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4709A -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4709A
KR20020044709A KR1020000073715A KR20000073715A KR20020044709A KR 20020044709 A KR20020044709 A KR 20020044709A KR 1020000073715 A KR1020000073715 A KR 1020000073715A KR 20000073715 A KR20000073715 A KR 20000073715A KR 20020044709 A KR20020044709 A KR 20020044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rotrusion
casing
filt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식
노희석
류호선
박성일
이성빈
조성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7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4709A/ko
Publication of KR20020044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7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펌프와; 상기 흡입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가 외부와 연통되게 상기 흡입펌프를 수용하는 펌프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흡입펌프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상기 흡입펌프로 흡입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필터부재와; 원통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상기 필터부재를 수용하며 상부영역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된 복수의 물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필터케이싱과; 내부에 상기 필터케이싱이 수용될 수 있게 상기 필터케이싱의 외경에 비해 확장된 내경과, 상기 물림돌기가 통과할 수 있게 내경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확장된 복수의 돌기통과홈을 가지도록 상기 펌프수용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물림돌기의 하측에서 상기 물림돌기를 지지하는 돌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부품의 손상 및 강제열화를 억제시켜 제품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업라이트 진공청소기{UPRIGHT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의 손상 및 강제열화를 억제시켜 제품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라이트 진공청소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본체케이싱(111)과, 저부영역에 유체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흡입구(미도시)를 가지고 본체케이싱(111)의 하부영역에 결합되는 흡입헤드(113)와, 본체케이싱(111)의 상부 전면영역에 수용결합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펌프(121)와, 흡입펌프(121)와 연통될 수 있도록 본체케이싱(111)에 결합되는 필터조립체(131)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케이싱(111)에는 필터조립체(13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전면으로 돌출된 필터지지부(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필터지지부(114)의 상면에는 판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후술할 필터조립체(131)의 필터케이싱손잡이(161)의 저부 일 영역을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수용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헤드(113)의 전면 저부영역에는 외부로부터 유체 및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도시 않은 흡입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흡입헤드(113)의 내부에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유체를 집중시킬 수 있도록 흡입노즐(115)이 마련되어 있다. 흡입노즐(115)의 일측에는 일단이 필터조립체(131)의 유입측에 연결되는 흡입관(117)의 타단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관(117)은 필터조립체(131)와 접촉될 수 있도록 본체케이싱(111)의 표면으로부터 필터조립체(131)측으로 소정 돌출되어 있다.
한편, 필터조립체(131)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필터케이싱(133)과, 필터케이싱(133)의 내부에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필터부재(151)와, 필터케이싱(133)의 외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필터케이싱손잡이(1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필터케이싱(133)의 일측에는 흡입관(117)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 및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부(135)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흡입펌프(121)의 흡입측과 상호 연통되어 필터부재(151)를 통과한 유체가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공(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필터케이싱(133)의 외면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필터케이싱손잡이(161)의 일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지지부(137)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지지부(137)에는 필터케이싱손잡이(161)에 형성된 회동축(163)을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장공형태의 축수용공(139)이 형성되어 있다.
필터케이싱손잡이(161)의 자유단부영역에는 필터케이싱(133)과 필터지지부(114)의 수용홈(116)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첨부(165)가 형성되어 있으며, 필터케이싱(133)의 저부면에는 필터케이싱손잡이(161)의 자유단부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향함몰된 손잡이수용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필터조립체(131)를 본체케이싱(111)에 결합하고자 할 때는, 필터케이싱(133)의 상단이 흡입펌프(121)의 흡입측을 향하도록 하고 측연에 형성된 유입부(135)와 흡입관(117)이 상호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필터케이싱손잡이(161)를 하향회동시킨다. 그러면, 필터케이싱손잡이(161)의 첨부(165)는 손잡이수용부(141)와 수용홈(116)의 사이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 필터케이싱(133)은 흡입펌프(121)측으로 접근되도록 가압되어 본체케이싱(111)에 고정된다.
한편, 필터조립체(131)를 본체케이싱(111)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터케이싱손잡이(161)를 필터케이싱(133)의 손잡이수용부(141)로부터 분리되도록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필터케이싱손잡이(161)는 회동축(163)과 축수용공(139)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됨과 동시에 회동축(16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첨부(165)영역이 손잡이수용부(141)로부터 분리된다. 필터케이싱손잡이(161)가 손잡이수용부(141)로부터 분리되면 필터케이싱(133)의 상단부는 하측방향으로 이격되어 본체케이싱(111)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런데, 이러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 있어서는, 필터케이싱(133)에 대해 상대 회동가능한 필터케이싱손잡이(161)를 형성하고, 필터케이싱손잡이(161)가 필터케이싱(133)에 대해 상대 회동하면서 필터케이싱(133) 및 필터지지부(114)사이에 삽입되어 필터케이싱(133)을 고정 및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시 무리한 힘이 가해질 경우 필터케이싱손잡이(161)의 회동축(163)과, 첨부(165) 및 손잡이지지부(137) 등이 균열 또는 파손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강제열화가촉진되어 제품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손상 및 강제열화를 억제시켜 제품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3의 필터조립체영역의 부분절취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흡입펌프21 : 본체케이싱
23 : 펌프수용부27 : 케이싱수용부
29 : 탄성기밀부재31 : 흡입헤드
34 : 흡입구37 : 흡입관
41 : 필터부재43 : 필터케이싱
45 : 물림돌기47 : 유입관
51 : 돌기지지부53 : 돌기통과홈
55 : 스톱퍼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펌프와; 상기 흡입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가 외부와 연통되게 상기 흡입펌프를 수용하는 펌프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흡입펌프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상기 흡입펌프로 흡입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필터부재와; 원통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상기 필터부재를 수용하며 상부영역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된 복수의 물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필터케이싱과; 내부에 상기 필터케이싱이 수용될 수 있게 상기 필터케이싱의 외경에 비해 확장된 내경과, 상기 물림돌기가 통과할 수 있게 내경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확장된 복수의 돌기통과홈을 가지도록 상기 펌프수용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물림돌기의 하측에서 상기 물림돌기를 지지하는 돌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원형고리형상을 가지고 상기 물림돌기와 상기 펌프수용부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흡입펌프의 흡기구가 외부에 대해 기밀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물림돌기를 상기 돌기지지부에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기지지부에는 상기 돌기수용홈을 통과한 상기 물림돌기가 둘레방향을 따라 회동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스톱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저부에 형성된 흡입구를 가지고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부에 결합되는 흡입헤드와, 일단이 상기 흡입구와 상호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필터케이싱의 일측으로 소정 돌출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유체가 유동되는 흡입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케이싱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관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흡입관을 통해 유동된 유체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상호 접촉면중 어느 하나에는 탄성을 가지는 기밀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필터조립체영역의 부분절취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업라이트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펌프(11)와, 내부에 흡입펌프(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펌프수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본체케이싱(21)과, 본체케이싱(21)의 하부영역에 일체로 결합되며 저부영역에 형성된 흡입구(34)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헤드(31)와, 흡입펌프(11)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흡입펌프(11)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필터부재(41)와, 내부에 필터부재(4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된 복수의 물림돌기(45)를 가지는 필터케이싱(43)과, 펌프수용부(23)의 하측에 형성되어 물림돌기(45)를 지지하는 돌기지지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케이싱(21)의 상부 후방영역에는 손잡이(25)가 상향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본체케이싱(21)의 하부영역에는 양측영역에 이동을 위한 복수의 바퀴(43)가 구비된 흡입헤드(31)가 일체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흡입헤드(31)의 저부면에는 외부로부터 유체 및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향 개구된 흡입구(34)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헤드(31)의 내부에는 흡입구(34)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흡입노즐(35)이 구비되어 있다. 흡입노즐(35)의 일측에는 흡입구(34)를 통해 흡입된 유체 및 이물질이 유동할 수 있도록 흡입관(37)의 일단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흡입관(37)은 적어도 일부구간이 가요성을 가지는 관상부재로 형성되며, 흡입헤드(31)와 본체케이싱(21)의 경계영역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흡입관(37)은 필터케이싱(43)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타단은 본체케이싱(21)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소정 돌출되어 있으며, 흡입관(37)의 노출단부에는 필터케이싱(43)의 결합시 후술할 유입관과 흡입관(37)이 원활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기밀부재(38)가 결합되어 있다.
필터케이싱(43)은 내부에 필터부재(41)를 수용함과 동시에 필터부재(41)에 의해 차단된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흡입관(37)의 노출단부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흡입관(37)을 통해 유동되는 유체 및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47)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유입관(47)의 대향측에는 파지를 위한 고정손잡이(48)가 필터케이싱(4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필터부재(41)를 통과한 유체가 유출되어 흡입펌프(11)로 흡입될 수 있도록 유출공(49)이 형성되어 있다.
필터케이싱(43)의 상부영역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소정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을 가지고 이격배치된 복수의 물림돌기(4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케이싱(21)의 상부 전면영역에는 흡입펌프(11)의 흡기측이 하측을 향하게수용될 수 있도록 펌프수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펌프수용부(23)의 하측에는 필터케이싱(43)의 상단부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구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케이싱수용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수용부(27)의 내부에는 흡입펌프(11)의 흡기측이 외부에 대해 기밀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탄성부재로 원형고리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탄성기밀부재(29)가 수용되어 있다.
케이싱수용부(27)의 하단에는 필터케이싱(43)을 수용할 수 있게 필터케이싱(43)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케이싱수용부(27)의 반경방향을 따라 축소된 원형고리형상의 돌기지지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지지부(51)는 필터케이싱(43)의 결합시 상하방향을 따라 물림돌기(45)의 하측에 배치되어 물림돌기(45)를 지지하며, 돌기지지부(51)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각 물림돌기(45)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경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절취된 복수의 돌기통과홈(53)이 형성되어 있다. 각 돌기통과홈(53)을 통과한 물림돌기(45)의 회전방향에 대해전방영역에는 각 물림돌기(45)가 일정 거리 이상 회전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스톱퍼(55)가 돌기지지부(51)의 상부면으로부터 각각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필터케이싱(43)을 결합하고자 할 때는, 필터케이싱(43)의 고정손잡이(48)를 잡고 상부에 형성된 유출공(49)이 케이싱수용부(27)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각 물림돌기(45)를 돌기통과홈(53)의 하측에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 때, 유입관(47)은 흡입관(37)의 노출단부에 대해 평면투영시 소정 각도의 위상차를 가짐과 동시에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차를 가지고 배치된다.
각 물림돌기(45)가 각 돌기통과홈(53)을 통과하도록 필터케이싱(43)의 고정손잡이(48)를 상측으로 가압하고, 각 물림돌기(45)가 돌기통과홈(53)을 통과하게 됨과 동시에 유입관(47)과 흡입관(37)이 상호 접근되는 방향,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을 따라 필터케이싱(43)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각 물림돌기(45)가 해당 돌기통과홈(53)을 통과하게 되면 물림돌기(45)의 상측에 배치된 탄성기밀부재(29)는 물림돌기(45)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탄성변형되고, 물림돌기(45)가 회전하게 되면 자체의 탄성력으로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각 물림돌기(45)가 해당 스톱퍼(55)와 접촉되어 회전이 저지되는 시점에서 유입관(47)과 흡입관(37)은 상호 중심이 일치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호 연통되고 외부에 대해서는 기밀적으로 차단된다.
탄성기밀부재(29)는 흡입펌프(11)의 흡입영역이 외부에 대해 기밀적으로 유지됨과 동시에 물림돌기(45)와 탄성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물림돌기(45)가 불시에 돌기통과홈(53)측, 즉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케이싱수용부(27)로부터 필터케이싱(4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필터케이싱(43)을 본체케이싱(21)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는, 고정손잡이(48)를 잡고 하향가압하면서 결합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각 물림돌기(45)는 돌기지지부(51)를 따라 회전되고 돌기통과홈(53)을 통해 간단히 분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케이싱의 둘레면에 복수의 물림돌기를 형성하고, 흡입펌프가 수용되는 펌프수용부의 하측에 물림돌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돌기통과홈이 형성되어 있는 돌기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필터케이싱의 일측에 필터케이싱손잡이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필터케이싱손잡이에 의해 필터케이싱이 고정지지되도록하여 부품의 손상 및 강제열화가 촉진되어 수명이 단축되던 종래와는 달리, 부품의 손상 및 강제열화를 억제시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Claims (4)

  1.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펌프와; 상기 흡입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가 외부와 연통되게 상기 흡입펌프를 수용하는 펌프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흡입펌프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상기 흡입펌프로 흡입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필터부재와; 원통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상기 필터부재를 수용하며 상부영역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배치된 복수의 물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필터케이싱과; 내부에 상기 필터케이싱이 수용될 수 있게 상기 필터케이싱의 외경에 비해 확장된 내경과, 상기 물림돌기가 통과할 수 있게 내경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확장된 복수의 돌기통과홈을 가지도록 상기 펌프수용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물림돌기의 하측에서 상기 물림돌기를 지지하는 돌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원형고리형상을 가지고 상기 물림돌기와 상기 펌프수용부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흡입펌프의 흡기구가 외부에 대해 기밀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물림돌기를 상기 돌기지지부에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지지부에는 상기 돌기수용홈을 통과한 상기 물림돌기가 둘레방향을 따라 회동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스톱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부에 형성된 흡입구를 가지고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부에 결합되는 흡입헤드와, 일단이 상기 흡입구와 상호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필터케이싱의 일측으로 소정 돌출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유체가 유동되는 흡입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케이싱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관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흡입관을 통해 유동된 유체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상호 접촉면중 어느 하나에는 탄성을 가지는 기밀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KR1020000073715A 2000-12-06 2000-12-06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KR20020044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715A KR20020044709A (ko) 2000-12-06 2000-12-06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715A KR20020044709A (ko) 2000-12-06 2000-12-06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709A true KR20020044709A (ko) 2002-06-19

Family

ID=2767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715A KR20020044709A (ko) 2000-12-06 2000-12-06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47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639B1 (ko) * 2001-01-11 2003-11-2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428024B1 (ko) * 2002-01-12 2004-04-28 강훈기 진공청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639B1 (ko) * 2001-01-11 2003-11-2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428024B1 (ko) * 2002-01-12 2004-04-28 강훈기 진공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58163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US9107549B2 (en) Removable internal air diffuser
GB2434362A (en) Vent cap for oil tanks
US6224656B1 (en) Cleaner for both dry and wet use having a moveable ring connected to a fan, the moveable ring having circumferential ribs
KR20020044709A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JP2020179144A (ja) 調理装置
US6554565B2 (en) Fluid pump device having filter
US6880200B2 (en) Su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N109922701B (zh) 抽吸器具
US11083352B2 (en) Motor cover for wet/dry vacuum cleaner with integrated hose retainer
KR100339045B1 (ko) 전기청소기
KR100386261B1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JP4074165B2 (ja) ポンプ装置及びウォッシャ装置
CN110171635B (zh) 一种上下伸缩可左右旋转开关乳液泵
KR102222302B1 (ko) 펌프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넷 펌프
EP1174071B1 (en) Pump inlet fitting
KR102222301B1 (ko) 펌프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넷 펌프
US20200353398A1 (en) Filter and vacuum food processor
US11047396B2 (en) Bearing packing and feed pump
JP2008008169A (ja) ポンプ装置及びこのポンプ装置を備えた洗濯機
JP4594823B2 (ja) カスケードポンプ
JPH114786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WO2022171337A1 (en) Liquid reservoir
KR200306998Y1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커버장치
EP3549496A1 (en) Filter and vacuum food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