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929Y1 -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929Y1
KR200344929Y1 KR20-2003-0040913U KR20030040913U KR200344929Y1 KR 200344929 Y1 KR200344929 Y1 KR 200344929Y1 KR 20030040913 U KR20030040913 U KR 20030040913U KR 200344929 Y1 KR200344929 Y1 KR 200344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ehicle
projector
glass
transmiss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창진
Original Assignee
엄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창진 filed Critical 엄창진
Priority to KR20-2003-0040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9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9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영상전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차량 유리에 다양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전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복수의 문자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며,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기기, 차량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를 렌즈를 통해서 투사시키는 프로젝터, 상기 차량의 유리에 형성되며,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영상신호가 사람이 식별할 수 있는 형태의 영상으로 맺히게 하는 스크린수단, 상기 영상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사용자가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시키는 키입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IMAGE TRANSFER SYSTEM FOR CAR}
본 고안은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차량 유리에 다양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전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을 위한 시스템만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선 변경을 할 때는 방향지시등을 사용하고, 앞 차량의 급정지 시에는 비상상황을 알리기 위해 비상등을 사용하였으며, 그 이외의 의사 전달은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차량 뒷 유리에 알리고 싶은 단어가 표시된 표시판을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도 7은 종래의 표시수단이 사용된 차량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운전이 서투른 경우에는 "초보운전"이라는 표시판(C)을 부착하여 외부에 운전 중 주의를 요구하는 의사를 전달하였고, 그 이외에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에는 "아이가 타고 있어요"라는 표시판(C)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등 상황에 따라서 의사전달에 필요한 표시판(C)을 차량 유리 일측에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표시판(C)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판(C)에 기재된 내용만이 외부에 전달되므로 다른 상황을 표시하고 싶을 때는 그러한 내용이 기재된 다른 표시판(C)을 일일이 교체해서 부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달하고 싶은 내용들을 일일이 표시판(C)으로 만들어서 소지하고 다닐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차량 유리에 다양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전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 유리에 여러 가지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외부에 여러 가지 의사 전달 및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전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의 설치상태도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에서 프로젝터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의 설치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의 설치사시도.
도 5는 도 3의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에서 프로젝터의 사용상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의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7은 종래의 표시수단이 사용된 차량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영상기기 20: 프로젝터
30: 스크린수단 40: 제어수단
50: 키입력수단 60: 비상버튼
A: 차량 B: 유리
C: 표시판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영상전달시스템은 복수의 문자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며,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기기, 차량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를 렌즈를 통해서 투사시키는 프로젝터, 상기 차량의 유리에 형성되며,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영상신호가 사람이 식별할 수 있는 형태의 영상으로 맺히게 하는 스크린수단, 상기 영상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사용자가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시키는 키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기기는 새로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다운 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영상신호의 투사 각도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좌우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수단은 차량용 유리에 윈도우 틴티드 필름이 설치, 차량용 유리에 반투명 야광 발광 물질이 도포된 것일 수 있으며, 차량용 유리가 액정디스플레이(LCD)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비상버튼이 탑승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며 운전자가 작동시킬 수 있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의 단순한 설계상의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의 설치상태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은 영상기기(10), 프로젝터(20), 스크린수단(30), 제어수단(40), 키입력수단(50), 비상버튼(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기기(10)는 복수의 문자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며,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프로젝터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휴대용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 상기 프로젝터(20)에 영상을 제공해 주기 위한 별도의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기기(10)는 새로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다운 받아 저장할 수 있으므로, 최근 유행하는 캐릭터나 단어 또는 동영상 데이터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로젝터(20)는 상기 영상기기(10)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를 렌즈를 통해서 투사시키는 수단으로서, 차량(A)의 내부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20)는 PRT(CRT) 프로젝터, LCD 프로젝터, DLP 프로젝터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20)는 종래와 같이 다기능 프로젝터(20)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특히 이미지(영상)을 투사해 주는 기능만 보유한 프로젝터(20)로 구성할 수 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20)가 차량(A)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차량(A) 천정 중앙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에서 프로젝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20)는 상기 영상기기(10)로부터의 영상신호가 상기 스크린수단(30)에 선명하게 맺히게 하기 위하여 그 투사 각도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젝터(20)는 y축 방향에서는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x축 방향에서는 차량(A)의 옆 유리 및 앞 유리에도 영상신호를 투사시킬 수 있도록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의 설치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의 설치사시도이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에서는 상기 프로젝터(20)가 차량(A)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20)는 일반 승용차에서는 차량(A)의 후단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 종류의 차량(A)에서는 차량(A)의 후방 상단에 차량의 뒷거울이 장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프로젝터(20) 역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에서 프로젝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20)를 상기 차량(A)의 후단부에 부착시킨 후에 차량(A) 유리의 각도 등에 맞추어 영상이 선명하게 맺히도록 상기 프로젝터(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젝터(20)를 상하로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여 그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서 영상이 선명하게 맺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젝터(20)를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식별이 가장 잘 되도록 빨강, 노랑, 적색 등의 단색 칼라가 투사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터(20)를 외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칼라를 사용하여 다양한 영상을 투사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린수단(30)은 상기 차량의 유리(B)에 형성되며, 상기 프로젝터(20)에서 투사된 영상신호가 사람이 식별할 수 있는 형태의 영상으로 맺히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스크린수단(30)은 차량용 유리(B)에 윈도우 틴티드 필름을 설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통상적으로는 햇빛으로부터 운전자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하여 차량(A) 유리(B)에 윈도우 틴티드 필름(Window Tinted Film)을 설치하고 있는데, 이러한 윈도우 틴티드 필름이 영상이 맺히는 스크린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수단(30)은 차량용 유리(B)에 반투명 야광 발광 물질을 도포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영상이 외부 조도에 관련 없이 잘 보이며, 차량용 유리(B)가 창으로서의 역할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상기 유리(B)에 반투명 야광 발광 물질을 도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수단(30)은 액정디스플레이(LCD)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창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상기 영상 전달 시스템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스크린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용 유리(B) 자체를 액정디스플레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를 상기 차량용 유리(B)의 일측에 장착시켜 스크린수단(30)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프로젝터(20)가 차량(A) 내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프로젝터(20)의 설치 각도를 변경하여 영상을 투사할 수 있으므로, 차량(A)의 뒷유리 뿐만 아니라 옆유리 및 앞유리도 스크린수단(30)으로 형성하여 일정한 영상을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영상기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영상기기(10)를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프로젝터(20), 상기 영상기기(10), 또는 상기 키입력수단(50)에 내설될 수 있다.
상기 키입력수단(50)은 사용자가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 조작시키는 수단으로서, 유무선 작동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무선인 리모트콘트롤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수단(50)은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차량(A) 내부의 운전자의 손이 닿는 부분에 장착되거나 누구나 조작할 수 있도록 무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수단(50)은 전원버튼(52), 입력버튼(53), 숫자키버튼(54), 문자키버튼(56), 특수문자버튼(58), 기능버튼(59)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버튼(52)은 상기 영상기기(10)와 상기 프로젝터(20)의 작동을 개시시키기 위해 상기 영상기기(10)와 상기 프로젝터(20)에 전원을 인가하는 버튼이다.
상기 입력버튼(53)은 상기 숫자키버트(54), 문자키버튼(56), 특수문자버튼(58) 등의 버튼을 선택한 후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버튼이다.
상기 숫자키버튼(54)은 상기 영상기기(10)내에 영상이 저장되었을 때 해당 영상이 투시되도록 사용하는 버튼이다. 즉, 자주 사용하는 영상을 상기 영상기기(10)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해당 영상이 특정 숫자키버튼(54)에 의해 투사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문자키버튼(56)은 사용자가 임의로 원하는 글자를 입력하여 영상이 투사될 수 있도록 문자들을 입력하는 버튼이다.
그 이외에 특수문자버튼(5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수문자버튼(58)으로 다양한 특수문자가 포함된 영상을 만들 수 있다.
상기 기능버튼(59)은 기타 다른 기능이 요구될 때 사용하는 버튼으로서, 예컨대 상기 프로젝터(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때는 각도조절기능을 선택한 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는 숫자키버튼(54)이지만, 문자를 직접 입력하고 싶을 때는 상기 숫자키모드를 문자키모드로 전환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상버튼(60)은 강도가 침입한 경우와 같이 비상사태에 작동시키는 버튼으로서, 강도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핸들의 안쪽이나 운전자의 발이 닿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키입력수단(50)에 전원버튼(52) 및 입력버튼(53)이 있지만, 상기 숫자키버튼(54), 문자키버튼(56), 특수문자버튼(58), 기능버튼(59) 중 어느 하나를 일정 시간 누르고 있어도 각 버튼에 해당되는 영상이 투시되도록 각 버튼에는 원터치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의 사용상태도를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로 비교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은 "초보운전", "아이가 타고 있어요" 등의 메시지를 전달하여 운전을 주의해 달라는 간단한 의사전달을 할 수 있으며, 안녕하세요","죄송합니다", "좋은하루되세요", "양보 좀해주세요"등의 메시지를 전달하여 타운전자들에게 간단한 의사전달을 함으로써 운전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버튼(60)을 누름으로써 "강도가 침입했어요", "도와주세요" 등의 비상사태를 외부로 알리는 안전 시스템으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쁜 영상과 단어를 표시하여 자동차 장식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타 영업용 택시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프로젝터(20)가 차량(A) 앞유리(B)로 영상을 투사하도록 설치한 후에 "000 방향으로 갑니다"라는 표시를 하여 승객들이 용이하게 원하는 택시를 찾을 수 있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영상은 일정 시간 지속적으로 투사되는 정지 영상과, 타운전자 등이 더욱 빨리 감지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점멸되는 영상 및 동영상을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전달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유리에 다양한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외부에 특정한 의사전달 및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전달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영상전달시스템은 종래의 틴티드 필름이 장착된 차량에 단지 영상기기, 프로젝터를 설치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저가로 시스템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창문 자체를 액정디스플레이로 형성시켜서, 평상시에는 창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상기 영상 전달 시스템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스크린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를 상기 차량용 유리의 일측에 장착시켜서 창문과 스크린수단으로 모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정한 단어나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키입력수단에 저장된 바에 따라 해당 버튼을 원터치 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한 차량용 영상전달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키입력수단의 문자버튼을 사용하여 단어를 직접 만들어 투사시킬 수 있으므로, 각 상황에 적합한 단어를 사용하여 타 운전자들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기기의 데이터부로 실시간으로 영상을 다운받을 수 있으므로 최근 유행하는 동영상이나 캐릭터 등을 실시간으로 투사시킬 수 있는 차량용 영상전달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는 상하 좌우 여러 각도로 회전 가능하므로 차량의 뒷유리 뿐만 아니라 차량의 옆유리 및 앞유리도 스크린수단으로 사용하여 영상을 전달 할 수 있으므로, 뒤의 차량 뿐 아니라 옆 및 앞의 차량 등에도 의사전달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영상전달시스템에 사용되는 프로젝터는 종래의 다기능 프로젝터와 달리 단지 영상만을 투사시키는 기능만 보유하도록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사용자도 특별한 기능을 익힐 필요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전달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7)

  1. 복수의 문자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며,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기기;
    차량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를 렌즈를 통해서 투사시키는 프로젝터;
    상기 차량의 유리에 형성되며,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된 영상신호가 사람이 식별할 수 있는 형태의 영상으로 맺히게 하는 스크린수단;
    상기 영상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사용자가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 조작시키는 키입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는 새로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다운 받아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영상신호의 투사 각도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좌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수단은 차량용 유리에 윈도우 틴티드 필름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수단은 차량용 유리에 반투명 야광 발광 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수단은 액정디스플레이(L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상버튼이 탑승자에게 노출되지 않으며 운전자가 작동시킬 수 있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KR20-2003-0040913U 2003-12-31 2003-12-31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KR200344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913U KR200344929Y1 (ko) 2003-12-31 2003-12-31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913U KR200344929Y1 (ko) 2003-12-31 2003-12-31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333A Division KR20050070602A (ko) 2003-12-30 2003-12-30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929Y1 true KR200344929Y1 (ko) 2004-03-19

Family

ID=4942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913U KR200344929Y1 (ko) 2003-12-31 2003-12-31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9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823A (ko) * 2021-08-18 2023-02-27 신동석 빛을 이용한 차량간 소통 영상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823A (ko) * 2021-08-18 2023-02-27 신동석 빛을 이용한 차량간 소통 영상표시장치
KR102544131B1 (ko) * 2021-08-18 2023-06-15 신동석 빛을 이용한 차량간 소통 영상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40481B (zh) 一种用于车载的投影系统及汽车
US20150298598A1 (en) Lateral rearview mirror system for a vehicle, method for projecting an image to the environment of the vehicle and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product
US7659808B1 (en) Automotive messaging display unit
US20030137586A1 (en) Vehicle video switching system and method
JP4292647B2 (ja) 複合表示装置
US20140043156A1 (en) Interchangeable personal vehicle display
EP2257065A1 (en) Vehicle peripheral image display system
KR102647373B1 (ko) 물질 투과 조명
US20050083183A1 (en) Vehicle courteous message display
US11493791B2 (en) Display and light blocking screens
US20160159286A1 (en) Rear View Mirror System and Related Methods
EP1510407A3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KR200344929Y1 (ko)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KR20050070602A (ko) 차량용 영상 전달 시스템
KR20180000837U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의사 표시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4965241B (zh) 一种变色投影镜片及具有该镜片的抬头显示器
WO2020143953A1 (en) A display device and a vehicle comprising the display device
CN112918250A (zh) 一种智能显示系统及汽车
KR20180001738U (ko) 조명액자
CN210243975U (zh) 一种带自动变色氛围灯功能的车载抬头显示器
KR100593464B1 (ko) 차량운전자의 감정을 표시하는 이모티콘 표시장치
KR100707913B1 (ko) 다기능 자동차 보조 신호등
JPH11321384A (ja) 車両用表示装置
JPS59227531A (ja) 車両用投影式表示装置
KR20120009118A (ko) 차량용 투명 전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