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007A -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007A
KR20020038007A KR1020000068044A KR20000068044A KR20020038007A KR 20020038007 A KR20020038007 A KR 20020038007A KR 1020000068044 A KR1020000068044 A KR 1020000068044A KR 20000068044 A KR20000068044 A KR 20000068044A KR 20020038007 A KR20020038007 A KR 20020038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rd
bobbin
follower
cam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4605B1 (ko
Inventor
이재덕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2000006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6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38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6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65H2403/511Cam mechanisms involving cylindrical cam, i.e. cylinder with helical groove at its periph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02Guiding arrangements to control paying-out and re-storing of the material
    • B65H75/4405Traversing devices; means for orderly arranging the material on the drum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말명은 파워코드를 보빈의 감김홈에 균일하게 감기위한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와, 파워코드를 감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을 갖추고 있는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에 있어서, 보빈과 일체로 회전하며, 외주면에 캠윤곽이 형성된 원통 캠과; 보빈과 나란하도록 몸체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축과; 고정축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원통 캠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종동자와; 종동자와 연동하여 파워코드를 보빈의 중앙 및 양측으로 균일하게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 캠과, 이 원통 캠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종동자 그리고 종동자와 연동하여 파워코드를 보빈의 중앙 및 양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파워코드가 보빈의 감김홈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감기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POWER CORD GUIDE APPARATUS OF CORDREEL ASSEMBLY FOR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워코드를 보빈의 감김홈에 균일하게 감기위한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 등과 같이 이동이 잦은 전자제품의 파워코드는 대부분 본체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본체로부터 인출가능하게 구성되는 바, 전자제품에는 파워코드를 감고 있으면서 이를 탄력적으로 풀어주거나 감아주는 코드릴 조립체가 설치된다.
이러한 코드릴 조립체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를 가지며, 몸체(10)에는 중심축(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보빈(20)과, 상기 보빈(20)을 파워코드(C)의 감김방향으로 탄성 회전시키는 스파이어럴 스프링(30)이 설치된다. 한편, 보빈(20)에는 감김홈(22)이 형성되며, 이 감김홈(22)에는 파워코드(C)가 감겨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감김홈(22)에 감겨지는 파워코드(C)는 몸체(10)와 보빈(20)의 접속단자(도시하지 않음)들에 의해서 전자제품의 구동부와 연결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코드릴 조립체에는 보빈(20)의 회전을 제한하는 브레이킹수단과, 파워코드(C)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40) 그리고 인출되는 파워코드(C)를 전자제품의 외부로 안내하는 아웃렛가이드(50)가 설치된다.
브레이킹수단은 보빈(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브레이크 드럼(24)과, 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레버(14) 및 상기 브레이크레버(14)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푸시버튼(16)과 고무재질의 스톱롤러(17), 그리고 브레이크 드럼(24)에 상기 스톱롤러(17)가 밀착되도록 상기 브레이크레버(14)를 가압하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브레이킹수단은 감김방향으로 회전하려는 보빈(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가이드롤러(40)는 몸체(1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축(10a)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이탈방지턱(42)을 갖추고 있으며, 보빈(20)으로부터 풀려지거나 감겨지는 파워코드(C)를 안내한다. 또한, 아웃렛가이드(50)는 중공의 사각관(52)과 이 사각관(52)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점차 확대되는 원통의 나팔관(54)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빈(20)으로부터 풀려지는 파워코드(C)를 전자제품의 외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아웃렛가이드(50)의 나팔관(54)은 파워코드(C)의 플러그(P)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코드릴 조립체는 청소기 등과 같이 이동이 잦은 전자제품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기배선과 연결되는 파워코드를 탄력적으로 풀어주거나 감아주면서 본체로부터 인출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코드릴 조립체는 인출된 파워코드를 되감는 과정에서 상기 파워코드가 코드릴 조립체의 보빈에 완전히 감기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인출된 파워코드(C)는 아웃렛가이드(50)와 가이드롤러(40)에 의해 안내되면서 보빈(20)의 감김홈(22)에 감겨지는 바, 상기 아웃렛가이드(50)와 가이드롤러(40)에 의해 어느 한곳으로만 국부적으로 안내되는 파워코드(C)는 감김홈(22)의 어느 한곳에만 집중적으로 감겨지게 된다. 어느 한곳으로만 집중적으로 감겨지는 파워코드(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감김 높이가 점점 높아져 결국, 가이드롤러(40)의 일측과 접촉하게 되면서 보빈(20)의 회전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따라, 회전이 제한되는 보빈(20)은 인출된 파워코드(C)를 되감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최근에는 전자제품의 크기가 점차 소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코드릴 조립체의 크기도 점차 소형화되고, 따라서 파워코드(C)의 수납공간도 점차 협소해지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점은 더욱 심화되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파워코드의 국부적인 감김을 해소하여 상기 파워코드가 보빈에 원활하게 감기도록 하기 위한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을 "A"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코드 안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을 조립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를 "B"에서 바라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원통 캠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코드 안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원통 캠102: 캠윤곽
104: 플랭크부106: 노즈
110: 고정축120: 종동자
128: 가이드고리130: 가이드롤러
140: 압축스프링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와, 파워코드를 감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을 갖추고 있는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일체로 회전하며, 외주면에 캠윤곽이 형성된 원통 캠과; 상기 보빈과 나란하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원통 캠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종동자와; 상기 종동자와 연동하여 상기 파워코드를 상기 보빈의 중앙 및 양측으로 균일하게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코드 안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조립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를 "B"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파워코드 안내장치를 살펴보기에 앞서 코드릴 조립체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코드릴 조립체는 몸체(10)를 가지며, 몸체(10)에는 중심축(2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보빈(20)과, 상기 보빈(20)을 파워코드(C)의 감김방향으로 탄성 회전시키는 스파이어럴 스프링(30)이 설치된다. 보빈(20)에는 감김홈(22)이 형성되며, 이 감김홈(22)에는 파워코드(C)가 감겨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코드릴 조립체에는 보빈(20)의 회전을 제한하는 브레이킹수단과, 인출되는 파워코드(C)를 전자제품의 외부로 안내하는 아웃렛가이드(50)가 설치된다. 브레이킹수단은 보빈(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브레이크 드럼(24)과, 몸체(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레버(14) 및 상기 브레이크레버(14)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푸시버튼(16)과 고무재질의 스톱롤러(17), 그리고 브레이크 드럼(24)에 상기 스톱롤러(17)가 밀착되도록 상기 브레이크레버(14)를 가압하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아웃렛가이드(50)는 중공의 사각관(52)과 이 사각관(52)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점차 확대되는 원통의 나팔관(54)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빈(20)으로부터 풀려지는 파워코드(C)를 전자제품의 외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아웃렛가이드(50)의 나팔관(54)은 파워코드(C)의 플러그(P)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파워코드 안내장치는 원통 캠(100)을 가지며, 이 원통 캠(100)의 외주면에는 캠윤곽(102)이 형성되어 있다. 캠윤곽(102)은 원통 캠(1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리브로서, 플랭크부(104)와 노즈부(106)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캠윤곽(102)은 원통 캠(1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홈일 수도 있다. 한편, 캠윤곽(102)은 1개 또는 다수개의 노즈부(106)를 갖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원통 캠(100)은 보빈(2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보빈(20)의 일측에 볼트(108)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파워코드 안내장치는 고정축(110)과, 이 고정축(110)의 단부로부터 차례로 배치되는 종동자(120)와 가이드롤러(130) 및 상기 종동자(120)와 가이드롤러(130)를 탄성가압하는 압축스프링(140)을 갖추고 있다. 고정축(110)은 중심축(22)과 나란하도록 몸체(1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의 고정축(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캠(100)의 외측면과 정렬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추어야 함은 물론이다.
종동자(120)는 원통 캠(100)에 의해 고정축(110)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축(110)에, 회전은 제한되면서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고정축(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를 갖는 면취부(112)를 형성하고, 종동자(120)의 축구멍(122)에는 고정축(110)의 면취부(112)와 부합될 수 있는 평면부(124)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종동자(120)는, 회전은 제한되고 축방향으로의 이동만 가능한 것이다. 한편, 종동자(120)의 단부에는 태핏(1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태핏(12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140)에 의해 원통 캠(100)의 캠윤곽(102), 즉, 캠(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리브에 항상 접촉하면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동자(120)는 캠윤곽(102)의 플랭크부(104)와 노즈부(106)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고정축(110)을 따라 좌우로 왕복이동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캠(100)에 형성된 리브를 통하여 종동자(120)를 왕복운동시켰지만, 캠(100)의 캠윤곽(102)이 홈일 경우에는 종동자(120)의 태핏(126)을 홈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종동자(120)를 왕복이동시킬 수도 있다.
가이드롤러(130)는 고정축(110)에 회전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파워코드(C)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32)을 갖추고 있다. 한편, 가이드롤러(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110)에 배치된 상태에서 압축스프링(140)에 의해 종동자(120)와 밀착되며, 이에 따라 종동자(120)와 연동하여 고정축(110)을 따라 좌우로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롤러(130)는 보빈(20)으로부터 풀려지거나 감겨지는 파워코드(C)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종동자(120)와 연동함에 따라 고정축(110)을 따라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파워코드(C)가 보빈(20)의 감김홈(22)전체에 골고루 감겨질 수 있도록 상기 파워코드(C)를 보빈(20)의 감김홈(22)의 중앙 및 양측으로 안내한다.
압축스프링(140)은 고정축(110)의 안쪽에 끼워져 배치되는 것으로, 가이드롤러(130)와 종동자(120) 그리고 종동자(120)와 원통 캠(100)이 항상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롤러(130)를 탄성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보빈(20)과 원통 캠(100)이 회전하면, 종동자(120)는 상기 원통 캠(100)의 리브와 접촉하면서 고정축(110)을 따라 왕복운동하게 되고, 종동자(120)가 왕복운동함에 따라 가이드롤러(130)도 고정축(110)을 따라 좌우로 왕복하면서 파워코드(C)를 보빈(20)의 감김홈(22) 중앙 및 양측으로 안내한다. 결과적으로, 전자제품의 외부로 인출된 파워코드(C)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20)의 감김홈(22) 중앙 및 양측으로 안내되면서 감김홈(22)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골고루 감겨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파워코드(C)를 보빈(20)의 감김홈(22)에 감는 과정에서, 원통 캠(100)의 1회전에 대한 종동자(120)의 왕복횟수는, 원통 캠(100)의 캠윤곽(102), 상세하게는, 캠윤곽(102)의 노즈(106)의 개수에 의해 결정되는데, 캠윤곽(102)의 노즈(106) 개수는 도 3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원통 캠(100)의 1회전에 대해 종동자(120)가 2번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원통 캠(100)의 외주면 주기적으로 2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원통 캠(100)의 1회전에 대해 종동자(120)가 1번 또는 여러번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1개 또는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캠윤곽(102)의 노즈(106) 개수는 보빈(20)의 둘레 및 파워코드(C)의 굵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한다.
다음으로,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파워코드 안내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별도의 가이드롤러(130)를 구비하지 않고 종동자(120)의 일측에 파워코드(C)가 끼워질 수 있도록 트인 입구를 갖는 가이드고리(128)를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이 가이드고리(128)는 상기 가이드롤러(130)와 마찬가지로 종동자(120)가 왕복이동함에 따라 파워코드(C)를 보빈(20)의 감김홈(22) 중앙 및 양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실시예의 작동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파워코드 안내장치는 원통 캠(100)과, 이 원통 캠(100)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종동자(120) 그리고 종동자(120)와 연동하여 파워코드(C)를 보빈(20)의 중앙 및 양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파워코드(C)가 보빈(20)의 감김홈(22)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감기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는 원통 캠과, 이 원통 캠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종동자 그리고 종동자와 연동하여 파워코드를 보빈의 중앙 및 양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파워코드가 보빈의 감김홈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감기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1. 몸체와, 파워코드를 감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을 갖추고 있는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일체로 회전하며, 외주면에 캠윤곽이 형성된 원통 캠과;
    상기 보빈과 나란하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원통 캠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종동자와;
    상기 종동자와 연동하여 상기 파워코드를 상기 보빈의 중앙 및 양측으로 균일하게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캠윤곽은 상기 캠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리브이며, 상기 고정축에는 상기 종동자를 상기 리브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압축스프링이 추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가이드롤러이며, 상기 고정축에는 상기 가이드롤러를 상기 종동자에 밀착시키는 압축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안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종동자에 일체로 형성되며, 트인 입구를 갖는 가이드 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
KR1020000068044A 2000-11-16 2000-11-16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 KR100354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044A KR100354605B1 (ko) 2000-11-16 2000-11-16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044A KR100354605B1 (ko) 2000-11-16 2000-11-16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007A true KR20020038007A (ko) 2002-05-23
KR100354605B1 KR100354605B1 (ko) 2002-09-30

Family

ID=1969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044A KR100354605B1 (ko) 2000-11-16 2000-11-16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981B1 (ko) 2012-05-07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5384A (en) * 1977-11-01 1979-05-25 Fuso Light Alloys Co Ltd Cord winder
JPS5718378Y2 (ko) * 1978-07-31 1982-04-16
JPS5566464A (en) * 1978-11-07 1980-05-19 Hitachi Ltd Cord take-up device
KR890006330Y1 (ko) * 1986-07-31 1989-09-20 삼성전관 주식회사 고체 촬상 장치
JPS6428664U (ko) * 1987-08-13 1989-02-20
US5520212A (en) * 1995-04-04 1996-05-28 Williams; Ray F. Self winding hose reel
KR19990031397A (ko) * 1997-10-10 1999-05-06 김덕중 엘이디 형 녹색 유기전기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4605B1 (ko) 200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582B1 (en) Cable reel with a positioning mechanism
US3657491A (en) Cord reel
US5833165A (en) Retraction reel for keys and the like
US3773987A (en) Cable retractor
EP1269483A1 (en) Nested cables and reel assembly
WO2018063439A1 (en) Retractable cord storage reel assembly
JP420551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巻き取り繰り出し装置
US20130065413A1 (en) Rotatable connector device
US5507446A (en) Phone cord rewinder
KR100354605B1 (ko)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
US4225764A (en) Strand actuator for pushbutton switch
US3224706A (en) Reels
US5491886A (en) Gapless inner diameter stator winding blocking mechanism
CN101053132B (zh) 电源引入装置
US2185883A (en) Strand winding machine
CN112071584B (zh) 一种多电压输出变压器
EP1038821A2 (en) Rewinding device for the power cord of an electrical appliance
JP4444329B2 (ja) 移動体への給電方法及び移動体への給電装置
JP4101001B2 (ja) 移動体への給電装置のフラットケーブル巻き数設計方法及び移動体への給電装置
JP3084311U (ja) コード巻取り装置
CN108184186B (zh) 一种卷线耳机
JP2002198245A (ja) 巻線装置および巻線方法
KR100404073B1 (ko)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
KR101850747B1 (ko) 자동 줄감개
KR100389290B1 (ko)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