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079U - 척추 교정기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079U
KR19990005079U KR2019970018361U KR19970018361U KR19990005079U KR 19990005079 U KR19990005079 U KR 19990005079U KR 2019970018361 U KR2019970018361 U KR 2019970018361U KR 19970018361 U KR19970018361 U KR 19970018361U KR 19990005079 U KR19990005079 U KR 199900050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tation
spine
support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수
Original Assignee
정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찬수 filed Critical 정찬수
Priority to KR2019970018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079U/ko
Publication of KR199900050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079U/ko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체를 누운 상태에서 척추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켜 상반신에 회전운동과 좌우 운동운동을 반복적으로 부여하여 척추를 이완시킨 다음 척추에 순간적인 압박을 가해서 정상적인 척추위치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척추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누워 있는 상태에서 신체를 척추의 길이 방향을 신장시키기 위한 신장수단(A)과, 상반신에 회동운동과 좌우 왕복운동을 반복적으로 부여하는 제1이완수단(B) 및 제2이완 수단(C)과, 이완된 척추를 받치고 압압하기 위한 받치작동수단(D) 및 하반신 지지판(E)과 상반신 지지판(F)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척추 교정기
일반적으로 병원등 물리 치료실에서 사용되는 척추 교정기는 스프링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신체를 상하로 당기거나 기계적인 구성을 이용하여 상하로 당기는 작동의 반복으로 척추를 이완시킨 후에 이의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신체가 원상태로 돌아오면 척추가 정상적인 위치로 찾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단순히 신체를 신장시키는 역할만을 수행하므로써 척추의 교정에는 그리 효과를 나타낼 수 없었다.
또다른 척추 교정기로는 한국실용신안 공보 제1786호(공고번호 93-4383, 1993. 7. 14)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는 신체를 척추의 길이 방향으로 당긴 상태에서 하반신을 흔들어 줌으로써 척추가 제자리로 찾아가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의 구성은 신체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단순히 상반신을 흔들어 주기만 하기 때문에 당기는 힘을 제거하더라도 척추가 제자리로 찾아가는데는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척추 교정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척추를 이완시킨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압박하는 힘에 의하여 척추가 정상적인 위치로 교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척추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척추를 이완시켜 주는 과정에서 상반신에 운동을 부여하여 상반신의 근육을 풀어 줄 수 있는 척추 교정기를 제공함에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신체를 누운 상태에서 척추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토록 하고 상반신에 회동운동과 좌우 왕복운동을 반복적으로 부여하여 척추를 이완시키도록 한 다음에 이완된 척추에 순간적인 압박을 가해서 척추가 정상적인 위치로 찾아가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척추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내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정면 구성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동역전달 상태를 보인 블럭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이완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이완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받침 작동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척추 교정기A:신장수단
11:풀리13:스크루
14:스크루홀더B:제1이완수단
21:체인풀리23,33,43:회전축
24:브라켓트26:지지부재
C:제2이완수단31,41:벨트풀리
32:체결편D:받침작동수단
44:편심캠50:받침구
51:탄발스프링52:볼
53:장홈54:삽지홈
E:하반신 지지판60:발고정편
61:받침판62:지지대
F:상반신 지지판71:지지브라켓트
72:횡축73:지지대
74:로울러
이하, 본 고안 척추 교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 척추 교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척추교정기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척추 교정기(10)는 신체를 누운 상태에서 하반신을 척추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토록 하는 신장수단(A)과, 상반신에 회동운동을 반복적으로 부여하여 척추가 이완되도록 하는 제1이완수단(B)과, 상반신에 좌우 왕복운동을 반복적으로 부여하여 척추가 이완되도록 하는 제2이완수단(C)과, 이완된 척추를 받쳐주도록 하는 받침작동수단(D)과, 상기 수단(A∼D)의 상부에는 하반신 지지판(E) 및 상반신 지지판(F)이 구비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신장수단(A)은 정,역모터(M1)의 회전축에 벨트를 체결하여 모터(M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는 폴리(11)와, 이의 풀리(11)에 고정되고 지지브라켓트(12)에 지지되어 회전구동하는 스크루(13)와, 상기 스크루(13)에 체결되어 스크루(13)의 회전에 따라 전,후 슬라이드 작동되어 양측에 레일(R)을 따라 구동되는 로울러(15)가 구비되는 스크루 홀더(14)로 구성되고, 스크루 홀더(14)상부에 재치된 하반신 지지판(E)을 후진시켜 하반신을 척추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이완 수단(B)은 정,역 모우터(M2)의 회전축에 체인을 체결하여 모우터(M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는 체인 풀리(21)와, 이의 체인 풀리(21)에 고정되고 지지브라켓트(22)에 지지되어 회전 구동하는 회전축(23)과, 상기 회전축(23)의 일단에는 회전축(23)의 회전에 따라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 회동하도록 하는 전자 브레이크(25)가 부착된 브라케트(24)가 구비되고, 브라켓트(24)내에는 상반신 지지판(F)을 지지하는형의 지지부재(26)가 후기하는 제2이완수단(C)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구성되고, 회전축(23)의 회전에 따라 제1이완 수단(B)으로 상반신에 회동운동을 반복적으로 부여하는 것이고, 이때에 후기하는 제2이완 수단(C)도 동기적으로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제2이완 수단(C)은 정,역 모우터(M3)의 회전축에 기어벨트를 체결하여 모우터(M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는 전자브레이크(32)가 부착된 벨트 풀리(31)와, 이의 벨트 풀리(31)에 고정되고 상단이 제1이완수단(B)의 브라켓트(24)의 일측 하단에 고착된형의 체결편(32)에 지지되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33)이 상기 제1이완수단(B)의 브라켓트(24)에 지지되며 이의 회전축(33)에는 지지부재(26)가 고정 체결되어 회전축(33)의 회전에 따라 지지부재(26)에 지지된 상반신 지지판(F)의 좌우 왕복운동을 반복적으로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 작동 수단(D)은 상기 제1이완수단(B)과 제2이완수단(C)의 운동으로 이완된 척추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구의 작동에 관한 것으로 모우터(M4)의 회전축에 기어 벨트를 체결하여 모우터(M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는 벨트 풀리(41)와, 이의 벨트 풀리(41)에 고정되고 지지 브라켓트(42)에 지지되어 회전 구동하는 회전축(43)과, 이의 회전축(43)의 중간에는 편심캠(44)이 고정되어 편심캠(44)이 고정되어 편심캠(44)의 회전으로 지지 프레임(45)에 지지되면서 양측의 탄발 스프링(51)으로 탄지되는 볼(52)의 압지하에 위로 상승되는 받침구(50)로 구성되어 있다.
받침구(50)는 양측면에 상기 볼(52)이 구동되는 장홈(53)이 형성되고 장홈(53)의 하부에는 볼(52)이 삽지되는 삽지홈(54)이 구비되어 편심캠(44)의 회전으로 상승된 받침구(50)가 상승되면 볼(51)이 삽지홈(54)이 삽입되어 정지하도록 되어 후기하는 하반식 지지판(E)의 받침판이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받침 작동 수단(D)은 일단이 신장 수단(A)의 스크루 홀더(14)에 고착되고 타단 양측에 레일(R)을 따라 구동되는 로울러(15)가 구비된 판넬(P)상에 안착되어 있다.
한편, 하반신 지지판(E)은 상면 일단에 발고정편(60)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힌지로 체결되고 상기 받침구(50)의 상승으로 일단이 상승되는 받침판(61)이 구비되며, 신장 수단(A)의 스크루 홀더(14) 및 판넬(P)상에 지지대(62)로 지지되어 신장 수단(A)의 전후 작동에 따라 작동되어 하반신을 척추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반신 지지판(F)은 일단이 지지부재(26)에 지지되고, 타단의 하부에는 하단에 로울러(74)로 구비되고, 양 지지 브라켓트(71)사이에 횡설된 횡축(72)에 고정된 지지대(73)가 구비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은 어때 고정대, 2는 손잡이, 3은 적외선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도 4 내지 도 7에 따라 작동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먼저 하반신 지지판(E)의 발 고정편(60)에 발을 고정시키고 누워서 상반신 지지판(F)의 어깨 고정대(1)를 겨드랑이에 끼워 신체를 고정시킨 다음에 신장수단(A)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스위치(SW1)을 ON시키면 모터(M1)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스크류(13)를 따라 스크루 홀더(14)가 후진하면서 도 3에서와 같이 하반신 지지판(E)도 후진하게 되어 신체가 척추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다.
이 상태에서 제1이완수단(B)을 작용시키기 위하여 스위치(SW2)를 ON시키면 모터(M)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23)이 회전되면서 회전축(23)에 고정된 브라켓트(24)가 일정 범위내에서 반추적으로 회동되고, 따라서 브라켓트(24)내의 지지부재(26)로 지지되는 상반신 지지판(F)회동된다.
이의 회동범위는 회전축(23)에 고정되어 있는 감지편(27)으로 감지되는 양측 센서(S12)(S13)내에서 왕복 회동 되어지고, 동작이 완료되면 중앙센서(S11)가 감지하여 정지되는 것이다.
또한, 제2이완수단(C)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스위치(SW3)을 ON시키면 모터(M3)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3)이 회전되면서 이 회전축(33)에 일측이 지지부재(26)로 지지되고 타측이 지지대(73)로 지지된 상반신 지지판(F)이 도 7에서와 같이 일정범위내에서 좌우 왕복운동을 반복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의 작동범위는 회전축(33)에 고정되어 있는 감지편(34)으로 감지되는 양측센서(S22)(S23)내에서 좌우 왕복 작동되어지고, 동작이 완료되면 중앙센서(S21)가 감지하여 정지되는 것이다.
상기 제1이완수단(B)과 제2이완수단(C)의 작동은 각각 별도로 작동되는 것이나 제1이완 수단(B)의 작동후에 연이어서 제2이완수단(C)이 작동하기 위하여는 도 3의 스위치(SW4)를 ON시키고 나서 스위치(SW2)를 ON시키면 상기에 기재된 바에 따라 제1이완수단(B)이 일정 주기 동안 작동후에 제2이완수단(C)이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이완수단(B) 및 제2이완수단(C)으로 이완된 척추를 받침 작동수단(D)으로 받쳐준 상태에서 위에서 순간적으로 압압하면 척추가 제자리로 찾아가게 되는 것으로, 하반신 지지판(E)의 상승부쪽의 받침판(61)에 이완된 척추가 위치되도록 엎드린채 받침 작동수단(D)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스위치(SW5)를 ON시키면 모터(M4)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43)이 회전되고, 이 회전축(43)에 고정된 편심캠(44)이 회전되면서도 도 7에서와 같이 받침구(50)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 받침구(50)의 상승으로 하반신 지지판(F)의 받침판(61)을 상승시켜 받침판(61)이 이완된 척추를 받쳐주게 된다.
이때 받침구(50)는 탄발스프링(51)으로 탄지되는 볼(52)이 삽지홈(54)에 삽입되어 상승된 상태에서 정지된다.
이후 척추의 양쪽을 손으로 압압하면 받침구(50)는 볼(52)이 삽지홈(54)에서 이탈되면서 하강하게 되면서 척추는 제자리 찾아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동을 반복시키므로써 정상적인 척추로 교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신체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척추에 이완을 부여하여 교정할 수 있으므로써 척추의 교정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척추를 이완시키기 위한 제1이완수단 및 제2이완수단에 따른 작동은 상반신에 운동을 부여하여 상반신의 근육을 이완시켜주는 효과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척추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신체를 누운 상태에서 척추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켜 상반신에 회동운동과 좌우 왕복운동을 반복적으로 부여하여 척추를 이완시킨 다음 순간적인 압박을 가해서 정상적인 척추 위치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척추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누워 있는 상태에서 척추를 이완시켜 척추를 교정하도록 하는 척추교정기에 있어서,
    정,역모터(M1)의 회전축에 벨트를 체결하여 모터(M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는 폴리(11)와, 이의 풀리(11)에 고정되고 지지브라켓트(12)에 지지되어 회전구동하는 스크루(13)와, 이 스크루(13)에 체결되어 스크루(13)의 회전에 따라 전,후 슬라이드 작동되고 양측에 레일(R)을 따라 구동되는 로울러(15)가 구비되는 스크루 홀더(14)로 구성된 신장수단(A)과;
    정,역 모우터(M2)의 회전축에 체인을 체결하여 모우터(M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는 체인 풀리(21)와, 이의 체인 풀리(21)에 고정되고 지지브라켓트(22)에 지지되어 회전 구동하는 회전축(23)과, 상기 회전축(23)의 일단에는 회전축(23)의 회전에 따라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 회동하도록 하는 전자 브레이크(25)가 부착된 브라케트(24)가 구비되고, 브라켓트(24)내에는형의 지지부재(26)가 체결되어 구성된 제1이완 수단(B)과;
    정,역 모우터(M3)의 회전축에 기어벨트를 체결하여 모우터(M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는 전자브레이크(32)가 부착된 벨트 풀리(31)와, 이의 벨트 풀리(31)에 고정되고 상단이 제1이완수단(B)의 브라켓트(24)의 일측 하단에 고착된형의 체결편(32)에 지지되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33)이 상기 제1이완수단(B)의 브라켓트(24)에 지지되며 이의 회전축(33)에는 지지부재(26)가 고정 체결되어 구성된 제2이완 수단(C)과;
    모우터(M4)의 회전축에 기어 벨트를 체결하여 모우터(M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는 벨트 풀리(41)와, 이의 벨트 풀리(41)에 고정되고 지지 브라켓트(42)에 지지되어 회전 구동하는 회전축(43)과, 이의 회전축(43)의 중앙에는 편심캠(44)이 고정되어 편심캠(44)의 회전으로 지지 프레임(45)에 지지되면서 양측의 탄발 스프링(51)으로 탄지되는 볼(52)의 압지하에 위로 상승되는 받침구(50)로 구성된 받침 작동수단(D)과;
    상면 일단에는 발고정편(60)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힌지로 체결되고 상기 받침구(50)의 상승으로 일단이 상승되는 받침판(61)이 구비되며 신장수단(A)의 스크루 홀더(14) 및 판넬(P)상에 지지대(62)로 지지되어 구성되는 하반신 지지판(E)과;
    일단이 지지부재(26)에 지지되고, 타단의 하부에 하단에 로울러(74)가 구비되고 양 지지브라켓트(71) 사이에 횡설된 횡축(72)에 고정된 지지대(73)가 구비된 상반신 지지판(F);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기.
KR2019970018361U 1997-07-11 1997-07-11 척추 교정기 KR199900050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361U KR19990005079U (ko) 1997-07-11 1997-07-11 척추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361U KR19990005079U (ko) 1997-07-11 1997-07-11 척추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079U true KR19990005079U (ko) 1999-02-05

Family

ID=6968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361U KR19990005079U (ko) 1997-07-11 1997-07-11 척추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079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651A (ko) * 2001-06-25 2003-01-08 서정문 중풍치료방법
KR100373301B1 (ko) * 2000-11-13 2003-02-25 강상욱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
KR100807198B1 (ko) * 2005-12-26 2008-02-28 김학충 척추교정을 위한 운동장치
KR100868384B1 (ko) * 2008-01-30 2008-11-12 구경순 척추교정치료기
KR101453069B1 (ko) * 2014-06-02 2014-10-22 주식회사 제이엠텍 정형용 교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301B1 (ko) * 2000-11-13 2003-02-25 강상욱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
KR20030001651A (ko) * 2001-06-25 2003-01-08 서정문 중풍치료방법
KR100807198B1 (ko) * 2005-12-26 2008-02-28 김학충 척추교정을 위한 운동장치
KR100868384B1 (ko) * 2008-01-30 2008-11-12 구경순 척추교정치료기
KR101453069B1 (ko) * 2014-06-02 2014-10-22 주식회사 제이엠텍 정형용 교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910B1 (ko) 운동수단을 갖는 의료용 침대
JP3087864U (ja) マッサージ装置
CN1154460C (zh) 利用t型杆的运动装置
KR100868384B1 (ko) 척추교정치료기
HUH3799A (en) The apparatus for treatment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recreation, and training of spine and other human body parts
CN101057811B (zh) 前臂按摩装置
KR100664725B1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베드구조
EP1334708A2 (en) Orthopedic apparatus
JP3088296U (ja) マッサージ装置
KR19990005079U (ko) 척추 교정기
JP2004216029A (ja) マッサージ機
CN110787025B (zh) 一种康复用手臂锻炼装置
CN113081743A (zh) 一种康复用肩部锻炼器
CN219595133U (zh) 乳腺外科术后上肢水肿恢复器
CN109223277B (zh) 一种多功能医用肩颈治疗仪
CN215536247U (zh) 一种角度可调整的骨科复健引导架
JP3547722B2 (ja) 四つ玉式マッサージ機構とこの機構を内蔵したマッサージ装置
CN110868984A (zh) 提高了拉伸功能的按摩椅
KR102072084B1 (ko) 스트레칭 기능성을 향상시킨 안마의자
KR20140095198A (ko) 손가락 재활기
JP4015476B2 (ja) マッサージ機
EP1675544B1 (en) Apparatus, bed and method for displacing a recumbent person to a sitting position
JP2001112833A (ja) 脚部マッサージ機
KR200298656Y1 (ko) 체인 구동형 온열 치료기
JPH119649A (ja) 脊椎健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