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803A - 전화번호를 이용한 네트워크 어드레싱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번호를 이용한 네트워크 어드레싱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803A
KR20020042803A KR1020027000624A KR20027000624A KR20020042803A KR 20020042803 A KR20020042803 A KR 20020042803A KR 1020027000624 A KR1020027000624 A KR 1020027000624A KR 20027000624 A KR20027000624 A KR 20027000624A KR 20020042803 A KR20020042803 A KR 20020042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domain name
number portion
separator
do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해리스마크제이
Original Assignee
해리스 마크 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리스 마크 제이 filed Critical 해리스 마크 제이
Publication of KR20020042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80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10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57Directories for hybrid networks, e.g. including telephon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통신이 요구하는 장치를 확인하는 전화번호 부분의 수신을 포함한다. 상기 전화번호 부분은 네트워크상의 장치를 정적으로 나타내는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된다. 상기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의 부분은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이다. 이때 통신은 네트워크상에서 상기 장치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변환 단계는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의 결정가능한 위치에서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에 도메인 분리기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은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분리기에 대한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에 대한 분석단계와 이에 대한 도메인 분리기를 삽입하는 삽입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추가적인 도메인 레벨은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을 완료하기 위하여 변환된 전화번호 부분에 부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두개 이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장치는 첫번째 디바이스에서 두번째 디바이스를 확인하는 전화번호 부분을 수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상에서 두번째 디바이스를 충분히 확인하기 위하여 전화번호 부분을 정적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장치는 정적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을 정적IP 주소와 매치시키는 테이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의미를 가짐과 동시에 종래의 것보다 더욱 경제적인 인터넷 도메인 네임을 가질 수 있는 기능이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통신상에서 인터넷 주소와 간단하고 경제적인 전화번호 모두를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다음과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세하게 기술된 것으로부터 해당 분야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Description

전화번호를 이용한 네트워크 어드레싱 시스템과 그 방법{Network addressing system and method using telephone numbers}
처음에는, 번호만이 인터넷상의 네트워크 주소로 사용되었다. 그 번호는 인터넷 프로토콜 번호라 하고, 간단하게 IP 주소라 한다. 이 번호는 실제로 어떤 것에 대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그 번호를 기억하기도 어렵다.
최근에, 인터넷번호할당기구(IANA)가 도메인 네임 시스템을 만들었고, 각 도메인 네임은 IP 주소를 가리키는 이해할 수 있고 의미있는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IBM.com"은 사용자가 198.81.209.2(IBM IP 주소)와 같은 특정 IP 번호 또는 주소에 연결할 수 있는 도메인 네임이다. 지금에 와서, 전 세계의 인터넷 사용자는 인터넷상의 중심이 되는 이러한 인터넷 도메인 네임 등록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의 것을 찾는다.
일반적으로 도메인 네임은 이름과 '.'(dot)과 "com', "net", "org"와 같은 최상위 레벨 도메인(Top Level Domain, TLD)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사람들에게 주소를 쉽게 기억할 수 있게 하는 반면에, 인터넷 도메인 네임 등록시스템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인터넷 도메인 네임의 공급에는 한계가 있다. 어떤 회사는 Computers.com과 같이 인터넷상에서 주어진 이름을 등록하거나 소유할 수 있다. 다른 최상위 레벨 도메인은 Computers.net과 Computers.org와 같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것은 Computers.com보다 열등한 것으로 간주된다. 첫 번째 문제점은 인터넷 도메인 네임의 높은 가격이다. 이름은 급등하는 인터넷 도메인 네임 시장에 독점적으로 생성되었고, 전하는 바에 의하면 어떤 도메인 네임은 수백만 달러에 판매되고 있다. 또한, 도메인 네임 등록자의 현재 독점권 그리고/또는 한정된 수 때문에, 그 가격이 더욱 상승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두 번째 문제점은 일반적으로 인터넷 도메인 네임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72시간 이상이 걸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자신의 사이트를 빨리 만들어야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에게는 문제점이 된다. 게다가, 등록된 후 인터넷 도메인 네임은 고정된다. 최초의 도메인 네임으로부터 하나의 문자만을 바꾸어도 새로운 이름이 되며 재등록되어야만 한다. 도메인 네임을 다시 등록하는 것은 추가비용을 초래하고 새로운 이름이 사용될 수 없게 되는 위험이 따른다. 실제로 도메인 네임 등록자나 사이버-불법등록자의 판매는 결국 어떤 사람이 그들이 등록하고 있는 이름을 필요로 하고 구매하려는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겉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불가변성"은 인터넷과 전화망의 집중으로 더 큰 문제가 된다.
상기된 몇몇 문제점에 대하여 시도되는 해결책은 "포워드 슬래쉬(Forward Slash)"라 불리는 서브-디렉토리 기반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Realtor.com과 같은 회사는 Realtor.com/AgentsNameHere와 같이 포워드 슬래쉬로 분리하여 문자열의 끝에 부동산 중개인의 이름을 추가할 수 있다. 이것은 Realtor.com이라는 큰 회사의 일부분이 되기 때문에 중개인에게 값싼 웹사이트로 연결시켜준다. 이론적으로, 포워드 슬래쉬는 각 문자열의 끝에 추가될 수 있기 때문에 한계가 없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점이 있다.
A. IP 주소가 될 수 없다 - 개개의 "사이트"는 유일한 IP 주소 그리고/또는 할당된 주소를 가지기 위한 옵션을 가지지 않는다. 상기 옵션은 최초의 도메인 네임 소유자에게 할당된 IP 주소이다.
B. 시간 지연 - "사이트"가 사용자를 다른 사이트로 연결시킨다면, 사용자는 그동안 기다려야 한다.
C. 긴 주소 - "포워드 슬래쉬" 방법이 사용될 때, 주소는 더 길어져 문제점이 발생된다.
1. 더 긴 주소는 타이핑해야하는 문자가 더 많아져서 실수할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2. 더 긴 주소는 "Realtor 닷컴 포워드 슬래쉬 중개인의 이름"이라고 말해야 하는 라디오 아나운서와 같은 사람에게 전달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한다.
3. 이 주소는 펜과 종이로 쓰지 않고는 기억하는데 너무 오래 걸리며 즉시사용할 수 없다.
D. 독자성의 결여 - 포워드 슬래쉬 방법을 사용하는 회사는 각 이름이 한 번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서브-사이트 이름이 중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유일하면서 특별한 서브-사이트와 관련된 이름을 사용하려 하지만, 이 방법은 실제로 어렵다.
광고, 문학, 비지니스 카드 등과 같은 상업상 전달은 인터넷과 도처에 편재된 전화의 연속성 때문에 인터넷 주소와 전화번호 모두를 포함해야한다. 두 정보의 사용은 기억해야할 더 많은 정보를 생성할 뿐만아니라 전달방법을 더 혼란스럽게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자신의 도메인 네임에 전화번호를 사용하고 있는 회사도 몇몇 있다. 인터넷 도메인 네임으로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것은 새로운 일이 아니다. 다음의 회사가 사용하는 접근법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회사에 엄격히 제한된다.
사람들이 인터넷에 참가하기 시작하면서, 회사들도 점점 전화번호를 인터넷주소에 통합시키기 시작했다. 극히 몇몇의 개인 그리고/또는 조직은 실제로 다이얼 가능한 전화번호를 인터넷 도메인 네임으로 등록했다.
대부분 일반적인 전화번호/인터넷 도메인 네임은 "1-800-Flowers.com"와 같다. 그것은 그들의 전화번호일 뿐만아니라 회사이름이기 때문에 그 회사에 대해서는 자연스러운 사용이었다. 이러한 접근법은 또다시 상기된 바와 같은 인터넷 도메인 네임의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상에서 단일의 서브-도메인, 즉 "1-800-flowers",만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러한 접근법은 포워드 슬래쉬 방법의 것보다 더 높은 비용이 소요되고 이용가능한 것이 부족해지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접근법이 갖는 추가적인 문제점은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되며, 그것은 네트워크 공급자에게 관련된 것이다. 다른 유사의 것으로 "www.411.com"과 "www.1-800-555-1212.com"이 있으며, 둘 모두 유사한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주소의 부분으로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싱 시스템에 대한 향상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과 인터라넷상의 네트워크 어드레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의 장치를 통신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전화번호를 멀티-레벨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하는 특별한 애플리케이션이다. 본 발명은 개인 프로토콜 또는 인트라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설망 또는 공공망에서 보다 나은 애플리케이션이 될 것으로 높이 평가된다.
본 발명은 각 부분을 물리적 형태의 배열 그리고 단계의 배열로 설명할 수 있다. 도면은 다만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발명의 한정하여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어드레싱 시스템 또는 도메인 네임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미국 전화번호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2의 전화번호를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알맞게 실행하는 논리 흐름을 상세히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네트워크상의 디바이스 연결의 도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통신이 요구하는 장치를 확인하는 전화번호 부분의 수신을 포함한다. 상기 전화번호 부분은 네트워크상의 장치를 정적으로 나타내는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된다. 상기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의 부분은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이다. 이때 통신은 네트워크상에서 상기 장치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변환 단계는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의 결정가능한 위치에서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에 도메인 분리기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은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분리기에 대한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에 대한 분석단계와 이에 대한 도메인 분리가 삽입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추가적인 도메인 레벨은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을 완료하기 위하여 변환된 전화번호 부분에 추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두개 이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장치는 첫번째 디바이스에서 두번째 디바이스를 확인하는 전화번호 부분을 수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상에서 두번째 디바이스를 충분히 확인하기 위하여 전화번호 부분을 정적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장치는 정적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을 정적 IP 주소와 매치시키는 테이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의미를 가짐과 동시에 종래의 것보다 더욱 경제적인 인터넷 도메인 네임을 가질 수 있다는 기능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통신상에서 인터넷 주소와 간단하고 경제적인 전화번호 모두를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다음과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세하게 기술된 것으로부터 해당 분야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인터넷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 매기기 시스템은 전화번호 또는 인터넷/인터라넷망을 통한 네트워크 어드레싱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는 도메인 네임 또는 도메인 네임의 세트로 정의된다.
이에, 전화번호 부분은 교환국(exchange), 지역코드(area code), 그리고/또는 국가코드(country code)를 포함할 수 있는 전화번호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전화번호는 가장 포괄적인 부분에서 더 명확한 부분으로 나아가면서 지리적 한정성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며, (즉, 국가코드는 교환국을 앞서는 지역코드보다 앞선다) 전화번호 부분에 있는 특정 순서는 정적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이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은 것과 같이 변환되거나 전달된다. 즉, 수신된 전화번호는 모든 것이 배열되고 결정될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연속적으로 재배열될 수 있다.
사용상 소스, 타겟, 그리고/또는 디바이스의 조건은 여러 종류의 네트워크에 서로 연결되는 여러 주소가 가능한 디바이스를 참조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들은 컴퓨터, 저장장치, 출력장치, 전화, 개인정보장치, 랩탑, 팜탑 등과 같은 컴퓨터 기반의 장치를 제한없이 포함한다. 네트워크 간의 연결은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 개인 또는 공공의 무선 그리고/또는 유선 전화망, 배선에 의한, 적외선에 의한, 광학에 의한, 또는 전자기 네트워크와 같은 것에 대해 제한없이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현재의 도메인 네임 구조는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이 구조는 기초 레벨 도메인(Base Level Domain, BLD)(10)을 포함한다. 최상위 레벨 도메인 또는 첫번째 레벨 도메인이라 하는 상기 기초 레벨 도메인(10)은 IP 주소 자체와는 관련되지 않으나, 국가들(즉, .US, .CA, .UK, .HK, 등); 대학들(즉, .EDU); 미군(즉, .MIL); 미국정부(즉, .GOV); 회사(즉, .COM, .ORG); ISP(즉, .NET) 사이에 구별되는데 사용되는 논리적 분류이다. 이 기초 레벨 도메인은 두번째 레벨 서브-도메인(12)에 대한 어떠한 질문을 처리한다. 상기 두번째 레벨 서브-도메인(12)은 보통 기초 레벨 도메인(10)과 결합에 사용될 때 IP 주소와 결합된다. 두번째 레벨 도메인 이름의 예는 IBM.COM에 사용되는 IBM이거나, OSU.EDU에 사용되는 OSU이다. 상기 두번째 레벨 도메인(12)는 세번째 레벨 서브-도메인(14)에 대한 어떠한 질문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세번째 레벨 서브-도메인(14)은 일반적으로 두번째 레벨 도메인(12)과 기초 레벨 도메인(10)의 결합에 사용될 때 IP 주소와 결합된다. 상기 세번째 레벨 도메인 이름의 예는 SUPPORT.IBM.COM에 사용되는 SUPPORT이다. 상기 세번째 레벨 서브-도메인(14)은 보통 네번째 레벨 서브-도메인(16)에 대한 어떠한 질문을 처리한다. 상기 네번째 레벨 서브-도메인(16)은 보통 세번째 레벨 도메인(14)과, 두번째 레벨 도메인(12), 기초 레벨 도메인(10)의 결합에 사용될 때 IP 주소와 결합된다. 네번째 레벨 도메인 네임의 몇가지 예는 PC.SUPPORT.IBM.COM 또는 AIX.SUPPORT.IBM.COM에 사용되는 PC 또는 AIX이다. 상기 네번째 레벨 서브-도메인(16)은 보통 그 다음 도메인(18) 등에 대한 질문들을 처리한다. N번째 레벨 도메인(18)은 더 높은 레벨 도메인을 나타내며, N은 더 높은 레벨 도메인(즉, 2, 3, 4, 5,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모든 도메인 네임은 문자(a...z), 숫자(0...9), 대쉬('-')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어나 구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든 도메인 네임 레벨(10-18)은 도메인 분리기(30), 즉 닷('dot'),로 구분된다. 이 분리기(30)는 보다 높은 도메인 레벨의 제어를 그 다음의 낮은 도메인 레벨까지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완전한 도메인 네임은 도메인 네임 세그먼트(34)와 기초 레벨 세그먼트(38)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기초 레벨 세그먼트(38)은 기초 레벨 도메인(10)을 포함하고, 상위 레벨 서브-도메인들을 포함한다. 기초 레벨 세그먼트(38)의 몇가지 예는 단일 레벨 세그먼트(즉, .COM, .NET)와 멀티레벨 세그먼트(즉,IBM.COM;ABC.DEF.ORG; one.two.three.four.five.six.NET)이다. 도메인 네임 세그먼트는 기초 레벨 도메인(10)을 포함하지 않는 닷(30)에 의하여 분리되는 하나 이상의 불연속적인 '이름'의 그룹이다. 도메인 네임 세그먼트의 몇 가지 예는 단일 레벨 세그먼트(즉, ABC, IBM, 전화번호)와 멀티-레벨 세그먼트(즉, ABC.DEF, Support.IBM, one.two.three.four.five.six.etc)이다. 이러한 세그먼트들이 결합될 때, 완전한 도메인 네임이 이루어진다. 도메인 네임 트리(42)는 기초 레벨 세그먼트(38)에 추가되는 몇 개의 도메인 네임 세그먼트(34)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화번호 부분(50)은 그 트리의 어떤 위치에서 현재 도메인 네임 트리(42)에 접목되는 그 세그먼트에 부여하여 단일 또는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 세그먼트(34)에 변환을 위하여 입력된다. 전화번호 부분(50)의 변환은 그 번호의 본래의 분리기(70, 72, 74)(즉, 대쉬, 괄호, 닷 등)를 기반으로 한 불연속적인 항들(52, 54, 56, 58)로 그 번호를 축소시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분리기(70, 72, 74)는 도메인 분리기(30)로 대체되고, 상기 불연속적인 항들(52, 54, 56, 58)은 도메인과 서브-도메인이 된다.
도 3은 도 2에서 설명된 기재 사항으로부터 기인된 멀티-레벨 도메인 네임을 나타낸다. 상기 전화번호 부분(50)은 분리기(70, 72, 74)로 분석되고,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의 조사를 가정하면 상기 분리기는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대체될 것이다. 그러므로, 도 2에서의 분리기(70)는 도 3에서의 도메인 분리기(80)가 된다. 마찬가지로, 도 2에서의 분리기(72, 74)는 도 3에서의 도메인 분리기(82, 84)로 대체된다.
또한, 도 3에서 연속되는 참조는 개조되거나 변환된 전화번호 부분(50)(도 2참조)에 추가적인 도메인 레벨의 부가를 설명한다. 설명된 예에서, 특정 웹서버에 관한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을 완성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서브 도메인, "전화번호"(90), 최상위 레벨 도메인, ".com"(92)가 부가된다. 현재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도메인 레벨이 본 발명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의 어느 위치에 부가될 수 있다는 것을 높이 평가할 것이다. 게다가, 더 나아가 도메인 또는 서브-도메인은 다른 국가코드, 지역코드, 전화교환국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관하여, 대표적 프로세스는 도 2의 전화번호 부분이 도 3의 전화부분으로 변환되므로서 설명된다. 단계 100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네트워크상에서 타겟이나 요구되는 디바이스를 확인하기 위해서 적당한 전화번호 부분을 포함하는 도메인 네임이나 질문을 입력한다. 다의성은 프로세서가 상기 도메인 분리기(30)가 위치할 곳을 결정할 때 이 위치에 삽입된다. 설명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의성은 사용자가 그 질문에 분리기를 입력함에 따라 결정블록(102)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도 2와 도 3에 설명되고 단계 106에 표시된 것 처럼 (미리 결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유기적 분리기(70, 72, 74)를 입력한 사용자에 대한 도메인 분리기(30)를 대체한다. 한편, 단계 10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기를 입력한 사용자가 발견되지 않거나 유기적 분리기의 수가 결정블록(102)에 의해 결정된 것처럼 불충분하게 포함된다면, 이때 도메인 분리기(30)는 정보에 기반되어 결정된 위치 또는 사용자로 저장된 데이터에 삽입될 것이고, 독점은 사용상의 특정 프로토콜 또는 아라비아 숫자중 결정된 번호를 기반으로 한다.
단계 106 또는 단계 108로부터 위치되는 도메인 분리기로, 유사-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이 존재한다. 이때 단계 1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임의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완전한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을 만들기 위해 요구되는 접두사 또는 접미사를 붙일 수 있고, 또는 알려진 요소를 기반으로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사용자는 국가코드, 예를 들어 그 타겟 또는 요구되는 디바이스,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주소에서 극소의 서브-도메인으로부터 기인되는 불충분 또는 모호성을 인식할 것이고, 최초 사용자의 국가코드를 대체하거나 부가할 것이다. 비슷한 추가는 바람직하게 접미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즉, 기초 레벨 도메인의 자동 추가). 이때 블록 1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겟 디바이스는 생성된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에서 네트워크로 질문된다. 상기 타겟 디바이스가 이용가능하다면, 단계 1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치 전달이 소스와 타겟 디바이스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유형에서 응답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에서 포괄적 시스템(120)은 네트워크(122)와 연결된다. 디바이스(124)는 서버(120)에 연결된다. 서버내의 프로세서(120a)는 디바이스(124)로부터 두번째 디바이스(128)을 확인하기 위한 전화번호 부분(50)(도 2 참조)의 주소를 수신한다. 프로세서(120a)는 전화번호 부분을 네트워크(122)를 통하여 두번째 디바이스(128)을 확인하는 정적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96)(도 3 참조)으로 변환시킨다. 목적 설명을 위하여, 상기 디바이스(128)은 자신의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네트워크(122)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많은 다른 내부 연결은 계획되고 같은 설비로 적용한다. 프로세서(120a)는 유기적인 분리기의 존재 또는 부족을 결정하고, 상기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28)을 알맞게 확인하기 위하여 완전한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96)을 생성한다. 이때, 완료된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96)은 메모리(120b)상에서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표준 IP 주소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타겟 디바이스(128)는 변환된 IP 주소 위치에서 질문되고, 가능하다면 질문에 응답한다. 네트워크의 통로 선택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셋업호출(call setup)과 패킷 스위칭(packet switching)의 세부사항은 본 기술에서 설명되고, 종래에도 사용된 기술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다. 분명히, 본 발명은 본 명세서를 일고 이해하는 자에 의하여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에 대응하는 것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이용하여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한 모든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과 인터라넷상의 네트워크 어드레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의 장치를 통신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전화번호를 멀티-레벨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하는 특별한 애플리케이션이다. 본 발명은 개인 프로토콜 또는 인트라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설망 또는 공공망에서 보다 나은 애플리케이션이 될 것으로 높이 평가된다.

Claims (14)

  1. 디바이스를 확인하는 전화번호 부분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전화번호 부분을 네트워크상의 디바이스를 확인하는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하고, 상기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은 상기 전화번호 부분과 기초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단계;
    네트워크상의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을 경유하여 디바이스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네트워크 어드레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의 전화번호 부분은 기초 부분의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네트워크 어드레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의 상기 기초 부분은 기초 레벨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네트워크 어드레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단계는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에서 도메인 분리기를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의 결정된 위치에 추가하는 추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네트워크 어드레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은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단계는 상기 분리기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을 분석하는 분석단계;와
    분석된 분리기에 대하여 도메인 분리기를 삽입하는 삽입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네트워크 어드레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을 완성하기 위하여 변환된 전화번호 부분에 추가적인 도메인 레벨을 덧붙이는 부가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를 이용한 네트워크 어드레싱 방법.
  7. 두번째 디바이스를 확인하는 전화번호 부분을 포함하는 정적,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 첫번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단계;
    네트워크상의 두번째 디바이스의 유용성을 결정하는 결정단계;
    상기 결정단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첫번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두번째 디바이스까지의 통신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선택적 통신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에서의 통신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첫번째 디바이스까지통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에서의 통신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유용성을 결정하는 결정단계는
    네트워크상의 상기 두번째 디바이스에 질문하는 질문단계;와
    상기 두번째 디바이스로부터 두번째 디바이스의 유용성을 나타내는 응답을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에서의 통신방법.
  10. 첫번째 디바이스로부터 두번째 디바이스를 확인하는 전화번호 부분을 수신하고,
    상기 전화번호 부분을 네트워크상의 두번째 디바이스를 확인하는 정적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두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상의 상기 두번째 디바이스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두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적 멀티 레벨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를 조화시킨 테이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두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의 결정된 위치에 도메인 분리기를 더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두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은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분리기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 부분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분리기의 선택 단계에 대하여 도메인 분리기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두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장치.
KR1020027000624A 1999-07-09 2000-07-07 전화번호를 이용한 네트워크 어드레싱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200428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24699P 1999-07-09 1999-07-09
US60/143246 1999-07-09
PCT/US2000/018698 WO2001004767A1 (en) 1999-07-09 2000-07-07 Network addressing system and method using telephone numb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803A true KR20020042803A (ko) 2002-06-07

Family

ID=22503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624A KR20020042803A (ko) 1999-07-09 2000-07-07 전화번호를 이용한 네트워크 어드레싱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EP (1) EP1200900A4 (ko)
JP (1) JP2003504951A (ko)
KR (1) KR20020042803A (ko)
CN (1) CN1244061C (ko)
AT (1) AT411300B (ko)
AU (1) AU773711B2 (ko)
BR (1) BR0012639A (ko)
CA (1) CA2378697A1 (ko)
EA (1) EA003765B1 (ko)
ES (1) ES2217953B1 (ko)
FI (1) FI20020027A (ko)
IL (2) IL147545A0 (ko)
LU (1) LU90873B1 (ko)
MX (1) MXPA02000287A (ko)
NO (1) NO20020085L (ko)
NZ (1) NZ517071A (ko)
PL (1) PL354683A1 (ko)
SE (1) SE0200039L (ko)
TR (1) TR200200929T2 (ko)
WO (1) WO2001004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1915A (ja) * 2004-07-27 2006-02-09 Fuji Xerox Co Ltd 情報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08031459A1 (en) * 2006-09-14 2008-03-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dress resolu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491433B1 (ko) * 2013-07-25 2015-02-06 주식회사 제이투엔 코드 기반의 장치 액세스 방법 및 코드 기반의 장치 액세스를 위한 사용자 장치
US9729413B2 (en) * 2014-10-07 2017-08-08 Coudmark,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domain name system tunneling, exfiltration and infiltr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4318B2 (ja) * 1993-11-11 2002-02-0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ネットワ−ク管理装置の通信制御方法
GB9603590D0 (en) * 1996-02-20 1996-04-17 Hewlett Packard Co Method of accessing a target entity over a communciations network
JP3524703B2 (ja) * 1996-11-22 2004-05-10 三洋電機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対応テレビ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クセス方法
US5884246A (en) * 1996-12-04 1999-03-16 Transgate Intellectual Propert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parent translation of electronically transmitted messages
US5974453A (en) * 1997-10-08 1999-10-2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a static identifier including a telephone number into a dynamically assigned network add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012639A (pt) 2002-05-28
SE0200039L (sv) 2002-03-05
SE0200039D0 (sv) 2002-01-09
NO20020085D0 (no) 2002-01-08
JP2003504951A (ja) 2003-02-04
CN1244061C (zh) 2006-03-01
ATA91162000A (de) 2003-04-15
CN1365468A (zh) 2002-08-21
FI20020027A (fi) 2002-03-07
AU773711B2 (en) 2004-06-03
ES2217953B1 (es) 2006-02-16
ES2217953A1 (es) 2004-11-01
AU6207500A (en) 2001-01-30
CA2378697A1 (en) 2001-01-18
EA003765B1 (ru) 2003-08-28
EP1200900A4 (en) 2007-12-05
PL354683A1 (en) 2004-02-09
EP1200900A1 (en) 2002-05-02
AT411300B (de) 2003-11-25
NZ517071A (en) 2004-05-28
NO20020085L (no) 2002-02-20
MXPA02000287A (es) 2004-05-21
IL147539A0 (en) 2002-08-14
EA200200148A1 (ru) 2002-08-29
IL147545A0 (en) 2002-08-14
LU90873B1 (fr) 2002-03-12
WO2001004767A1 (en) 2001-01-18
TR200200929T2 (tr)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37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internet domain names
US7136932B1 (en) Fictitious domain name method, product, and apparatus
US59447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web site having a home page that automatically adapts to user language and customs
US66838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recting transmission of IPX control packets to influence reception of IPX data packets
KR19980064882A (ko) 인터넷 주소의 자국어 표기 서비스 시스템
US67247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lving an electronic address
KR100706702B1 (ko) 도메인네임서버를 이용한 한글 인터넷컨텐츠주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36344A (ko) 인터넷주소(도메인명)에 한글(모국어)을 사용하는 방법
WO2002017204A1 (en) Native language domain name registration and usage
Baasanjav Linguistic diversity on the internet: Arabic, Chinese and Cyrillic script top-level domain names
KR20020042803A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네트워크 어드레싱 시스템과 그 방법
National Research Council et al. Signposts in cyberspace: the Domain Name System and internet navigation
AU200528497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reverse DNS entries
US71779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NS resolution
EP2647179B1 (en) Service access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lective initiation of communication
JP2003521844A (ja) 単一のアドレスストリングを用いてさまざまな通信アプリケーションを横断して通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300699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lized internet domain names and addressing
KR20000072121A (ko) 도메인네임서버 구축체계 및 그 운영방법
KR20050099943A (ko)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GB2365162A (en) Addressing remote data objects via a computer network
KR20030000692A (ko) 키워드 네임을 이용한 유알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367917A1 (en) Domain name based vanity telephone number assigned to a domain name registrant
KR100732972B1 (ko) 웹 페이지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0541488C (zh) 数据网络中的有意识的寻址和资源查询
KR20000018265A (ko) 통신망의 자연어 이름 변환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