따라서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또는 인터넷 통신 시 사용되기도 하며, 외관적으로 바-형, 플립-형, 폴더-형, 손목착용-형 또는 목걸이 착용-형 등의 단말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는데이터 입출력부와 데이터 송수신부를 필수적으로 구비하며, 디자인 또는 기능에 따라서 별도의 장치가 추가되는 추세이다.
데이터 입력부로는 다수 개의 키들로 구성된 키패드가 사용되고, 입력된 데이터 출력부로는 엘씨디 모듈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데이터 송신부로는 마이크 장치가 사용되고, 데이터 수신부로는 스피커가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안테나 장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여러 휴대용 단말기 중, 바-형, 플립-형, 폴더-형같은 단말기는 휴대성이 떨어지며, 몸에 휴대하기도 불편하고, 특히 별도의 휴대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분실위험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또한, 목걸이-착용형으로 착용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목에서 유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손목착용-형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이 우수하나, 통화 시의 동작이 매우 불편하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 시, 송화부와 수화부간의 거리가 최소한 10cm 이상이 되어야 통화동작이 편리하다. 따라서, 손목착용-형 단말기는 음성인식 수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여 통화가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한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휴대성이 우수하며, 통화 동작이 편리한 새로운 개념의 휴대용 단말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갑에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착에 장착되어 송화부와 수화부간의 통화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상대방과 통화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외 작업자, 레져용, 스포츠용으로 적합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손을 감싸는 장갑;
(b) 손목을 감싸며, 상기 장갑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밴드형 손목 착용부;
(c) 데이터 입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 소정 위치에 위치하는 본체 하우징;
(d) 상기 장갑에서 손가락방향으로 연장되어 선택된 손가락에 착용되는 골무;
(e) 상기 손목 착용부에 구비된 송화부; 및
(f) 상기 골무에 구비된 수화부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장갑 착용형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장갑 착용형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갑 착용형 단말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갑 착용형 단말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장갑(G1)에 장착되어 장갑(G1)과 함께 착용될 수 있는 단말기이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실외 작업자용, 레져용 또는 스포츠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단말기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송화부(M)와 수화부(S)간의 통화거리(통상적인 사용자의 귀와 입간의 거리를 의미함)를 적어도 10cm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며,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상대방과 통화가 가능한 구조이다.
통상적으로 장갑(G1)(globe)은 손을 보호할 목적으로 착용되며, 헝겊이나 가죽 또는 연성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사용자의 손은 엄지(F1)(thumb finger), 검지(F2)(index finger), 중지(F3)(middle finger), 약지(F4)(ring finger), 애지(F5)(little finger)로 이루어지며, 왼손에 적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갑 착용형 단말기는 손을 감싸는 장갑(G1)과, 상기 장갑(G1) 상면(G11)에 장착되고, 데이터 입출력 수단(12,14)을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10)과, 상기 장갑(G1)의 일단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착용부(G2)와, 상기 장갑(G1)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선택된 손가락의 단의 하나에 착용되는 골무(G3)(finger thimble)와, 상기 골무(G3)에 구비된 수화부(S)와, 상기 손목 착용부(G2)에 구비된 송화부(M)로 이루어진다. 상기 골무(G3)는 엄지(F1), 검지(F2), 중지(F3), 약지(F4), 애지(F5)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에 장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약지(F4)의 단에 골무가 착용된 것이 도시된다.
상기 장갑(G1)은 손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착용성이 우수한 가죽 재질로 이루어지며, 손에 착용된 경우에 손가락을 감싸지 않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손의 손가락은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손의 전부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 장갑에 본체 하우징(10)이 동일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본체 하우징(10)이 장갑 상면(G11)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별도의 착탈 수단을 이용하여 본체 하우징이 장갑에서 착탈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5개의 손가락(F1∼F5) 중, 선택된 하나의 손가락의 단에 골무(G3)가 위치하여 송수화부(M,S)가 손가락의 단에 위치한다. 그러나, 손가락의 중간 부분에 수화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10)은 장갑 상면(G11)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데이터 입출력 동작이 편리하도록 구성되고, 수화부(S)는 골무의 바닥면(G31)에 위치하고, 송화부(M)는 손목 착용부(G2)의 바닥면(G21)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 시에 상기 수화부(S)는 귀에 밀착시키고, 상기 송화부(M)는 입에 편리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갑 착용형 단말기의 구성 요소 중, 송화부(M)와 수화부(S)는 미 도시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본체 하우징(10)과의 전기적 연결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수단 즉,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본체 하우징(10)과의 전기적 연결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갑 착용형 단말기는 하나의 장갑에 데이터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과, 송수신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M,S)는 다른 하나의 장갑에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갑에 단말기를 장착하여 착용함으로서, 실외 작업자용, 레져용 또는 스포츠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점을 달성한다.

Claims (6)

  1. (a) 손을 감싸는 장갑(G1);
    (b) 손목을 감싸며, 상기 장갑(G1)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밴드형 손목 착용부(G2);
    (c) 데이터 입출력부(12,14)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G1) 소정 위치에 위치하는 본체 하우징(10);
    (d) 상기 장갑(G1)에서 손가락방향으로 연장되어 선택된 손가락에 착용되는 골무(G3);
    (e) 상기 손목 착용부(G2)에 구비된 송화부(M); 및
    (f) 상기 골무(G3)에 구비된 수화부(S)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착용형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10)은 상기 장갑(G1)의 상면(G11)에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착용형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부(S)는 상기 골무(G3)의 바닥면(G31)에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착용형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화부(M)는 상기 손목 착용부(G2)의 바닥면(G21)에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착용형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G1)과 골무(G3)를 일체형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G4)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착용형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무(G3)는 선택된 손가락의 단에 착용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착용형 단말기.
KR1020000076927A 2000-12-15 2000-12-15 장갑 착용형 단말기 KR20020046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927A KR20020046646A (ko) 2000-12-15 2000-12-15 장갑 착용형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927A KR20020046646A (ko) 2000-12-15 2000-12-15 장갑 착용형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646A true KR20020046646A (ko) 2002-06-21

Family

ID=2768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927A KR20020046646A (ko) 2000-12-15 2000-12-15 장갑 착용형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6646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9278A (ja) * 1993-06-08 1995-03-20 Yoshimori Katou 超小型電話機を甲部に固着させた フィンガーレス手袋
WO1998027702A2 (en) * 1996-12-19 1998-06-25 Firooz Ghassabian A wrist-mounted telephone device
JPH11146438A (ja) * 1997-11-10 1999-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装着型無線通信装置
JP2000049935A (ja) * 1998-03-18 2000-02-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装着型通信装置
JP2000286939A (ja) * 1999-03-31 2000-10-13 Motoaki Miyazaki 腕時計型携帯用無線電話機
KR20000020876U (ko) * 1999-05-14 2000-12-15 김지석 손목시계형 휴대전화의 반지형 스피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9278A (ja) * 1993-06-08 1995-03-20 Yoshimori Katou 超小型電話機を甲部に固着させた フィンガーレス手袋
WO1998027702A2 (en) * 1996-12-19 1998-06-25 Firooz Ghassabian A wrist-mounted telephone device
JPH11146438A (ja) * 1997-11-10 1999-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装着型無線通信装置
JP2000049935A (ja) * 1998-03-18 2000-02-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装着型通信装置
JP2000286939A (ja) * 1999-03-31 2000-10-13 Motoaki Miyazaki 腕時計型携帯用無線電話機
KR20000020876U (ko) * 1999-05-14 2000-12-15 김지석 손목시계형 휴대전화의 반지형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162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AU782543B2 (en)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bone conduction speaker
US20080043575A1 (en) Wristwatch with Earphone Function
US9549297B2 (e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handset
KR100584398B1 (ko) 귓 착용 타입 무선 단말기
WO2008130089A1 (en) Mobi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mountable on hand
KR100630116B1 (ko) 휴대 장치의 데이터 입력 키 및 그의 키 어레이
US20060203999A1 (en) Communication glove
KR20020046646A (ko) 장갑 착용형 단말기
KR20050009782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00055477A (ko) 손목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
KR100506223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326412Y1 (ko) 장갑을 이용한 통신용 단말기
KR200400374Y1 (ko) 악세사리 유형 휴대 안테나 장치
GB2294836A (en) Hands-free headset for mobile telephones
KR20000034317A (ko) 더블 플립을 갖는 와치 타입 텔레폰
KR20070040950A (ko) 귀걸이형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KR20020006107A (ko)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
KR101058654B1 (ko)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214842Y1 (ko) 손목시계형 휴대폰
JPS61144130A (ja) コ−ドレステレホン
KR960010320Y1 (ko) 전화기의 송, 수화장치
KR20060121483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
KR200333770Y1 (ko) 수화구 위치 감지가 가능한 통신 단말기
KR200184061Y1 (ko) 와이어리스 수화기를 구비한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