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1713A - 식품 및 식품 포장제 중의 비스페놀-에이 검출법 - Google Patents

식품 및 식품 포장제 중의 비스페놀-에이 검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1713A
KR20020041713A KR1020000071402A KR20000071402A KR20020041713A KR 20020041713 A KR20020041713 A KR 20020041713A KR 1020000071402 A KR1020000071402 A KR 1020000071402A KR 20000071402 A KR20000071402 A KR 20000071402A KR 20020041713 A KR20020041713 A KR 20020041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phenol
food
gas chromatography
foods
dete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9757B1 (ko
Inventor
명승운
김명수
김세진
김기철
Original Assignee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호군
Priority to KR10-2000-0071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757B1/ko
Publication of KR2002004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2Mass spectrometers
    • G01N30/7206Mass spectrometers interfaced to gas chromatograp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55Concentrating samples by solubility techniques
    • G01N2001/4061Solvent extr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2030/022Column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eparation mechanism
    • G01N2030/025Gas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04Preparation or injection of sample to be analysed
    • G01N30/06Preparation
    • G01N2030/062Preparation extracting sample from raw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04Preparation or injection of sample to be analysed
    • G01N30/06Preparation
    • G01N2030/067Preparation by reaction, e.g. derivatising the samp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및 식품 포장제 중의 비스페놀-에이(bisphenol-A) 검출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스페놀-에이를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며 일정한 반응 시간 및 온도 하에서 무수 초산을 반응시켜 비스페놀-에이를 유도체화한 후, 이를 직접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C) 또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를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우수한 감도, 분석시간의 단축 및 간편성, 경제성 등으로 식품이나 식품 포장제의 모니터링에 효과적으로 널리 응용될 수 있는 비스페놀-에이 검출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및 식품 포장제 중의 비스페놀-에이 검출법{A method of determination of bisphenol-A in food and food packaging}
본 발명은 식품 및 식품 포장제 중의 비스페놀-에이(bisphenol-A) 검출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스페놀-에이를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며 일정한 반응 시간 및 온도 하에서 무수 초산을 반응시켜 비스페놀-에이를 유도체화한 후, 이를 직접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C) 또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를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우수한 감도, 분석시간의 단축 및 간편성, 경제성 등으로 식품이나 식품 포장제의 모니터링에 효과적으로 널리 응용될 수 있는 비스페놀-에이 검출법에 관한 것이다.
비스페놀-에이는 여러 가지 식품 포장제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산업화학물질이다[J. Appl. Polym. Sci., 51, 1549(1994)]. 포장제가 식품과 접촉될 때 비스페놀-에이는 식품으로 전이된다[Anal. Chem., 345, 527(1993); J. Appl. Polym. Sci., 49, 345(1993)]. 최근 연구에 의하면 비스페놀-에이는 약간의 에스트로겐 효능을 가진 것으로 발표되어 환경호르몬으로 분류되며 이는 내분비계를 교란하는 물질로 규정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스페놀-에이의 분석을 위하여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비스페놀-에이는 수산화기(-OH)가 두 개 존재하므로 극성이 매우 커서 비스페놀-에이 자체를 분석할 경우 미량분석에 문제가 있거나, 피크의 꼬리끌림현상 등의 정량성에 문제가 많았다. 또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트리메틸실릴(trimethylsilyl) 유도체화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들 시약 값이 비싸며 독성도 있고 수분이 존재할 시에는 반응이 깨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Anal. Chem., 40, 2212(1968); Analyst, 113, 239(1988); J. Chromatogr., 31, 450(1993)]. 따라서, 신속하고 경제적이며 미량까지 분석이 가능한 안정적인 검출법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복잡한 시료 전처리과정과 긴 시료 처리시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식품 및 식품 포장제로부터 비스페놀-에이를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며 무수 초산을 반응시켜 유도체화한 후, 직접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를 사용하여 우수한 감도, 분석 시간의 단축, 저비용 및 간편성 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비스페놀-에이 검출법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품 및 식품포장제 중의 비스페놀-에이 농도를 측정하는 검출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무수 초산의 양에 따른 비스페놀-에이의 회수된 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반응 온도에 따른 비스페놀-에이의 회수된 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반응 시간에 따른 비스페놀-에이의 회수된 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비스페놀-에이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로 분석된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유도체화된 비스페놀-에이의 질량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정량을 위한 검량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식품 및 식품 포장제로부터 비스페놀-에이를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며 일정한 반응시간 및 온도 하에서 무수 초산을 반응시켜 유도체화한 후, 이를 직접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를 사용하여 비스페놀-에이의 농도를 분석하는 비스페놀-에이 검출법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식품 포장제(캔)로부터 비스페놀-에이를 추출하기 위하여 유기용매인 에테르, 클로르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한다. 추출 후에는 수산화나트륨(3)으로 처리하고 무수초산(5)과 반응시켜 비스페놀-에이(2)를 유도체화하고 이러한 유도체화 반응은 다음 반응식 1과 같다.
상기 반응식 1의 유도체화 과정에서 무수 초산의 양, 반응온도 및 반응시간이 중요하며, 무수초산의 양은 100 ∼ 1400 ㎕ 바람직하게는 500 ㎕, 온도는 25 ∼100 ℃ 바람직하게는 80 ℃, 반응시간은 5 ∼ 20분 바람직하게는 10분으로 상기 유도체화 반응을 수행하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비스페놀-에이를 유도체화시키는 최적의 조건이 되며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에 감도 및 선택성이 좋고 보다 향상된 검출한계를 제공한다.
유도체화된 비스페놀-에이의 분석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분석하게 되며, 구체적으로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시키고, 산화에 불활성인 기체를 이동상으로 사용한다. 이동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체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되는 통상의 기체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산화에 불활성인 질소, 헬륨 및 수소 등이 있다. 컬럼의 길이와 내경 등은 중간 정도 극성을 가진 컬럼이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폭시 캔(epoxy can)을 추출용매인 디클로로메탄으로 채우고 내부표준물질인 중수소화된 비스페놀-에이를 0.2 ㎍을 첨가하였다. 유기용매로 채워진 캔을 초음파 세척기에서 20분 동안 추출하였다. 새로운 디클로로메탄을 채운 후 다시 20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용매를 완전히 분리한 다음 질소 농축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휘발시켰다. 추출된 잔유물을 아세톤 1 ㎖로 용해시켜 유도체화과정으로 들어갔다. 아세톤 1 ㎖에 용해된 추출물에 포화 수산화나트륨 500 ㎕와 무수 초산을 100 ㎕, 200 ㎕, 400 ㎕, 600 ㎕, 800 ㎕, 1 ㎖, 1.4 ㎖를 첨가하여 80 ℃에서 10분 동안 가열한 후 반응을 완성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용액을 직접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수 초산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회수된 비스페놀-에이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고 무수 초산 500 ㎕이상에서는 비스페놀-에이의 회수양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시예 2
에폭시 캔을 추출용매인 디클로로메탄으로 채우고 내부표준물질인 중수소화된 비스페놀-에이를 0.2 ㎍을 첨가하였다. 유기용매로 채워진 캔을 초음파 세척기에서 20분 동안 추출하였다. 새로운 디클로로메탄을 채운 후 다시 20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용매를 완전히 분리한 다음 질소 농축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휘발시켰다. 추출된 잔유물을 아세톤 1 ㎖로 용해시켜서 유도체화 과정으로 들어갔다. 아세톤 1 ㎖에 용해된 추출물에 포화 수산화나트륨 500 ㎕와 무수 초산 500 ㎕를 첨가하여 0 ℃, 25 ℃, 50 ℃, 80 ℃, 100 ℃에서 10분 동안 가열한 후 반응을 완성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용액을 직접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응온도를 변화시키면서 회수된 비스페놀-에이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고 80 ℃이상에서 일정한 회수양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에폭시 캔을 추출용매인 디클로로메탄으로 채우고 내부표준물질인 중수소화된 비스페놀-에이를 0.2 ㎍을 첨가하였다. 유기용매로 채워진 캔을 초음파 세척기에서 20분 동안 추출하였다. 새로운 디클로로메탄을 채운 후 다시 20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용매를 완전히 분리한 다음 질소 농축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휘발시켰다. 추출된 잔유물을 아세톤 1 ㎖로 용해시켜서 유도체화 과정으로 들어갔다. 아세톤 1 ㎖에 용해된 추출물에 포화 수산화나트륨 500 ㎕와 무수 초산 500 ㎕를 첨가하여 80 ℃에서 0, 5, 10, 15, 20, 25, 30, 60분 동안 가열한 후 반응을 완성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용액을 직접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응시간을 변화시키면서 회수된 비스페놀-에이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고 10분 이상의 반응시간에서 일정한 회수양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 2, 3을 통하여 얻은 최적의 조건인 무수 초산 500 ㎕, 반응시간 10분, 반응온도 80 ℃에서 반응시켜서 얻은 용액을 2 ㎕ 취하여,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에 주입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량의 비스페놀-에이(피크 1)와 내부표준물질(피크 2)의 크로마토그램을 얻었다. 도 5는 유도체화된 비스페놀-에이의 질량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는데 분자량이 m/z 312에서 검출되고 있으며 다른 토막이온인 m/z 213, 270, 228, 255, 119등도 나타내었다. 비스페놀-에이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 기기로는 휴렛-팩커드(Hewlett-Packard)사의 5973 질량분석기와 여기에 연결된 6890 플러스(plus) 기체 크로마토그래프이다. 사용된 이온화 방법은 전자충격법(electron impact, EI)이며 이온원의 온도는 250 ℃이었다. 정량을 위하여 SIM(Selected Ion Monitoring) 모드가 사용되었으며 선택된 이온은 비스페놀-에이의 경우는 기준 피크(base peak)인 m/z 213이 사용되었으며 내부표준물질의 경우는 m/z 224가 사용되었다. 길이가 30 m, 내경이 0.25 ㎜, 필름 두께가 0.25 ㎛인 HP-5MS 컬럼을 사용하였고, 이동상 기체로는 헬륨을 사용하였으며, 흐름 속도는 1 ㎖/min이었다. 컬럼의 온도는 초기에 150 ℃에서 1분간 머무른 후 10 ℃/min 속도로 270 ℃까지 승온시키고 270 ℃에서 5분 동안 머물게 하였다. 시료 주입구의 온도는 270 ℃이었으며 연결장치의 온도는 280 ℃이었다.
실시예 5
비스페놀-에이의 EI에서 나타난 여러 개의 이온들 중에서 기준 피크인 m/z 213과 내부표준물질의 기준 피크인 m/z 224 이온을 SIM(Selected Ion Monitoring)을 이용하여 검출하면 감응도가 더욱 증가하게 되고 시료 중의 다른 방해물질들에 의한 영향도 줄어들어 본 실험에서는 이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의 분석 방법을 통하여 비스페놀-에이를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정량하기 위한 검량곡선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고 0.5 ∼ 16 ㎍/㎖ 농도범위에서R2=0.9994의 좋은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변동계수(C.V.)값도 0.4 ∼ 4%를 나타내어 좋은 반복성을 나타내었으며 0.5 ㎍/㎖에서 6 회 실시한 재현성 실험에서도 상대표준편차(RSD)가 1.5%로써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비스페놀-에이를 캔 속에 들어있는 식품으로부터 추출하기 위해서는 5% 염화나트륨 용액 10 ㎖과 6 N HCl 200 ㎕를 시료에 가하였다. 이렇게 처리된 시료를 분리 깔대기로 옮기고 디클로로메탄 50 ㎖과 내부표준물질인 중수소화된 비스페놀-에이 0.2 ㎍를 첨가하였다. 약 1분 동안 진탕시켜 유기층을 취한 후 질소 농축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휘발시키고 다시 아세톤 1 ㎖로 용해시켜 유도체화 과정에 들어갔다. 아세톤 1 ㎖에 용해된 추출물에 포화 수산화나트륨 500 ㎕와 무수 초산 500 ㎕를 가하여 80 ℃에서 10분 동안 가열한 후 반응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용액을 직접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와 같으며 정량된 값은 표 1에 나타나있는데 좋은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검출법을 통하여 식품 및 식품 포장제에서 실제 검출한 비스페놀-에이의 양은 다음 표 1과 같으며 한 캔에서 0.11 ∼ 11.40 ㎍까지 검출되었으며 캔으로 포장된 식품 중에서는 0.12 ∼ 5.70 ppb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품 및 식품 포장제로부터 비스페놀-에이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며,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에 대해서 선택적이고 우수한 감도를 가지고, 물질의 분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로 분석하는 최적의 분석 조건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우수한 감도, 재현성을 향상, 정확성, 분석시간의 단축, 저비용 및 간편성 등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으로 분류되고 있는 비스페놀-에이를 식품 및 식품 포장제에 대한 모니터링에 효과적으로 널리 응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식품 및 식품 포장제 중의 비스페놀-에이 검출법에 있어서, 상기 검출법이 식품 및 식품 포장제(캔)으로부터 비스페놀-에이를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며 온도 25 ∼ 100 ℃ 및 5 ∼ 20분의 조건하에서 무수 초산 100 ∼ 1400 ㎕과 반응시켜 비스페놀-에이를 유도체화한 후, 이를 직접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에서 선택된 것으로 비스페놀-에이 농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페놀-에이 검출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중의 비스페놀-에이 검출시 식품으로부터 비스페놀-에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염화나트륨과 염산용액에 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페놀-에이의 검출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가 에테르, 클로르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페놀-에이 검출법.
KR10-2000-0071402A 2000-11-28 2000-11-28 식품 및 식품 포장제 중의 비스페놀-에이 검출법 KR100379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402A KR100379757B1 (ko) 2000-11-28 2000-11-28 식품 및 식품 포장제 중의 비스페놀-에이 검출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402A KR100379757B1 (ko) 2000-11-28 2000-11-28 식품 및 식품 포장제 중의 비스페놀-에이 검출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713A true KR20020041713A (ko) 2002-06-03
KR100379757B1 KR100379757B1 (ko) 2003-04-11

Family

ID=1970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402A KR100379757B1 (ko) 2000-11-28 2000-11-28 식품 및 식품 포장제 중의 비스페놀-에이 검출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7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2474A (zh) * 2012-06-06 2012-09-26 昆明理工大学 一种食品中双酚a和双酚af的快速检测方法
CN105259287A (zh) * 2015-10-27 2016-01-20 哈尔滨工业大学 水环境中双酚类物质的二级质谱检测方法
CN105675707A (zh) * 2016-01-14 2016-06-15 中国检验检疫科学研究院 一种液态奶中双酚a的快速检测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2474A (zh) * 2012-06-06 2012-09-26 昆明理工大学 一种食品中双酚a和双酚af的快速检测方法
CN102692474B (zh) * 2012-06-06 2014-08-06 昆明理工大学 一种食品中双酚a和双酚af的快速检测方法
CN105259287A (zh) * 2015-10-27 2016-01-20 哈尔滨工业大学 水环境中双酚类物质的二级质谱检测方法
CN105675707A (zh) * 2016-01-14 2016-06-15 中国检验检疫科学研究院 一种液态奶中双酚a的快速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9757B1 (ko) 200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Smaele et al. Capillary gas chromatography-ICP mass spectrometry: a powerful hyphenated technique for the determination of organometallic compounds
Farajzadeh et al. Simultaneous derivatization and air-assisted liquid–liquid microextraction of some aliphatic amines in different aqueous samples followed by 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ion
Wolf et al. Determination of chromium and beryllium at the picogram level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Deng et al. Development of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llowing headspace single-drop microextraction and simultaneous derivatization for fast determination of short-chain aliphatic amines in water samples
Schäfer et al. Direct coupling of a micro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and a mass spectrometer
Liu et al. Rapid determination of cyanide in human plasma and urine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ith two-step derivatization
Takino et al. Analysis of anatoxin-a in freshwaters by automated on-line derivatization–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mass spectrometry
Jones et al. The analysis of β-agonists by packed-column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with ultra-violet and atmospheric pressure chemical ionisation mass spectrometric detection
KR100379757B1 (ko) 식품 및 식품 포장제 중의 비스페놀-에이 검출법
CN113295805A (zh) 一种药物中水合肼的检测方法
Sandström et al.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amines in biological fluid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biological monitoring of isocyanates and amines: II. Determination of 2, 4-and 2, 6-toluenediamine using glass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and selected ion monitoring
CN108956812B (zh) 一种土壤中水溶性有机氯农药残留的检测方法
KR100461702B1 (ko) 수질 시료 중에 잔류하는 글리포세이트, 엔도탈,클로람벤의 동시 검출법
CN112255323B (zh) 一种用于液相色谱-质谱检测的新型氯增强离子化试剂及其应用
Haering et al. Measurement of ergotamine in human plasma by triple sector quadrupole mass spectrometry with negative ion chemical ionization
Giachetti et al. Gas chromatographic—mass spectrometric determination of ethyl carbamate as the xanthylamide derivative in Italian aqua vitae (grappa) samples
KR100439737B1 (ko) 미량 산성농약의 동시 검출법
KR100504303B1 (ko) 수질 시료 중에 잔류하는 에틸렌티오우레아, 말레산히드라지드, 이소프로필메틸포스포네이트의 동시 검출법
El-Ghorab et al. Determination of acrylamide formed in asparagine/D-glucose Maillard model systems by using gas chromatography with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JP3654715B2 (ja) シリコーンオイルの定量分析方法
Graaf et al.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carbadox and desoxycarbadox in medicated feeds and in porcine gastrointestinal tract
Morgil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ast and simple LC-ESI MS/MS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8-hydroxyl-2′-deoxyguanosine (8-OHdG) in human urine
CN111965276A (zh) 一种节瓜中多杀菌素a、多杀菌素d、噻虫胺、噻虫嗪的残留量检测方法
Song et al. Capillar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for rapid analysis of pinane monoterpene glycosides in Cortex Moutan
KR100537403B1 (ko) 수질 시료 중에 잔류하는 아미트롤의 검출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