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595A - 팔레트 - Google Patents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595A
KR20020042595A KR1020020026851A KR20020026851A KR20020042595A KR 20020042595 A KR20020042595 A KR 20020042595A KR 1020020026851 A KR1020020026851 A KR 1020020026851A KR 20020026851 A KR20020026851 A KR 20020026851A KR 20020042595 A KR20020042595 A KR 20020042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fixing
hole
coupling hole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훈경
류연희
Original Assignee
윤훈경
류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훈경, 류연희 filed Critical 윤훈경
Priority to KR1020020026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2595A/ko
Publication of KR20020042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59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5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77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B65D19/0089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9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59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하게 접어서 보관 및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많은 량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으므로, 운반 차량의 운행 횟수가 줄어들게 되는 등 전체적인 물류 비용의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이즈로 펼쳐서 다양한 규격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로재(5)와 가로재(10)를 종횡으로 겹쳐서 형성한 상부지지판(15)과, 상기 상부지지판(15)에 수직으로 접합된 다수개의 기둥재(20)를 포함하는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세로재(5) 또는 가로재(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파트(30)와 제2 파트(40)로 분할되고, 상기 제1 파트(30)는 제2 파트(40)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파트(30) 또는 제2 파트(4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공(45)이 폭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파트(30)를 제2 파트(40)로부터 펼쳤을 때 상기 고정공(45)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고정공(45)과 만나는 결합공(50)이 형성되고, 서로 만난 상기 고정공(45)과 결합공(5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파트(30)를 제2 파트(40)로부터 인출시켜, 상기 고정공(45)과 결합공(50)을 만나도록 한 후, 상기 고정공(45)과 결합공(50)을 관통하도록 고정부재(60)를 삽입하면, 상기 제1 파트(30)와 제2 파트(40)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팔레트{pallet}
본 발명은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하게 접어서 보관 및 적재할 수 있고, 다양한 사이즈로 펼쳐서 다양한 규격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팔레트는 물품의 하역이나 운반시에 물건을 적재한 후에, 리프트로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하는 지지판으로서, 목재판재를 조립하여 제작된 팔레트나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하여 제작한 팔레트 또는 강재로 제작된 스틸팔레트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상기 스틸팔레트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주름진 단면 형상의 스틸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세로재와 세로재를 종횡 또는 격자상으로 체결하여 상하 지지판을 형성하고, 이 상하 지지판 사이에 기둥재 또는 블록을 대어 제작된다.
그런데, 상기 팔레트는 부피가 큰 관계로, 그 적재 용량이 적기 때문에, 정해진 량의 팔레트를 차량 등으로 운송 납품한다고 가정하면, 그만큼 차량의 운행 횟수를 늘려야 하는 등과 같이 물류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팔레트를 사용하는 업체의 입장에서는 정해진 공간의 창고 등에 팔레트를 보관하고 적재해야 하는데, 상기 팔레트의 부피가 크므로, 이러한 적재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팔레트를 사용하기 위하여 지게차 등으로 운반할 때에도, 1회에 많은 량의 팔레트를 적재하여 운반할 수 없으므로, 상기지게차 등의 운행을 그만큼 늘려야 하는 등의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상기 팔레트는 정해진 사이즈로 제작되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각각 별도의 사이즈를 갖는 팔레트를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조시의 코스트가 많이 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하게 접어서 보관 및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많은 량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으므로, 운반 차량의 운행 횟수가 줄어들게 되는 등 전체적인 물류 비용의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이즈로 펼쳐서 다양한 규격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팔레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팔레트의 제1 및 제2 파트가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팔레트의 제1 및 제2 파트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세로재 10. 가로재
15. 상부지지판 20. 기둥재
30. 제1 파트 40. 제2 파트
45. 고정공 50. 결합공
60. 고정부재
본 발명에 따르면, 세로재(5)와 가로재(10)를 종횡으로 겹쳐서 형성한 상부지지판(15)과, 상기 상부지지판(15)에 수직으로 접합된 다수개의 기둥재(20)를 포함하는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세로재(5) 또는 가로재(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파트(30)와 제2 파트(40)로 분할되고, 상기 제1 파트(30)는 제2 파트(40)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파트(30) 또는 제2 파트(4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공(45)이 폭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파트(30)를 제2 파트(40)로부터 펼쳤을 때 상기 고정공(45)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고정공(45)과 만나는 결합공(50)이 형성되고, 서로 만난 상기 고정공(45)과 결합공(5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파트(30)를 제2 파트(40)로부터 인출시켜, 상기 고정공(45)과 결합공(50)을 만나도록 한 후, 상기 고정공(45)과 결합공(50)을 관통하도록 고정부재(60)를 삽입하면, 상기 제1 파트(30)와 제2 파트(40)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팔레트의 제1 및 제2 파트(40)가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팔레트의 제1 및 제2 파트(40)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팔레트는 세로재(5)와 가로재(10)를 종횡으로 겹쳐서 형성한 상부지지판(15)과, 상기 상부지지판(15)에 수직으로 접합된 다수개의 기둥재(20)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세로재(5)는 제1 파트(30)와 제2 파트(40)로 분할되어, 상기 제1 파트(30)가 제2 파트(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파트(30)의 선단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공(45)이 횡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파트(30)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 파트(40)에는 고정공(45)과 만나는 결합공(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공(45)과 결합공(50)이 서로 만났을 때, 상기 고정공(45)과 결합공(50)에 동시에 삽입되는 고정부재(60)가 구비된다.
상기 세로재(5)와 가로재(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곡하여 주름진 요철부(5a, 5b)를 갖는 단면 형태의 스틸플레이트로서, 상기 세로재(5)는 제1 파트(30)와 제2 파트(40)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트(30)는 제2 파트(40)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파트(30)의 주름진 요철부(5a)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공(45)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공(45)은 상기 요철부(5a)의 폭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트(30)를 제2 파트(40)로부터 인출시켰을 때의 고정공(45)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고정공(45)과 만나는 결합공(50)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결합공(50)은 제1 파트(30)를 제2 파트(40)로부터 펼쳤을 때, 상기 고정공(45)에 대응되는 위치의 주름진 요철부(5b)에 폭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60)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제1 파트(30)를 제2 파트(40)로부터 인출시켜서, 상기 제1 파트(30)의 고정공(45)과 제2 파트(40)의 결합공(50)이 만나도록 한 후, 상기 고정부재(60)를 끼우게 되면, 상기 제1 파트(30)가 제2 파트(40)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60)의 선단부 둘레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부재(60)가 삽입되는 쪽의 반대쪽에는 너트부재(40a)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재(60)의 나사부를 상기 너트부재(40a)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60)가 상기 고정공(45)과 결합공(50)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파트(30)의 고정공(45)은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다수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재될 화물의 사이즈에 따라 각각의 제1 파트(30)의 고정공(45)을 제2 파트(40)의 결합공(50)에 맞추고, 상기 고정부재(60)를 고정공(45)과 결합공(50)에 끼움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화물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파트(30)와 제2 파트(40)의 인출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팔레트에 의하면, 상기 제1 파트(30)를 제2 파트(40)의 내부로 접어서 보관과 적재 및 운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파트(30)를 제2 파트(40)로부터 인출시켜서 상기 제1 파트(30)의 고정공(45)에 제2 파트(40)의 결합공(50)을 만나도록 한 후, 상기 고정공(45)과 결합공(50)에 볼트형상의 고정부재(60)를 끼우게 되면, 상기 제1 파트(30)가 제2 파트(40)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지판(15) 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로재(5)가 제1 및 제2 파트(40)로 분할되어, 상기 제1 파트(30)가 제2 파트(4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가로재(10)가 제1 및 제2 파트(40)로 분할되어 제1 파트(30)와 제2 파트(40)가 서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파트(30)의 선단부에는 스톱퍼(30c)가 수직으로 하향연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톱퍼(30c)는 상기 제1 파트(30)를 제2 파트(40)로부터 인출시켰을 때, 상기 제2 파트(40)의 기둥재(20)에 걸려지므로, 상기 제1 파트(30)가 제2파트(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면부호 10c는 상기 기둥재(20)의 저면에 구조적인 보강을 위해 설치된 가로재(10c)로서, 팔레트의 종류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팔레트는 상부지지판(15)을 이루는 세로재(5)가 제1 파트(30) 및 제2 파트(40)로 분할되어, 상기 제1 파트(30)가 제2 파트(4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파트(30)를 제2 파트(40)로 밀어넣어서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팔레트가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혀져서, 그만큼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적재 보관 및 운반시에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보다 많은 팔레트를 제한된 공간에서 보관 및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팔레트는 상부지지판(15)을 이루는 세로재(5)가 제1 파트(30) 및 제2 파트(40)로 분할되어, 상기 제1 파트(30)가 제2 파트(4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파트(30)를 제2 파트(40)로 밀어 넣어서 대략 2분의 1의 사이즈로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팔레트가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혀져서, 그만큼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적재 보관 및 운반시에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제한된 공간에 보다 많은 팔레트를 보관 및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팔레트는 대략 사이즈를 2분의 1로 콤팩트하게 접어서 운송 납품할 수 있으므로, 정해진 량의 팔레트를 운송 납품한다고 가정하면, 그만큼 운송 차량의 운행 횟수뿐만 아니라 운송 납품시의 차량에 팔레트를 적재하는 시간 등을 줄일 수 있는 등과 같이 전체적인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트(30)의 고정공(45)은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의 화물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파트(30)와 제2 파트(40)의 인출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적재될 화물의 사이즈에 따라 각각의 제1 파트(30)의 고정공(45)을 제2 파트(40)의 결합공(50)에 맞추고, 상기 고정부재(60)를 고정공(45)과 결합공(50)에 끼움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파트(30)와 제2 파트(40)의 펼쳐진 사이즈를 조절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어서, 적재될 화물의 사이즈에 따라 각각 별도의 사이즈를 갖는 팔레트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별도의 사이즈를 갖는 팔레트의 제작에 따른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코스트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팔레트는 상부지지판을 형성하는 세로재 또는 가로재가 각각 제1 파트와 제2 파트로 분할되어, 상기 제1 파트를 제2 파트로 밀어넣어서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을 수 있으므로, 적재 보관 및 운반시에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게 되며, 보다 많은 팔레트를 제한된 공간에서 보관 및 적재할 수 있고, 정해진 량의 팔레트를 대규모로 운반한다고 가정하면, 그만큼 운반용 차량의 운행 횟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물류 비용의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의 펼쳐진 사이즈를 조절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Claims (1)

  1. 세로재(5)와 가로재(10)를 종횡으로 겹쳐서 형성한 상부지지판(15)과, 상기 상부지지판(15)에 수직으로 접합된 다수개의 기둥재(20)를 포함하는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세로재(5) 또는 가로재(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파트(30)와 제2 파트(40)로 분할되고, 상기 제1 파트(30)는 제2 파트(40)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파트(30) 또는 제2 파트(4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공(45)이 폭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파트(30)를 제2 파트(40)로부터 펼쳤을 때 상기 고정공(45)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고정공(45)과 만나는 결합공(50)이 형성되고, 서로 만난 상기 고정공(45)과 결합공(5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파트(30)를 제2 파트(40)로부터 인출시켜, 상기 고정공(45)과 결합공(50)을 만나도록 한 후, 상기 고정공(45)과 결합공(50)을 관통하도록 고정부재(60)를 삽입하면, 상기 제1 파트(30)와 제2 파트(40)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KR1020020026851A 2002-05-15 2002-05-15 팔레트 KR20020042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851A KR20020042595A (ko) 2002-05-15 2002-05-15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851A KR20020042595A (ko) 2002-05-15 2002-05-15 팔레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797U Division KR200284113Y1 (ko) 2002-05-15 2002-05-15 팔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595A true KR20020042595A (ko) 2002-06-05

Family

ID=2772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851A KR20020042595A (ko) 2002-05-15 2002-05-15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25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2663A (en) * 2020-03-06 2021-09-08 Albert Cummins Graham Collapsible palle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8762U (ko) * 1976-07-28 1978-02-17
JPH03108632A (ja) * 1989-09-22 1991-05-08 Takuwa:Kk 路面状況の測定方法およびその測定装置
JPH0474627U (ko) * 1990-11-14 1992-06-30
JPH0561025U (ja) * 1992-01-20 1993-08-10 西山鋼業株式会社 パレット
KR950008811U (ko) * 1993-09-17 1995-04-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강판 포장용 철재받침대(Steel Skid)
KR970009599U (ko) * 1995-08-18 1997-03-27 냉장고 포장용 받침대
JP2000095243A (ja) * 1998-09-22 2000-04-04 Murazumi Kogyo Kk 伸縮可能なパレッ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8762U (ko) * 1976-07-28 1978-02-17
JPH03108632A (ja) * 1989-09-22 1991-05-08 Takuwa:Kk 路面状況の測定方法およびその測定装置
JPH0474627U (ko) * 1990-11-14 1992-06-30
JPH0561025U (ja) * 1992-01-20 1993-08-10 西山鋼業株式会社 パレット
KR950008811U (ko) * 1993-09-17 1995-04-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강판 포장용 철재받침대(Steel Skid)
KR970009599U (ko) * 1995-08-18 1997-03-27 냉장고 포장용 받침대
JP2000095243A (ja) * 1998-09-22 2000-04-04 Murazumi Kogyo Kk 伸縮可能なパレ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2663A (en) * 2020-03-06 2021-09-08 Albert Cummins Graham Collapsible pallet
GB2592663B (en) * 2020-03-06 2022-03-16 Albert Cummins Graham Collapsible pal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8551A (en) Trestle stage
US5058746A (en) Pallet container structure II
US7992738B2 (en) Pallet container
KR200284113Y1 (ko) 팔레트
KR20020042595A (ko) 팔레트
KR101598209B1 (ko) 가변형 파레트
KR102218291B1 (ko)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KR200284112Y1 (ko) 팔레트
KR102026668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71B1 (ko) 가변형 파렛트
KR20020042594A (ko) 팔레트
RU108021U1 (ru) Поддон
KR102008376B1 (ko) 스토퍼가 구비된 가변형 파렛트
KR200400807Y1 (ko) 파레트용 지지대
JP4665967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102026673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9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7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6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218290B1 (ko)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KR102218300B1 (ko)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KR102218294B1 (ko)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EP0523490A1 (en) Foldable crates
CN214241721U (zh) 木托盘
KR200341593Y1 (ko) 골판지 팔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