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896A - 키랄 데커시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키랄 데커시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896A
KR20020042896A KR1020000072243A KR20000072243A KR20020042896A KR 20020042896 A KR20020042896 A KR 20020042896A KR 1020000072243 A KR1020000072243 A KR 1020000072243A KR 20000072243 A KR20000072243 A KR 20000072243A KR 20020042896 A KR20020042896 A KR 20020042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preparation
reacted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희
손순주
번고준
Original Assignee
김상희
이희설
주식회사 싸이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희, 이희설, 주식회사 싸이제닉 filed Critical 김상희
Priority to KR1020000072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2896A/ko
Publication of KR20020042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89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랄 데커시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7-히드록시-6-(3-메틸부트-2-에닐)쿠마린에 디메틸 크로멘 고리를 도입한 후 산화 및 환원시키는 본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의 키랄 데커시놀을 간편하게 고효율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랄 데커시놀의 제조방법{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KIRAL DECURSINOL}
본 발명은 키랄 데커시놀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키랄 데커시놀은 공지된 천연물로서 당귀(Angelica gigas) 등으로부터 추출 정제가능하며 진통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생리활성 검색, 독성 실험 및 전임상 실험 등에 사용할 정도의 충분한 양을 천연물로 확보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화학식 1
이에, 최근 키랄 데커시놀을 다량 합성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라세믹 데커시놀을 합성하는 방법이 문헌[Can. J. Chem., 1971, 49, 2297]에 개시되어 있고, 천연물 (R)-퓨세다놀-3'-O-베타-글루코피라노시드를 산 가수분해하여 라세믹 데커시놀을 2 내지 3%의 수율로 얻을 수 있음이문헌[Phytochemistry, 1978, 17, 328]에 개시되어 있을 뿐, 키랄 데커시놀의 전합성은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랄 데커시놀을 간편하게 고효율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i-a)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디클로로디시아노-p-벤조퀴논(DDQ)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제조하거나, 또는 (i-b)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름산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제조한 다음 N-브로모숙신이미드(NBS) 및 α,α'-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ii)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산화시켜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i)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환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하기 반응식 1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상기 단계 (i-a) 또는 (i-b) 내지 (iii)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살펴보면, 단계 (i-a)에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유기용매(예: 디에틸에테르, 벤젠) 중에서 DDQ와 환류시킴으로써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는, 단계 (i-b)에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90 내지 110℃에서 포름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제조한 후(단계 (i-b-1)), 이 화합물을 70 내지 80℃에서 유기용매(예: CCl4) 중에서 NBS 및 AIBN과 반응시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단계 (i-b-2)).
단계 (ii)에서, 제콥센(Jacobsen) 촉매((S,S)-(+)-N,N-비스(3,5-디-tert-부틸살리실리덴)-1,2-사이클로헥산디아미노망간(II) 클로라이드, 문헌[Tet. Lett., 1991, 5055;JACS, 1990, 2801;JACS, 1991, 7063; 및JOC, 1991, 2296] 참조)를 사용하여 상기 단계 (i)에서 제조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0 내지 5℃에서 유기용매(예: CH2Cl2) 중에서 산화하여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제조되는 화학식 4의 화합물은 키랄 에폭시드이며, 키랄 HPLC에서 단지 하나의 에난티오머(enantiomer)만이 관찰된다.
단계 (iii)에서, 상기 단계 (ii)에서 제조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0 내지 25℃에서 유기용매(예: 테트라히드로푸란 무수물) 중에서 NaBH3CN 및 BF3Et2O과 반응시켜 벤질 위치를 환원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목적 화합물, 즉 키랄 데커시놀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제조되는 최종 화합물인 키랄 데커시놀의 에난티오머 과잉률(enantiomer excess, ee)은 모셔산(Mosher acid, (S)-(-)-d-메톡시-알파-(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과 반응시켜 제조되는 하기 화학식 6b의 모셔 에스테르의 양으로부터 99% 이상인 것으로 확인된다. 이것은 하기 반응식 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라세믹 데커시놀과의 비교에서 얻어진 값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예를 들어, CH2Cl2중에서p-톨루엔설폰산(TsOH) 및m-클로로퍼벤조산(mCPBA)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하기 화학식 1'의 라세믹 데커시놀을 모셔산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6a 및 6b의 모셔 에스테르로 전환시킴으로써 얻어지는 1:1의 2개의 디아스테레오머(diastereomer)의 NMR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구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에 출발물질로서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2의 7-히드록시-6-(3-메틸-2-부테닐)쿠마린은 문헌[J. Chem. Soc. Perkin Trans. 1, 1994, 3101]에 기재된 방법을 개선하여 하기 반응식 3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3에서, 출발물질인 화학식 7의 화합물은 알드리치(Aldrich)사 또는 티씨아이(TCI)사로부터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다. 먼저, 화학식 7의 화합물의 히드록시기를 벤질기로 보호한 후(화학식 8의 화합물), NaOCH3과 반응시켜 고리를 열고(화학식 9의 화합물), 프레닐화(prenylation)한 다음(화학식 10의 화합물), 클레이센 재배치(claisen rearragemet) 반응을 통하여 6-위치의 탄소에 프레닐기를 가지는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합성한다. 이어,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BCl3과 반응시켜 벤질기를 제거함으로써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천연물 키랄 데커시놀을 간편하게 고효율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조예: 7-히드록시-6-(3-메틸-2-부테닐)쿠마린(화합물 2)의 제조(문헌[ J. Chem. Soc. Perkin Trans. 1 , 1994, 3101] 참조)
1) 7-벤질옥시쿠마린(화합물 8)의 제조
알드리치사로부터 구입한 7-히드록시쿠마린(화합물 7) 50.1 g(0.309 mol) 및 K2CO347 g(0.340 mol)을 교반기와 응축기가 장착된 3-목 플라스크에 첨가한 다음, 질소 분위기 하에서 여기에 시약용 아세톤 800 ml 및 벤질 브로마이드 40.4 g(0.340 mol)을 첨가하였다. 이어, 이 밝은 노란색의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용매인 아세톤 400 ml를 증류시킨 다음,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물 2 l에 붓고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이 용액을 여과하여 생성된 밝은 노란색의 고체를 분리한 후, 고체를 물 및 헥산으로 세척한 다음 진공에서 건조시켜 순수한 흰색의 고체(화합물 8) 77.5 g(수율: 99%)을 얻었다.
2) 4'-벤질옥시-2'-히드록시신나메이트(화합물 9)의 제조
7-벤질옥시쿠마린(화합물 8) 77.05 g(0.305 mol), NaOCH349.4 g(0.914 mol) 및 메탄올 800 ml를 교반기와 응축기가 장착된 3-목 플라스크에 첨가한 다음, 질소 분위기 하에서 이 혼합물을 6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생성된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고체 NH4Cl 100 g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한 다음 20분 동안 교반하고, 물 2 l에 붓고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이 용액을 여과하여 생성된 밝은 노란색의 고체를 분리한 후, 고체를 물 및 헥산으로 세척한 다음 진공에서 건조시켜 순수한 흰색의 고체(화합물 9) 78.0 g(수율: 90%)을 얻었다.
3) 4'-벤질옥시-2'-(3-메틸-2-부테닐옥시)신나메이트(화합물 10)의 제조
4'-벤질옥시-2'-히드록시신나메이트(화합물 9) 45.09 g(0.159 mol), 아세톤 450 ml, K2CO3124.5 g(0.903 mol) 및 3-메틸부트-2-에틸 브로마이드(순도 90%) 34.62 ml(0.270 mol)를 교반기와 응축기가 장착된 3-목 플라스크에 첨가한 다음, 질소 분위기 하에서 이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용매인 아세톤 200 ml를 증류시킨 다음,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물 2 l에 붓고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이 용액을 여과하여 생성된 밝은 노란색의 고체를 분리한 후, 고체를 물 및 헥산으로 세척한 다음 진공에서 건조시키고 에테르/헥산(1/5)으로 재결정하여 흰색의 고체(화합물 10) 50.4 g(수율: 90%)을 얻었다.
4) 7-벤질옥시-6-(3-메틸-2-부테닐)쿠마린(화합물 11)의 제조
디에틸아닐린 220 ml 중의 4'-벤질옥시-2'-(3-메틸-2-부테닐옥시)신나메이트(화합물 10)(37.5 g, 0.106 mol) 용액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하룻밤 동안 200℃ 오일욕에서 가열하였다. 반응액의 용매를 진공 증류시킨 다음 여기에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를 첨가하고, 1N HCl로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이어,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헥산(1/5)으로 재결정하여 흰색의 고체(화합물 11) 27.1 g(수율: 80%)을 얻었다.
5) 7-히드록시-6-(3-메틸-2-부테닐)쿠마린(화합물 2)의 제조
건조 CH2Cl2168 ml 중의 7-벤질옥시-6-(3-메틸-2-부테닐)쿠마린(화합물 11)(5.38 g, 16.8 mmol) 용액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20℃에서 헥산 중의 1M 삼염화보론 19 ml(0.019 mol)를 적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액에 메탄올 10 ml을 넣은 후, 얼음물 20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혼합된 유기층을 NaHCO3포화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이어,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고 에테르/헥산(1/5)으로 재결정하여 흰색의 고체(화합물 2) 3.7 g(수율: 85%)을 얻었다.
1H-NMR (CDCl3): δ 1.78 (3H, s), 1.80 (3H, s), 3.37 (2H, d,J=7.5 Hz), 5.33 (1H, br t,J=7.5 Hz), 6.23(1H, d,J=9.5 Hz), 6.60 (1H, br s), 6.92 (1H, s), 7.20 (1H, s), 7.63 (1H, d,J=9.5 Hz).
실시예 1 : 8,8-디메틸-8H-피라노[3,2- g ]크로멘-2-온(화합물 3)의 제조(단계 (i-a))
에테르 100 ml 중의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7-히드록시-6-(3-메틸-2-부테닐)쿠마린(화합물 2)(3.5 g, 15.2 mmol)과 DDQ(6.8 g, 30 mmol)의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NaHSO3포화수용액 10 ml를 가한 다음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반응액을 에테르 100 ml로 희석한 다음, 1N NaOH 및 염수로 차례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이어,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고 에테르/헥산(1/5)으로 재결정하여 흰색의 고체(화합물 3) 2.1 g(수율: 60%)을 얻었다.
1H-NMR (CDCl3): δ 1.46 (6H, s), 5.69 (1H, d,J=9.9 Hz), 6.21 (1H, d,J=9.5 Hz), 6.34 (1H, d,J=9.9 Hz), 6.71 (1H, s), 7.04 (1H, s), 7.58 (1H, d,J=9.5 Hz).
실시예 2 : 8,8-디메틸-8H-피라노[3,2- g ]크로멘-2-온(화합물 3)의 제조(단계 (i-b))
1) 8,8-디메틸-7,8-디히드로-6H-피라노[3,2-g]크로멘-2-온(화합물 5)의 제조(단계 (i-b-1))
포름산 40 ml 중의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7-히드록시-6-(3-메틸-2-부테닐)쿠마린(화합물 2)(5.0 g, 21.7 mmol)을 3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이어, 포름산을 증발시킨 후, 여기에 헥산/에틸 아세테이트(5/1) 50 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여과하여 생성된 밝은 노란색의 고체를 분리한 후, 고체를 헥산으로 세척한 다음 진공에서 건조시켜 미황색의 고체(화합물 5) 4.9 g(수율: 98%)을 얻었다.
1H-NMR (CDCl3): δ 1.30 (6H, s), 1.78 (2H, t,J=6.9 Hz), 2.76 (2H, t,J=6.9 Hz), 6.13 (1H, d,J=9.6 Hz), 6.66 (1H, s), 7.09 (1H, s), 7.50 (1H, d,J=9.6 Hz).
2) 8,8-디메틸-8H-피라노[3,2-g]크로멘-2-온(화합물 3)의 제조(단계 (i-b-2))
CCl480 ml 중의 8,8-디메틸-7,8-디히드로-6H-피라노[3,2-g]크로멘-2-온(화합물 5)(4.0 g, 17.4 mmol)에 AIBN 28 mg(0.17 mmol) 및 NBS 3.1 g(17.4 mmol)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여기에, 추가의 AIBN 14 mg 및 NBS 1 g을 첨가한 후, 추가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이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용매를 20 ml까지 증발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유기층을 NaHCO3포화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이어, 용매를 제거한 후,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흰색의 고체(화합물 3) 2.8 g(수율: 70%)을 얻었다.
1H-NMR (CDCl3): δ 1.46 (6H, s), 5.69 (1H, d,J=9.9 Hz), 6.21 (1H, d,J=9.5 Hz), 6.34 (1H, d,J=9.9 Hz), 6.71 (1H, s), 7.04 (1H, s), 7.58 (1H, d,J=9.5 Hz).
실시예 3 : 2,2-디메틸-1 a ,9 b -디히드로-2H-1,3,5-트리옥사-사이클로프로파[ a ]안트라센-6-온(화합물 4)의 제조(단계 (ii))
시판되는 가정용 표백제인 클로록스(Clorox)((주)유한락스사제) 14.25 ml를 0.05M Na2HPO4용액 5.7 ml로 희석시킨 후, 여기에 1M NaOH 용액을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11.3으로 조정하였다. 이 용액에 CH2Cl26 ml 중의 제콥센 촉매(72.5 mg, 0.11 mmol)와 상기 실시예 1 또는 2에서 제조된 8,8-디메틸-8H-피라노[3,2-g]크로멘-2-온(화합물 3)(1.3 g, 5.7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이 2상 혼합물을 4℃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CH2Cl210 ml를 반응액에 첨가하고 갈색의 유기상을 분리하여 물 및 염수 각각 50 ml로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이어, 용매를 제거한 후,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흰색의 고체(화합물 4) 1.08 g(수율: 78%)을 얻었다.
1H-NMR (CDCl3): δ 1.31 (3H, s), 1.61 (3H, s), 3.54 (1H, d,J=4.4 Hz), 3.96 (1H, d,J=4.4 Hz), 6.27 (1H, d,J=9.5 Hz), 6.77 (1H, s), 7.46 (1H, s), 7.63 (1H, d,J=9.5 Hz).
실시예 4 : 데커시놀(화합물 1)의 제조(단계 (iii))
테트라히드로푸란 무수물 130 ml 중의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2,2-디메틸-1a,9b-디히드로-2H-1,3,5-트리옥사-사이클로프로파[a]안트라센-6-온(화합물 4)(8.33 g, 34.1 mmol) 용액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NaBH3CN 2.71 g(41.0 mmol) 및 BF3Et2O 2.16 ml(34.1 mmol)를 순차적으로 4℃에서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액에 NaHCO3포화수용액 100 ml를 넣은 후 에틸 아세테이트 1,000 ml를 첨가하고,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 및 에틸 아세테이트/헥산=1/2로 재결정하여 흰색의 고체(화합물 1) 7.2 g(수율: 86%)을 얻었다.
1H-NMR (CDCl3): δ 1.30 (3H, s), 1.33 (3H, s), 2.76 (1H, dd,J=5.7, 16.8 Hz), 3.04 (1H, dd,J=5.7, 16.8 Hz), 3.80 (2H, t,J=5.7 Hz), 6.16 (1H, d,J=9.6 Hz), 6.72 (1H, s), 7.11 (1H, s), 7.51 (1H, d,J=9.6 Hz).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천연물 키랄 데커시놀을 간편하게 고효율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5)

  1. (i)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단계, (ii)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산화시켜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i)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환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2.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i)에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디클로로디시아노-p-벤조퀴논(DDQ)과 반응시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i)에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름산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제조한 다음, N-브로모숙신이미드(NBS) 및 α,α'-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과 반응시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5
  4.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ii)에서, 제콥센(Jacobsen) 촉매((S,S)-(+)-N,N-비스(3,5-디-tert-부틸살리실리덴)-1,2-사이클로헥산디아미노망간(II)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화학식 3의 화합물을 0 내지 5℃에서 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iii)에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0 내지 25℃에서 NaBH3CN 및 BF3Et2O과 반응시켜 환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0072243A 2000-12-01 2000-12-01 키랄 데커시놀의 제조방법 KR20020042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243A KR20020042896A (ko) 2000-12-01 2000-12-01 키랄 데커시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243A KR20020042896A (ko) 2000-12-01 2000-12-01 키랄 데커시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896A true KR20020042896A (ko) 2002-06-08

Family

ID=2767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243A KR20020042896A (ko) 2000-12-01 2000-12-01 키랄 데커시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289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589A (ja) * 1985-07-19 1987-01-28 Tsumura Juntendo Inc ハマウド−ルの製造方法
JPH02223584A (ja) * 1989-02-27 1990-09-05 Taisho Pharmaceut Co Ltd フラノクマリン誘導体
KR20010096074A (ko) * 2000-04-17 2001-11-07 박호군 알릴화된 방향족 화합물 및 피라노쿠마린 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020003940A (ko) * 2000-06-27 2002-01-16 채문식 항암제 데커신 및 그 합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589A (ja) * 1985-07-19 1987-01-28 Tsumura Juntendo Inc ハマウド−ルの製造方法
JPH02223584A (ja) * 1989-02-27 1990-09-05 Taisho Pharmaceut Co Ltd フラノクマリン誘導体
KR20010096074A (ko) * 2000-04-17 2001-11-07 박호군 알릴화된 방향족 화합물 및 피라노쿠마린 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020003940A (ko) * 2000-06-27 2002-01-16 채문식 항암제 데커신 및 그 합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7706B2 (ja) ヒドロキシ置換γ−ブチロラクトンの製造方法
Yato et al. Reduction of carboxylic esters to ethers with triethyl silane in the combined use of titanium tetrachloride and trimethylsilyl trifluoromethanesulfonate
JP5744738B2 (ja) ネビボロールの調製方法
CN109053496B (zh) 一种3-Boc-氨甲基环丁酮的合成方法
KR100980379B1 (ko) 광학활성을 갖는 5-히드록시-3-옥소헵타노에이트 유도체의제조방법
US5286883A (en) (3R,5S)-3,5,6-trihydroxyhexanoic acid derivativ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020042896A (ko) 키랄 데커시놀의 제조방법
JP5544596B2 (ja) 光学活性な環状エーテル化合物の製法及びそれに用いる触媒
US6313320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alanolide precursors
JP2617960B2 (ja) 光学活性カルボン酸をつくる立体異性化方法
US6031115A (en) Process for preparing epoxides
WO2008090078A1 (fr) Procede de synthese de la rhein et de ses derives
KR100457732B1 (ko) 광학합성의 비대칭 푸로푸란리그난 화합물의 신규 제조방법
WO2008139056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u 2-(n-butyl)-5-nitrobenzofurane
AU711450B2 (en) A process of making 3-phenyl-1-methylenedioxyphenyl-indane-2-carboxylic acid derivatives
US4357278A (en) Process for synthesizing estrone or estrone derivatives
CN113816855B (zh) 合成手性烯丙基羧酸酯的方法
FR2472572A1 (fr) Nouveaux composes polycycliques derives de l'anthracene et du naphtacene et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US5292902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odorants and intermediates used therein
Li et al. A New Approach to the Asymmetric Reaction of the Chiron 5‐L‐Menthyloxy‐2 (5H)‐furanones with Horner‐Emmons Reagent
KR100543172B1 (ko) 테레인 화합물의 제조방법
JP6345499B2 (ja) (2−ヒドロキシ−3−オキソ−シクロペント−1−エニル)−酢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CN116514759A (zh) 一种二氢杨梅素的合成方法
JP2675569B2 (ja) 2,3−ジヒドロベンゾフラン誘導体の製造方法
KR20010096074A (ko) 알릴화된 방향족 화합물 및 피라노쿠마린 화합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