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029A - Um 인터페이스에서 PPP 재협상 기간동안 데이타손실을 피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Um 인터페이스에서 PPP 재협상 기간동안 데이타손실을 피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029A
KR20020037029A KR1020027000522A KR20027000522A KR20020037029A KR 20020037029 A KR20020037029 A KR 20020037029A KR 1020027000522 A KR1020027000522 A KR 1020027000522A KR 20027000522 A KR20027000522 A KR 20027000522A KR 20020037029 A KR20020037029 A KR 20020037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flow control
ppp
ppp renegotiation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3082B1 (ko
Inventor
니샬 아브롤
마르셀로 리오이
Original Assignee
러셀 비. 밀러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러셀 비. 밀러,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러셀 비. 밀러
Publication of KR20020037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0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PPP 재협상이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발생하는 경우,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TE2 장치(10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의 흐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104)가 제시된다. 이러한 흐름 제어(S320)는 MT2 장치 및 TE2 장치 사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전기적 신호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MT2 장치에 의해 인에이블링된다.
제2 실시예는 Um 인터페이스의 PPP 재협상이 발생하는 경우, MT2 장치에서 데이타를 버퍼링하는(S420)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104)를 제공한다.
제3 실시예에서, Um 인터페이스의 PPP 재협상이 발생하는 경우, 데이타가 버퍼링된다. 프리 버퍼 공간 양이 소정 임계치(S540)보다 작은 경우, TE2 장치에 대한 흐름 제어가 인에이블링(S550)된다.

Description

Um 인터페이스에서 PPP 재협상 기간동안 데이타 손실을 피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DATA LOSS DURING A PPP RENEGOTIATION ON A Um INTERFACE}
인터넷워킹, 즉 개별 근거리 통신망(LAN)들 간의 접속이 빠르게 인기를 얻고있다. "인터넷"으로 언급되는 인프라 및 관련 프로토콜이 잘 알려져 있고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인터넷에 액세스를 제공하는 잘 알려진 프로토콜은 점대점 프로토콜(PPP)이고, 이러한 프로토콜은 점대점 상에서 다중 프로토콜 데이타그램들을 전송하는 표준 방식을 제공하고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RFC(Request For Comment) 1661, 네트워크 워킹 그룹, W.Simpson, Editor,7 1994에 기술되어 있다.
PPP는 3가지 중요한 성분들을 포함한다.
1. 다중 프로토콜 데이타그램들을 밀봉(encapsulate)하는 방법;
2. 데이타 링크 연결을 설정, 배치, 및 테스트하는 링크 제어프로토콜(LCP); 및
3. 상이한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들을 설정 및 배치하는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NCP) 패밀리.
도1은 무선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상위 블록 다이아그램을 보여주는 도이다. 여기서 이동 단말(TE2 장치)(102)은 인터워킹 함수(IWF)(108)와 무선 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통신하고,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통신 장치(MT2)(104) 및 기지국/이동 교환 센터(BS/MSC)(106)를 포함한다. 도1에서, 상기 IWF(108)는 인터넷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로서 제공된다. IWF(108)는 기존의 무선 기지국과 같은 BS/MSC(106)와 결합 또는 공존한다. TE2 장치(102)는 MT2 장치(104)(예를 들면 셀룰러 폰)와 결합되고, 상기 MT2는 BS/MSC(106) 및 IWF(108)와 무선 통신한다.
TE2 장치(102)와 IWF(108) 사이의 데이타 통신을 가능케 하는 많은 프로토콜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1998년 2월 공표되었고,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TIA/EIA 잠정 표준 IS-707.5 제목 "Data Service Options for Wideband Spread Spectrum Systems:Packet Data Services" 는 TIA/EIA IS-95 광대역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타 전송 능력을 지원하기 위한 요구조건들을 정의하고, BS/MSC(106) 및 IWF(108)는 상기 광대역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한다. IS-707.5는 또한 TE2 장치(102)와 MT2 장치(104) 사이의 링크(Rm 인터페이스), MT2 장치(104)와 BS/MSC(106) 사이의 링크(Um 인터페이스), 및 BS/MSC(106)와 IWF(108) 사이의 링크(L 인터페이스)에서 통신 프로토콜들에 대한 요구조건들을 제공한다.
도2를 살펴보면, IS-707.5 중계 모델의 각 엔티티에서 프로토콜 스택들의 다이아그램이 제시된다. 도2는 대략 IS-707.5의 도 1.4.2.2-1에 대응된다. 제일 좌측에 기존의 수직 포맷으로 TE2 장치(102)(예를 들면 이동단말, 랩톱 또는 팜톱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토콜 계층들을 제시하는 프로토콜 계층이 제시된다. TE2 프로토콜 스택은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MT2 장치(104) 프로토콜과 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제시된다. MT2 장치(104)는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BS/MSC(106) 프로토콜 스택과 논리적으로 연결된다. BS/MSC(106) 프로토콜 스택은 L 인터페이스를 통해 IWF(108) 프로토콜 스택과 논리적으로 연결된다.
도2의 프로토콜 동작의 예로서, 점대점 프로토콜(PPPR) 프로토콜(206)은 상위 계층 프로토콜(202,204)로부터의 패킷들을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패킷들을 EIA-232 프로토콜(208)을 사용하여 EIA-232 프로토콜(210)을 운영하는 MT2 장치상의 EIA-232 호환 포트로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한다. 본 발명은 EIA-23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USB/IRDA/Bluetooth와 같은 다른 적절한 프로토콜들이 사용될 수 있다. MT2 장치상의 EIA-232 프로토콜(210)은 패킷들을 수신하여 이들을 PPPR프로토콜(205)로 전달한다. PPPR프로토콜(205)은 PPP 프레임들에서 밀봉된 패킷들을 언프레임(unframe)시키고, 전형적으로 데이타 접속이 업(up)인 경우, 패킷들을 PPPU프로토콜(215)로 전달하며, PPPU프로토콜(215)은 IWF(108)에 위치하는 PPP 피어로의 전송을 위해 PPP 프레임들로 패킷을 프레임화한다.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212) 및 IS-95 프로토콜(214)은 공지되어 있고, 이들은 PPP 프레임들에서 밀봉된 패킷들을 Um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BS/MSC(106)로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RLP는 무선 링크 프로토콜 패밀리이다. RLP 프로토콜(212)은 1998년 2월에 공표되었고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TIA/EIA 잠정 표준 IS-707.2 제목 "Data Service Options for Wideband Spread Spectrum Systems:Radio Link Protocol" 에서 정의된다. 보조 RLP 프로토콜(216) 및 IS-95 프로토콜(218)은 상기 패킷들을 L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중계 계층 프로토콜(228)로의 전송을 위해 중계 계층 프로토콜(220)로 전달한다. 그리고 나서 PPPU프로토콜(226)은 수신된 패킷을 언프레임화하고 그들을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225)로 전달하며,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은 그들을 상위 계층 프로토콜(221)로 전달한다.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듯이, RLP 프로토콜을 대신하여 RLP2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도 있다. RLP2는 1999년 4월에 공표된 EIA/TIA 잠정 표준, 제목 "Data Service Options for Spread Spectrum System:Radio Link Protocol Type2" 에서 정의된다. RLP3 및 CDMA2000 용 RLP와 같은 다른 RLP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도 있다.
RFC 1661에서 기술되듯이, LCP 패킷들은 컨피겨-리퀘스트(Configure-Request), 컨피겨-애크(Configure-Ack), 컨피겨-내크(Configure-Nak) 및 컨피겨-리젝트(Configure-Reject)를 포함한다. 이러한 패킷들의 포맷은 RFC 1661에 기재되어 있다.
컨피겨-리퀘스트 패킷은 배치 옵션들을 협상하는데 사용된다. 모든 배치 옵션들은 항상 동시에 협상된다.
컨피겨-애크 패킷은 수신된 컨피겨-리퀘스트 패킷의 모든 배치 옵션이 인식가능하고 모든 값들이 수용가능한 경우에 전송된다.
컨피겨-내크는 요청된 배치 옵션들이 인식 가능하지만, 그 일부값들이 수용가능하지 않는 경우에 컨피겨-리퀘스트에 응답하여 전송된다. 컨피겨-내크 패킷의 옵션 필드는 컨피겨-리퀘스트 패킷으로부터의 수용 불가한 배치 옵션들로만 채워진다. 모든 배치 옵션들은 동시에 내크되어진다.
컨피겨-리젝트 패킷은 수신된 컨피겨-리퀘스트가 인식 불가능한 또는 협상 불가능한 배치 옵션들을 포함할 때 전송된다. 컨피겨-리젝트 옵션 필드는 컨피겨-리퀘스트로부터의 수용 불가능한 배치 옵션들만을 포함한다.
다음은 RFC 1661에 기술되고, PPP LCP 프로토콜에 대해 정의된 잘 알려진 배치 옵션들을 포함한다:
1. 최대-수신-유닛
2. 인증-프로토콜
3. 콸러티-프로토콜
4. 매직-넘버
5. 프로토콜-필드-압축
6. 어드레스-및-제어-필드-압축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은 PPP링크 양단에서 인터넷 프로토콜(IP) 모듈들을 배치, 인에이블링, 밍 디스에이블링하는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이다. IPCP는 RFC 1332 "The PPP Internet Protocol Control Protocol(IPCP)" 네트워크 워킹 그룹, G McGregor Merit, 1992년 5월에 기술되어있고, 본 명세서에서 참조된다. IPCP 배치 옵션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1. IP-어드레스들;
2. IP-압축-프로토콜; 및
3. IP-어드레스
IPCP는 링크 제어 프로토콜(LCP)과 동일한 옵션 협상 매커니즘을 사용한다.
LCP 및 IPCP 배치 옵션 협상들은 Rm 인터페이스 및 Um 인터페이스에 대해 각각 발생한다. 즉, Rm 및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LCP 또는 IPCP 배치 옵션 협상은 다른 한쪽의 Rm 또는 Um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LCP 또는 IPCP 배치 옵션 협상과는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MT2)는 Rm 및 Um 인터페이스에 대해 각각 분리하여 배치 옵션들을 협상한다. 무선 통신 장치(MT2)는 이동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 장치(MT2)는 상이한 IWF(108)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MT2 장치를 새로운 IWF(108)에 대해 처리하게 하는 핸드오프가 발생할 것이다. 핸드오프가 발생하면,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LCP 및 IPCP 링크들은 Um 인터페이스에서 협상되어야만 한다. Rm 및 Um 인터페이스에 대한 PPP 협상은 독립적이기 때문에, PPP 협상 필요성은 Um 인터페이스에서만 발생한다.
Um 인터페이스의 PPP 재협상 기간동안, 데이타는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전달될 수 없지만, TE2 장치는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MT2로 데이타를 계속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타를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송함이 없이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MT2가 데이타를 수신하는 것은 가능하다. PPP 재협상이 오랜 기간동안 계속되면, MT2 장치는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 데이타를 처리할 수 없게되고 데이타손실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데이타 서비스 영역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MT2) 및 기지국/이동 교환 센터(BS/MSC) 사이의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점대점 프로토콜(PPP) 재협상 기간동안 데이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단말 장치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상위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2는 각 엔티티의 프로토콜 스택 다이아그램이다.
도3은 PPP Um 인터페이스 변경 상태를 MT2 장치가 탐지하는 경우 발생하는 처리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4는 PPP Um 인터페이스 변경 상태를 MT2 장치가 탐지하는 경우 발생하는 처리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5는 이용가능한 프리 버퍼 공간의 양에 따라 TE2 장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처리를 보여주는 제2 실시예의 변형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PPP 재협상이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일어날 때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TE2 장치(10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의 흐름 제어를 할 수 있는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MT2)(104)와 관련된다. 흐름 제어는 MT2 장치 및 TE2 장치 사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전기적인 신호를 조작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흐름 제어(XON/XOFF)를 사용함으로써 MT2 장치에 의해 인에이블링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Um 인터페이스의 PPP 재협상 기간동안 MT2 장치에서 TE2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버퍼링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MT2)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Um 인터페이스의 PPP 재협상이 발생할 때 MT2 장치에서 데이타를 버퍼링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MT2)와 관련된다. 프리 버퍼 공간의 양이 소정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MT2 장치는 TE2 장치에 대한 흐름 제어를 인에이블링한다. Um 인터페이스의 PPP 재협상이 발생하지 않으면, TE2 장치의 흐름 제어는 디스에이블링되고, 따라서 데이타가 TE2 장치로부터 MT2 장치로 흐를 수 있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PPP 재협상 기간동안 데이타 손실을 방지하는 개선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공지되어 있듯이, 점대점(PPP) 링크상에서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데이타 링크 접속을 설정, 배치 및 테스트하는 링크 제어 프로토콜(LCP) 패킷이 각각의 PPP 링크(즉, Rm 및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교환되어야만 한다. 협상되지 않은 임의의 옵션들은 RFC 1661에 규정된 바와 같이 소정의 디폴트 값을 사용한다.
유사하게, IPCP 배치 옵션들을 협상 및 배치하는 IPCP 패킷들이 Rm 및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교환되어야만 한다. 협상되지 않은 임의의 옵션들은 RFC 1332에 규정된 바와 같이 소정 디폴트 값을 사용한다.
RFC 1661 및 RFC1332에 기술된 바와 같이 LCP 패킷들 및 IPCP 패킷들은 컨피겨-리퀘스트, 컨피겨-애크, 컨피겨-내크, 및 컨피겨-리젝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패킷들의 포맷은 공지되어 있고 RFC 1661 및 RFC 1332에 기술되어 있다.
배치 옵션 협상들은 Rm 인터페이스 및 Um 인터페이스 모두에 대해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RFC 1661 및 RFC 1332에 기술되듯이, 컨피겨-리퀘스트 패킷은 요청되는 옵션들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컨피겨-애크 패킷은 송신기가 긍정응답하는 옵션들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MT2) 장치(104)는 일반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MT2 장치(104) 및 IWF(108) 사이의 통신은 이동 MT2 장치의 현위치에 따라 다른 IWF(108)로 핸드오프 되어진다. 핸드오프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핸드오프가 발생하면, PPP Um 인터페이스는 재협상되어야 한다. 즉, LCP 및 IPCP 배치 옵션들이 재협상되어야 한다. 재협상 기간동안, 데이타는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송될 수 없다. 그러나 Um 인터페이스의 협상은 Rm 인터페이스 협상과는 독립적이기 때문에, Rm 인터페이스가 핸드오프 후에 반드시 재협상을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TE2 장치(102)는 MT2 장치(104)로 계속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지만 MT2 장치(104)는 PPP 재협상에 관여하기 때문에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데이타를 전송할 수가 없다. 재협상이 상당 기간동안 지속되고 TE2 장치(102)가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MT2 장치(104)로 계속해서 데이타를 전송하게되면, 결국 데이타 상실이 발생하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상기 처리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단계(S310)에서, 재협상이 현재 일어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PPP Um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검사된다. 재협상이 일어나고 있으면, PPP Rm 인터페이스에서의 흐름제어가 인에이블링 되도록 단계(S320)가 실행되고 TE2 장치(102)는 MT2 장치(104)에 데이타를 전송하지 않도록 한다. 흐름 제어는 예를 들면 MT2 장치(104)에 의해 TE2 장치(102)로 RS232 인터페이스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클리어(clear)를 턴-오프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공지되듯이, TE2와 같은 장치는 신호를 전송하는 클리어가 오프되는 경우에는 RS232 상에서 데이타를 전송할 수 없다.
단계(310)에서 재협상이 PPP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발생하고 있지 않다는 결정이 이루어지면, 흐름 제어가 디스에이블링되도록 단계(S330)가 실행된다. 즉, TE2 장치(102)로부터의 데이타에 대한 어떠한 흐름 제어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는 예를 들면 MT2 장치(104)가 TE2 장치(102)로 RS232 인터페이스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클리어를 턴-온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공지되듯이, TE2와 같은 장치는 신호를 전송하는 클리어가 온되는 경우에 RS232 에서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320 및 S330)중 하나가 수행된 후에, 정상적인 처리가 계속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이다. 단계(S410)가 수행되어 재협상이 PPP Um 인터페이스에서 일어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재협상이 일어나면, TE2 장치(102)로부터 Rm 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되는 데이타가 버퍼링되도록 단계(S420) 가 수행된다.
단계(S410)에서 재협상이 PPP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일어나지 않는다는 결정이 이루어지면, Rm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타가 버퍼링되지 않고 그 대신 PPP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뒤이은 전송을 위한 처리 단계(S430)가 실행된다. 또한, 단계(S430)는 PPP Um 인터페이스로부터 이미 수신되고 버퍼링된 임의의 데이타가 버퍼로부터 디큐(dequeue)되어지고 PPP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뒤이은 전송을 위해 처리되도록 하여준다.
단계(S420 및 S430)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 후에, 정상적인 처리가 계속된다.
TE2 장치(102)의 흐름 제어가 없다면, 도4의 실시예는 데이타 손실을 단지 지연시킬 뿐이다. PPP Um 인터페이스 재협상이 상당 기간동안 발생하면, MT2 장치(104)는 그 버퍼 공간을 모두 소진하게되고 데이타가 상실될 것이다.
도5는 도4에 제시된 실시예의 변형을 제시하는 도로서, 도5는 도4의 처리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잔존 버퍼 공간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및 그에 따라 흐름 제어를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단계(S510)가 PPP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재협상이 일어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된다. 재협상이 발생하면, TE2 장치(102)로부터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되는 데이타가 버퍼링되도록 단계(S520)가 실행된다.
단계(S530)에서, 프리 버퍼 공간의 양이 결정된다. 단계(S540)에서 프리 버퍼 공간 양이 임계치와 비교된다. 프리 버퍼 공간의 양이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S550)가 수행되어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TE2 장치(102)의 흐름 제어를 인에이블링하고 상기 처리는 단계(S510)로 돌아가서 PPP Um 인터페이스에서 재협상이 계속 일어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S540)에서, 프리 버퍼 공간 양이 임계치 이상이면 흐름 제어는 인에이블링되지 않고 단계(S510)로 돌아가서 PPP Um 인터페이스에서 재협상이 계속 발생하는지를 결정한다.
PPP Um 인터페이스의 재협상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단계(S510)가 결정하면, 단계(S560)는 PPP Um 인터페이스 재협상 기간동안 이전에 버퍼링되었던 임의의 데이타가 처리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S570)가 수행되어 흐름 제어가 디스에이블링되도록 하고 정상적인 처리가 계속된다.
선호되는 임계치값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현에 의존하고 메모리 크기, 프로세서 속도, 데이타율 및 예상 피크 트래픽 로드 등과 같은 인자 등을 고려한다.
본 발명은 선호되는 실시예를 통해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6)

  1. Um 인터페이스에서 PPP 재협상 기간동안 데이타 손실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Um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PPP 재협상이 일어나는지 여부를 MT2 장치에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PPP 재협상이 상기 Um 인터페이스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상기 결정 단계가 결정하는 경우에 TE2 장치로부터 상기 MT2 장치로 출력되는 데이타의 흐름 제어를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타 손실 방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흐름 제어를 인에이블링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TE2 장치 및 상기 MT2 장치 사이의 물리적 레벨 인터페이스에서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흐름 제어를 인에이블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타 손실 방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신호 사용은 RS232 인터페이스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클리어를 턴-오프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타 손실 방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PP 재협상이 상기 Um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지 않는다고 상기 결정단계가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TE2 장치로부터 상기 MT2 장치로 출력되는 상기 데이타의 흐름 제어를 디스에이블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데이타 손실 방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제어 디스에이블링은
    상기 TE2 장치 및 상기 MT2 장치 사이의 물리적 레벨 인터페이스에서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흐름 제어를 디스에이블링하는 데이타 손실 방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신호의 사용은 RS232 인터페이스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클리어를 턴-온 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타 손실 방지 방법.
  7. Um 인터페이스에서 PPP 재협상 기간동안 데이타 손실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PPP 재협상이 상기 Um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지 여부를 MT2 장치에서 결정하는 단계;
    상기 PPP 재협상이 상기 Um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한다고 상기 결정단계가 결정하는 경우에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TE2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상기 MT2 장치에서 버퍼링하는 단계;
    상기 MT2 장치의 프리 버퍼 공간 양이 소정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 버퍼 공간 양이 상기 소정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TE2 장치로부터 상기 MT2 장치로 출력되는 데이타의 흐름 제어를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타 손실 방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제어를 인에이블링하는 단계는
    상기 TE2 장치 및 상기 MT2 장치 사이의 물리적 계층 인터페이스에서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흐름 제어를 인에이블링하는 데이타 손실 방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신호 사용은 RS232 인터페이스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클리어를 턴-오프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타 손실 방지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PP 재협상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상기 결정단계가 결정하는 경우 상기 흐름 제어를 디스에이블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데이타 손실 방지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제어 디스에이블링 단계는
    상기 TE2 장치 및 상기 MT2 장치 사이의 물리적 레벨 인터페이스에서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흐름 제어를 디스에이블링하는 데이타 손실 방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신호 사용은 RS232 인터페이스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클리어를 턴-온 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타 손실 방지 방법.
  13. Um 인터페이스에서 PPP 재협상 기간동안 데이타 손실을 지연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Um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PPP 재협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MT2 장치에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PPP 재협상이 상기 Um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한다고 상기 결정단계가 결정하는 경우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TE2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상기 MT2 장치에 버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타 손실 지연 방법.
  14.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TE2 장치와 접속되고 무선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이동 교환 센터와 접속되는 MT2 장치로서,
    PPP 재협상이 상기 Um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 및
    상기 PPP 재협상이 상기 Um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상기 결정 수단이 결정하는 경우, 상기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TE2 장치로부터 상기 MT2 장치로 출력되는 데이타의 흐름 제어를 인에이블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MT2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링 수단은
    상기 흐름 제어를 인에이블링하기 위해 상기 TE2 장치 및 상기 MT2 장치 사이의 물리적 레벨 인터페이스에서 전기 신호를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MT2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는 수단은 RS232 인터페이스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클리어를 턴-오프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MT2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PPP 재협상이 상기 Um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TE2 장치로부터 상기 MT2 장치로 출력되는 상기 데이타의 상기 흐름 제어를 디스에이블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MT2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에이블링 수단은
    상기 흐름 제어를 디스에이블링시키기 위해 상기 TE2 장치 및 상기 MT2 장치 사이의 물리적 레벨 인터페이스에서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MT2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는 상기 수단은 RS232 인터페이스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클리어를 턴-온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MT2 장치.
  20.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TE2 장치와 접속되고 무선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이동 교환 센터와 접속되는 MT2 장치로서,
    PPP 재협상이 상기 Um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PPP 재협상이 상기 Um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상기 결정 수단이 결정하는 경우, 상기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TE2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버퍼링하는 수단;
    상기 MT2 장치의 프리 버퍼 공간 양이 소정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프리 버퍼 공간의 양이 상기 소정 임계치보다 작다고 상기 결정 수단이결정하는 경우, 상기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TE2 장치로부터 상기 MT2 장치로 출력되는 데이타의 흐름 제어를 인에이블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MT2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링 수단은
    상기 흐름 제어를 인에이블링하기 위해 상기 TE2 장치 및 상기 MT2 장치 사이의 물리적 레벨 인터페이스에서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MT2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는 상기 수단은 RS232 인터페이스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클리어를 턴-오프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MT2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PPP 재협상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상기 결정 수단이 결정하는 경우, 상기 흐름 제어를 디스에이블링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MT2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에이블링 수단은
    상기 흐름 제어를 디스에이블링하기 위해 상기 TE2 장치 및 상기 MT2 장치사이의 물리적 레벨 인터페이스에서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MT2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는 상기 수단은 RS232 인터페이스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클리어를 턴-온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MT2 장치.
  26. Rm 인터페이스를 통해 TE2 장치와 접속되고 무선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이동 교환 센터와 접속되는 MT2 장치로서,
    PPP 재협상이 상기 Um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PPP 재협상이 상기 Um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한다고 상기 결정 수단이 결정하는 경우, 상기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TE2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버퍼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MT2 장치.
KR1020027000522A 1999-07-14 2000-07-14 Um 인터페이스에서 PPP 재협상 기간 동안 데이터 손실을 피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63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53,108 1999-07-14
US09/353,108 US6463034B1 (en) 1999-07-14 1999-07-14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data loss during a PPP renegotiation on a Um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029A true KR20020037029A (ko) 2002-05-17
KR100763082B1 KR100763082B1 (ko) 2007-10-04

Family

ID=2338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522A KR100763082B1 (ko) 1999-07-14 2000-07-14 Um 인터페이스에서 PPP 재협상 기간 동안 데이터 손실을 피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463034B1 (ko)
EP (1) EP1192825B1 (ko)
JP (1) JP4680455B2 (ko)
KR (1) KR100763082B1 (ko)
CN (1) CN1168338C (ko)
AT (1) ATE311731T1 (ko)
AU (1) AU6217500A (ko)
BR (1) BR0012376A (ko)
CA (1) CA2379126C (ko)
DE (1) DE60024453T2 (ko)
ES (1) ES2251389T3 (ko)
HK (1) HK1047375B (ko)
IL (2) IL147577A0 (ko)
MX (1) MXPA02000448A (ko)
TW (1) TW494693B (ko)
WO (1) WO20010051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6494B2 (en) 1999-05-19 2008-04-08 I.D. Systems, Inc. Robust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rchitecture and asset management applications performed thereon
US7656271B2 (en) 2002-01-09 2010-02-02 I.D.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remotely located asset
AU5588000A (en) 1999-05-19 2000-12-05 Id Systems, Inc. Fully automated vehicle rental system
EP1109359A3 (en) * 1999-12-18 2003-04-02 Roke Manor Research Limited Congestion control for internet access
KR100612004B1 (ko) * 2000-04-06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Bluetooth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장치에서의 수신 데이터 처리 방법
US6909714B2 (en) * 2001-07-03 2005-06-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figuration options negotiated for a communications link employing a network model
US7430602B2 (en) * 2002-12-20 2008-09-30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ally provisioned mobile station and method therefor
MX2007010584A (es) 2005-03-01 2008-03-19 I D Systems Inc Portal movil para aplicaciones rfid.
US7667573B2 (en) 2005-03-01 2010-02-23 I.D. Systems, Inc. Mobile portal for RFID applications
US7385947B2 (en) * 2005-05-04 2008-06-10 Nokia Corporation Low-cost radio access network enabling local switching
US7616566B2 (en) * 2006-04-28 2009-11-10 Samsung Electroncis Co., Ltd Data flow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for reverse communication from high speed communication device to wireless network
JP4652276B2 (ja) * 2006-05-17 2011-03-16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管理装置並びに中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55944A (fi) 1995-12-11 1997-06-12 Nokia Telecommunications Oy Nopeussovitusmenetelmä ja nopeussovitin
FI101332B (fi) * 1995-12-18 1998-05-2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Epäjatkuvalähetys monikanavaisessa suurinopeuksisessa datasiirrossa
FI100567B (fi) * 1996-01-08 1997-12-31 Nokia Telecommunications Oy Verkkosovitin ja datansiirtomenetelmä matkaviestinverkossa
US5956651A (en) 1996-09-30 1999-09-21 Qualcomm Incorporated Cellular telephone interface system for AMPS and CDMA data services
JPH10178462A (ja) * 1996-12-19 1998-06-30 Toshiba Corp 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100260516B1 (ko) * 1997-04-01 2000-07-01 정선종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통신 데이터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KR19990001580A (ko) * 1997-06-16 1999-01-15 양승택 Cdma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g3 팩스 서비스 방법
US6230024B1 (en) * 1998-05-12 2001-05-08 Nortel Networks Limited Voice to digital fax transmission
US6665537B1 (en) * 1999-01-21 2003-12-16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invocation of mobile IP regist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11731T1 (de) 2005-12-15
TW494693B (en) 2002-07-11
MXPA02000448A (es) 2002-07-30
AU6217500A (en) 2001-01-30
WO2001005175A1 (en) 2001-01-18
CN1373974A (zh) 2002-10-09
DE60024453D1 (de) 2006-01-05
JP4680455B2 (ja) 2011-05-11
DE60024453T2 (de) 2006-08-24
CA2379126A1 (en) 2001-01-18
EP1192825B1 (en) 2005-11-30
JP2003527770A (ja) 2003-09-16
IL147577A (en) 2007-05-15
HK1047375B (zh) 2005-05-13
BR0012376A (pt) 2003-07-01
CN1168338C (zh) 2004-09-22
ES2251389T3 (es) 2006-05-01
EP1192825A1 (en) 2002-04-03
KR100763082B1 (ko) 2007-10-04
IL147577A0 (en) 2002-08-14
CA2379126C (en) 2008-03-11
US6463034B1 (en) 2002-10-08
HK1047375A1 (en) 200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0546B1 (en) Establishing a packet network call between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an interworking function
EP2391161A1 (en) Efficient handoffs between cellular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80986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examination of PPP packets for renegotiation of a PPP link on a Um interface
AU763662B2 (en) Simultaneous setup of PPP on a UM and RM interface
KR100763082B1 (ko) Um 인터페이스에서 PPP 재협상 기간 동안 데이터 손실을 피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633204B1 (ko) Um 및 Rm 인터페이스에서 PPP 링크의 독립적인동기화
KR100621537B1 (ko) Um 및 Rm 인터페이스 상에서 협상된 옵션들에 따른PPP 패킷들의 선택적 프레이밍 및 언프레이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