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5619A - 블로바이가스의 엔진오일 분리회수장치 - Google Patents

블로바이가스의 엔진오일 분리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5619A
KR20020045619A KR1020000074857A KR20000074857A KR20020045619A KR 20020045619 A KR20020045619 A KR 20020045619A KR 1020000074857 A KR1020000074857 A KR 1020000074857A KR 20000074857 A KR20000074857 A KR 20000074857A KR 20020045619 A KR20020045619 A KR 20020045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gas
engine oil
engine
cylind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성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74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5619A/ko
Publication of KR20020045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61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13/0416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arranged in valve-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33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with a deflection device, e.g.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로바이가스로부터 분리시킨 엔진오일을 안전하게 회수토록 하므로써 대기오염을 방지하고 엔진오일의 소모에 의한 잦은 보충을 예방할 수 있는 블로바이가스속의 엔진오일을 포집하여 회수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흡기부압에 의해 이송이 일어나는 블로바이가스가 충돌을 일으켜 엔진오일을 포집하여 낙하 회수토록 실린더 헤드 카바내에 블로바이가스의 흐름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는 배플 플레이트와, 그 배플 플레이트에 블로바이가스가 통과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어지되 블로바이가스가 지그재그로 통과하여 지나도록 엇갈리게 형성되는 통기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로바이가스의 엔진오일 분리 및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통기구멍들의 외주연에는 오일 유입 방지턱이 배플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블로바이가스의 엔진오일 분리회수장치{Engine oil filtering recovering apparatus from blowby gas}
본 발명은 실린더 헤드 카바내에 수집된 블로바이가스를 흡기호스로 리턴공급시 블로바이가스속에 포함된 엔진오일을 걸러주는 엔진오일 분리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린더헤드에는 캠축 등을 비롯한 밸브작동기구가 설치되므로 이들 장치들을 보호하고 또 윤활을 위하여 실린더 헤드 카바(로커카바)가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게이스내에 수집된 가스, 즉 블로바이가스를 실린더헤드 카바로 보내어 모은 후 실린더 헤드 카바내의 블로바이가스를 PCV관로를 통하여 흡기호스로 보내어 신기와 함께 연소실에 공급하여 연소시키므로써 블로바이가스의 외부 배출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실린더 헤드 카바에 의해 보호되는 캠축 등의 밸브기구에는 이들의 윤활 및 냉각을 위해 엔진 오일이 공급되고 있어, 이 엔진오일이 블로바이가스속에 포함된 채 엔진에 리턴공급되면 배기가스를 악화시키고 엔진오일의 소모를 가져와 엔진오일의 잦은 보충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같은 엔진오일의 과다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PCV밸브(20)와 흡기호스(21)측으로 블로바이가스를 보내기 전에 실린더 헤드 카바(22)에 설치한 엔진오일 분리회수장치(23)에 의해 엔진오일을 분리시킨 후 순수한 블로바이가스만이 PCV관로(24)를 통하여 엔진측에 급송되도록 하고 있다.
도시한 종래의 엔진오일 분리회수장치(23)는 상세도인 도 5에서 나타낸 것과같이 복수개의 배플 플레이트(25)(26)에는 복수개의 통기구멍(27)(28)들이 형성되며, 각 플레이트(25)(26)의 통기구멍(27)(28)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따라 전방 배플 플레이트(25)의 통기구멍(27)들을 통과한 블로바이가스는 후방 배플 플레이트(26)에 정면으로 충돌하게 되면서 관성력과 점착성이 있는 엔진오일은 판 표면에 달라붙게되어 블로바이가스로부터 분리되어지게 되며 분리된 엔진오일은 플레이트(26)를 타고 흘러내려 회수되어진다.
한편, 엔진오일이 분리된 블로바이가스는 전방과는 어긋난 위치에 있는 통기구멍(28)을 통과한 후 PCV관로(24), PCV밸브(20), 흡기호스(21)를 거쳐 엔진(29)에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엔진(29)의 흡기부압에 의해 이동되는 블로바이가스는 전방 배플 플레이트(25)의 표면에 일차로 충돌하면서 엔진오일을 포집당하게 됨은 물론이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배플 플레이트(25)(26)에 충돌하면서 점착되는 엔진오일이 배플 플레이트(25)(26)를 타고 흘러내리다가 통기구멍(27)(28)을 빠른 유속으로 통과하는 블로바이가스속에 다시 포함되어 엔진에 공급되므로써 엔진오일의 회수가 불완전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블로바이가스로부터 분리시킨 엔진오일을 안전하게 회수토록 하므로써 대기오염을 방지하고 엔진오일의 소모에 의한 잦은 보충을 예방할 수 있는 블로바이가스속의 엔진오일을 포집하여 회수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엔진오일 포집회수장치는
흡기부압에 의해 이송이 일어나는 블로바이가스가 충돌을 일으켜 엔진오일을 포집하여 낙하 회수토록 실린더 헤드 카바내에 블로바이가스의 흐름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는 배플 플레이트와, 그 배플 플레이트에 블로바이가스가 통과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어지되 블로바이가스가 지그재그로 통과하여 지나도록 엇갈리게 형성되는 통기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로바이가스의 엔진오일 분리 및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통기구멍들의 외주연에는 오일 유입 방지턱이 배플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배플 플레이트에 부딪혀 포집된 엔진오일이 통기구멍을 타고 흐르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로바이가스의 엔진오일 분리회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플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플 플레이트의 일부를 측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
다.
도 4와 도 5는 종래 기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헤드 7 : 실린더 헤드 카바
8 : 흡기호스 9 : PCV관로
10 : PCV밸브 11,12 : 배플 플레이트
13,14 : 통기구멍 15 : 오일 유입 방지턱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바이가스의 엔진오일 분리 및 회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플 플레이트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플 플레이트의 측단면 상세도이다.
도면중 부호 1 내지 5는 각기 실린더 헤드, 실린더 블록, 크랭크케이스, 오일팬 및 블로바이가스 관로이다.
실린더 헤드(1)에는 캠축(6)등의 밸브기구를 보호하기 위한 실린더 헤드 카바(7)가 밀봉되게 장착되어 있으며, 실린더 헤드 카바(7)에 모아진 블로바이가스를 엔진에 공급하기 위하여 흡기호스(8)와의 사이에 PCV관로(9)가 접속되어 있으며, PCV관로(9)의 도중에는 PCV밸브(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 헤드 카바(7)내의 PCV관로(9) 접속지점 가까이에는 적어도 1장 이상, 바람직하게는 2장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되는 배플 플레이트(11)(12)가 블로바이가스의 흐름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배플 플레이트(11)(12)들에는 각기 복수개의 통기구멍(13)(14)이 형성되어 있고, 각판 사이의 통기구멍(13)(14)들은 동축상에 위치하지 아니하고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통기구멍(13)(14)들의 외주연에는 오일 유입 방지턱(15)(16)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오일 유입 방지턱(15)(16)은 프레스에 의한 통기구멍(13)(14)의 펀칭가공시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공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엔진이 구동되고 PCV밸브(10)가 열리면 엔진의 흡기부압이 작용하여 실린더 헤드 카바(7)내에 수집된 블로바이가스가 개방된 PCV관로(9)를 통하여 흡기호스(8)로 유입되어 신기와 혼합된 채 엔진의 연소실에 유입되어 연소되어지게 된다.
그런데 실린더 헤드 카바(7)내의 블로바이가스는 PCV관로(9)로 유입되기 전에 배플 플레이트(11)(12)들을 통과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일부의 블로바이가스는 전방의 통기구멍(13)을 그대로 통과하게 되나 나머지 블로바이가스는 전방 배플 플레이트(11)에 충돌하게 되면서 블로바이가스속에 포함된 엔진오일이 플레이트(11) 표면에 달라붙어 분리되어지게 된다.
전방 배플 플레이트(11) 표면에 달라붙어 분리된 엔진오일은 판의 표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려 회수되어 다시 밸브기구들에 공급되며, 흘러내리는 도중 오일 유입 방지턱(15)에 의해 통기구멍(13)으로 유입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블로바이가스에 다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계속해서 전방 통기구멍(13)을 통과한 블로바이가스는 후방 배플 플레이트(12)의 표면에 충돌하여 엔진오일을 포집당하게 되며, 분리된 엔진오일은 앞서와 동일하게 판을 타고 흘러내려 회수되며, 엔진오일이 분리된 순수한 블로바이가스만이 후방 통기구멍(14)들을 통과하여 흡기호스(8)측으로 이송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오일을 분리회수하기 위해 로커카바내에 설치되는 배플 플레이트의 통기구멍 주연에 오일 유입 방지턱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플레이트에 부딪히면서 분리된 엔진오일이 다시 통기구멍을 통하여 블로바이가스와 함께 이송되는 것이 차단되므로써 엔진오일의 소모를 방지하고 엔진오일 연소에 의한 대기오염 유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흡기부압에 의해 이송이 일어나는 블로바이가스가 충돌을 일으켜 엔진오일을 포집하여 낙하 회수토록 실린더 헤드 카바내에 블로바이가스의 흐름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는 배플 플레이트와, 그 배플 플레이트에 블로바이가스가 통과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어지되 블로바이가스가 지그재그로 통과하여 지나도록 엇갈리게 형성되는 통기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로바이가스의 엔진오일 분리 및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통기구멍들의 외주연에는 오일 유입 방지턱이 배플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바이가스의 엔진오일 분리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유입 방지턱은 배플 플레이트로부터 프레스 성형에 의해 일체가 되도록 돌출성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바이가스의 엔진오일 분리회수장치.
KR1020000074857A 2000-12-09 2000-12-09 블로바이가스의 엔진오일 분리회수장치 KR20020045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857A KR20020045619A (ko) 2000-12-09 2000-12-09 블로바이가스의 엔진오일 분리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857A KR20020045619A (ko) 2000-12-09 2000-12-09 블로바이가스의 엔진오일 분리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619A true KR20020045619A (ko) 2002-06-20

Family

ID=2768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857A KR20020045619A (ko) 2000-12-09 2000-12-09 블로바이가스의 엔진오일 분리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561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814B1 (ko) 2008-08-12 2011-01-10 (주)엘지하우시스 블로우바이 가스의 오일분리장치
US8596229B2 (en) 2010-12-08 2013-12-03 Hyundai Motor Company Ventilation head cover of engine
DE102004011177B4 (de) * 2004-03-08 2014-07-31 Reinz-Dichtungs-Gmbh Zylinderkopfhaube mit Ölabscheider
US9133742B2 (en) 2012-12-27 2015-09-15 Hyundai Motor Company Oil filter system for vehicle
CN109595053A (zh) * 2018-12-10 2019-04-09 宁波赛铂睿特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发动机油气分离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1177B4 (de) * 2004-03-08 2014-07-31 Reinz-Dichtungs-Gmbh Zylinderkopfhaube mit Ölabscheider
KR101006814B1 (ko) 2008-08-12 2011-01-10 (주)엘지하우시스 블로우바이 가스의 오일분리장치
US8596229B2 (en) 2010-12-08 2013-12-03 Hyundai Motor Company Ventilation head cover of engine
US9133742B2 (en) 2012-12-27 2015-09-15 Hyundai Motor Company Oil filter system for vehicle
CN109595053A (zh) * 2018-12-10 2019-04-09 宁波赛铂睿特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发动机油气分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1477B2 (ja) クランク室の排気装置
US4459966A (en) Apparatus for the return of crankcase vapors into a combustion chamb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014532B1 (ko) 블로우바이 가스의 오일 분리장치
CN102444446A (zh) 发动机的通气装置
KR100401914B1 (ko) 체인커버를 이용한 블로바이가스의 오일분리장치
CN103422941B (zh) 曲轴箱强制通风系统
KR20020045619A (ko) 블로바이가스의 엔진오일 분리회수장치
JP6252144B2 (ja)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KR100777257B1 (ko) 자동차의 블로바이가스 유속증대용 배플플레이트
EP1507962B1 (en) Reciprocating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06299931A (ja)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JP4469225B2 (ja) クランクケース
JPH06123212A (ja) ロータリポンプ付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KR20090065384A (ko) 실린더 헤드커버의 블로바이 가스내 오일 포집 장치
KR100422513B1 (ko) 블로바이가스의 오일 분리장치
JPH10317940A (ja) ブロ−バイガスの気液分離装置
JPH03175109A (ja)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CN210217865U (zh) 一种迷宫式油气分离结构
CN219672705U (zh) 一种带有撞凝装置的油气分离器
KR200170359Y1 (ko)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의 오일 침입방지구조
KR200339812Y1 (ko) 엔진의 블로바이 오일 세퍼레이터
CN101280705A (zh) 通用汽油发动机曲轴箱废气的油气分离装置
KR100444878B1 (ko) 오일세퍼레이터 구조
KR20100064962A (ko) 오일 세퍼레이터 구조
KR19980048554U (ko) 블로바이가스 속의 엔진오일을 분리회수하는 원심식 엔진오일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