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073B1 -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 - Google Patents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073B1
KR100404073B1 KR10-2001-0003479A KR20010003479A KR100404073B1 KR 100404073 B1 KR100404073 B1 KR 100404073B1 KR 20010003479 A KR20010003479 A KR 20010003479A KR 100404073 B1 KR100404073 B1 KR 100404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ire
spring
fixe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8036A (ko
Inventor
연광호
Original Assignee
연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광호 filed Critical 연광호
Priority to KR10-2001-0003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073B1/ko
Publication of KR2001007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3Housings with openings for delivering material, e.g. for dispens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90Machine drive
    • B65H2403/94Other features of machine drive
    • B65H2403/946Means for restitution of accumulated energy, e.g. flywheel,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으로 입출구A(11) 및 입출구B(12)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 중앙의 일측면 상에 고정축(13)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 내부에서 고정축(1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권취릴(2)과; 상기 고정축(13)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권취릴(2)의 내주면에 고정된 태엽스프링(3)과; 상기 권취릴(2)의 외주면에 중간의 접힘부(41)를 고정시켜 일측단은 케이스(1)의 입출구A(11)를, 타측단은 태엽스프링 (3)의 권선방향을 따라 입출구B(12)를 통해 케이스(1)의 외부에 위치되게 한 와이어(4)로 구성됨으로써 유동 및 태엽스프링의 축의 위치 이동이 최소화되어 와이어의 인입출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회전 연결접속단자 없이도 외부와 연계가 가능하므로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원가절감은 물론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태엽스프링의 회전수에 대하여 와이어의 인출길이의 합이 기존의 단구형에 비해 2배가 됨으로써 상기 태엽스프링의 소형화를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Two hole type wire drawing out and in device}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의 릴에 권선된 와이어를 당겨 인출하거나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릴을 역방향 회전시켜 케이스 내부로 자동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한 와이어 인입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케이스의 양측으로 와이어의 양단부를 동일비율로 인입출시킬 수 있도록 한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이가 긴 끈이나 전선 등과 같은 와이어는 릴에 감아 보관하고,사용시에는 상기 릴에서 와이어를 풀어 인출하는 식으로 사용된다.
도 3은 종래의 단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속이 빈 납작한 통체로 케이스(110)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으로 입출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110)의 내부 중앙 일측면 상에는 단면 상에 일자형의 조립홈(112A)이 형성된 원주형상의 고정축(1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고정축(112)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권취릴(1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권취릴(120)과 고정축(112) 사이에는 권취릴(120)의 복원수단으로서 와선형태로 권선된 태엽스프링(130)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태엽스프링(130)의 일측단은 고정축(112)의 조립홈(112A)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고, 타측단은 권취릴(120)의 내주면 일점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릴(120)의 외주면 일점에는 와이어(140)의 일측단이 고정되어 있고, 이의 타측단은 권취릴(120)의 외주면을 따라 태엽스프링(130)의 권선방향으로 권선되면서 케이스(110)의 입출구(111)를 통해 외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단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는, 먼저 케이스(110)의 입출구(111)를 통해 외부에 위치된 와이어(140)의 단부측을 당기게 되면, 이의 당김력이 권취릴(120)로 전달되어 상기 권취릴(120)이 고정축(112)을 중심으로 태엽스프링(130)의 권선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일측단은 케이스(110)의 고정축(112)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권취릴(120)의 내주면 일점에 고정된 태엽스프링(130)이 상기 고정축(112)에 감겨지는 식으로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축적된다. 그런다음, 다시 와이어(140)에 대한 당김력을 해제하게 되면, 압축된 태엽스프링(130)이 팽창되면서 발생되는 탄성력으로 권취릴(120)을 태엽스프링(130)의 권선방향과 반대로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되고, 이로인해 와이어(140)는 상기 권취릴(120)의 권취됨으로써 와이어(140)가 케이스(1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단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는 케이스(110)의 일측을 통해서만 와이어(140)의 인입출이 이루어지므로 유동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태엽스프링(130)의 회전중심이 되는 축의 위치가 이동됨으로써 자체 회전의 저해요소로 작용되어 와이어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전선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권취릴(120)의 외주면에 고정된 단부측을 외부와 연계하기 위한 별도의 회전 연결접속단자가 요구되므로 이의 조립 및 장착을 위한 작업의 복잡성 및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와이어 인출시 케이스의 유동 및 내부 스프링의 축의 위치 이동을 최소화하여 인출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를 전선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회전 연결접속단자 없이도 외부와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입출구A 및 입출구B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 중앙의 일측면 상에 고정축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권취릴과; 상기 고정축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권취릴의 내주면에 고정된 태엽스프링과; 상기 권취릴의 외주면에 중간의 접힘부를 고정시켜 일측단은 케이스의 입출구A를, 타측단은 태엽스프링의 권선방향을 따라 입출구B를 통해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되게 한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에 신축부재의 일측단을 고정시키고 타측단은 권취릴의 내주면에 고정시키되, 이의 사이를 와선형태로 배치되고 권취릴과 함께 회전되는 다수의 롤러로 지지하여 상기 권취릴이 신축부재의 탄성력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권취릴의 일측부에 스프링으로 상시 신축부재의 복원 반대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단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케이스
11:입출구A 12:입출구B
13:고정축 13A:조립홈
2:권취릴
3:태엽스프링
31:신축부재 32:롤러
33:스토퍼 33A:회전축
33B:리브 33C:스프링
4:와이어
41:접힘부 42:플러그
43:콘센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속이 빈 납작한 형태의 통체로 케이스(1)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1)의 양측으로 입출구A(11) 및 입출구B(12)를 형성하며, 이의 내부 일측면에는 단부에 일자형의 조립홈(13A)을 갖는 원형의 고정축(13)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 내부에는 상기 고정축(13)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권취릴(2)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권취릴(2)의 중앙에는 통상에서와 같이 고정축(13)이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미도시됨)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릴(2)과 케이스(1)의 고정축(13) 사이에는 회전된 권취릴(2)을 다시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정 길이 및 소정폭을 갖는 금속판을 와선형태로 감아 형성한 태엽스프링(3)이 구비되고, 상기 태엽스프링(3)의 일측단은 케이스(1)의 고정축(13)에 형성된 조립홈(13A)에 끼움 고정되고 타측단은 권취릴(2)의 내주면 일점에 고정된다.
이와함께 상기 권취릴(2)에 와이어(4)가 권선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4)는 중간이 중첩되는 식으로 접혀져 접힘부(41)가 형성되고, 이 접힘부(41)가 권취릴(2)의 외주면 일점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접힘부(41)를 중심으로 일측단은 케이스(1)의 입출구A(11)를 통해 케이스(1) 외부에 위치되며, 타측단은 권취릴(2)의 외주면을 따라 태엽스프링(3)의 권선방향으로 감겨지면서 케이스(1)의 입출구B(12)를 통해 상기 케이스(1)의 외부에 위치되게 하여 와이어(4)에 당김력이 작용되면, 케이스(1)의 양쪽 입출구A(11) 및 입출구B(12)를 통해 와이어(4)의 양단이 동일비율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4)는 통상의 끈이 될 수도 있고, 전선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전선이 적용되어 일측단에 플러그(42)가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콘센트(43)가 형성된 것이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와이어(4)의 일측단에 형성된 플러그(42)를 전장기기에 꽂는 식으로 고정시킨 후, 타측단의 와이어(4)를 당기게 되면, 이의 당김력이 권취릴(2)의 외주면 일점에 고정된 와이어(4)의 중간 접힘부(41)를 통해 권취릴(2) 측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권취릴(2)은 태엽스프링(3)의 권선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콘센트(43)가 형성된 그 와이어(4)의 타측단이 케이스(1)의 입출구B(12)를 통해 상기 케이스(1)의 입출구A(11)를 통해 인출되는 와이어(4)의 일측단과 동일 비율로 인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권취릴(2)의 회전력은 다시 케이스(1)의 고정축(13)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권취릴(2)의 내주면 일점에 고정된 태엽스프링(3)에 작용되고, 이의 작용으로 상기 태엽스프링(3)은 케이스(1)의 고정축(13)에 감겨지는 식으로압축되면서 복원을 위한 탄성력이 축적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와이어(4)의 당김력을 해제하게 되면, 압축된 태엽스프링(3)이 팽창되면서 권취릴(2)에 탄성력이 작용되고, 이의 작용으로 상기 권취릴(2)은 상기 태엽스프링(3)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와이어(4)를 권선함과 동시에 케이스(1)의 입출구A(11) 및 입출구B(12)를 통해 와이어(4)의 양단을 케이스(1) 내부로 자동 인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양측으로 입출구A(11) 및 입출구B(12)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면 상에는 일자형의 조립홈(13A)을 갖는 고정축(13)이 돌출 형성된 케이스(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 내부에는 고정축(13)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권취릴(2)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릴(2)에 와이어(4)가 권선된다.
상기 와이어(4)는 중간의 접힘부(41)가 권취릴(2)의 외주면 일점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접힘부(41)를 중심으로 일측단은 케이스(1)의 입출구A(11)를 통해 외부에 위치되고 타측단은 권취릴(2)의 외주면을 따라 입출구B(12)를 통해 외부에 위치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특징적인 것은 상기 권취릴(2)을 회전된 후,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통상의 고무줄과 같은 신축부재(31)가 사용된 것으로, 상기 신축부재(31)의 일측단은 케이스(1)의 고정축(13)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권취릴(2)의 내주면 일점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31)의 양단 사이는 권취릴(2)과 함께 회전되고 와선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롤러(32)에 의해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릴(2)의 일측부에는 신축부재(31)가 외력에 의해서 인장된 후, 해제에 의한 순간 복원력을 일시적으로 저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토퍼(33)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33)는 양단에 돌기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1)의 내측면 상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33A)에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고, 케이스(1)의 내측면 상에 다수 형성된 리브(33B)에 의해서지지 및 고정되는 스프링(33C)에 의해서 상시 신축부재(31)가 인장된 후 복원되는 반대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33)에 의해서 걸림 작용되는 부분은 스토퍼(33)와 가장 근접한 권취릴(2)의 내주면측 롤러(32)가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끈 또는 전선이 되고, 도면에서는 전선으로서 일측단에 플러그(42)가 형성되고 타측단은 콘센트(43)가 형성된 것이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작용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와이어(4)의 일측단에 형성된 플러그(42)를 전장기기에 꽂는 식으로 고정시킨 후, 타측단의 와이어(4)를 당기게 되면, 이의 당김력이 권취릴(2)의 외주면 일점에 고정된 와이어(4)의 중간 접힘부(41)를 통해 권취릴(2) 측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권취릴(2)은 신축부재(31)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콘센트(43)가 형성된 그 와이어(4)의 타측단이 케이스(1)의 입출구B(12)를 통해 상기 케이스(1)의 입출구A(11)를 통해 인출되는 와이어(4)의 일측단과 동일 비율로 인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권취릴(2)의 회전력은 다시 케이스(1)의 고정축(13)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권취릴(2)의 내주면 일점에 고정된 신축부재(31)에 작용되고, 이의 작용으로 상기 신축부재(31)는 케이스(1)의 고정축(13)에 감겨지는 식으로 인장되면서 복원을 위한 탄성력이 축적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와이어(4)의 당김력을 해제하게 되면, 인장된 신축부재(31)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권취릴(2)에 탄성력이 작용되고, 이의 작용으로 상기 권취릴(2)은 상기 신축부재(31)가 복귀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와이어(4)를 권선함과 동시에 케이스(1)의 입출구A(11) 및 입출구B(12)를 통해 와이어(4)의 양단을 케이스(1) 내부로 자동 인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신축부재(31)의 복원력으로 회전되는 권취릴(2)에 권선되는 와이어(4)는 신축부재(31)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32) 중에서 스토퍼(33)에 가장 근접되는 롤러(32)의 걸림에 의해서 상기 신축부재(31)에 의한 권취릴(2)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시 와이어(4) 인출시에는 상기 롤러(32)가 권취릴(2)과 함께 와선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스토퍼(33)에서 거리가 점차 이격되어 간섭을 받지 않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스토퍼(33)에 의한 걸림없이 계속적인 와이어(4)의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스의 양측으로 단절되지 않은 와이어의 양단이 동일비율로 인입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동 및 태엽스프링의 축의 위치 이동이 최소화되어 와이어의 인입출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회전 연결접속단자 없이도 외부와 연계가 가능하므로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원가절감은 물론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태엽스프링의 회전수에 대하여 와이어의 인출길이의 합이 기존의 단구형에 비해 2배가 됨으로써 상기 태엽스프링의 소형화를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 중앙의 일측면 상에 고정축(13)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 내부에서 고정축(1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권취릴(2)과, 상기 고정축(13)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권취릴(2)의 내주면에 고정된 태엽스프링(3)이 구비되고, 상기 권취릴(2)에 와이어(4)가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양측으로 입출구A(11) 및 입출구B(12)를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4)는 권취릴(2)의 외주면에 중간의 접힘부(41)를 고정시켜 일측단은 케이스(1)의 입출구A(11)를, 타측단은 태엽스프링(3)의 권선방향을 따라 입출구B(12)를 통해 케이스(1)의 외부에 위치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1-0003479A 2000-01-28 2001-01-20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 KR100404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479A KR100404073B1 (ko) 2000-01-28 2001-01-20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04405 2000-01-28
KR1020000004405 2000-01-28
KR10-2001-0003479A KR100404073B1 (ko) 2000-01-28 2001-01-20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036A KR20010078036A (ko) 2001-08-20
KR100404073B1 true KR100404073B1 (ko) 2003-11-01

Family

ID=2663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479A KR100404073B1 (ko) 2000-01-28 2001-01-20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42B1 (ko) * 2013-12-24 2015-02-06 자동차부품연구원 전선 꼬임 방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3875U (ko) * 1973-08-21 1975-05-02
JPH01129699A (ja) * 1987-11-16 1989-05-22 Nobuyo Yamaguchi ケーブル自動巻き上げ型イヤホーン装置
KR890004018Y1 (ko) * 1987-02-27 1989-06-15 정규태 직기에 있어서 종광틀 확장구조 및 캐리어 구동장치
KR950031717U (ko) * 1994-04-01 1995-11-22 정재익 휴대용 이어폰케이스
KR19980071968A (ko) * 1998-07-07 1998-10-26 이춘수 이어폰 코드 자동감김 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용 이어폰
KR19980059970U (ko) * 1997-03-06 1998-11-05 강용주 이어폰의 전선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3875U (ko) * 1973-08-21 1975-05-02
KR890004018Y1 (ko) * 1987-02-27 1989-06-15 정규태 직기에 있어서 종광틀 확장구조 및 캐리어 구동장치
JPH01129699A (ja) * 1987-11-16 1989-05-22 Nobuyo Yamaguchi ケーブル自動巻き上げ型イヤホーン装置
KR950031717U (ko) * 1994-04-01 1995-11-22 정재익 휴대용 이어폰케이스
KR19980059970U (ko) * 1997-03-06 1998-11-05 강용주 이어폰의 전선 권취장치
KR19980071968A (ko) * 1998-07-07 1998-10-26 이춘수 이어폰 코드 자동감김 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용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036A (ko) 200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3165A (en) Retraction reel for keys and the like
CA2522039C (en) Retractable cord reels for use with flat electrical cable
CN106687402B (zh) 用于将电缆卷起的装置
US12027834B2 (en) Compact winding device for a flexible line
JP2004328985A (ja) フラットケーブル巻き取り繰り出し装置
KR100404073B1 (ko)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
KR200239052Y1 (ko) 호스릴의호스가이드구조체
KR102023508B1 (ko) 다중 스프링이 내장된 권취장치
EP1038821A2 (en) Rewinding device for the power cord of an electrical appliance
KR200306552Y1 (ko) 권취장치
KR200241824Y1 (ko) 양구형 와이어 인입출장치
KR200355142Y1 (ko) 스테레오 이어폰 수납 케이스
KR100407178B1 (ko) 종속을 이용한 전선/호스의 감김장치
KR200326906Y1 (ko) 감을 수 있는 출력 와이어를 구비한 컴퓨터 마우스
KR200340992Y1 (ko) 쇼케이스 스크린의 되감김 감속장치
KR100354605B1 (ko) 전자제품용 코드릴 조립체의 파워코드 안내장치
KR20040047508A (ko) 권취장치
JP2002114451A (ja) ケーブル巻取装置
KR960011510B1 (ko) 전자제품의 전원코드권취장치
KR100397123B1 (ko) 신축 스트랩 겸용 안테나
JPH1111801A (ja) コード巻き取り装置
KR200360215Y1 (ko)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전선/호스의 감김장치
CN108184186A (zh) 一种卷线耳机
JP2652569B2 (ja) 放水装置
JPH079878Y2 (ja) コード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