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4740A -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제 - Google Patents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4740A
KR20020044740A KR1020000073813A KR20000073813A KR20020044740A KR 20020044740 A KR20020044740 A KR 20020044740A KR 1020000073813 A KR1020000073813 A KR 1020000073813A KR 20000073813 A KR20000073813 A KR 20000073813A KR 20020044740 A KR20020044740 A KR 20020044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death
carnosine
disease
cell
related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원
강경선
이영순
Original Assignee
강경선
이영순
라정찬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선, 이영순, 라정찬,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경선
Priority to KR1020000073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4740A/ko
Publication of KR20020044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7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7Imidazole-alkylamines, e.g. histamine, phentolam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4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4Muscles; Smooth muscle cells; Heart; Cardiac stem cells; Myoblasts; Myocytes; Cardiomy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mmun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besit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Card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y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카노신 (carnosine)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apoptosis) 억제제 및 세포예정사와 관련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카노신이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예정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밝힘으로써, 항산화제 또는 노화 억제제로서의 역할만이 알려진 카노신을 알츠하이머, 뇌졸중, 간질, 파킨스병, 근긴장성이양증, 프래질엑스병, 헌팅턴병 등의 퇴행성 뇌신경 질환; AIDS와 같은 면역계 질환; 당뇨 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이 세포예정사와 관련된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로 이용하는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Preventive and therapeutic agents for apoptosis-related diseases which contain carnosine as a pharmaceutically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억제제 및 세포예정사와 관련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카노신 (carnosine)은 알라닌 (alanin)과 히스티딘 (histidine)이 결합된 β-알라닐-L-히스티딘의 디펩타이드 (dipeptide)로 수명이 긴 조직에서 상당히 많은 양이 발견되고, 특히 척추 동물 근육 세포의 비단백질 부분에 많이 존재하는데 그 양은 약 1∼20 mM에 달한다. 카노신은 세포를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는 항산화제로서, 활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을 제거하는데 뛰어난 효과를 갖는 자유 라디칼 소거제 (free radical scavenger)로 알려져 있다 (Boldyrevet al., Neuroscience94(2):571-577, 1999, USP 5,866,537; USP 5,503,776). 이와 같은 항산화제로서의 기능을 이용하여 카노신은 주로 화장품이나 피부질환 치료제로서 이용되어 왔다 (USP 5,723,482; USP 5,710,177). 이러한 카노신의 보호 작용은 프로톤 완충효과 (proton buffering), 중금속 킬레이트화 (chelating) 및 자유 라디칼과 활성 당 분자의 제거를 통해 산화적 스트레스 환경에서 생체 고분자의 변형을 억제하고 이들의 고유 기능을 유지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Boldyrevet al., Biochemistry (Mosc)65(7):751-756, 2000).
또한, 최근의 연구 결과는 활성 산소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도, 카노신이 배양 세포의 수명을 연장하고 노화 세포를 회복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Wanget al., Biochemistry (Mosc)65(7):869-871, 2000). 카노신의 항노화 작용은 아밀로이드 펩타이드 (amyloid peptide), 말론디알데하이드 (malonedialdehyde) 및 하이포클로라이트 (hypochlorite)에 의한 세포 독성을 억제하고, 단백질-DNA 또는 단백질-단백질 간의 교차 결합 및 당쇄화 (glycosylation)를 억제하며, 카보닐 (carbonyl)그룹을 가진 저분자량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보닐 그룹은 노화 과정을 통해 단백질에 축적되는데, 주로 활성 산소종과 저분자량의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의 공격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카노신이 노화 과정에 발생한 단백질의 카보닐 그룹과 반응하여 단백질-카보닐-카노신 부가물 형태로 카노신화된 단백질 (carnosinylated protein)을 생성함으로써 항노화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또한, 카노신은 노화에 따른 시력 손상을 지연시켜 노인성 백내장의 예방 및 치료에도 효과가 있으며, 심장질환이나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 효과가 있고 (USP 5,585,396; USP 4,927,817), 신경 근육 질환과 골격근의 노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항노화제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Stuerenburget al., Biochemistry (Mosc)65(7):862-865, 2000). 이와 같은 노화 근육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서 카노신의 효과는 한편으로는 노화 과정에 관련된 근육의 특이적인 생리학적 변화에 대한 영향에, 다른 한편으로는 ALS (amylotrophic lateral sclerosis)나 다발성 근염 (polymyositis)과 같은 특이한 신경 근육 질환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와 항산화 시스템에 대한 영향에 기인한다.
또한, 카노신은 항허혈증 (anti-ischemic)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카노신이 갖고 있는 항산화 활성과, 막보호 활성, 프로톤 완충 능력, 전이 금속과의 복합체 형성 및 대식세포 (macrophage)의 기능 조절 활성에 의해 심장근세포 (cardiomyocytes)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심장의 수축성을 증가시켜 항허혈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 (Stvolinskyet al., Biochemistry(Mosc)65(7):849-855, 2000). 그러나, 이상과 같이 항산화제 또는 항노화제로서의 카노신의 활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카노신이 세포예정사를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세포예정사와 관련된 질병의 치료제 및 예방제로 사용될 수 있음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세포예정사 (apoptosis)란 세포 괴사 (necrosis)와 더불어 세포의 사멸을 일으키는 메카니즘을 말하는 것으로, 물리적 외상 또는 독성 화학물질 등에 의해 우발적으로 일어나는 괴사와는 달리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세포의 자기 파괴 (gene-directed cellular self-destruction) 또는 예정된 세포 사멸 (programmed cell death)로 불리운다. 다세포 생물은 끊임없는 세포의 증식과 사망간의 균형을 통해 세포 수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정상적인 생리 상태에서 세포의 사멸이 일어나는 기전이 바로 세포예정사이다. 또한, 최근의 연구들에 따르면, 암, 후천성 면역 결핍증 (AIDS), 자가 면역 질환 (autoimmune disease), 퇴행성 신경질환 (neurodegrative disease) 등의 발병에 세포예정사를 통한 세포의 사망/증식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세포예정사의 과정은 형태학적, 생리학적 변화를 기준으로 초기, 중기, 말기의 3단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초기에는 탈수에 의해 세포 크기가 줄어들고 세포막에 수포 (bleb)가 생기며 50 kb 이상의 큰 DNA가 깨어지기 시작하고 세포내 칼슘의 농도가 증가한다. 중기에는 DNA가 180∼200 bp 정도로 단편화되어 DNA 전기영동을 하였을 때 사다리 형태와 같은 양상을 나타내고, 말기에는 세포막의 기능이완전히 소실되며 주위의 세포에 의해 포식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세포예정사는 올챙이의 꼬리 흡수 등과 같이 생물체의 정상적인 발달 및 분화에 관여하며, 태아의 손과 발 형성, 월경, 그리고 뇌의 뉴런 사이의 시냅스 형성의 경우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항상성 (homeostasis) 유지에 관련있을 뿐 아니라, 전체 개체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세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여 세포독성 T 림프구 (cytotoxic T lymphocyte)에 의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처럼 세포예정사는 손상되었거나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항암치료의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세포예정사는 알츠하이머, 뇌졸중, 간질, 파킨스병, 근긴장성이양증, 프래질엑스병, 헌팅턴병 등과 같은 퇴행성 뇌신경 질환, AIDS와 같은 면역계 질환 및 심장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류마티스성 관절염 또는 당뇨 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츠하이머 (Alzheimer's disease)의 경우, 아밀로이드 펩타이드 (amyloid peptide)가 뉴런에서 세포예정사의 유도제로 작용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Behl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186:944-950, 1992), ALS (amylotrophic lateral sclerosis)의 경우, 운동 뉴런에 발생한 Cu/Zn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superoxide dismutase)의 변이가 세포예정사에 의한 운동 뉴런의 사멸을 일으킨다는 보고가 있다 (Rosenet al., Nature364:362, 1993). 또한, AIDS의 경우 보조 T 세포 (helper T cell) 표면의 CD4 분자가 HIV (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gp120에 대한 수용체로 작용하는데, CD4+세포가 바이러스의 gp120에 의해 세포예정사에 민감해진다는 보고가 있다 (Bandaet al., J. Exp. Med. 176:1099-1106, 1992).
상기와 같은 과도한 세포예정사로 인한 질병들을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세포예정사 억제제가 개발되었다. 대표적으로, 인터루킨 1 전환효소 (interleukin-1 convertase)에 대한 저해물질, 소의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bFGF), 단백질 합성 저해제인 사이클로헥시마이드 (cycloheximide), RNA 합성 저해제인 엑티노마이신 D (Actinomycin D), 시클로스포린 A (cyclosporin A), GM-CSF (granulocyte macrophage - colony stimulating factor) 또는 G-CSF 등이 세포예정사 억제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bcl-2 관련 유전자 산물도 세포예정사를 억제하고 세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태아와 암세포에서만 발견되는 새로운 단백질 설비빈 (survivin)이 발견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0-57159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과도한 세포예정사로 인한 각종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보다 효과적인 세포예정사 억제 물질을 탐색한 결과,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효과 또는 각종 산화 효소에 대한 억제 효과를 통한 항노화 효과만이 알려져 있는 카노신이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예정사에 대해 강력한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고, 상기 카노신을 세포예정사 불균형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 사멸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세포예정사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세포예정사 억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세포예정사의 불균형 또는 과도한 세포 사멸로 인한 퇴행성 뇌신경 질환, 면역계 질환, 심장계 질환 및 간질환 등에 대한 새로운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 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TPA (tetradecanoylphorbol-13-acetate)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예정사가 카노신에 의해 억제되는지 여부를 호이스트 염색 (Hoechst staining)으로 확인한 결과이고,
도 2는 H2O2에 의해 유도된 세포예정사가 카노신에 의해 억제되는지 여부를 호이스트 염색으로 확인한 결과이고,
도 3은 TPA 또는 H2O2에 의해 유도된 세포예정사의 대표적인 현상으로 DNA 절편화가 일어나고 카노신이 이러한 DNA 절편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한 전기영동 결과이고,
도 4는 TPA 또는 H2O2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예정사가 미토콘드리아와 관련되어 있고, 카노신이 이러한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예정사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로다민 형광 염색으로 확인한 결과이고,
도 5는 H2O2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예정사가 미토콘드리아와 관련되어 있고,카노신이 이러한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예정사를 억제함을 보이기 위해, 사이토크롬 c의 세포질로의 방출 정도를 웨스턴 블럿으로 분석한 결과(A)및 각 시료가 동일하게 로딩되었음을 보여주기 위해 막을 퐁소 (Ponseau)로 염색한 결과(B)이고
도 6은 TPA 또는 H2O2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예정사가 DNA 손상의 직접적인 관련보다는 미토콘드리아와 관련되어 있고, 카노신이 이러한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예정사를 억제함을 보이기 위해 p53 단백질 함량을 웨스턴 블럿으로 분석한 결과(A) 각 시료가 동일하게 로딩되었음을 보여주기 위해 막을 퐁소 (Ponseau)로 염색한 결과(B)이고
도 7은 TPA 또는 H2O2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예정사가 미토콘드리아와 관련되어 있고, 카노신이 이러한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예정사를 억제함을 보이기 위해, PARP 절단 양상을 웨스턴 블럿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억제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과도한 세포예정사로 인하여 발병하는 상기 관련 질환으로는 알츠하이머 (Alzheimer's disease), 파킨스씨병 (Parkinson's disease), 뇌졸중 (apoplexy), 근긴장성이양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프래질엑스병 (fragile X syndrome), 헌팅턴병 (Huntington's disease) 등의 퇴행성 뇌신경 질환, AIDS와 같은 면역계 질환, 심장계 질환, 간질환과 당뇨,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세포예정사 억제제 또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에 이용되는 카노신은 L-카노신 또는 D-카노신이 모두 가능하나, 특별한 효소의 작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L-카노신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세포예정사 억제제 또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치료제로서 상기 카노신은 공지의 화학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척추 동물의 근육 세포 특히 쇠고기의 골격근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로부터 공지의 추출법에 따라 추출, 정제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 화학합성에 의한 방법보다 안전성 및 경제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억제제 또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치료제는 특히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에 의해 유도되는 후생적 기작(epigenetic mechanism)의 세포예정사에 대해 특이적으로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일반적인 약학 제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으며, 제제화할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형으로는 정제, 피복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좌약, 액제, 현탁액제 및 에멀젼제, 페이스트제 (pastes), 연고제, 겔제, 크림제, 로션제, 산제 및 분무제를 포함한다. 세포예정사 억제제 또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치료제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 카노신의 유효 함량은 약 0.5 내지 500 mg/k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0 mg/kg의 총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목적하는 결과를 얻기 위하여 수개의 개별 투약 형태로 투여하는 것이 유리하다. 개별 투약의 형태는 본 발명에 의한 유효 화합물을 약 1 내지 80 mg/kg, 특히 3 내지 30 mg/kg으로 함유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치료할 객체의 체질 특이성 및 체중, 질병의 종류 및 심도, 제형의 성질, 의약품 투여의 성질 및 투여기간을 고려하여 적합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카노신은 또한 세포 예정사 관련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기능성 식품또는 음료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하여 카노신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육류, 음료수, 초콜렛,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및 그밖의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카노신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포군에서 세포예정사의 억제제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카노신이 세포예정사를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세포주로서myc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사용하였다. 상기myc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세포는 성장인자 등의 제거 또는 결핍에 의해 민감하게 세포예정사를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myc유전자의 성질을 이용하여 민감하고 빠르게 세포예정사를 관찰할 수 있는 v-myc에 의해 형질전환된 래트의 간 상피 세포주 (WB-myc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세포주에서 세포예정사를 유도하는 물질로서는 세포예정사의 대표적인 생리 변화인 핵의 절편화 및 염색체 응축을 일으키는 것으로 잘 알려진 외인성 발암물질인 TPA 또는 H2O2(Yiwei, L.et al., Oncogene17:2115-2920, 1998; Bagchi D.et al.., Gen. Pharmac.30:771-776, 1998; Nakajima Y.et al., Life Science, 64:2489-2496, 1999)를 처리하여 배양 세포에 세포예정사를 유발한 뒤, 카노신이 세포예정사에 대한 억제 활성을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DNA를 염색하여 핵의 절편화 및 염색체 응축 등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TPA 또는 H2O2을 각각 10 ng/㎖, 500 μM을 넣고 12 시간동안 배양하여 세포예정사를 유도하였다. 또한 상기 물질의 처리에 의하여 세포예정사가 유도되었음을 호이스트 (Hoechst 33258) 염색 방법과 DNA 절편화를 통한 전기 영동상 사다리 형성 여부를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이 TPA 또는 H2O2에 의해 유도된 세포예정사에 대해 카노신이 효과적으로 이를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세포예정사 유도 물질을 처리하기 전 하루동안 카노신 10 mM을 전처리하고, 상기 세포예정사 유도 물질과 카노신을 공동 처리하였다. 그 결과, 세포예정사로 인한 대표적 생리 변화인 DNA 절편화와 염색체의 응축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1, 2 및 도 3 참조).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TPA 또는 H2O2을 사용하여 유도된 세포예정사가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매개되고 이를 카노신이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증명하기 위하여 미토콘드리아 막의 전위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미토콘드리아 막의 전위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로다민 (Rhodamine) 123 형광 염색법과 PARP 절단 양상을 관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로다민 123은 미토콘드리아에 특이적인 염색약으로, 로다민 123의 염색 양상을 육안적으로 관찰하여 어포토시스에 의한 미토콘드리아의 손상 유무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된 PARP 단백질은 ICE-유사 단백질 분해효소 (ICE-like protease)의 표적 단백질 중 하나인 핵 단백질(nuclear protein)이다. 미토콘드리아 관련 세포예정사가 일어나면 사이토크롬 c는 핵에서 세포질로 방출되고 이렇게 방출된 사이토크롬 c에 의해 캐스파제-3 (caspase-3)이 활성화되며, 이 과정에서 PARP가 잘라지게 된다. 따라서, PARP 절단 분석을 통해 미토콘드리아 관련 어포토시스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로다민 형광 염색 결과, TPA 또는 H2O2을 처리한 경우 형광 염색이 거의 되지 않아 세포예정사로 인해 미토콘드리아 막이 손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카노신을 처리한 경우, 이러한 미토콘드리아 막의 파괴는 세포예정사 유도 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 참조).
한편, 웨스턴 블럿을 통해 세포예정사에 의해 핵에서 세포질로 방출되는 사이토크롬 c의 양과 (도 5 참조) 종양억제 단백질인 p53 단백질의 변화 (도 6 참조) 및 PARP의 절단 양상의 변화 (도 7 참조)를 관찰하였다. p53 단백질은 유전자 손상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예정사에서 DNA 손상에 관련된 단백질로서 세포 주기의 진행을 중단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DNA 손상에 대한 표지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웨스턴 블럿 분석 결과, TPA에 의한 세포예정사의 경우 p53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아 p53와는 무관하게 미토콘드리아와 관련해서 유도되는 세포예정사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사실은 상기 로다민 염색 결과와 더불어 사이토크롬 c가 세포질로 방출되는 양이 증가함을 보여주는 웨스턴 블럿 결과로부터 증명되었다. 또한, 세포질로 방출되는 사이토크롬 c의 양 증가와 절단된 PARP의 증가는 세포예정사가 미토콘드리아와 관련하여 유도되는 것임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 본 실험에서 TPA 또는 H2O2의 처리에 의해 세포질 내의 사이토크롬 c 및 절단된 PARP의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상기 물질들에 의한 세포예정사는 미토콘드리아에 관련되어 유도되는 현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카노신을 처리한 경우 사이토크롬 c의 방출 및 PARP의 절단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카노신이 세포예정사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TPA에 의한 세포예정사의 경우 p53과는 무관한 것이 웨스턴 블럿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지만, H2O2를 처리한 군에서는 p53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카노신에 의해 세포예정사의 현상이 사라진 후에도 p53은 계속해서 증가된 상태로 유지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TPA는 물론 H2O2로 인한 세포예정사에서 p53이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TPA와 H2O2는 p53에 무관하게 세포예정사를 유도하며, 카노신은 미토콘드리아에 영향을 줌으로써 발생하는 TPA와 H2O2에 의한 세포예정사에 대해 방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세포 배양
v-myc로 형질전환된 래트의 간 상피세포 (WB-F344 rat liver epithelial cell; Michigan State University)를 10% 우태아 혈청 (fetal bovine serum; FBS), 페니실린 7.5 mg/L, 스트렙토마이신 7.5 mg/L, 네오마이신 15 mg/L를 섞은 페놀 레드가 없는 D-배지 (GibcoBRL, USA)에서 상대습도 100%, 5% 이산화탄소, 37℃의 조건으로 배양하였으며, 계대 배양은 0.05% 트립신을 이용하여 3∼4일에 1회씩 실시하였다.
<실시예 2> 호이스트 염색을 통한 카노신의 세포예정사 억제 활성 조사
세포예정사의 대표적인 생리 변화인 핵의 절편화 및 염색체 응축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외인성 발암물질인 TPA 또는 H2O2를 처리하여 배양 세포에 세포예정사를 유발한 뒤, 카노신이 세포예정사에 대한 억제 활성을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DNA를 염색하여 핵의 절편화 및 염색체 응축 등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배양 세포에 카노신 10mM을 하루 동안 전처리하고 이를 PBS (phosphate-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TPA 10 ng/㎖과 카노신 10 mM, 또는 500μM의 H2O2와 카노신 10 mM을 공동처리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EMEM 배지 (GibcoBRL, USA) 8.97g과 피루브산 나트륨 (Sodium pyruvate) 0.11g, 글루코즈 (glucose) 1g, 염화나트륨 (sodium chloride) 0.835g, 이탄산나트륨 (sodium bicarbonate) 1g을 혼합하여 최종 부피 1ℓ가 되도록 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무혈청 배지 (serum free media; 최종 pH 7.2)에서 배양한 세포를 이용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TPA 또는 H2O2만을 처리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한 세포를 이용하였다. 각 조건에 따른 처리가 끝난 후 배지를 PBS로 세척하고, 4% 포름알데히드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고정시킨 다음, 호이스트 염색시약 (Hoechst 33258; Sigma, USA) 1 μg/ml을 암조건, 실온에서 15분 동안 세포에 처리하였다. 이후 PBS를 이용하여 2회 세척하고 UV 필터가 장착된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핵 절편화 및 염색체 응축 등 세포예정사의 생리적 현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TPA 또는 H2O2만을 처리한 대조군의 경우, 핵이 분절되고 염색체가 응축된 세포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카노신을 처리한 실험군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감소하여 TPA 또는 H2O2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과 거의 유사한 형태를 회복하였다. 한편, 세포예정사와 관련한 핵 절편화 및 염색체 응축에 대한 카노신의 억제 활성은 TPA에 의한 세포예정사의 경우에 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실시예 3> DNA 절편화 분석
세포사멸 중 세포예정사 유도는 세포에서 매우 치명적인 독성 메커니즘의 하나로, 180∼200 bp 정도로 DNA의 절편화가 일어나 전기영동 상에서 사다리 형태의 밴드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카노신이 이러한 DNA 절편화를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각 처리군들로부터 DNA을 추출하고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먼저, 실시예 1의 세포들을 25㎤세포 배양용 플라스크에서 배양한 후 실시예 2와 동일하게 TPA, H2O2및 카노신을 처리하고 배지를 수거하여 원심분리하였다. 부착된 세포들을 PBS로 3회 세척한 다음, 배지에서 수거된 세포와 함께 단백질 분해효소 K (proteinase K)를 최종 농도 100㎍/㎖로 포함하는 1.0㎖의 세포용해액 (lysis buffer; 10mM Tris-HCl, pH 7.5, 10mM EDTA, 150mM NaCl, 0.4% SDS)과 혼합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에펜도르프 튜브에 상기 세포 용해물 (lysate cell)을 담아 50℃에서 2시간 동안 보관하고, 그 후 페놀과 클로로포름을 1:1의 비율로 섞어 시료 1㎖당 500㎕씩 분주하였다. 이를 볼텍싱 (vortexing)하고 1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취해 상기 과정을 1회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클로로포름을 혼합하여 원심분리로 상등액만을 취하였다. RNase A를 최종 농도 20㎍/㎖가 되도록 시료에 분주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동일 부피의 100%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여 DNA 가닥이 보일 때까지 혼합하여 20℃에서 1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이를 13000 rpm, 4℃ 조건 하에 1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버린 후, 70% 에탄올 400㎕씩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다시 13000rpm, 4℃ 조건하에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에탄올을 버리고 펠렛을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상기에서 얻어진 DNA 펠렛에 0.5% SDS를 포함하는 500㎕의 TE 완충액 (pH 8.0)을 첨가하고 50℃로 가온하여 DNA 펠렛을 서서히 녹였다. 펠렛이 다 녹은 후OD240를 측정하여 DNA를 정량하고 완충액을 첨가하여 DNA 농도가 25 ㎍/150㎕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100% 에탄올 375㎕와 3M 아세트산 나트륨 15㎕를 혼합하여 2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13000 rpm, 4℃ 조건 하에 15분간 원심분리하고 펠렛을 건조시킨 다음, 이를 다시 25㎕ TE 완충액에 녹여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전기영동의 실시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는데, TPA나 H2O2만을 처리한 경우 세포예정사의 전형적인 현상 중 하나인 DNA 절편화가 두드러졌으나, 카노신을 처리한 경우에는 음성 대조군과 비슷한 양상으로 DNA 절편화가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로다민 염색을 통한 미토콘드리아 매개 세포예정사 억제 효과 실험
세포예정사는 일반적으로 DNA 손상에 의한 유전적 기작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에 따른 후생적 기작에 의해 세포예정사가 유도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카노신에 의한 세포예정사 억제 기작이 유전적 요인 또는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예정사 중 어느 것에 관련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에 특이적인 형광 염색물질인 로다민 (rhodamine 123)을 이용하여 그 염색 양상을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세포예정사에 의한 미토콘드리아의 손상 유무를 관찰하였다.
배양 세포를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TPA, H2O2및 카노신으로 처리하고 Ca/Mg PBS로 3회 세척한 다음, 10㎍/㎖의 로다민 123 용액을 첨가하여 미토콘드리아를 염색하고 이를 Ca/Mg PBS로 3회 세척하였다. 미토콘드리아 특이 염색약인 로다민에 의해 표지된 세포들을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세포예정사에 의한 미토콘드리아의 손상 여부를 관찰하였다 (도 4 참조).
도 4에서 좌측은 로다민으로 형광 염색하기 이전의 미토콘드리아를 보여주는 것으로, 로다민 염색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막이 붉은 색으로 염색되어 나타나는 것 (우측)을 볼 수 있다. 도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TPA 또는 H2O2을 처리한 경우에는 형광 염색이 거의 되지 않아 세포예정사로 인해 미토콘드리아 막이 손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카노신을 처리한 경우, 이러한 미토콘드리아 막의 파괴는 세포예정사 유도 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웨스턴 블럿에 의한 p53 단백질, 사이토크롬 c, PARP 발현 분석
TPA 또는 H2O2에 의한 세포예정사가 미토콘드리아를 통한 경로로 일어나고, 카노신이 이러한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매개되는 세포예정사를 특이적으로 억제함을 웨스턴 블럿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과정은 다음과 같다.
5-1) 세포질 추출
세포예정사에 의해 핵에서 세포질로 방출되는 사이토크롬 c의 웨스턴 블럿을 통해 세포예정사에 따른 현상을 정량적으로 관찰하였다.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TPA, H2O2및 카노신을 처리하고 세포를 수거한 다음, 완충액 A (Hepes, KCl, MgCl2, EDTA, EGTA, DTT, PMSF)를 이용하여 세포를 부유시킨 다음 균질화 (homogenization)하여 세포 소기관들을 분리하였다. 16000 ×g로 원심분리하여 핵과 미토콘드리아를 침전시키고 상등액을 수거하여 세포질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세포질을 12.5% SDS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에 200V로 1 시간 동안 분리하고 100V, 350 mA에서 PVDF 막에 1 시간 동안 전이시켰다. 전이를 마친 막은 이차증류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세척하고 퐁소 (Ponseau) S 용액으로 염색하여 전이 정도를 파악하였다. 막은 5%의 건조 탈지유 (skim milk)가 포함된 T-PBS (0.1% Tween 20을 포함한 PBS)를 이용하여 블락킹 (bloking)을 실시하고 T-PBS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1:500으로 희석한 항사이토크롬 c 항체 (Santacruz, USA) 0.4ug/ml를 첨가하여 1시간 정도 반응시킨 후 T-PBS을 이용하여 세척하였고, 다시 1:1000으로 희석한 2차 항체 (Zymed Laboratories Inc.)와 1시간 정도 반응시킨 다음 T-PBS을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ECL 화학발광 감지 시약을 이용하여 감지하고 막은 15 초 내지 1 분 동안 X-ray 필름에 감광시켰다.
상기의 웨스턴 블롯 방법으로 세포예정사에 의해 핵에서 세포질로 방출되는 사이토크롬 c (도 5)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TPA 또는 H2O2의 처리에 의해 세포질 내의 사이토크롬 c의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상기 물질에 의한 세포예정사는 미토콘드리아에 관련되어 유도되는 현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카노신을 처리한 경우 사이토크롬 c의 방출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카노신이 세포예정사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2) 전체 단백질 추출과 웨스턴 블럿
세포예정사에 의한 종양억제단백질인 p53 단백질의 변화를 관찰하고 PARP (poly-(ADP-ribose)polymerase) 절단 웨스턴 블럿을 통해 세포예정사에 따른 현상을 정량적으로 관찰하였다. 배양한 세포들을 실시예 2에 따라 세포예정사 유도 물질 및 카노신을 처리하고 1mM 페닐메틸설포닐 플로라이드 (phenylmethylsufonyl fluoride, PMSF), 1μM 루펩틴 (leupeptin), 0.1μM 소디엄 오르쏘반데이트 (sodium orthovandate), 5mM 소디엄 플로라이드 (sodium fluoride)가 포함된 20% SDS 세포 용해액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단백질은 -20℃를 유지하며 프로브 초음파기 (sonicator)를 이용하여 10 초씩 6 회 초음파 분쇄하고 DC 단백질 분석 키트 (Bio-Rad, 미국)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단백질은 실시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영동하고 막에 전이한 다음 웨스턴 블롯 분석을 실시하였다. 단백질이 전이된 막에 블라킹을 실시한 다음 1:500으로 희석한 항 PARP 항체 (Santacruz Biotechnology Inc) 및 1:250으로 희석한 항 p53 항체 (Oncogene research product)와 각각 1시간 정도 반응시킨 후 T-PBS을 이용하여 세척하였고, 이후 1:2000으로 희석한 2차 항체 (Zymed Laboratories Inc.)와 1시간 정도 반응시킨 다음 T-PBS을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ECL 화학발광 감지 시약을 이용하여 감지하고 막은 15 초 내지 1 분 동안 X-ray 필름에 감광시켰다.
상기의 방법과 같은 웨스턴 블럿을 통해 종양억제 단백질인 p53 단백질의 변화를 관찰하고 (도 6) PARP의 절단 양상의 변화 (도 7 참조)를 관찰하였다. p53 단백질은 유전자 손상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예정사에서 DNA 손상에 관련된 단백질로서 세포 주기의 진행을 중단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DNA 손상에 대한 표지로 이용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TPA에 의한 세포예정사의 경우 p53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아 p53과는 무관하게 미토콘드리아와 관련해서 유도되는 세포예정사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사실은 실시예 4의 로다민 염색 결과와 더불어 사이토크롬 c가 세포질로 방출되는 양이 증가한다는 도 5의 웨스턴 블럿 결과로부터도 증명된다.
한편 PARP 단백질은 ICE-유사 단백질 분해효소의 표적 단백질의 하나인 핵 단백질로서, 미토콘드리아 관련 세포예정사가 일어나면 사이토크롬 c가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세포질로 방출되고, 방출된 사이토크롬 c에 의해 ICE-유사 단백질 분해효소의 일종인 캐스파제-3 (caspase-3)가 활성화되면 PARP가 절단되게 된다. 따라서 세포질로 방출되는 사이토크롬 c의 양 증가와 절단된 PARP의 증가는 세포예정사가 미토콘드리아와 관련하여 유도되는 것임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 본 실험에서 TPA 또는 H2O2의 처리에 의해 세포질 내의 사이토크롬 c 및 절단된 PARP의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도 5 및 7 참조) 상기 물질들에 의한 세포예정사는 미토콘드리아에 관련되어 유도되는 현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카노신을 처리한 경우 사이토크롬 c의 방출 및 PARP의 절단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카노신이 세포예정사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TPA에 의한 세포예정사의 경우 p53과는 무관한 것이 웨스턴 블럿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지만, H2O2를 처리한 군에서는 p53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카노신에 의해 세포예정사의 현상이 사라진 후에도 p53은 계속해서 증가된 상태로 유지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TPA는 물론 H2O2로 인한 세포예정사에서 p53이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TPA와 H2O2는 p53에 무관하게 세포예정사를 유도하며, 카노신은 미토콘드리아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발생하는 TPA와 H2O2에 의한 세포예정사에 대해 방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노신은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예정사에 대해 효과적인 억제 활성을 나타내므로, 미토콘드리아 매개 세포예정사와 관련된 각종 질병,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 뇌졸중, 간질, 파킨스병, 근긴장성이양증, 프래질엑스병, 헌팅턴병 등의 퇴행성 뇌신경 질환; AIDS와 같은 면역계 질환; 심장계 질환; 간질환; 당뇨 및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노신은 척추 동물 근육 세포, 특히 쇠고기의 골격근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로부터 추출하여 세포예정사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제, 또는 상기 목적을 위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에 경제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억제제.
    화학식 1
  2. 제 1항에 있어서, 카노신은 L-카노신 또는 D-카노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억제제.
  3. 제 1항에 있어서, 카노신은 척추 동물의 근육 세포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억제제.
  4. 제 3항에 있어서, 척추 동물 근육 세포는 쇠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억제제.
  5. 제 1항에 있어서, 세포예정사는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억제제.
  6. 화학식 1의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7. 제 6항에 있어서,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은 알츠하이머, 뇌졸중, 간질, 파킨스병, 근긴장성이양증, 프래질엑스병, 헌팅턴병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 후천성 면역 결핍증을 포함하는 면역계 질환; 심장 질환; 간질환; 당뇨 및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8. 제 6항에 있어서, 카노신은 L-카노신 또는 D-카노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9. 제 6항에 있어서, 카노신은 척추 동물의 근육 세포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10. 제 9항에 있어서, 척추 동물의 근육 세포는 쇠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11. 화학식 1의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 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KR1020000073813A 2000-12-06 2000-12-06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제 KR20020044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813A KR20020044740A (ko) 2000-12-06 2000-12-06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813A KR20020044740A (ko) 2000-12-06 2000-12-06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740A true KR20020044740A (ko) 2002-06-19

Family

ID=2767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813A KR20020044740A (ko) 2000-12-06 2000-12-06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474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0543A1 (en) 2004-06-08 2005-12-22 Flamma, S.P.A. Compositions containing d-carnosine
WO2009033755A2 (en) * 2007-09-11 2009-03-19 Mondobiotech Laboratories Ag Use of l-carnosine as a therapeutic agent
WO2011026185A1 (en) * 2009-09-04 2011-03-10 Murdoch Childrens Research Institute An assay for monitoring a neurological condition
WO2017101976A1 (de) * 2015-12-15 2017-06-22 Symrise Ag Zubereitungen mit carnosinen
EP3124034A4 (en) * 2014-03-28 2018-03-21 The University of Tokyo Agent comprising imidazole dipepti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3654A1 (en) * 1986-07-03 1989-05-03 Zeria Pharmaceutical Co., Ltd. Drug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hepatopathy
WO1995025515A1 (en) * 1994-03-22 1995-09-28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Inhibition of growth of cancer cel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3654A1 (en) * 1986-07-03 1989-05-03 Zeria Pharmaceutical Co., Ltd. Drug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hepatopathy
WO1995025515A1 (en) * 1994-03-22 1995-09-28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Inhibition of growth of cancer cell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쪽 요약, 5쪽, Clin Lab Haematol, 20(4), 239~244, 1999.8 *
1쪽 요약, 5쪽, Neuroscience, 94(2), 571~577, 1999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0543A1 (en) 2004-06-08 2005-12-22 Flamma, S.P.A. Compositions containing d-carnosine
WO2009033755A2 (en) * 2007-09-11 2009-03-19 Mondobiotech Laboratories Ag Use of l-carnosine as a therapeutic agent
WO2009033755A3 (en) * 2007-09-11 2009-09-03 Mondobiotech Laboratories Ag Use of l-carnosine as a therapeutic agent
WO2011026185A1 (en) * 2009-09-04 2011-03-10 Murdoch Childrens Research Institute An assay for monitoring a neurological condition
EP3124034A4 (en) * 2014-03-28 2018-03-21 The University of Tokyo Agent comprising imidazole dipeptide
WO2017101976A1 (de) * 2015-12-15 2017-06-22 Symrise Ag Zubereitungen mit carnosinen
US10857085B2 (en) 2015-12-15 2020-12-08 Symrise Ag Preparations comprising carnosi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nkar et al. Involvement of Bcl-2 family members, phosphatidylinositol 3'-kinase/AKT and mitochondrial p53 in curcumin (diferulolylmethane)-induced apoptosis in prostate cancer
US8492110B2 (en) Anti aging agents and methods to identify them
US9078895B2 (en) Method for treating ocular cancer
KR20010020611A (ko) 항산화제에 의한 과증식질병 치료의 향상
Du et al. Catechin and proanthocyanidin B4 from grape seeds prevent doxorubicin-induced toxicity in cardiomyocytes
EP4129318A1 (en) Protein-bas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neuroprotective, immunomodulating,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ctivity
Goh et al. Phenylbutyrate attenuates the expression of Bcl-XL, DNA-PK, Caveolin-1, and VEGF in prostate cancer cells
KR20020044740A (ko) 카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예정사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제
CA2746273C (en) Small molecule immunomodulators for alzheimer&#39;s disease
AILLET et al. Appraisal of potential therapeutic index of antioxidants on the basis of their in vitro effects on HIV replication in monocytes and interleukin 2-induced lymphocyte proliferation
KR20030026069A (ko) 티엔에프계 단백질과 플라보피리돌의 조합에 의한 암세포특이적인 세포사멸 유도용 조성물
KR100543897B1 (ko) 치자 추출물 및 치자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그 용도
KR100512673B1 (ko) 조혈세포계내유도된어팝토시스를치료하기위한플루피르틴의조성물
JP5717129B2 (ja) ウィザノライド成分を組み合わせた抗癌剤
Qiao et al. Susceptibility to DNA damage caused by abrogation of Rad54 homolog B: A putative mechanism for chemically induced cleft palate
RU2685428C1 (ru)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антиапоптотической активностью
KR101435951B1 (ko) 4-페닐부티르산을 포함하는 c형 간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5072667A1 (ko) 퇴행성 뇌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A2088671C (en) Use of canps-inhibitors in pharmaceutical preparations
US7211246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oestrone-3-0-sulphamate and trail (TNF-related apoptosis inducing ligand)
KR101274731B1 (ko) 레스베라트롤의 유사체인 hs-1793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전립선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U2013204219B2 (en) Novel anti-aging agents and methods to identify them
KR100583051B1 (ko) 암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계피 및 대추 추출물
WO2022005012A1 (ko) Sirt7 억제제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Bazhanova et al. Pathways of apoptosis regulation in hepatocytes induced by first-line antitubercular dru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