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727A -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727A
KR20020037727A KR1020017015739A KR20017015739A KR20020037727A KR 20020037727 A KR20020037727 A KR 20020037727A KR 1020017015739 A KR1020017015739 A KR 1020017015739A KR 20017015739 A KR20017015739 A KR 20017015739A KR 20020037727 A KR20020037727 A KR 20020037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s
area
movement
symbo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아이보르존 빌
Original Assignee
맬번 사이언티픽 솔루션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9913283.9A external-priority patent/GB9913283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9924342.0A external-priority patent/GB9924342D0/en
Application filed by 맬번 사이언티픽 솔루션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맬번 사이언티픽 솔루션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3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7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기호(155)나 기타등등을 가지면서 사용자 제어식 가리킴 장치에 반응하는, 터치식 패드(151)와 같은 통신 영역을 규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영역(151) 내 지정 방향으로 가리킴 장치의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방법{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QWERTY" 키보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호/텍스트 입력 시스템이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100개를 넘는 그 많은 수들의 키들은 불편할정도로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또는 그 대안의 경우엔, 손가락이나 다른 표시자와 접촉하기에 너무 작은 경향이 있다. 이동중인 사용자는 적절한 높이의 수평 지지면에 대한 필요성을 추가적으로 발견할 수 있다.
여러 다른 기호/텍스트 입력 시스템이 개발되었고, 한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입력 시스템도 그 예중 하나이다. QWERTY 키보드 수준의 대중성을 얻은 것은 아직 아무것도 없다. 일부 입력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복잡한 키스트로크나 키스트로크 조합을 기억해서 사용하는 것을 요구하며, 이는 사용을 어렵게 한다. 이러한 공지 기호/텍스트 입력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적은 수의 이동량이 바람직한 일반 사용자에 의한 이용시 특히 불편하다. 기호/텍스트 입력의 속도는 초보자나 숙련자 모두에게 중요하다.
본 발명은 텍스트같은 기호나 키보드와는 다른 수단에 의한 다른 기호의 입력용으로, 또는 전자 장비 제어를 위한 데이터 입력용으로, 그리고 기호나 데이터의 출력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통신(기호입력) 방법과 시스템의 한 실시예 도면.
도 2는 발명에 따른 통신(기호입력) 방법과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 도면.
도 3a, 3b, 3c는 도 2에서 발전된 것으로, 발명에 따르는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의 한 실시예 도면.
도 4a와 4b는 도 1에서 발전된 것으로, 발명에 따르는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의 한 실시예 도면.
도 5는 도 4a와 4b에서 발전된 것으로, 발명에 따르는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의 한 실시예 도면.
도 6a, 6b, 6c는 도 3a, 3b, 3c에서 발전된 것으로, 발명에 따르는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의 한 실시예 도면.
도 7a와 7b는 도 2에서 발전된 것으로, 발명에 따르는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의 한 실시예 도면.
도 8은 도 3a, 3b, 3c에서 발전된 것으로, 발명에 따르는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의 한 실시예 도면.
도 9는 도 4a와 4b의 수정형으로서, 발명에 따르는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의 한 실시예 도면.
도 10은 도 9의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의 수정형 도면.
도 11은 도 3a, 3b, 3c의 수정형으로서, 발명에 따르는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의 한 실시예 도면.
도 12는 양손으로 사용하는, 발명에 따르는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의 한 실시예 도면.
도 13은 발명에 따르는 통신(기호 출력) 방법 및 시스템의 한 실시예 도면.
도 14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 형태로 발명에 따르는 통신 시스템의 한 실시예 도면.
도 15는 도 3에 도시되는 경우와 유사한 발명에 따르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의 한 실시예 도면.
도 16은 도 15에 도시되는 경우와 유사한, 발명에 따르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 도면.
따라서, 공지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거나 약화시키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라, 다수의 기호나 데이터 아이템 등을 가지는 통신 영역을 규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면서 사용자 제어식 가리킴 장치에 반응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원하는 기호 등은 상기 영역 내 지정 방향으로 가리킴 장치를 움직임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다수의 기호 등이 통신 영역과 연계되고 바람직한 기호 등이 상기 영역 내 지정 방향으로 가리킴 장치를 움직임으로서 선택되는, 그러한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통신 영역 평면 상에서 단일 가리킴 장치의 움직임은 다수의 기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수의 기호를 가지면서 사용자 제어식 가리킴 장치에 따라 반응하는 다수의 기호 입력 영역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원하는 기호가 관련된 영역 내 지정 방향으로 가리킴 장치의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키보드를 대신하는 기호 입력 시스템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또는 전자 장비의 한 개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비와 같이 데이터 입력 시스템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상적인 이동 방향은 영역의 중앙부로부터 원하는 기호까지의 직선이다. 지정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가리킴 장치의 위치보다는 가리킴 장치의 움직임 방향을분석함으로서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움직임 위치가 이상적인 방향으로 제한될 필요가 없으며, 차라리 이상적 방향과 평행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분석 방법은 가리킴 장치에 관한 부정확성에 대하여 시스템이 내성을 가지게 한다는 점에서 특히 유용하다. 따라서, 움직임은 선택될 기호의 위치에 대해 오프셋될 수 있고, 또는 가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실제 방향이 정확할 필요가 없으며, 인접 기호들의 각도 차이(가령, 중심점에 대해 배치된 8개의 기호에 대하여 ±22.5°)만큼 쉽게 결정될 수 있는 공차 내에 있기만 하면 된다. 더욱이, 움직임이 선형일 필요가 없고, 곡선 형태의 움직임은 이동 시점 및 종점 등을 이용하여 평균 방향을 결정함으로서 수용된다. 다수의 셀이 제공되는 분위기에서, 가리킴 움직임의 중간점은 셀 선택의 결정에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영역의 경계나 터치 영역의 경우와 같이 다른 적절한 경계와 상기 움직임이 교차할 때의 위치를 분석함으로서 지정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감지될 수 있다.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단일 통신(기호 입력 또는 기능 입력) 영역 내에 다수의 셀(가령, 8개)이 제공되며, 이때 각각의 셀은 이와 연관되어 선형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호(가령, 3개)나 기타등등을 가지고,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은 각 셀에 대해 정해진 방향의 움직임과, 각 셀과 연관된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을 선택하기 위해 이어지는 동일 방향의 연속된 움직임이나, 일정 각도를 가지는 움직임이 선택된다. 셀들은 8각형 배열로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다수(가령, 8개)의 통신(기호 입력이나 기능 입력) 영역이 제공되며, 각각의 통신 영역은 8각형 방식으로 배열되는 다수(가령, 네개)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고, 바람직한 영역에 대해 미리 정해진 수직 방향으로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 내 움직임에 의해 바람직한 기호 등등이 선택된다. 8개의 영역이 8각형 배열로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통신(기호 입력이나 기능 입력) 영역이 존재하고, 각각의 통신 영역은 지정 방식으로 배열된 6개나 8개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진다. 가령, 각 통신 영역 상부나 하부를 따라서와 같이 지정 인접 사각형 모서리간 중간과 사각형 모서리에서 이들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에 대해 지정된 방향으로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 내로의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된다. 선형 배열이나 4변형 배열로 네 개의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추가적 실시예에서, 세 개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고, 각각의 영역은 정해진 방식으로 배열되는 8개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포함한다. 그 위치는 예를 들어 사각형의 모서리와 인접 모서리들간 중간쯤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에 대해 지정된 방향으로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 내의 움직임에 의해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 등등이 선택된다. 사용자 손가락과 함께 세 개의 영역이 동작하도록 의도되는 경우에, 이 영역들은 사용자의 중지 길이를 수용하도록 변위되는 중앙 영역과 선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발명의 추가적 실시예에서, 두 개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며, 각각의 통신 영역은 정해진 방식으로 배열되는 다수(가령, 8개)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포함하고, 그 위치는 예를 들어 사각형 모서리와 인접 모서리들간 중간쯤이 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에 대해 지정된 방향으로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 등등을 가지는 영역 내로의 움직임에 의해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될 수 있다.
발명의 추가적 실시예에서, 다섯 개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고, 각각의 통신 영역은 지정된 방식으로 배열되는 네 개의 기호나 기타등등까지를 포함한다. 그 위치는 예를 들어 사각형의 모서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에 대해 지정된 방향으로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 내로의 움직임에 의해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될 수 있다. 이 영역들은 선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두 세트의 통신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 두 세트의 통신 영역이 대안의 기호나 기타등등의 입력을 위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추가적인 통신 영역이 필요할 경우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영역들에서 분리되어 한 개 이상의 추가 영역이 제공될 수 있어서, 앞서 언급한 기호나 기타등등 세트와, 각 영역과 관련될 한 개 이상의 기호나 기타등등의 한 개 이상의 추가 세트 사이에 토글링을 실시한다. 가령, 앞서 언급한 영역들 주변에 다수의 추가 영역이 제공될 수 있고, 앞서 언급한 영역의 중앙에 단일한 추가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먼저 언급한 기호나 기타 등등으로 둘러싸이거나 이에 인접한 영역 내에 배열되는 추가 기호나 기타등등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이 원하는 영역 내에 상기 영역을 태핑함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기본 기호로부터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것과는 다른 형태의 움직임을 이용함으로서 추가 기호나 기타등등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가령, 움직임의 속도(저속, 고속)나 움직임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조합된 움직임은 시점이나 종점에서 휴지상태에서의 선형 움직임을 포함하고, 첫 번째 방향으로의 선형 움직임 뒤에는 역방향의 한 개 이상의 추가 선형 움직임이 이어지며, 두 순차적인 선형 움직임은 서로 직각이거나 서로 지정된 각도로의 교차한다. 이러한 서로 다른 형태의 움직임이 기호 형태를 그려내는 것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각해야 한다. 단 몇 개의 단일 움직임만이 기억될 필요가 있다.
원격 가리킴 장치를 통해 선택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진 영역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터치식 패드나 스크린에 제공될 수 있다. 원격 가리킴 장치의 예로는 컴퓨터 마우스나 트랙볼, 또는 광학 트래킹 장치등이 있다. 기호가 영역에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이 기호들이 이에 인접하게(위나 아래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받을 경우에만 영역이나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대안으로, 각각의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사용자가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트 물질에 영역들이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추가적 태양에 따라,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통신 영역을 규정하는 수단과, 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영역 내 지정 위치나 지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수단의 움직임에 의해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이 표시될 수 있다.
발명의 추가적 태양에 따라,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이 통신 영역과 연관되고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이 상기 영역 내 지정 위치에서나 지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수단의 움직임에 의해 표시되는,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이동가능한 상기 수단은 시각 수단과 촉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기호 입력 영역은 사용자 제어식 가리킴 장치에 따르는 다수의 기호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고, 바람직한 기호가 관련된 영역 내 지정 방향으로 가리킴 장치의 움직임에 의해 바람직한 기호가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영역에 대해 분리된 이동가능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가령, 대각선 방향이나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핀이 그 예이다. 대안으로, 이동가능한 수단이 확장성 핀이나 피조(piezo) 장치와 같이 각각의 기호나 기타등등의 위치에서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8개의 통신(기호 출력) 영역이 존재하고, 각각의 통신 영역은 서로 수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호(가령, 네 개)를 포함하며, 지정 수직 방향으로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 내로의 이동가능 수단의 움직임에 의해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이 표시된다. 8개의 영역들은 8각형 배열로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단일 통신 영역 내에 다수의 셀(가령, 8개)이 위치할 수 있고, 각각의 셀은 선형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호(가령, 세 개)나 기타등등을 가질 수 있다. 각 셀에 대해 지정 방향으로 이동가능 수단의 움직임에 의해, 그리고 각 셀 내에서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을 표시하기 위해 이어지는 동일 방향의 연속된 움직임이나 그에 대한 일정 각도의 움직임에 의해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이 표시된다. 8개의 셀은 8각형 배열로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 네 개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며, 각각의 통신 영역은 예를 들어 사각형 모서리에서와 인접 모서리간 중간쯤에 지정된 방식으로 배열되는 8개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며, 지정 방식으로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 내의 이동가능 수단 움직임에 의해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된다. 4변형 배열이나 선형 배열로 네 개의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추가적 실시예에서, 세 개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각각의 통신 영역은 지정 방식으로 배열되는 8개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며, 그 위치는 예를 들어 사각형의 모서리와, 인접 모서리간 중간쯤이며, 지정 방향으로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 내로 이동가능수단의 움직임에 의해 바람직한 기호나 기타등등이 표시된다.
이동가능 수단의 움직임 조합을 이용함으로서 기호나 기타등등을 추가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조합된 움직임은 그 시점이나 종점에서 휴지상태로의 선형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고, 첫 번째 방향으로의 선형 움직임 다음에는 반대 방향으로의 추가 선형 움직임이 이어지며, 두 개의 순차적 움직임은 서로 직각을 이루거나 서로에 대해 일정 각도로 교차한다.
발명은 컴퓨터 및 유사장비, 이동전화(WAP 전화 포함), 텔레비젼(대화형 또는 비대화형), 경보시계, 차량 및 주거용 오디오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존 키보드는 한 개 이상의 특정 위치에서 한 개 이상의 키를 누름으로서 작동된다. 정해진 압력을 넘거나 정해진 근접도를 얻을때까지 이 키들은 작동하지 않는다. 각각의 키는 단일한 특정 출력을 생성하고, 추가 키의 이용에 따라 출력이 수정될 수도 있다. 추가 키의 예로는 "shift", "alt", "caps lock" 키 등이 있다.
기존 키보드에 비해, 도 1에 도시되는 통신(기호입력) 시스템은 8개의 사다리꼴 영역(1)으로 된 8각형 배열을 포함한다. 이 배열은 이동가능한 커서(3) 형태의 가리킴 장치를 통해 이용하기에 최적으로 설정된 것이지만, 터치패드 상의 손가락일 수도 있고, 또는 카드의 인쇄 시트나 공간에서 손가락 움직임일 수도 있다. 커서(3)는 마우스나 트랙볼, 터치-패드, 또는 헤드 제어식 광학 트래커처럼 다수의 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기호 입력을 개시하고 기호 입력 사이클 완료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되는 중앙 8각형 영역(5)이 영역 1의 중앙에 놓인다.
커서(3)는 다수의 기호(7)를 작동시키도록 중앙 영역(5)으로부터 사다리꼴영역(1) 중 하나로 이동된다. 가령, 커서는 문자 a, b, c, d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후 문자 b를 선택하기 위해 우측으로 수평 이동하는 것과 같이,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지정된 방향으로 작동된 영역(1)으로부터 커서(3)가 이동하게 된다. 그후, 커서(3)는 중앙 영역(5)으로 복귀하여 다음 기호의 선택을 개시한다. 8개의 영역(1)과 각 영역에 대한 네 개의 (수직)방향은 32개의 기호(7) 중 하나를 쉽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영역(1)의 8각형 배열 주변부에서, 다수의 모드 변경 영역(9)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1)이 컴퓨터나 유사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소문자 및 대문자간 변경과 같이 다른 세트의 기호(7)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모드 변경 영역(9)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수의 서로 다른 기호 세트간에서 토글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되는 통신(기호입력) 시스템은 터치패드(13)나 터치-스크린 상에 제공되는 사각형(또는 직각형태) 배열의 영역(11)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은 한 개의 손가락이나 가리킴 스틱 형태의 가리킴 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각각의 영역(11)은 이와 관련된 8개의 기호(15)를 각각 가지며, 가리킴 장치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기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손가락으로 작동할 경우, 오직 한 개의 손가락이 한번에 패드(13)를 건드려야함에도 불구하고 텍스트 입력을 위해 실제로 한 개에서 네 개까지의 손가락이 사용될 수 있다. 각 영역마다 한 개씩 네 개의 손가락이 사용될 경우, 네 영역(11)의 수평 배치가 도 2에 도시되는 사각형 배열에 비해 선호된다. 영역(11) 내의 손가락 위치는 중요하지 않으며,인접 방향 사이에서 움직임 방향을 구별하는 것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방향은 중요하지 않고 시스템 작동은 매우 사용자 친화적이다.
터치식 패드를 이용할 때의 추가적 옵션은 어느 정도의 하향 압력이 하버 필름(hover film)에 가해지지 않을 경우 터치식 패드를 개시하지 않으면서 표면에 한 개 이상의 손가락을 사용자가 의지할 수 있게 하는 하버 필름(hover film)이나 이와 유사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사용중인 손가락을 위한 어떤 다른 형태의지지 장치도 없을 경우 특히 편리하다. 하버 필름은 터치식 패드 위 약 1mm로 늘어나는 탄성체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터치식 패드 자체 내에 압력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식 패드는 연속적이고 평탄하며 부드러운 장점을 가지며, 어떤 이동부도 가지지 않는다. 이러한 패드는 청결유지가 손쉽고 소비자 구매방식 변경에 적응하기 위한 재설정도 용이하다.
터치식 패드의 이용은 기호 입력에 더해 추가적인 가능성을 가지게 한다. 예를 들어, 터치식 패드는 마우스 제어 전용의 영역으로 또는 기호 입력과 마우스 제어간 토글을 위한 수단을 제공함으로서, 기존 마우스 커서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어떤 창의적 부분도 필요로하지 않는 직관적 작업이다. 대안으로, 터치식 패드는 자필 입력 기능이나 표준 QWERTY 텍스트 입력에 대한 토글 기능과 같은 이중/다중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터치식 패드가 컴퓨터나 이동전화와 같은 통신 장치와 반드시 일체형일 필요는 없으며, 유선, 고주파, 적외선 등과 같은 원격링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는 터치식 패드를 편리한 위치 및 방향에 놓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터치식 패드의 선호되는 위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방향을 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와 터치식 패드간 직관적 매핑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접한 위치이다.
영역의 8각형이나 4각형 배치를 이용함으로서, 위-아래, 옆에서 옆으로,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직관적이고 인체공학적으로 편리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도 1과 2의 실시예에서, 선택된 기호는 가리킴 장치의 움직임 위치와 상기 움직임의 방향의 조합에 의존한다. 다른 수의 영역과 방향이 사용될 수 있지만, 네 개나 여덟 개의 방향을 가지는 여덟개나 네 개의 영역을 이용하면 보다 사용자 친화적이고 직관적인 움직임을 얻을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유용한 텍스트 입력 시스템을 위한 충분한 수의 기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영역과 관련된 기호들을 예를 들어 대문자, 숫자, 또는 타기능 제어로 변경하기 위해 키를 할당함으로서 추가 기능이나 기호를 얻을 수 있다. 가리킴 장치의 방향설정을 돕기 위해, 터치식 패드나 터치스크린의 표면에는 수직 그루브나 수평 그루브와 같은 촉각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텍스트의 문자 입력을 위해 기호들이 제공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WO-A-98-33111 호에 기술되는 것과 같이 모호성 제거를 포함한 텍스트 입력 시스템을 위한 입력으로 기호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원하는 기호나 기호들이 선택되었는 지의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입력된 기호에, 또는 가리킴 장치의 움직임 및 접촉에 상응하는 오디오나 비디오/시각적 응답이나 출력을 통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한 개 이상 기호의 입력은 공지된 방식의 문자, 단어, 등에 대한 예측 수단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발명에 따른 통신(기호입력) 시스템 및 방법은 맞춤법검사기를 통합할 수 있어서, 어떤 특정 영역에서 잘못된 기호를 선택하거나 잘못된 영역을 선택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타이핑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의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해 문자의 매크로나 스트링을 발생시키는 데 기호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3a, 3b, 3c에 도시되는 통신(기호입력) 시스템은 도 2에서 발전한 것이다. 도 3a, 3b,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치식 패드(23)에는 세 개의 영역(221)이 제공되고, 각각의 영역들은 구분된 손가락 형태의 가리킴 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통신(기호입력) 시스템의 용이한 동작을 위해, 가장 긴 중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부 영역쪽으로 중앙 영역이 변위된다. 각각의 영역(21)은 8개의 기호(25)를 가지며, 각 기호들(25)은 영역 주변부 정사각형의 모서리와 모서리 중간쯤에 지정 패턴으로 위치하며, 적절한 영역(21) 내 태핑 움직임에 의해 선택되는 9번째 기호(27)와 적절한 방향의 핑거 움직임에 의해 상기 기호들 중 어떤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기호의 배열이 변경될 수도 있으나, 도 3a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소문자는 적절한 방향(위-아래, 측면, 대각선)으로의 간단한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다. 대문자는 문자선택 움직임의 시점이나 종점에서 지정 시간동안 필요한 영역 내에 손가락을 고정시킴으로서, 또는 움직임 속도를 결정함으로서 선택된다(예를 들어 대문자는 저속, 소문자는 고속). 추가적으로, 위아래 움직임에 이어 측면 움직임, 또는 그 역의 조합을 포함하여 지정된 직각 방향 움직임에 의해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기호들이 선택된다. 지정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이어 첫 번째 움직임에 대한 역방향 움직임이 이어짐으로서, 도 3c에 도시되는 추가 기호들이 선택된다.
세 손가락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세 영역(21)의 이용은 동작의 크기 및 용이성에 관한 훌륭한 절충안이다. 사용자의 엄지와 새끼손가락은 세 나머지 손가락에 대한 지지체로 작용할 수 있으며, 각 영역 바로 위에 나머지 세 손가락들을 유지할 수 있다. 8방향 움직임은 신뢰적이고 편리한 기호 선택을 촉진시켜서, 비현실적 정확도의 요구가능성을 피하면서 충분한 수의 대안을 조합한다. 9번째 "탭(tap)" 움직임은 공간에 대한 직관적 선택을 제공하며, 충분한 기호로부터의 선택이 단 세 개의 영역으로 전체 알파벳을 정의할 수 있게 한다. 스와이핑 움직임에 이은 주저함에 의한 대문자 선택은 이용하기 간단하고 직관적이다. 도 3b의 직각 움직임과 도 3c의 스와이핑 및 역방향 움직임은 이용하기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추가 기호 세트 선택을 위해 서로 다른 모드간 토글에 대한 필요성을 방지한다.
도 4a와 4b에 도시되는 통신(기호입력) 시스템은 도 1에서 발전한 것이다. 도 4a와 4b에서, 시계 등의 표면과 같은 터치식 패드(33)나 스크린에 제공되는 8개의 장방형 셀(31)을 가지는 단일 영역이 도시된다. 이 셀들은 가리킴 스틱이나 손가락과 같이 적절한 가리킴 장치를 이용하여 작동된다. 도 1의 실시예에 비해, 8개의 셀(31)이 8각형 형태로 배열된다. 각각의 셀(31)은 이와 관련된 세 개의 기호(35)를 가져서, 먼저 상기 셀(31)에 대해 적절한 방향으로, 그리고 두 번째로 중간 기호에 대해 반지름 방향으로 , 또는 외부 기호의 경우에 바람직한 셀과 연관된 필요 기호의 원주 방향으로 가리킴 장치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기호들 중 하나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기호 배열이 변경될 수 있으나, 도 4a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적절한 방향의 간단한 직선이나 직각 스와이핑 움직임에 의해 소문자가 선택된다. 대문자는 지정 시간 동안 스와이핑 움직임의 시점이나 종점에서 가리킴 장치를 고정되게 함으로서, 또는 상대적으로 느린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서, 선택된다. 8각형의 어디든 태핑을 실시함으로서, 도 4b에 도시되는 제 1 세트 기호와 제 2 세트 기호간 토글이 가능하며, 제 2 세트로부터의 개별 기호가 도 4a에 대해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통신(기호입력) 시스템은 도 4a와 4b에 도시되는 경우의 수정형으로서, 두 개의 터치식 패드(41)나 스크린 형태에 두 개의 영역에 대해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패드(영역)(41)에는, 8각형 형태로 배열되는 8개의 장방형 셀(43)이 정의되며, 도 5의 두 터치식 패드는 도 4a와 4b의 단일 패드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된다. 단, 이 경우에는 두 세트의 기호(45)간 토글이 전혀 필요없다.
도 4와 5의 알파벳 배열이 대안의 배열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기호 위치 결정을 위한 기준으로 여러 문자를 이용하는 상대적 빈도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a, 6b, 6c에 도시되는 통신(기호입력) 시스템은 도 3a, 3b, 3c에 도시되는 경우의 수정형이다. 도 3a, 3b, 3c에 대해, 터치식 패드(53)나 스크린에는 세 개의 영역(51)이 제공되며, 구분된 손가락 형태의 가리킴 장치에 의해 각 영역(51)이 작동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도 6의 중앙 영역은 중지 수용을 위해 변위된다. 도 6a의 각각의 영역(51)은 8개의 기호(55)를 가지며, 이 기호들(55)은영역(51) 주변부에서 정사각형 모서리와 모서리간 중간쯤에 지정 패턴으로 배열되어, 적절한 영역 내 태핑 움직임에 의해 선택되는 아홉번째 기호(57)와 적절한 방향의 손가락 움직임에 의해 상기 기호들 중 어떤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도 3a에 대하여, 도 6a의 실시예에서 적절한 방향(상하, 좌우, 대각선)의 간단한 스와이핑 움직임에 의해 소문자가 선택되고, 문자 선택 움직임의 종점에서 지정 시간동안 선택된 영역(51) 내에 손가락을 추가적으로 머무름으로서 대문자가 선택된다. 또한, 기호 선택 움직임의 시작에서 지정 시간동안 손가락을 머무름으로서, 또는 지정 다방향 스와이핑 움직임을 취함으로서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호(59)가 선택되고, 이는 이때의 움직임이 관련된 기호 형태를 흉내내는 도 6b의 오른손 영역의 상부에 도시되는 바와 같다.
지정 방향으로의 스와이핑 움직임과, 이어서 첫 번 방향에 역방향인 추가 스와이핑 움직임에 의해, 그리고 관련된 기호의 형태를 흉내내는 보다 복잡한 움직임에 의해 도 6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추가 기호(59)가 선택된다. 이러한 복잡한 움직임은 5, &, @와 같은 기호를 흉내낼 수 있고, 또는 스케치를 만들 수 있다.
도 7a, 7b에 도시되는 통신(기호입력) 시스템은 도 2에서 발전한 것이다. 도 7a와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치식 패드(63)나 스크린에 네 개의 영역(61)이 제공되고 사각형으로 배열되며, 각각의 영역(61)은 한 개의 손가락이나 가리킴 스틱 형태의 가리킴 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각각의 영역(61)은 8개의 기호(65)를 가지고 그 주변(모서리나 모서리간 중간)에 배열되어, 적절한 영역 내 태핑 모션에 의해 선택되는 9번째 기호(67)와 적절한 방향으로 손가락 등의 움직임에 의해상기 기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기호의 배열이 변경될 수 있지만, 도 7a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적절한 방향(상하, 좌우, 대각선)의 간단한 스와이핑 움직임에 의해 소문자들이 선택되고, 기호 선택 움직임의 종점에서 지정 시간동안 원하는 영역(61) 내에 손가락 등을 머무르게함으로서 대문자가 선택된다. 기호 선택 움직임의 시점에서 지정 시간동안 원하는 영역 내에 손가락 등을 머무르게 함으로서, 그리고 관련된 기호 형태를 흉내내는 보다 복잡한 움직임에 의해,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추가 기호(69)가 선택된다. 이러한 복잡한 움직임은 £이나 $와 같은 기호를 흉내낼 수 있고, 도는 스케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통신(기호입력) 시스템은 도 3a, 3b, 3c에 도시되는 경우의 수정형이다. 터치식 패드(73)에 세 개의 영역(71)이 제공되며, 각각의 영역은 구분된 손가락 형태의 가리킴 장치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기호 입력 시스템의 동작을 촉진시키기 위해, 중앙 영역은 중지 수용을 위해 외곽 영역 쪽으로 변위될 수 있다(도 8에 도시되지 않음). 각각의 영역(71)은 사각형 모서리와 모서리간 중간에 지정된 배열을 가지는 8개의 기호(75)를 가지며, 적절한 영역(71) 내 태핑 움직임에 의해 선택되는 9번째 기호(77)와 적절한 방향의 손가락 움직임에 의해 상기 기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기호의 배열이 변경될 수 있으나, 도 8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적절한 방향(상하, 좌우, 대각선)의 간단한 스와이핑 움직임에 의해 내측 기호가 선택된다. 지정 방향의 스와이핑 움직임에 이어 첫 번 방향과 역방향의 추가 스와이핑 움직임에 의해 외측 기호가 선택된다. 문자 선택 움직임의 시점이나 종점에서 지정 시간동안 필요한 영역 내에 손가락을 머무르게 함으로서, 또는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가리킴 장치의 상대적 움직임 속도를 결정함으로서, 대문자가 선택된다. 적절한 영역 내의 탭에 의해 스페이스, 백스페이스, 엔터 기호가 선택되고, 도시되는 기호와 추가 세트의 기호간 토글링을 위해, 또는 음성 출력 작동등과 같은 추가 기능의 토글링을 위해 # 기호가 예약된다.
도 9에 도시되는 통신 시스템(기호입력) 시스템은 도 4a와 4b에 도시되는 경우의 수정형이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시계나 유사종류의 표면과 같이 터치식 패드(83)나 스크린에 8개의 셀(81)을 규정하는 한 개의 영역이 존재한다. 이 셀들은 가리킴 스틱이나 손가락같이 적절한 가리킴 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4a와 4b의 실시예에 대해, 8개의 셀(81)은 8각형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각의 셀(81)은 두 세트의 세 기호(85)를 가지며, 내측 세트는 적절한 셀 방향의 간단한 스와이핑 움직임에 의해 선택되고, 외측 세트는 스와이핑 움직임의 시점에서 지정 시간동안 머무름에 의해 선택된다. 중간 기호의 경우 반지름 방향 스와이핑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가 선택되고, 외측 기호의 경우에, 원하는 셀을 향한 움직임 이후 필요한 기호의 적절한 원주 방향 스와이핑 움직임에 의해 바람직한 기호가 선택된다. 8각형 어디에서든 단일 탭은 스페이스를 나타내고, 더블 탭은 백스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의 단순화로서, 대부분 세트의 중앙 기호만이 각 세트의 기호를 사용자에게 떠오르게 도시된다. 도 10의 배열은 전체 기호 입력 영역이 상대적으로 작게 디스플레이되는 기호의 시각적 관측도를 개선시킨다.
반지름방향 스와이핑 움직임에 의해 두 기호가 선택될 수 있을 경우, 각 세트 내 기호의 숫자가 3에서 4로 증가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하며, 외측 기호는 단일 외곽방향 반경방향 움직임에 의해 선택되고, 내측 기호는 외측방향 움직임 이후 반경방향 내측 스와이핑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8개의 구분된 셀이 64개의 기호까지를 입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되는 통신(기호입력) 시스템은 도 3a, 3b, 3c에 도시되는 것의 수정형이다. 터치식 패드(93)에 네 개의 영역(91)이 제공되며, 각각의 영역은 구분된 손가락 형태의 가리킴 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각각의 영역(91)은 그 주변부에 6개의 기호(95)를 가지며, 상기 6개의 기호(95)는 사각형의 모서리와 인접 모서리간 중간(상, 하)에 정해진 배열로 위치하여, 적절한 영역(91) 내의 태핑 움직임에 의해 선택되는 7번째 기호(97)와 적절한 방향의 손가락 움직임에 의해 상기 기호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수평 움직임을 회피하는 것은 일부 환경에서 경제적으로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기호의 배열이 변경될 수 있지만, 도 11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대부분의 소문자는 적절한 방향(상향, 하향, 대각선)의 간단한 스와이핑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다. 문자 선택 움직임의 시점과 종점에서 정해진 시간동안 필요한 영역 내에 손가락을 머무르게 함으로서 대문자가 선택된다. 스페이스, 백스페이스, 엔터 등과 같은 추가 기호는 적절한 영역(91) 내의 태핑에 의해 선택된다.
도 12에 도시되는 통신(기호입력) 시스템은 양손용으로 개발되었고, 터치식 패드(103)나 터치식 스크린에 제공되는 다섯 개 영역(101)으로 된 두 줄의 배열을 각 손마다 포함한다. 또한 각각은 서로 다른 손가락 형태의 가리킴 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하측 행의 각 영역(101)은 네 개의 기호(105)를 가지며, 적절한 상향, 하향, 측방 방향의 가리킴 장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기호들 중 어떤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측 행의 각각의 영역(101)은 두 개의 기호(105)를 가지며 적절한 상향, 하향 방향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기호들 중 어떤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시프트 및 컨트롤과 같은 추가 기능을 위해 추가 영역(107)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영역(107)은 기존 키와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배열은 양손을 이용함으로서, 특히 간단한 세트의 기호 입력용 손가락 움직임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형이고 저렴하며 사용자-친화적인 기호/텍스트 입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개인용 컴퓨터 접근과, 이동 컴퓨터 시스템용 텍스트 입력, 그리고 이동전화에서 전화를 걸기 위한 숫자 입력, 그리고 텍스트 입력을 포함하여 넓은 범위의 분야에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기호입력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스페이스 입력에 사용하도록 고안될 수 있다. 엄지가 자연스럽게 내려가는 영역에 추가 영역이 제공될 수 있고, 엄지가 터치식 패드에 대해 눌려질 때 스페이스를 입력할 수 있으며, 또는 엄지가 지지체로 사용될 경우 엄지가 패드에서 들려질 때 스페이스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3은 발명에 따르는 통신(기호출력) 시스템 및 방법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기호 출력 영역(111)의 선형 배열이 출력 패드(113) 등에 배열된다. 각각의 출력 영역(111)은 8각형 게이트 배열 형태를 취하며, 서로 다른 기호(117)를 나타내기 위해 수직 및 대각선 방향으로 기호핀(115)을 나타내는 기호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핀(115)의 움직임은 어떤 적절한 선형 작동 수단에 의해 제어될수 있다. 따라서, 지정 방향으로의 핀(115) 중 하나의 움직임이 한 개의 기호(117)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움직임 순서가 기호 순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호 순서는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도 있고, 사용자 피부에 대한 움직임에 의해 식별될 수도 있다. 이동가능한 핀에 대한 대안으로, 피조 장치나 확장 핀같은 진동 수단이 각 기호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3의 실시예는 핀(115)으로부터 촉각 안내를 가진 기호 입력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차량용 라디오/카세트/CD 오디오 플레이어(121)로 구체화되는 발명에 따른 통신(기능이나 데이터 입력) 시스템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플레이어(121)는 도식적으로 도시되지만, 선택한 기능, 라디오국, 테이프방향, 트랙 등을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23)와, 플레이어 제어를 위한 다수의 사각형 영역(125, 127, 129)을 포함한다.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왼손 영역(125)은 볼륨 및 밸런스 제어에 사용된다. 따라서 영역(125) 표면에서 상향으로의 움직임은 볼륨 제어를 선택하고 하향으로의 움직임은 밸런스 제어를 선택한다.
이어지는 왼쪽으로의 움직임은 지정 단위 크기만큼 고음 성분을 증가시키고, 좌측으로의 움직임에 이어지는 움직임 종점에서의 머무름은 머무름 구간에 대한 고음 성분을 계속 증가시킨다. 우측으로의 단일 움직임으로 지정 단위양만큼 저음 성분이 마찬가지로 증가할 수 있고, 우측으로의 움직임에 이어지는 머뭇거림은 머무름 구간동안 저음 성분을 계속 증가시킨다.
적절한 좌측/우측 방향 움직임에 이어 반대방향 역움직임이 이어짐으로서 지정 단위 양만큼 고음이나 저음 성분이 감소될 수 있다. 고음이나 저음 성분의 지속적인 감소는 역방향 움직임 말미의 머무름에서 얻을 수 있다.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중앙 영역(127)은 RDS, BAND, STATION 또는 TUNING과 같은 여러 기능 선택에 사용되는 지정 방향의 영역 표면 상 움직임으로 라디오 기능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8개의 사전설정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기 우해 사용되는 8개의 8각형이나 대각선 방향 중 하나의 차후 움직임으로 2단계 선택 과정에서 STATION이 사용될 수 있다.
오른손 영역(129)은 TAPE나 CD 선택과 같이 플레이어의 다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테이프나 CD 상의 트랙을 통해 BACK이나 FORWARD를 건너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되는 통신(기능이나 데이터 입력) 시스템은 터치식 패드 등에서 단일 움직임을 가지는 아날로그 함수(볼륨 등)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실행한다.
도 15에 도시되는 통신(기호입력) 시스템은 도 3a, 3b, 3c의 경우와 유사하다. 도 3a, 3b, 3c에 대해, 터치식 패드(133)나 스크린에 세 개의 영역(131)이 제공되며, 각각의 영역(131)은 구분된 손가락이나 단일 손가락 형태의 가리킴 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15의 각각의 영역(131)은 8개의 기호(135)를 가지며, 사각형 모서리와 모서리간 중간에서 미리 정해진 배열로 각각의 영역에 인접한 배열(137)로 디스플레이되어, 적절한 영역 내 태핑 움직임에 의해 선택되는 9번째 기호(139)와 바람직한 기호의 위치에 상응하는 관련된 영역 내 적절한 방향의 손가락 움직임에 의해 상기 기호들 중 어떤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구분된 디스플레이 장치(137)의 제공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다른 가리킴 장치가 접근되는 기호를 흐리지 않는다는 점을 보장한다. 도 3a에 대해, 도 15의 실시예에서 적절한 방향의 간단한 스와이핑 움직임에 의해 소문자가 선택되고, 가리킴 장치의 상대적으로 느린 움직임을 이용함으로서, 또는 문자 선택 움직임의 시점이나 종점에서 지정 시간동안 선택된 영역(131) 내에 손가락을 추가적으로 머물게함으로서 대문자가 선택된다. 기호의 배열(137)은 영구적일 수도 있고, 한시적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41)의 하부를 형성한다. 이때 기호의 한시적 배열은 하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리킴 장치나 다른 작용의 적절한 움직임으로 작동되거나 작동중지된다.
디스플레이 영역 내 9개의 연속 서브-영역 각각은 관련 기호와 적절한 가리킴 방향을 가진다. 각각의 기호는 그 서브-영역을 채우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영역은 밀집형태로 기호로 채워지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거의 낭비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기호는 사용자에게 투명하며, 적절한 가리킴 방향은 기호 위치로부터 직관적이다.
영역(131)과 기호 배열(137) 중간에 작은 수의 기호를 영구적으로 표시한 작은 터치식 영역(143)이 존재한다. 이는 가리킴 장치의 측방 움직임에 의해 선택될 수 있고, 또는 태핑 움직임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소영역(143) 중 하나는 선택된 기호의 변경에 사용될 수 있으며, 추가 기호들이 원 기호 대신에 디스플레이된다. 단 한 세트의 기호 디스플레이는 관련된 명백한 방향과 상대적으로 큰각각의 기호로 기호 디스플레이를 간단하게 한다. 이 방식으로, 기호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명백하며, 기호에 접근하기 위한 적절한 가리킴 방향 역시 명백하다. 기호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기호의 위치를 알게되면, 사용자는 기호 디스플레이(137)를 작동정지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장치(WAP 전화나 PDA 장치)의 일반 디스플레이(141)를 확대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한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기호의 제공은 기호를 소프트웨어로 변경되게 하며, 여러 메뉴 층이 스크롤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언어도 쉽게 수용되며, 필요할 경우 사용자에 의해 배치가 개인화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되는 통신(기호입력) 시스템은 도 15에 도시되는 경우와 유사하다. 도 15에 비해, 터치패드(153)나 스크린에 두 개의 영역(151)이 제공되며, 각각의 영역(151)은 구분된 손가락이나 단일 손가락 형태의 가리킴 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16의 각각의 영역(151)은 16개의 기호(155)를 가지며 각각의 기호(155)는 각 영역에 인접한 두 개의 변이 마주치는 배열(157)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각 기호는 사각형 모서리와 모서리사이 중간쯤에 지정 배열로 나타나며, 그래서 원하는 기호의 위치에 상응하는 영역 내 적절한 방향의 가리킴 장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기호들 중 어떤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각 쌍의 왼손 배열용 기호는 적절한 방향의 간단한 스와이핑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다. 각 쌍의 오른손 배열의 경우에, 관련 기호는 오른손 배열의 중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전후 움직임에 의해 선택된다. 왼손 배열의 경우에, 9번째 기호(159)는 적절한 영역 내 태핑 움직임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도 15의 실시예에 대하여, 분리된 디스플레이(157)의 제공은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다른 가리킴 장치가 접근하는 기호를 흐리게하지 않음을 보장한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기호가 왼손 배열의 각각에 위치하도록, 그리고 가장 덜 사용되는 기호가 오른손 배열에 위치하도록 기호가 도 16에서 배열된다. 도 15의 실시예에 대해, 적절한 방향(상하, 좌우, 대각선)의 간단한 스와이핑 움직임에 의해 소문자가 선택되고, 문자 선택 움직임의 시점이나 종점에서 지정 시간동안 선택된 영역(151) 내에서 손가락을 추가적으로 머무르게함으로서, 또는 가리킴 장치의 상대적으로 느린 움직임을 이용함으로서, 대문자가 선택된다. 기호 배열(157)은 일시적일 수도 있고 영구적일 수도 있으며, 가령, 디스플레이(161)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기호의 일시적 배열은 오른손 영역(151)의 오른손 배열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가리킴 장치의 직절한 움직임이나 다른 동작으로 작동하거나 정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용한 기호 세트를 스크롤링함으로서 선택된 기호를 변경할 수도 있고 작동정지시킬 수도 있다. 기호의 두 간단한 세트의 디스플레이는 기호 디스플레이를 각각의 기호에 대해 직선적으로 하며, 각각의 기호는 상대적으로 크면서 밀집형태를 취한다. 이 방식으로, 기호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명백하고 이해가 쉬우며 디스플레이 영역을 거의 낭비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기호 위치를 알게되면, 사용자는 기호 디스플레이(157)를 정지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발명의 통신 시스템이 통합된 장치(WAP전화나 PDA장치)의 일반 디스플레이(161)를 확대할 수 있다.

Claims (40)

  1.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면서 사용자 제어식 가리킴 장치에 반응하는 통신 영역을 규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상기 영역내 정해진 방향의 가리킴 장치 움직임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 통신 영역 내에 다수의 셀이 존재하고, 각각의 셀은 선형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며, 셀 선택을 위해 지정 베어링을 따르는 움직임에 이어서 셀과 연관된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선택하기 위해 반경방향이나 원주방향의 추가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기호 입력 영역이 제공되고, 각각의 영역은 다수의 기호를 가지며 사용자 제어식 가리킴 장치에 반응하며, 원하는 기호가 관련된 영역 내 지정 방향의 가리킴 장치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배열되는 네 개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각각 가지는 8개의 통신 영역이 제공되고, 원하는 영역에 대해 정해진 수직 방향으로 원하는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내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다섯 개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고, 각각의 영역은 지정된 방식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며,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에 대해 지정 방향으로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 내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네 개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고, 각각의 영역은 지정 방식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며,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에 대해 지정 방향으로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내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세 개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고, 각각의 영역은 지정 방식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며,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에 대해 지정 방향으로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내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두 개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고, 각각의 영역은 지정 방식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며,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에 대해지정 방향으로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내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세트의 통신 영역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먼저 언급한 영역과는 별도로 한 개 이상의 추가 영역이 제공되어, 먼저 언급한 기호 세트나 기타등등과 각 영역에 관련될 한 개 이상 추가 세트의 기호나 기타등등 간을 토글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하는 영역내 면적을 태핑함으로서 각 영역의 앞서 언급한 기호나 기타등등으로 둘러싸인, 또는 그 주변의 면적내 배열되는 추가 기호나 기타등등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2.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본 기호로부터 선택에 필요한 것과는 다른 형태의 움직임을 이용함으로서 추가 기호나 기타등등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가리킴 장치의 움직임 속도를 바탕으로 추가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4. 제 12 항이나 13 항에 있어서, 움직임 조합을 바탕으로 추가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움직임 조합이 곡선형 움직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6. 제 14 항이나 15 항에 있어서, 움직임 조합은 움직임의 시점이나 종점에서 머무름과 함께 선형 움직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7. 제 14, 15,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움직임 조합은 첫 번째 방향의 선형 움직임에 이어 앞선 움직임에 역행하는 추가 선형 움직임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8. 제 14 항에서 17항까지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움직임 조합은 서로 정해진 각도에서의 두 순차적 선형 움직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9.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터치식 패드나 스크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0.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이 통신 영역과 관련되고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영역내 지정 방향의 가리킴 장치 움직임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단일 통신 영역 내에 다수의 셀이 위치하고, 각각의 셀은 선형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며, 셀 선택을 위해 지정 베어링을 따르는 움직임에 이어서 각 셀과 연관된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선택하기 위해 반경방향이나 원주방향 추가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다수의 기호입력 영역이 제공되고, 각각의 영역은 다수의 기호를 가지며 사용자 제어식 가리킴 장치에 반응하며, 바람직한 기호가 관련된 영역내 지정 방향의 가리킴 장치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가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8개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고, 각각의 영역은 수직 방식으로 배열되는 네 개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며, 원하는 영역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내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5개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고, 각각의 영역은 지정 방식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며,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에 대해 지정 방향으로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 내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4개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고, 각각의 영역은 지정 방식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며,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에 대해 지정 방향으로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 내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3개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고, 각각의 영역은 지정 방식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며,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에 대해 지정 방향으로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 내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7. 제 22 항에 있어서, 2개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고, 각각의 영역은 지정 방식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며,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에 대해 지정 방향으로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영역 내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8. 제 20 항에서 27 항까지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세트의 통신 영역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9. 제 20 항에서 28 항까지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먼저 언급한 영역과는 별도로 한 개 이상의 추가 영역이 제공되어, 먼저 언급한 기호 세트나 기타등등과 영역 각각과 관련될 한 개 이상의 추가 기호 세트나 기타등등 간의 토글링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0. 제 20 항에서 29 항까지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하는 영역 내 면적을 태핑함으로서 각 영역의 앞서 언급한 기호나 기타등등으로 둘러싸이거나 이에 인접한 면적 내에 배열되는 추가 기호나 기타등등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1. 제 20 항에서 30 항까지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본 기호로부터 선택에 필요한 것과는 다른 형태의 움직임을 이용함으로서 추가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가리킴 장치의 움직임 속도를 바탕으로 추가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3. 제 31 항 또는 32 항에 있어서, 움직임 조합을 바탕으로 추가 기호나 기타등등이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움직임 조합은 곡선 움직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 33 항 또는 34 항에 있어서, 움직임 조합은 시점과 종점에서 머무르는 선형 움직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6. 제 33, 34,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움직임 조합은 첫 방향으로의 선형 움직임과, 이어, 앞선 움직임에 역행하는 추가 선형 움직임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7. 제 33 항에서 36 항까지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움직임 조합은 서로 지정 각도를 가지는 두 순차적 선형 움직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8. 제 20 항에서 37 항까지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치식 패드나 스크린에 영역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9.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을 가지는 통신 영역을 규정하는 수단과 상기 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기호출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영역 내 지정 위치에서나 지정 방향으로 이동가능 수단의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표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0. 다수의 기호나 기타등등이 통신(기호출력) 영역과 관련되고, 상기 영역내 지정 위치나 지정 방향으로 이동가능 수단의 움직임에 의해 원하는 기호나 기타등등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호출력) 방법.
KR1020017015739A 1999-06-09 2000-06-09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377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913283.9A GB9913283D0 (en) 1999-06-09 1999-06-09 Symbol communication (entry and output) system and method
GB9913283.9 1999-06-09
GBGB9924342.0A GB9924342D0 (en) 1999-10-15 1999-10-15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GB9924342.0 1999-10-15
PCT/GB2000/002243 WO2000075765A1 (en) 1999-06-09 2000-06-09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727A true KR20020037727A (ko) 2002-05-22

Family

ID=2631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739A KR20020037727A (ko) 1999-06-09 2000-06-09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405601B1 (ko)
EP (1) EP1183590B1 (ko)
JP (1) JP2003501738A (ko)
KR (1) KR20020037727A (ko)
CN (1) CN1354850A (ko)
AT (1) ATE302443T1 (ko)
AU (1) AU5238100A (ko)
DE (1) DE60022030T2 (ko)
WO (1) WO20000757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8861A2 (en) * 2009-07-14 2011-01-20 Eatoni Ergonomics, Inc Keyboard comprising swipe-switches performing keyboard ac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0015349L (no) * 2001-05-10 2002-11-11 Ziad Badarneh System for innmatning av dataelementer
US7333092B2 (en) * 2002-02-25 2008-02-19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US8022935B2 (en) 2006-07-06 2011-09-20 Apple Inc. Capacitance sensing electrode with integrated I/O mechanism
US20100194700A1 (en) * 2007-04-24 2010-08-05 Oh Eui Jin Character input device
JP5207699B2 (ja) * 2007-09-28 2013-06-12 京セラ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CN101174190B (zh) * 2007-09-30 2013-06-12 上海触乐信息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US8446371B2 (en) 2007-12-19 2013-05-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aunching activities
EP2073113A1 (en) 2007-12-19 2009-06-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aunching activities
TWI416399B (zh) 2007-12-28 2013-11-21 Htc Corp 手持式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CN101667092A (zh) * 2008-05-15 2010-03-10 杭州惠道科技有限公司 实时预测用户输入的人机界面
FR2933212B1 (fr) * 2008-06-27 2013-07-05 Movea Sa Pointeur a capture de mouvement resolue par fusion de donnees
JP4632102B2 (ja) * 2008-07-17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0993508B1 (ko) * 2008-09-03 2010-11-10 안공혁 터치 궤적 및 터치 방향의 인식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US9996259B2 (en) 2008-09-26 2018-06-12 General Algorithms Ltd. Methods for inputting text at a touchscreen
EP2169522B1 (de) * 2008-09-26 2010-11-24 General Algorithms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ingabe von Texten
KR101636705B1 (ko) * 2009-08-06 201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5506375B2 (ja) * 2009-12-25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GB2479756B (en) 2010-04-21 2013-06-05 Realvnc Ltd Virtual interface devices
JP2012165170A (ja) * 2011-02-07 2012-08-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会議装置、会議方法および会議プログラム
JP2012146324A (ja) * 2012-03-23 2012-08-02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CN103970278B (zh) * 2013-01-25 2017-02-08 胡竞韬 一种圆形触感键盘的输入方法及装置
KR20140134088A (ko) * 2013-05-13 2014-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및 장치
TW201502961A (zh) * 2013-07-05 2015-01-16 Wen-Fu Chang 觸控裝置之輸入鍵輸入方法
WO2016017956A1 (en) * 2014-07-30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60034179A1 (en) * 2014-07-31 2016-02-04 Microsoft Corporation Dual directional control for text entry
EP3002661A1 (en) * 2014-09-30 2016-04-06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irtual input interface
EP3002669A1 (en) * 2014-09-30 2016-04-06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irtual input interface
US9619043B2 (en) 2014-11-26 2017-04-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Gesture multi-function on a physical keyboard
FR3034539B1 (fr) * 2015-04-02 2017-03-24 Eric Didier Jean Claude Provost Procede de selection d'element parmi un groupe d'elements affichables sur une petite surface de saisie
US9910510B1 (en) 2017-07-30 2018-03-06 Elizabeth Whitmer Medical coding keyboard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8238A (en) * 1982-01-28 1984-07-03 Learn Dale H Hand held data entry unit
US5008847A (en) * 1983-01-21 1991-04-16 The Laitram Corporation Cursor selected keyboard keys displayed on the computer screen for entering alphanumeric characters and instructions, particularly for creating computer aided design and drafting patterns
JP2951792B2 (ja) * 1992-03-31 1999-09-20 シャープ株式会社 対象指定方法
RU2032212C1 (ru) * 1993-05-12 1995-03-27 Владими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Рыжов Способ ввода симво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и в эвм
US5808567A (en) * 1993-05-17 1998-09-15 Dsi Datotech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communicating using three digits of a hand
US5483235A (en) * 1994-02-23 1996-01-09 At&T Corp. Stylus-based keyboard key arrangement
CA2126142A1 (en) * 1994-06-17 1995-12-18 David Alexander Kahn Visual communications apparatus
WO1996030822A1 (en) * 1995-03-27 1996-10-03 Forest Donald K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ata entry
US5745717A (en) * 1995-06-07 1998-04-28 Vayda; Mark Graphical menu providing simultaneous multiple command selection
US5682151A (en) * 1995-07-27 1997-10-28 Oliveros; Ernesto Vidal Data input device and correlative encoding technique
US6144378A (en) * 1997-02-11 2000-11-07 Microsoft Corporation Symbol entry system and methods
US6448987B1 (en) * 1998-04-03 2002-09-10 Intertainer, Inc. Graphic user interface for a digital content delivery system using circular menus
US6545669B1 (en) * 1999-03-26 2003-04-08 Husam Kinawi Object-drag continuity between discontinuous touch-screens
US6549219B2 (en) * 1999-04-09 2003-04-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ie menu graphical user interface
US7199786B2 (en) * 2002-11-29 2007-04-03 Daniel Suraqui Reduced keyboards system using unistroke input and having automatic disambiguating and a recognition method using said system
US20040162133A1 (en) * 2003-02-11 2004-08-19 Jackson Kathleen Nylund Novel display and novel video payline forma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8861A2 (en) * 2009-07-14 2011-01-20 Eatoni Ergonomics, Inc Keyboard comprising swipe-switches performing keyboard actions
WO2011008861A3 (en) * 2009-07-14 2011-05-05 Eatoni Ergonomics, Inc Keyboard comprising swipe-switches performing keyboard actions
US9189156B2 (en) 2009-07-14 2015-11-17 Howard Gutowitz Keyboard comprising swipe-switches performing keyboard a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75765A1 (en) 2000-12-14
ATE302443T1 (de) 2005-09-15
EP1183590A1 (en) 2002-03-06
CN1354850A (zh) 2002-06-19
JP2003501738A (ja) 2003-01-14
DE60022030D1 (de) 2005-09-22
US8405601B1 (en) 2013-03-26
AU5238100A (en) 2000-12-28
DE60022030T2 (de) 2006-07-20
EP1183590B1 (en)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7727A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10684755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0691073B1 (ko)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제공 방법
CA2405846C (en) Efficient entry of characters into a portable information appliance
KR100954594B1 (ko) 디지털 기기에 사용되는 포인팅장치를 이용한 가상키보드입력시스템
KR100357013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CN1987758B (zh) 适于小型手持设备的指点设备
US9122318B2 (en) Methods of and systems for reducing keyboard data entry errors
CN101174190B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US20080297475A1 (en) Input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Keys
US20060082540A1 (en) Data input system
JP200531704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253209A1 (en) Accommodative user interfac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414614B2 (en) User interface
KR20080010267A (ko) 문자입력장치
JPH07295706A (ja) キーボード
KR100469704B1 (ko) 트랙볼을이용한휴대폰사용자인터페이스장치
JPH11327762A (ja) マウス機能付きキー入力装置
JP2000089896A (ja) コード入力装置
JPS6278621A (ja) 入力装置
KR20100046376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입력 방법
WO2008049659A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 user to select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