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201A -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201A
KR20020038201A KR1020000068280A KR20000068280A KR20020038201A KR 20020038201 A KR20020038201 A KR 20020038201A KR 1020000068280 A KR1020000068280 A KR 1020000068280A KR 20000068280 A KR20000068280 A KR 20000068280A KR 20020038201 A KR20020038201 A KR 20020038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distillation apparatus
filter
wate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환
Original Assignee
최성환
이진우
주식회사 엘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환, 이진우, 주식회사 엘텍스 filed Critical 최성환
Priority to KR102000006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8201A/ko
Publication of KR2002003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20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8Transportable devices to obtain potabl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011Heating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2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in boilers or sti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1Build in apparatus for autonomous on board water supply and wastewater treatment (e.g. for aircrafts, cruiseships, oil drilling platforms, railway trains, space 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선박 등과 같이 식수를 장시간 마실 수 없는 경우 해수를 증류하여 사람이 마실수 있는 음용수를 생산하는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해수증류장치(1000)는 상기 해수증류장치(1000)의 주몸체를 형성하는 증류장치몸체부재(200)와,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밀봉하는 증류장치덮개(100)와,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의 내부 하단부에 배설되어 보일러(610)로부터 출력되는 열을 입력받아 해수를 증발시키는 해수증발수단(400)과, 상기 해수증발수단(400)의 상단부에 배설되어 상기 해수증발수단(400)으로부터 증류되어 출력되는 증류수를 외부로 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증기가이드수단(30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APPARATUS FOR PRODUCTING DRINKING WATER BY USING SEAWATER}
본 발명은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박 등과 같이 식수를 장시간 마실 수 없는 경우 해수를 증류하여 사람이 마실수 있는 음용수를 생산하는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랫동안 해수나 염수 등에 존재하는 염류를 제거하여 담수를 생산하는 분리기술이 개발되어 왔으며,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은 물의 상변화를 이용하는 증발법 및 냉동법 등이 있고, 분리막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역삼투압법 및 전기투석법 등에 의한 압력차 및 전위차 등으로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중에서 국내의 여건에 적합한 기술은 증발법과 역삼투압법을 들수 있는데, 역삼투압법은 최근 들어 활발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술로 에너지 소비량은 비교적 낮지만 막의 성능 및 수명을 유지하기 위한 약품처리, 주기적인 세척 및 필터교환 등 전처리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2차오염과 유지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증발법 역시 해수를 증발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의 소모가 너무 커서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수를 증류하여사람이 마실수 있는 음용수를 여러 여과장치를 통과하여 생산하므로서 선박 등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수를 증발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의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해수를 1차적으로 가열한 후, 가열된 해수를 본체 내부로 유입하므로서 해수의 증발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한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된 해수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가열한 후 증류하고, 이와 같이 증류된 증기 및 증류수를 외부로 분리시키는 해수증류장치와, 상기 해수증류장치에서 배출되는 증기 및 증류수를 입력받아 여과하는 여과장치와, 상기 여과장치에서 여과된 후 유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상기 증기가이드수단에서 출력되는 증류수를 저장하는 음용수저장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해수증류장치는 상기 해수증류장치의 주몸체를 형성하는 증류장치몸체부재와,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밀봉하는 증류장치덮개와,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의 내부 하단부에 배설되어 보일러로부터 출력되는 열을 입력받아 해수를 증발시키는 해수증발수단과, 상기 해수증발수단의 상단부에 배설되어 상기 해수증발수단으로부터 증류되어 출력되는 증류수를 외부로 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증기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는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를 구성하는 몸체인 증류장치몸체와, 상기 증류장치몸체의 내부 중앙부에 형성되어 중앙에 관통되어 있는 응결수지지판과, 상기 응결수지지판의 상단부에 배설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옥돌과, 상기 증류장치몸체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해수를 1차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1차해수저장소와, 에어분사장치를 통해서 압축된 공기를 유입하여 내부를 청소하는 에어분사가이드부재와, 상기 관통구멍의 하단부에 상기 응결수지지판의 상측에 저류되어 있는 증류수를 상기 해수증류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여과장치로 배출하는 증류수가이드관과, 상기 1차해수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해수를 상기 증류장치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과, 상기 증류장치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있는 해수 및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 여과하는 여과기와, 상기 여과기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기를 개폐하는 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증기가이드수단은 응결수가이드판 외측면에 배설되어 증기를 유입하는 증기포집기와, 상기 증기포집기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체결부와, 상기 돌출체결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내삽되어 상기 증기포집기의 내부에 있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증기가이드관과, 상기 돌출체결부의 상측에 배설되어 상기 증기가이드관과 상기 증기포집기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해수증발수단은 외측면이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몸체인 해수증발케이스와, 상기 해수증발케이스의 상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소금이 쌓이는 오목부와, 상기 해수증발케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관통구멍을 통해서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유출지지판과, 상기 해수증발케이스의 저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재와, 상기 해수증발케이스의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로부터 출력되는 화염을 가이드하는 화력가이드부재와, 상기 해수증발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해수증발케이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연결되어 있는 화염배출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여과장치는 몸체인 여과케이스와, 상기 여과케이스의 내부에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해수증류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증기 및 증류수를 유입받아 여과하는 여과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수단에는 증기 및 증류수 가이드부재로 유입되는 증기 및 증류수를 입력받아 제 1여과부재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1여과기와, 상기 제 1여과기에서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제 2여과부재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2여과기와, 상기 제 2여과기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제 3여과부재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3여과기와, 상기 제 3여과기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제 4여과부재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4여과기와, 상기 제 4여과기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제 5여과부재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5여과기와, 상기 제 5여과기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제 6여과부재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6여과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제 1,3여과부재는 맥반석을 이용하여 여과하고, 상기제 2,4,6여과부재는 옥을 이용하여 여과하며, 상기 제 5여과부재는 숯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해수증류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해수증류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증기가이드수단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해수증발수단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여과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증류장치덮개 102 : 결착돌출부
110 : 덮개몸체 120 : 절첩부
130 : 압력조절부재 140 : 용접부
142 : 체결수단 200 : 증류장치몸체부재
202 : 결착돌출부 210 : 증류장치몸체
212 : 관통구멍 214 : 증류수가이드관
216 : 관통구멍 220 : 응결수지지판
222 : 옥돌 224 : 응결수가이드판
230 : 1차해수저장소 232 : 해수유입부
235 : 체결수단 239 : 덮개
237 : 해수유입제어부 280 : 여과기
282 : 밸브 290 : 에어분사장치
292 : 에어분사가이드부재 300 : 증기가이드수단
310 : 증기포집기 312 : 돌출체결부
320 : 체결수단 330 : 증기가이드관
400 : 해수증발수단 410 : 해수증발케이스
412 : 오목부 420 : 해수유출지지판
422 : 관통구멍 430 : 지지부재
440 : 화력가이드부재 442 : 화력유입부
450 : 화염배출구 462 : 맥반석부재
610 : 보일러 1000 : 해수증류장치
2000 : 여과장치 2100 : 여과케이스
2110 : 증기가이드부재 2200 : 여과수단
2300 : 제 1여과기 2320 : 제 2여과기
2400 : 제 3여과기 2500 : 제 4여과기
2600 : 제 5여과기 2700 : 제 6여과기
3000 : 냉각장치 4000 : 음용수저장소
본 발명의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첨부도면을 통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에 대한 전체 개략도이며, 해수증류장치(1000)는 본발명의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에 대한 본체로서, 외부에서 유입된 해수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가열한 후 증류하고, 이와 같이 증류된 증류수를 외부로 분리시키는 장치이며, 상기 해수증류장치(1000)에서 배출되는 증기 및 증류수를 입력받아 여과하는 여과장치(2000)와, 상기 여과장치(2000)에서 여과된 후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3000)와, 상기 증기가이드수단(300)에서 출력되는 증류수를 저장하는 음용수저장소(40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해수증류장치(10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기 해수증류장치(1000)의 주몸체를 형성하는 증류장치몸체부재(200)와,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밀봉하는 증류장치덮개(100)와,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의 내부 하단부에 배설되어 보일러(610)로부터 출력되는 열을 입력받아 해수를 증발시키는 해수증발수단(400)과, 상기 해수증발수단(400)의 상단부에 배설되어 상기해수증발수단(400)으로부터 증류되어 출력되는 증류수를 외부로 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증기가이드수단(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증류장치덮개(100)는 상기 증류장치덮개(100)를 구성하는 몸체인 덮개몸체(110)와, 상기 덮개몸체(110)의 외주면에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의 상단부와 결착되어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 내부의 압력을 유지할수 있도록 체결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결착돌출부(102)와, 상기 결착돌출부(102)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에 체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체결수단(142)과, 상기 덮개몸체(11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몸체(110)의 일부분이 접히도록 절첩되어 필요한 경우 사람이 상기 덮개몸체(11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절첩부(120)와, 상기 덮개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압력조절부재(130)와, 상기 덮개몸체(110)의 결착돌출부(102)와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의 상단부와 결착되도록 용접으로 되어 있는 용접부(1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는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를 구성하는 몸체인 증류장치몸체(210)와,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내부 중앙부에 형성되어 중앙에 관통되어 있는 응결수지지판(220)과, 상기 응결수지지판(220)의 상단부에 배설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옥돌(222)과,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해수를 1차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1차해수저장소(230)와, 에어분사장치(290)를 통해서 압축된 공기를 유입하여 내부를 청소하는 에어분사가이드부재(292)와,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내부의 온도를 체크하기 위한 온도계(29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에는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상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착돌출부(102)와 복수개의 체결수단(142) 및 용접부(140)에 의해서 결착되어 있는 결착돌출부(202)와,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상단부에 상기 증기가이드수단(300)의 증류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216)과, 상기 관통구멍(216)의 하단부에 상기 응결수지지판(220)의 상측에 저류되어 있는 증류수를 상기 해수증류장치(1000)에 연결되어 있는 여과장치(2000)로 배출하는 증류수가이드관(214)과,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에 저장되어 있는 해수를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2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응결수지지판(220)의 내부 중앙부 상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통형 모양의 응결수가이드판(2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에는 외부에서 해수를 유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해수유입부(232)와,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의 상측에 배설되어 상기 해수유입부(232)에서 유입되는 해수의 량을 조절하는 해수유입제어부(237)와,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의 상측에 배설되어 복수개의 체결수단(235)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덮개(23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여과기(280)에서는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치를 교체하거나 부득이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내부를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내부에 있는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하는 여과장치의 일종이며, 상기 여과기(28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기(280)에 있는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 개폐하는 밸브(28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분사장치(290)로부터 배출된 고압의 에어가 상기 에어분사가이드부재(292)를 통해서 상기 증류장치몸체(210) 내부에 쌓이는 소금이나 이물질을 외부에서 간단히 제거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상기 에어분사가이드부재(292)의 선단부에 회전할 수 있는 장치를 부가하여 내부의 구석구석을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증기가이드수단(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결수지지판(220)의 응결수가이드판(224) 외측면에 배설되어 증기를 유입하는 증기포집기(310)와, 상기 증기포집기(310)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체결부(312)와, 상기 돌출체결부(312)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내삽되어 상기 증기포집기(310)의 내부에 있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증기가이드관(330)과, 상기 돌출체결부(312)의 상측에 배설되어 상기 증기가이드관(330)과 상기 증기포집기(310)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체결수단(3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수단(320)은 상기 증기가이드관(330)이 상기 증기포집기(310)의 돌출체결부(312)에 결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필요한 경우 분리할 수 있도록 플랜지와 같은 결착방식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해수증발수단(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수증발수단(400)을 구성하도록 외측면이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몸체인 해수증발케이스(410)와,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상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412)와,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관통구멍(422)을 통해서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유출지지판(420)과,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저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재(430)와,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610)로부터 출력되는 화염을 가이드하는 화력가이드부재(440)와,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연결되어 있는 화염배출구(4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412)에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오목부로 인해서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에 의해 가열된 열에 의해서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있는 해수가 증발되고, 이와 같이 증발된 증기는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증기가이드수단(300)의 증기가이드관(330)을 통해서 여과장치(2000)로 인가되나, 그렇지 않고 해수가 증발되다가 일부 소금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소금이 쌓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화력가이드부재(440)의 선단부에는 상기 보일러(610)에서 인가되는 화염을 가이드하도록 관통되어 있는 화력유입부(4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장치(20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장치(2000)를 구성하는 몸체인 여과케이스(2100)와, 상기 여과케이스(2100)의 내부에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해수증류장치(100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 및 증류수를 유입받아 여과하는 여과수단(2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케이스(2100)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해수증류장치(1000)의 증기가이드관(330)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유입하는 증기가이드부재(2110)와, 상기 해수증류장치(1000)의 증류수가이드관(214)으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를 유입하는 증류수가이드부재(2120)와, 상기 여과수단(2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증류수를 다음 단계인 냉각장치(3000)로 인가하는 증류수배출부재(213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수단(2200)에는 복수개의 여과장치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증기 및 증류수가이드부재(2110, 2120)로 유입되는 증기 및 증류수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제 1여과부재(2310)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1여과기(2300)와, 상기 제 1여과기(2300)에서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제 2여과부재(2330)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2여과기(2320)와, 상기 제 2여과기(2320)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제 3여과부재(2410)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3여과기(2400)와, 상기 제 3여과기(2400)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제 4여과부재(2510)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4여과기(2500)와, 상기 제 4여과기(2500)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제 5여과부재(2610)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5여과기(2600)와, 상기 제 5여과기(2600)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복수개의 제 6여과부재(2710)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6여과기(27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3여과부재(2310, 2410)는 맥반석을 이용하여 여과하고, 상기 제 2,4,6여과부재(2330, 2510, 2710)는 옥을 이용하여 여과하며, 상기 제5여과부재(2610)는 숯을 이용하여 여과한다.
그리고 상기에 기술한 체결수단은 통상적인 방식의 볼트를 이용하거나, 플랜지 방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용접 등과 같이 일반적인 체결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반드시 상기와 같은 6단계의 공정과 재료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단계를 가감할 수 있으며, 각 공정에서 여과하는 방식도 반드시 상기와 같은 재료를 가진 여과장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맥반석과 옥과 숯을 적절히 이용하여 다양한 공정을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장치를 구동시켜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스위치를 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장치가 정상동작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동스위치를 온하게 되면,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에 형성된 복수개의 해수유입부(232)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해수가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 내부에 저장되는 해수는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의 일측에 형성된 해수유입제어부(237)에 의해서 기준높이 이상 해수가 저장되도록제어하므로서 일정하게 해수가 저장된다.
한편, 보일러(610)로부터 전달되는 열원을 상기 화력가이드부재(440)의 화력유입부(442)에서 전달받게 되면, 상기 화력가이드부재(440)에 연결되어 있는 해수증발수단(400)의 해수증발케이스(410) 내부로 열원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내부에 전달된 화염은 해수를 증발시킨 후 폐열은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화염배출구(45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해수유입부(232)를 통해서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수는 상기 보일러(610)로부터 전달된 열원이 상기 화력가이드부재(440)를 통해서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로 전달되는 동안, 상기 화력가이드부재(440)의 외측에 접촉되므로서 1차적으로 일정한 온도까지 가열된다.
이와 같이 1차적으로 일정한 온도까지 가열된 해수는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212)을 통해서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된 1차적으로 가열된 해수는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외측에 형성된 해수유출지지판(420)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422)을 통해서 상측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해수는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내부에 전달되는 열원에 의해서 증발되어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외측면에 접촉된 해수가 점차적으로 증발되면,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상측에 형성된 응결수지지판(220)의 응결수가이드판(224)을 통해서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에 의해서 증발된 해수의 양만큼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에서는 자동으로 상기 증류장치몸체(210) 내부로 인가되며, 상기 해수유입부(232)를 통해서 해수가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에 부족분만큼 자동으로 보충되도록 자동으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응결수지지판(220)의 응결수가이드판(224)을 통해서 증발된 증기는 상기 응결수가이드판(224)의 외측에 결착되어 있는 증기포집기(310)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증기포집기(310)의 중앙부에 체결수단(3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증기가이드관(330)을 통해서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여과장치(2000)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에 의해 증발된 증기가 상기 증기가이드관(330)을 통해서 전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증기는 응축되어 상기 응결수지지판(220)의 상측면에 저장되게 되며, 이와 같이 저장된 응축수는 상기 응결수지지판(220)의 상단부에 놓여 있는 복수개의 옥돌(222)에 의해서 여과된 후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증류수가이드관(214)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여과장치(20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해수유출지지판(420)의 상단에는 복수개의 맥반석부재(맥반석부재(462))가 놓여 있어서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에서 1차적으로 가열된 해수를 다시 1차적으로 여과하게 되며, 이와같이 여과된 해수는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표면의 온도에 의해 증발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해수증류장치(1000)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해수를 증발시켜 증기 및 증류수를 생성한 경우에는, 상기 증기가이드관(330) 및 증류수가이드관(214)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 및 증류수가 상기 제 1여과기(2300)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여과기(2300)에 유입된 증기 및 증류수는 상기 제 1여과기(2300)의 저면에 놓여 있는 맥반석 등으로 형성된 제 1여과부재(2310)에 의해서 여과된 후 제 2여과기(2320)로 유입된다.
상기 제 2여과기(2320)에 유입된 증류수는 상기 제 2여과기(2320)의 저면에 놓여 있는 옥으로 형성된 제 2여과부재(2330)에 의해서 여과된 후 제 3여과기(2400)로 유입된다.
상기 제 3여과기(2400)에 유입된 증류수는 상기 제 3여과기(2400)의 저면에 놓여 있는 맥반석 등으로 형성된 제 3여과부재(2410)에 의해서 여과된 후 제 4여과기(2500)로 유입된다.
상기 제 4여과기(2500)에 유입된 증류수는 상기 제 4여과기(2500)의 저면에 놓여 있는 옥으로 형성된 제 4여과부재(2510)에 의해서 여과된 후 제 5여과기(2600)로 유입된다.
상기 제 5여과기(2600)에 유입된 증류수는 상기 제 5여과기(2600)의 저면에 놓여 있는 복수개의 숯으로 형성된 제 5여과부재(2610)에 의해서 여과된 후 제 6여과기(2700)로 유입된다.
상기 제 6여과기(2700)에 유입된 증류수는 상기 제 6여과기(2700)의 저면에 놓여 있는 옥으로 형성된 제 6여과부재(2710)에 의해서 여과된 후 냉각장치(3000)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여과장치(2000)에서 복수 단계를 통해서 여과를 거친 증류수는 상기 냉각장치(3000)의 냉각관(3100)을 통과하므로서 일정한 온도로 냉각되므로서, 즉 사람이 마실수 있는 음용수의 상태로 생산된 후 상기 음용수저장소(4000)에 유입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해수증류장치(1000)를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증류장치덮개(100)의 결착돌출부(102)와 결착돌출부(202)를 복수개의 체결수단(142)에 의해 결착되어 있는 체결수단(142)의 체결을 해제한 후, 상기 덮개몸체(110)의 중간에 형성된 절첩부(120)를 통해서 절첩한 후 내부에 사람이 들어가서 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별도의 장치를 해체하지 않고 상측에 있는 체결수단(142)를 해제하므로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청소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282)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해수, 소금 및 이물질 등이 상기 여과기(280)를 통해서 여과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다음 상기 에어분사장치(290)로부터 배출되는 고압의 에어를 이용하여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외부에 쌓여 있는 이물질 또는 소금성분에 분사하게 되므로서 간단히 청소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는, 해수를 유입하여 증류한 후 맥반석 및 옥 및 숯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사람이 마실수 있는 음용수를 생산하므로서 외딴섬이나 선박 등과 같이 장시간 천연식수를 마실 수 없는 경우 생활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복잡한 공정없이 생산을 수행하므로서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10)

  1. 외부에서 유입된 해수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가열한 후 증류하는 해수증류장치(1000)와, 상기 해수증류장치(1000)에서 배출되는 증기 및 증류수를 입력받아 여과하는 여과장치(2000)와, 상기 여과장치(2000)에서 여과된 후 유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3000)와, 상기 증기가이드수단(300)에서 출력되는 증류수를 저장하는 음용수저장소(40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증류장치(1000)는 상기 해수증류장치(1000)의 주몸체를 형성하는 증류장치몸체부재(200)와,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밀봉하는 증류장치덮개(100)와,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의 내부 하단부에 배설되어 보일러(610)로부터 출력되는 열을 입력받아 해수를 증발시키는 해수증발수단(400)과, 상기 해수증발수단(400)의 상단부에 배설되어 상기 해수증발수단(400)으로부터 증류되어 출력되는 증류수를 외부로 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증기가이드수단(30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장치덮개(100)는 상기 증류장치덮개(100)를 구성하는 몸체인 덮개몸체(110)와, 상기 덮개몸체(110)의 외주면에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의 상단부와 결착되어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 내부의 압력을 유지할수 있도록 체결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결착돌출부(102)와, 상기 결착돌출부(102)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에 체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체결수단(142)과, 상기 덮개몸체(11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몸체(110)의 일부를 절첩할 수 있는 절첩부(120)와,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압력조절부재(130)와, 상기 덮개몸체(110)의 결착돌출부(102)와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의 상단부와 결착되도록 용접으로 되어 있는 용접부(1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는 상기 증류장치몸체부재(200)를 구성하는 몸체인 증류장치몸체(210)와,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내부 중앙부에 형성되어 중앙에 관통되어 있는 응결수지지판(220)과, 상기 응결수지지판(220)의 상단부에 배설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옥돌(222)과,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해수를 1차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1차해수저장소(230)와, 에어분사장치(290)를 통해서 압축된 공기를 유입하여 내부를 청소하는 에어분사가이드부재(292)와, 상기 관통구멍(216)의 하단부에 상기 응결수지지판(220)의 상측에 저류되어 있는 증류수를 상기 해수증류장치(1000)에 연결되어 있는 여과장치(2000)로 배출하는 증류수가이드관(214)과,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에 저장되어 있는 해수를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212)과, 상기 증류장치몸체(2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있는 해수 및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 여과하는 여과기(280)와, 상기 여과기(28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기(280)를 개폐하는 밸브(28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에는 외부로부터 해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해수유입부(232)와,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의 상측에 배설되어 상기 해수유입부(232)에서 유입되는 해수의 량을 조절하는 해수유입제어부(237)와, 상기 1차해수저장소(230)의 상측에 배설되어 복수개의 체결수단(235)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덮개(239)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가이드수단(300)은 응결수가이드판(224) 외측면에 배설되어 증기를 유입하는 증기포집기(310)와, 상기 증기포집기(310)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체결부(312)와, 상기 돌출체결부(312)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내삽되어 상기 증기포집기(310)의 내부에 있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증기가이드관(330)과, 상기 돌출체결부(312)의 상측에 배설되어 상기 증기가이드관(330)과 상기 증기포집기(310)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체결수단(32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증발수단(400)은 외측면이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몸체인 해수증발케이스(410)와,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상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소금이 쌓이는 오목부(412)와,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관통구멍(422)을 통해서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유출지지판(420)과,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저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재(430)와,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610)로부터 출력되는 화염을 가이드하는 화력가이드부재(440)와,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해수증발케이스(4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연결되어 있는 화염배출구(45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2000)는 몸체인 여과케이스(2100)와, 상기 여과케이스(2100)의 내부에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해수증류장치(100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 및 증류수를 유입받아 여과하는 여과수단(220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2200)에는 증기 및 증류수 가이드부재(2110, 2120)로 유입되는 증기 및 증류수를 입력받아 제1여과부재(2310)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1여과기(2300)와, 상기 제 1여과기(2300)에서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제 2여과부재(2330)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2여과기(2320)와, 상기 제 2여과기(2320)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제 3여과부재(2410)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3여과기(2400)와, 상기 제 3여과기(2400)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제 4여과부재(2510)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4여과기(2500)와, 상기 제 4여과기(2500)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제 5여과부재(2610)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5여과기(2600)와, 상기 제 5여과기(2600)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를 입력받아 제 6여과부재(2710)에 의해서 여과하는 제 6여과기(27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여과부재(2310, 2410)는 맥반석을 이용하여 여과하고, 상기 제 2,4,6여과부재(2330, 2510, 2710)는 옥을 이용하여 여과하며, 상기 제 5여과부재(2610)는 숯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KR1020000068280A 2000-11-17 2000-11-17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KR20020038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280A KR20020038201A (ko) 2000-11-17 2000-11-17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280A KR20020038201A (ko) 2000-11-17 2000-11-17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201A true KR20020038201A (ko) 2002-05-23

Family

ID=19699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280A KR20020038201A (ko) 2000-11-17 2000-11-17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82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914B1 (ko) * 2010-10-06 2014-01-10 민승기 응축수 포집되는 수면 구조물
CN110467234A (zh) * 2019-09-18 2019-11-19 内蒙古工业大学 便携式光伏直接蒸馏法淡化水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7282A (en) * 1979-01-17 1980-07-24 Babcock Hitachi Kk Sea water desalination apparatus
WO1993002964A1 (en) * 1991-08-09 1993-02-18 Alfa-Laval Desalt A/S Desalination plant, especially for use in marine and off-shore installations
JPH06254534A (ja) * 1993-03-03 1994-09-13 Sasakura Eng Co Ltd 真空蒸発式造水装置
JPH09168776A (ja) * 1995-12-20 1997-06-30 Plaza Design Consultant Kk 飲料水製造装置
KR19990045779A (ko) * 1999-01-05 1999-06-25 원백희 순수물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7282A (en) * 1979-01-17 1980-07-24 Babcock Hitachi Kk Sea water desalination apparatus
WO1993002964A1 (en) * 1991-08-09 1993-02-18 Alfa-Laval Desalt A/S Desalination plant, especially for use in marine and off-shore installations
JPH06254534A (ja) * 1993-03-03 1994-09-13 Sasakura Eng Co Ltd 真空蒸発式造水装置
JPH09168776A (ja) * 1995-12-20 1997-06-30 Plaza Design Consultant Kk 飲料水製造装置
KR19990045779A (ko) * 1999-01-05 1999-06-25 원백희 순수물분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914B1 (ko) * 2010-10-06 2014-01-10 민승기 응축수 포집되는 수면 구조물
CN110467234A (zh) * 2019-09-18 2019-11-19 内蒙古工业大学 便携式光伏直接蒸馏法淡化水装置
CN110467234B (zh) * 2019-09-18 2024-01-26 内蒙古尖锋科技有限公司 便携式光伏直接蒸馏法淡化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9860C (en) Water purifier for transforming non-drinkable water into drinkable water
US4957624A (en) Method of and arrangement for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US5536403A (en) Liquid purification system with microfiltration means, disinfection means and adsorption means
EP2716341A1 (en) Device and method for liquid treatment by mechanical vapor recompression
CN102712514A (zh) 大气水发生器
US20040003990A1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ing water
JPH1094708A (ja) 配水器の廃水受け装置
KR20020038201A (ko) 해수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
EP3344580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make water drinkable
US20050115878A1 (en) System for desalinating and purifying seawater and devices for the system
JP2003126841A (ja) 太陽熱エネルギー利用の海水淡水化プラント
JPH10230246A (ja) 海水淡水化装置
JP2013520295A (ja) 浄水装置および方法
FR2693789A1 (fr) Générateur de vapeur à cloisons poreuses.
CN220334842U (zh) 一种垃圾渗滤液预处理装置
EP1086046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FR2562060A1 (fr) Epurateur d&#39;eau et procede de production d&#39;eau potable epuree
CN101948209B (zh) 多能源组合理化水处理装置
JPH1043736A (ja) 配水器
JPH1119638A (ja) 海水処理装置および海水処理方法
KR200260640Y1 (ko) 증발식 정수기
JPH09192018A (ja) 浄水機能を有する誘導加熱式湯沸器
CN116199290A (zh) 水处理设备
CN109721184A (zh) 易拆装的净水器
WO2019135107A1 (ru) Водный дистилля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