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011A -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011A
KR20020042011A KR1020000071697A KR20000071697A KR20020042011A KR 20020042011 A KR20020042011 A KR 20020042011A KR 1020000071697 A KR1020000071697 A KR 1020000071697A KR 20000071697 A KR20000071697 A KR 20000071697A KR 20020042011 A KR20020042011 A KR 20020042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core
refrigerator
jig devic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섭
유영목
문현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7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2011A/ko
Publication of KR20020042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01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그장치의 지지수단을 캐비닛 내상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 / 취출시켜 내상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캐비닛의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캐비닛 지그장치(30)에 의하면, 내상(14)의 일측벽(14a)과 대응하는 메인코어(41)의 일측에 분할코어(42)가 구동수단(60) 및 캠블럭(50)을 통해 소정 폭(3mm) 진퇴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우레탄 발포작업 중에는 분할코어(42)가 전진하여 내상(14)의 일측벽(14a)과 밀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내상(14) 변형이 방지된다. 반면에, 지그장치(30)에 캐비닛(10)을 삽입 또는 이로부터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할코어(42)가 후진하여 내상(14)의 일측벽(14a)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냉장고용 캐비닛(10)의 삽입 / 취출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캐비닛(10) 손상이 방지됨은 물론이며, 이의 생산성이 보다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Cabinet jig device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제조과정에서 우레탄 발포에 따른 캐비닛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캐비닛 내상에 끼워져 결합되는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대용량의 냉장고를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대형 냉장고는 외형 몸체를 이루며 격벽에 의해 저장실이 좌우로 구획된 캐비닛과, 캐비닛의 앞면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를 구비한다.
캐비닛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외상과, 저장실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재질의 내상과, 외상과 내상 사이에 발포 성형된 단열벽을 포함하며, 단열벽은 외상과 내상을 조립한 후 이들 사이에 우레탄 발포액을 주입 발포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우레탄 발포액 주입 시 캐비닛 내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지그장치가 설치되는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지그장치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같다.(도 1은 종래 지그장치에 병립형 냉장고의 캐비닛이 눕혀져 결합되며, 여기에 우레탄 발포액이 주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캐비닛(1)은 철판으로 이루어진 외상(1a)과 플라스틱재질의 내상(1b)이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며, 외상(1a)과 내상(1b) 사이의 공간에 우레탄 발포액을 충진시켜 형성된 단열벽(3)을 구비한다. 미설명부호 "2"는 저장실을 좌 우측으로 구획하는 격벽이다.
그리고 지그장치(4)는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1)의 제조과정 중에 캐비닛(1) 내상(1b)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우레탄 발포액을 주입하기 전에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1b)이 미리 조립된다. 즉, 지그장치(4)는 베이스패널(4a)과, 베이스패널(4a)의 하부에 성형된 지지코어(4b)를 구비한다. 지지코어(4b)는 캐비닛(1)의 내상(1b)과 면접촉하도록 밑면과 테두리 측벽을 갖는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다이케스트로 제작된다.
따라서 외상(1a)과 내상(1b)을 조립하여 구성된 캐비닛(1)을 지그장치(4)에 결합하면, 지그장치(4)의 지지코어(4b)는 내상(1b)의 벽면과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레탄 발포액을 외상(1b)에 형성된 주입구(미도시)를 통해 외상(1a)과 내상(1b) 사이의 공간에 주입하면, 우레탄 발포액이 발포 성형되면서 단열벽(3)이 만들어진다.
이 때, 지그장치(4)의 지지코어(4b)가 내상(1b) 벽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우레탄 발포 성형 시 내상(1b)의 변형이 방지된다.
그러나, 종래 지그장치(4)의 지지코어(4b)는 우레탄 발포액을 주입한 후에도내상(1b)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캐비닛(1)과 지그장치(4)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알루미늄 다이캐스트로 제작된 상자형상의 지지코어(4b)에 플라스틱재질의 캐비닛(1) 내상(1b)이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우레탄 발포액이 발포 성형되는 과정에서 지지코어(4b) 외면은 캐비닛(1) 내상(1b)과 더욱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우레탄 발포 완료 후 지그장치(4)로부터 캐비닛(1)을 강제로 분해함으로써, 냉장고의 생산라이에서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또한, 지그장치(4)로부터 캐비닛(1)을 분해하는 중에 캐비닛(1)이 변형되거나 내상(1b)이 손상될 우려가 있어 상당한 주의가 요구된다. 즉, 우레탄 발포액 발포 후 지그장치(4)로부터 캐비닛(1)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지지코어(4b)와 내상(1b)과의 마찰에 의해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되며, 이것에 의해 캐비닛(1) 품질이 저하된다.
또한, 종래에는 지그장치(4)와 캐비닛(1)과의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내상(1b)과 지지코아(4b) 사이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것에 의해 환경 유해요소가 발생됨은 물론이며 제조비용 역시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닛 내상의 삽입 / 취출이 보다 용이하도록 지그장치를 개선함으로써, 냉장고용 캐비닛의 손상을 방지하며 캐비닛의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캐비닛 지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병립형 냉장고용 지그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병립형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의 제1지지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의 제1지지수단 중에서 캠블럭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 - 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와 캐비닛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와 캐비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우레탄 발포액 주입 준비단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와 캐비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우레탄 발포액이 주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캐비닛 14,15..내상 30..지그장치
41..메인코어 42..분할코어 50..캠블럭
52..캠바 53..경사홀 54..힌지부재
55..핀 60..구동수단 70..슬라이드바
73..부시 80..가이드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장고용 캐비닛 내상에 수용 결합되어 벽면과 면접촉하는 메인코어와, 내상의 일측벽과 대응하는 메인코어의 일측에 진퇴운동 가능하게 배치된 분할코어와, 분할코어를 소정폭 전 후진시키기 위해 메인코어에 설치된 캠블럭과, 캠블럭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캠블럭은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 운동하는 캠바와, 캠바에 대칭되게 마련되되 상 하측이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홀과, 분할코어에 고정되며 선단부위가 경사홀에 핀 결합되어 캠바의 승하강 시 분할코어가 내상의 일측벽에 밀착되거나 떨어지도록 전 후진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힌지부재는 분할코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며 경사홀 사이에 수용 배치되되 핀이 관통하도록 관통구가 천공된 연결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메인코어의 일측벽에는 캠바를 감싸서 이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분할코어에는 선단이 메인코어의 일측벽을 관통하도록 연장된 슬라이드바가 마련되며, 메인코어의 일측벽에는 슬라이드바의 선단이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구동수단은 메인코어에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구동로드를 갖춘 공압실린더와, 공압실린더의 구동로드와 캠바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병립형 냉장고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면이 개방된 저장실로서 냉동실(11)과 냉장실(12)이 좌ㆍ우로 구획되게 마련되며 함체(函體)로 이루어진 캐비닛(10)과, 냉동실(11)과 냉장실(12)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좌도어(20L)와 우도어(20R)를 구비한다.
좌도어(20L)와 우도어(20R)는 일측 상ㆍ하부가 캐비닛(10) 앞면부에 힌지(21)(22)를 통해 결합된다. 즉, 상힌지(21)를 통해 좌도어(20L)와 우도어(20R)의 일측 상단이 캐비닛(10) 상부에 결합되고, 하힌지(22)를 통해 좌도어(20L)와 우도어(20R)의 일측 하단이 캐비닛(10) 하부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냉동실(11)과 냉장실(12)을 개폐하게 된다.
캐비닛(10)은 냉동실(11)을 형성하기 위한 제1내상(14)과, 냉장실(12)을 형성하기 위한 제2내상(15)과, 제1내상(14)과 제2내상(15)을 좌우로 구획되게 배치하기 위한 중간격벽(16)과, 제1내상(14)과 제2내상(15)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외상(13)을 포함하며, 냉동실(11)과 냉장실(12)을 외부와 단열시키기 위해 제1내상(14)과 제2내상(15) 및 외상(13) 사이에는 단열벽(17)이 마련된다. 단열벽(17)은 우레탄 발포액이 발포 성형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캐비닛(10)의 제1내상(14) 및 제2내상(15)은 냉동실(11)과 냉장실(12)이 내벽을 형성하도록 일종의 합성수지인 플라스틱으로 각각 사출 성형되고,외상(13)은 금속판으로 벤딩 구성되며 우레탄 발포액이 주입될 수 있도록 제1내상(14) 및 제2내상(15)과 소정의 사이틈이 유지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병립형 냉장고용 캐비닛(10)은 제조과정 중에 제1내상(14) 및 제2내상(15)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지그장치(30,도 3참조)에 장착된 상태에서 우레탄 발포액 주입작업을 실시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30)에 캐비닛(10)이 눕혀져 결합된 상태에서 우레탄 발포액을 주입하기 때문에, 제1내상(14) 및 제2내상(15)의 변형이 방지되게 된다. 이를 위해 지그장치(30)는 냉장고의 생산설비와 직접 조립되는 홀더(31)와, 홀더(31) 하부에 배치되며 캐비닛(10)의 제1내상(14) 및 제2내상(15)에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어 이들을 각각 지지하는 제1지지수단(40L)과 제2지지수단(40R)을 포함한다.
홀더(31)는 제1지지수단(40L)과 제2지지수단(40R)을 냉장고 생산라인에서 매달아 설치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에는 캐비닛(10)을 밀어내 제거하는 캐비닛 제거장치(32)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1지지수단(40L)과 제2지지수단(40R)은 홀더(31)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캐비닛(10)의 삽입 /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진퇴운동 가능한 분할코어(42)를 구비하는데, 이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제1지지수단(40L)과 제2지지수단(40R)은 그 사이즈만 상이할 뿐 실질적인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지지수단(40L)만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지지수단(40L)은 제1내상(14)에 수용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된 함체 상의 메인코어(41)와, 메인코어(41)의 일측면에 후술하는캠블럭(50)을 매개로 소정폭(3mm) 진퇴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내상(14)의 일측벽(14a)과 면접촉하는 분할코어(42)와, 분할코어(42)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캠블럭(50)과, 메인코어(41)내에 설치되며 캠블럭(5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60)을 구비한다.
메인코어(41)는 홀더(31)와 대응하는 상부가 개방되며, 분할코어(41)가 장착되는 일측면을 제외하고는 제1내상(14)의 내부구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메인코어(41)가 제1내상(14)에 수용되면, 메인코어(41) 외면은 분할코어(42)와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1내상(14)의 벽면과 면접촉하게 된다.
분할코어(42)는 메인코어(41)의 일측벽(41a) 외측에 배치되며, 캐비닛(10)의 삽입 / 취출 과정 중에 제1내상(14)의 일측벽(14a)과 소정폭(본 실시예서는 3mm) 이격되게 된다. 분할코어(42) 역시 외면은 제1내상(14)의 일측벽(14a)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중간격벽(16)을 이루는 제1내상(14)의 일측벽(14a)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분할코어(42)는 캠블럭(50)을 통해 진퇴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캠블럭(50)은 메인코어(41)의 일측벽(41a) 내측에 대체적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며 구동수단(60)을 통해 승하강 운동하는데, 이를 위해 구동수단(60)과 연계되며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51)와, 지지대(51)의 좌우 양측에 대체적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복수의 캠바(52)를 구비한다.
복수의 캠바(52)는 지지대(51)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지지대(51)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캠바(52)는 메인코어(41)의일측벽(41a)과 대응하는 전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측면(52a)(52b)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장공타입의 경사홀(53)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홀(53)은 쌍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캠바(52)의 경우 상단과 하단 및 중심부위에 각각 형성되고, 짧은 캠바(52)의 경우 상단과 하단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각 경사홀(53)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이의 양측단부 경사높이(H,도 5참조)는 분할코어(42)의 전후진 폭(3mm)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각 경사홀(53)과 대응하는 분할코어(42)의 벽면에는 핀(55)을 통해 캠바(52)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힌지부재(54)가 장착되어 있다. 이 힌지부재(54)는 분할코어(42)의 벽면에 볼트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고정판(54a)과, 일단이 고정판(54a)에 용접수단을 통해 고정되며 타단이 쌍으로 이루어 진 경사홀(53) 사이에 위치되어 캠바(52)와 직결되는 연결편(54b)을 포함한다. 캠바(52)와의 연결을 위해 연결편(54b)에는 관통구(54c)가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편(54b)을 경사홀(53) 사이에 위치시킨 후 경사홀(53)과 관통구(54c)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핀(55)을 체결하면, 캠바(52)와 힌지부재(54)가 직결됨과 동시에 경사홀(53)의 연장 길이만큼 캠바(5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부호 "41b"는 메인코어(41)의 일측벽(41a)에 마련된 설치구멍으로, 설치구멍(41b)을 통해 힌지부재(54)의 연결편(54b)이 메인코어(41)내에 위치되게 된다.
이러한 힌지부재(54)와 캠바(52)의 연결에 의해 메인코어(41)의 일측벽(41a)에 분할코어(42)가 진퇴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장치(30)의 초기 작동 시 핀(55)은 경사홀(53)의 하측부에 위치하며, 이것에 의해 분할코어(42)는 후진된 상태로 유지되어 메인코어(41)의 일측벽(41a)과는 밀착되는 반면에, 제1내상(14)의 일측벽(14a)과는 소정폭 떨어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캠바(52)의 하강 시 핀(55)은 점진적으로 경사홀(53)의 상측부에 위치되며, 이로 인해 분할코어(42)는 경사홀(53)의 경사높이(H) 만큼 소정 폭(3mm) 전진하여 제1내상(14)의 일측벽(14a)과 당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분할코어(42)에는 복수개의 슬라이드바(70)가 배치되어 있어서, 이의 진퇴운동은 가이드되면서 상하운동은 제한되게 된다. 즉, 각각의 슬라이드바(70)는 일단(71)이 분할코어(42)측에 고정 장착되며 타단(72)이 메인코어(41)의 일측벽(41a)을 헐겁게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메인코어(41)의 일측벽(41a)에는 슬라이드바(70)의 타단(72)이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공(73a)이 마련된 부시(73)가 볼트 체결된다. 따라서, 분할코어(42)의 전 후진 시 슬라이드바(70)는 미끄럼운동하면서 이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메인코어(41)의 일측벽(41a) 내측에는 캠바(52)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80)가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가이드부재(80)는 캠바(52)를 감싸도록 양측 단부(81)(82)가 벤딩되어 대체로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메인코어(41)의 일측벽(41) 내측에 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캠바(52)는 복수의 가이드부재(80)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승하강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수단(60)은 메인코어(41)내에 배치되는데, 공기압 전달여부에따라 구동로드(62)가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는 공압실린더(61)와, 공압실린더(61)의 구동과 함께 캠블럭(50)이 구동되도록 이들을 직결시키는 결합부재(64)를 구비한다. 공압실린더(61)는 메인코어(41)의 일측벽(41a) 내측에 브래킷(63)을 매개로 볼트 고정되며, 구동로드(62)가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결합부재(64)는 공압실린더(61)의 구동로드(62)와 캠블럭(50)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로드(62)의 선단에 장착됨과 동시에 캠블럭(50)의 지지대(51) 중심부위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공압실린더(61)의 구동 시 캠블럭(50)에 마련된 복수의 캠바(52)가 일체로 승하강 운동하며 이것에 의해 분할코어(42)가 전진 또는 후진하는데, 이에 대한 것은 후술하는 작동설명에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캠블럭(50)의 승하강 운동에 의해 분할코어(42)가 진퇴 운동되도록 구성하였지만, 공압실린더(61)와 캠블럭(50) 배치 및 경사홀(53)을 가로방향으로 구성하면, 캠블럭(50)의 좌우운동에 의해서도 분할코어(42)를 진퇴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6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장치(30)와 캐비닛(10)을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하기 전에, 핀(55)은 경사홀(53) 하측에 위치된 상태이다. 즉, 지그장치(30)와 캐비닛(10)을 결합하기 전에 공압실린더(61)에 공기압을 가해 구동로드(62)와 함께 캠블럭(50)은 승강된 상태로 유지되며, 각 핀(55)은 구배진 경사홀(53)의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분할코어(42)는 당겨져 메인코어(41)의 일측벽(41a)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것에 의해 캐비닛(10)과 실제로 결합되는 지그장치(30)의 제1지지수단(40L) 및 제2지지수단(40R)은 실제로 폭이 3mm 정도 줄어든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100)에 안착된 캐비닛(10)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승강시키면, 지그장치(30)의 제1지지수단(40L)은 제1내상(14)에, 제2지지수단(40R)은 제2내상(15)에 각각 수용 삽입된다. 이 때, 제1지지수단(40L) 및 제2지지수단(40R)은 폭이 줄어든 상태이기 때문에 캐비닛(10)과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것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ㆍ2내상(14)(15)의 일측벽(14a)과 각각의 분할코어(42) 사이에 소정의 틈새(G, 본 실시예에서는 3mm)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계속하여, 센서(미도시)에 의해 지그장치(30)와 캐비닛(10)과의 완전한 결합상태가 감지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압실린더(61)에 가해졌던 공기압을 제거하면 구동로드(62)와 함께 복수개의 캠바(52)가 동시에 하강(화살표 B 방향)한다. 캠바(52)는 가이드부재(62)를 통해 가이드되면서 하강하는데, 이 때 핀(55)의 위치는 경사홀(53) 상측부분으로 점차 바뀐다.
한편, 분할코어(42)는 메인코어(41)의 일측벽(41a)에 슬라이드바(70)를 통해 지지되어 있어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핀(55)의 위치 변동에 의해 분할코어(42)는 슬라이드바(70)를 통해 지지되면서 화살표 C 방향으로 소정 폭(최대 3mm) 전진하고, 이것에 의해 제1내상(14)의 일측벽(14a)과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우레탄 발포액 발포준비가 완료된다. 이 때,제2지지수단(40R) 역시 동일한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캐비닛(10) 외상(13)에 형성된 주입구(미도시)를 통해 우레탄 발포액을 주입하면, 이것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내상(14)과 제2내상(15) 및 외상(13) 사이의 공간에 발포 성형되면서 단열벽(17)이 만들어진다. 이 때, 캐비닛(10)의 제1내상(14)과 제2내상(15)의 각 벽면에는 메인코어(41) 및 분할코어(42)가 각각 밀착되기 때문에, 우레탄 발포 액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제1내상(14)과 제2내상(15)이 변형되지 않고 그 형상이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우레탄 발포액이 경화되면, 지그장치(30)로부터 캐비닛(10)을 빼내는 취출공정이 실시된다. 취출공정 역시 공압실린더(61)의 구동으로 다음과 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먼저, 공압실린더(61)에 공기압을 가하여 하강되어 있던 구동로드(62)를 상측으로 작동시키면, 복수의 캠바(52)를 갖춘 캠블럭(50)이 점진적으로 승강된다. 캠블럭(50)의 승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55)이 다시 경사홀(53)의 하측공간에 위치될 때까지 진행된다. 따라서 분할코어(42)는 소정 폭 후진하여 초기상태로 유지되며, 이것에 의해 각 내상(14)(15)의 일측벽(14a)과 사이틈(G)이 형성됨으로써 캐비닛(10) 취출준비가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홀더(31)에 마련된 캐비닛 제거장치(32)를 구동시키면 캐비닛(10)이 하측방향으로 밀려 지그장치(30)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제1지지수단(40L)의 분할코어(42)는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1내상(14)의 일측벽(14a)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무리한 힘을 가하거나 이형제 등을도포하지 않고서도 캐비닛(10)이 보다 용이하게 분리된다.
결국, 우레탄 발포액 주입이 완료되면 내상(14)(15)의 일측벽(14a)에 밀착되어 있던 분할코어(42)가 다시 떨어짐으로써, 캐비닛(10) 분리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며 내상(14)(15)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특히, 저장실이 좌우로 구획된 병립형 냉장고용 캐비닛(10)인 경우, 지그장치(30)의 분할코어(41)와 중간격벽(16)을 이루는 내상(14)(15)의 일측벽(14a)이 떨어진 상태에서 분리됨으로써, 스크래치 등의 외관 손상 없이 캐비닛(10)이 완성된다.
또한, 실제로 본원의 발명자가 병립형 냉장고용 캐비닛(10)을 예로 하여 실험을 해 본 결과, 우레탄 발포작업에 따른 냉장고의 캐비닛(10) 삽입 / 취출공정이 종래에는 대략 6분 정도의 시간이 걸린 반면에, 본원의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5분 20초로서, 약 40초 정도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것은 분할코어(42)가 우레탄 발포작업 중에는 내상(14)(15)의 일측벽(14a)에 밀착되며, 캐비닛(10)의 삽입 또는 취출 공정 중에는 내상(14)(15)의 일측벽(14a)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캐비닛 지그장치에 의하면, 내상의 일측벽과 대응하는 메인코어의 일측에 분할코어가 구동수단 및 캠블럭을 통해 소정 폭 진퇴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우레탄 발포작업 중에는 분할코어가 전진하여 내상의 일측벽과 밀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내상 변형을 방지한다. 반면에, 지그장치에 캐비닛을 삽입 또는 이로부터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할코어가 후진하여 내상의 일측벽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냉장고용 캐비닛의 삽입 / 취출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캐비닛 손상이 방지됨은 물론이며, 이의 생산성이 보다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5)

  1. 냉장고용 캐비닛(10) 내상(14)에 수용 결합되어 벽면과 면접촉하는 메인코어(41)와, 상기 내상(14)의 일측벽(14a)과 대응하는 상기 메인코어(41)의 일측에 진퇴운동 가능하게 배치된 분할코어(42)와, 상기 분할코어(42)를 소정폭 전 후진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코어(41)에 설치된 캠블럭(50)과, 상기 캠블럭(50)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60)을 구비하며;
    상기 캠블럭(50)은 상기 구동수단(60)에 의해 승하강 운동하는 캠바(52)와, 상기 캠바(52)에 대칭되게 마련되되 상 하측이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홀(53)과, 상기 분할코어(42)에 고정되며 선단부위가 상기 경사홀(53)에 핀(55) 결합되어 상기 캠바(52)의 승하강 시 상기 분할코어(42)가 상기 내상(14)의 일측벽(14a)에 밀착되거나 떨어지도록 전 후진하는 힌지부재(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54)는,
    상기 분할코어(42)에 고정되는 고정판(54a)과, 상기 고정판(54a)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경사홀(53) 사이에 수용 배치되되 상기 핀(55)이 관통하도록 관통구(54c)가 천공된 연결편(54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코어(41)의 일측벽(41a)에는 상기 캠바(53)를 감싸서 이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8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코어(42)에는 선단이 상기 메인코어(41)의 일측벽(41a)을 관통하도록 연장된 슬라이드바(70)가 마련되며,
    상기 메인코어(41)의 일측벽(41a)에는 상기 슬라이드바(70)의 선단이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시(73)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60)은,
    상기 메인코어(41)에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구동로드(62)를 갖춘 공압실린더(61)와, 상기 공압실린더(61)의 구동로드(62)와 상기 캠바(52)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재(6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
KR1020000071697A 2000-11-29 2000-11-29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 KR20020042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697A KR20020042011A (ko) 2000-11-29 2000-11-29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697A KR20020042011A (ko) 2000-11-29 2000-11-29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011A true KR20020042011A (ko) 2002-06-05

Family

ID=1970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697A KR20020042011A (ko) 2000-11-29 2000-11-29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20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16B1 (ko) * 2008-03-28 2009-12-3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냉장고 케이스의 발포 금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4810A (ja) * 1984-10-05 1986-05-23 クリオス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ーニ 冷蔵庫キヤビネツト用の回転自在なプラグホルダ−ドラムを備える発泡装置
JPH06286007A (ja) * 1993-04-05 1994-10-11 Matsushita Refrig Co Ltd 断熱キャビネットの発泡装置
KR20000016491U (ko) * 1999-02-02 2000-09-25 윤종용 냉장고의 캐비넷 발포 성형 장치
KR20010026280A (ko) * 1999-09-04 2001-04-06 윤종용 냉장고의 캐비닛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4810A (ja) * 1984-10-05 1986-05-23 クリオス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ーニ 冷蔵庫キヤビネツト用の回転自在なプラグホルダ−ドラムを備える発泡装置
JPH06286007A (ja) * 1993-04-05 1994-10-11 Matsushita Refrig Co Ltd 断熱キャビネットの発泡装置
KR20000016491U (ko) * 1999-02-02 2000-09-25 윤종용 냉장고의 캐비넷 발포 성형 장치
KR20010026280A (ko) * 1999-09-04 2001-04-06 윤종용 냉장고의 캐비닛 지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16B1 (ko) * 2008-03-28 2009-12-3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냉장고 케이스의 발포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393B1 (ko) 길이 가변이 용이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
CN101482357B (zh) 用于冰箱的打开装置
KR20190114478A (ko) 냉장고
JP5081561B2 (ja) 断熱箱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20070081478A (ko) 냉장고용 케이스의 발포 금형
KR20020042011A (ko)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
US6416316B1 (en) Apparatus for molding resin products
KR100994819B1 (ko) 냉장고 내상 진공성형용 금형 장치
KR20020029823A (ko) 냉장고용 캐비닛 지그장치
KR100432213B1 (ko) 냉장고용 캐비닛 내상 금형 장치
CN111571907A (zh) 一种斜切式涨缩发泡模具及使用其的箱体
KR20000016491U (ko) 냉장고의 캐비넷 발포 성형 장치
KR101461528B1 (ko) 핸들고정부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용 발포 금형
KR100554289B1 (ko) 냉장고의 캐비닛 지그장치
BR102020025756A2 (pt) Aparelho de sustentação para a espumação de gabinetes, sistema de espumação paraespumação de gabinetes e método de espumação de gabinetes para aparelhos eletrodomésticos
KR200295323Y1 (ko) 찬바트의 바트함체
KR101022040B1 (ko) 냉장고용 케이스 발포 금형
KR102299591B1 (ko) 기종 변경이 가능한 발포 금형
CN217541233U (zh) 一种冰箱的导轨安装结构和冰箱
KR101436156B1 (ko) 링크 타입 언더컷취출부가 구비된 냉장고 내상 진공성형용 금형
CN111571908B (zh) 一种冷柜内收外放式涨缩式机构
KR20020086311A (ko) 찬바트 성형장치 및 찬바트
CN110962278B (zh) 快递柜用发泡模具及发泡方法
KR100539820B1 (ko)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기의 개폐 장치
KR2019014259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