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3560A -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 - Google Patents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3560A
KR20020043560A KR1020027002206A KR20027002206A KR20020043560A KR 20020043560 A KR20020043560 A KR 20020043560A KR 1020027002206 A KR1020027002206 A KR 1020027002206A KR 20027002206 A KR20027002206 A KR 20027002206A KR 20020043560 A KR20020043560 A KR 20020043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ode
contact
piece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8118B1 (ko
Inventor
히로노부 오에
요시히사 이나바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켘
마츠시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켘, 마츠시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켘
Publication of KR2002004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1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은, 회로 기판(30)에 실장할 때, 전극 배설부(7)에 배설된 배터리용 콘택트(5)의 전극 접촉부(15)가 배터리 장착부(52)의 위쪽으로 앞부분이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배터리(50)를 배터리 장착부(52)에 장착할 때에는 전극(51)을 형성한 단면의 하단을 배터리 장착부(52)의 상면에 맞추면서 타단측을 올린 경사 상태로 요부(50a) 내의 전극(51)을 전극 접촉부(15)에 눌러붙이며, 이 상태로 배터리(50)를 앞쪽으로 압출하여 사편(5e)을 전극 배설부(7) 측방향으로 휘어가면서, 또한 타단 측을 눌러 내리므로, 상하 방향으로 휘는 경우에 비하여, 휨값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접촉압을 크게 할 수 있어서 배터리의 전극과의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 {Receptacle for battery-using equipment}
전원용 배터리를 내장하는 이동체 통신기기 등에 끼워 넣어지는 리셉터클은, 이동체 통신기기 등의 소형화에 따라 박형 구조의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리셉터클에 있어서 배터리와 접속하기 위한 배터리용 콘택트는, 충분한 탄성 압력을 가지고 배터리 전극과의 사이에서 접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리셉터클로서는 도 10(a) 내지 (d), 도 11 및 도 12(a)∼(c)에 나타낸 것 같은 구조의 것이 제공되고 있다.
이 종래예는, 합성수지제 리셉터클 본체(100)의 중앙 전면부(前面部)에, 금속판을 절곡시켜 형성한 편평한 사각형의 통체(筒體)(103)를 배설하고, 이 통체(103)로 둘러싸인 전면(前面) 개구(開口)의 요부(103a)가 플러그의 삽탈부(揷脫部)를 구성하고 있다. 이 요부(103a) 내에는, 리셉터클 본체(100)의 중앙의 전면부에서 평판형의 돌편(突片)(101)을 일체로 돌출시킴과 더불어, 이 돌출부(101)의 하면에 기부(基部)로부터 돌출부의 선단 방향에 이르도록 신호 포스트(102)의 접촉부(102a)를 복수개 병설하고, 요부(103a) 내에 삽입시킨 외부 플러그의 신호 콘택트의 접촉부가 신호 포스트(102)의 접촉부(102a)와 접촉하여 전기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신호 포스트(102)는 리셉터클 본체(100)의 후면(後面)에서 이끌어져 나오며, 그 후면을 따르도록 절곡되어지며, 더욱이 리셉터클 본체(100)의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뒤쪽으로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부(102b)를 절곡 연장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본체(100)의 양측에는,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의 각 전극을 접속하기 위해서, 각 극에 각각 대응하여 한 쌍 1조의 배터리용 콘택트(104)를 배설함과 더불어, 충전 전극단자(105)를 배설한 전극 배설부(106)를 일체로 마련하고 있다.
각 전극 배설부(106) 내에는, 배터리용 콘택트(104)를 압입 수납하는 수납 공간인 압입 수납부(107)를 한 쌍씩 병설하고 있다. 이 압입 수납부(107)는, 전극 배설부(106)의 상면으로부터 후면에 걸쳐 개구되어 있으며, 판 탄성재를 대략자형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배터리용 콘택트(104)는, 상면 개구에서 압입되어 압입 수납부(107) 내에 수납된다.
이 때, 배터리용 콘택트(104)는,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편(底片)(104a)을 압입 수납부(107)의 저부에 얹혀 두고, 저편(104a)의 선단에설치한 회로 기판 접속용의 접속부(104b)를 외부로 돌출시키며, 또한 사편(斜片)(104c)의 앞부분을 압입 수납부(107) 상면 개구에서 외부로 돌출시키고 있다. 이 사편(104c)의 앞부분에는 특히 사편(104c)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대략 L자형상 조각을 형성하고, 배터리 측에 마련된 전극에 대하여 접촉하는 상향으로 돌출되게 꺾여진 배터리 접촉부(108)를 정부(頂部)에 마련하고 있다.
압입 수납부(107, 107) 사이의 전극 배설부(106)의 이면(裏面)측에서는, 하면(下面) 개구의 압입 수납부(109)를 도 12(b)에 나타낸 것 같이 마련해 두며, 이 압입 수납부(109)에는, 금속 박판을 대략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충전 전극단자(105)가 압입 수납된다. 이 충전 전극단자(105)는, 뒤쪽 하단에 마련된 회로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기판 접속부(105a)를 전극 배설부(106)의 뒤쪽으로 이끌어내며, 또한 앞쪽 하단에 마련된 전극(105b)을, 전극 배설부(106)의 전면에 형성된 요부(106a)를 따르도록 배설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예를 사용하는 경우, 대응하는 배터리에 하향의 전극을 마련하며, 배터리의 전극을 마련한 부위를 리셉터클 본체(100) 상에 덮어지도록 하여 배터리 장착부에 배터리를 장착하며, 배터리의 하향의 전극을 배터리용 콘택트(104)의 접촉부(108)에 탄성 접촉하는 구조를 채용하게 된다.
상기의 종래예에서는, 배터리의 단부가 리셉터클 본체(100) 상에 덮여지기 때문에, 배터리의 길이치수가 대형화되게 되며, 또한 배터리용 콘택트(104)의 휜 방향이 상하 방향이기 때문에, 휨값을 충분히 얻을 수가 없다.
또한, 배터리용 콘택트(104)와, 충전 전극단자(105)의 전극 배설부(106)에서의 압입 방향이 역방향이기 때문에, 동시에 둘을 끼워 넣는 것이 어렵고, 공정 수가 많아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므로, 배터리용 콘택트의 휨값을 충분히 얻을 수 있으며, 배터리 장착부가 좁아도 용이하게 배터리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터리용 콘택트 및 충전 전극단자의 압입을 한번에 가능하게 하며, 그 밖에도 배터리용 콘택트의 압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를 내장하는 전기 기기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외부 플러그의 신호 콘택트에 접촉하는 신호 포스트(post)를 가지고 전기 기기와의 사이에서 전기 신호의 전달을 행하며, 또한 배터리의 전극과 접속하는 배터리용 콘택트를 가지는 리셉터클에 관한 것이다.
도 1(a),(b)는 일 실시 형태를 이용한 배터리 장착부의 설명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일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일 실시형태의 하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일 실시형태의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일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2의 A-A 단면도, (b)는 도 2의 C-C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2의 B-B 확대단면도, (b)는 도 8(a)의 X-X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상기 일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플러그의 정면도, (b)는 상기 일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플러그의 상면도, (c)는 상기 일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플러그의 측면도이다.
도 10의 (a)는 종래예의 상면도, (b)는 종래예의 정면도, (c)는 종래예의 하면도, (d)는 종래예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예의 배면도이다.
도 12의 (a)는 도 10(a)의 A-A 단면도, (b)는 도 10(a)의 B-B 단면도, (c)는 도 10(a)의 C-C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리셉터클 본체 5 배터리용 콘택트
5e 사편 5f 연장편
7 전극 배설부 7a 배고부
7b 배저부 15 전극 접촉부
30 회로 기판 50 배터리
50a 요부 51 전극
52 배터리 장착부
본 발명의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은, 외부 플러그의 신호 콘택트에 접속하는 신호 포스트의 접촉부를 병설 배치한 플러그 삽탈부와, 이 플러그 삽탈부의 후면 측에 있어서,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신호 포스트의 접속부와, 상기 플러그 삽탈부의 측면 측에 있어서, 플러그 삽탈부의 후면 측에 병행하여 돌출하는 판탄성재로 이루어진 배터리용 콘택트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전극 배설부를 구비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배터리용 콘택트가, 회로 기판에 접속된 기판 접속부와, 이 기판 접속부에 연결되며, 전극 배설부의 후면 측으로 돌출하고, 전극 배설부 방향으로 자유롭게 휘어지는 사편과, 이 사편의 한 쪽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전극 배설부의 후면 측으로 돌출한 대략 U자상의 형상이며, 배터리의 전극과 접촉하는 전극 접촉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극 배설부의 하면 측 및 후면 측에 개구한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이 수납공간 내에 배터리용 콘택트를 압입 수납하도록 구성하면 바람직하다.
더욱이, 배터리용 콘택트에는, 기판 접속부로부터 사편에 이르기까지의 부위에, 상기 기판 접속부에 연결되는 평편과, 이 평편의 타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배터리용 콘택트를 압입 수납하는 수납 공간 내의 전면 측의 수직 내벽면을 따라 배설된 수직편을 마련하는 것과 더불어, 이 수직편과 상기 평편의 경계 부위에 절결공을 형성하며, 이 절결공에 마주 대하는 수직편의 하단면을 평탄면으로 하고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전극 배설부가,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전극 배설부의 전면 측에 배설된 접촉 전극부로 이루어진 충전 전극용 단자를 마련하면 바람직하다.
게다가, 전극 배설부의 하면 측에 개구된 수납 공간을 구비하며, 이 수납 공간 내에 충전 전극용 단자를 압입 수납하도록 구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리셉터클 본체(1)는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의 전면(前面)부에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편평 사각형상의 통체(筒體)(2)를 배설하고, 그 통체(2)로 둘러싸여진 전면 개구의 요부(2a)가 도 9에 나타낸 외부 플러그(40)의 플러그 삽탈부를 구성하며, 이 요부(2a) 내에는 리셉터클 본체(1)의 중앙의 전면부에서 평판형상의 돌편(突片)(3)을 일체로 돌출시키고 있다. 그리고, 돌편(3)의 하면에는 기부(基部)로부터 돌편(3) 선단 방향에 걸치도록 신호 포스트(4)의 접촉부(4a)를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끼워 넣은 복수조의 도랑(3a)을 복수 병설하고 있어서, 요부(2a) 내에 삽입되는 도 9에 나타내는 외부 플러그(40)의 신호 콘택트(41)의 접촉부가 신호 포스트(4)의 접촉부(4a)와 접촉하여 전기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각 신호 포스트(4)는, 리셉터클 본체(1)의 후면부터 이끌어져 나오는 부위를, 그 후면을 따르도록 하향으로 절곡하고, 이 절곡편(片)을 리셉터클 본체(1)의 후면에 도 4,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측 방향으로 병설된 세로 도랑(1a)에 끼우며, 더욱이, 이 절곡편의 리셉터클 본체(1)의 저면에 가까운 하단 위치에서 후방으로 직각이 되게 절곡하고, 리셉터클 본체(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으며, 이 후방 돌출편이 회로 기판(30)에 접속한 접속부(4b)를 구성한다. 즉, 접속부(4b)는 플러그 삽탈부의 후면측에 위치한다.
또한, 플러그 삽탈부의 측면측, 즉 리셉터클 본체(1)의 양측에는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배터리(50)의 일단면에 형성된 요부(50a) 내에 폭 방향으로 병설된 양극과 음극의 각 전극(51)을 접속하기 위해서 각 극에 각각 대응하여 한 쌍의 1조의 배터리용 콘택트(5)를 배설하는 것과 더불어, 충전 전극단자(12)를 배설하고 있는 전극 배설부(7)를 각각 일체로 마련하고 있다.
각 전극 배설부(7)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부(後部)가 리셉터클 본체(1)에 대하여 등(背)쪽에서 높게 이루어진 배고부(背高部)(7a), 이 배고부(7a)의 전하부(前下部)에 상기 통부(2)의 측면으로 병행하는 배저부(背底部)(7b)로 이루어지며, 배고부(7a)의 후부는, 신호 포스트(4)의 접속부(4b)의 선단 위치보다도 후방으로 병행해 돌출하며, 그 후면의 대충 상단 부근으로부터 하단에 걸쳐 개구된 수납공간인 압입 수납부(10, 10)를 내부에 병행 형성하며, 또 이들 배고부(7a)의 하면의 압입 수납부(10, 10)의 개구 부위의 중간 위치를 지나서 배저부(7b)의 하면에 이어지도록 개구된 수납 공간인 압입 수납부(11)를 형성하고 있다.
각 압입 수납부(10)는 배터리 콘택트(5)를 압입 수납하기 위한 것이며, 압입 수납부(11)는 충전 전극단자(12)를 압입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용 콘택트(5)는 평편(平片)(5b)의 일단의 편측(片側)에서 L자형상으로 절곡하여 후방으로 연장 형성하고, 그 횡편(橫片)에 의해 구성된 회로 기판(30)에 접속하는 좁은 폭의 기판 접속부(5a)와, 평편(5b)의 타단에서 상방으로 직각이 되게 절곡하여 연장 형성된 수직편(5c)과, 이 수직편(5c)의 상단을 U자 형상으로 되접어 꺾고 수직편(5c)에 병행하도록 평편(5b)의 위쪽으로 아래로 늘어뜨린 수하편(垂下片)(5d)과, 수하편(5d)의 하단에서 만곡(彎曲)시키고 앞부분을 경사지게 상방을 향하게 연장하여 형성된 사편(斜片)(5e)과,이 사편(5e)의 상단부를 경사지게 후방 하향으로 곡면부가 향하도록 U자 형상으로 절곡하고, 그 곡면부에 의해 형성된 전극 접촉부(15)와, 이 전극 접촉부(15)의 절곡 선단을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연장편(5f)과, 이 연장편(5f)의 선단에서 절곡하여 사편(5e)에 병행하도록 경사지게 전방 하향으로 형성된 사편(5g)을 가진 판탄성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평편(5b)과 수직편(5c)의 경계부에는 절결공(切欠孔)(13)을 마련하며, 이 절결공(13)에 마주 대하는 수직편(5c)의 하단면을 평탄면(14)으로 하고 있다. 상기 판탄성재는, 플러그 삽탈부의 후면측, 즉 리셉터클 본체의 후면 측에 병행하게 돌출한다.
한편, 충전 전극단자(12)는 도 7(b)에 나타내는 것처럼, 압입 수납부(11)의 천정면에 이르게 하는 중앙편(12a)의 전후단으로부터 각각 하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된 폭이 넓은 전종편(前縱片)(12b)과 폭이 좁은 후종편(後縱片)(12c)을 형성하고, 후종편(12c)의 하단에서 다시 대략 Z자 형상으로 절곡 연장하여 그 하평편(下平片)으로 회로 기판(30)에 접속하는 접속부(12d)를 형성하며, 또한 전종편(12b)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배저부(7b)의 하면 요부 지역에 따르도록 연장한 더 폭이 넓은 연장편(12f)의 선단을 더 상방으로 직각이 되게 절곡하여 접촉 전극부(12e)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들 배터리용 콘택트(5), 충전 전극단자(12)를, 각 전극 배설부(7)의 하면 측의 개구에서 각각에 대응하는 압입 수납부(10, 11)에 압입함으로써 각 전극 배설부(7)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압입 시에 배터리용 콘택트(5)의 전극 접촉부(15)는 전극 배설부(7)의 후면 개구에서 후방으로 돌출한다.
또한, 충전 전극단자(12)의 접촉 전극부(12e)는 전극 배설부(7)의 전면에 형성된 요부(16)에 아래로부터 끼워 두며, 요부(16)의 양측 내벽에 형성된 도랑(16a)에 양측 가장자리가 맞물린다. 따라서, 접촉 전극부(12e)는, 전극 배설부(7)의 전면(前面)측에 배설되는 것으로 된다.
이 압입 공정에서는, 배터리용 콘택트(5) 및 충전 전극단자(12)의 압입 수납부(10, 11)에 대한 압입 방향이 동일 방향이기 때문에, 배터리용 콘택트(5)와 충전 전극단자(12)를 동시에 압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용 콘택트(5)를 압입하는 치구를, 절결공(13)에 마주 대하는 배터리용 콘택트(5)의 수직편(5c)의 하단의 평탄면(14)에 눌러대고, 압입 수납부(10) 전측의 수직 내벽 면에 수직편(5c)을 부합하게 하도록 압입한다. 이 경우 치구를 눌러대는 면이 평탄면(14)이기 때문에, 힘을 가하여 무리 없이, 또는 원활하게 배터리용 콘택트(5)를 압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압입 수납부(10, 11)에, 배터리용 콘택트(5), 충전 전극단자(12)를 각각 압입 수납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기기용 리셉터클을 완성하게 된다.
또한, 도면 중의 17은, 통체(2)에 일체로 형성된 회로 기판(30)에서의 위치 결정 돌기이며, 또한 18은 각 전극 배설부(7)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재치각(載置脚), 19는 압입 수납부(10)의 천정부에 마련된 개구이다.
그리하여, 본 실시 형태의 리셉터클을 전기 기기에 끼워 넣은 경우에는, 도1(a), (b)에 나타내는 것처럼, 배터리 장착부(52)부터 일단 낮게 형성된 회로 기판(30)에 실장한다. 이 때, 배터리용 콘택트(5)의 전극 접촉부(15)는 배터리 장착부(52)의 위쪽으로 앞부분이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배터리(50)를 배터리 장착부(52)에 장착할 때에는, 전극(51)을 형성한 단면의 하단을 배터리 장착부(52)의 상면에 맞추면서 타단측을 도 1(a)에 나타내는 것 같이 올려서 배터리(50)를 경사지게 유지하며, 요부(50a) 내의 전극(51)을 전극 접촉부(15)에 눌러 붙인다.
이 상태에서 배터리(50)를 전방으로 압출하고 사편(5e)을 전극 배설부(7) 측방향으로 휘면서, 또한 타단 측을 눌러 내림으로써, 도 1(b)에 나타내는 것 같이, 배터리 장착부(52) 상에 장착할 수 있다. 이 장착 상태에서는 배터리(50)는 사편(5e)의 탄성체 탄성에 의하여 전극(51)이 전극 전촉부(15)에 의해 압압(押壓)되며, 이 전극 접촉부(15)와 배터리 장착부(52)의 타단측에 마련되어 있는 벽(미도시)과의 사이에 배터리(50)가 지지되게 된다. 도시하는 화살표는 배터리(50)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장착된 배터리(50)를 꺼낼 때에는, 도 1(b)의 상태에서 배터리(50)를 전방에, 배터리용 콘택트(5)의 사편(5e)의 탄성체 탄성에 맞서게 움직이게 하고 상기 벽과 배터리(50)의 타단 측과의 사이의 간격을 만들며, 이 상태에서 배터리(50)의 타단 측을 올리면서 배터리(50)를 경사지게 하여 배터리 장착부(52) 위쪽으로 이탈시키는 것이다.
또, 회로기판(30)을 배터리 장착부(52)와 더불어 일체로 형성하는 성형 기판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은, 외부 플러그의 신호 콘택트에 접속하는 신호 포스트의 접촉부를 병설 배치한 플러그 삽탈부와, 이 플러그 삽탈부의 후면 측에 있어서,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신호 포스트의 접속부와, 상기 플러그 삽탈부의 측면 측에 있어서, 플러그 삽탈부의 후면 측에 병행하여 돌출하는 판탄성재로 이루어진 배터리용 콘택트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전극 배설부,를 구비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배터리용 콘택트가, 회로 기판에 접속된 기판 접속부와, 이 기판 접속부에 연결되며, 전극 배설부의 후면 측으로 돌출하고, 전극 배설부 방향으로 자유롭게 휘어지는 사편과, 이 사편의 한 쪽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전극 배설부의 후면 측으로 돌출한 대략 U자상의 형상이며, 배터리의 전극과 접촉하는 전극 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배터리 전극을 마련한 일 단면을 기울여 아래로 향하게 하여 전극을 배터리용 콘택트의 전극 접촉부에 탄성 접촉시켜서 사편을 눌러 넣도록 휘면서 배터리를 눌러 내리는 것으로써, 배터리를 접속 장착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배터리의 단부를 콘택트 본체로 덮도록 하여 하면에 마련된 전극을 배터리 접촉부에 눌러 대는 경우에 비하여 배터리 장착부를 작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양단 방향의 치수가 짧은 소형 배터리의 사용도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휨방향이 전극 배설부의 전후방향이므로, 상하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에 비해, 휨값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결과적으로 접촉압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배터리 전극과의 접촉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극 배설부의 하면 측 및 후면 측에 개구된 수납 공간을 구비하며, 이 수납공간에 배터리용 콘택트를 압입 수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성의 배터리용 콘택트를 전극 배설부에 효과적으로 배설할 수 있다.
더욱이, 배터리용 콘택트는, 기판 접속부로부터 사편에 이르기까지의 부위에, 상기 기판 접속부에 연결되는 평편과, 이 평편의 타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배터리용 콘택트를 압입 수납하는 수납 공간 내의 전면 측의 수직 내벽면을 따라 배설된 수직편을 마련하는 것과 더불어, 이 수직편과 상기 평편의 경계 부위에 절결공을 형성하며, 이 절결공에 마주 대하는 수직편의 하단면을 평탄면으로 하면, 배터리용 콘택트의 압입 시에 수직편의 하단 평판면을 치구에 의해 압압 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압입이 용이하게 행해지는 효과도 추가된다.
또한, 전극 배설부에,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전극 배설부의 전면 측에 배설된 접촉 전극부로 이루어진 충전 전극용 단자를 마련하며, 게다가, 전극 배설부의 하면 측에 개구된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이 수납 공간 내에 충전 전극용 단자를 압입 수납하는 것에 의해, 충전 전극단자와, 배터리용 콘택트를 동일 방향으로부터 압입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끼워 넣기를 동시에 할 수 있어서, 끼워 넣는 공정 수의 삭감을 도모한다는 효과가 추가된다.

Claims (5)

  1.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에 있어서,
    외부 플러그의 신호 콘택트에 접속하는 신호 포스트의 접촉부를 병설 배치한 플러그 삽탈부와,
    이 플러그 삽탈부의 후면 측에 있어서,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신호 포스트의 접속부와,
    상기 플러그 삽탈부의 측면 측에 있어서, 플러그 삽탈부의 후면 측에 병행하여 돌출하는 판탄성재로 이루어진 배터리용 콘택트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전극 배설부,를 구비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배터리용 콘택트가, 회로 기판에 접속된 기판 접속부와,
    이 기판 접속부에 연결되며, 전극 배설부의 후면 측으로 돌출하고, 전극 배설부 방향으로 자유롭게 휘어지는 사편과,
    이 사편의 한 쪽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전극 배설부의 후면 측으로 돌출한 대략 U자상의 형상이며, 배터리의 전극과 접촉하는 전극 접촉부와,
    를 구비하는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
  2. 제 1항에 있어서, 전극 배설부의 하면 측 및 후면 측에 개구한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이 수납공간 내에 배터리용 콘택트를 압입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
  3. 제 2항에 있어서,
    배터리용 콘택트에는, 기판 접속부로부터 사편에 이르기까지의 부위에, 상기 기판 접속부에 연결되는 평편과, 이 평편의 타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배터리용 콘택트를 압입 수납하는 수납 공간 내의 전면 측의 수직 내벽면을 따라 배설된 수직편을 마련하는 것과 더불어,
    이 수직편과 상기 평편의 경계 부위에 절결공을 형성하며, 이 절결공에 마주 대하는 수직편의 하단면을 평탄면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
  4. 제 1항에 있어서,
    전극 배설부가,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전극 배설부의 전면 측에 배설된 접촉 전극부,
    로 이루어진 충전 전극용 단자를 마련하여 이루어진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
  5. 제 4항에 있어서,
    전극 배설부의 하면 측에 개구된 수납 공간을 구비하며, 이 수납 공간 내에 충전 전극용 단자를 압입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
KR10-2002-7002206A 2000-07-10 2001-07-09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 KR100418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08984A JP4269493B2 (ja) 2000-07-10 2000-07-10 バッテリ使用機器用レセプタクル
JPJP-P-2000-00208984 2000-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560A true KR20020043560A (ko) 2002-06-10
KR100418118B1 KR100418118B1 (ko) 2004-02-14

Family

ID=18705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206A KR100418118B1 (ko) 2000-07-10 2001-07-09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22274B2 (ko)
EP (1) EP1300894B1 (ko)
JP (1) JP4269493B2 (ko)
KR (1) KR100418118B1 (ko)
CN (1) CN1172383C (ko)
DE (1) DE60130765T2 (ko)
TW (1) TW522618B (ko)
WO (1) WO2002005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8683B2 (en) * 2010-10-28 2013-01-08 The Wiremold Company Electrical pop out device
TWM320751U (en) * 2007-04-27 2007-10-11 Advanced Connectek Inc Battery connector
US7575469B1 (en) * 2008-09-05 2009-08-18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attery connector
CN106997997B (zh) * 2016-01-22 2019-06-25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992Y2 (ja) * 1990-11-01 1996-01-31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接触タイミング差付きコネクタ
JPH0773934A (ja) 1992-12-22 1995-03-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ング機能付きコネクタ
JPH0969374A (ja) 1995-08-31 1997-03-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ソケット
EP0902994B1 (en) * 1996-05-31 2001-11-28 The Whitaker Corporation Rechargeable battery connector
US5885090A (en) * 1997-03-21 1999-03-2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tabilized offset spring arm
EP0924804B1 (de) * 1997-12-22 2003-03-12 The Whitaker Corporation Anordnung zur federnden Kontaktierung
US5909102A (en) * 1998-01-21 1999-06-01 Motorola, Inc. Battery connection apparatus employing fixed latching members
GB9804333D0 (en) * 1998-02-27 1998-04-22 Amp Great Britain Device-to-board electrical connector
US6027381A (en) * 1998-12-28 2000-02-2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Insert molded compression connector
US6354870B1 (en) * 1999-08-12 2002-03-12 Matsushita Mobil Communication Development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small electrical connector
JP2001076782A (ja) 1999-09-07 2001-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ッテリ接続コネクタ
US6302727B1 (en) * 2000-09-08 2001-10-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ulti-axis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s incorporating same
USD486448S1 (en) * 2002-06-20 2004-02-10 J.S.T. Mfg. Co., Ltd. Connector to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8118B1 (ko) 2004-02-14
JP2002025517A (ja) 2002-01-25
US20030059671A1 (en) 2003-03-27
EP1300894B1 (en) 2007-10-03
US7122274B2 (en) 2006-10-17
TW522618B (en) 2003-03-01
CN1172383C (zh) 2004-10-20
CN1383585A (zh) 2002-12-04
JP4269493B2 (ja) 2009-05-27
WO2002005364A1 (en) 2002-01-17
EP1300894A4 (en) 2006-12-27
DE60130765T2 (de) 2008-07-17
DE60130765D1 (de) 2007-11-15
EP1300894A1 (en) 200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729B1 (ko) 배터리 커넥터
US7217158B2 (en) Electrical connector
EP1006617B1 (en) High voltage connector
US7070456B1 (en) Battery connector
US20050112952A1 (en) Power jack connector
US6203335B1 (en) Mobile phone connector and the art of assembly of contacts and a housing
JPH11339744A (ja) 電池ホルダ
US20030216067A1 (en) Battery connector
US6574855B1 (en) Method of making a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WO2001075988A2 (en) Internal battery holding structure in mobile equipment
WO2003010840A1 (en) Terminal structure and mounting part
JPH10507303A (ja) 一体的支持構造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2003197323A (ja) オーディオジャック
JPH0562972U (ja) コネクタ
EP1361627B1 (en) Connector which can be simplified in structure of an end portion in a card inserting/removing direction
US20030045173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ontacts
KR100418118B1 (ko)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
US20030216073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ivotable contact
US7722393B1 (en) Battery connector
JPH11126667A (ja) 電気コンタクト
US6336820B2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EP1109261A3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orientation features
US7121861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6333588B1 (en) Piezoelectric transformer-accommodating case, a base connector and a socket connector for connecting wires to the case
US6273760B1 (en) Hybrid connector with audio j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