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1856A -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1856A
KR20020041856A KR1020000071470A KR20000071470A KR20020041856A KR 20020041856 A KR20020041856 A KR 20020041856A KR 1020000071470 A KR1020000071470 A KR 1020000071470A KR 20000071470 A KR20000071470 A KR 20000071470A KR 20020041856 A KR20020041856 A KR 20020041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ement
weight
parts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민호
홍근택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20000071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1856A/ko
Publication of KR2002004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85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06Acry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16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60Flooring materials
    • C04B2111/62Self-levell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바닥의 요철 부위를 메꾸어 바닥의 레벨(Level)을 형성하도록 하는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 조강 시멘트(早强 Cement), 규사(SiO2) 및 유동화제로 구성되는 분말 조성물을 제 1 조성물로 하고, 아크릴수지 에멀젼인 액상 조성물을 제 2 조성물로 하여 이 2개 조성물을 시공시 적정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하는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는 종래에 액상 조성물로 물을 사용했던 것과는 달리 아크릴수지 에멀젼을 사용함으로써 시멘트 바닥의 요철 부위를 메꾼 후 2시간 이내에 경화되는 장점이 있고, 보수재 내에 바닥과의 부착력, 기포방지 효과가 있는 아크릴수지 에멀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프라이머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졌다.
또한 이 레벨 보수재를 사용하여 시멘트 바닥의 요철 부위를 메꾸는데 있어서는 직사각형 모양의 평활 주걱 또는 "T"자 모양의 도구로 긁어 줌으로써 요철 부위의 낮은 부위만 메꿀수 있어 레벨 보수재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및 그 시공방법{Leveling Material for Cement Floor and the Method for the Constr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시멘트 바닥의 요철 부위를 메꾸어 바닥의 레벨(Level)을 형성하도록 하는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 조강 시멘트(早强 Cement), 규사(SiO2) 및 유동화제로 구성되는 분말 조성물을 제 1 조성물로 하고, 아크릴수지 에멀젼인 액상 조성물을 제 2 조성물로 하여 이 2개 조성물을 시공시 적정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하는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멘트 바닥에 요철 부위가 있는 상태에서 평평한 사각타일 형태의 바닥재를 시공하게 되면, 동일한 두께를 가진 제품이라도 시공후 바닥면의 높낮이에 따라 제품간의 단차가 발생하게 되어 외관상 좋지 못했고, 때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양말이나 스타킹이 걸려 뜯기거나 심하면 발에 상처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판류 같은 장척의 바닥재를 요철 부위가 있는 시멘트 바닥에 시공하게 되면, 바닥의 요철부위가 제품 표면에 그대로 드러나 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시멘트 바닥의 요철 부위를 메꾸어 레벨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레벨 보수재이다.
종래의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는 공개특허번호 제 1997-10703호에 "자기수평성 몰탈 조성물 및 칼러 몰탈 조성물"이라는 제목으로 공개된 것을 볼수 있는데,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바닥의 먼지등에 의해 자기수평성 모르타르와 바닥간의 부착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시공시 발생되는 기포의 발생을 감소시킴으로써 면을 매끈하도록 하기 위하여 먼저, 시멘트 바닥의 요철 부위에 아크릴수지 에멀젼류의 프라이머(primer)를 페인트 도포용 브러쉬 롤러(brush roller)로 도포한 후, 30 - 60분간 건조시킨 다음, 시멘트 바닥의 가장자리에 5 - 10mm 두께의 턱을 설치한 후 자기수평성 모르타르를 바닥에 붓고, 미장용 흙손이나 핀 롤러(Pin Roller)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평탄면을 형성시켜 주었다.
이때 자기수평성 모르타르는 포틀랜드 시멘트, 규사, 조강 시멘트, 유동화제등의 분말 조성물에 일정량의 물을 혼합하여 덩어리가 없이 균일상으로 만든 것이었다.
이처럼 상기의 자기수평성 모르타르는 시공하기 전에 프라이머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었고, 시공한 후에는 표면이 경화하는데 거의 1일이 소요되어 그 위에 바닥재를 깔기 위해서는 다음날 작업을 해야했기 때문에 전체 시공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자기수평성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요철 부위에 시공하기위해서는 요철 부위가 있는 시멘트 바닥 전체에 일정 두께로 자기수평성 모르타르를 덮은 다음 미장용 흙손이나 핀 롤러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평탄면을 형성시켜야 했기 때문에 자기수평성 모르타르의 양이 많이 소요되어 원료운반, 물과의 혼합, 타설등의 작업을 하는데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프라이머 작업을 생략하고 시멘트 바닥의 요철 부위를 메꾼 후 빠른 시간내에 경화되도록 하기 위해, 종래의 레벨 보수재인 자기수평성 모르타르의 조성물에서 분말조성물에 물을 배합하는 대신에 아크릴수지 에멀젼을 배합하는 레벨 보수재를 제조하고, 또한 이 레벨 보수재를 사용하여 시멘트 바닥의 요철 부위를 메꾸는데 있어서는 시멘트 바닥 전체를 일정 두께로 덮는 것이 아니라 요철 부위의 낮은 부위에만 메꿀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는 분말 조성물을 제 1 조성물로 하고 액상 조성물을 제 2 조성물로 하여 시공시 적정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분말 조성물은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시멘트, 규사 및 유동화제의 혼합물이고, 액상 조성물은 시판되고 있는 통상의 아크릴수지 에멀젼이다.
먼저, 분말 조성물의 구성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첫째, 포틀랜드 시멘트는 석회, 실리카, 알루미나 및 산화철을 함유한 원료를 적량 혼합하고 소결시킨 후, 적량의 석고를 혼합하여 만든 분말 형태의 것이다.
이 포틀랜드 시멘트는 물과 혼합되어 수화반응을 일으켜 유동성을 상실하며 경화하여 강도가 생기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물과 배합되어 건축물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분말 조성의 55 - 75중량부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다.
둘째, 조강 시멘트는 조기에 치밀한 경화체를 형성하여 높은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강 시멘트로는 보크사이트와 석회석을 원료로 하는 알루미나 시멘트가 사용된다.
이 조강 시멘트는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경화시간이 빨라지긴 하지만, 일정량 이상 첨가될 경우에는 배합중 급격한 경화로 인해 배합이 어려워지고, 유동성이 없어져 시공작업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분말 조성의 5 - 15중량부 알루미나 시멘트를 사용한다.
셋째, 규사는 시멘트와 사용되어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입도에 따라 6호사, 8호사, 10호사, 미세규사등으로 분류되는데, 입도가 크면 유동성이 부족하고 경화후 면이 거칠어지기 때문에 입도가 미세한 것을 선택하여 매끈한 면이 될수 있도록 하고, 또한 규사의 양이 많으면 오히려 유동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분말 조성의 5 - 35중량부 규사를 사용한다.
넷째, 유동화제는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프탈렌설폰산포름알데히드 고축합물염, 멜라민설폰산포름알데히드 고축합물염 또는또는 변성 리그닌설폰산염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분말 조성의 5 - 10중량부 유동화제를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사용량의 범위내에서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시멘트, 규사 및 유동화제를 혼합하면 분말 조성물이 완성된다.
액상 조성물은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아크릴레이트,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유화중합시킨 아크릴수지 에멀젼으로, 수지고형분 : 물의 비율은 0.4 - 0.9 : 1이다.
본 발명의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의 조성비는 다음과 같다.
분말 조성물(제 1 조성물)
포틀랜드 시멘트 : 55 - 75중량부
조강 시멘트 : 5 - 15중량부
규사 : 5 - 35중량부
유동화제 : 5 - 10중량부
액상조성물(제 2 조성물)
아크릴수지 에멀젼
고형분 : 30 - 50중량부
물 : 50 - 70중량부
가장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의 조성비는 다음과 같다.
분말 조성물(제 1 조성물)
포틀랜드 시멘트 : 60중량부
알루미나 시멘트 : 8중량부
규사(10호사) : 25중량부
멜라민설폰산포름알데히드 고축합물염 : 7중량부
액상조성물(제 2 조성물)
아크릴수지 에멀젼
고형분 : 35중량부
물 : 65중량부
다음, 본 발명의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의 시공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별도 포장된 제 1 조성물인 분말 조성물과 또한 별도 포장된 제 2 조성물인 액상 조성물을 시공현장에서 개봉하여 분말 조성물 : 액상 조성물의 비율을 2 - 4 : 1로 배합한 후 사용한다.
배합방법은 핸드 믹서(Hand Mixer)로써 3분이면 가능하며, 균일상이 되면 이혼합된 조성물, 즉 본 발명의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를 요철이 있는 시멘트 바닥의 가장자리에 적당량 붓는다. 부은 후 플라스틱 또는 나무로 된 직사각형의 40 - 50㎝인 평활 주걱으로 긁어 요철부의 낮은 부분에만 메꾸어 넣게 되면 평탄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긁는 도구로서는 T자형 형태로 재질이 고무나 폴리에틸렌 폼 (Polyethylene foam)등으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를 시공할 시, 2시간 이내에 경화가 완료된다.
실시예
포틀랜드 시멘트 60중량부, 알루미나 시멘트 8중량부, 규사(10호사) 25중량부 및 멜라민설폰산포름알데히드 고축합물염 7중량부가 혼합되어 별도 포장된 제 1 조성물인 분말 조성물과 아크릴수지 고형분 35중량와 물 65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수지 에멀젼이 별도 포장된 제 2 조성물인 액상 조성물을 3 : 1의 비율로 한 다음, 핸드 믹서(Hand Mixer)로 3분정도 배합하여 균일상이 된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를 만들었다.
그런 다음, 균일상이 된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를 요철이 있는 시멘트 바닥의 가장자리에 적당량 부은 후 직사각형의 평활 주걱으로 긁어 요철부의 낮은 부분에만 메꾸어 넣어 평탄면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는 종래에 액상 조성물로 물을 사용했던 것과는 달리 아크릴수지 에멀젼을 사용함으로써 시멘트 바닥의 요철 부위를 메꾼 후 2시간 이내에 경화되는 장점이 있고, 보수재 내에 바닥과의 부착력, 기포방지 효과가 있는 아크릴수지 에멀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프라이머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졌다.
또한 이 레벨 보수재를 사용하여 시멘트 바닥의 요철 부위를 메꾸는데 있어서는 직사각형 모양의 평활 주걱 또는 "T"자 모양의 도구로 긁어 줌으로써 요철 부위의 낮은 부위만 메꿀수 있어 레벨 보수재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0)

  1.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시멘트, 규사 및 유동화제로 구성된 분말 조성물을 제 1 조성물로 하고 아크릴수지 에멀젼으로 구성된 액상 조성물을 제 2 조성물로 하여 시공시 별도 포장된 제 1 조성물과 또한 별도 포장된 제 2 조성물을 개봉 및 배합하여 사용하는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조성물인 분말 조성물의 조성비는 포틀랜드 시멘트 55 - 75중량부, 조강 시멘트 5 - 15중량부, 규사 5 - 35중량부 및 유동화제 5 - 10중량부이고, 제 2 조성물인 액상 조성물의 조성비는 고형분(아크릴수지) 30 - 50중량부 및 물 50 - 70중량부인,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3. 제 2항에 있어서, 제 1 조성물인 분말 조성물의 조성비는 포틀랜드 시멘트 60중량부, 조강 시멘트 8중량부, 규사 25중량부 및 유동화제 7중량부이고, 제 2 조성물인 액상 조성물의 조성비는 고형분(아크릴수지) 35중량부 및 물 65중량부인,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4.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제 1 조성물 : 제 2 조성물의 배합비가 2 - 4 : 1인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5. 제 4항에 있어서, 제 1 조성물 : 제 2 조성물의 배합비가 3 : 1인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6.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시멘트, 규사 및 유동화제로 구성된 분말 조성물을 제 1 조성물로 하고 아크릴수지 에멀젼으로 구성된 액상 조성물을 제 2 조성물로 하여 시공시 별도 포장된 제 1 조성물과 또한 별도 포장된 제 2 조성물을 개봉한 다음 핸드 믹서(Hand Mixer)로 배합하여 균일상이 되도록 한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를 요철이 있는 시멘트 바닥의 가장자리에 적당량 부은 후 직사각형의 평활 주걱 또는 "T"자 모양의 도구로 긁어 요철부의 낮은 부분에만 메꾸어 넣는 방법으로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를 요철이 있는 시멘트 바닥에 시공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제 1 조성물인 분말 조성물의 조성비는 포틀랜드 시멘트 55 - 75중량부, 조강 시멘트 5 - 15중량부, 규사 5 - 35중량부 및 유동화제 5 - 10중량부이고, 제 2 조성물인 액상 조성물의 조성비는 고형분(아크릴수지) 30 - 50중량부 및 물 50 - 70중량부인,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를 요철이 있는 시멘트 바닥에 시공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제 1 조성물인 분말 조성물의 조성비는 포틀랜드 시멘트 60중량부, 조강 시멘트 8중량부, 규사 25중량부 및 유동화제 7중량부이고, 제 2조성물인 액상 조성물의 조성비는 고형분(아크릴수지) 35중량부 및 물 65중량부인,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를 요철이 있는 시멘트 바닥에 시공하는 방법.
  9. 제 6항,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제 1 조성물 : 제 2 조성물의 배합비가 2 - 4 : 1인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를 요철이 있는 시멘트 바닥에 시공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제 1 조성물 : 제 2 조성물의 배합비가 3 : 1인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를 요철이 있는 시멘트 바닥에 시공하는 방법.
KR1020000071470A 2000-11-29 2000-11-29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20041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470A KR20020041856A (ko) 2000-11-29 2000-11-29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470A KR20020041856A (ko) 2000-11-29 2000-11-29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856A true KR20020041856A (ko) 2002-06-05

Family

ID=1970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470A KR20020041856A (ko) 2000-11-29 2000-11-29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185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9585A1 (en) * 2005-01-27 2006-08-03 Luca Toncelli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cles in the form of slabs or blocks with acrylic binder
KR100843309B1 (ko) * 2007-02-28 2008-07-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보수보강재
KR20200038019A (ko) 2018-10-02 2020-04-10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 시공방법
KR102148810B1 (ko) 2020-04-29 2020-08-28 최무근 우레탄 변성 에폭시계 유무기 융합 난연성 바닥 마감용 보수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3059A (ja) * 1995-04-06 1996-10-29 Nippon Cement Co Ltd 下地調整用組成物
JPH1149550A (ja) * 1997-08-04 1999-02-23 Takeda Uplex Kk 床の補修工法と助材、床材
KR100218549B1 (ko) * 1996-12-30 1999-09-01 윤용택 폴리머 보강 시멘트계 자기 수평 바닥 마감재 조성물
KR100220562B1 (ko) * 1997-04-03 1999-09-15 이상근 노출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KR20000017876A (ko) * 1999-12-24 2000-04-06 김재욱 시멘트혼입 에폭시수지계 바탕조정재 및 시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3059A (ja) * 1995-04-06 1996-10-29 Nippon Cement Co Ltd 下地調整用組成物
KR100218549B1 (ko) * 1996-12-30 1999-09-01 윤용택 폴리머 보강 시멘트계 자기 수평 바닥 마감재 조성물
KR100220562B1 (ko) * 1997-04-03 1999-09-15 이상근 노출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JPH1149550A (ja) * 1997-08-04 1999-02-23 Takeda Uplex Kk 床の補修工法と助材、床材
KR20000017876A (ko) * 1999-12-24 2000-04-06 김재욱 시멘트혼입 에폭시수지계 바탕조정재 및 시공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9585A1 (en) * 2005-01-27 2006-08-03 Luca Toncelli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cles in the form of slabs or blocks with acrylic binder
US7892464B2 (en) 2005-01-27 2011-02-22 Luca Toncelli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cles in the form of slabs or blocks with acrylic binder
KR100843309B1 (ko) * 2007-02-28 2008-07-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보수보강재
KR20200038019A (ko) 2018-10-02 2020-04-10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 시공방법
KR102148810B1 (ko) 2020-04-29 2020-08-28 최무근 우레탄 변성 에폭시계 유무기 융합 난연성 바닥 마감용 보수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4099A (en) High strength pourable gypsum floor underlayments and methods of providing same
US3947398A (en) Surfacing composition containing aqueous resin emulsion and calcium sulfate hemihydrate plaster
KR100670924B1 (ko)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CA2353939A1 (en) Low dust wall repair compound
CN102358693A (zh) 一种找平砂浆及基于该找平砂浆的地面施工工艺
JP5120122B2 (ja) 防水床構造体の施工方法
US5362320A (en) Sandable low shrinkage mortar patching/coating compound
RU2204540C1 (ru) Сухая растворная смесь
JP3319734B2 (ja) 建築用材料及びその製造並びに施工方法
DK156641B (da) Toermoertelblanding til udlaegning af fliser, kakler, plader og andre belaegninger
KR20020041856A (ko) 시멘트 바닥용 레벨 보수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540918B1 (ko) 벽면 미장용 시멘트몰탈 제조방법
JPS6356185B2 (ko)
KR20010084168A (ko) 실내외 바닥마감 몰탈의 조성물과 그 시공방법
US6106608A (en) Floor patching and leveling compound and associated method
WO1989001916A1 (en) A self-leveling slurry screed, and a dry product for use in preparing it
US4747878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no mix cements
KR101586489B1 (ko) 자기 수평 칼라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
US7241819B2 (en) Method of levelling a floor
US5599634A (en) Thin cemenmtitious surface coatings
KR100509099B1 (ko) 벽면 미장재
KR100307090B1 (ko) 칼라 자력 수평몰탈 바닥 미장재 조성물
KR100517870B1 (ko) 콘크리트벽면 기본바탕 조성용 몰탈
KR20020073009A (ko) 건축용 내외장재
JPH01164748A (ja) セルフレベリング材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