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963A -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963A
KR20020040963A KR1020000070668A KR20000070668A KR20020040963A KR 20020040963 A KR20020040963 A KR 20020040963A KR 1020000070668 A KR1020000070668 A KR 1020000070668A KR 20000070668 A KR20000070668 A KR 20000070668A KR 20020040963 A KR20020040963 A KR 20020040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text message
display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철
Original Assignee
허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철 filed Critical 허승철
Priority to KR102000007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0963A/ko
Publication of KR2002004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96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expressing greetings, gratitude or emo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복수개의 입력버튼들과 전송버튼을 가지며, 차량 운전석에서 조작가능한 위치에 부착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각 입력버튼에 대응하며, 차량의 운행과 관련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일정한 문자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차량의 보조제동등 근방에 후방 차량에서 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는 미니표시부 및 상기 조작부의 입력버튼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메시지를 상기 미니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의 전송버튼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미니표시부에 표시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운전자의 의사를 문자로 표시하거나 도로의 전방상황을 후방의 차량에 알릴 때 이를 미리 확인하고 나서 후방의 차량에 알림으로써 운전자가 전달하려고 하는 메시지가 정확히 전달되어 안전운행과 도로의 교통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또한 문자메시지를 표시하지 않는 동안에는 광고용 데이터를 표시하여 광고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Message delivery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메시지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버튼을 간단히 누름에 따라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문자메시지가 운전자의 확인 작업을 거친 뒤에 후방의 차량이 볼 수 있도록 표시되며, 버튼이 눌러지지 않는 동안에는 광고용 자막이나 영상이 표시되도록 구성된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으로 도로를 주행하다가 끼워들기를 갑작스럽게 하거나, 뒤차가 끼워들기를 허용했을 때 이에 대한 미안함의 표시와 감사의 답례를 표시할 방법이 궁색하였다. 손을 들어 뒤차에 대한 감사의 답례를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차량의 주행중에 손을 드는 것이므로 위험할 뿐만 아니라, 뒷유리에 짙은 색으로 선팅을 한 경우에는 뒤차가 이러한 감사의 답례를 볼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양보를 해준 입장에서는 서운함을 느낄 수 있으며, 이러한 감사의 답례가 궁색함으로써 도로의 교통문화가 밝게 정착되지 못하며, 또한 운전자 간의 의사전달이 미흡한 탓으로 종종 도로상에서 주행을 멈추고 시비를 가리는 경우도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로를 주행 중에 후방차량들은 볼 수가 없는 도로 전방의 상황을 후방차량 운전자에게 알려주거나 주의 사항에 대한 지시, 경고 등의 의사표현을 하여교통사고에 대한 위험을 사전에 억제하고자 해도 이를 표시할 적당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교통사고에 대한 위험이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차량의 보조브레이크등 근방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의사표시를 후방의 차량에 알릴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종래의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버튼(2) 중에서 어느 하나의 버튼(2)이 눌러지면 그 눌러진 버튼(2)에 대응되는 메모리부(미도시)의 어드레스에 기억된 문자메시지를 발광다이오드(LED) 등으로 구성된 표시부(3)에 표시하여 운전자의 의사표시를 후방차량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1)는 그 표시부(3)에 표시될 문자메시지를 운전자가 확인하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서 운전자가 상기 각 버튼(2)을 누르면 표시될 문자메시지를 전부 암기하고 있어야 하는데, 운전자의 기억이 희미해진 경우에는 어느 버튼(2)을 눌러야 전달하고자 하는 문자메시지가 후방의 차량에 표시될 것인가를 알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운전자의 기억이 희미해진 경우에 운전자가 대강의 짐작으로 어느 하나의 버튼(2)을 누름에 따라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정확하게 후방 차량에게 전달하지 못하고 다른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전달함으로 해서 후방 차량은 더욱 불쾌한 기분이 들고 또한, 상기와 같이 잘못 전달된 메시지는 사고의 위험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을 이용하여 판촉 등의 광고활동을 전담하는 홍보용 차량도 고안되었으나 이를 이용하기에는 너무 비용이 비싸고, 버스 등의 차량에 광고판을 부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역시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광고메시지를 전달하지 못하므로 그 사용에 한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운전자의 의사나 도로의 전방상황 등 운전자가 후방의 차량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운전자가 한 번 확인한 뒤에 이를 후방 차량에 나타냄으로써,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정확하게 후방의 차량에게 전달하여 도로의 안전운행과 도로의 교통문화 발전에 기여하며, 또한 광고용 자막이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어 차량을 광고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조작부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메시지 전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로 광고용 데이터가 수신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제어부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투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조작부 12. 버튼부
14. 숫자버튼 15. 바탕버튼
16. 전송버튼 18. 미니표시부
20. 제어표시판넬 30. 메모리부
40. 수신부 50. 표시부
60. 제어부 90. 연결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달장치는 복수개의 입력버튼들과 전송버튼을 가지며, 차량 운전석에서 조작가능한 위치에 부착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각 입력버튼에 대응하며, 차량의 운행과 관련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일정한 문자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차량의 보조제동등 근방에 후방 차량에서 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는 미니표시부; 및 상기 조작부의 입력버튼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메시지를 상기 미니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의전송버튼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미니표시부에 표시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100)를 도시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의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구성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조작부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메시지 전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를,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로 광고용 데이터가 수신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제어부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투챠트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100)는 조작부(10)와, 제어표시판넬(20)과 연결수단(9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조작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조작하기 위해서 차량 핸들(8)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며, 버튼부(12)와 미니표시부(1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버튼부(12)는 입력버튼과 전송버튼(16)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버튼은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로 구성된 숫자버튼(14)과, 바탕버튼(15)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숫자버튼(14)은, 예를 들어 1부터 12 까지의 아라비아 숫자에 대응하는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바탕버튼(15)과 전송버튼(16)은 그 버튼(15,16)들이 눌러지면 그에 따라 문자메시지 혹은 광고용 데이터가 후술하는 표시부(50)에 표시된다.
상기 미니표시부(18)는 운전자가 후방의 차량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버튼부(12)의 하방에 위치하며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미니표시부(18)는 액정표시장치(LCD)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표시판넬(20)은 차량의 뒷유리(4)를 통하여 후방 차량에서 볼 수 있도록 차량의 보조제동등(5) 근방에 설치되며, 메모리부(30)와, 수신부(40)와, 표시부(50)와, 제어부(60)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메모리부(30)는 상기 버튼부(12)의 숫자버튼(14)에 대응하여 각기 일정한 문자메시지가 저장되어 있으며, 통상의 메모리와 마찬가지로 어드레스(address)에 본문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1번 어드레서(address)에는 '감사합니다', 2번 어드레스에는 '끼어들어서 죄송합니다', 3번 어드레스에는 '급제동 미안합니다', 4번 어드레스에는 '좋은 하루 되십시오', 5번 어드레스에는 '초보 운전', 6번 어드레스에는 '아기(노약자)가 타고 있어요', 7번 어드레스에는 '전방 사고 발생', 8번 어드레스에는 '먼저 가십시오', 9번 어드레스에는 '전방 도로 지체', 10번 어드레스에는 '라이트가 켜졌습니다', 11번 어드레스에는 '좌회전합니다', 12번 어드레스에는 '우회전합니다' 등의 문자메시지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또한 상기 메모리부(30)에는 상기 문자메시지에 대응하는 음성메시지가 그 문자메시지가 저장된 어드레스에 함께 저장되어 있다.
상기 수신부(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기업체로부터 의뢰을 받은 통신회사로부터 안테나(45)에 의해 광고용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렇게 수신된 광고용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후술하는 표시부(50)에 표시된다.
상기 표시부(50)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며, 상기 버튼부(12)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문자메시지를 표시하거나, 혹은 상기 버튼부(12)의 조작에 따라 상기 수신부(40)에서 수신되는 광고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50)는 후방차량의 운전자들이 잘 볼 수 있게 그 배경색을 짙게 구성할 수도 있고, 발광다이오드(LED)보다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는 액정표시장치(LCD)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60)는 통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스로 구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부(40)에서 수신되는 광고용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50)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다가, 상기 버튼부(12)의 숫자버튼(14)이 눌러지면 상기 메모리부(30)에서 상기 눌러진 숫자버튼(14)에 대응하는 숫자의 어드레스에 저장된 문자메시지와 음성메시지를 읽어들여, 상기 음성메시지는 차량의 스피커(9)를 통하여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문자메시지는 상기 미니표시부(18)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버튼부(12)의 전송버튼(16)이 눌러지면 상기 읽어들인 문자메시지가 상기 표시부(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만약 3번 숫자버튼(24)이 눌러지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메모리부(30)에서 3번 어드레스에 저장된 '급제동 미안합니다' 라는 문자메시지와 그 문자메시지의 음성메시지를 각각 읽어들여 그 음성메시지는 차량의 스피커(9)를 통하여 음성메시지가 들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문자메시지는 상기 미니표시부(18)에 '급제동 미안합니다' 라고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운전자가 그 음성메시지를 듣거나 상기 미니표시부(18)를 보고 전송하려는 메시지임을 확인하여 상기 전송버튼(16)을 누르게 되면 그에 따라 '급제동 미안합니다' 라는 문자메시지가 상기 표시부(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수단(90)은 상기 조작부(10)와 상기 제어표시판넬(20)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를 전달한다.
먼저, 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이와 함께 상기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회사로부터 의뢰를 받은 통신회사에서 보내는 광고용 데이터가 상기 수신부(40)를 통하여 수신(도 9의 S1)된다. 상기 수신된 광고용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해독되며, 상기 광고용 데이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50)에 표시(S2)된다. 그러면 광고회사가 의뢰한 광고내용이 상기 표시부(50)에 나타나므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차량의 주행 중에 급작스런 끼어들기를 한 경우, 이에 대한 미안함의 표시로 핸들 가까이에 설치된 상기 조작부(10)의 2번 숫자버튼(14)을 누른다.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숫자버튼(14)이 눌러졌는지를 판단(S3)하여 상기 메모리부(30)의 2번 어드레스에 저장된 '끼어들어서 죄송합니다'라는 문자메시지와 그 음성메시지를 읽어들인다.(S4)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조작부(10)의 숫자버튼(14)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메시지인 '끼어들어서 죄송합니다' 라는 소리는 차량의 스피커(3)를 통해서 출력(S5)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미니표시부(18)에도 '끼어들어서 죄송합니다' 라고 표시(S6)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운전자는 자신이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임을 상기 스피커(9)나 상기 미니표시부(18)를 통하여 확인하고, 후방 차량에게 알리고자 하는 메시지가 맞으면 상기 버튼부(12)의 전송버튼(16)를 누른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전송버튼(16)이 눌러졌는지를 판단(S7)하여, 상기 전송버튼(16)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끼어들어서 죄송합니다'라는 문자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50)에 표시(S8)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후방차량은 그 문자를 보게 되고 불쾌한 감정이 누그러질 수 있고, 도로의 교통문화는 밝아지게 된다. 만약,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다른 숫자버튼(14)을 눌러서, 상기 스피커(3)나 미니표시부(18)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찾아서 상기 전송버튼(16)만 누르면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상기 표시부(50)에 표시되어, 후방의 차량은 그 메시지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바탕버튼(15)이 눌러졌는지를 판단(S9)하여 바탕버튼(15)이 눌러진 경우에는 상기 수신부(30)에서 수신되는 광고용 데이터를 읽어들여(S1) 이를 상기 표시부(50)에 표시(S2)하고, 상기 바탕버튼(15)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가 표시부(50)에 일정시간 예를 들어 20초간 계속 표시되었는지를 판단(S10)한다. 만약 상기 문자메시지가 20초간 계속 표시되었다면 다시 통신회사로부터 전송되는 광고용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상기 수신부(40)를 통하여 수신되어 이것이 상기 표시부(50)에 표시(S2)되도록 제어하고, 20초간 계속 표시되지 않았다면 상기 문자메시지가 계속 상기 표시부(50)에 표시(S6)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상기 바탕버튼(15)을 누르게 되면 20초가 지나기 전이라도 상기 통신회사로부터 전송되는 광고용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상기 수신부(40)를 통하여 수신되어 이것이 상기 표시부(50)에 표시되는 것이다.
운전자는 계속 주행하다가 필요한 순간에 적절한 의사표현이 담긴 메시지가 저장된 해당 어드레스 번호와 대응되는 상기 숫자버튼(14)를 누르면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다시 상기 표시부(50)에 표시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미니표시부(18)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미니표시부(18)를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조작부의 숫자버튼(14)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음성메시지가 상기 스피커(9)를 통해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의 전송버튼(16)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메시지에 대응하는 문자메시지를 상기 표시부(5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면 되는 것이다. 즉 도 9의 S6 단계만 생략되는 것이며, 나머지 과정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모리부(30)에는 문자메시지와 대응하는 음성메시지가 저장되며, 또한 스피커(9)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여기에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음성메시지 및 스피커를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상기 메모리부에는 상기 조작부(10)의 숫자버튼(14)에 대응하는 일정한 문자메시지만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조작부(10)의 숫자버튼(14)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문자메시지가 상기 미니표시부(18)를 통해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10)의 전송버튼(16)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미니표시부(18)에 표시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표시부(5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면 되는 것이다. 운전자는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맞는지의 여부를 상기 미니표시부(18)를 통해서 확인하면 되는 것이다. 즉 도 9에서 S4 단계가 해당숫자버튼에 대응하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문자메시지를 읽어들이는 단계로 대체되고, S5 단계는 생략되는 것이며, 나머지의 과정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피커가 차량에 부착된 스피커(9)인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의 양 측면이나 뒷면, 혹은 전면의 미니표시부 바로 옆이나, 상기 제어표시판넬의 적절한 위치에 별도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신부(40)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신부(40)는 생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운전자는 '좋은 하루 되십시요'라는 문자메시지를 상기 표시부(50)에 계속하여 표시하다가 후방차량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예를 들어 '급제동 미안합니다'를 잠시 표시한 후에 다시 '좋은 하루 되십시요'라는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미니표시부(18)와 숫자버튼(14)과 전송버튼(16)은 조작부(10)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60), 표시부(50), 수신부(40), 메모리부(30)는 상기 제어표시판넬(20)에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제어부나, 메모리부나, 수신부나, 혹은 이들 중 둘 이상은 상기 조작부에 수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에 의하면, 운전자의 의사나 도로의 전방상황 등 운전자가 후방의 차량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운전자가 한 번 확인한 뒤에 이를 후방 차량에 나타냄으로써, 운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정확하게 후방의 차량에게 전달하여 도로의 안전운행과 도로의 교통문화 발전에 기여하며, 또한 광고용 자막이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어 차량을 광고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복수개의 입력버튼들과 전송버튼을 가지며, 차량 운전석에서 조작가능한 위치에 부착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각 입력버튼에 대응하며, 차량의 운행과 관련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일정한 문자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차량의 보조제동등 근방에 후방 차량에서 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조작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는 미니표시부; 및
    상기 조작부의 입력버튼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메시지를 상기 미니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의 전송버튼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미니표시부에 표시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광고용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문자메시지를 표시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광고용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는 '감사합니다', '끼어들어서 죄송합니다', '급제동 미안합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초보 운전', '아기(노약자)가 타고 있어요', '전방사고 발생', '먼저 가십시오', '전방 도로 지체', '라이트가 켜졌습니다', '좌회전합니다', '우회전합니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4. 복수개의 입력버튼들과 전송버튼을 가지며, 차량 운전석에서 조작가능한 위치에 부착되는 조작부;
    스피커;
    상기 조작부의 각 입력버튼에 대응하며, 차량의 운행과 관련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일정한 문자메시지와 그 문자메시지의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차량의 보조제동등 근방에 후방 차량에서 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조작부의 입력버튼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음성메시지가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의 전송버튼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된 음성메시지에 대응하는 문자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광고용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문자메시지를 표시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광고용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조작부의 각 버튼에 대응하는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는 미니표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입력버튼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메시지와 음성메시지를 각각 상기 미니표시부와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의 전송버튼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문자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차량에 부착된 차량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8.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조작부의 일면에 부착된 별도의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9. 차량 운전석에서 조작가능한 위치에 부착되며, 복수개의 입력버튼들과 전송버튼 및 그 전면에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는 미니표시부를 가지는 조작부;
    차량의 보조제동등 근방에 설치되며, 제어부와 표시부와 메모리부를 수용하는 제어표시판넬; 및
    상기 조작부와 상기 제어표시판넬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조작부의 각 입력버튼에 대응하며 차량의 운행과 관련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일정한 문자메시지를 저장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표시판넬 내에서 후방 차량에서 볼 수 있도록 위치하여 상기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입력버튼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메시지를 상기 미니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의 전송버튼의 눌림에 응답하여 상기 미니표시부에 표시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표시판넬은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광고용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문자메시지를 표시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광고용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KR1020000070668A 2000-11-25 2000-11-25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KR20020040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668A KR20020040963A (ko) 2000-11-25 2000-11-25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668A KR20020040963A (ko) 2000-11-25 2000-11-25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963A true KR20020040963A (ko) 2002-05-31

Family

ID=1970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668A KR20020040963A (ko) 2000-11-25 2000-11-25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096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5887A1 (en) * 2005-01-14 2006-07-20 Chan-Jun Park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rdered by vehicle driver's voice together with advertisement
KR100731720B1 (ko) * 2006-08-17 2007-06-22 (주) 제이더블유테크널러지 차량운전자의 의사표시기능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
KR100789769B1 (ko) * 2005-12-01 2007-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문자 메시지 전송 장치
WO2013101029A1 (en) * 2011-12-29 2013-07-0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typing
CN109204124A (zh) * 2018-02-07 2019-01-15 黄宏程 车辆安全文明行驶对话显示系统
KR102635890B1 (ko) * 2023-06-29 2024-02-13 주식회사 유닉트 안전 메시지 전송을 위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5887A1 (en) * 2005-01-14 2006-07-20 Chan-Jun Park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rdered by vehicle driver's voice together with advertisement
KR100779822B1 (ko) * 2005-01-14 2007-11-28 박찬준 차량 운전자의 음성명령에 따른 메시지와 광고를 표시하는정보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9769B1 (ko) * 2005-12-01 2007-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용 문자 메시지 전송 장치
KR100731720B1 (ko) * 2006-08-17 2007-06-22 (주) 제이더블유테크널러지 차량운전자의 의사표시기능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
WO2013101029A1 (en) * 2011-12-29 2013-07-0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typing
US9280207B2 (en) 2011-12-29 2016-03-08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typing
CN109204124A (zh) * 2018-02-07 2019-01-15 黄宏程 车辆安全文明行驶对话显示系统
KR102635890B1 (ko) * 2023-06-29 2024-02-13 주식회사 유닉트 안전 메시지 전송을 위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9808B1 (en) Automotive messaging display unit
US20050083183A1 (en) Vehicle courteous message display
JPH1075220A (ja) 乗客輸送車両用の文字情報受信・広告システムとその移動ターミナル
KR20020040963A (ko) 차량용 메시지 전달장치
KR20070038638A (ko) 자동차의 후방 지시등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2235368B1 (ko) 차량용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2118711B1 (ko) 후방차량용 알림시스템 및 방법
JPH05221263A (ja) 車両用表示装置
CN103413530B (zh) 利用交通工具上的液晶屏发布信息的控制方法和系统
US20160368380A1 (en) Electronic display device mounted on a vehicle for dynamic communication
KR102635890B1 (ko) 안전 메시지 전송을 위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25269B1 (ko) 차량용 메시지를 제공하는 사인 디바이스
KR100454392B1 (ko) 자동차 방향 전환시 양보 메시지 표시장치
JP3033899U (ja) 車両搭載型メッセージ伝達装置
JP2005343343A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0932116B1 (ko) 신호등장치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KR200377643Y1 (ko) 차량용 의사표시 장치
KR200330365Y1 (ko) 차량용 문자 정보 제공 장치
KR960010033Y1 (ko) 자동차용 보조 안전표시장치
KR20220052518A (ko) 차량용 메시지 전달 시스템
JPH08127291A (ja) 自動車のメッセージ伝達装置
KR19990002425A (ko)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속도 경고 장치
WO2007015630A1 (en) Signboard for vehicle
KR200344929Y1 (ko)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KR200195633Y1 (ko) 전광판의 표시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