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992Y1 - 쇼케이스 스크린의 되감김 감속장치 - Google Patents

쇼케이스 스크린의 되감김 감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992Y1
KR200340992Y1 KR20-2003-0034541U KR20030034541U KR200340992Y1 KR 200340992 Y1 KR200340992 Y1 KR 200340992Y1 KR 20030034541 U KR20030034541 U KR 20030034541U KR 200340992 Y1 KR200340992 Y1 KR 200340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haft
fixed shaft
showcase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근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프스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프스토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프스토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9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69Details, e.g. night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4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lowerable 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쇼케이스에 장착된 스크린이 되감길때 천천히 부드럽게 감기도록 하는 감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양측 브래킷을 갖고 일측 브래킷에는 길고 다른 일측 브래킷에는 짧게 구성된 고정축과, 양측에 상기 고정축이 끼워져 이를 축으로 회전되며 외부에 스크린이 감겨있는 관형상의 회전 샤프트와, 상기 길이가 긴 고정축과 상기 회전샤프트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스크린의 펼쳐질 때 이를 복원력으로 저장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에 스크린이 풀리는 방향으로 마찰력이 줄어들고 스크린이 되감기는 쪽으로 마찰력이 증가하여 스크린이 되감길 때 천천히 감기도록 하는 감속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스크린의 풀릴 때 감속부재의 돌기가 휘어져 마찰력이 줄어들고 스크린이 되감길 때에는 외측방향으로 펴져 회전샤프트와의 마찰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회전샤프트의 회전속도를 지연시킨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스크린을 펼칠때에는 신속하게 펼쳐지고, 감길때에는 천천히 부드럽게 감기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스크린의 심한 유동에 의해 쇼케이스 또는 그 주변이 손상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쇼케이스 스크린의 되감김 감속장치{Showcase screen deceleration device}
본 고안은 쇼케이스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펼쳐졌던 스크린이 되감길때 천천히 부드럽게 감기도록 하는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이 필요한 야채나 과일 또는 육류 등과 같이 신선도를 유지해야하는 식료품을 취급하는 곳에서는 주로 냉장 기능을 갖는 쇼케이스(1)를 사용한다. 이 쇼케이스(1)에는 전방의 선반 전면부를 차단하기 위한 스크린(2)이 도 1a에서와 같이 장치되는데, 이는 개장시에는 진열품의 판매를 위해 스크린(2)을 걷고, 폐장시에는 스크린(2)을 펼쳐 쇼케이스(1)의 전방의 선반 전면부를 차단함으로써 냉기가 쇼케이스(2)의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스크린은 도 1b에서와 같이 양측 브래킷(4a,4b)에 고정축돌기(5a,5b)가 각각 구성되고, 이에 관형상의 짧은 부시(6a,6b)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에 스크린(2)이 감겨있는 회전샤프트(7)의 양단이 상기 부시(6a,6b)에 끼워져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일측 부시(6a)의 내측으로 브래킷(4a)에 설치된 고정축(8)이 삽입·설치됨과 아울러 일측단은 고정축단(8)에 그리고 타측단은 부시(6a)에 연결되는 스프링(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린(2)의 하단에는 펼쳐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쇼케이스(1)의 하부에 걸어 고정하는 걸고리(3)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스크린(2) 단부를 잡고 당기게 되면 회전샤프트(7)와 부시(6a,6b)가 고정축돌기(5a,5b)에서 회전하게 되고 부시(6a,6b)에 일단이 연결된 스프링(9)은 그 회전력이 축척된다. 쇼케이스의 하단에 걸려있던 걸고리(3)가 해제되어 스크린(2)이 자유롭게 되면 회전력이 축척되었던 스프링(9)이 역으로 복원되면서 회전샤프트(7)를 역으로 회전시켜 펼쳐져 있던 스크린(2)이 감기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종래의 쇼케이스(1)의 스크린(2)은 스크린(2)이 역으로 말려 감길때 회전력을 축척하고 있던 스프링의 텐션이 강하여 너무 빨리 감겨지게 되는 관계로 스크린(2)의 단부가 심하게 유동하면서 쇼케이스(1) 또는 그 주변을 타격하여 손상시키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크린이 감겨있는 회전 샤프트의 감김 회전시 감속되도록 하여 스크린이 천천히 부드럽게 감기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스크린의 심한 유동에 의해 쇼케이스 또는 그 주변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측 브래킷을 갖고 일측 브래킷에는 길고 다른 일측 브래킷에는 짧게 구성된 고정축과, 양측에 상기 고정축이 끼워져 이를 축으로 회전되며 외부에 스크린이 감겨있는 관형상의 회전 샤프트와, 상기 길이가 긴 고정축과 상기 회전샤프트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스크린의 펼쳐질 때 이를 복원력으로 저장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에 스크린이 풀리는 방향으로 마찰력이 줄어들고 스크린이 되감기는 쪽으로 마찰력이 증가하여 스크린이 되감길 때 천천히 감기도록 하는 감속부재가 설치되어 달성된다.
도 1a,1b는 종래의 쇼케이스 스크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1에 따른 감속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1에 따른 감속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1에 따른 감속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2에 따른 감속장치 다른 설치상태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감속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감속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감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 따른 감속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감속부재 설치상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다른 감속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감속부재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쇼케이스 20 - 스크린장치 21a,21b - 브래킷
22 - 고정축 23 - 스크린 24 - 회전샤프트
25a,25b - 부시 26 - 고정축 27 - 스프링
28 - 걸고리 30 - 감속부재 31 - 축공
32 - 돌기 40 - 감속부재 41 - 몸체
42 - 축공 43 - 볼홈 44 - 바닥
45 - 감속볼 50 - 감속부재 52 - 돌기
54 - 중공 60 - 감속부재 62a,62b - 양단
64 - 절결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1에 따른 감속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1에 따른 감속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1에 따른 감속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케이스(10)에 설치되는 스크린장치(20)는 양측에 브래킷(21a,21b)이 설치되고, 이 브래킷(21a,21b)에 동일축상에서 마주보게 돌출된 길이가 다른 고정축(22)(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양측 고정축(22)(26)의 사이에는 스크린(23)이 말려있는 회전샤프트(2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양단에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부시(25a,25b)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양측 부시(25a,25b)는 양측 브래킷(21a,21b)의 고정축(22)(26)에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일측 브래킷(21a)에는 부시(25a)를 통해 회전샤프트(24)의 내부로 삽입 설치된 길이가 긴 고정축(26)이 나사로 고정설치되며, 이 고정축(26)의 외주부에는 일단이 부시(25a)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고정축(26)의 단부에 연결된 스프링(2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린(23)의 하단 중앙부에는 펼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쇼케이스(10)의 하단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고리(28)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스크린장치(20)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26)의 내측 단부에 감속부재(3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감속부재(30)는 중앙부에 고정축(26)단부가 끼워지는 축공(31)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에 다수의 돌기(3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돌기(32)의 방향은 스크린(23)이 풀리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그 단부는 회전샤프트(24)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물론 감속부재(30)의 돌기(32)의 갯 수는 필요에 따라 증설 또는 감축할 수 잇으며, 그 끝단을 톱니와 같이 뾰족하게 할 수도 있고 둥글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감속부재(30)의 재질은 내마모성과 탄성력이 양호하고, 복원력이 좋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우레탄이 적합하다.
이러한 스크린(23) 말림 감속장치는 감속부재(30) 둘레의 돌기(32)가 스크린(23)이 풀리는 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져 휘어져 있기 때문에 스크린(23)을 펼쳐 회전샤프트(24)가 회전하게되면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휘어진 방향으로 작용하여 감속부재(30)의 돌기(32)가 쉽게 휘어지게 되므로 마찰력이 줄어들어 회전샤프트(24)의 회전이 잘 이루어진다.
하지만 펼쳐져 있던 스크린(23)이 역으로 말려 감기게 되면 회전샤프트(24)의 내주면과 감속부재(30)의 돌기(32)면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면서 감속부재(30)의 돌기(32)가 펴지려고 하게 된다. 이때문에 회전샤프의 내주면과 감속부재(30)의 돌기(32)사이에 조임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더욱더 마찰력을 높여주게 되는 기능을 하게된다. 이러한 감속부재(30)의 작용에 의해 회전샤프트(24)의 역회전을 구속하게 됨에 따라 천천히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스크린(23)은 부드럽게 감기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2에 따른 감속장치 다른 설치상태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감속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구조의 감속부재(30)가 길이가 짧은 고정축(22)에 설치되어 있다. 감속부재(30)의 위치가 회전샤프트(24)의 내측 중앙부에서 일측단부로 위치 이동된 것이다. 감속부재의 동작은 그 위치만 이동되었을 뿐 동일하다.
또 상기 감속부재(30)를 복수개 구비하여 상기 회전샤프트(24)의 양단과 대응되는 각 고정축(22)(26)부에 설치하면 상기 회전샤프트(24)의 감속동작시 감속을 위한 저항이 회전샤프트(24)의 양단에 균일하게 가하여져 회전샤프트(24)가 안정되게 되감김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감속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감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부재(40)는 몸체(41)와, 그 둘레의 감속볼(45)로 구성된다.
몸체(41)는 중앙부에 고정축(26)이 결합되는 축공(42)이 형성된 원통체의 둘레에 상기 감속볼(45)이 수용되는 다수의 볼홈(43)을 갖는데, 이 볼홈(43)은 바닥(44)의 높이가 방향성을 갖도록 되어 있다. 즉, 스크린(23)이 풀리는 방향으로 깊어지고, 되감기는 방향으로 낮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감속부재(40)를 결합할 때에는 중앙부의 축공(42)에 길이가 짧은 고정축(22)이나 길이가 긴 고정축(26)을 끼워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둘레의 각 볼홈(43)에 감속볼(45)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회전샤프트(24)의 내부에 삽입시켜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되면 감속볼(45)은 회전샤프트(24)의 내벽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볼홈(43)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스크린(23)을 펼치게 되면 상기 회전샤프트(24)가 볼홈(43)의 바닥(44)이 깊은 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감속볼(45)은 마찰에 의해 볼홈(43)의 바닥(44)이 깊은 쪽으로 이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문에 감속볼(45)과 회전샤프트(24)와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줄어들어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이와는 반대로 펼쳐졌던 스크린(23)을 되감게 되면, 감속볼(45)이 회전샤프트(24)의 내경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깊이가 낮은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감속볼(45)과 회전샤프트(24)의 내경면과의 거리가 가까워져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 때문에 회전샤프트(24)의 되감김 회전은 천천히 이루어지며, 회전샤프트(24)의 둘레에 감겨지는 스크린(23)은 부드럽게 되감김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 따른 감속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감속부재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감속부재(50)는 원형링의 둘레에 일방향을 향한 톱니형상의 돌기(52)가 다수개 돌출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상기 돌기(52)는 내부가 중공(54)을 이루고 단부가 라운드를 이루고 있다. 재질은 내마모성과 탄성력이 양호하고, 복원력이 좋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우레탄이 적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감속부재(50) 둘레에 형성된 돌기(52)가 내부에 중공(54)이 형성되어 있게 되면 좀더 양호한 탄성력과 복원력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회전샤프트(24)의 감속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감속반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다른 감속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감속부재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감속부재(60)는 탄성력 및 내마모성이 양호한 재질을 갖는 판체로 형성한 것이며, 특히 금속재의 탄성판체로 구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그 구조는 길이를 갖는 탄성판체의 양단(62a,62b)을 스크린이 풀리는 방향으로 만곡시켜 형성된다.
상기 감속부재(60)는 상기 길이가 짧은 고정축(22) 또는 길이가 긴 고정축(26)단에 절결홈(64)을 형성하여 이에 중앙부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감속부재(60)는 스크린(23)이 풀려 회전샤프트(24)가 회전할 때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탄성판체의 양단(62a,62b)이 만곡된 쪽으로 휘어져 마찰력이 줄어들도록 하여 회전샤프트(24)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며, 그 반대로 스크린(23)이 되감켜 회전샤프트(2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마찰력에 의해 탄성판체의 양단(62a,62b)이 펴지게 되어 마찰력이 늘어나도록 함으로써 회전샤프트(24)의 되감김 회전을 억제하게 됨으로써 결국 스크린(23)은 천천히 부드럽게 감기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크린의 풀리고 감기도록 회전작동하는 회전샤프트의 내부의 고정축단에 스크린의 풀리는 방향으로는 마찰력이 줄어들고 되감기는 방향으로는 마찰력이 증가하는 구조의 감속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스크린을 펼칠때에는 신속하게 펼쳐지고, 감길때에는 천천히 부드럽게 감기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스크린의 심한 유동에 의해 쇼케이스 또는 그 주변이 손상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양측 브래킷을 갖고 일측 브래킷에는 길고 다른 일측 브래킷에는 짧게 구성된 고정축과, 양측에 상기 고정축이 끼워져 이를 축으로 회전되며 외부에 스크린이 감겨있는 관형상의 회전 샤프트와, 상기 길이가 긴 고정축과 상기 회전샤프트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스크린의 펼쳐질 때 이를 복원력으로 저장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에 스크린이 풀리는 방향으로 마찰력이 줄어들고 스크린이 되감기는 쪽으로 마찰력이 증가하여 스크린이 되감길 때 천천히 감기도록 하는 감속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스크린의 되감김 감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단의 둘레에 스크린이 감기는 쪽으로 방향성을 갖도록 만곡되면서 상기 회전샤프트 내벽에 접촉되는 크기의 복수개의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스크린의 되감김 감속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내부는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스크린의 되감김 감속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재는,
    길이를 갖는 탄성판의 양단을 스크린이 풀리는 방향으로 만곡시켜 구성되고,상기 감속부재는 상기 고정축단에 절결홈을 형성하여 이에 중앙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스크린의 되감김 감속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재는,
    중앙부에 고정축이 결합되는 축공을 포함하는 원통체의 외주면에 바닥의 높이가 스크린이 풀리는 방향으로 깊고 감기는 쪽으로 얕게 형성된 다수의 볼홈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둘레의 각 축공에 결합되는 감속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스크린의 되감김 감속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고정축은, 길이가 긴 고정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스크린의 되감김 감속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고정축은 길이가 짧은 고정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스크린의 되감김 감속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고정축은, 상기 회전샤프트의 양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양측 고정축 둘레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스크린의 되감김 감속장치.
KR20-2003-0034541U 2003-10-14 2003-11-04 쇼케이스 스크린의 되감김 감속장치 KR20034099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2197 2003-10-14
KR2020030032197 2003-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992Y1 true KR200340992Y1 (ko) 2004-02-05

Family

ID=4942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541U KR200340992Y1 (ko) 2003-10-14 2003-11-04 쇼케이스 스크린의 되감김 감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9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548B1 (ko) 2010-07-09 2011-03-21 하미숙 댐퍼가 구비된 나이트커버 장치
KR200493763Y1 (ko) 2021-01-07 2021-06-01 유혁근 수평형 냉장 쇼케이스용 스크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548B1 (ko) 2010-07-09 2011-03-21 하미숙 댐퍼가 구비된 나이트커버 장치
KR200493763Y1 (ko) 2021-01-07 2021-06-01 유혁근 수평형 냉장 쇼케이스용 스크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8124B2 (en) Adjustable tension shade assembly
US5881792A (en) Shade roller
US20070169900A1 (en) Rolling up curtain device
US20140069596A1 (en) Single Cord Operated Clutch for Roller Blind
EP2550421B1 (fr) Enrouleur de cordon d'un dispositif de couverture de fenetre
US20110120823A1 (en) Retracta Belt Brake System
BRPI0711456A2 (pt) mecanismo para enrolar cordas de janelas
TWM478627U (zh) 汽車捲簾裝置
KR200340992Y1 (ko) 쇼케이스 스크린의 되감김 감속장치
JP5324852B2 (ja) ブラインド
US20160201390A1 (en) Roller Blind for a Window that Affords Positioning of a Screen at a Stable Height by Means of a Frictional Interface
CA2830937C (en) Roller blind clutch cover with anti-jam ball stop feature
KR200445039Y1 (ko) 롤 블라인드
KR101206545B1 (ko) 롤러식 스크린의 감속장치
JP2020084636A (ja) 巻上げ式ブラインド
KR200427481Y1 (ko) 롤브라인드의 권취장치
US20030205267A1 (en) Sunshade device with a buffer to smoothen retraction of a screen
EP0495870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lf-winding reel assemblies
WO1990001821A1 (en) Cable reel
KR101023548B1 (ko) 댐퍼가 구비된 나이트커버 장치
EP0959035A2 (en) Spooler device
KR101069466B1 (ko) 코드릴 조립체
KR200405488Y1 (ko) 두루마리 화장지와 두루마리 화장지의 과풀림 방지장치
US20080230191A1 (en) Roller Clutch Assembly
JP3102222U (ja) ショーケースのカ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