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5604A - 연결 구조물을 갖춘 복합 건축용 블록 - Google Patents

연결 구조물을 갖춘 복합 건축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5604A
KR20020045604A KR1020027003003A KR20027003003A KR20020045604A KR 20020045604 A KR20020045604 A KR 20020045604A KR 1020027003003 A KR1020027003003 A KR 1020027003003A KR 20027003003 A KR20027003003 A KR 20027003003A KR 20020045604 A KR20020045604 A KR 20020045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nector
block unit
connecting structur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파코우스키존
Original Assignee
펜트스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펜트스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펜트스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45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60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located in the joint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04B2/864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using dovetail-typ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7Corn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76Wall end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내벽 및 외벽 유닛 사이의 연결 구조물을 갖는 복합 건축용 블록이 제시된다. 벽 유닛은 시멘트, 점토 벽돌, 또는 유사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구조물은 벽 유닛보다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고 특정 벽 건축 설계의 요구조건에 대해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구조물은 중심 구성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아암은 벽 유닛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응하는 연결구에 연결하는 연결구를 갖는다. 중심 구성부는 내벽 및 외벽 유닛 사이의 공동을 두 개 이상의 공동으로 구획할 수 있고, 이후에 이것은 예로써, 콘크리트와 같은 절연 재료 또는 하중-지지 재료로 부분적으로 충진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 구조물을 갖춘 복합 건축용 블록 {COMPOSITE BUILDING BLOCK WITH CONNECTIVE STRUCTURE}
건축용 블록은 계속 발전해 왔다. 원래 중실 벽돌이 사용되었다. 이는 (속이 빈 건축용) 콘크리트 블록(cinder block)으로 발전했다. 이들 블록들은 콘크리트로 형성되고 블록을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구멍을 갖는다. 전형적인 콘크리트 블록은 에벌링(Eberling)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1,567,430호의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은 로빈스(Robbins)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2,172,052호의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콘크리트 블록 내의 구멍은 블록을 상당히 경량화시키고, 블록을 운반하고 위치설정하는 것을 도와주는 더 좋은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고, 보강 바아를 유지하기 위한 블록 내부의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일단 블록이 위치된 후 콘크리트로 채워질 수 있다.
기본적인 콘크리트 블록은 오랜동안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새로운 블록이 건설(construction)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예컨대,스미스(Smith)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982,544호에서 하중지지 보유 벽 즉, 큰 수직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벽을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미리 만들어진 콘크리트 모듈이 개시된다. 스미스의 미리 만들어진 콘크리트 모듈은 다수의 면 벽들과 모듈 내에 공동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일체식으로 형성된 연결 벽을 포함한다. 스미스의 미리 만들어진 콘크리트 모듈이 하중 지지 벽으로 조립된 때, 콘크리트는 최종적으로 하중 지지 벽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공동 속으로 부어질 수 있다. 다수의 블록이 블록 벽을 더 좋게 절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시멘트로 채워지는 일반적인 콘크리트 블록은 절연 재료를 위한 공간이 없다. 블록이 약간의 절연 특성을 제공할 지라도, 이러한 블록은 열 흡수체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블록 벽은 여름에는 열을 흡수하여 그 열을 보유하고, 이는 냉방 부하를 증가시킨다. 유사하게, 겨울에는 이들은 냉기를 흡수하여 난방 부하를 증가시킨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블록이 절연 재료가 블록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개발되어, 열 흐름 경로를 차단하였다. 이들 블록의 예들은 다음의 미국 특허에서 찾을 수 있다. 미국 특허 제3,593,480호는 일반적인 콘크리트 블록과 유사한 외관을 갖는 블록을 교시한다. 이 블록은 실제로는 콘크리트로 채워진 공동을 갖는 플라스틱 쉘(shell)이다. 또한, 이 블록은 보온 틈새(dead air space)이거나 또는 절연 재료로 채워질 수 있는 개방 영역을 갖는다. 이들 블록이 갖는 문제점은 블록은 반드시 콘크리트로 채워져서 이들이 제 위치로 고정되기 전에 경화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일단 채워지면, 이들 블록은 무겁고 다루기 어렵다.
리(LEE)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380,887호는 포말 절연물이 슬롯 내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특별한 슬롯을 갖도록 만들어진 콘크리트 블록을 교시한다. 이 아이디어는 블록 웨브(webs)를 통한 열 전달을 차단했다. 비록 이 설계는 진보적인 것이지만 이는 이와 관련된 모든 중량 문제점을 갖는 풀 사이즈(full size) 블록을 필요로 한다. 특히, 절연 패널은 블록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만일 블록들이 건설 현장에서 절연된다면 이는 건설 과정을 지연시킨다. 이는 만일 절연이 공장에서 부가된다면 설치 비용을 증가시킨다.
페레톤(Perreton)의 미국 특허 제4,498,266호에는 절연체의 블록을 보유하는 중심 채널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cinder block, 신더 블록)을 개시한다. 테일러(Taylor)의 미국 특허 제4,745,720호에는 길이 방향으로 두개로 절단된 신더 블록을 개시한다. 이후, 분리된 블록은 중심에서 특정 분리 채널로 재조립된다. 특정 클립은 절연체를 블록 내에 고정하도록 구비된다. 미국 특허 제5,209,037호 및 제5,321,926호에는 절연체를 수용하도록 그들 내에 형성된 복잡한 곡선을 갖는 신더 블록을 교시한다. 이러한 블록이 개선된 절연 성능을 제공하지만, 복잡한 곡선의 구조는 비용을 증가시키고 블록 배치를 위해 최소의 손잡이를 제공한다. 이는 건축을 매우 어렵고 느리게 하고, 이것은 또한 비용을 증가시킨다.
노바(Nova)의 미국 특허 제4,841,707호는 블록 벽 건축에서의 다른 방향을 교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보통의 블록이 갖는 문제는 블록들 자체를 통해 냉기 및 열기가 전달된다는 것이다. 상술한 블록은 상기 전달 경로를 차단한다. 냉기 및 열기를 차단하는 다른 방법은 이중 벽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벽은 보통의 블록 벽의 외형을 갖지만, 버팀대(bracing)에 의해 연결된 외부 블록 벽 및 내부 블록 벽을 갖는다. 이 벽들 사이의 공간은 가능한 최고 수준의 절연을 제공하도록 절연 재료로 충진될 수 있다. 상기 노바의 벽이 갖는 문제점은 개별 블록이 없다는 것이다. 두 벽들 모두 주입식으로 된다. 이것은 적용 가능한 건축 방법이지만, 특히 거주형 구조물에 대해 비용이 비싸다.
마지막으로, 그로스(Gross)의 미국 특허 제4,180,956호에서는 끈(13, tie)에 의해 상호연결된 중공 패널 유닛(2)을 포함하고 절연 요소(11)를 둘러싼 공동(cavity) 벽 구조물이 개시된다. 그러나, 그로스의 벽 구조물은 하중-지지 벽의 건축에 있어 적용에 한계가 있다. 그로스의 출원서의 도1은 절연 요소(11)보다 매우 얇은 벽 패널 유닛(2)을 도시한다. 따라서, 그로스의 벽 패널 유닛(2)은 중량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적당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종래의 미국 건축법의 구조적 요구사항에 부합할지는 명확하지 않다. 또한, 그로스 벽 구조물의 요소는 패널 유닛 에지에 위치되어 대향된 내벽과 외벽을 묶고 인접한 벽 유닛 에지를 잇는 끈(13)과 상호 연결된다. 이것은 건축 인부가 모르타르 상호 연결부로 개별 블록을 쌓음으로써 벽을 건축하도록 훈련되는 벽 건축 설계에는 그로스의 벽 시스템을 적용할 수 없게 한다. 그로스의 벽을 건축하는 인부는 절연 요소(11)의 적층과 동시에 조립되는 (대향 및 인접한) 몇몇의 개별 패널 유닛(2)과 끈(13)을 다룰 필요가 있다. 작업자 혼자서 이러한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지는 분명치 않다.
본 발명은 건축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용 블록의 내측 및 외측 벽 사이에서 연장하는 연결 구조물을 갖도록 만들어진 건축용 블록에 관한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1a는 본 발명의 절반 높이(half-height)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1a의 선4-4를 따라 취한 절반 높이 블록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5는 도1a의 선5-5를 따라 취한 절반 높이 블록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6은 도1a의 선6-6을 따라 취한 절반 높이 블록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7은 벽을 형성하기 위해 적층된 다수의 제1 실시예의 블록의 측면 상세도이다.
도8은 벽을 형성하기 위해 적층된 다수의 제2 실시예의 블록의 측면 상세도이다.
도9는 중실 콘크리트 잼(jamb) 단부를 갖는 절반 길이(half-length)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10은 중실 플라스틱 잼 단부를 갖는 절반 길이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11은 중실 콘크리트 잼 단부를 갖는 온길이(full-length)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12는 중실 콘크리트 잼 단부를 갖는 온길이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13은 코너(corner)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14는 전형적인 코너 연결부의 평면도이다.
도15a 내지 도15d는 변경 실시예의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 및 단부도이다.
도16a 및 도16b는 또 다른 변경 실시예의 평면도 및 단부도이다.
도17a 및 도17b는 또 다른 변경 실시예의 평면도 및 단부도이다.
도18a 및 도18b는 또 다른 변경 실시예의 평면도 및 단부도이다.
도19a 및 도19b는 또 다른 변경 실시예의 평면도 및 단부도이다.
도20a 및 도20b는 또 다른 변경 실시예의 평면도 및 단부도이다.
도21a 및 도21b는 또 다른 변경 실시예의 연결 구조물의 일부 및 일 벽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22a 내지 도22c는 또 다른 변경 실시예의 연결 구조물의 일부 및 일 벽의 평면도이다.
도23a 및 도23b는 또 다른 변경 실시예의 연결 구조물의 일부 및 일 벽의 평면도 및 단부도이다.
도24a 및 도24b는 또 다른 변경 실시예의 연결 구조물의 일부 및 일 벽의 평면도 및 단부도이다.
도25a 및 도25b는 또 다른 변경 실시예의 평면도 및 단부도이다.
도26a 및 도26b는 또 다른 변경 실시예의 평면도 및 단부도이다.
본 발명은 개별 복합식 블록 구조를 포함한다. 블록 유닛의 내벽 및 외벽은 분리식으로 형성된다. 내벽 및 외벽 중 적어도 하나는 양호한 수직 하중 지지 능력을 갖는 시멘트, 점토 벽돌, 돌 또는 다른 석재 형태의 재료일 수 있다. 내벽 및 외벽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이들 사이에 연장하는 연결 구조물이 있다. 상기 연결 구조물은 격자형이고, 형성 중에 유동성(flowability) 특성과 형성 후의 보다 강한 인장력 및/또는 전단 강도로 인해 시멘트, 점토 벽돌, 돌 또는 다른 석재 형태의 재료보다 얇고 보다 복잡한 형상의 구조물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플라스틱 또는 다른 형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연결 구조물에 사용되는 재료의 질과 그 형상 및 구조는 블록 벽 건축물에서 다양한 새로운 이점을 허용한다. 내벽 및 외벽은 복합 블록이 벽에 놓여지기 전에 개별 블록 유닛을 형성하도록 연결 구조물에 의해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웨브(plastic web)와 같은 연결 구조물로 결합된 두 개의 시멘트 패널, 콘크리트 벽 또는 점토 벽돌 벽을 갖는 블록형 구조물을 사용한다. 그러면, 이러한 복합 블록은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의 강성을 갖지만, 즉 종래의 신더 블록의 특성인 하중 지지 특성을 갖지만, 보다 경량이다. 더욱이, 상기 플라스틱 웨브는 상기 블록을 용이하게 다루고 배치하게 하는 손잡이를 제공한다. 벽이 이러한 블록을 사용하여 종결될 때, 이러한 플라스틱 웨브의 열 특성 때문에, 진정한 이중 벽 구조의 절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록은 웨브 내에 형성된 중심 구성부의 일 측 상에 콘크리트로 충진시킬 수 있고 다른 측 상에는 절연체로 충진시킬 수 있다. 이것은 잘 절연된 구조적으로 양호한 벽을 제공한다. 상기 블록은 완전한 높이 또는 절반 높이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코너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잘 절연되고 벽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의 감소된 열 경로를 제공하는 건축용 블록 시스템, 해당 기술 분야에서 설치가 용이하고 경량인 건축용 블록, 충분한 구조적 일체성을 갖고 매우 잘 절연된 건축용 블록, 하중 지지 벽의 구조물에서 사용 가능한 건축용 블록 시스템, 특정 빌딩 설계의 요구 사항에 부합하기 위해 복합 블록이 용이하게 구성되거나 또는 재구성될 수 있는 건축용 블록 시스템과 같은 이점들 중 하나 이상이 달성될 수 있다.
A. 전체적인 설명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도2는 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블록(1)은 외벽(2), 내벽(3) 및 중심 플라스틱 웨브(4)를 갖는다. 외벽(2)과 내벽(3)은 시멘트, 점토 벽돌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재료는 천연 또는 인공의 석재, 플라스틱, 목재 또는 세라믹 재료이다. 외벽(2) 및 내벽(3)은, 필요 사항은 아니지만,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웨브(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단부 아암(7)과 중심 아암(8)을 갖는다. 중심 아암(8)과 단부 아암(7)은 중심 구성부(10)에 연결된다. 웨브(4)의 이들 부분은 일체식 유닛을 형성하고, 연결하여 외벽(2)과 내벽(3)을 함께 연결하여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 구조물로써 역할을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아암(8)은 외부 아암(7)보다 상당히 두껍게 만들어 질 수 있다.
내벽 및 외벽은 플라스틱 웨브(4)를 수용하고 보유하기 위한 다수의 도브테일(dovetail) 형상의 홈(5)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 개의 홈(5)이 사용된다. 연성 발포 개스킷(6) 또는 다른 유사한 구조는 유닛들 사이의 모르타르 결합부에 의해 생성된 간격(gap)을 채움으로써 플라스틱 결합부를 밀봉하기 위해 사용된다.(도7 및 도8 참조)
제위치에 웨브(4)를 가짐으로써, 외벽(2), 중심 구성부(10) 및 내벽(3)에 의해 두 개의 공동이 형성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외벽(2)과 중심 구성부(10) 사이의 공간은 외부 공동(2b)이고, 내벽(3)과 중심 구성부(10) 사이의 공간은 내부 공동(3b)이다.
도1a는 절반 높이(half-height)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5, 도6 및 도7은 절반 높이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와 도1의 실시예 사이의 상이점은 벽의 높이이다. 절반 높이 유닛은 통상적으로 벽돌벽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 점토 벽돌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절반 높이 블록은 도시된 바와 같은 외벽(2a)과 내벽(3a)을 갖는다. 플라스틱 웨브(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구성부(10)를 갖는다. 두 개의 단부 아암(11, 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구성부(10)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이들 아암(11, 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응하는 도브테일 형상의 돌출부(14)를 갖는다. 중심 아암(15)이 또한 사용된다.
도3은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20)는 또한 외벽(21), 내벽(23) 및 플라스틱 웨브(24)를 갖는다. 도1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외벽(21) 및 내벽(23)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벽은 플라스틱 웨브(24)를 수용하고 보유하기 위한 다수의 도브테일형 홈(25)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홈이 사용된다. 웨브(24)는 도시된 바와 같은 중심 구성부(22)를 갖는다. 단부 아암(26, 27)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 저부와 경사진상부를 갖는다. 단부 아암(26, 27)과 중심 아암(28)은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모든 아암은 중심 구성부(22)에 연결된다. 도1의 실시예에서, 두 개의 단부 아암(11, 12)은 하부의 경사부와 평 상부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선택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단부 아암은 평 저부와 경사진 상부를 갖는다.
모든 실시예에서, 중심 아암(8, 15 또는 28)은 블록의 손잡이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이 사실일 때, 중심 아암(8, 15 또는 28)은 평 상부를 갖고 내벽 및 외벽의 상부 표면과 동일한 높이일 것이다. 이는 작업자가 중심 아암을 파지함으로써 블록을 용이하게 들어 올리고 위치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도4,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절반 높이의 블록의 세부가 도시된다. 도4는 단부 아암을 도시하는, 블록을 통해 취한 절반 높이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5는 중심 아암(15)을 도시한 절반 높이의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6은 웨브(4)의 중심부를 도시한 절반 높이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통상적인 블록 벽 조립체의 세부가 도시된다. 도7은 도1의 실시예의 블록(1)에 의해 형성된 벽의 측단면도이다. 블록(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다. 모르타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들(1) 사이의 밀폐식 결합부를 형성하도록 외벽 및 내벽에 인가된다. 발포 개스킷(6) 또는 다른 형태의 밀봉재는 웨브(4)의 중심 구성부(10)에 인가된다. 이들 개스킷은 블록(1)의 웨브(4) 사이의 간격을 효율적으로 밀봉한다.
블록이 제위치에 설정되면, 보강 바아[리바아(rebar),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110) 구조는 (비록 내부 공동(3b)에 간단히 위치될 수 있다하더라도) 외부 공동(2b)에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리바아는 중심 아암에 형성된 구멍(31)에 위치된 와이어 지지부(30)에 고정될 것이다. 도1, 도7 및 도8에서 알 수 있다. 리바아가 제위치에 있으면, 블록의 외부 공동(2b)은 중실 벽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콘크리트로 채워질 수 있다. 블록(1)의 내부 공동(3b)은 절연체로 채워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블록(1)은 완전히 절연된 중실 이중 벽 구조를 형성한다.
도8은 도7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연결 구조를 사용하는 블록(1)으로 만들어진 벽 세그먼트(segment)를 도시한다. 이는 유사한 방식으로 조립된다. 상이한 연결 구조물을 제외하면, 도8에 도시된 블록을 사용한 벽의 조립과는 차이가 없다.
두 실시예에서, 웨브(4)는 고강도 플라스틱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웨브(4) 재료는 경량인 것이 중요하다. 또한 웨브(4) 재료는, 필수조건은 아니고 일부 실시예(즉, 내벽용 블록)에서 불필요하더라도, 열 불활성(즉, 비전도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웨브(4)는 금속의 열특성이 비교적 큰 열량이 통과하는 것이더라도 경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B. "신형" 블록
이제 도9 내지 도14를 참조하면, 복합 블록의 전형적 구조로부터 변형된 다수의 "신형" 블록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블록은 소망하는 외관에 따라 전체 또는 절반 높이가 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벽 조립체 및 블록 구조물은 상술된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블록의 형상과 웨브의 배치는 변형될 수 있다.
도9는 중실 석재 잼 단부(41)를 갖는 절반 길이 블록(4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42)는 블록의 개방 단부(44)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위치설정된 단일 아암(43)을 갖는다. 두 개의 연결되지 않은 벽 대신에, 이 유닛은 도시된 45와 같이 연속적인 외벽을 갖는다. 중심 구성부(4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 잼 단부(41) 내로 삽입되어 폼(foam) 절연체에 의해 둘러싸여질 수 있다.
도10은 중실 플라스틱 아암 단부(51)를 갖는 절반 길이 블록(50)을 도시한다. 제2 아암(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에 위치된다. 또한, 중심 구성부(53)가 제공된다. 모든 아암은 일편의 웨브(54)를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두 개의 석재 벽(55, 56)이 또한 제공된다.
도11은 도9의 실시예의 전체 높이 변형(version)이다. 블록(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구성부(61) 및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아암(62, 63)을 갖는다. 도9의 블록에서와 같이, 중심 구성부(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 잼 단부(64) 내로 끼워지고, 폼 절연체(65)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여기서, 단일 길이의 석재 벽(66)이 있다.
도12는 도10의 실시예의 전체-길이의 변형이다. 블록(70)은 중실 플라스틱 아암 단부(71)를 갖는다. 두 개의 추가 아암(72, 7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내에 위치된다. 중심 구성부(74)가 또한 제공된다. 모든 아암은 일편의 웨브(75)를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두 개의 석재 벽(76, 77)이 제공된다.
도13은 전형적 코너 유닛(80)의 평면도이다. 이 유닛은 심미적(stylistic) 표면을 유지하는 외부 코너를 나타내도록 설계된다. 블록(80)은 만곡된 외벽(81) 및 짧은 내벽(82)을 갖는다. 벽들(81, 82)은 두 개의 아암(83, 84)에 의해 연결된다. 중심 구성부(8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또한, 연결구 아암(86)이 제공된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구성부(85)로부터 연장한다. 연결구(connector) 아암(86)은 도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벽의 일부분으로서 벽 블록(1)에 연결된다.
도14는 코너 유닛(80)이 어떻게 표준 블록(1)에 연결되는지를 도시한다. 이러한 블록의 위치는 블록의 각 진로에 따라 변한다. 모르타르 결합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된다. 두 개의 폼 패드(6)는 예를 들어 코너 블록(80)의 연결구 아암(86)에 블록(1)의 중심 구성부(10)와 연결하도록 제공된다. 물론, 코너 블록(80)은 다른 절반 높이 구성을 수용하도록 절반 높이로 만들어질 수 있다.
C. 복합 건축용 블록의 변경예
내벽 및 외벽과 별도로 형성되고, ABS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유리 섬유 또는 내부 와이어 또는 로드 프레임과 같은 강화 재료로 강화된 임의의 상기의 것을 포함)과 같은 성형 가능한 재료 또는 성형된 유리 섬유로부터 형성된 연결 구조물의 사용은 그것으로 형성된 복합 블록 및 벽에 대해 여러가지 중요한 관계를 갖는다. 복합 블록의 설계자는 석재 형태의 재료, 특히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적은 슬럼프(slump) 콘크리트의 단일 배치(batch)에 의해 제공된 가능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용가능하게 된 일 그룹의 가능성은 내벽 및 외벽과 관련이 있다. 이들은 상이한 성형 삽입체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형성하도록 기술분야에서 이용되고 공지된 동일한 장비로 이제 형성될 수 있다. 벽편(wall piece)이 동시에 임의의 상호 교차하는 웨브를 생성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블록에대한 벽편들이 만약 전체 블록이 형성되는 것보다 하나의 성형 주기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는 블록을 형성하는 장비 및 관련 노동력의 향상된 이용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벽편을 형성하는 주형은 종래의 블록 형성 장비의 동일한 단일 성형 주기에서 제조되는 수의 블록과 같은 벽편의 쌍(내부 및 외부)의 두배만큼을 하나의 성형 주기에서 통상 제조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만약 벽편 쌍이 동일 성형 주기에서 제조되지 않았다면, 동일 재료로 구성되지 않은 내벽 및 외벽 편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블록은 벽돌의 외벽 및 콘크리트의 내벽 또는 그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내벽 및 외벽 편은 상이한 색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형성 후에 상이하고 부가적인 처리를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돌 벽편은 내벽 또는 외벽에 대해 광택이 나는 벽돌 표면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후에 광택을 내는 가공을 거칠 수 있다. 돌 또는 다른 단판은 콘크리트 내벽 또는 외벽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내벽 또는 외벽 중에 하나는 필요에 따라 적용될 수 있도록 다른 표면 처리를 갖는 기판으로서 먼저 형성될 수 있다.
내벽 및 외벽 중 적어도 하나가 하중을 지지하는 동안, 다른 하나는 하중을 지지할 필요가 없다. 이는 특히 하중이 더 가벼워 질 수 있는 내벽에 대한 경우이다. 이는 사용되는 재료 및 마감에 대한 추가 가능성을 보여준다. 하중 비지지 벽에서, 벽은 벽 설계의 부분이 될 수 있는 미리 형성된 구멍 또는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벽 또는 외벽에은 전기적 리셉터클(receptacle) 또는 돌출 파이프 또는 다른 전기적 또는 기계적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될수 있다. 내벽에는 벽에서 도관을 통해 공기를 이송하는 HVAC 시스템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기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복합 블록은 사출 성형, 다이 성형, 압출 성형, 연속 인발 성형(pultrusion) 또는 다른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제조 가능한 연결 구조물 및 이의 변형에 집중되는 다른 형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재료 및 공정은 다양한 아암과 웨브로 구성되는 3차원의 격자형 연결 구조물의 공식화를 허용한다. 격자형 구조는 적은 양의 재료를 사용하고, 중량이 가벼울 수 있으며, 대향하는 내벽 및 외벽들의 에지들에 의해 한정되는 전체 장방형 고형체 부피의 비교적 작은 비율을 차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복합 블록을 조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의 형성을 허용하고 내벽과 외벽의 사이의 제한된 열 전도 경로를 부분적으로 초래한다. 성형 및 변형될 수 있는 연결 구조물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벽에서의 대응 연결 형성부에 연결되는 연결 구조물의 연결구들은 광범위의 형태 및 크기를 취할 수 있다. 이들은 벽을 관통하거나 벽의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구성에 부착될 수 있다. 연결구들은 수개가 각 벽에 부착되거나, 적절한 적용으로는 내벽 및 외벽의 각각을 위해 적절한 크기 및 강도의 단일 연결구로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들은 대응하는 연결구 형성부와 둘러싸는 벽 재료가 압축 하중, 인장 하중 또는 그 조합을 수용하도록 가장 적합한 지의 여부에 따라 삽입을 위해 압축되거나 이탈되는 레그부 또는 연장부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적용으로는, 연결구는 예를 들어, 에폭시 접착제로 벽에 접착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내벽 및 외벽의 각각의 이면 또는 내면에 연결되지만, 이는 또한 벽의 에지에 부착되거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2. 설치자가 복합 블록을 보다 용이하게 취급하도록 제작하기 위해 벽편들의 중량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손잡이가 연결 구조물에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는 석공이 내벽 및 외벽에 거의 직각으로 있는 손으로 둘러싸인 손잡이 축으로 균형 지점 또는 그 부근에서 복합 블록을 용이하게 파지하게 할 때 통상의 석재 건축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3. 벽편들의 중량, 이들의 형상, 완성된 복합 블록에서의 이들의 분리와 완성된 벽이 받을 하중 및 힘에 따라, 연결구들을 지닌 연결 구조물의 아암 또는 다른 부재가 더 두껍게 또는 더 얇게 제작될 수 있고 콘크리트 보강용 강철봉 또는 다양한 종류의 다른 보강 구조물을 지지 또는 수용할 수 있다.
4. 내벽과 외벽의 사이의 중심 구성부 또는 격벽으로 사용되는 연결 구조물의 부분은 다양한 구조들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건축 이후에 벽안으로 주입되는 콘크리트와 절연체를 위한 유용한 공간을 변형시키도록 내벽 또는 외벽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격벽은 또한 중첩식으로 수직하게 또는 수평하게 인접하는 블록의 격벽편과 결합하는 것이 더 용이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직 격벽의 중첩은 벽 건축 중에 격벽의 상부 및 하부 에지들에서 임의의 별도의 결합 재료를 삽입할 필요가 없게 한다.
5. 연결 구조물의 아암, 웨브 및 연결구는 내벽 및 외벽의 사이에 위치한다른 재료들에 고정 또는 상호체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 이후에 벽의 공동의 절반으로 절연체가 도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중심 구성부나 격벽을 사용하는 대신에 각각 개별 복합 블록이 주위에 설치되는 절연 블록과 연결 구조물에 조립될 수 있다. 절연 블록은 그 내에 슬릿 또는 채널의 절결부를 가짐으로써 연결 구조물 상에서의 위치로 활주하는 것을 허용하여, 내벽과 외벽의 사이의 위치에 (그리고, 내벽과 외벽의 에지와 정렬하여) 절연 블록을 고정 및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6. 연결 구조물는 그 안에 안내부나 도입로를 가짐으로써 벽의 내부에 삽입되는 다른 품목의 삽입 또는 통과를 용이하게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연결 구조물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홈들을 포함함으로써 수평하게 놓인 보강 바아들을 지지한다. 연결 구조물의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 다른 구성은 전기 와이어, 광섬유 케이블 등을 수용하거나 기류를 나르는 채널 또는 폐쇄 도관들이다.
7. 추가 가능성은 연결 구조물과 벽들 중의 하나와의 일체 성형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재료가 아암/웨브를 구비한 내부 웨브와 연결구를 위하여 사용되나 연결구는 하나의 벽에서만 필요할 뿐이다. 다른 벽에서, 연결 아암/웨브는 벽 패널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합 블록의 조립은 벽과 오직 하나의 벽에서의 연결 구조물 사이에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연결 구조물과 일체로 성형되는 대향 벽은, 바람직하게는, 석재, 타일 또는 목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표면 처리재 또는 구조적 연장 부재로 덮혀질 수 있고, 본원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하중 지지식으로 제작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복합 블록의 일 단부 또는 양 단부를 위한 단부 패널이 또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8. 상술한 일체식으로 형성된 벽은 매끄러운 패널이나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심미적이거나 기능적일 수 있다. 특히, 상술한 개별 벽편과 같이, 일체형 내벽 또는 외벽에는 전기 리셉터클이나 돌출 파이프나 다른 전기 또는 기계적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내벽에는 벽내의 도관을 통해 공기를 전달하는 HVAC 시스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류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도관은 격자의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블록은 연결 구조물 및 이로 인해 연결되는 벽으로 다양하게 형성된 형상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 넓은 범위의 설계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실시하는 복합 블록에 대해 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15a 내지 도15d 내지 도26a 내지 도26b에는 본 발명의 다양성을 예시하는 복합 건축용 블록의 변경 실시예의 평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된다. 각각은 차례로 전술된 실시예의 식견에서 간략하게 논의될 것이다.
도15a 내지 도15d에서, 연결 구조물 또는 웨브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 구조물(200)은 중심 구성부(210), 한 쌍의 단부 아암(207a, 207b), 중심 아암(208) 및 중심 구성부(210)와 단부 아암(207a, 207b)의 일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선택적인 한 쌍의 보강 아암(211a, 211b)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또한 연결 구조물(200)의 각 아암(207a, 207b, 208)은 아암의 단부에 V형 삽입식 연결구(205)를 가진다. 상기 연결구(205)의 레그(206)는 각각의 내벽 및외벽(202, 203) 내에, 이 경우에서는 레그(206) 상의 압축력의 제거시에 마찰식으로 결합하게 될 V형 슬롯 내의 대응하는 연결구 형성부(209) 내에 끼워지도록 압축된다. 반원, 원, 정방형(수평 단면에서 봤을 때)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갖는 연결구(205)에 의해, 연결구(205)를 위한 V형상 및 대응하는 연결구 형성부(209)가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이 실시예의 연결 구조물에 몇몇 흥미로운 태양이 있다. 2 개 이상 또는 이하의 도시된 리세스식 홈이 사용될 수도 있고, 이들 홈의 위치가 아암(208)을 가로질러 변화될 수도 있지만, 도15a 내지 도15d로부터 중심 아암(208)은 한 쌍의 리세스식 홈(231a, 231b)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홈은 블록(201)의 연결 구조물(200)이 하나 이상의 다른 연결 구조물에 인접할 때, 리바아(rebar)(도시 안됨)용 수평 보강 지지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심 아암(208)은 단부 아암(207a, 207b)에 대해 중심 구성부(210) 상에서 수직으로 변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위는 리바아를 홈 내에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을 것이며, 완성된 블록 유닛의 구조적 일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결 구조물의 또 다른 특징은 중심 구성부(210)의 상부 또는 하부 에지 중 하나를 따라 있는 오프셋 립(220)이다(도15d는 상기 립이 상부 에지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이 립(220)은 립의 바로 아래 수직으로 인접한 블록의 중심 구성부의 인접 에지 립과 중첩된다(도15d 참조).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4, 도5 및 도7 내의 6에 도시된 밀봉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벽의 중심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 구성부(201)의 한 짧은 에지에 있는 유사한 에지 립(221)은 수평 인접 블록의 중심구성부과 동일한 밀봉 기능을 제공한다(도15b, 도15c 참조).
도16a 및 도16b의 복합 블록(301)의 실시예는 내벽 및 외벽(302, 303)과 연결 구조물의 중심 구성부(310)에 의해 형성된 공동의 상대 체적이 벽 구성 조건에 따라 아암 또는 연결 구조물(300)의 아암(307)에 대한 중심 구성부(310)의 위치 선택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컨대, 만약 내벽(303)으로 형성된 공동을 위해 상대적으로 적은 절연 재료가 필요하고, 그리고/또는 외벽(302)으로 형성된 공동 내에 하중 지지 목적을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콘크리트가 필요하다면, 연결 구조물(310)은 중심 구성부(310)로부터 외벽(302)으로 돌출된 연결구 아암 또는 아암들(307)의 길이가 중심 구성부(310)으로부터 내벽(303)으로 돌출된 아암 또는 아암들의 길이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점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보다 긴 연결구 아암 세그먼트가 좌굴 또는 굽힘으로부터 방지되고, 시스템을 위한 추가적인 지지부를 제공하기 위해 도15a 및 도15b의 보강 아암(211a, 211b)과 같은 아암(311)이 사용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복합 블록 설계는 상이한 블록 및 벽 내부 구조물 및 특성들을 생산하기 위한 성형 시에 선택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위치에서 중심 구성부(310)가 선택 가능한 격벽 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한다.
도17a 및 도17b에서, 연결 구조물(400)은 다른 실시예에서 기술된 중심 구성부가 없이 제조된다. 이 실시예에서, 절연 재료는 내벽 및 외벽(402, 403)(사실상, 벽(403)과 미리 형성된 절연 블록 사이의 공동의 체적을 결정하기 위해 중심 구성부로서 작용함)에 의해 형성된 공동의 일부 부분을 충진하는 미리 형성된 블록(410)(가소성 폼(foam) 또는 유사한 재료의)이기 때문에 중심 구성부는 제거될수 있다. 미리 형성된 절연 블록(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맞춤을 연결 구조물(400)에 형성하는 적절한 홈(411a, 411b)과 함께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블록(410)은 그 에지가 실질적으로 내벽 및 외벽(402, 403)의 에지와 정렬되게 하는 치수로 형성된다. 또한, 완성된 벽의 절연 층을 통한 공기 침투를 제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압축성 폼 스트립(412) 또는 연장부가 절연 블록(410)에 추가되거나 함께 형성되어서 수직 또는 수평의 인접 복합 블록의 절연 블록들 사이의 간격을 방지 또는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절연 블록(410)은 연결 구조물(400)이 내벽 및 외벽(402, 403)과 결합하기 전이나 또는 그 후에, 복합 블록(410)의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연결 구조물(400) 상으로 활주할 수 있다. 예컨대, 이 실시예의 복합 블록 구성은 연결 구조물(400) 내의 아암(407a, 407b)의 부분 상으로 직선 채널로 미리 형성된 블록 절결부를 끼우고, 그후에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연결 구조물(400)을 벽(402, 403)으로 연결하는 형성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연결 구조물(400)은 웨브 및/또는 절연체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복합 블록이 이동될 때 안정된 절연 유지를 보장하도록 지향되고 위치설정된 아암과 함께 형성된다.
도18a 내지 도18b에는, 중심 구성부가 없는 연결 구조물(500)의 단순 아암 실시예가 도시되고 있다. 아암(520)은 각 벽의 중심에서의 지지가 충분한 간단한 2개의 결합 벽(502, 503)을 결합할 수 있다. 아암(520)은 90°로 회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실시예의 중심 구성부와 유사한 방법으로 공동을 형성하는, 손잡이 구멍(522) 및 해제(relief) 구멍(524)을 구비한 2중의 평면 웨브일 수 있다.이 실시예에서, 내벽(502) 및 외벽(503)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서, 연결 구조물(500)의 부분들의 크기, 질량 또는 강도와 이들 벽(502, 503) 안으로의 관통은 단순 아암(520)에 의해 생기는 증가된 부하를 수용하도록 수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외벽(503)의 표면은 외층(505)을 형성하도록, 예컨대, 광택내기(glazing), 색상층, 벽돌 마감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처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기능적 및/또는 심미적인 목적일 수 있고 또한 내벽(502) 상에도 행해질 수 있다. 이는 초기 형성 후 그리고 복합 블록 내로 조립되기 전에, 블록의 복합 성질 및 별도의 표면 처리 공정을 벽에 인가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도19a 및 도19b에서는, 다른 실시예에서 하중 지지식인 내벽(603)은 얇은 하중 비지지 벽 유닛으로 교체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2중층 벽의 양 층이 하중 지지부가 될 필요가 없을 경우, 다음으로 외벽 및 내벽 유닛(602, 603) 사이에 공동이 있는 것이 여전히 바람직한 경우에서의 내벽과 같은, 다양한 건설 설계들에서 유용할 수 있다. 하중 비지지 벽(603)은 타일 또는 다른 심미적인 마감재와 같은 다른 재료가 복합 블록(601) 및 최종적인 벽에서 사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채택되는 하중 비지지 재료의 형태에 따라서, 예를 들면, 연결구(605)의 수가 증가될 필요가 있거나, 파손되거나, 휨 또는 다른 변형을 받는 재료를 위해 (예를 들면, 에지에서) 적절한 지지물을 제공하도록 벽(603) 안으로의 관통 범위 또는 높이에서 변화될 필요가 있는 것과 같이, 연결 구조물(600)은 적합하게 구성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20a, 도20b 및 도21a, 도21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연결구 구조 또는 구성 중 2개를 도시하고 있다. 도20a 및 도20b에서는, 연결 구조물(700)의 각 연결구(705a 내지 705d)는 결합 전에 펼쳐지고 벽의 일부를 둘러싸서, 둘러싸는 벽의 부분에 압축력을 인가하여 견고하게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둘러싼다.(예를 들면, 각각의 연결재가 압축되고 삽입 후에는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삽입되는 벽 유닛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바람직하게는 작은) 인장력을 가하는, 도15a의 상술한 실시예와 대비됨).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구(705a 내지 705d)는 벽(702, 703) 내에 형성되거나 또는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대응 연결구 형성부(709a 내지 709d)와 결합할 수 있다.(전술된 바와 같이, 연결구(705a 내지 705d)는 반원, 원형, 정방형을 포함하여 다른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21a 및 도21b에서는, 연결에서 탄성력은 사용되지 않는다. 여기서, 에폭시 접착제, 또는 다른 여러 가지 접착 물질이 연결 구조물(800)을 벽 내의 연결 형성부(809)와 결합시켜 복합 블록을 형성하도록 사용된다. 벽 안으로 삽입된 각각의 돌출부(805)는 돌출부의 부분을 둘러싸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도22a, 도22b 및 도22c는 연결 구조물 상에서 변화 가능한 추가적인 연결 세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22a에서, (한 쪽 벽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연결 구조물(850)은 사실상 평면 웨브의 연결구(855)를 갖는다. 이는 벽(852)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약간 큰 치수의 평면 오목부 내에 삽입된다. 연결구(855)는 연결구(855)와 평면 오목부 사이의 (도시되지 않은) 접착층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된다. 도22b에서, (한 쪽 벽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연결 구조물(860)은 또한 사실상 평면 웨브 형태의 연결구(865)를 갖는다. 이는 벽(862)의 평면 내부 표면으로 부착된다. 연결구(865)는 상기 연결구(865)와 벽(862)의 평면 내부 표면 사이의 (도시되지 않은) 접착층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된다. 도22c에서는, (한 쪽 벽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연결 구조물(870)은 사실상 평면 웨브 형태의 연결구(875)를 갖는다. 이는 벽(872)의 평면 내부 표면으로 부착된다. 연결구(875)는 연결구(875)와 벽(872)의 평면 내부 표면 사이에 놓여지는 예를 들면, 석재 나사와 같은 고정구(877)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된다.
도23a 및 도23b는 연결 구조물 상에서 또 다른 변화가 가능한 추가적인 연결 세부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한 쪽 벽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연결 구조물(880)은 벽(882)의 대향되는 상부 및 하부 에지와 결합한다.(이는 마찬가지로 측면 에지의 쌍과도 동등하게 잘 결합한다.) 도23a 및 도23b에서, 연결 구조물(880)은 벽(882)의 상부 에지에서 마찰 끼워맞춤(접착 연결도 또한 가능함)을 위해 삽입되는 다수의 연결구 돌출부(885)를 구비한 연결구 플랜지(887)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거울상 구조는 벽(882)의 하부 에지와 결합한다. 도24a 및 도24b에서, (한 쪽 벽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연결 구조물(890)은 벽(892)의 대향되는 상부 및 하부 에지와 결합한다.(이는 마찬가지로 측면 에지의 쌍과도 동등하게 잘 결합한다.) 도24a 및 도24b에서는, 연결 구조물(890)은 벽(892)의 상부 에지에서 마찰 끼워맞춤(접착 연결도 또한 가능함)을 위해 놓여지는 다수의 연결구 핑거(finger)(895)를 구비한 연결구 플랜지(897)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거울상 구조는 벽(892)의 하부 에지와 결합한다.
광범위하게 다양한 연결 구조물, 기구, 방법 또는 형태가 래치, 핀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수형-암형 연결 형태, 접착제, 다양한 다른 압축성 끼움 및 마찰 결합 형태를 포함해서 연결 구조물을 내벽와 외벽에 연결하여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연결구 형태는 동일한 벽 유닛, 연결 구조물의 상이한 아암 및 심지어 동일한 아암의 대향 단부 상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25a 내지 도25b에서, 연결 구조물(900)과 외벽 또는 내벽(903) 중 하나가 일체식으로 형성된 유닛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외벽 또는 내벽의 경우에 특히 유용한 필수요소가 석재 재료로 용이하게 형성되지 않을 때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5a 및 도25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벽(903)에는 전기 리셉터클을 위한 개구(912) 및 공기 구멍(9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틸리티(utility)를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 벽 유닛에 포함하는 것이 어렵다. 연결 구조물(900)을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를 갖고, 일체식 벽면은 공기 유동을 조절하거나 삽입된 기계 또는 전기 부품을 수용하는 (둘러싼 통로(920, 922)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 및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도26a 및 도26b에서, 연결 구조물(950)은 외벽과 내벽(952, 953) 사이의 제3 공동을 형성하는 두 개의 이격된 중심 구성부(960, 962)를 포함한다. 임의의 공동은 원하는 바에 따라 공기유동 또는 와이어, 파이프 등의 통로로서 사용되는 다양한 건설 재료로 충진될 수 있다.
D. 의견(remark)
이들 실시예 및 원리의 수많은 변경, 수정, 적용 및 확장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예를 들어, 임의의 일 실시예의 개시가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데, 예를 들면 도16a 및 도16b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양한 공동 크기 개념이 도15a 내지 도15d 또는 도19a 및 도19b에 도시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44)

  1. 개별적인 사전조립 복합 블럭 유닛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는 하중 지지식이고 제1 재료로 만들어지는 제1 벽 및 제2 벽과,
    상기 제1 재료와는 다른 제2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벽과 제2 벽 사이에 연결된 두 개 이상의 연결구를 갖는 격자형 연결 구조물을 포함하고,
    각각의 연결구는 상기 제1 및 제2 벽 중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벽이 개별 장방형 중심물의 대향면으로서 서로에 대하여 고정되게 위치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물은 중심 구성부, 상기 중심 구성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 중 하나는 하나 이상의 아암의 각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결구는 삽입형 연결구이고 상기 제1 및 제2 벽 중 하나는 연결구에 의해 정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 형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형성부은 리셉터클이고 상기 삽입형 연결구는 리셉터클 내로 가압되어 삽입되어, 삽입형 연결구가 상기 리셉터클에 의해 마찰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구는 암수형 연결구 쌍 중의 하나이고 대응하는 암형 또는 수형 연결 형성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물은 두 개의 단부 아암 및 중심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아암은 상기 단부 아암에 대하여 중심 구성부 상에 수직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아암은 보강 바아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물은 하나 이상의 다른 아암에 연결된 보강 아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아암의 상부는 상기 제1 및 제2 벽의 상부와 동일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1 및 제2 벽 중 하나 내에 정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물은 제1 벽과 제1 공동을 형성하고 제2 벽과 제2 공동을 형성하는 격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동은 상기 제2 공동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14.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결구가 압축 가능한 V형 연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과 대면하는 하나의 측면 및 상기 제2 벽을 대면하는 하나의 측면을 갖춘 중심 구성부와,
    상기 중심 구성부의 어느 한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아암을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아암 각각은 연결구를 갖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아암의 돌출 길이는 다른 하나 이상의 아암의 돌출 길이와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구성부는 상기 블록 유닛으로부터 구성되는 벽 내에 수용되도록 절연체 또는 콘크리트의 양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위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유닛.
  17. 개별적인 사전조립 복합 블록 유닛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구조물에 있어서,
    격자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요소와,
    제1 벽과 제2 벽 사이에 연결 구조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격자부 내에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제1 벽 및 제2 벽과 결합 후 상기 블록 유닛을 파지하고 조종하기 위한 조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사전조립 복합 블록 유닛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위치에 위치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요소는,
    중심 구성부와,
    상기 중심 구성부의 각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상기 중심 구성부로부터 수직인 두 개의 단부 아암과,
    상기 중심 구성부의 각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상기 중심 구성부로부터 수직인 중심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단부 아암의 양 단부는 연결구를 갖고, 상기 연결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경성 재료로 일체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물.
  19. 제1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결구는 압축 가능한 삽입형 연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가능한 삽입형 연결구는 V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물.
  21. 제17항에 있어서, 제1 벽과 제2 벽 사이에 연결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는 각각의 제1 벽 및 제2 벽에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물.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아암 및 중심 아암은 중심 구성부의 타 측면에서보다 일 측면 상에서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물.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구성부는 상기 블록 유닛으로부터 구성되는 벽 내에 수용되도록 절연체 또는 콘크리트의 양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위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물.
  24. 제18항에 있어서, 중심 구성부와 아암 상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보강 아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물.
  25. 하중 지지 벽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는 하중을 지지하고 제1 재료로 제조된 제1 벽 및 제2 벽을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2개의 연결구를 구비하고 제1 재료와는 다른 제2 재료로 형성된 격자형 연결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 각각의 연결구가 제1 벽 및 제2 벽 중 하나에 연결되어 제1 벽 및 제2 벽이 분리된 장방형 중실체의 대향면들로서 서로에 대해 고정되게 위치설정되도록 한 쌍의 벽들 사이에 연결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단계에 의해 다수의 블록 유닛을 구성하는 단계와,
    하중 지지 벽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구성된 블록 유닛을 적층하여 모르타르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1 벽 및 제2 벽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그 사이에 있는 격벽 요소를 격자의 일부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하중 지지 벽은 인접 블록 유닛의 인접한 격벽 요소들에 의해 제1 및 제2 공동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제2 공동을 절연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제1 공동을 실질적으로 콘크리트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제1 공동에 보강 재료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하중 지지 벽의 인접한 블록 유닛의 격벽 요소들은 인접해 있고, 인접한 격벽 요소들 사이에 밀봉 관계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25항에 있어서, 격자형 연결 구조물의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 유닛으로 제조되는 벽 내에 수용되는 절연체 또는 콘크리트의 양에 대응하여 격자형 연결 구조물 내에 격벽 요소를 선택적으로 위치설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하중 지지 벽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개별 블록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형태의 연결구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내벽을 제공하는 단계와,
    제1 형태의 연결구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외벽을 제공하는 단계와,
    연결 구조물의 각각의 측면에 제2 형태의 연결구를 갖는 격자형 연결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와,
    내벽 제1 형태 연결구를 연결 구조물의 제2 형태 연결구들에 정합식으로 결합시키고 외벽 제1 형태 연결구를 연결 구조물의 다른 제2 형태 연결구에 정합식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내벽 및 외벽이 개별 장방형 중실 하중 지지 블록 유닛의 대향 면으로서 서로 고정되게 부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격자형 연결 구조물의 제공하는 단계는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연결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정합식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는 제2 형태의 연결구를 초기에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1 벽 및 제2 벽과, 외벽 및 내벽 사이에 위치설정되어 연결된 격자형 연결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 및 제2 벽 중 적어도 하나는 하중을 지지하고 각각의 벽은 연결구 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구조물은 제1 벽에서 연결구 형성부를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구와 제2 벽에서 연결구 형성부를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블록 유닛.
  36. 제35항에 있어서, 연결 구조물에서 연결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연결구 형성부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가압력을 인가하도록 내벽 및 외벽 중 하나의 연결구 형성부와 결합되기 전에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블록 유닛.
  37. 제35항에 있어서, 연결 구조물에서 연결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벽 및 제2 벽 중 하나의 연결구 형성부에 접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블록 유닛.
  38. 제35항에 있어서, 제1 벽 및 제2 벽과 대략 동일한 높이 및 폭 치수를 갖는 절연 물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체는 제1 벽 및 제2 벽 사이의 에너지 이동에 대한 장벽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 구조물과 결합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블록 유닛.
  39. 제35항에 있어서, 제1 벽 및 제2 벽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블록 유닛.
  40. 제35항에 있어서, 제1 벽 및 제2 벽 중 적어도 하나는 표면 처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블록 유닛.
  41. 제35항에 있어서, 제1 벽 및 제2 벽 중 적어도 하나는 연결 구조물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블록 유닛.
  42. 제41항에 있어서, 연결 구조물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벽 및 제2 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벽 내에 기류 구멍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블록 유닛.
  43. 제41항에 있어서, 연결 구조물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벽 및 제2 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벽 내에 전기 요소 구멍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블록 유닛.
  44. 제1 벽 및 제2 벽과, 제1 벽 및 제2 벽 사이에 위치설정되고 그 사이에 연결된 연결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벽 및 제2 벽 중 적어도 하나는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연결 구조물은 제1 벽 및 제2 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블록 유닛.
KR1020027003003A 1999-09-07 2000-08-30 연결 구조물을 갖춘 복합 건축용 블록 KR200200456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90,435 1999-09-07
US09/390,435 US6978581B1 (en) 1997-02-04 1999-09-07 Composite building block with connective structure
PCT/US2000/023827 WO2001017739A2 (en) 1999-09-07 2000-08-30 Composite building block with connective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604A true KR20020045604A (ko) 2002-06-19

Family

ID=2354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003A KR20020045604A (ko) 1999-09-07 2000-08-30 연결 구조물을 갖춘 복합 건축용 블록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978581B1 (ko)
EP (1) EP1242221A4 (ko)
JP (1) JP2003535236A (ko)
KR (1) KR20020045604A (ko)
CN (1) CN1382240A (ko)
AU (1) AU7090900A (ko)
BR (1) BR0013858A (ko)
CA (1) CA2384077A1 (ko)
IL (1) IL148507A0 (ko)
MX (1) MXPA02002457A (ko)
NZ (1) NZ518097A (ko)
WO (1) WO200101773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967B1 (ko) * 2004-07-15 2007-05-14 반희환 다중경량 단열방음공간벽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8683A1 (en) * 2004-04-29 2005-11-17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Veneers for walls, retaining walls and the like
CA2558403A1 (en) 2005-09-06 2007-03-06 Rocvale Produits De Beton Inc. Block connector
US7827752B2 (en) * 2006-01-11 2010-11-09 Aps Holdings, Llc Insulating concrete form having locking mechanism engaging tie with anchor
US20080057801A1 (en) * 2006-08-31 2008-03-06 Peter Duffy Block wall construction system including use of clip retainers
DE102006050757A1 (de) * 2006-10-27 2008-04-30 Metten Stein + Design Gmbh & Co. Kg Mauersystem
US20080148675A1 (en) * 2006-12-22 2008-06-26 Belsley Dale J Composite masonry block
US20080148661A1 (en) * 2006-12-22 2008-06-26 Belsley Dale J Masonry block wall system
US20090205282A1 (en) * 2006-12-22 2009-08-20 Belsley Dale J Wall system
US20100095628A1 (en) * 2006-12-22 2010-04-22 Belsley Dale J Wall system
US9206599B2 (en) 2007-02-02 2015-12-08 Les Materiaux De Construction Oldcastle Canada, Inc. Wall with decorative facing
MX2009008130A (es) * 2007-02-02 2009-10-20 Materiaux De Construction Oldc Pared con acabado decorativo.
CA2686077A1 (en) * 2007-06-21 2008-12-24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Veneers for walls, retaining walls, retaining wall blocks, and the like
US8458981B2 (en) * 2007-07-20 2013-06-11 Blockaid Pty. Ltd. Block wall system
US20090120027A1 (en) * 2007-11-08 2009-05-14 Victor Amend Concrete form tie with connector for finishing panel
WO2009062000A2 (en) 2007-11-08 2009-05-14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Wall block with weight bearing pads and method of producing wall blocks
US20090151281A1 (en) * 2007-11-20 2009-06-18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Method of constructing a wall or fence with panels
US8161699B2 (en) * 2008-09-08 2012-04-24 Leblang Dennis William Building construction using structural insulating core
US9238910B2 (en) 2008-08-19 2016-01-19 David I. Jensen Interlocking wall unit system for constructing a wall on a pre-existing structural grid matrix
US8800227B2 (en) 2008-09-08 2014-08-12 Dennis LeBlang Connectors for concrete structure and structural insulating core
US8763331B2 (en) 2008-09-08 2014-07-01 Dennis LeBlang Wall molds for concrete structure with structural insulating core
US20100236173A1 (en) * 2009-03-19 2010-09-23 Sergiy Pacha System of Wall Facings
US8656678B2 (en) * 2009-09-29 2014-02-25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Llc Wall blocks, veneer panels for wall blocks and method of constructing walls
CN102869841B (zh) * 2010-04-30 2015-05-20 Ambe工程股份有限公司 用于形成隔热混凝土热质墙体的系统
US9670640B2 (en) * 2010-09-28 2017-06-06 Les Materiaux De Construction Oldcastle Canada, Inc. Retaining wall
US9441342B2 (en) * 2010-09-28 2016-09-13 Les Materiaux De Construction Oldcastle Canada, In Retaining wall
AU2011307995B2 (en) * 2010-09-28 2016-07-07 Les Materiaux De Construction Oldcastle Canada, Inc. Retaining wall
US20120137613A1 (en) * 2010-12-02 2012-06-07 Schurmann Stephan E Insulated Concrete Walls
IT1406056B1 (it) * 2010-12-17 2014-02-06 Lazzarotto Sistema costruttivo magnum basato su una innovativa serie di manufatti plastici multifunzione ignifughi per la costruzione edilizia atti a soddisfare i requisiti di legge per l'impegno in zona sismica l'espulsione del gas radon dotati di un elevato isolamento termico ed acustico specifici per l'impiego in costruzioni civili residenziali
CA2801735C (en) * 2012-01-13 2019-08-06 Bradley J. Crosby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structures utilizing insulated concrete forms
US9016019B2 (en) * 2012-03-29 2015-04-28 Kerry VonDross Composite masonry block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40000199A1 (en) * 2012-07-02 2014-01-02 Integrated Structures, Inc. Internally Braced Insulated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8733051B2 (en) 2012-10-30 2014-05-27 Rampf Molds Industries, Inc. Building block assembly
US20140196397A1 (en) * 2013-01-17 2014-07-17 Tom Sourlis Insulated building block and wall structure
US9151051B2 (en) * 2013-02-04 2015-10-06 Andre Cossette 65 db sound barrier insulated block
US9234347B2 (en) * 2013-02-04 2016-01-12 Andŕe Cossette Crossed ties for construction block assembly
PL2959065T3 (pl) 2013-02-25 2024-04-08 Les Matériaux De Construction Oldcastle Canada, Inc. Zestaw ścianowy
US9482003B2 (en) 2013-03-15 2016-11-01 Oldcastle Architectural, Inc. Insulated concrete masonry system
US9476200B2 (en) 2013-08-23 2016-10-2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asonry wall assembly
DK2843146T3 (da) * 2013-08-29 2017-11-27 Loimaan Kivi Oy Vægblok-element
CN103469929B (zh) * 2013-09-16 2014-06-11 华建耐尔特(北京)低碳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墙体的施工方法
PL3084095T3 (pl) * 2013-12-17 2021-10-25 Benjamin BAADER Izolowana forma betonowa panelowa i sposób jej wytwarzania
US10094110B2 (en) 2016-02-26 2018-10-0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asonry wall assembly
USD794832S1 (en) 2016-02-26 2017-08-1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Building block
CA2950219C (en) * 2016-05-11 2020-02-11 Ispan Systems Lp Concrete formwork steel stud and system
USD814278S1 (en) 2016-07-21 2018-04-03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Llc Connector
USD815938S1 (en) 2016-07-21 2018-04-24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Llc Connector
USD814911S1 (en) 2016-07-21 2018-04-10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Llc Connector
USD812781S1 (en) 2016-07-21 2018-03-13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Llc Wall block
WO2018017656A1 (en) 2016-07-21 2018-01-25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Llc Veneer connectors, wall blocks, veneer panels for wall blocks, and walls
US11091911B1 (en) 2017-04-12 2021-08-17 Thomas James Schnabel Masonry block for in situ insulation application
US11826668B2 (en) * 2017-09-07 2023-11-28 3Duxdesign Llc Modeling kit including connectors and geometric shap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A3069028A1 (en) * 2020-01-21 2021-07-21 Benjamin BAADER An adjustabl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insulated concrete forms
US11718985B2 (en) * 2020-10-14 2023-08-08 Isaac Walker Construction block
CN112411865B (zh) * 2020-11-26 2022-05-20 新疆宏远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节能保温建筑空心砌块
US11326342B1 (en) * 2020-12-02 2022-05-10 Brian Moody Embedded interlocking cross member blocks
CN114351906A (zh) * 2022-01-26 2022-04-15 嵊州一元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建筑模板及采用该建筑模板的模板组件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720A (en) * 1893-12-12 Tile building-wall
US994027A (en) 1910-03-12 1911-05-30 William H O'beirne Interlocking concrete panels.
US1226214A (en) * 1914-02-26 1917-05-15 Ralph Z Hopkins Building construction.
CH77810A (fr) * 1917-06-23 1919-03-01 De Brayer Alfred Appareil de prise de vues cinématographiques
US1345156A (en) * 1919-02-17 1920-06-29 Flynn Dennis John Cementitious structure
US1624369A (en) * 1923-11-21 1927-04-12 Julius H Serra Concrete wall construction and block therefor
US1567430A (en) 1923-11-21 1925-12-29 Charles M Eberling Building block
US1546658A (en) 1925-01-08 1925-07-21 Leander D Harter Wall-building unit
US1962906A (en) * 1930-12-17 1934-06-12 August J Mueller Building tile
FR730009A (fr) * 1931-04-03 1932-08-05 Procédé de construction en bétons armés et coffrages revêtements réalisant ledit procédé
US2134894A (en) 1937-03-29 1938-11-01 Hermann J Schubert Wall construction
US2172052A (en) 1938-10-24 1939-09-05 Calaveras Cement Company Building construction
US2326361A (en) 1941-08-22 1943-08-10 Lock Seal Company Building construction
US2647392A (en) 1950-03-15 1953-08-04 Howe E Wilson Building block with spaced walls
FR1075695A (fr) * 1953-03-16 1954-10-19 éléments de constructions préfabriqués et leur mode d'assemblage
US3593480A (en) 1969-07-23 1971-07-20 Jerry L Bouchillon Plastic shell construction block
FR2386654A2 (fr) 1977-04-06 1978-11-03 Gross Fernand Ensemble compose de caissons pour la realisation de murs de toutes sortes
US4263765A (en) * 1978-09-13 1981-04-28 One Design Inc. High mass wall module for environmentally driven heating and cooling system
US4348847A (en) * 1980-10-06 1982-09-14 Mod-Lok Industries Ltd. Spacer extender
US4380887A (en) 1980-10-06 1983-04-26 Lee Kenneth S Insulated structural block
CH645152A5 (de) * 1982-04-23 1984-09-14 Aregger Bau Ag Schalungselement fuer die mantelbetonbauweise.
US4498266A (en) 1982-06-22 1985-02-12 Arnold Perreton Concrete block and hollow insulating insert therefor
IL75758A (en) 1985-07-10 1988-02-29 Snitovski Jacov Thermally-insulating masonry block,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block and method of building a wall of such blocks
US4703602A (en) 1985-09-09 1987-11-03 National Concrete Masonry Association Forming system for construction
US4841707A (en) 1987-01-05 1989-06-27 Novoa Jose M Composite double or multiple wall
US4967528A (en) 1987-03-02 1990-11-06 Doran William E Construction block
US4745720A (en) 1987-03-24 1988-05-24 Taylor Lawrence H Insulated cinderblock
US4742659A (en) * 1987-04-01 1988-05-10 Le Groupe Maxifact Inc. Module sections, modules and formwork for making insulated concrete walls
US4866891A (en) * 1987-11-16 1989-09-19 Young Rubber Company Permanent non-removable insulating type concrete wall forming structure
US4884382A (en) * 1988-05-18 1989-12-05 Horobin David D Modular building-block form
US4982544A (en) * 1988-12-12 1991-01-08 Pomico International, Inc. Modu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ealing load-bearing retaining wall
US5337530A (en) 1989-10-13 1994-08-16 Beames Douglas M Building wall construction
US5209037A (en) 1989-11-09 1993-05-11 Thermalock Products, Inc. Building block insert
US5086600A (en) * 1990-04-26 1992-02-11 Revelation Builders, Inc. Block for concrete wall form construction
FR2669956B1 (fr) 1990-11-29 1997-12-12 Brandom Ste Civile Element et procede de construction sans mortier.
US5193318A (en) * 1991-10-23 1993-03-16 Rpg Diffusor Systems, Inc. Acoustical diffusing and absorbing cinder blocks
US5465545A (en) * 1992-07-02 1995-11-14 Trousilek; Jan P. V. Wall structure fabricating system and prefabricated form for use therein
US5321926A (en) 1993-05-24 1994-06-21 Kennedy Francis A Building block
US5459970A (en) * 1993-11-05 1995-10-24 Kim; Chin T.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CN1074491C (zh) * 1994-05-10 2001-11-07 奎德-洛克建筑系统有限公司 连接件和混凝土模壳装置
US5560167A (en) 1994-05-25 1996-10-01 Miceli; Robert Laminated masonry block system
US5657600A (en) 1994-06-20 1997-08-19 Aab Building Systems Inc. Web member for concrete form walls
US5709061A (en) 1994-06-28 1998-01-20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Structural connector for a sandwich construction unit
US5709060A (en) * 1994-11-04 1998-01-20 I.S.M., Inc. Concrete forming system with brace ties
DE9418036U1 (de) * 1994-11-10 1995-01-12 Chiu Fu Sung Mauerblock-Baueinheit
US5570552A (en) 1995-02-03 1996-11-05 Nehring Alexander T Universal wall forming system
US5658483A (en) * 1995-09-14 1997-08-19 Boeshart; Patrick E. Corner joint tie
US5701710A (en) * 1995-12-07 1997-12-30 Innovative Construction Technologies Corporation Self-supporting concrete form module
US5983585A (en) 1997-02-04 1999-11-16 Spakousky; John Building block with insulating center portion
US5782050A (en) * 1997-03-07 1998-07-21 Boeshart; Patrick E. Two-piece corner tie
US5896714A (en) * 1997-03-11 1999-04-27 Cymbala; Patrick M. Insulating concrete form system
US5845448A (en) 1997-04-10 1998-12-08 Potvin; Philip N. Masonry block assembly
US6170220B1 (en) 1998-01-16 2001-01-09 James Daniel Moore, Jr. Insulated concrete form
US6176059B1 (en) * 1998-11-20 2001-01-23 Robert A. Cantarano Modular concrete build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967B1 (ko) * 2004-07-15 2007-05-14 반희환 다중경량 단열방음공간벽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013858A (pt) 2003-07-15
IL148507A0 (en) 2002-09-12
WO2001017739A2 (en) 2001-03-15
JP2003535236A (ja) 2003-11-25
AU7090900A (en) 2001-04-10
US6978581B1 (en) 2005-12-27
NZ518097A (en) 2004-09-24
CN1382240A (zh) 2002-11-27
MXPA02002457A (es) 2002-08-20
EP1242221A2 (en) 2002-09-25
CA2384077A1 (en) 2002-03-15
WO2001017739A3 (en) 2001-12-06
EP1242221A4 (en) 200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45604A (ko) 연결 구조물을 갖춘 복합 건축용 블록
US20010029717A1 (en) Composite building block with modular connective structure
US5983585A (en) Building block with insulating center portion
US6202375B1 (en) Method for concrete building system using composite panels with highly insulative plastic connector
KR920002872B1 (ko) 유리블럭패널과그구성방법및이에사용되는연결구
US6880304B1 (en) Structural thermal framing and panel system for assembling finished or unfinished walls with multiple panel combinations for poured and nonpoured walls
US6205726B1 (en) Insulated masonry block and wall
CA2902628C (en) Building block system
US4324080A (en) Thermally insulative cementitious block modu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IL189909A (en) Modular elements, grid, supporting structure, structure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US6851233B2 (en) Cast log structure
KR20150008332A (ko) 건식마감이 용이한 단열패널 연결유닛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CA2216182C (en) Cellular resin block and structure unit for exterior structure using such block
US20060117699A1 (en) Building block
US4597813A (en) Method of making a reinforced preformed building wall
CN212506801U (zh) 装配式建筑顶板与墙板的t型连接结构
US4903453A (en) Construction blocks
CN208235859U (zh) 后装装饰板的预制混凝土墙板
KR100573288B1 (ko) 단열성능을 가지는 복합 스터드 및 이를 이용한 벽체패널의 접합부 구조
KR200265927Y1 (ko) 조립식 단열벽돌
RU2327015C2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20000050637A (ko) 샌드위치형 콘크리트 패널
EP4310266A1 (en) Layered building boar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EP0688915A1 (en) Composite building unit
CN218405913U (zh) 一种装配式隔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