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145A -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145A
KR20020037145A KR1020000067155A KR20000067155A KR20020037145A KR 20020037145 A KR20020037145 A KR 20020037145A KR 1020000067155 A KR1020000067155 A KR 1020000067155A KR 20000067155 A KR20000067155 A KR 20000067155A KR 20020037145 A KR20020037145 A KR 20020037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rame
lumbar spine
lumbar
force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3301B1 (ko
Inventor
강상욱
Original Assignee
강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욱 filed Critical 강상욱
Priority to KR10-2000-0067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301B1/ko
Publication of KR20020037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천추부의 교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난 요천추부에 압력을 가하여 정상위치로 바꾸는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의 변위가 크게 일어난 척추, 특히 5번 요추와 1번 천추가 만나는 요천추관절의 변위를 바로잡는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추와 천추가 만나는 요천추 관절에서의 응력 집중을 해소시켜주는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척추변위가 발생한 요천추부에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힘을 가하여 변위를 일으켜 요천추부를 바로 잡고, 응력이 집중된 요천추부의 응력을 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준다.
간단한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척추변위가 발생한 요천추부를 교정함으로써 손쉽게 요천추부의 이상을 교정하는 효과가 있으며, 수동으로 장치를 구동시킬 때에는 교정과 동시에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효과가 있으며, 또한, 요추와 천추가 만나는 요천추관절에 집중된 응력을 해소시켜 줌으로써,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ment of lumbosacral area}
본 발명은 요천추부의 교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난 천추부에 압력을 가하여 정상위치로 바꾸는 요천추부 교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5번요추(허리뼈)와 그 아래의 1번천추(엉치뼈) 사이 속에 있는 신경의 압박상태를 완화, 이완시켜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정상적으로 변위가 발생한 요천추부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요천추부의 경우에도 상기 요추와 천추사이의 신경의 압박 상태를 이완 및 완화시켜주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인 척추부는 인체의 중심 골격으로서 예로부터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왔다.
우선 그 형태에 있어서, 척추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33개의 뼈로 구성되어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은 좌우로는 대칭을 이루며, 측면에서 보면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다. 즉, 경추부와 요추부는 앞쪽으로 구부러져 있고, 흉추부와 천추부는 뒤쪽으로 구부러져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척추의 중요한 기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첫째는 두개골 및 몸통을 지지하고 운동에 관여하는 것이고, 둘째는 뇌에서 시작되어 신체 각부위로 가는 신경의 경로가 되며 신경을 보호하는 것이다.
척추에서 뻗어나가는 척추신경은 척추 뼈 사이로 빠져나와 신체의 모든 장기, 근육, 혈관, 인대, 피부에 분포하게 된다. 이 척수와 척추신경이 우리의 모든 감각, 움직임, 자세유지, 체온유지, 심장 박동유지, 호흡유지, 혈당유지 등의 모든 신체 기능을 담당한다. 우리가 의식적으로 하는 행동과 무의식적으로 하는 모든 행동을 이런 신경계가 지배한다. 따라서 이러한 척수를 보호하는 척추 뼈가 제자리를 유지하는 것은 건강의 기본이 된다.
즉, 각 척추 뼈가 제자리에 있을 때에는, 척수나 척추신경이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고 일을 하지만, 척추뼈가 제자리를 찾지 못할 때에는 이 척추뼈 사이로 빠져나가야 하는 척추신경은 압박을 받기 시작하고 여러 신경계의 장애가 시작된다. 이러한 신경계의 장애는 신체의 관련기관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면역기능 또한 저하시켜 심각한 질병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사지로 보행하는 동물과는 달리 사람은 두 다리로 서서 걷기 때문에 허리에, 그 중에서도 요추(허리뼈)와 천추(엉치뼈)가 만나는 부위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서 척추변위가 발생하기 쉽다. 이것은 요천추(허리엉치뼈)는 천추가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고, 과도한 전만각으로 인한 중력으로 스트레스가 크게 작용하고, 천추는 고정되어 있는데 반해 요추는 운동범위가 크기 때문에 구부림이나 뒤로 젖힘 등에 의해 손상을 받기가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천추부에 힘을 가하여 천추와 요추 사이를 벌려 줌으로써 변형된 요천추부를 교정하고, 요천추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해소하여 주어야 한다. 이러한 요천추부의 응력해소를 통하여 요통이 없는 정상적인 사람도 신진대사가 원활해지며, 육체적, 정신적으로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병원 등의 물리치료실에서 사용되는 척추 교정기는 스프링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신체를 상하로 당기거나 기계적인 구성을 이용하여 상하로 당기는 작동의 반복으로 척추를 이완시킨 후에 이의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신체가 원상태로 돌아오면 척추가 정상적인 위치로 찾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척추교정기는 단순히 신체를 신장시키는 역할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척추의 교정에는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없었다.
상기의 척추 교정기보다 발달된 형태의 척추교정기는 실용신안 제93-4383호(등록일자 1993. 7. 14)가 있으며, 이는 신체를 척추의 길이방향으로 당긴 상태에서 하반신을 흔들어 줌으로써 척추가 제자리로 찾아가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이 구성의 경우도 역시 신체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단순히 하반신을 흔들어주기만 하기 때문에 당기는 힘을 제거하더라도 척추가 제자리로 찾아가는데는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 실용신안 공개 제 99-5079호(공개일자 1999. 2. 5.)와 같이 단순 이완장치가 아니고, 척추에 순간적인 압력을 가하여 척추를 교정하는 장치가 있으나, 이것은 앞에서 언급한 형태의 척추 교정기, 즉 단순히 신체을 이완시키거나, 상반신을 흔들어주는 기능의 척추 교정기보다는 교정효과가 우수하다고 할 수 있으나, 척추의 변위 정도가 작은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고, 요추와 천추가 만나는 요천추관절 부위에서는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장치로는 요추와 천추가 만나는 요천추 관절부위의 응력의 집중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여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척추의 변위가 크게 일어난 척추, 그 중에서도 5번 요추와 1번 천추가 만나는 요천추관절의 변위를 바로잡는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추와 천추가 만나는 요천추 관절에서의 응력 집중을 해소시켜주는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인체의 척추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인 요천추부 교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인 요천추부 교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인 요천추부 교정장치의 정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인 요천추부 교정장치의 측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인 요천추부 교정장치의 사시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인 요천추부 교정장치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경추2: 흉추
3: 요추4: 천추
5: 미추6: 요천추부
10: 접촉부11: 경사면
20: 수직력 인가 수단21: 상자
22: 안내기둥23: 슬라이딩 홀
30: 수평력 인가 수단31: 레일
32: 바퀴33: 이탈방지턱
34: 이동손잡이35: 와이어
36: 롤러37: 고정손잡이
40: 상승수단41: 유압실린더
42: 조정손잡이43: 체결구
50: 프레임51: 안전걸림판
60: 베드
본 발명은 인간의 직립활동에 의하여 척추변위가 발생한 요천추부에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힘을 가하여 변위가 일어난 요천추부를 근원적으로 바로 잡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체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예인 요천추부 교정장치는 요천추부에 접촉하는 끝단이 경사면(11)으로 형성된 사각기둥 형태의 접촉부(10), 상부가 개방된 상자(21) 내부에 중량물을 집어넣어 중량을 조절하고, 상기 접촉부(10)가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상자(21) 하부에 부착되어, 요천추부에 하중을 가하는 수직력 인가 수단(20), 상기 접촉부(10)를 상기 환자의 몸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환자의 요천추부에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수평력 인가 수단(30), 상기 환자가 상기 접촉부(10) 밑에 누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부(10)와 상기 수직력 인가수단(20)을 위로 들어올리는 상승수단(40), 상기 접촉부(10)와 상기 수직력 인가수단(20)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 걸림판(51)이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 상기 수직력 인가수단, 상기 수평력 인가수단, 상기 상승수단이 장착되는 프레임(50), 상기 프레임(5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상기 환자가 엎드려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베드(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10)는 인간의 직립활동에 의한 척추변위가 발생한 요천추부에 직접 닿는 부분으로 그 형상이 요천추부에 닿는 부분에 경사면(11)이 이루어진 사각기둥형태를 기본형으로 한다.
상기 경사면(11)은 평면이외에도 곡면으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변위의 정도에 따라 경사면의 기울기를 조정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수직력인가수단(20)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교정정도에 따라 상기 경사면의 기울기가 다른 접촉부를 이용하여 교정작업을 한다. 즉, 척추의 변위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기울기가 가파른 경사면을 갖는 접촉부를 사용하고, 변위정도가 작은 경우에는 기울기가 작은 경사면을 갖는 접촉부를 이용한다.
상기 수직력 인가수단(20)은 상부가 개방된 상자(21)의 구조를 갖으며, 상기 상자 및 그 내부에 담겨진 중량물의 자중을 이용하여 요천추부에 수직력을 가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자 내부공간에 각종 금속, 암석 등과 같은 물체들을 넣어서 상기 수직력 인가수단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연령, 건강정도, 척추변위 정도에 따라 상기 수직력 인가수단의 중량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수직력 인가수단(20)은 상승시에는 후술하는 상승수단(40)에 의하여 위로 올라가게 되며, 하강 시에는 자체 중량과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력 인가수단의 원활한 이동 및 직진성을 주기 위하여 수직력 인가수단(20) 주위로 4개의 안내 기둥(22)이 있고, 상기 수직력 인가수단의 둘레에는 상기 안내기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홀(23)이 장착되어있다.
상기 상승수단(40)은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조작되는 펌프 내장형 유압실린더(41), 상기 유압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조정손잡이(42), 릴리프 밸브 조작 스위치(도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음.), 실린더 끝단과 상기 수직력 인가수단(20)을 연결시키는 체결구(43)를 포함한다.
상기 조정손잡이를 상하로 왕복운동 하면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위로 상승하고 동시에 상기 수직력 인가수단에 장착된 접촉부(10)가 위로 상승하고, 따라서 상기 접촉 수단(10)과 베드(60)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요천추부 교정을 하고자 하는 사람의 출입이 가능하여진다. 이때, 상기 조정손잡이는 그 길이가 사람이 상기 베드에 엎드렸을 때 손을 들어 잡을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접촉 수단을 충분히 상승시킨 후, 상기 베드(60)에 엎드려 상기 릴리프 밸브를 조작하여 실린더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접촉부(10)의 높이를 조정하여 교정하고자 하는 요천추부에 적당한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에 오도록 한다.
다음에는 상기 수평력 인가수단(30)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부(10)를 환자의 엉덩이 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수평력 인가 수단(30)은 상기 베드 상부에 베드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폭에 맞게 장착된 2개의 레일(31), 상기 프레임이 상기 레일 위를 베드 앞뒤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프레임 하부에 장착된 다수의 바퀴(32), 상기 바퀴의 이탈을 막기 위한 이탈방지턱(33), 상기 베드앞쪽에 마련된 이동가능한 손잡이(34)와 연결되고 상기 베드의 앞쪽을 지나서 상기 베드의 바닥면 밑을 통과하여 상기 바퀴가 장착된 프레임의 뒤쪽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를 몸 쪽으로 당기면, 프레임을 베드의 뒤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와이어(35), 상기 와이어(35)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해주는 다수의 롤러(36)로 구성된다.
즉, 베드에 엎드린 상태로 앞에 있는 손잡이를 몸쪽으로 당기면 상기 와이어(35)와 연결된 프레임이 몸의 엉덩이 부분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접촉부가 환자의 요천추부에 수평력을 인가함으로써 변위가 발생한 요천추부를 교정하여 준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수평력 인가수단은 베드 상부에 베드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폭에 맞게 장착된 2개의 레일, 상기 프레임이 상기 레일 위를 베드 앞뒤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프레임 하부에 장착된 다수의 바퀴, 상기 바퀴가 장착된 프레임을 끌어당겨서 베드 뒤쪽으로 이송시키는 전기모터, 상기 전기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베드에 누운 상태로 상기 전기모터를 구동시키는 전기모터 제어장치, 상기 바퀴가 장착된 프레임의 뒤쪽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전기모터에 연결되어 프레임을 베드의 뒤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해주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수동으로 와이어를 당기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는 전기모터 제어장치만을 조정하여 전기모터의 힘으로 와이어를 당겨주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전기모터에 의하여 와이어를 당겨주므로 편리하게 본 발명의 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6과 도7에서는 또 다른 형태의 구체예를 도시하였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을 상기 베드에 고정시키고 베드의 앞쪽에는 별도의 고정된 고정손잡이(37)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요천추부에 수직력을 인가하도록 제작된 수직력 인가수단(20)과 접촉부(10)를 상하로만 이동이 가능하고 좌우 및 전후로는 이동이 불가하도록 베드(60)에 고정시키고, 손을 뻗어 상기 고정손잡이(37)를 잡고 팔을 끌어 당겨서, 자신의 몸을 팔의 힘으로 앞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접촉부(10)와 요천추부 사이의 작용/반작용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수평력을 요천추부에 인가시키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장치의 구성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이외에도 본 특허출원의 청구범위에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실린더와 같은 기계운동 장치를 이용하여 요천추부에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힘을 가하도록 하여 요천추부의 변위를 교정하고, 동시에 요천추부에 집중된 응력을 플어주는 장치의 이용도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단한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척추변위가 일어나 요천추부를 교정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원 없이 손쉽게 요천추부의 이상을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동으로 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교정과 동시에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모터를 사용하여 장치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손쉽게 변위가 발생한 요천추부의 교정이 가능하다.
또한, 요천추부에 발생한 변위에 의하여 요통 등의 통증을 겪는 것 이외에, 정상인의 경우에도 요천추부, 그 중에서도 요추와 천추가 만나는 요천추관절에 집중된 응력을 해소시켜 줌으로써,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게된다.

Claims (5)

  1. 요천추부에 접촉하는 끝단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기둥 형태의 접촉부;
    내부공간에 중량물을 집어넣어 중량을 조절하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 상기 상자 하부에 구비된 상기 접촉부의 착탈이 가능한 착탈수단으로 구성된 요천추부에 하중을 가하는 수직력 인가 수단;
    상기 접촉부를 상기 환자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환자의 요천추부에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수평력 인가 수단;
    상기 환자가 상기 접촉부 밑에 누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부와 상기 수직력 인가수단을 위로 들어올리는 상승수단;
    상기 접촉부와 상기 수직력 인가수단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 걸림판이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 상기 수직력 인가수단, 상기 수평력 인가수단, 상기 상승수단이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상기 환자가 엎드려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베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천추부 교정장치.
  2. 제 1항에서 상기 수평력 인가수단은
    베드 상부에 베드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폭에 맞게 장착된 2개의 레일;
    상기 프레임이 상기 레일 위를 베드 앞뒤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프레임 하부에 장착된 다수의 바퀴;
    베드앞쪽에 마련된 이동가능한 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베드의 앞쪽을 지나서 상기 베드의 바닥면 밑을 통과하여 상기 바퀴가 장착된 프레임의 뒤쪽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를 몸 쪽으로 당기면, 프레임을 베드의 뒤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해주는 다수의 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천추부 교정장치.
  3. 제 1항에서 상기 수평력 인가수단은
    베드 상부에 베드길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폭에 맞게 장착된 2개의 레일;
    상기 프레임이 상기 레일 위를 베드 앞뒤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프레임 하부에 장착된 다수의 바퀴;
    상기 바퀴가 장착된 프레임을 끌어당겨서 베드 뒤쪽으로 이송시키는 전기모터;
    상기 전기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베드에 누운 상태로 상기 전기모터를 구동시키는 전기모터 제어장치;
    상기 바퀴가 장착된 프레임의 뒤쪽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전기모터에 연결되어 프레임을 베드의 뒤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해주는 다수의 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천추부 교정장치.
  4. 제 1항에서 상기 수평력 인가수단은
    상기 프레임을 상기 베드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베드 앞쪽에 장착되어 교정을 받을 사람이 잡고 힘을 가하여 몸을 상기 베드의 앞쪽으로 당김으로써 요천추부와 상기 접촉부의 반작용에 의하여 요천추부에 수평력을 인가할 수 있는 핸드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천추부 교정장치.
  5. 척추변위가 일어난 요천추부와 제 1항의 접촉부의 경사면을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요천추부에 수직력을 가하는 수직력 인가단계;
    상기 수직력 인가단계를 유지하면서 상기 접촉부를 환자의 엉덩이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요천추부에 수평력을 가하는 수평력 인가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천추부 교정방법.
KR10-2000-0067155A 2000-11-13 2000-11-13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 KR100373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155A KR100373301B1 (ko) 2000-11-13 2000-11-13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155A KR100373301B1 (ko) 2000-11-13 2000-11-13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145A true KR20020037145A (ko) 2002-05-18
KR100373301B1 KR100373301B1 (ko) 2003-02-25

Family

ID=1969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155A KR100373301B1 (ko) 2000-11-13 2000-11-13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3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7022A1 (en) * 2003-04-02 2004-10-14 Seung-Yen Jung Pelvis correction machine
KR100742782B1 (ko) * 2005-08-24 2007-07-25 정두환 골반 및 척추교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63B1 (ko) 2006-05-12 2007-12-21 유병찬 골반교정장치
KR101849564B1 (ko) * 2018-01-26 2018-04-17 이일구 헬스용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585B1 (ko) * 1997-07-07 1999-07-01 이강덕 척추 교정기
KR19990005079U (ko) * 1997-07-11 1999-02-05 정찬수 척추 교정기
KR20000002918A (ko) * 1998-06-24 2000-01-15 김봉준 척추 교정 장치
KR200170261Y1 (ko) * 1999-09-06 2000-02-15 한헌경 척추 교정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7022A1 (en) * 2003-04-02 2004-10-14 Seung-Yen Jung Pelvis correction machine
KR100742782B1 (ko) * 2005-08-24 2007-07-25 정두환 골반 및 척추교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3301B1 (ko)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lombo et al. Treadmill training of paraplegic patients using a robotic orthosis
US7347834B2 (en)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JP5139124B2 (ja) 拘束・再配置・けん引・運動装置
CN107334572B (zh) 一种颈椎牵引装置
US5176706A (en) Spinal curvature correction device
CN107468464B (zh) 下肢多功能锻炼装置
KR20100041707A (ko) 균형 및 신체 방향 지지 장치
CN109009616B (zh) 一种颈椎主动矫正锻炼治疗器
CN111728841B (zh) 一种具有远红外治疗功能的骨科脊柱矫正按摩装置
KR100420965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CN106726060A (zh) 一种仰卧抬腿式自助牵引力多功能腰椎病治疗床
WO1999003440A1 (de) Pneumatische bewegungsschienen und -orthesen
KR100373301B1 (ko)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
CN111658420B (zh) 一种骨科脊柱矫正按摩装置
US201302894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apeutic spinal treatment
KR20090055662A (ko) 체중 견인방식에 의한 척추 교정 기구
KR20190015122A (ko)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US70410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umbosacral area
JP2000139977A (ja) 腰痛治療椅子
KR2002161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CN111658419B (zh) 一种具有熏炙功能的骨科脊柱矫正按摩装置
KR100371610B1 (ko) 의자를 이용한 척추 교정방법
JP3229852B2 (ja) 腰痛の治療若しくは予防のための装置
KR102022569B1 (ko)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KR200270421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