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300B1 -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 Google Patents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300B1
KR102218300B1 KR1020200172480A KR20200172480A KR102218300B1 KR 102218300 B1 KR102218300 B1 KR 102218300B1 KR 1020200172480 A KR1020200172480 A KR 1020200172480A KR 20200172480 A KR20200172480 A KR 20200172480A KR 102218300 B1 KR102218300 B1 KR 102218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expansion panel
protrusion
main body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5735A (ko
Inventor
김창규
Original Assignee
김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규 filed Critical 김창규
Priority to KR102020017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3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65D2519/00815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the pal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는 화물이 상면에 적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스토퍼 안착부; 측면에 제1가이드홈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스토퍼 안착부에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 상승되게 구비되는 제1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 안착부의 측면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1돌기; 상기 제1스토퍼 안착부의 측면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2돌기;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 상승되면 상기 제1스토퍼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스토퍼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을 확장하는 확장패널; 및 상기 확장패널의 상면으로 상승되게 구비되는 제2스토퍼;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variable pallet capable of expanding size}
본 발명은 가변형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화물을 지지할 수 있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화물의 적재 면적을 확장할 수 있는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파렛트(pallet)는 상면에 화물을 적재하는 기구로, 지게차 등을 사용해서 화물을 운송할 때 화물을 일정한 수량 단위로 쌓을 수 있는 짐대 또는 깔판을 말한다.
파렛트는 화물을 단위 적재, 하역, 운송하기 위한 물류 모듈화의 기본 요소 증 하나로써, 화물 트럭, 화물기차 화물칸, 컨테이너 규격에 맞추어 화물을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일정 규격으로 제작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관 수송용 파렛트의 규격이 KS 표준 규격인 T11형(1100mm * 1100mm), T12형(1200mm * 1000mm)으로 제정되어 있다.
그러나,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재 면적이 상이하여 표준 규격 파렛트만 사용할 수 없으므로, 실제 산업현장에서는 화물의 적재 면적에 대응되는 다양한 크기의 파렛트를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파렛트는 목재, 철재, 플라스틱(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데, 목재나 철재의 경우 KS 표준 규격 이외의 다양한 크기의 파렛트를 제작할 수 있으나, 해당 파렛트는 각 화물의 크기에 맞추어 목재 또는 철재 프레임을 현장에서 절단한 후 제작해야 하므로 사전 제작이 어렵고, 제작 소요 시간 및 제작 인건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목재 파렛트의 경우 해상 운송 중 세균의 번식 및 이에 따른 화물의 오염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철재 파렛트의 경우 화물의 중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합성수지 재질의 파렛트는 목재 및 철재 파렛트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사출금형을 사용하여 KS 표준 규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나, 실제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크기의 파렛트를 제작할 수 없고, 다양한 크기의 파렛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금형이 필요하므로, 별도의 금형 제작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파렛트의 제작비용이 증가되어 최종적으로 물류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
따라서, 다수의 금형을 사용하지 않고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재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파렛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파렛트의 상면에 적재된 화물은 화물의 운반 중 파렛트가 기울어지거나 파렛트에 지속적인 진동이 전달되면 파렛트에서 미끄러져 파렛트를 벗어나게 된다. 이 경우, 화물의 손상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파렛트에 적재된 화물이 파렛트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이 부가된 파렛트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물을 지지할 수 있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화물의 적재 면적을 확장할 수 있는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는 화물이 상면에 적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스토퍼 안착부; 측면에 제1가이드홈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스토퍼 안착부에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 상승되게 구비되는 제1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 안착부의 측면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1돌기; 상기 제1스토퍼 안착부의 측면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2돌기;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 상승되면 상기 제1스토퍼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스토퍼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을 확장하는 확장패널; 및 상기 확장패널의 상면으로 상승되게 구비되는 제2스토퍼;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제1스토퍼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1지지부재 사이의 간격만큼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확장패널을 결합하는 제1롱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돌기에 접촉되는 길이만큼 상승한 후 상기 제1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홈에는 이탈홈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1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시 상기 제2돌기는 이탈홈을 통해 상기 제1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패널은, 상기 본체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스토퍼 안착부에 결합되는 확장패널 결합부; 상기 확장패널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돌기를 수용하는 제2돌기 수용부; 및 상기 확장패널 결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스토퍼가 삽입되는 스토퍼 삽입홈;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패널은 상기 확장패널의 측면에 제2스토퍼 안착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2스토퍼 안착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패널의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확장패널 연결부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에 따르면, 본체에 구비된 제1스토퍼가 스토퍼 위치에 배치되어 본체의 상면에 적재된 화물을 지지하므로, 본체로부터 화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에 구비된 제1스토퍼를 제1스토퍼의 연결 위치로 배치시켜 본체에 확장패널을 결합하여 적재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되므로, 화물의 크기에 따라 별도의 파렛트를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금형제작 비용이 최소화되어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확장패널이 결합된 적재 면적이 확장된 본체의 상면에 적재된 화물을 제2스토퍼가 지지함에 따라 화물의 운반 중 파렛트로부터 화물의 이탈을 방지하여, 화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파렛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110)가 본체(10)의 상면(101)으로 상승한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제1스토퍼(110)의 단면도로, 제1스토퍼(110)가 제1스토퍼(110)의 기본 위치로 배치된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스토퍼(110)의 동작도로, 제1스토퍼(110)가 스토퍼 위치로 배치된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의 적재 면적이 확장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변형 파렛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에 확장패널(20)이 결합되는 것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110)의 또 다른 동작도이다.
도 10은 본체(10)의 지지부(120)와 확장패널(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제2스토퍼(250)의 단면도로, 제2스토퍼(250)가 스토퍼의 기본 위치에 배치된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2스토퍼(250)의 동작도로, 제2스토퍼(250)가 스토퍼 위치로 배치된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파렛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110)가 본체(10)의 상면(101)으로 상승한 것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제1스토퍼(110)의 단면도로, 제1스토퍼(110)가 제1스토퍼(110)의 기본 위치로 배치된 것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스토퍼(110)의 동작도로, 제1스토퍼(110)가 스토퍼 위치로 배치된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는 화물이 상면(101)에 적재되는 본체(10), 본체(10)의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 측면에 제1가이드홈(113)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 본체(10)의 상면(101)으로 상승되게 구비되는 제1스토퍼(110), 제1스토퍼 안착부(130)의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가이드홈(113)에 삽입되는 돌기부(135), 및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 구비되어, 제1스토퍼(110)가 본체(10)의 상면(101)으로 상승되면 제1스토퍼(110)의 일측 단부(117)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14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10)는 KS 표준 규격인 T11형(1100mm * 1100mm), T12형(장변 1200mm * 단변 1000mm)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10)의 상면(101)에는 화물이 적재된다. 본체(10)의 상면(101)에는 함몰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05)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05)는 후술하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의 인접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05)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본체(10)의 모서리에는 지지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20)에는 확장패널 결합홈(121)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확장패널 결합홈(121)은 지지부(12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확장패널 결합홈(121)은 지지부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확장패널 결합홈(121)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지지부(120)의 상면(101)에는 제2롱볼트(60)가 결합되는 제2롱볼트홈(1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본체(10)의 측면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홈(107)이 형성될 수 있다. 포크홈(107)은 본체(1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 안착부(130)는 본체(10)에 형성된다. 제1스토퍼 안착부(130)는 본체(10)의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 안착부(130)는 제1스토퍼(11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제1스토퍼 안착부(130)는 본체(10)의 4개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110)는 본체(10)의 측면에 구비된다. 제1스토퍼(110)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스토퍼(110)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 안착될 수 있다. 제1스토퍼(110)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로부터 회동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스토퍼(110)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서 회동되어 본체(10)의 상면(101)으로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110)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서 상승한 후 본체(10)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제1스토퍼(110)가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 완전히 안착되면, 제1스토퍼(110)의 일측 단부(117)와 본체(10)의 하면이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110)의 타측 단부(119)와 본체(10)의 상면(101)이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스토퍼(110)가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 완전히 안착되는 경우를 제1스토퍼(110)의 기본 위치로 정의한다.
제1스토퍼(110)의 일측 단부(117)는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110)의 타측 단부(119)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스토퍼(110)의 타측 단부(119)는 본체(10)의 상면(101)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스토퍼(110)에는 제1가이드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홈(113)은 제1스토퍼(110)의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된다. 제1가이드홈(113)은 제1스토퍼(110)의 측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홈(113)은 제1스토퍼(110)의 일측 단부(117)와 타측 단부(119)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1가이드홈(113)에는 이탈홈(115)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제1스토퍼(110)에는 제1롱볼트 결합홈(111)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롱볼트 결합홈(111)은 제1스토퍼(1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돌기부(135)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 형성된다. 돌기부(135)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의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35)는 제1가이드홈(113)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기부(135)는 제1가이드홈(113)에 삽입된다.
돌기부(135)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35)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의 측면 중앙에 형성되는 제1돌기(131), 및 제1스토퍼 안착부(13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제2돌기(133)를 포함한다.
제1돌기(131)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의 측면 중앙에 형성된다. 이 경우, 도 4를 기준으로 제1스토퍼(110)의 기본 위치에서, 제1돌기(131)는 제1스토퍼(110)의 일측 단부(117)와 제1스토퍼(110)의 타측 단부(119) 사이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돌기(131)는 제1스토퍼(110)의 측면 중앙에 삽입될 수 있다.
제2돌기(133)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다. 이 경우, 제1스토퍼(110)의 기본 위치에서, 제2돌기(133)는 제1스토퍼(110)의 일측 단부(117)와 제1스토퍼(110)의 타측 단부(119) 사이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돌기(133)는 제1스토퍼(110)의 측면 상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2돌기(133)는 제1스토퍼(110)가 기본 위치에 위치하면, 제1스토퍼(110)를 지지한다. 제2돌기(133)는 제1스토퍼(110)가 제1스토퍼(110)의 기본 위치에 배치될 때, 도 4와 같이 제1가이드홈(113)의 타단(113-2)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돌기(133)는 제1가이드홈(113)의 타단(113-2)에 지지되어, 제1스토퍼(110)가 기본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1스토퍼(110)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제1지지부재(140)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 구비된다. 제1지지부재(140)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40)는 제1스토퍼(110)가 기본 위치에 배치되면,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1지지부재(140)는, 제1스토퍼(110)가 상면(101)으로 상승되면, 제1스토퍼 안착부(130)로부터 돌출되어 제1스토퍼(110)의 일측 단부(117)를 지지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재(140)는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1스토퍼 안착부(130)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지지돌기(141) 및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지지돌기(141)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탄성부재(143)를 포함한다.
제1지지돌기(141)는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1지지돌기(141)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단부가 돌출될 수 있다. 제1지지돌기(141)는 제1스토퍼(110)가 제1스토퍼(110)의 기본 위치 시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되게 배치된다. 제1지지돌기(141)는 제1스토퍼(110)의 기본 위치 시 본체(1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어, 제1지지돌기(141)가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제1탄성부재(143)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제1탄성부재(143)는 제1지지돌기(141)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제1탄성부재(143)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1스토퍼(110)가 스토퍼 위치에 배치될 때 제1지지돌기(141)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제1지지돌기(141)가 제1스토퍼(110)의 일측 단부(117)를 지지하게 한다.
본체(10)에는 완충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150)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의 인접 주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150)는 본체(10)에 인입 가능하게 배치되어, 지면 또는 구조물에 접촉되는 접촉부재(151), 본체(10)에 삽입되어 접촉부재(151)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153)를 포함한다.
완충부재(150)는 본체(10)가 지면 또는 구조물에 배치될 때, 지면 또는 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본체(10)의 상면(101)에 적재된 화물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한다.
본체(10)는 보관을 위해 복수개의 본체(10)가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의 본체(10)와 이에 적층된 상부의 본체(10)가 하부의 본체(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때, 상부의 본체(10)에 구비된 완충부재(150)는 하부의 본체(10)에 형성된 함몰부(105)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부의 본체(10)에 구비된 접촉부재(151)가 하부의 본체(10)에 형성된 함몰부(10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본체(10)가 적층 시 하부의 본체(10)와 상부의 본체(10)가 완충부재(150) 및 함몰부(105)에 의해 고정되어, 각 본체(10)들이 일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1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스토퍼(110)는 본체(10)의 상면(101)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스토퍼(110)는 본체(10)의 상면(101)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1스토퍼(110)는 제1스토퍼(110)의 일측 단부(117)와 제1지지부재(140) 사이의 간격(D1)만큼 상승할 수 있다. 즉, 제1스토퍼(110)가 상승하는 간격은 제1스토퍼(110)의 일측 단부(117)가 제1지지부재(140)에 지지될 수 있는 간격(D1)만큼 상승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간격(D1)만큼 제1스토퍼(110)가 본체(10)의 상면(101)으로 상승되어 돌출되면, 제1지지부재(140)가 제1스토퍼(110)의 일측 단부(117)를 지지한다. 이 경우, 제1지지부재(140)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로부터 돌출되어 제1스토퍼(110)의 일측 단부(117)를 지지한다. 이하에서, 제1스토퍼(110)가 본체(10)의 상면(101)으로 돌출되고, 제1지지부재(140)가 제1스토퍼(110)의 일측 단부(117)를 지지하는 경우를 제1스토퍼(110)의 스토퍼 위치로 정의한다.
즉, 제1스토퍼(110)가 본체(10)의 상면(101)으로 상승되어 제1지지돌기(141)를 노출시키면, 제1지지돌기(141)가 제1탄성부재(143)의 탄성력에 의해 제1스토퍼 안착부(130)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1탄성부재(143)는 제1지지돌기(141)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제1지지돌기(141)가 제1스토퍼(110)의 일측 단부(117)를 지지하게 한다. 이에 따라, 제1스토퍼(110)가 스토퍼 위치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제1스토퍼(110)가 스토퍼 위치에 배치되면, 제1스토퍼(110)는 본체(10)의 상면(101)에 적재된 화물(W)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본체(10)로부터 화물(W)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화물의 운반 중 파렛트가 기울어지거나 파렛트에 지속적인 진동이 전달되면, 파렛트에 적재된 화물이 본체(10)의 상면(101)으로부터 미끄러져 파렛트로부터 이탈된다.
이 경우, 화물의 손상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110)가 구비된 가변형 파렛트는 제1스토퍼(110)가 스토퍼 위치로 배치되어, 본체(10)의 상면(101)에 적재된 화물(W)을 지지함에 따라 화물의 운반 중 파렛트로부터 화물의 이탈을 방지하여, 화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변형 파렛트의 적재 면적이 확장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변형 파렛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에 확장패널(20)이 결합되는 것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110)의 또 다른 동작도이며, 도 10은 본체(10)의 지지부(120)와 확장패널(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는 화물의 적재 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재 면적이 확장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는 화물의 적재 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
즉, 본체(10)가 T11형 또는 T12형의 KS 표준 규격으로 실시되는 경우, 화물의 크기에 따라 화물의 적재 면적 크기가 T11형 또는 T12형 보다 커야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준 규격이 아닌 화물에 맞는 크기를 갖는 본체(10)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는 본체(10)의 상면(101)을 확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준 규격의 본체(10)를 제작한 후 확장패널(20)로 화물의 적재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는 제1스토퍼(110)에 결합되어 본체(10)의 상면(101)을 확장하는 확장패널(20), 및 제1스토퍼(110)와 확장패널(20)을 결합하는 제1롱볼트(70)를 포함한다.
확장패널(20)은 본체(10)에 결합된다. 확장패널(20)은 제1스토퍼(110)에 결합되어 본체(10)의 상면(101)을 확장시킨다. 이 경우, 본체(10)의 상면(101)과 확장패널(20)의 상면(201)이 합산되어, 적재 면적이 확장된다. 확장패널(20)에는 본체(10)의 포크홈(107)에 대응되는 위치에 확장포크홈(203)이 형성될 수 있다.
확장패널(20)은 실시예에 따라 본체(10)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확장패널(20)은 본체(10)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확장패널(20)은 본체(10)의 모든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스토퍼(110)는 제1가이드홈(113)의 일단(113-1)이 제1돌기(131)에 접촉되는 길이만큼 상승한 후 제1돌기(13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본체(10)의 측면으로 돌출된다.
즉, 제1스토퍼(110)는 도 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먼저 제1가이드홈(113)의 일단(113-1)이 제1돌기(131)에 접촉되는 길이만큼 상승한다. 이 경우, 제1스토퍼(110)는 스토퍼 위치보다 본체(10)의 상면(101)으로 더 돌출되도록 상승한다.
이후, 도 9의 (b)와 같이 제1스토퍼(110)는 제1돌기(131)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1스토퍼(110)는 일측 단부(117)가 만곡되어 형성됨에 따라, 제1스토퍼(110)의 일측 단부(117)가 제1스토퍼 안착부(130)의 표면에 슬라이딩되어, 제1스토퍼(110)가 회전될 수 있다.
제1스토퍼(110)가 제1돌기(131)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면 제1스토퍼(110)가 본체(10)의 측면으로 돌출된다. 이 경우, 제1스토퍼(110)는 확장패널(20)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제1스토퍼(110)의 타측 단부(119)는 후술하는 스토퍼 삽입홈(220)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홈(113)에는 이탈홈(115)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도 9의 (b)와 같이 제1스토퍼(110)가 본체(10)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제1돌기(131)를 중심으로 회전 시, 이탈홈(115)은 제2돌기(133)가 이탈홈(115)을 통해 제1가이드홈(113)으로부터 이탈되어, 제1스토퍼(110)가 본체(10)의 측면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이탈홈(115)의 위치는, 제1가이드홈(113)의 일단(113-1)에 제1돌기(131)가 접촉될 때, 제2돌기(13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제2돌기(133)가 이탈홈(115)에서 이탈되고 제1스토퍼(110)가 제1돌기(13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본체(10)의 측면으로 돌출되면, 확장패널(20)이 제1스토퍼(110)에 결합된다. 이하에서, 제1스토퍼(110)가 제1돌기(13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본체(1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경우를 제1스토퍼(110)의 연결 위치로 정의한다.
이후, 도 9의 (c)와 같이 확장패널(20)이 제1스토퍼(110)에 결합된다. 제1롱볼트(70)는 제1스토퍼(110)와 확장패널(20)을 일체로 결합한다. 즉, 제1스토퍼(110)가 후술하는 스토퍼 삽입홈(220)에 삽입되고, 확장패널 결합부(210)가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 결합되면, 제1롱볼트(70)가 확장패널(20) 및 제1스토퍼(110)를 관통하여 일체로 체결한다. 이 경우, 제1롱볼트(70)는 확장패널(20)에 형성된 제1롱볼트홈(205)에 삽입된 후 제1스토퍼(110)에 형성된 제1롱볼트 결합홈(111)에 결합될 수 있다.
확장패널(20)에는 제1스토퍼(110)가 삽입되는 스토퍼 삽입홈(220)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스토퍼 삽입홈(220)은 제1스토퍼(110)가 제1스토퍼(110)의 연결 위치에 배치될 때, 제1스토퍼(110)를 수용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확장패널(20)에는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 결합되는 확장패널 결합부(210)가 구비된다. 확장패널 결합부(210)는 본체(10)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확장패널 결합부(210)는 제1스토퍼(110)와 확장패널(20)의 결합 시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 결합되어, 본체(10)와 확장패널(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제거한다. 이때, 스토퍼 삽입홈(220)은 확장패널 결합부(21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확장패널 결합부(210)의 일측에는 제2돌기 수용부(211)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돌기 수용부(211)는 확장패널 결합부(210)가 제1스토퍼 안착부(130)에 결합 시 제2돌기(133)를 수용한다.
확장패널(20)의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확장패널 연결부(270)가 형성된다. 확장패널 연결부(270)는 확장패널(20)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확장패널(20)의 일측 단부에는 확장패널 연결부(270)가 형성되지 않고, 타측 단부에는 확장패널 연결부(270)가 형성된다.
도 8과 같이, 확장패널 연결부(270)는 인접한 또 다른 확장패널(20)에 결합된다. 이 경우, 확장패널 연결부(270)는 또 다른 확장패널(2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마찬가지로 또 다른 확장패널(20)의 일측 단부에는 확장패널 연결부(270)가 형성되지 않고, 타측 단부에는 확장패널 연결부(270)가 형성된다.
확장패널 연결부(270)는 제3롱볼트(80)로 확장패널(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확장패널 연결부(270)에는 제3롱볼트(80)가 관통되는 제3롱볼트 관통홈(271)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확장패널 연결부(270)에 결합되는 확장패널(20)의 일측 단부에는 제3롱볼트(80)가 결합되는 제3롱볼트 결합홈(273)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확장패널(20)은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만 확장패널 연결부(270)가 형성됨에 따라, 확장패널 연결부(270)가 형성된 하나의 확장패널(20)을 동일한 규격으로 복수개 제작하여, 가변형 파렛트의 적재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확장패널(20)의 측면에는 결합보강부(230)가 형성된다. 결합보강부(230)는 지지부(120)에 형성된 확장패널 결합홈(121)에 결합된다. 결합보강부(230)는 확장패널(20)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보강부(230)는 확장패널 결합홈(121)에 의해 지지부(120)에 결합되어, 본체(10)와 확장패널(20)의 결합강도를 보강한다.
결합보강부(230)는 확장패널(20)의 높이를 기준으로 확장패널(2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확장패널 결합홈(121)은 지지부(120)의 높이를 기준으로 지지부(12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보강부(230)는 확장패널(20)의 양측 단부 중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보강부(230)는 확장패널(20)의 일측 단부에만 형성되고, 확장패널 연결부(270)가 형성된 타측 단부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확장패널 결합홈(121)은 지지부(120)의 일면에 형성된다. 이때, 확장패널 결합홈(121)은 지지부(120)의 가로 방향 측면 및 방향 세로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확장패널 결합홈(121)이 세로 방향 측면에 형성된 지지부(120)에는 가로 방향 측면에 확장패널 결합홈(121)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2롱볼트(60)는 지지부(120)에 결합된다. 제2롱볼트(60)는 본체(10)의 제2롱볼트홈(10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과 같이, 제2롱볼트(60)는 지지부(120) 및 결합보강부(230)를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제2롱볼트(60)는 본체(10), 확장패널 결합홈(121)에 결합된 결합보강부(230)를 일체로 관통하여, 결합강도를 향상시킨다. 이 경우, 확장패널(20)의 결합보강부(230)에는 제2롱볼트(60)가 관통되는 제2롱볼트 결합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확장패널(20)은 하나의 금형으로 제작되어 하나의 확장패널(20)이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에 모두에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확장패널(20)은 확장패널 연결부(270)가 향하는 방향을 반전하여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에 모두에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패널 결합부(210) 및 제2돌기 수용부(211)는 스토퍼 삽입홈(220)을 기준으로 확장패널(20)에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롱볼트홈(205)은 확장패널(20)의 상하를 관통하여 상하 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가로 방향의 확장패널(20)은 세로 방향의 확장패널(20)로 기능한다. 이때, 본체(10)의 가로 방향에 결합되는 확장패널(20)의 확장패널 결합부(210) 및 제2돌기 수용부(211)는, 본체(10)의 세로 방향에 결합되는 경우 세로 방향의 제1스토퍼 안착부(130) 및 제2돌기(133)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10)의 가로 방향에 결합되는 확장패널(20)을 본체(10)의 세로 방향에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가로 방향의 확장패널(20)은 확장패널 연결부(270)의 방향을 반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확장패널(20)의 제작을 위한 금형을 하나만 제작하면 되므로, 파렛트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가변형 파렛트는 제1스토퍼(110)를 제1스토퍼(110)의 연결 위치로 배치시켜 본체(10)에 확장패널(20)을 결합하여 적재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되므로, 화물의 크기에 따라 별도의 파렛트를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스토퍼(25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제2스토퍼(250)의 단면도로, 제2스토퍼(250)가 스토퍼의 기본 위치에 배치된 것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2스토퍼(250)의 동작도로, 제2스토퍼(250)가 스토퍼 위치로 배치된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는 확장패널(20)의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스토퍼 안착부(280), 및 측면에 제2가이드홈(251)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제2스토퍼 안착부(280)에 확장패널(20)의 상면(201)으로 상승되게 구비되는 제2스토퍼(250)를 포함한다.
제2스토퍼 안착부(280)는 확장패널(20)에 형성된다. 제2스토퍼 안착부(280)는 확장패널(20)의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토퍼 안착부(280)는 제2스토퍼(25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제2스토퍼(250)는 확장패널(20)의 측면에 구비된다. 제2스토퍼(250)는 제2스토퍼 안착부(28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스토퍼(250)는 제2스토퍼 안착부(280)에 안착될 수 있다. 제2스토퍼(250)는 제2스토퍼 안착부(280)로부터 회동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스토퍼(250)는 제2스토퍼 안착부(280)에서 회동되어 확장패널(20)의 상면(201)으로 상승될 수 있다.
제2스토퍼(250)가 제2스토퍼 안착부(280)에 완전히 안착되면, 제2스토퍼(250)의 일측 단부(257)와 확장패널(20)의 하면이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스토퍼(250)의 타측 단부(259)와 확장패널(20)의 상면(201)이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2스토퍼(250)가 제2스토퍼 안착부(280)에 완전히 안착되는 경우를 제2스토퍼(250)의 기본 위치로 정의한다.
제2스토퍼(250)의 일측 단부(257)는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토퍼(250)의 타측 단부(259)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스토퍼(250)의 타측 단부(259)는 확장패널(20)의 상면(201)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스토퍼(250)에는 제2가이드홈(25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홈(251)은 제2스토퍼(250)의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된다. 제2가이드홈(251)은 제2스토퍼(250)의 측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홈(251)은 제2스토퍼(250)의 일측 단부(257)와 타측 단부(259)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돌기(261)는 제2스토퍼 안착부(280)에 형성된다. 제3돌기(261)는 제2스토퍼 안착부(280)의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돌기(261)는 제2가이드홈(25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3돌기(261)는 제2가이드홈(251)에 삽입된다.
제3돌기(261)는 제2스토퍼 안착부(28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을 기준으로 제2스토퍼(250)의 기본 위치에서, 제3돌기(261)는 제2스토퍼(250)의 일측 단부(257)와 제2스토퍼(250)의 타측 단부(259) 사이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3돌기(261)는 제2스토퍼(250)가 스토퍼 위치에 위치하면, 제2스토퍼(250)를 지지한다. 제3돌기(261)는 제2스토퍼(250)가 제2스토퍼(250)의 스토퍼 위치에 배치될 때, 도 12와 같이 제2가이드홈(251)의 일단(251-1)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돌기(261)는 제2가이드홈(251)의 일단(251-1)에 지지되어, 제2스토퍼(250)가 스토퍼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2스토퍼(250)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제4돌기(263)는 제2스토퍼 안착부(280)에 형성된다. 제4돌기(263)는 제2스토퍼 안착부(280)의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4돌기(263)는 제2가이드홈(25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4돌기(263)는 제2가이드홈(251)에 삽입된다.
제4돌기(263)는 제2스토퍼 안착부(28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다. 이 경우, 제2스토퍼(250)의 기본 위치에서, 제4돌기(263)는 제2스토퍼(250)의 일측 단부(257)와 제2스토퍼(250)의 타측 단부(259) 사이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4돌기(263)는 제2스토퍼(250)의 측면 상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4돌기(263)는 제2스토퍼(250)가 기본 위치에 위치하면, 제2스토퍼(250)를 지지한다. 제4돌기(263)는 제2스토퍼(250)가 제2스토퍼(250)의 기본 위치에 배치될 때, 도 11과 같이 제2가이드홈(251)의 타단(251-2)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돌기(263)는 제2가이드홈(251)의 타단(251-2)에 지지되어, 제2스토퍼(250)가 기본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2스토퍼(250)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제2지지부재(240)는 확장패널(20)에 구비된다. 제2지지부재(240)는 제2스토퍼 안착부(280)에 구비된다. 제2지지부재(240)는 제2스토퍼 안착부(28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240)는 제2스토퍼(250)가 기본 위치에 배치되면, 확장패널(20)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2지지부재(240)는, 제2스토퍼(250)가 확장패널(20)의 상면(201)으로 상승되면, 제2스토퍼 안착부(280)로부터 돌출되어 제2스토퍼(250)의 일측 단부(257)를 지지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부재(240)는 확장패널(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2스토퍼 안착부(280)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지지돌기(241) 및 확장패널(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2지지돌기(241)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탄성부재(243)를 포함한다.
제2지지돌기(241)는 확장패널(20)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2지지돌기(241)는 제2스토퍼 안착부(28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단부가 돌출될 수 있다. 제2지지돌기(241)는 제2스토퍼(250)가 제2스토퍼(250)의 기본 위치 시 확장패널(20)의 내부로 인입되게 배치된다. 제2지지돌기(241)는 제2스토퍼(250)의 기본 위치 시 확장패널(2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어, 제2지지돌기(241)가 제2스토퍼 안착부(280)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제2탄성부재(243)는 확장패널(20)의 내부에 구비된다. 제2탄성부재(243)는 제2지지돌기(241)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제2탄성부재(243)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2스토퍼(250)가 스토퍼 위치에 배치될 때 제2지지돌기(241)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제2지지돌기(241)가 제2스토퍼(250)의 일측 단부(257)를 지지하게 한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스토퍼(250)는 확장패널(20)의 상면(201)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스토퍼(250)는 확장패널(20)의 상면(201)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2스토퍼(250)는 제2스토퍼(250)의 일측 단부(257)와 제2지지부재(240) 사이의 간격(D2)만큼 상승할 수 있다. 즉, 제2스토퍼(250)가 상승하는 간격은 제2스토퍼(250)의 일측 단부(257)가 제2지지부재(240)에 지지될 수 있는 간격(D2)만큼 상승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간격(D2)만큼 제2스토퍼(250)가 확장패널(20)의 상면(201)으로 상승되어 돌출되면, 제2지지부재(240)가 제2스토퍼(250)의 일측 단부(257)를 지지한다. 이 경우, 제2지지부재(240)는 제2스토퍼 안착부(280)로부터 돌출되어 제2스토퍼(250)의 일측 단부(257)를 지지한다. 이하에서, 제2스토퍼(250)가 확장패널(20)의 상면(201)으로 돌출되고, 제2지지부재(240)가 제2스토퍼(250)의 일측 단부(257)를 지지하는 경우를 제2스토퍼(250)의 스토퍼 위치로 정의한다.
즉, 제2스토퍼(250)가 확장패널(20)의 상면(201)으로 상승되어 제2지지돌기(241)를 노출시키면, 제2지지돌기(241)가 제2탄성부재(243)의 탄성력에 의해 제2스토퍼 안착부(280)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2탄성부재(243)는 제2지지돌기(241)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제2지지돌기(241)가 제2스토퍼(250)의 일측 단부(257)를 지지하게 한다. 이에 따라, 제2스토퍼(250)가 스토퍼 위치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제2스토퍼(250)가 스토퍼 위치에 배치되면, 제2스토퍼(250)는 확장패널(20)의 상면(201)에 적재된 화물(W)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확장패널(20)이 결합된 본체(10)로부터 화물(W)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화물의 운반 중 파렛트가 기울어지거나 파렛트에 지속적인 진동이 전달되면, 파렛트에 적재된 화물이 본체(10)의 상면 (101)으로부터 미끄러져 파렛트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본체에 확장패널(20)이 결합되어 적재 면적을 확장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확장된 본체의 상면(201)에 적재된 화물이 파렛트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화물의 손상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파렛트는 제2스토퍼(250)가 스토퍼 위치로 배치되어, 확장된 본체(10)의 상면(201)에 적재된 화물(W)을 지지함에 따라 화물의 운반 중 파렛트로부터 화물의 이탈을 방지하여, 화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20 : 확장패널
110 : 스토퍼 120 : 지지부

Claims (2)

  1. 화물이 상면에 적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스토퍼 안착부;
    측면에 제1가이드홈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스토퍼 안착부에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 상승되게 구비되는 제1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 안착부의 측면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1돌기;
    상기 제1스토퍼 안착부의 측면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제2돌기;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 상승되면 상기 제1스토퍼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스토퍼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을 확장하는 확장패널; 및
    상기 확장패널의 상면으로 상승되게 구비되는 제2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지면 또는 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본체에 인입 가능하게 배치되어 지면 또는 구조물에 접촉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접촉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가변형 파렛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패널은,
    상기 본체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스토퍼 안착부에 결합되는 확장패널 결합부;
    상기 확장패널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돌기를 수용하는 제2돌기 수용부; 및
    상기 확장패널 결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스토퍼가 삽입되는 스토퍼 삽입홈;
    을 포함하는 가변형 파렛트.
KR1020200172480A 2020-12-10 2020-12-10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KR10221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480A KR102218300B1 (ko) 2020-12-10 2020-12-10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480A KR102218300B1 (ko) 2020-12-10 2020-12-10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380A Division KR102192166B1 (ko) 2019-07-31 2019-07-31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735A KR20210015735A (ko) 2021-02-10
KR102218300B1 true KR102218300B1 (ko) 2021-02-19

Family

ID=7456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480A KR102218300B1 (ko) 2020-12-10 2020-12-10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3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979542U (zh) 2015-08-05 2016-01-20 张洪 组装型双面网格卡板
CN207972932U (zh) 2018-01-30 2018-10-16 东莞市皕盛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塑料托盘的防滑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2623Y1 (ko) * 1995-05-23 1998-04-09 김태구 가변식 팔레트
KR20020037960A (ko) * 2000-11-16 2002-05-23 박영구 팔레트의 크기 가변장치
KR100656290B1 (ko) * 2004-11-02 2006-12-12 박일동 적재면적 가변 파렛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979542U (zh) 2015-08-05 2016-01-20 张洪 组装型双面网格卡板
CN207972932U (zh) 2018-01-30 2018-10-16 东莞市皕盛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塑料托盘的防滑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735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1398B1 (en) Moulded platform and method of making a moulded platform
KR102218291B1 (ko)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US7992738B2 (en) Pallet container
JP5910860B2 (ja) 金属製パレット
JP2017105532A (ja) 発泡パレット
KR102026671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8B1 (ko) 가변형 파렛트
US4267780A (en) Load supporting and handling means
KR102218300B1 (ko)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KR102218294B1 (ko)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KR102218290B1 (ko)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KR102192166B1 (ko) 적재 면적이 확장되는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73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9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7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08376B1 (ko) 스토퍼가 구비된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6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1785213B1 (ko) 특장차용 허니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7490232B2 (ja) パレット
JP2020006967A (ja) 超薄型パレット
JP4665967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200490064Y1 (ko) 스태커크레인 운반에 적합하며 조립성이 우수한 화물용 운반상자
JP6594654B2 (ja) パレット
JP2563753B2 (ja) 運搬容器
CN212048342U (zh) 一种平面焊接托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