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301B1 - 펌프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넷 펌프 - Google Patents
펌프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넷 펌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2301B1 KR102222301B1 KR1020190025639A KR20190025639A KR102222301B1 KR 102222301 B1 KR102222301 B1 KR 102222301B1 KR 1020190025639 A KR1020190025639 A KR 1020190025639A KR 20190025639 A KR20190025639 A KR 20190025639A KR 102222301 B1 KR102222301 B1 KR 102222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ing
- support
- space
- volute
- su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086—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8—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55—Sea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흡입케이싱; 및 임펠러에 의해 상기 유입공간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볼류트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볼류트케이싱은 상기 임펠러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케이싱은 소정의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볼류트케이싱과 착탈 가능하며, 상기 흡입케이싱은 상기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흡입본체부 및 상기 착탈부재가 체결되는 제1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류트케이싱은 상기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볼류트본체부 및 상기 착탈부재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흡입케이싱은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볼류트케이싱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볼류트케이싱으로 대향하는 제1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볼류트케이싱은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흡입케이싱과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대향면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펌프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넷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흡입케이싱 및 임펠러에 의해 상기 유입공간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볼류트케이싱을 포함하는 펌프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넷 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마그넷 펌프는 펌프실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싱(front casing)과, 펌프실과 연속되는 원통상 공간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싱(rear casing)을 구비한다.
리어 케이싱의 원통상 공간에는, 지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마그넷 캔이 배치되고, 마그넷 캔에는 펌프실 내부에 수용되는 임펠러가 결합되어 있다.
리어 케이싱의 외측에는, 마그넷 캔과 자기 결합된 회전 구동부가 배치되어, 상기 회전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마그넷 캔이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마그넷 캔이 회전하면, 이와 결합된 임펠러가 회전하고, 프론트 케이싱 정면에 형성된 원통상의 흡입구로부터 펌프실 내부에 이송유체(移送流體)가 도입됨과 함께, 프론트 케이싱 측면의 토출구로부터 이송유체가 토출된다.
지지축은 펌프실을 통하여 프론트 케이싱의 흡입구까지 연장된다.
지지축의 선단부는 흡입구와 접속된 축 지지부에 의해 덮여 있고, 흡입구의 내벽과 축 지지부는 복수의 지지 다리(supporting leg)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2707(2016.10.24. 공개)호에는 마그넷 펌프를 공지하고 있다.
여기서, 프론트 케이싱은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구(4)를 형성하는 부분과 임펠러(13)가 배치되는 공간인 펌프실(3)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마그넷 펌프의 사용 용도에 따라, 흡입구(4)가 규정하는 공간의 크기와 펌프실(3)을 규정하는 공간의 크기는 달라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그넷 펌프는 흡입구(4)를 형성하는 부분과 펌프실(3)을 형성하는 부분이 일체로 되어 있어, 사용 용도에 따라 많은 개수의 프론트 케이싱을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론트 케이싱을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흡입케이싱 및 임펠러에 의해 상기 유입공간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볼류트케이싱으로 별개로 제작하여, 마그넷 펌프의 사용 용도에 맞게 다양한 종류의 흡입케이싱 및 볼류트케이싱을 상호 조합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펌프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넷 펌프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흡입케이싱; 및 임펠러에 의해 상기 유입공간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볼류트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볼류트케이싱은 상기 임펠러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케이싱은 소정의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볼류트케이싱과 착탈 가능하며, 상기 흡입케이싱은 상기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흡입본체부 및 상기 착탈부재가 체결되는 제1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류트케이싱은 상기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볼류트본체부 및 상기 착탈부재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흡입케이싱은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볼류트케이싱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볼류트케이싱으로 대향하는 제1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볼류트케이싱은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흡입케이싱과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대향면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에 의하면, 프론트 케이싱을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흡입케이싱 및 임펠러에 의해 상기 유입공간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볼류트케이싱으로 별개로 제작하여, 마그넷 펌프의 사용 용도에 맞게 다양한 종류의 흡입케이싱 및 볼류트케이싱을 상호 조합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의 개략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에서 이격유지부가 생략된 부분의 개략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에서 이격유지부가 포함된 부분의 개략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의 지지부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의 개략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에서 이격유지부가 생략된 부분의 개략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에서 이격유지부가 포함된 부분의 개략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의 지지부의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흡입케이싱; 및 임펠러에 의해 상기 유입공간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볼류트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볼류트케이싱은 상기 임펠러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케이싱은 소정의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볼류트케이싱과 착탈 가능하며, 상기 흡입케이싱은 상기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흡입본체부 및 상기 착탈부재가 체결되는 제1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류트케이싱은 상기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볼류트본체부 및 상기 착탈부재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흡입케이싱은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볼류트케이싱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볼류트케이싱으로 대향하는 제1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볼류트케이싱은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흡입케이싱과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대향면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이격유지부는 탄성재질일 수 있다.
또, 상기 이격유지부는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흡입케이싱과 상기 볼류트케이싱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이격유지부는 상기 이격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 상기 이격유지부는 상기 흡입케이싱에 연결되는 제1 이격유지부 및 상기 볼류트케이싱에 연결되는 제2 이격유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임펠러를 지지하는 지지축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이격유지부는 상기 배치공간 상에서 상기 지지부가 요동되지 않도록 축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를 가압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이격유지부는 상기 배치공간 상에서 상기 지지부가 요동되지 않도록 상기 축 방향과 수직하는 직교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를 가압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이격유지부는 상기 제2 이격유지부와 접촉되는 제1 이격접촉부,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는 제1 지지접촉부 및 상기 제1 지지접촉부로부터 상기 유입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지 않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이격유지부는 상기 제1 이격유지부와 접촉되는 제2 이격접촉부,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는 제2 지지접촉부 및 상기 제2 지지접촉부로부터 상기 배치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지 않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펌프는 상기 펌프 케이싱;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아우터 마그넷; 상기 아우터 마그넷에 의해 회전되는 이너 마그넷; 및 상기 이너 마그넷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의 개략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에서 이격유지부가 생략된 부분의 개략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에서 이격유지부가 포함된 부분의 개략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의 지지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10)은 유체의 흐름을 구현하는 펌프의 일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펌프 케이싱(10)은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펌프 케이싱(10)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간(S1)을 형성하는 흡입케이싱(100) 및 임펠러에 의해 상기 유입공간(S1)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볼류트케이싱(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입케이싱(100) 및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은 메탈 재질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입케이싱(100)은 상기 유입공간(S1)을 형성하여 상기 임펠러에 의해 외부로부터 상기 유입공간(S1)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입케이싱(100)은 도관 및/또는 파이프(미 도시)와 연결되어 도관 및/또는 파이프로부터 유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은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유입공간(S1)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은 상기 유입공간(S1)으로부터 전달받은 유체를 외부로 전달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은 도관 및/또는 파이프와 연결되어 도관 및/또는 파이프로 유체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은 상기 임펠러가 배치되는 배치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임펠러는 상기 배치공간(S2) 상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현할 수 있으며, 회전력에 의해 유체가 이동될 수 있다.
즉, 유체는 상기 임펠러에 의해 외부로부터 상기 흡입케이싱(100)이 형성하는 상기 유입공간(S1)으로 흐를 수 있고, 상기 유입공간(S1)으로부터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상기 배치공간(S2)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흡입케이싱(100)은 소정의 착탈부재(T)에 의해 상기 볼류트케이싱(200)과 착탈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케이싱(100)은 상기 착탈부재(T)에 의해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에 연결될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펌프 케이싱(10)은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의 상기 유입공간(S1) 및/또는 상기 배치공간(S2)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케이싱(100)과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펌프 케이싱(10)은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지는 상기 흡입케이싱(100)과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이 서로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례로, 상기 착탈부재(T)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등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흡입케이싱(100)과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착탈부재(T)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임을 가정하고 설명하겠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흡입케이싱(100)은 상기 유입공간(S1)을 형성하는 흡입본체부(110) 및 상기 착탈부재(T)가 체결되는 제1 체결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체결부(120)는 상기 흡입본체부(110)의 소정의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착탈부재(T)는 상기 제1 체결부(120)에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체결부(120)는 상기 착탈부재(T)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은 상기 배치공간(S2)을 형성하는 볼류트본체부(210) 및 상기 착탈부재(T)가 체결되는 제2 체결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체결부(220)는 상기 볼류트본체부(210) 상의 상기 제1 체결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체결부(220)는 상기 착탈부재(T)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착탈부재(T)는 상기 제1 체결부(120)에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체결부(220)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흡입케이싱(100)과 상기 볼류트케이싱(200) 간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흡입케이싱(100)은 상기 착탈부재(T)에 의해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으로 대향하는 제1 대향면(13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은 상기 착탈부재(T)에 의해 상기 흡입케이싱(100)과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대향면(130)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230)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대향면(130)은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에 대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제2 대향면(230)은 상기 흡입케이싱(100)에 대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대향면(130)과 상기 제2 대향면(230)은 상기 흡입케이싱(100)과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의 연결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케이싱(100)과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이 견고히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입공간(S1) 및/또는 상기 배치공간(S2) 상의 유체는 상기 제1 대향면(130)과 상기 제2 대향면(230) 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대향면(130) 및 상기 제2 대향면(230)은 상기 유입공간(S1) 및/또는 상기 배치공간(S2)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체결부(120) 및 상기 제2 체결부(220)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펌프 케이싱(10)은 상기 제1 대향면(130)과 상기 제2 대향면(230)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대향면(130)과 상기 제2 대향면(230)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유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격유지부(300)는 상기 제1 대향면(130)과 상기 제2 대향면(2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착탈부재(T)에 의해 상기 흡입케이싱(100)이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대향면(130) 및 상기 제2 대향면(230)으로부터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유지부(300)는 상기 제1 대향면(130) 및 상기 제2 대향면(230) 사이의 이격거리를 최소화 함으로서, 즉 실링함으로서, 상기 제1 대향면(130)과 상기 제2 대향면(230)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대향면(130)과 상기 제2 대향면(230) 사이에 상기 이격유지부(300)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대향면(130)과 상기 제2 대향면(230) 사이를 통해 상기 유입공간(S1) 및/또는 상기 배치공간(S2) 상의 유체가 외부로 누설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격유지부(300)는 상기 제1 대향면(130)과 상기 제2 대향면(230) 사이에 배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격유지부(300)는 탄성재질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이격유지부(300)의 실링 기능은 더욱 극대화 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이격유지부(300)는 상기 착탈부재(T)에 의해 상기 흡입케이싱(100)과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체결부(120)와 상기 제2 체결부(220)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1 체결부(120)와 상기 제2 체결부(220) 사이에 이격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1 체결부(120) 및 상기 제2 체결부(220)가 상기 착탈부재(T)에 완전히 체결된 경우, 즉 상기 흡입케이싱(100)과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이 견고히 연결된 경우에도, 상기 제1 체결부(120)와 상기 제2 체결부(220)는 상기 이격유지부(300)에 의해 서로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체결부(120)와 상기 제2 체결부(220)는 상기 이격유지부(300)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제1 체결부(120)와 상기 제2 체결부(220) 사이에는 상기 이격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유입공간(S1) 및/또는 상기 배치공간(S2)으로부터 유체가 누설되는 위치는 상기 제1 체결부(120)와 상기 제2 체결부(220) 사이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서, 상기 이격유지부(300)가 상기 흡입케이싱(100)과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이 상기 착탈부재(T)에 의해 견고히 연결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제1 체결부(120)와 상기 제2 체결부(220)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이격공간(S3)을 형성함으로서, 작업자는 상기 이격공간(S3) 상에 유체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장치(미 도시)를 설치하여 유체의 누설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작업자는 유체의 누설이 감지된 경우 상기 이격공간(S3) 상에 유체가 누설되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이격유지부(300)는 상기 제1 대향면(130) 및 상기 제2 대향면(230)의 가압에 의해 탄성한계까지 변형되더라도 의도된 상기 이격공간(S3)을 형성함으로서, 작업자는 상기 제1 대향면(130) 및 상기 제2 대향면(230)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이격유지부(300)는 상기 이격공간(S3)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격유지부(300)의 일단은 상기 이격공간(S3) 상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이격공간(S3)을 통해 상기 이격유지부(300)가 파손되었는지 여부, 상기 이격유지부(300)가 의도된 위치에 배치되었는지 여부 및/또는 유체가 상기 이격유지부(300)를 통해 누설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이격유지부(300)는 상기 흡입케이싱(100)에 연결되는 제1 이격유지부(310) 및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에 연결되는 제2 이격유지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이격유지부(300)는 단일의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와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는 상기 흡입케이싱(100)의 상기 제1 대향면(13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흡입케이싱(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는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의 상기 제2 대향면(23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에 연결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격유지부(300)가 단일의 탄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케이싱(100) 또는 상기 볼류트케이싱(20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대향면(130)과 상기 제2 대향면(230)의 사이에서 상기 착탈부재(T)에 의해 상기 흡입케이싱(100)과 상기 볼류트 케이싱이 서로 연결될 때, 의도치 않은 상기 흡입케이싱(100) 또는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상기 이격유지부(300)는 상기 제1 대향면(130)과 상기 제2 대향면(230) 사이의 의도한 위치에 배치되지 못하고 위치가 변경될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이격유지부(300)는 상기 흡입케이싱(100)에 미리 연결된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 및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에 미리 연결된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로 구성되어, 상기 착탈부재(T)에 의해 상기 흡입케이싱(100)과 상기 볼류트 케이싱이 서로 연결될 때에도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 및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가 위치 변화되지 않고, 상기 제1 대향면(130)과 상기 제2 대향면(230) 사이의 의도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펌프 케이싱(10)은 상기 배치공간(S2)에 배치되어 상기 임펠러를 지지하는 지지축(미 도시)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축은 상기 임펠러를 지지하는 부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임펠러는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지지축의 선단은 상기 임펠러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4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지지축의 선단을 수용하는 수용공간(S4)을 형성하는 지지본체부(410), 상기 지지본체부(41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간(S1)으로부터 상기 배치공간(S2)으로 이동되는 유체의 와류를 저감하는 와류저감부(420) 및 상기 와류저감부(420)로부터 이격되어 유체가 흐르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본체부(410)가 상기 배치공간(S2) 상에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흡입케이싱(100) 및/또는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에 지지되는 지지연장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축은 상기 수용공간(S4) 상에 배치되어 상기 임펠러의 하중을 상기 지지본체부(41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본체부(410)는 상기 임펠러의 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지지연장부(43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연장부(430)는 상기 임펠러의 하중을 상기 흡입케이싱(100) 또는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배치공간(S2)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흡입케이싱(100)과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이 분리되는 경우 상기 배치공간(S2) 상으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대향면(130)은 상기 배치공간(S2) 상에서 상기 지지부(400)가 요동되지 않도록 축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40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흡입케이싱(100)은 상기 착탈부재(T)의 체결에 의해 상기 볼류트케이싱(200) 쪽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제1 대향면(130)은 상기 착탈부재(T)의 체결에 의해 상기 볼류트케이싱(200)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대향면(130)은 상기 배치공간(S2) 상에 배치된 상기 지지부(400)의 상기 지지연장부(430)를 상기 축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는 상기 배치공간(S2) 상에서 상기 지지부(400)가 요동되지 않도록 축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40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는 상기 제1 대향면(130)과 상기 지지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케이싱(100)은 상기 착탈부재(T)의 체결에 의해 상기 볼류트케이싱(200) 쪽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는 상기 제1 대향면(13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볼류트케이싱(200)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는 상기 지지부(400)의 상기 지지연장부(430)를 상기 볼류트케이싱(200)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지지축과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배치공간(S2)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는 탄성 재질이라는 점에서,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지지부(400)의 상기 지지연장부(430)는 파손되지 않고 상기 배치공간(S2)의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축 방향은 도 1에서, 가로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는 상기 배치공간(S2) 상에서 상기 지지부(400)가 요동되지 않도록 상기 축 방향과 수직하는 직교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40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는 상기 볼류트본체부(210)와 상기 지지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 상에 억지끼움될 수 있고,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는 탄성력을 발현하여 상기 지지부(400)를 상기 직교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축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임펠러가 회전될 때,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원심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상기 지지부(400)의 상기 지지연장부(430)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를 상기 직교 방향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지지부(400)의 원심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는 상기 지지부(400)의 상기 지지연장부(430)에 가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와 상기 볼류트본체부(210) 사이에는 원심력이 작용하여 실링 효과가 더욱 극대화 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는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와 접촉되는 제1 이격접촉부(311), 상기 지지부(400)와 접촉되는 제1 지지접촉부(313) 및 상기 제1 지지접촉부(313)로부터 상기 유입공간(S1)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400)와 접촉되지 않는 제1 연장부(315)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이격접촉부(311)는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와 접촉되어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와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지지접촉부(313)는 상기 지지부(400)의 상기 지지연장부(430)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와 상기 흡입본체부(11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315)는 상기 제1 지지접촉부(31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접촉부(313)가 상기 지지부(400)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제1 지지접촉부(313)의 단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315)는 상기 제1 이격접촉부(311) 및 상기 지지접촉부가 상기 흡입케이싱(100)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는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와 접촉되는 제2 이격접촉부(321), 상기 지지부(400)와 접촉되는 제2 지지접촉부(323) 및 상기 제2 지지접촉부(323)로부터 상기 배치공간(S2)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400)와 접촉되지 않는 제2 연장부(325)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이격접촉부(321)는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와 접촉되어 상기 제1 이격유지부(310)와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지지접촉부(323)는 상기 지지부(400)의 상기 지지연장부(430)를 가압하여 상기 제2 이격유지부(320)와 상기 흡입본체부(11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장부(325)는 상기 제2 지지접촉부(32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접촉부(323)가 상기 지지부(400)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제2 지지접촉부(323)의 단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장부(325)는 상기 제2 이격접촉부(321) 및 상기 지지접촉부가 상기 볼류트케이싱(200)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펌프는 상기 펌프 케이싱(10),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아우터 마그넷(미 도시), 상기 아우터 마그넷에 의해 회전되는 이너 마그넷(미 도시) 및 상기 이너 마그넷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터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모터에 연결된 상기 아우터 마그넷은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너 마그넷은 상기 아우터 마그넷과 자력을 형성하여, 상기 아우터 마그넷의 회전과 연동되어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마그넷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이너 마그넷과 연결된 상기 임펠러는 회전될 수 있다.
그 결과, 유체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부터 상기 유입공간(S1)으로 이동되고, 상기 유입공간(S1)으로부터 상기 배치공간(S2)으로 이동되며, 상기 배치공간(S2)으로부터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펌프의 구성요소들은 이미 공지된 다른 마그넷 펌프의 일 구성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흡입케이싱
200: 볼류트케이싱
300: 이격유지부
400: 지지부
200: 볼류트케이싱
300: 이격유지부
400: 지지부
Claims (10)
-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흡입케이싱; 및
임펠러에 의해 상기 유입공간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볼류트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볼류트케이싱은,
상기 임펠러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케이싱은,
소정의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볼류트케이싱과 착탈 가능하며,
상기 흡입케이싱은,
상기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흡입본체부 및 상기 착탈부재가 체결되는 제1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류트케이싱은,
상기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볼류트본체부 및 상기 착탈부재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흡입케이싱은,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볼류트케이싱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볼류트케이싱으로 대향하는 제1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볼류트케이싱은,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흡입케이싱과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대향면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격유지부는,
상기 착탈부재에 의해 상기 흡입케이싱과 상기 볼류트케이싱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이격유지부는,
상기 이격공간으로 노출되며,
상기 이격유지부는,
상기 흡입케이싱에 연결되는 제1 이격유지부 및
상기 볼류트케이싱에 연결되는 제2 이격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임펠러를 지지하는 지지축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이격유지부는,
상기 배치공간 상에서 상기 지지부가 요동되지 않도록 축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를 가압하는,
펌프 케이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유지부는,
탄성재질인,
펌프 케이싱.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격유지부는,
상기 배치공간 상에서 상기 지지부가 요동되지 않도록 상기 축 방향과 수직하는 직교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를 가압하는,
펌프 케이싱.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격유지부는,
상기 제2 이격유지부와 접촉되는 제1 이격접촉부,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는 제1 지지접촉부 및 상기 제1 지지접촉부로부터 상기 유입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지 않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하는,
펌프 케이싱.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격유지부는,
상기 제1 이격유지부와 접촉되는 제2 이격접촉부,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는 제2 지지접촉부 및 상기 제2 지지접촉부로부터 상기 배치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지 않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하는,
펌프 케이싱.
- 제1항, 제2항,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펌프 케이싱;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아우터 마그넷;
상기 아우터 마그넷에 의해 회전되는 이너 마그넷; 및
상기 이너 마그넷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마그넷 펌프.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5639A KR102222301B1 (ko) | 2019-03-06 | 2019-03-06 | 펌프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넷 펌프 |
PCT/KR2019/015119 WO2020179985A1 (ko) | 2019-03-06 | 2019-11-08 | 펌프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넷 펌프 |
US16/632,015 US20210396246A1 (en) | 2019-03-06 | 2019-11-08 | Pump casing and magnet pump including the same |
CN201980003686.0A CN112204263A (zh) | 2019-03-06 | 2019-11-08 | 泵壳及包括其的磁力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5639A KR102222301B1 (ko) | 2019-03-06 | 2019-03-06 | 펌프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넷 펌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7094A KR20200107094A (ko) | 2020-09-16 |
KR102222301B1 true KR102222301B1 (ko) | 2021-03-03 |
Family
ID=7266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5639A KR102222301B1 (ko) | 2019-03-06 | 2019-03-06 | 펌프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넷 펌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230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3907B1 (ko) * | 2006-08-30 | 2007-05-31 | 한규근 | 인라인 2웨이 펌프 |
KR101554014B1 (ko) | 2015-03-23 | 2015-09-17 | 코리아씰라인(주) | 고압펌프용 메카니컬 씰링장치 |
JP2017172807A (ja) | 2017-06-12 | 2017-09-28 | 株式会社荏原製作所 | シール構造、容器、及びポンプのケーシング構造 |
KR101819823B1 (ko) * | 2015-06-12 | 2018-01-17 | 아쏘마 아이엔씨. | Pfa 라이너를 구비한 펌프 케이싱의 구조 개선물 |
-
2019
- 2019-03-06 KR KR1020190025639A patent/KR1022223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3907B1 (ko) * | 2006-08-30 | 2007-05-31 | 한규근 | 인라인 2웨이 펌프 |
KR101554014B1 (ko) | 2015-03-23 | 2015-09-17 | 코리아씰라인(주) | 고압펌프용 메카니컬 씰링장치 |
KR101819823B1 (ko) * | 2015-06-12 | 2018-01-17 | 아쏘마 아이엔씨. | Pfa 라이너를 구비한 펌프 케이싱의 구조 개선물 |
JP2017172807A (ja) | 2017-06-12 | 2017-09-28 | 株式会社荏原製作所 | シール構造、容器、及びポンプのケーシング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7094A (ko) | 2020-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30021956A (ko) | 강판제 펌프케이싱과 이 펌프케이싱을 구비한 전주류형 펌프 | |
GB2360068A (en) | Fluid pump | |
CN101334033A (zh) | 磁力支承和耦接装置 | |
US8272823B2 (en) | Sealing arrangement for the attachment of a side plate of a centrifugal pump and an attachment screw used therewith | |
WO2013101663A1 (en) | Rotodynamic pump with permanent magnet coupling inside the impeller | |
US10550948B2 (en) | Discharge valve comprising a receiving element | |
KR100914241B1 (ko) | 베인펌프장치 | |
WO2008136757A1 (en) | A mechanical sealing device, and a pump | |
KR102222301B1 (ko) | 펌프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넷 펌프 | |
KR102222302B1 (ko) | 펌프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넷 펌프 | |
US9353762B2 (en) | Pressure compensating wet seal chamber | |
US20210396246A1 (en) | Pump casing and magnet pump including the same | |
US11603845B2 (en) | Magnetic drive pump | |
CN102216621A (zh) | 真空泵 | |
US20220037962A1 (en) | Canned motor device capable of detecting leakage | |
KR100950847B1 (ko) | 마그네트 펌프의 리어 컨테인먼트 쉘 구조체 | |
KR102510786B1 (ko) | 자기 구동 펌프 | |
US3229641A (en) | Centrifugal pump for handling suspensions contianing large particulate matter | |
WO2016010713A1 (en) | Improved diaphragm pump | |
US11664700B2 (en) | Canned motor device | |
KR102497966B1 (ko) | 누출 감지가 가능한 캔드 모터 장치 | |
KR100469683B1 (ko) | 케미칼 프로세스 펌프 | |
KR20000019437U (ko) | 축류펌프 | |
EP4008908A1 (en) | Canned motor pump with leak sensor | |
KR100469682B1 (ko) | 케미칼 프로세스 펌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